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977B1 - 다목적 안전 지원 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안전 지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977B1
KR102356977B1 KR1020200090612A KR20200090612A KR102356977B1 KR 102356977 B1 KR102356977 B1 KR 102356977B1 KR 1020200090612 A KR1020200090612 A KR 1020200090612A KR 20200090612 A KR20200090612 A KR 20200090612A KR 102356977 B1 KR102356977 B1 KR 102356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afety support
support device
user terminal
pers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이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석 filed Critical 이원석
Priority to KR1020200090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62J50/22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electronic, e.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62J50/225Mounting arrangement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다목적 안전 지원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개인 이동 수단에 체결 가능한 체결부, 개인 이동 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으며 개인 이동 수단의 제한 속도가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연결되는 통신부, 및 개인 이동 수단의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며, 체결부는 개인 이동 수단에 체결되는 경우에 환형 구조로 변형되고, 개인 이동 수단에 체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직선형 구조로 변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이동 수단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개인 이동 수단의 운행 안전을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 이동 수단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자가 휴대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보행 안전을 지원할 수 있는 다목적 안전 지원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다목적 안전 지원 장치{Multi-purpose Safety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다목적 안전 지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 이동 수단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개인 이동 수단의 운행 안전을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 이동 수단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자가 휴대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보행 안전을 지원할 수 있는 다목적 안전 지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킥보드 등의 개인 이동 수단이 급속하게 보급됨에 따라 개인 이동 수단의 안전한 운행을 지원하는 기능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개인 이동 수단에는 사고 발생 감지 및 알림, 이동 경로 기록 등의 사용자의 운행 안전을 지원하는 기능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인 이동 수단에 별도로 설치되어 개인 이동 수단의 운행 안전을 지원하는 디지털 속도계 등의 안전 지원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 지원 장치는 개인 이동 수단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별도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 이동 수단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개인 이동 수단의 운행 안전을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 이동 수단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자가 휴대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보행 안전을 지원할 수 있는 다목적 안전 지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안전 지원 장치는, 개인 이동 수단에 체결 가능한 체결부; 상기 개인 이동 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으며 상기 개인 이동 수단의 제한 속도가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개인 이동 수단의 속도가 상기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부가 상기 개인 이동 수단에 체결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결부가 상기 개인 이동 수단에 체결된 상태인 경우에 개인 이동 수단의 운행 안전 지원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개인 이동 수단에 체결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 상기 안전 지원 장치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보행 안전 지원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개인 이동 수단에 체결되는 경우에 환형 구조로 변형되고, 상기 개인 이동 수단에 체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직선형 구조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개인 이동 수단에 체결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행 안전 지원 모드와 상기 보행 안전 지원 모드가 전환되는 경우에 상기 출력부는 모드 전환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이동 수단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개인 이동 수단의 운행 안전을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 이동 수단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자가 휴대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보행 안전을 지원할 수 있는 다목적 안전 지원 장치가 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원 장치의 개인 이동 수단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안전 지원 장치에서의 환형 구조의 체결부를 직선 형태로 변형시킴으로써 개인 이동 수단으로부터 안전 지원 장치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원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원 장치의 개인 이동 수단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원 장치(100)에 구비된 환형 구조의 체결부(120)를 킥보드, 자전거 등의 개인 이동 수단(10)의 손잡이 또는 원통형 몸체 부위에 결합함으로써 안전 지원 장치(100)를 개인 이동 수단(10)의 운행 안전을 지원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에서의 안전 지원 장치(100)에서의 환형 구조의 체결부(120)를 직선 형태로 변형시킴으로써 개인 이동 수단(10)으로부터 안전 지원 장치(100)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안전 지원 장치(100)에서의 환형 구조의 체결부(120)를 직선 형태로 변형시킴으로써 개인 이동 수단(10)으로부터 안전 지원 장치(100)를 분리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분리된 안전 지원 장치(100)를 사용자의 보행 안전을 지원받기 위한 목적으로 휴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서의 환형 구조의 체결부(120)는 도 2에서와 같이 직선형 구조로 변형된 상태에서 보행 중인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원 장치(100)에서의 체결부(120)는 환형 구조와 직선형 구조의 상호 변경이 용이할 수 있도록 소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안전 지원 장치(100)에 구비된 체결부(120)의 구조를 변경함에 따라 안전 지원 장치(100)의 주요 기능 및 동작 모드가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원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원 장치(100)는 감지부(110), 제어부(130), 통신부(150), 입력부(170), 출력부(180) 및 속도 측정부(190)를 포함한다.
