KR102357382B1 - 앵커 브라켓 - Google Patents

앵커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382B1
KR102357382B1 KR1020200040898A KR20200040898A KR102357382B1 KR 102357382 B1 KR102357382 B1 KR 102357382B1 KR 1020200040898 A KR1020200040898 A KR 1020200040898A KR 20200040898 A KR20200040898 A KR 20200040898A KR 102357382 B1 KR102357382 B1 KR 102357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support part
tensile force
upper support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3590A (ko
Inventor
김영진
조용진
박경호
김진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산이엔지
김영진
조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산이엔지, 김영진, 조용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산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040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38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3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브라켓은 토류벽을 지지하는 상측 지지부 및 하측 지지부 상에 안착되어 앵커체의 인장력을 상기 상측 지지부 및 상기 하측 지지부로 전달하는 장치로서, 상기 앵커체에 접촉되어 상기 앵커체로부터 인장력을 전달받는 전달부; 상기 전달부로부터 인장력을 전달받아 상기 상측 지지부로 인장력을 전달하는 상측 연계부; 상기 전달부로부터 인장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측 지지부로 인장력을 전달하는 하측 연계부; 및 상기 상측 지지부 및 상기 하측 지지부에 선택적으로 결속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상측 지지부 및 상기 하측 지지부로 상기 앵커체의 인장력을 전달하는 결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앵커 브라켓{ANCHOR BRACKET}
본 발명은 앵커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류벽을 지지하는 상측 지지부 및 하측 지지부 상에 안착되어 앵커체의 인장력을 상기 상측 지지부 및 상기 하측 지지부로 전달하는 앵커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건축 현장의 터파기 공사나 기초공사에서 급경사의 굴착공을 형성할 때 토류벽이 굴착공쪽으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스 앵커 공법이 많이 이용된다.
어스 앵커 공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토류벽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으로 천공을 실시하고, 천공부에 앵커체를 박은 후에 천공장 전체에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앵커체를 고정시킨다.
그 후, 일정기간 동안 그라우팅을 양생한다.
그라우팅의 양생이 완료되면 앵커체 인장력을 가하기 위해 띠장에 브라켓을 설치한다.
그 후, 앵커체에 인장력을 가하여 토류벽을 견고히 지지하게 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7279호(2009.11.10. 등록)에서는 각도 조절이 용이한 어스앵커브라켓을 공지하고 있다.
여기서, 제1지지판(12)은 상단면에 개방구(18)가 형성된 블럭 모양의 하우징(19)이 마련되고, 이 하우징(19)에는 개방구(18)를 통해 외부로 소정 거리 돌출될 수 있는 제1걸림고리(20)가 마련되어 있으나, 제1걸림고리(20)만으로는 충분히 하중을 견디기 힘들어 토류판을 지지하는 보가 처지거나 비틀림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앵커체의 인장력을 토류벽을 지지하는 상측 지지부 및 하측 지지부 상으로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앵커 브라켓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브라켓은 토류벽을 지지하는 상측 지지부 및 하측 지지부 상에 안착되어 앵커체의 인장력을 상기 상측 지지부 및 상기 하측 지지부로 전달하는 장치로서, 상기 앵커체에 접촉되어 상기 앵커체로부터 인장력을 전달받는 전달부; 상기 전달부로부터 인장력을 전달받아 상기 상측 지지부로 인장력을 전달하는 상측 연계부; 상기 전달부로부터 인장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측 지지부로 인장력을 전달하는 하측 연계부; 및 상기 상측 지지부 및 상기 하측 지지부에 선택적으로 결속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상측 지지부 및 상기 하측 지지부로 상기 앵커체의 인장력을 전달하는 결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브라켓에 의하면, 앵커체의 인장력을 토류벽을 지지하는 상측 지지부 및 하측 지지부 상으로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브라켓이 상측 지지부 및 하측 지지부 상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브라켓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브라켓의 제1 결속부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브라켓의 개략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브라켓은 토류벽을 지지하는 상측 지지부 및 하측 지지부 상에 안착되어 앵커체의 인장력을 상기 상측 지지부 및 상기 하측 지지부로 전달하는 장치로서, 상기 앵커체에 접촉되어 상기 앵커체로부터 인장력을 전달받는 전달부; 상기 전달부로부터 인장력을 전달받아 상기 상측 지지부로 인장력을 전달하는 상측 연계부; 상기 전달부로부터 인장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측 지지부로 인장력을 전달하는 하측 연계부; 및 상기 상측 지지부 및 상기 하측 지지부에 선택적으로 결속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상측 지지부 및 상기 하측 지지부로 상기 앵커체의 인장력을 전달하는 결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결속부는 상기 상측 지지부의 상단 상에 결속되는 제1 결속부 및 상기 상측 지지부의 하단 상에 결속되는 제2 결속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결속부 및 상기 제2 결속부는 상기 상측 연계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상측 지지부에 결속될 수 있다.
