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014B1 - 인출형 차단기 - Google Patents

인출형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014B1
KR102357014B1 KR1020207024719A KR20207024719A KR102357014B1 KR 102357014 B1 KR102357014 B1 KR 102357014B1 KR 1020207024719 A KR1020207024719 A KR 1020207024719A KR 20207024719 A KR20207024719 A KR 20207024719A KR 102357014 B1 KR102357014 B1 KR 102357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circuit breaker
fixed
terminal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0799A (ko
Inventor
겐이치 아카사카
가즈히사 마츠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0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20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2Details of mechanic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24Shutters or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인출형 차단기는, 단자 장치와, 셔터 장치를 구비한다. 단자 장치는,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가 삽입되는 절연 베이스(21)를 복수 가진다. 셔터 장치는, 복수의 고정 셔터를 가진다. 복수의 절연 베이스(21)는, 차단기 본체가 인출되는 방향인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배열된다. 복수의 절연 베이스(21) 각각은, 제2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벽부(213, 214)를 가지고, 한 쌍의 벽부(213, 214) 각각은, 고정 셔터와 걸리는 걸림부(213f, 214f)를 가진다. 걸림부(213f, 214f)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연신되는 제1 연신부(213f1, 214f1)와, 제1 연신부(213f1, 214f1)의 선단으로부터 제2 방향을 향해서 연신되는 제2 연신부(213f2, 214f2)를 가진다. 한 쌍의 벽부(213, 214) 중 일방의 제2 연신부(213f2)와 타방의 제2 연신부(214f2)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신된다.

Description

인출형 차단기
본 발명은, 단자 장치가 배치되는 인출 프레임 내에 인출 가능하게 차단기 본체가 수납되는 인출형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셔터 장치를 구비하는 인출형 차단기가 알려져 있다. 셔터 장치를 구비하는 인출형 차단기는, 인출 프레임과, 인출 프레임에 배치되는 단자 장치와, 인출 프레임 내로부터의 인출이 가능한 차단기 본체와, 단자 장치의 전면(前面)에 장착되는 셔터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단자 장치는, 전원 측 도체 및 부하 측 도체에 접속되는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와,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가 삽입되는 절연 베이스를 상(相)마다 가지고 있다. 또, 차단기 본체는, 인출 프레임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와 접속되는 복수의 차단기 측 도체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셔터 장치는, 인출 프레임으로부터 차단기 본체가 인출되었을 때에 인출 프레임 측 도체가 차단기 본체 측으로부터 보아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인출 프레임 측 도체를 덮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차단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차단기 측 도체의 삽입이 가능한 개구를 가지는 고정 셔터와, 차단기 본체가 인출될 때에 구동 기구에 의해서 고정 셔터의 개구를 덮는 위치로 이동되는 가동 셔터를 구비하는 셔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인출형 차단기는, 상(相)마다 마련되는 절연 베이스가 좌우 대칭형의 반체(半體)를 조립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2개의 반체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가이드 홈에 고정 셔터를 삽입함으로써, 고정 셔터를 절연 베이스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6-22418호 공보
그렇지만, 상(相)마다 마련되는 절연 베이스를 몰드 성형에 의해 일체 형성하는 경우, 고정 셔터를 삽입할 수 있는 가이드 홈을 절연 베이스에 마련하는 것이 곤란한 것과 같은 과제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종래의 인출형 차단기에서는, 단자 유닛의 조립 또는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절연 베이스를 일체 형성한 경우라도, 고정 셔터를 절연 베이스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인출형 차단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인출형 차단기는, 인출 프레임과, 단자 장치와, 차단기 본체와, 셔터 장치를 구비한다. 단자 장치는, 전원 측 도체 및 부하 측 도체에 접속되는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와,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가 삽입되는 절연 베이스를 포함하는 단자 유닛을 복수 가지고, 인출 프레임 내에 배치된다. 차단기 본체는, 인출 프레임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와 접속되는 복수의 차단기 측 도체를 가지고, 인출 프레임 내로부터의 인출이 가능하다. 셔터 장치는, 차단기 본체의 인출 프레임 내로의 수납시에 복수의 차단기 측 도체가 삽입되는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복수의 고정 셔터와, 차단기 본체가 인출 프레임 내로부터 인출된 경우에 복수의 개구를 막는 가동 셔터를 가진다. 복수의 절연 베이스는, 차단기 본체가 인출되는 방향인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배열된다. 복수의 절연 베이스 각각은, 제2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벽부를 가진다. 한 쌍의 벽부 각각은, 고정 셔터와 걸리는 걸림부를 가진다. 걸림부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연신되는 제1 연신부와, 제1 연신부의 선단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신되는 제2 연신부를 가진다. 한 쌍의 벽부 중 일방의 제2 연신부와 타방의 제2 연신부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신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연 베이스를 일체 형성한 경우라도, 고정 셔터를 절연 베이스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출형 차단기의 외관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출형 차단기에서 차단기 본체가 인출 프레임 내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단자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자 유닛을 인출 프레임 내에 배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단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출 프레임 측 도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단자 장치에 셔터 장치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단자 장치에 셔터 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가동 셔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셔터 구동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셔터 구동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셔터 구동 유닛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셔터 구동 유닛의 로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내는 유닛 베이스에 로드 및 링크를 장착한 상태의 셔터 구동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나타내는 유닛 베이스에 로드 및 링크를 장착한 상태의 셔터 구동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에 나타내는 XV-X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차단기 본체가 인출 프레임 내에 수납된 상태의 인출형 차단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차단기 본체가 인출 프레임 내로부터 인출된 상태의 인출형 차단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0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제1 고정 셔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제2 고정 셔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로 셔터 구동 유닛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로 가동 셔터부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로 제1 고정 셔터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로 제2 고정 셔터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셔터 장치가 장착된 단자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나타내는 XXII-XX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8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9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고정 셔터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에 나타내는 절연 베이스로 도 29에 나타내는 고정 셔터부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1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단자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2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단자 장치에 셔터 장치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33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제3 고정 셔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4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보조 패널의 외관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인출형 차단기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출형 차단기의 외관도이며,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출형 차단기에서 차단기 본체가 인출 프레임 내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또, 도 1 및 도 2를 포함하는 도면에서,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연직 상향이 정방향인 Z축과,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출형 차단기(100)의 전방을 정방향으로 하는 X축과, 인출형 차단기(100)의 우측 방향을 정방향으로 하는 Y축을 포함하는 3차원의 직교좌표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출형 차단기(100)는, 3상(相) 회로의 전기회로의 개폐를 행하는 차단기 본체(1)와, 차단기 본체(1)에 접속되는 단자 장치(2)와, 단자 장치(2)가 배치되고 또한 차단기 본체(1)를 인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인출 프레임(3)을 구비한다. 게다가, 인출형 차단기(10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1)와 인출 프레임(3)을 연결하는 인출 레일(4)을 구비한다. 이러한 인출 레일(4)에 의해서, 차단기 본체(1)를 인출 프레임(3) 내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또, 인출형 차단기(100)는, 예를 들면, 미도시의 폐쇄 배전반의 케이스 내에 차단기 본체(1)를 인출할 수 있게 수납된다.
차단기 본체(1)는, 3상(相) 회로의 전기회로의 개방 동작 및 폐쇄 동작을 행하는 주지의 구성을 가진다. 개방 동작은, 3상 회로에서의 R상, S상, 및 T상 각각의 전기회로를 차단하는 동작이며, 폐쇄 동작은, 3상 회로에서의 R상, S상, 및 T상 각각의 전기회로를 접속하는 동작이다.
차단기 본체(1)는, 미도시의 고정 접점, 가동 접점, 개폐 기구, 및 트리핑(tripping) 기구를 내장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차단기 측 도체(11-1, 11-2, 11-3, 12-1, 12-2, 12-3)를 구비한다.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은, 상(相)마다 마련된다. 또, 차단기 측 도체(11-1, 11-2, 11-3) 각각을 개별로 구별하지 않고 차단기 측 도체(11)라고 기재하고, 차단기 측 도체(12-1, 12-2, 12-3) 각각을 개별로 구별하지 않고 차단기 측 도체(1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하우징(10)의 전면부(前面部)(10a)에는 미도시의 조작 버튼이 마련되어 있고, 이러한 조작 버튼이 조작됨으로써, 상(相)단위로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 접촉하는 폐쇄 동작 및 상단위로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부터 괴리하는 개방 동작이 행해진다. 상단위로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 접촉함으로써 3상 회로의 전기회로가 접속되어 차단기 본체(1)가 통전(通電) 상태가 된다. 또, 상단위로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부터 괴리함으로써 3상 회로의 전기회로가 차단되어 차단기 본체(1)가 비통전 상태가 된다. 또, 하우징(10) 내에 마련된 트리핑 기구는, 3상 회로에 과전류가 흘렀을 때, 상단위로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으로부터 자동적으로 괴리시켜 3상 회로의 전기회로를 차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차단기 측 도체(11)는, 하우징(10) 내에 마련된 고정 접점에 접속되고, 단자 장치(2)를 매개로 하여 미도시의 전원 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체이다. 차단기 측 도체(12)는, 하우징(10) 내에 마련된 가동 접점에 접속되고, 단자 장치(2)를 매개로 하여 미도시의 부하 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체이다. 차단기 측 도체(11-1, 12-1)는, R상의 전기회로를 형성하는 도체이고, 차단기 측 도체(11-2, 12-2)는, S상의 전기회로를 형성하는 도체이며, 차단기 측 도체(11-3, 12-3)는, T상의 전기회로를 형성하는 도체이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차단기 측 도체(11)가 차단기 측 도체(12)보다도 상부에 위치하고 있지만, 차단기 측 도체(11)가 차단기 측 도체(12)보다도 하부에 위치하고 있어도 괜찮다.
단자 장치(2)는, 복수의 절연 베이스(21)와, 이러한 복수의 절연 베이스(21)에 후방이 돌출된 상태에서 수납되는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1, 22-2, 22-3, 23-1, 23-2, 23-3)를 구비한다.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1, 23-1)는, R상의 전기회로를 형성하는 도체이고,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2, 23-2)는, S상의 전기회로를 형성하는 도체이며,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3, 23-3)는, T상의 전기회로를 형성하는 도체이다. 또,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1, 22-2, 22-3) 각각을 개별로 구별하지 않고 나타내는 경우,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라고 기재하고, 인출 프레임 측 도체(23-1, 23-2, 23-3) 각각을 개별로 구별하지 않고 나타내는 경우, 인출 프레임 측 도체(23)라고 기재한다.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는, 절연 베이스(21)로부터 돌출된 일단부가 미도시의 전원 측 도체에 접속되고, 차단기 본체(1)가 인출 프레임(3) 내에 수납된 경우에 타단부가 차단기 측 도체(11)에 접속된다. 또, 인출 프레임 측 도체(23)는, 절연 베이스(21)로부터 돌출된 일단부가 미도시의 부하 측 도체에 접속되고, 차단기 본체(1)가 인출 프레임(3) 내에 수납된 경우에 타단부가 차단기 측 도체(12)에 접속된다. 또, 전원 측 도체는, 전원 장치와 인출형 차단기(100)를 접속하는 도체이다. 또, 부하 측 도체는, 전원 장치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부하와 인출형 차단기(100)를 접속하는 도체이다. 부하는, 예를 들면, 전원 장치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전기 기기이다. 단자 장치(2)의 구성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술한다.
인출 프레임(3)은, 좌우의 측판(31, 32)을 구비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1)는, 좌우의 측판(31, 32)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인 인출 프레임(3) 내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된다. 또, 단자 장치(2)는, 인출 프레임(3) 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인출 프레임(3) 내로의 차단기 본체(1)의 수납은, 차단기 본체(1)의 전면부(10a)가 노출된 상태에서 행해지고, 인출 프레임(3) 내로의 단자 장치(2)의 배치는,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 23)가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행해진다. 또, 인출 프레임(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또, 인출 프레임(3) 내로의 차단기 본체(1)의 수납 위치 및 인출 프레임(3) 내로의 단자 장치(2)의 배치 위치도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출 레일(4)은, 차단기 본체(1)를 인출 프레임(3) 내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차단기 본체(1)와 인출 프레임(3)을 연결하는 인출 레일이며, 전후 방향으로 인출 레일(4)의 길이가 신축 가능하게 되도록 연결된 복수의 레일 부재(41, 42)로 구성된다. 또, 인출 레일(4)은, 차단기 본체(1)를 인출 프레임(3) 내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차단기 본체(1)와 인출 프레임(3)을 연결하는 구성이면 되고, 도 2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인출 레일(4)을 대신하여, 차단기 본체(1)를 인출 프레임(3) 내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차단기 본체(1)와 인출 프레임(3)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부재를 인출형 차단기(100)에 마련해도 좋다.
차단기 본체(1)는, 예를 들면, 미도시의 인출 핸들 및 인출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인출 핸들을 인출 기구에 걸리게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인출 기구에 의해서 인출 레일(4)을 전후 방향으로 신축시킬 수 있다. 인출 레일(4)이 전후 방향으로 신장됨으로써 인출 프레임(3) 내로부터 차단기 본체(1)가 인출된다. 또, 인출 레일(4)이 전후 방향으로 줄어듦으로써 인출 프레임(3) 내에 차단기 본체(1)가 수납되고, 차단기 본체(1)의 차단기 측 도체(11, 12)와 단자 장치(2)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 23)가 접속된다.
다음으로, 단자 장치(2)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단자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자 유닛을 인출 프레임 내에 배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장치(2)는, 3개의 단자 유닛(20-1, 20-2, 20-3)을 구비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단자 유닛(20-1, 20-2, 20-3)이 인출 프레임(3) 내에 배치될 때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쌍방향의 화살표는, 단자 유닛(20-1, 20-2)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단자 유닛(20-1, 20-2, 20-3)은, 인출 프레임(3)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인출 프레임(3) 내에 배치할 수 있고, 또, 상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인출 프레임(3)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단자 유닛(20-1, 20-2, 20-3)의 하단부는, 인출 프레임(3)을 구성하는 유지판(33)의 미도시의 개구에 삽입되어 유지판(33)에 의해 유지된다. 또, 단자 유닛(20-1, 20-2, 20-3)의 상단부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 프레임(3)을 구성하는 유지판(34)의 미도시의 개구에 삽입되어 유지판(34)에 의해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단자 장치(2)가 인출 프레임(3)에 고정된다. 유지판(33, 34)은, 측판(31, 32)에 고정되어 있고, 측판(31, 32)으로부터 유지판(33)을 떼어냄으로써, 단자 유닛(20-1, 20-2, 20-3)을 인출 프레임(3) 내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자 장치(2)는, 인출 프레임(3) 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단자 유닛(20-1)은,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1, 23-1)를 구비한다. 또, 단자 유닛(20-2)은,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2, 23-2)를 구비한다. 단자 유닛(20-3)은,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3, 23-3)를 구비한다. 단자 유닛(20-1, 20-2, 20-3)은 서로 동일한 구성이다. 단자 유닛(20-1, 20-2, 20-3) 각각을 개별로 구별하지 않고 나타내는 경우, 단자 유닛(20)이라고 기재한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단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출 프레임 측 도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유닛(20)은, 절연 베이스(21)와,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 23)를 구비한다. 절연 베이스(21)는,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가 삽입되는 단자 수납부(215)와, 인출 프레임 측 도체(23)가 삽입되는 단자 수납부(216)와, 후술하는 2개의 셔터 구동 유닛(53)이 각각 삽입되는 2개의 유닛 수납부(217)를 구비한다.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는, 단자 도체(221)와, 중계 단자 도체(222)와, 커넥터(223)를 구비한다. 또, 인출 프레임 측 도체(23)는, 단자 도체(231)와, 중계 단자 도체(232)와, 커넥터(233)를 구비한다.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 23)는 서로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의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의 단자 도체(221)는, 제1 연직면인 Z-Y평면을 따라서 펼쳐지는 저부(221a)와, 저부(221a)로부터 후방으로 연신되고 또한 수평면인 X-Y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단자부(221b)를 구비한다. 단자 도체(221)의 단자부(221b)에 미도시의 전원 측 도체가 접속된다. 또, 단자 도체(231)의 단자부에는 미도시의 부하 측 도체가 접속된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저부(221a)는, 정면에서 볼 때 4변의 길이가 동일한 정방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직방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단자부(221b)는, 저부(221a)의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변 사이에 낀 영역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저부(221a)에 수직하게 후방으로 연신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부(221a)의 저면은, 평탄면이다. 또, 단자부(221b)는, 측면에서 볼 때 T자 모양으로 형성되지만, 도 4에 나타내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계 단자 도체(222)는, 제1 연직면인 Z-Y평면을 따라서 펼쳐지는 저부(222a)와, 저부(222a)로부터 전방으로 제1 연직면에 직교하는 제2 연직면인 X-Z평면을 따라서 연신되고 또한 평면에서 볼 때 Y자 모양으로 형성된 선단부(222b)를 구비한다. 중계 단자 도체(222)는, 단자 수납부(215)에 삽입되고, 중계 단자 도체(222)의 저부(222a)가 복수의 나사(25)에 의해서 고정된다. 또, 나사(25)는, 절연 베이스(21)에 마련된 나사 구멍(219)을 통해서 중계 단자 도체(222)에 장착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계 단자 도체(222)의 저부(222a)는, 단자 도체(221)의 저부(221a)와 복수의 볼트(24)에 의해서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중계 단자 도체(222)와 단자 도체(22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중계 단자 도체(222)와 단자 도체(221)는, 4개의 볼트(24)에 의해 고정되지만, 볼트(24)의 수는 4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중계 단자 도체(222)와 단자 도체(221)는, 볼트(24) 이외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어도 괜찮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의 커넥터(223)는, 중계 단자 도체(222)와 접속된다. 이러한 커넥터(223)는, 차단기 본체(1)가 인출 프레임(3)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차단기 본체(1)의 차단기 측 도체(11)에 접속된다. 커넥터(223)는, 중계 단자 도체(222)와 걸리는 홈부(223a)와, 차단기 측 도체(11)와 걸리는 홈부(223b)를 구비한다.