또,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제1 결속부와 상기 제2 결속부를 상기 상측 연계부 상에 연결시키는 제1 연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결속부 및 상기 제2 결속부는 상기 제1 연결부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결속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는 결속몸체부, 상기 결속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측 연계부를 커버하는 결속상측부 및 상기 결속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측 지지부를 커버하는 결속하측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결속부는 상기 상측 지지부의 상단 상에 결속되는 제1 결속부 및 상기 하측 지지부의 하단 상에 결속되는 제3 결속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제3 결속부를 상기 하측 연계부 상에 연결시키는 제2 연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3 결속부는 상기 제2 연결부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브라켓이 상측 지지부 및 하측 지지부 상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브라켓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브라켓의 제1 결속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브라켓의 개략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브라켓(10)은 토류벽(미 도시)을 지지하는 상측 지지부(B1) 및 하측 지지부(B2) 상에 안착되어 앵커체(미 도시)의 인장력을 상기 상측 지지부(B1) 및 상기 하측 지지부(B2)로 전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측 지지부(B1) 및 상기 하측 지지부(B2)는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토류벽을 지지하여 지반을 지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측 지지부(B1)는 상대적으로 상기 하측 지지부(B2)보다 토류벽의 상측에 배치된 구성일 수 있고, 상기 하측 지지부(B2)는 상대적으로 상기 상측 지지부(B1)보다 토류벽의 하측에 배치된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측 지지부(B1) 및 상기 하측 지지부(B2)는 H형강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상측 지지부(B1) 및 상기 하측 지지부(B2)는 H형강으로 가정하겠다.
상기 앵커체는 천공기를 이용하여 토류벽 내부에서 배면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로 천공을 하여 그 속에 PC 강선 또는 PC 강봉 등의 인장재를 삽입한 다음, 그 주위를 조강성 몰탈 등의 주입재로 정착시키고, 그리고 이 주입재가 경화한 후에 인장재를 긴장하여 토류벽을 향해 인장재의 인장력을 부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앵커체는 어스앵커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앵커 브라켓(10)은 상기 앵커체로부터 상기 앵커체의 인장력을 전달받아 상기 상측 지지부(B1) 및 하측 지지부(B2)로 안정적으로 전달하여, 결과적으로 토류벽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앵커 브라켓(10)은 상기 앵커체에 접촉되어 상기 앵커체로부터 인장력을 전달받는 전달부(100), 상기 전달부(100)로부터 인장력을 전달받아 상기 상측 지지부(B1)로 인장력을 전달하는 상측 연계부(200) 및 상기 전달부(100)로부터 인장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측 지지부(B2)로 인장력을 전달하는 하측 연계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달부(100)는 상기 앵커체와 접촉되어 상기 앵커체로부터 인장력을 전달받아 상기 상측 연계부(200) 및 상기 하측 연계부(300)로 인장력을 전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달부(100)는 상기 앵커체가 설치되는 설치홀(H1)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측 연계부(200)는 상기 상측 지지부(B1) 상에 안착되어 상기 전달부(100)로부터 상기 앵커체의 인장력을 전달받아 상기 상측 지지부(B1)로 인장력을 전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측 연계부(200)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하측 연계부(300)는 상기 하측 지지부(B2) 상에 안착되어 상기 전달부(100)로부터 상기 앵커체의 인장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측 지지부(B2)로 인장력을 전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측 연계부(300)는 상기 하측 지지부(B2) 상에 안착되는 연계몸체부(310) 및 상기 연계몸체부(310)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하측 지지부(B2)의 상단에 걸림되는 연계걸림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계걸림부(320)는 상기 연계몸체부(310)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하측 지지부(B2)의 상단을 포위하는 걸림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는 상기 연계걸림부(320)를 상기 하측 지지부(B2) 상단에 걸림시켜 예비적으로 상기 상측 연계부(200)를 상기 상측 지지부(B1) 상에 및 상기 하측 연계부(300)를 상기 하측 