커넥터(223)와 중계 단자 도체(222)와의 접속은, 커넥터(223)의 홈부(223a)에 중계 단자 도체(222)의 선단부(222b)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홈부(223a)를 구성하는 부재와 선단부(222b)를 구성하는 부재는, 탄성을 가지고 있고, 선단부(222b)가 홈부(223a)에 걸리면, 선단부(222b)의 외면과 홈부(223a)의 내벽면이 서로 민다. 그 때문에, 선단부(222b)와 홈부(223a)와의 걸림을 강고한 것으로 할 수 있고, 차단기 측 도체(11)를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로부터 빼낼 때에, 중계 단자 도체(222)와 커넥터(223)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단부(222b)와 홈부(223a)와의 걸림은, 스토퍼의 역할도 한다.
또, 커넥터(223)와 차단기 측 도체(11)와의 접속은, 커넥터(223)의 홈부(223b)에 차단기 측 도체(11)의 선단부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행해진다. 차단기 측 도체(11)의 선단부가 커넥터(223)의 홈부(223b)에 삽입될 때에, 커넥터(223)는, 스윙(swing)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선단부(222b)와 홈부(223a)와의 걸림 부분이 커넥터(223)의 스윙 동작의 지점(支点)이 된다. 또, 커넥터(223)는, 스윙 동작을 행하지 않는 구성이라도 괜찮다. 또, 중계 단자 도체(222)와 단자 도체(221)는 일체 성형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되고, 단자 도체(221)와 중계 단자 도체(222)와 커넥터(223)는, 일체 성형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괜찮다.
다음으로, 단자 유닛(20)에 장착되는 셔터 장치(5)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단자 장치에 셔터 장치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며, 도 7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단자 장치에 셔터 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장치(5)는, 단자 장치(2)의 전면을 덮는 고정 셔터부(51)와, 고정 셔터부(51)와 단자 장치(2)와의 사이에 배치된 가동 셔터부(52)와, 2개의 셔터 구동 유닛(53)을 구비한다. 고정 셔터부(51)는, 제1 고정 셔터(511)와, 2개의 제2 고정 셔터(512)를 구비한다. 가동 셔터부(52)는, 2개의 가동 셔터(521)를 구비한다. 2개의 가동 셔터(521) 중 상측의 가동 셔터(521)는, 전원측용의 가동 셔터이며, 하측의 가동 셔터(521)는, 부하측용의 가동 셔터이다.
셔터 구동 유닛(53)은, 도 4에 나타내는 절연 베이스(21)에 형성된 유닛 수납부(217)에 삽입된다. 셔터 구동 유닛(53)이 유닛 수납부(217)에 삽입된 후, 2개의 가동 셔터(521)가 단자 유닛(20-1, 20-2, 20-3)의 절연 베이스(21)에 장착된다. 그 후, 고정 셔터부(51)가, 단자 유닛(20-1, 20-2, 20-3)의 절연 베이스(21)에 장착된다. 제1 고정 셔터(511)는, 단자 유닛(20-2)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2개의 제2 고정 셔터(512) 중 일방은, 단자 유닛(20-1)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타방은, 단자 유닛(20-3)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먼저, 가동 셔터(521)의 구성, 셔터 구동 유닛(53)의 구성, 및 가동 셔터(521)와 셔터 구동 유닛(53)과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가동 셔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셔터(521)는, 폐색판부(521a, 521b, 521c)와, 폐색판부(521a, 521b, 521c)의 일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521d)와, 폐색판부(521a, 521b, 521c)의 타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521e)와, 연결부(521e)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볼록부(521f)를 구비한다. 볼록부(521f)에는 개구(521g)가 형성된다.
가동 셔터(521)는, 절연 베이스(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절연 베이스(21)에는, 슬라이딩 면(211a, 21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가동 셔터(521)는, 슬라이딩 면(211a) 또는 슬라이딩 면(21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각 가동 셔터(521)는, 슬라이딩 면(211a) 또는 슬라이딩 면(212a)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폐색 위치와 개방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폐색 위치는, 폐색판부(521a, 521b, 521c)에서 고정 셔터부(51)의 개구(511a, 512a) 또는 개구(511b, 512b)를 폐색하는 위치이다. 또, 개방 위치는, 폐색판부(521a, 521b, 521c)에서 개구(511a, 512a) 또는 개구(511b, 512b)를 폐색하지 않는 위치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셔터 구동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며, 도 10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셔터 구동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구동 유닛(53)은, 하우징부(530)와, 하우징부(530)에 일단이 고정되는 압축 스프링(533)과, 압축 스프링(533)의 타단에 기단이 가압되는 로드(534)를 구비한다. 또, 셔터 구동 유닛(53)은, 하우징부(530)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하우징부(530)에 일단이 걸려진 코일 스프링(535)과, 코일 스프링(535)의 타단에 의해서 가압되고, 가동 셔터(521)에 걸려지는 링크(536)를 구비한다.
하우징부(530)는, 로드(534)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홈(531a)과, 링크(53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원기둥 모양의 축부(531b)가 형성되는 유닛 베이스(531)와, 유닛 베이스(531)에 상부로부터 장착되는 유닛 커버(532)를 구비한다. 유닛 커버(532)에는,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볼록부(532a, 532b)가 형성된다. 유닛 베이스(531)와 유닛 커버(53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압축 스프링(533)과, 코일 스프링(535)과, 링크(536)와, 로드(534)의 일부가 배치된다.
로드(534)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연신부(534a)와, 연신부(534a)의 후단으로 연속되고, 압축 스프링(533)의 타단에 고정되는 기단부(534b)와, 기단부(534b)로부터 압축 스프링(533)을 따라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링크(536)와 좌우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이 호(弧) 모양으로 형성된 걸림부(534c)와, 차단기 본체(1)에 접촉하여 차단기 본체(1)로부터 밀리는 접촉부(534d)를 가진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로드(534)는, 압축 스프링(533)에 의해서 기단부(534b)가 전방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기단부(534b)가 하우징부(530)에 걸려져 있다. 차단기 본체(1)가 인출 프레임(3) 내에 수납되는 경우에, 압축 스프링(533)이 되밀어내는 힘에 저항하여, 로드(534)의 접촉부(534d)가 차단기 본체(1)에 의해서 후방으로 밀려, 로드(534)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링크(536)는, L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모서리부가 유닛 베이스(531)의 축부(531b)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링크(536)는, 축부(531b)가 삽입되는 개구(536a)와, 코일 스프링(535)의 타단에 의해서 가압되고, 로드(534)의 걸림부(534c)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제1 암부(536b)와, 선단(536d)이 하우징부(530)의 개구(530a)로부터 돌출되어 가동 셔터(521)의 개구(521g)에 삽입되는 제2 암부(536c)를 가진다.
로드(534)가 차단기 본체(1)에 의해서 후방으로 이동된 경우, 제1 암부(536b)의 선단이 로드(534)의 걸림부(534c)에 의해서 후방으로 밀린다. 걸림부(534c)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1 암부(536b)가 평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제2 암부(536c)가 축부(531b)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평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암부(536c)의 선단(536d)이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제2 암부(536c)의 선단(536d)은, 가동 셔터(521)의 개구(521g)와 걸려져 있다. 그 때문에, 선단(536d)의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가동 셔터(521)가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셔터 구동 유닛(53)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가동 셔터(521)가 해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로드를 유지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도 1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셔터 구동 유닛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셔터 구동 유닛의 로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1에 나타내는 유닛 베이스에 로드 및 링크를 장착한 상태의 셔터 구동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에 나타내는 XV-X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셔터 구동 유닛(53)은, 유닛 베이스(531)의 일부의 형상, 및 로드(534)의 형상의 일부가, 도 9에 나타내는 셔터 구동 유닛(53)과 다르다. 로드(534)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부(534b)의 하부로부터 하부로 돌출되는 돌기부(534e)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유닛 베이스(531)는,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드(534)에 마련된 돌기부(534e)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531c)과, 좌측 방향에서 가이드 홈(531c)에 연속되는 오목부(531d)를 가진다. 오목부(531d)는, 후방으로의 로드(534)의 이동에 따라서 돌기부(534e)를 가이드 홈(531c)에 가이드하는 경사부(531e)를 가진다.