지지부(B2)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계걸림부(320)가 상기 하측 연계부(300)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측 연계부(200)의 상측 상에 형성되어 상기 상측 지지부(B1)에 예비적으로 걸림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연계걸림부(320)는 상기 하측 연계부(300) 상에 형성됨으로 가정하겠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전달부(100), 상기 상측 연계부(200) 및 상기 하측 연계부(300)는 상호 용접되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앵커 브라켓(10)은 상기 상측 지지부(B1) 및 상기 하측 지지부(B2)에 선택적으로 결속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상측 지지부(B1) 및 상기 하측 지지부(B2)로 상기 앵커체의 인장력을 전달하는 결속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결속부(400)는 상기 연계걸림부(320)에 의해 예비적으로 상기 상측 지지부(B1) 및 상기 하측 지지부(B2) 상에 각각 배치된 상기 상측 연계부(200) 및 상기 하측 연계부(300)를 추가적으로 고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만, 상기 결속부(400)는 상기 연계걸림부(320)에 의해 예비적으로 상기 상측 연계부(200) 및 상기 하측 연계부(300)가 상기 상측 지지부(B1) 및 상기 하측 지지부(B2) 상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상측 지지부(B1) 및 상기 하측 지지부(B2)에 결속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결속부(400)의 기술적 사상에 대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결속부(400)는 상기 상측 지지부(B1)의 상단 상에 결속되는 제1 결속부(410) 및 상기 상측 지지부(B1)의 하단 상에 결속되는 제2 결속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결속부(410)는 상기 상측 연계부(200)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상측 지지부(B1)의 상단 상에 결속될 수 있다.
여기서, '결속'의 의미는 상기 제1 결속부(410)가 상기 앵커체로부터 인장력을 전달받아 상기 상측 지지부(B1)로 인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측 연계부(200)는 상기 상측 지지부(B1)의 표면 상에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제1 결속부(410)는 상기 상측 지지부(B1)의 상측 배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결속부(41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 연결부(440)에 연결되는 결속몸체부(411), 상기 결속몸체부(411)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측 연계부(200)를 커버하는 결속상측부(415) 및 상기 결속몸체부(411)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측 지지부(B1)를 커버하는 결속하측부(413)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결속부(410)는 상기 결속상측부(415)가 상기 상측 연계부(200)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상기 결속하측부(413)가 상기 상측 지지부(B1)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상측 연계부(200)와 상기 상측 지지부(B1)를 동시에 포위(결속)한다는 점에서 상기 상측 연계부(200)가 상기 상측 지지부(B1)로 보다 안정적으로 인장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결속상측부(415)와 상기 결속하측부(413)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상측 연계부(200)와 상기 상측 지지부(B1)를 동시에 포위할 수 있는 포위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결속부(420)는 상기 상측 연계부(200)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상측 지지부(B1)의 하단 상에 결속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측 연계부(200)는 상기 상측 지지부(B1)의 표면 상에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제2 결속부(420)는 상기 상측 지지부(B1)의 하측 배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결속부(420)는 상기 제1 결속부(410)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으며, 그 결과, 아래에서 설명될 제1 연결부(440)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상측 연계부(200)와 상기 상측 지지부(B1)를 동시에 포위한다는 점에서 상기 상측 연계부(200)가 상기 상측 지지부(B1)로 보다 안정적으로 인장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결속부(410)가 상기 상측 연계부(200)와 상기 상측 지지부(B1)를 포위하는 경우 상기 상측 지지부(B1)는 상측으로의 이동 및 회전이 제한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결속부(420)가 상기 상측 연계부(200)와 상기 상측 지지부(B1)를 포위하는 경우 상기 상측 지지부(B1)는 하측으로의 이동 및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결속부(400)는 상기 제1 결속부(410)와 상기 제2 결속부(420)를 상기 상측 연계부(200) 상에 연결시키는 제1 