차단기 본체(1)가 인출 프레임(3) 내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경우,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드(534)의 연신부(534a)는, 미도시의 압축 스프링(533)에 의한 가압에 의해서 전방으로 인출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차단기 본체(1)를 인출 프레임(3)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면, 로드(534)는, 돌기부(534e)가 가이드 홈(531c)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고, 도 14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 셔터(521)는 차단 위치로부터 해방 위치로 이동된다.
또, 차단기 본체(1)가 인출 프레임(3) 내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로드(534)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돌기부(534e)가 오목부(531d)와 대향하는 위치가 되었을 때에 로드(534)를 회전시키면, 돌기부(534e)가 오목부(531d)에 진입한다. 이 상태에서, 로드(534)를 후방으로 미는 힘을 없애면, 돌기부(534e)가 오목부(531d)에 의해서 걸려진다. 돌기부(534e)가 오목부(531d)와 대향하는 위치가 되기까지, 가동 셔터(521)는 차단 위치로부터 해방 위치로 이동되기 때문에, 가동 셔터(521)를 해방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수 점검시에 전원 측의 가동 셔터(521)와 부하 측의 가동 셔터(521)를 개별로 또는 동시에 해방 위치로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단자 장치(2) 내의 전원 측의 회로와 부하 측의 회로를 개별로 또는 동시에 점검할 수 있다. 또, 로드(534)의 기단부(534b)는 연신부(534a)를 축 중심으로 하여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로드(534)를 회전시켜도 로드(534)의 기단부(534b)는 제1 암부(536b)와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고, 이것에 의해, 로드(534)로부터 링크(536)로 가해지는 힘이 너무 커져서 링크(536)가 좌굴(座屈)하는 등의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돌기부(534e)가 오목부(531d)에 의해서 걸려진 상태에서, 차단기 본체(1)를 인출 프레임(3)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면, 차단기 본체(1)에 의해서 로드(534)가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 오목부(531d)로 이동시킨 돌기부(534e)는, 오목부(531d)의 경사부(531e)를 슬라이딩하면서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 회전하기 때문에, 차단기 본체(1)가 인출 프레임(3)에 수납된 상태가 되기까지, 회전시킨 로드(534)의 자세가 원래대로 되돌아가, 돌기부(534e)와 오목부(531d)와의 걸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그 후에 차단기 본체(1)가 인출 프레임(3)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로드(534)가 압축 스프링(533)에 의해서 이동된다. 이 때, 돌기부(534e)는 가이드 홈(531c)으로 되돌아간 상태이기 때문에, 가이드 홈(531c)을 따라서 이동해 가, 돌기부(534e)가 오목부(531d)보다도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가동 셔터(521)의 위치가 해방 위치대로 되지 않는다.
도 1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차단기 본체가 인출 프레임 내에 수납된 상태의 인출형 차단기의 일부 단면도이며, 도 17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차단기 본체가 인출 프레임 내로부터 인출된 상태의 인출형 차단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또, 도 16 및 도 17에서는, 인출 프레임(3) 및 인출 레일(4)은 생략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1)가 인출 프레임(3)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차단기 측 도체(11-1)가 제2 고정 셔터(512)의 개구(512a)를 통해서 단자 장치(2)의 단자 수납부(215)에 삽입되어 있다. 단자 수납부(215)에서, 차단기 측 도체(11-1)는,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1)의 커넥터(223)에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차단기 측 도체(11-2)는, 제1 고정 셔터(511)의 개구(511a)를 통해서 단자 장치(2)의 단자 수납부(215)에 삽입되고,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2)의 커넥터(223)에 접속된다. 차단기 측 도체(11-3)는, 제2 고정 셔터(512)의 개구(512a)를 통해서 단자 장치(2)의 단자 수납부(215)에 삽입되고,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3)의 커넥터(223)에 접속된다. 차단기 본체(1)가 인출 프레임(3)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로드(534)는, 셔터 구동 유닛(53)에 밀어넣어져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형 차단기(100)는, 도 16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차단기 본체(1)가 인출 프레임(3) 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면, 차단기 본체(1)의 유닛 수납부(217)에 밀어넣어져 있던 로드(534)가 도 10에 나타내는 압축 스프링(533)의 신장력에 의해서 전방으로 밀린다. 그 때문에, 차단기 측 도체(11-1, 11-2, 11-3)가 개구(511a, 512a)를 통과한 후에, 셔터 구동 유닛(53)의 제2 암부(536c)의 선단(536d)이 가동 셔터(521)를 폐색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개구(511a, 512a)가 폐색판부(521a, 521b, 521c)에 의해서 폐색된다.
다음으로, 절연 베이스(21)의 구성, 고정 셔터부(51)의 구성, 및 절연 베이스(21)와 고정 셔터부(51)와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절연 베이스(21)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8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9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베이스(21)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절연 베이스(21)는, 상벽부인 벽부(211)와, 저벽부인 벽부(212)와, 왼쪽의 측벽부인 벽부(213)와, 오른쪽의 측벽부인 벽부(214)를 가진다. 벽부(211, 212, 213, 214)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에, 단자 수납부(215, 216)와, 2개의 유닛 수납부(217)가 형성된다. 2개의 유닛 수납부(217) 각각은, 상술한 셔터 구동 유닛(53)이 수납되는 공간이며, 단자 수납부(215)와 단자 수납부(216)와의 사이에 형성된다.
벽부(211)는, 가동 셔터(521)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면(211a)과, 슬라이딩 면(211a)의 전방에 배치되어 하부로 돌출되는 가이드부(211b)를 가진다. 가이드부(211b)에 의해서, 가동 셔터(521)가 슬라이딩 면(211a)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억제된다.
벽부(212)는, 가동 셔터(521)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면(212a)과, 슬라이딩 면(212a)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가이드부(212b)를 가진다. 가이드부(212b)에 의해서, 가동 셔터(521)가 슬라이딩 면(212a)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억제된다.
벽부(213, 214)는, 슬라이딩 홈(213a, 214a)과, 스토퍼부(213b, 214b)를 가진다. 도 10에 나타내는 셔터 구동 유닛(53)의 복수의 볼록부(532a)는, 셔터 구동 유닛(53)이 유닛 수납부(217)에 삽입될 때에, 슬라이딩 홈(213a, 214a)을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내는 셔터 구동 유닛(53)의 복수의 볼록부(532b)가 스토퍼부(213b, 214b)에 닿음으로써, 셔터 구동 유닛(53)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 벽부(213, 214)는, 슬라이딩 면(213c, 214c)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슬라이딩 면(211a, 212a)과 슬라이딩 면(213c, 214c)을 2개의 가동 셔터(521)가 슬라이딩함으로써, 2개의 가동 셔터(521)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또, 벽부(213, 214)는, 슬라이딩 면(213c, 214c)보다도 전방으로 각각 돌출된 제1 돌출부(213d, 214d), 제2 돌출부(213e, 214e), 및 걸림부(213f, 214f)가 형성된다. 제2 돌출부(213e, 214e)는, 제1 돌출부(213d, 214d)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걸림부(213f, 214f)는, 제2 돌출부(213e, 214e)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돌출부(213d, 214d)의 전면은, 제1 고정 셔터(511)의 배면이 접촉하는 제1 셔터 장착면이며, 제2 돌출부(213e, 214e)의 전면은, 제2 고정 셔터(512)의 배면이 접촉하는 제2 셔터 장착면이다. 제1 돌출부(213d, 214d)의 전면과 슬라이딩 면(213c, 214c)과의 전후 방향의 간격은, 가동 셔터(521)의 전후 방향의 두께보다도 크다.
걸림부(213f)는, L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방으로 연신되는 제1 연신부(213f1)와, 제1 연신부(213f1)의 선단으로부터 좌측 방향을 향해서 연신되는 제2 연신부(213f2)를 가진다. 걸림부(214f)는, 전방으로 연신되는 제1 연신부(214f1)와, 제1 연신부(214f1)의 선단으로부터 우측 방향을 향해서 연신되는 제2 연신부(214f2)를 가진다.
이와 같이, 걸림부(213f, 214f)는, 선단이 좌우 방향이고 또한 차단기 본체(1)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 즉 선단이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부(213f, 214f)는, 전후 방향에서 대향하는 다른 부위가 없는 위치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고, 몰드 성형에 의해서 절연 베이스(21)를 일체 형성할 수 있다.
도 20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제1 고정 셔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고정 셔터(511)는, 차단기 측 도체(11)가 삽입되는 개구(511a)와, 차단기 측 도체(12)가 삽입되는 개구(511b)와, 로드(534)가 삽입되는 개구(511c)를 가진다. 또, 제1 고정 셔터(511)는, 제2 암부(536c)의 선단(536d)이 삽입되는 개구(511d)와, 제2 돌출부(213e, 214e)가 삽입되는 복수의 개구(511e, 511h)와, 걸림부(213f, 214f)가 삽입되는 복수의 개구(511f, 511i)와, 복수의 가이드부(211b, 212b)와 걸리는 2개의 오목부(511g)를 가진다. 또, 복수의 오목부(511g)는, 복수의 가이드부(211b, 212b)와 감합(嵌合)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걸릴 수 있는 형상이면 되며, 도 20에 나타내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제2 고정 셔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고정 셔터(512)는, 차단기 측 도체(11)가 삽입되는 개구(512a)와, 차단기 측 도체(12)가 삽입되는 개구(512b)와, 하부로 돌출되고, 걸림부(213f, 214f)와 걸리는 볼록 모양의 복수의 걸림부(512c, 512d)와, 복수의 가이드부(211b, 212b)와 걸리는 복수의 오목부(512e)를 가진다. 또, 복수의 오목부(512e)는, 복수의 가이드부(211b, 212b)와 걸릴 수 있는 형상이면 되며, 도 21에 나타내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제2 고정 셔터(512)는, 제1 연신부(213f1, 214f1)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되는 복수의 절결부(512f, 512g, 512h)를 가지고 있다. 절결부(512f)는, 좌측을 향해서 절결되어 있고, 절결부(512g, 512h)는, 우측을 향해서 절결되어 있다. 절결부(512f)는 상술한 걸림부(512c)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절결부(512g)는 상술한 걸림부(512d)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절결부(512h)는, 절결부(512g)의 하부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절연 베이스(21)로의 고정 셔터부(51) 및 가동 셔터부(52)의 장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로 셔터 구동 유닛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로 가동 셔터부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로 제1 고정 셔터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로 제2 고정 셔터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셔터 장치가 장착된 단자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나타내는 XXII-XX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 도 22, 도 23, 도 24, 도 25, 도 26, 및 도 27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절연 베이스(21)에는,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 및 인출 프레임 측 도체(23)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먼저,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단자 유닛(20-1, 20-2, 20-3)이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다음으로, 3개의 단자 유닛(20-1, 20-2, 20-3) 중 한가운데의 단자 유닛(20-2)의 절연 베이스(21)에 형성된 2개의 유닛 수납부(217)에, 2개의 셔터 구동 유닛(53)이 삽입된다. 또, 2개의 셔터 구동 유닛(53)은, 서로 상하 좌우가 반전된 상태에서 2개의 유닛 수납부(217)에 삽입된다.
계속하여,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가동 셔터(521)가 단자 유닛(20-1, 20-2, 20-3)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가동 셔터(521)의 일방은, 상측의 슬라이딩 면(211a, 213c, 214c)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개구(521g)에 상측의 셔터 구동 유닛(53)에서의 제2 암부(536c)의 선단(536d)이 삽입된다. 또, 타방의 가동 셔터(521)는, 하측의 슬라이딩 면(212a, 213c, 214c)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개구(521g)에 하측의 셔터 구동 유닛(53)에서의 제2 암부(536c)의 선단(536d)이 삽입된다.
또, 일방의 가동 셔터(521)는, 슬라이딩 면(211a)과 가이드부(211b)와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단자 유닛(20)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 타방의 가동 셔터(521)는, 슬라이딩 면(212a)과 가이드부(212b)와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단자 유닛(20)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계속하여,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유닛(20-2)의 절연 베이스(21)에 제1 고정 셔터(511)가 장착된다. 도 24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제1 고정 셔터(511)의 상하의 오목부(511g)는, 단자 유닛(20-2)의 절연 베이스(21)의 가이드부(211b, 212b)에 끼워넣어진다.
게다가, 제1 고정 셔터(511)의 개구(511h)에, 단자 유닛(20-1)의 제2 돌출부(213e)와 단자 유닛(20-2)의 제2 돌출부(214e)가 끼워넣어진다. 제1 고정 셔터(511)의 개구(511e)에, 단자 유닛(20-2)의 제2 돌출부(213e)와 단자 유닛(20-3)의 제2 돌출부(214e)가 끼워넣어진다. 제1 고정 셔터(511)의 개구(511i)에, 단자 유닛(20-1)의 걸림부(213f)와 단자 유닛(20-2)의 걸림부(214f)가 끼워넣어지고, 제1 고정 셔터(511)의 개구(511f)에, 단자 유닛(20-2)의 걸림부(213f)와 단자 유닛(20-3)의 걸림부(214f)가 끼워넣어진다.
이와 같이, 제1 고정 셔터(511)가 단자 유닛(20-1, 20-2, 20-3)에 감합된다. 그 때문에, 제1 고정 셔터(511)를 단자 유닛(20-2)에 장착하면서, 제1 고정 셔터(511)에 의해 3개의 단자 유닛(20-1, 20-2, 20-3)을 연결할 수 있다. 또, 도 24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2개의 셔터 구동 유닛(53)의 상술한 로드(534)는, 제1 고정 셔터(511)의 상술한 개구(511c)로부터 돌출된 상태이다.
계속하여, 도 25 및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고정 셔터(511)가 장착된 상태의 각 단자 유닛(20-1, 20-3)에 제2 고정 셔터(512)가 장착된다. 도 25 및 도 27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제2 고정 셔터(512)의 각 걸림부(512c)는, 인접하는 2개의 단자 유닛(20)의 걸림부(213f, 214f)에 걸리고, 제2 고정 셔터(512)의 걸림부(512d)는, 단자 유닛(20)의 걸림부(213f, 214f) 중 어느 하나에 걸려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고정 셔터(512)의 걸림부(512c)는, 인접하는 2개의 단자 유닛(20)의 걸림부(213f, 214f)와 제1 고정 셔터(511)의 전면과의 사이에 삽입된다. 그 때문에, 제2 고정 셔터(512)의 걸림부(512c)는, 걸림부(213f, 214f)의 제2 연신부(213f2, 214f2)의 배면과 제1 고정 셔터(511)의 전면 사이에 끼워 지지된다.
또, 제2 고정 셔터(512)의 걸림부(512d)는, 제2 돌출부(213e)의 전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걸림부(213f)의 제2 연신부(213f2)의 배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또는 제2 돌출부(214e)의 전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걸림부(214f)의 제2 연신부(214f2)의 배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제2 고정 셔터(512)의 걸림부(512d)는, 걸림부(213f, 214f) 중 어느 하나와 걸린다.
또, 제2 고정 셔터(512)의 절결부(512f, 512g)에는, 제1 연신부(213f1, 214f1)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되어 걸림부(213f, 214f) 중 적어도 하나와 걸린다. 절결부(512f)는, 걸림부(512c)의 좌우 및 하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512f) 중 걸림부(512c)의 하부에 위치하는 영역에 제1 연신부(213f1, 214f1)가 삽입되고, 또한, 절결부(512g)에 제1 연신부(213f1, 214f1) 중 적어도 일방이 삽입된다. 그 후, 제2 고정 셔터(512)를 하부로 이동시킴으로써, 걸림부(213f, 214f) 중 적어도 하나가 절결부(512f, 512g)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부(213f, 214f) 중 적어도 하나가 절결부(512f, 512g)와 걸리고, 또한 걸림부(512c, 512d)가 걸림부(213f, 214f)와 걸린다. 마찬가지로, 제2 고정 셔터(512)의 절결부(512h)에는, 제1 연신부(213f1, 214f1)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되어 걸림부(213f, 214f) 중 적어도 하나와 걸린다.
제1 고정 셔터(511)의 판 두께는, 제1 돌출부(213d, 214d)의 전면과 제2 돌출부(213e, 214e)의 전면과의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 때문에, 제2 고정 셔터(512)의 배면은, 제1 고정 셔터(511)의 전면과 제2 돌출부(213e)의 전면에 맞닿아 밀리게 된다. 또, 제2 고정 셔터(512)의 걸림부(512d)는, 걸림부(213f)의 제2 연신부(213f2)의 배면 또는 걸림부(214f)의 제2 연신부(214f2)의 배면에 맞닿아 밀리게 된다.