연결부(4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연결부(440)는 상기 제1 결속부(410)와 상기 제2 결속부(420)를 상기 전달부(100) 및/또는 상기 상측 연계부(200)에 직/간접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연결부(440)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연결부(440)는 상기 상측 연계부(200) 상에 용접 연결되는 용접너트(T1)에 연결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상측 연계부(200) 상에 또는 상기 전달부(100) 상에 직접적으로 용접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결속몸체부(411)는 상기 제1 연결부(44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사홀(H2)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결속부(410) 및 상기 제2 결속부(420)는 상기 제1 연결부(440) 상에서 위치 이동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상측 지지부(B1)에 결속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연결부(440) 상에는 상기 제1 결속부(410)와 상기 제2 결속부(420)의 결속 상태를 유지하는 조임너트(T2)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일례로, 상기 제1 연결부(440)는 상기 용접너트(T1)와 용접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용접너트(T1)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용접너트(T1)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결속부(400)는 상기 하측 지지부(B2)의 하단 상에 결속되는 제3 결속부(4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결속부(430)는 상기 하측 연계부(300)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하측 지지부(B2)의 하단 상에 결속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측 연계부(300)는 상기 하측 지지부(B2)의 표면 상에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제3 결속부(430)는 상기 하측 지지부(B2)의 하측 배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결속부(430)는 상기 제1 결속부(410)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으며, 그 결과, 아래에서 설명될 제2 연결부(450)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하측 연계부(300)와 상기 하측 지지부(B2)를 동시에 포위한다는 점에서 상기 하측 연계부(300)가 상기 하측 지지부(B2)로 보다 안정적으로 인장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결속부(430)가 상기 하측 연계부(300)와 상기 하측 지지부(B2)를 포위하는 경우 상기 하측 지지부(B2)는 하측으로의 이동 및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결속부(400)는 상기 제3 결속부(430)를 상기 하측 연계부(300) 상에 연결시키는 제2 연결부(4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연결부(450)는 상기 제3 결속부(430)를 상기 전달부(100) 및/또는 상기 하측 연계부(300)에 직/간접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연결부(450)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연결부(450)는 상기 하측 연계부(300) 상에 용접 연결되는 용접너트(T1)에 연결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측 연계부(300) 상에 또는 상기 전달부(100) 상에 직접적으로 용접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3 결속부(430)는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2 연결부(450) 상에서 위치 이동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하측 지지부(B2)에 결속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연결부(450) 상에는 상기 제3 결속부(430)의 결속 상태를 유지하는 조임너트(T2)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일례로, 상기 제2 연결부(450)는 상기 용접너트(T1)와 용접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용접너트(T1)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용접너트(T1)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앵커 브라켓(10)은 상기 앵커체의 인장력을 상기 상측 지지부(B1) 및 상기 하측 지지부(B2)로 안정적으로 전달하여 상기 상측 지지부(B1) 및/또는 상기 하측 지지부(B2)가 상하측으로 이동 및/또는 회전 등과 같이 변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전달부
200: 상측 연계부
300: 하측 연계부
400: 결속부

Claims (7)

  1. 토류벽을 지지하는 상측 지지부 및 하측 지지부 상에 안착되어 앵커체의 인장력을 상기 상측 지지부 및 상기 하측 지지부로 전달하는 앵커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앵커체에 접촉되어 상기 앵커체로부터 인장력을 전달받는 전달부;
    상기 전달부로부터 인장력을 전달받아 상기 상측 지지부로 인장력을 전달하는 상측 연계부;
    상기 전달부로부터 인장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측 지지부로 인장력을 전달하는 하측 연계부; 및