이와 같이, 2개의 제2 고정 셔터(512)는, 일부가 제1 고정 셔터(511)의 일부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제1 고정 셔터(511)가 장착된 단자 유닛(20)에 장착된다. 그 때문에, 제1 고정 셔터(511)는, 단자 유닛(20)과 제2 고정 셔터(512)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단자 유닛(20)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예에서는, 인출형 차단기(100)에서, 절연 베이스(21)에 제2 돌출부(213e, 214e)를 마련했지만, 인출형 차단기(100)는, 절연 베이스(21)에 제2 돌출부(213e, 214e)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이라도 괜찮다. 이 경우, 고정 셔터부(51)의 구성도 일부 다르다. 도 28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9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고정 셔터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에 나타내는 절연 베이스로 도 29에 나타내는 고정 셔터부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8에 나타내는 절연 베이스(21)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제2 돌출부(213e, 214e)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 제1 돌출부(213d, 214d)의 전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걸림부(213f, 214f)의 제2 연신부(213f2, 214f2)의 이면과의 간격은, 제1 고정 셔터(511) 및 제2 고정 셔터(512) 각각의 판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29에 나타내는 제1 고정 셔터(511)는, 도 20에 나타내는 개구(511e, 511f, 511h, 511i)를 대신하여, 하부로 돌출되는 볼록 모양의 걸림부(511k)를 가진다. 또, 도 29에 나타내는 제2 고정 셔터(512)는, 도 21에 나타내는 걸림부(512c)를 대신하여, 하부로 돌출되는 볼록 모양의 걸림부(512i)를 가진다. 걸림부(511k, 512i)는, 걸림부(213f, 214f)의 제1 연신부(213f1, 214f1)가 삽입되는 절결부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걸림부(512i)의 폭은, 걸림부(512c)의 폭보다도 작다. 또, 제1 고정 셔터(511) 및 제2 고정 셔터(512) 각각의 폭은, 절연 베이스(21)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 여기서의 「폭」은, 좌우 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유닛(20-2)의 절연 베이스(21)에 마련된 걸림부(213f, 214f)와 도 29에 나타내는 제1 고정 셔터(511)의 복수의 걸림부(511k)가 걸린다. 또, 단자 유닛(20-1)의 절연 베이스(21)에 마련된 걸림부(213f)와 도 29에 나타내는 제2 고정 셔터(512)의 걸림부(512i)가 걸린다. 또, 단자 유닛(20-3)의 절연 베이스(21)에 마련된 걸림부(214f)와 도 29에 나타내는 제2 고정 셔터(512)의 걸림부(512i)가 걸린다. 이와 같이, 인출형 차단기(100)는, 절연 베이스(21)에 제2 돌출부(213e, 214e)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 차단기 본체(1)는, 하나의 단자 유닛(20)을 가지고, 단상(單相) 회로의 전기회로의 개방 동작 및 폐쇄 동작을 행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출형 차단기(100)는, 차단기 본체(1)와, 단자 장치(2)와, 인출 프레임(3)과, 셔터 장치(5)를 구비한다. 단자 장치(2)는, 전원 측 도체 및 부하 측 도체에 접속되는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 23)와,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 23)가 삽입되는 절연 베이스(21)를 포함하는 단자 유닛(20)을 복수 가지고, 인출 프레임(3) 내에 배치된다. 차단기 본체(1)는, 인출 프레임(3)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 23)와 접속되는 복수의 차단기 측 도체(11, 12)를 가지고, 인출 프레임(3) 내로부터의 인출이 가능하다. 셔터 장치(5)는, 제1 고정 셔터(511)와, 제2 고정 셔터(512)와, 가동 셔터(521)를 가진다. 제1 고정 셔터(511)는, 차단기 본체(1)의 인출 프레임(3) 내로의 수납시에 복수의 차단기 측 도체(11, 12)가 삽입되는 복수의 개구(511a, 511b)를 가진다. 제2 고정 셔터(512)는, 차단기 본체(1)의 인출 프레임(3) 내로의 수납시에 복수의 차단기 측 도체(11, 12)가 삽입되는 복수의 개구(512a, 512b)를 가진다. 가동 셔터(521)는, 차단기 본체(1)가 인출 프레임(3) 내로부터 인출된 경우에 복수의 개구(511a, 512a) 또는 복수의 개구(511b, 512b)를 막는다. 복수의 절연 베이스(21)는, 차단기 본체(1)가 인출되는 방향인 인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복수의 절연 베이스(21) 각각은, 인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벽부(213, 214)를 구비한다. 한 쌍의 벽부(213, 214) 각각은, 제1 고정 셔터(511) 및 제2 고정 셔터(512) 중 적어도 하나와 걸리는 걸림부(213f, 214f)를 구비한다. 걸림부(213f, 214f) 각각은, 인출 방향으로 연신되는 제1 연신부(213f1, 214f1)와, 제1 연신부(213f1, 214f1)의 선단으로부터, 인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서 연신되는 제2 연신부(213f2, 214f2)를 가진다. 한 쌍의 벽부(213, 214) 중 일방의 제2 연신부(213f2)와 타방의 제2 연신부(214f2)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신된다. 걸림부(213f, 214f)는, 선단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신되기 때문에, 걸림부(213f, 214f)를 전후 방향에서 대향하는 다른 부위가 없는 위치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고, 몰드 성형에 의해서 절연 베이스(21)를 일체 형성할 수 있다.
또, 제1 고정 셔터(511)는, 제1 연신부(213f1, 214f1)가 삽입되는 개구(511f, 511i)를 가진다. 개구(511f, 511i)는, 제1 개구의 일 예이다. 제2 고정 셔터(512)는, 제1 연신부(213f1, 214f1)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되는 절결부(512f, 512g)와, 하부로 돌출되고, 제1 고정 셔터(511)의 개구(511f, 511i)에 제1 연신부(213f1, 214f1)가 삽입된 상태의 걸림부(213f, 214f)의 제2 연신부(213f2, 214f2)와 걸리는 걸림부(512c, 512d)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제2 고정 셔터(512)는, 일부가 제1 고정 셔터(511)의 일부와 서로 겹친 상태에서, 제1 고정 셔터(511)가 장착된 단자 장치(2)에 장착된다. 그 때문에, 제1 고정 셔터(511)는, 단자 장치(2)와 제2 고정 셔터(512)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단자 장치(2)로부터 제1 고정 셔터(511)가 탈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걸림부(512c, 512d)는, 셔터 측 걸림부의 일 예이다.
또, 한 쌍의 벽부(213, 214) 각각은, 인출 방향으로 연신되는 제2 돌출부(213e, 214e)를 가진다. 제1 고정 셔터(511)는, 제2 돌출부(213e, 214e)가 삽입되는 개구(511e)를 가진다. 개구(511e)는, 제2 개구의 일 예이다. 제2 고정 셔터(512)는, 차단기 본체(1)와 대향하는 면과 반대의 면에서 제2 돌출부(213e, 214e)의 전면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제2 돌출부(213e, 214e)에 제1 고정 셔터(511)와 걸리면서, 제2 돌출부(213e, 214e)의 전면에 제2 고정 셔터(512)를 맞닿게 누른 상태에서 제2 고정 셔터(512)를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 고정 셔터(511) 및 제2 고정 셔터(512)를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단자 장치(2)에 장착할 수 있다.
또, 개구(511e)에는, 복수의 절연 베이스(21) 중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절연 베이스(21) 각각의 제2 돌출부(213e, 214e)가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제1 고정 셔터(511)를 복수의 절연 베이스(21)에 걸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복수의 절연 베이스(21) 사이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 고정 셔터(511)는 제2 고정 셔터(512)는, 서로의 일부가 오버랩 된 상태에서 단자 장치(2)에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제1 고정 셔터(511) 및 제2 고정 셔터(512)를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단자 장치(2)에 장착할 수 있다.