    상기 상측 지지부 및 상기 하측 지지부에 선택적으로 결속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상측 지지부 및 상기 하측 지지부로 상기 앵커체의 인장력을 전달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부는,
    상기 상측 지지부의 상단 상에 결속되는 제1 결속부 및 상기 상측 지지부의 하단 상에 결속되는 제2 결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결속부 및 상기 제2 결속부는,
    상기 상측 연계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상측 지지부에 결속되며,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제1 결속부와 상기 제2 결속부를 상기 상측 연계부 상에 연결시키는 제1 연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결속부 및 상기 제2 결속부는,
    상기 제1 연결부 상에서 위치 이동되는,
    앵커 브라켓.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는 결속몸체부,
    상기 결속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측 연계부를 커버하는 결속상측부 및
    상기 결속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측 지지부를 커버하는 결속하측부를 구비하는,
    앵커 브라켓.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하측 지지부의 하단 상에 결속되는 제3 결속부를 더 구비하는,
    앵커 브라켓.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제3 결속부를 상기 하측 연계부 상에 연결시키는 제2 연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3 결속부는,
    상기 제2 연결부 상에서 위치 이동되는,
    앵커 브라켓.
KR1020200040898A 2020-04-03 2020-04-03 앵커 브라켓 KR102357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898A KR102357382B1 (ko) 2020-04-03 2020-04-03 앵커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898A KR102357382B1 (ko) 2020-04-03 2020-04-03 앵커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590A KR20210123590A (ko) 2021-10-14
KR102357382B1 true KR102357382B1 (ko) 2022-02-04

Family

ID=7815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898A KR102357382B1 (ko) 2020-04-03 2020-04-03 앵커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38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966B1 (ko) * 2011-04-13 2013-05-06 김용만 각도조절용 앵커브라켓을 구비한 강연선 인장장치
KR20130104052A (ko) * 2012-03-12 2013-09-25 주식회사 성보엔지니어링 어스앵커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590A (ko)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5347A (ko) 타워용 타워 기초부 시스템 및 타워용 타워 기초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
US3999391A (en) Tie-back anchor components and method for a shoring system
KR101072527B1 (ko) 강연선 지중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KR100992942B1 (ko) 다목적 어스 앵커 브라켓
KR102357382B1 (ko) 앵커 브라켓
JP2009228313A (ja) 杭頭接合用連結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杭頭接合構造
JP2010255329A (ja) 建屋基礎の施工法及び建屋基礎の施工用ジョイント盤
KR102468702B1 (ko) 비탈면 보강용 매립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JP3479516B2 (ja) 斜面安定工法および斜面安定装置
JP5235700B2 (ja) 建屋基礎の施工法及び建屋基礎の施工用ジョイント盤
KR102052336B1 (ko) 가동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소일네일링 보강 절토지반 전면의 마감패널 설치 공법
KR101935546B1 (ko) 암반밀착식 낙석방지망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4389093B2 (ja) 下端部に鉄筋かごを設けた既製コンクリート杭、鉄筋かご、基礎杭構造、基礎杭の構築方法
KR101694652B1 (ko) 패널식 절토부 옹벽용 앵커 헤드 착, 탈식 보호커버
JP6703816B2 (ja) フーチング基礎構造
JP3699022B2 (ja) アンカーの補強装置と法面用アンカーおよび法面へのアンカー設置方法
JP3033678B2 (ja) 法面安定化工法用の支圧金物および法面安定化工法
KR20120132660A (ko) 파일캡 구조체
JP4451491B1 (ja) アンカー装置及びその設置方法
JP5775750B2 (ja) 鋼管コンクリート複合杭
KR101733507B1 (ko) 지반에 고정된 전단보강프레임을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
KR20100018714A (ko) 인장재 제거형 앵커
JP5008683B2 (ja) 杭頭補強部材とそれを用いた杭頭補強構造
JP5028323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
KR102113859B1 (ko) 두부보강수단을 이용한 파일 및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