또, 셔터 장치(5)는, 차단기 본체(1)의 인출 프레임(3)으로부터의 인출에 연동하여 가동 셔터(521)를 이동시키는 셔터 구동 유닛(53)을 구비한다. 셔터 구동 유닛(53)은, 복수의 절연 베이스(21) 중 하나의 절연 베이스(21)의 내부에서의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 23) 사이에 배치된다.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 23) 사이에 셔터 구동 유닛(53)이 배치되기 때문에, 절연 베이스(21)의 폭 및 인출형 차단기(100)의 폭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절연 베이스(21)에서의 상하 방향의 중앙에 셔터 구동 유닛(53)이 배치된다. 그 때문에, 차단기 본체(1)가 비틀어져 인출 프레임(3)에 수납되는 경우라도,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의 상부과 인출 프레임 측 도체(23)의 하부에 각각 셔터 구동 유닛(53)이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가동 셔터(521)를 정밀도 좋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셔터 구동 유닛(53)이 단자 유닛(20-1, 20-3)에 배치된 경우, 셔터 구동 유닛(53)이 좌우로 떨어져 배치되게 되고, 차단기 본체(1)가 좌우로 비틀어져 삽입되면, 일방의 셔터 구동 유닛(53)은 빨리 구동되고, 타방의 셔터 구동 유닛(53)은 늦게 구동되게 되며, 늦게 구동되는 가동 셔터(521)가 차단기 측 도체(11) 또는 차단기 측 도체(12)가 부딪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셔터 구동 유닛(53)을 복수의 절연 베이스(21) 중 중앙의 절연 베이스(21)에 배치함으로써, 차단기 본체(1)가 좌우로 비틀어진 상태에서 인출 프레임(3)에 수납되는 경우라도, 가동 셔터(521)를 정밀도 좋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셔터 구동 유닛(53)은, 인출 방향으로 가압된 로드(534)와, 링크(536)를 가진다. 링크(536)는, 인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로드(534)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하여 가동 셔터(521)를 복수의 개구(511a, 511b, 512a, 512b)를 막는 차단 위치로부터 복수의 개구(511a, 511b, 512a, 512b)를 노출시키는 해방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셔터 구동 유닛(53)은, 비교적 작은 힘에 의해 가동 셔터(52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셔터 구동 유닛(53)은, 링크(536)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인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의 로드(534)의 이동에 따라서 로드(534)가 삽입되는 유닛 베이스(531)를 구비한다. 유닛 베이스(531)는, 가동 셔터(521)가 해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로드(534)를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수 점검시에 전원 측의 회로와 부하 측의 회로를 개별로 또는 동시에 가동 셔터(521)를 해방 위치로 하여 단자 장치(2) 내를 점검할 수 있다.
또, 로드(534)는, 인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하부로 돌출되는 돌기부(534e)를 구비한다. 셔터 구동 유닛(53)은, 돌기부(534e)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531c)과, 인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가이드 홈(531c)에 연속하여, 돌기부(534e)를 걸리게 하는 오목부(531d)를 가진다. 이것에 의해, 용이하게 가동 셔터(521)를 해방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또, 오목부(531d)는, 인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로드(534)의 이동에 따라서 돌기부(534e)를 가이드 홈(531c)으로 진입시키는 경사부(531e)를 가진다. 이것에 의해, 차단기 본체(1)를 인출 프레임(3)으로 수납하는 것에 의해서, 돌기부(534e)를 가이드 홈(531c)으로 되돌릴 수 있고, 가동 셔터(521)의 위치가 해방 위치에서 유지되는 것을 용이하게 회피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2에 관한 인출형 차단기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출형 차단기(100)와, 단자 유닛(20)의 수와 고정 셔터부의 구성이 다르다. 이하에서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의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실시 형태 1의 인출형 차단기(100)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1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단자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2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단자 장치에 셔터 장치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2에 관한 단자 장치(2A)는, 서로 동일 구성을 가지는 4개의 단자 유닛(20-1, 20-2, 20-3, 20-4)을 구비한다. 또, 셔터 장치(5A)는, 고정 셔터부(51A)와, 가동 셔터부(52A)와, 2개의 셔터 구동 유닛(53)을 구비한다.
가동 셔터부(52A)는, 2개의 가동 셔터(521A)를 가지고 있다. 가동 셔터(521A)는, 폐색판부가 4개 있는 점에서, 3개의 폐색판부(521a, 521b, 521c)를 가지는 가동 셔터(521)와 다르다.
고정 셔터부(51A)는, 제1 고정 셔터(511)와, 제2 고정 셔터(512)와, 제3 고정 셔터(513)와, 보조 패널(514)을 구비한다. 제1 고정 셔터(511)는, 단자 유닛(20-2)에 장착된다. 제2 고정 셔터(512)는, 단자 유닛(20-1)에 장착된다. 제3 고정 셔터(513)는, 2개의 단자 유닛(20-3, 20-4)에 장착된다. 또, 보조 패널(514)은, 단자 유닛(20-3)의 벽부(213)와 단자 유닛(20-4)의 벽부(214)에 장착된다.
도 33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제3 고정 셔터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4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보조 패널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고정 셔터(513)는, 차단기 측 도체(11)가 삽입되는 개구(513a)와, 차단기 측 도체(12)가 삽입되는 개구(513b)와, 하부로 돌출되고, 걸림부(213f, 214f) 중 적어도 하나와 걸리는 볼록 모양의 복수의 걸림부(513c, 513d, 513i)와, 복수의 가이드부(211b, 212b)와 걸리는 복수의 오목부(513e)를 가진다.
또, 제3 고정 셔터(513)는, 제1 연신부(213f1, 214f1)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되는 복수의 절결부(513f, 513g, 513h)와 제1 연신부(213f1, 214f1)가 삽입되는 개구(513j)를 가지고 있다. 절결부(513f, 513g, 513h)는, 상술한 절결부(512f, 512g, 512h)와 동일한 구성이다. 개구(513j)는 걸림부(513i)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3 고정 셔터(513)의 장착 공정에서는, 개구(513j) 중 걸림부(513i)의 하부에 위치하는 영역에 제1 연신부(213f1, 214f1)를 삽입하고, 그 후, 제3 고정 셔터(513)를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걸림부(213f, 214f)가 개구(513j)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부(213f, 214f)가 개구(513j) 및 걸림부(513i)와 걸린다.
제3 고정 셔터(513)의 걸림부(513c, 513d, 513i)는, 제2 고정 셔터(512)의 걸림부(512c, 512d)와 동일하게 기능한다. 또, 제3 고정 셔터(513)의 오목부(513e)는, 제2 고정 셔터(512)의 오목부(512e)와 동일하게 기능한다. 따라서, 제3 고정 셔터(513)는, 일부가 제1 고정 셔터(511)의 일부와 서로 겹친 상태에서, 제1 고정 셔터(511)가 장착된 단자 유닛(20-2, 20-3, 20-4)에 장착된다.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패널(514)은, 복수의 개구(514a)와, 복수의 개구(514b)를 가진다. 복수의 개구(514a)에는, 단자 유닛(20-3)의 제2 돌출부(213e)와 단자 유닛(20-4)의 제2 돌출부(214e)가 삽입된다. 또, 복수의 개구(514b)에는, 단자 유닛(20-3)의 걸림부(213f)와 단자 유닛(20-4)의 걸림부(214f)가 삽입된다. 보조 패널(514)은, 제3 고정 셔터(513)와 단자 유닛(20-3, 20-4)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3 고정 셔터(513)의 배면은, 제2 돌출부(213e, 214e)의 전면에 더하여, 보조 패널(514)의 전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제3 고정 셔터(513)를 안정적으로 단자 장치(2A)에 장착할 수 있다. 또, 셔터 장치(5A)는, 보조 패널(514)을 마련하지 않는 구성이라도 괜찮다.
이와 같이, 극수(極數)가 증가하여 4극 이상이 된 경우라도,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출형 차단기(100)와 동일한 원리로, 고정 셔터부(51A)를 단자 장치(2A)에 장착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차단기 본체 2, 2A : 단자 장치
3 : 인출 프레임 4 : 인출 레일
5, 5A : 셔터 장치 10 : 하우징
10a : 전면부
11, 11-1, 11-2, 11-3, 12, 12-1, 12-2, 12-3 : 차단기 측 도체
20, 20-1, 20-2, 20-3, 20-4 : 단자 유닛
21 : 절연 베이스
22, 22-1, 22-2, 22-3, 23, 23-1, 23-2, 23-3 : 인출 프레임 측 도체
24 : 볼트 25 : 나사
31, 32 : 측판 33, 34 : 유지판
41, 42 : 레일 부재 51, 51A : 고정 셔터부
52, 52A : 가동 셔터부 53 : 셔터 구동 유닛
100 : 인출형 차단기 211, 212, 213, 214 : 벽부
211a, 212a, 213c, 214c : 슬라이딩 면
211b, 212b : 가이드부 213a, 214a : 슬라이딩 홈
213b, 214b : 스토퍼부 213d, 214d : 제1 돌출부
213e, 214e : 제2 돌출부
213f, 214f, 512c, 512d, 511 k, 512 i, 513c, 513d, 513i, 534c : 걸림부
213f1, 214f1 : 제1 연신부 213f2, 214f2 : 제2 연신부
215, 216 : 단자 수납부 217 : 유닛 수납부
219 : 나사 구멍 221, 231 : 단자 도체
221a, 222a : 저부 221b : 단자부
222, 232 : 중계 단자 도체 222b : 선단부
223, 233 : 커넥터 223a, 223b : 홈부
511 : 제1 고정 셔터
511a, 511b, 511c, 511d, 511e, 511f, 511h, 511i, 512A, 512b, 513a, 513b, 513j, 514a, 514b, 521g, 536a : 개구
511g, 512e, 513e, 531d : 오목부
512 : 제2 고정 셔터
512f, 512g, 512h, 513f, 513g, 513h : 절결부
513 : 제3 고정 셔터 514 : 보조 패널
521, 521A : 가동 셔터 521a, 521b, 521c : 폐색판부
521d, 521e : 연결부 521f, 532a, 532b : 볼록부
530 : 하우징부 531 : 유닛 베이스
531a : 슬라이딩 홈 531b : 축부
531c : 가이드 홈 531e : 경사부
532 : 유닛 커버 533 : 압축 스프링
534 : 로드 534a : 연신부
534b : 기단부 534d : 접촉부
534e : 돌기부 535 : 코일 스프링
536 : 링크 536b : 제1 암부
536c : 제2 암부 536d : 선단

Claims (9)

  1. 인출 프레임과,
    전원 측 도체 및 부하 측 도체에 접속되는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와,
    상기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가 삽입되는 절연 베이스를 포함하는 단자 유닛을 복수 가지고, 상기 인출 프레임 내에 배치되는 단자 장치와,
    상기 인출 프레임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와 접속되는 복수의 차단기 측 도체를 가지고, 상기 인출 프레임 내로부터의 인출이 가능한 차단기 본체와,
    상기 차단기 본체의 상기 인출 프레임 내로의 수납시에 상기 복수의 차단기 측 도체가 삽입되는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복수의 고정 셔터와, 상기 차단기 본체가 상기 인출 프레임 내로부터 인출된 경우에 상기 복수의 개구를 막는 가동 셔터를 가지는 셔터 장치를 구비하며,
    복수의 상기 절연 베이스는, 상기 차단기 본체가 인출되는 방향인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절연 베이스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벽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벽부 각각은,
    상기 고정 셔터와 걸리는 걸림부를 가지고,
    복수의 상기 걸림부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신(延伸)되는 제1 연신부와, 상기 제1 연신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신되는 제2 연신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벽부 중 일방의 상기 제2 연신부와 타방의 상기 제2 연신부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 셔터는, 제1 고정 셔터와, 제2 고정 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 셔터는,
    상기 걸림부의 상기 제1 연신부가 삽입되는 제1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 셔터는,
    상기 걸림부의 상기 제1 연신부가 삽입되는 절결부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각각에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고정 셔터의 제1 개구에 상기 제1 연신부가 삽입된 상태의 상기 걸림부의 상기 제2 연신부와 걸리는 셔터 측 걸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벽부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신되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제1 고정 셔터는,
    상기 절연 베이스의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2 개구를 가지고,
    상기 제2 고정 셔터는,
    상기 차단기 본체와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의 면에서 상기 돌출부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에는,
    상기 복수의 절연 베이스 중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절연 베이스의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장치는,
    상기 차단기 본체의 상기 인출 프레임으로부터의 인출에 연동하여 상기 가동 셔터를 이동시키는 셔터 구동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셔터 구동 유닛은,
    상기 복수의 절연 베이스 중 하나의 절연 베이스의 내부에서의 상기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셔터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압된 로드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상기 로드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하여 상기 가동 셔터를 상기 복수의 개구를 막는 차단 위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개구를 노출시키는 해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링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셔터 구동 유닛은,
    상기 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의 상기 로드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로드가 삽입되는 유닛 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유닛 베이스는,
    상기 가동 셔터가 상기 해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로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셔터 구동 유닛은,
    상기 돌기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과,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가이드 홈에 연속하고, 상기 돌기부를 걸리게 하는 오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상기 로드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돌기부를 상기 가이드 홈으로 진입시키는 경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
KR1020207024719A 2018-03-07 2018-03-07 인출형 차단기 KR102357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08796 WO2019171500A1 (ja) 2018-03-07 2018-03-07 引出形遮断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799A KR20200110799A (ko) 2020-09-25
KR102357014B1 true KR102357014B1 (ko) 2022-02-08

Family

ID=67846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719A KR102357014B1 (ko) 2018-03-07 2018-03-07 인출형 차단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43294B2 (ko)
KR (1) KR102357014B1 (ko)
CN (1) CN111801862B (ko)
TW (1) TWI699058B (ko)
WO (1) WO201917150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9124A (ja) 2006-02-02 2007-08-16 Terasaki Electric Co Ltd 引出形回路遮断器のシャッ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44664A1 (de) * 1985-12-13 1987-06-19 Siemens Ag Einschubrahmen mit einer fahrschiene fuer ein elektrisches schaltgeraet
JP2755049B2 (ja) * 1992-06-30 1998-05-20 三菱電機株式会社 引出形遮断器の安全シャッター装置
CN2199617Y (zh) * 1994-08-18 1995-05-31 浙江省鄞县电器开关厂 高压开关柜的绝缘隔板
JP4074038B2 (ja) * 1999-11-10 2008-04-09 三菱電機株式会社 遮断器の挿入/引出し装置
KR100463604B1 (ko) * 2002-05-22 2004-12-29 엘지산전 주식회사 인출형 기중차단기의 셔터 플레이트 결합구조
JP2005045970A (ja) * 2003-07-24 2005-02-17 Mitsubishi Electric Corp 引出形遮断器
JP4597816B2 (ja) * 2005-08-26 2010-12-15 三菱電機株式会社 引出形遮断器
JP4641978B2 (ja) * 2006-06-21 2011-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引出形遮断器
JP2008131818A (ja) * 2006-11-24 2008-06-05 Mitsubishi Electric Corp 引出形遮断器、及び引出形遮断器の引出ハンドル
KR20080079566A (ko) * 2007-02-27 2008-09-01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인출식 회로 차단 장치용 셔터 잠금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JP4925974B2 (ja) * 2007-08-28 2012-05-09 三菱電機株式会社 引出形回路遮断器、引出形回路遮断器の端子装置、及び端子装置の相間絶縁板
KR100924431B1 (ko) * 2007-12-13 2009-10-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크레들
JP5630380B2 (ja) * 2011-05-27 2014-11-26 三菱電機株式会社 引出形遮断器
EP3055909A1 (en) * 2013-10-10 2016-08-17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A withdrawable circuit breaker arrangement
US9312668B2 (en) * 2014-06-20 2016-04-12 Schneider Electric USA, Inc. Arc resistant shutters
CN206313347U (zh) * 2016-12-13 2017-07-07 东莞同济大学研究院 一种开关电器用抽屉座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9124A (ja) 2006-02-02 2007-08-16 Terasaki Electric Co Ltd 引出形回路遮断器のシャッ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171500A1 (ja) 2020-08-20
KR20200110799A (ko) 2020-09-25
TW201939834A (zh) 2019-10-01
CN111801862A (zh) 2020-10-20
CN111801862B (zh) 2022-04-05
WO2019171500A1 (ja) 2019-09-12
JP6843294B2 (ja) 2021-03-17
TWI699058B (zh) 2020-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5114A (en) Motor control center
CN105830192B (zh) 用于具有断开组件的马达控制中心(mcc)的箱斗组件和相关的mcc箱柜及方法
US20160036204A1 (en) Independent shutter system for rack-in breakers
US750086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4912599A (en) Bus-to-plug interlock
JPH0622418A (ja) 引出形遮断器の安全シャッター装置
US20010025773A1 (en) Draw out arrangement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s
US9882358B2 (en) Transportation device of withdrawal circuit breaker
KR102357014B1 (ko) 인출형 차단기
KR101443314B1 (ko)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BR102018068346B1 (pt) Quadro de distribuição elétrica de baixa tensão
US9252534B2 (en) Swing mount for terminal blocks
US3470422A (en) Electrical instrumentation and switchgear panels
WO2019116498A1 (ja) 引出形遮断器
WO1996024941A1 (en) Secondary disconnect assembly for high ampere-circuit breaker
EP3747097A1 (en) Electrical box adapted to be fixed to a busbar
KR101541294B1 (ko) 전동기 제어반
KR20120008368U (ko) 배선용 차단기용 부속 장치 단자대 취부 모듈
CN204632710U (zh) 保险模块
JP7420613B2 (ja) コントロールセンタのユニット引出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2018163795A (ja) ヒューズ付開閉器
KR810001471Y1 (ko) 폐쇄 배전반
JPH043522Y2 (ko)
JPH0127367Y2 (ko)
KR20090091049A (ko) 분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