먼저, 감지부(110)는 사용자에 의한 체결부(120)의 구조 변경 상태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감지부(110)는 체결부(120)의 안전 지원 장치(100)의 본체와의 연결 부위에 설치된 접촉식 스위치 모듈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 결과 도 1에서와 같이 체결부(120)가 환형 구조로 변형된 경우에 접촉식 스위치 모듈은 개방 상태를 형성하며, 도 2에서와 같이 체결부(120)가 직선형 구조로 변형된 경우에 접촉식 스위치 모듈은 단락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접촉식 스위칭 모듈의 개방 또는 단락 동작에 따른 접촉식 스위칭 모듈의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130)는 체결부(120)의 구조 변형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되며, 제어부(130)가 판단한 체결부(120)의 구조 변형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 지원 장치(100)의 기능 및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통신부(150)는 안전 지원 장치(100)와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 등의 무선 통신 단말기인 사용자 단말기(200)와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모듈 등의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통신부(15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개인 이동 수단(10)의 제한 속도 설정 정보, 개인 이동 수단(10)의 제한 속도 초과 알림 메시지, 주변 교통 정보, 주변 사고 발생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입력부(170)에는 사용자가 안전 지원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해 필요한 복수의 버튼이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출력부(18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거나 알람 메시지 등의 각종 메시지를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과 개인 이동 수단(10)의 속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속도 측정부(190)는 안전 지원 장치(100)가 장착된 개인 이동 수단(10)의 이동 속도 및 가속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안전 지원 장치(100)에 속도 측정부(190)를 구비하지 않고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측정된 이동 속도 및 가속도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하고, 이를 출력부(180)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감지부(110)로부터 수신된 스위칭 모듈의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판단한 체결부(120)의 구조 변형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부(150), 입력부(170), 출력부(180) 및 속도 측정부(190)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거나, 통신부(150), 입력부(170), 출력부(180) 및 속도 측정부(190)의 기능을 안전 지원 장치(100)의 동작 모드에 부합되도록 전환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원 장치(100)의 개별 동작 모드에 따른 안전 지원 장치(100)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1. 운행 안전 지원 모드
감지부(110)에 구비된 접촉식 스위칭 모듈의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130)가 안전 지원 장치(100)의 체결부(120)가 환형 구조로 변형된 상태(즉, 사용자가 안전 지원 장치(100)를 개인 이동 수단에 설치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제어부(130)는 안전 지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운행 안전 지원 모드로 설정하고, 속도 측정부(190)의 동작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어부(130)가 안전 지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운행 안전 지원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에 제어부(130)는 출력부(180)를 통해 '운행 안전 지원 모드로 전환되었습니다.' 등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30)가 안전 지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운행 안전 지원 모드로 설정함에 따라 통신부(150)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가 기 설정한 개인 이동 수단(10)의 제한 속도 정보의 전송 요청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송신하고, 이에 따라 통신부(15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한 속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제어부(130)는 속도 측정부(190)가 측정한 개인 이동 수단(10)의 운행 속도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제한 속도 정보를 초과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며, 초과하는 경우에 출력부(180)를 통해 소정의 알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안전 지원 장치(100)에 속도 측정부(190)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130)가 안전 지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운행 안전 지원 모드로 설정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측정된 이동 속도 정보를 통신부(150)가 수신하고, 제어부(130)는 통신부(150)가 수신한 개인 이동 수단(10)의 운행 속도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제한 속도 정보를 초과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며, 초과하는 경우에 출력부(180)를 통해 소정의 알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안전 지원 장치(100)에 속도 측정부(190)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제어부(130)가 안전 지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운행 안전 지원 모드로 설정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측정된 이동 속도 및 가속도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하고, 이를 출력부(180)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표시하며,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가 측정한 개인 이동 수단(100)의 운행 속도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기 설정된 개인 이동 수단(10)의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200)가 생성한 제한 속도 초과 알림 메시지를 통신부(150)가 수신함에 따라, 출력부(180)는 소정의 알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제어부(130)가 안전 지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운행 안전 지원 모드로 설정함에 따라 통신부(150)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가 음성 녹음한 '비켜주세요' 등의 음성 파일의 송신 요청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송신하고, 이에 따라 통신부(15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음성 파일을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음성 파일을 입력부(170)에 구비된 제1 버튼의 입력 신호와 매핑 처리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개인 이동 수단(10)의 운행 중에 입력부(170)에 구비된 제1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제어부(130)는 해당 음성 파일을 출력부(180)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지원 장치(100)를 스마트 경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어부(130)가 안전 지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운행 안전 지원 모드로 설정함에 따라 통신부(15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위험 지역 알림 요청을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위험 지역은 사고 다발 지역, 학교 주변 지역,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위험 지역은 시간대에 따라 변경되도록 유동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사용자 단말기(200)는 안전 지원 장치(100)로부터 위험 지역 알림 요청을 수신하게 되며,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있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가 기 설정되어 있는 사고 다발 지역, 인구 밀집 지역 등의 운행 위험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운행 위험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200)로 위험 지역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에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위험 지역 알림 메시지를 출력부(180)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운행 위험 지역에 진입한 경우 안전 주행을 할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며, 속도 감속 등의 행위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감지부(110)에는 개인 이동 수단(10)의 사고 발생으로 인한 충격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등의 충격 감지 센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며, 제어부(130)는 안전 지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운행 안전 지원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에 충격 감지 센서의 동작을 활성화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제어부(130)는 충격 감지 센서가 감지한 충격값이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사고 발생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통신부(150)는 사고 발생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입력되어 있는 보호자의 연락처 또는 긴급 구호 센터의 연락처로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구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제어부(130)가 안전 지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운행 안전 지원 모드로 설정함에 따라 통신부(150)는 개인 이동 수단(10)의 이동 경로 기록 요청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구글 맵 등의 지도 정보에 연속적으로 기록함으로서 개인 이동 수단(10)의 이동 경로를 기록하게 되며, 이와 같이 기록된 개인 이동 수단(10)의 이동 경로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입력된 보호자 단말기로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2. 보행 안전 지원 모드
감지부(110)에 구비된 접촉식 스위칭 모듈의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130)가 안전 지원 장치(100)의 체결부(120)가 직선형 구조로 변형된 상태(즉, 사용자가 안전 지원 장치(100)를 개인 이동 수단(10)으로부터 분리하여 소지하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제어부(130)는 안전 지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보행 안전 지원 모드로 설정하고, 속도 측정부(190) 및 충격 감지 센서의 동작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안전 지원 장치(10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어부(130)가 안전 지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보행 안전 지원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에 제어부(130)는 출력부(180)를 통해 '보행 안전 지원 모드로 전환되었습니다.' 등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부(130)가 안전 지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보행 안전 지원 모드로 설정함에 따라 제어부(130)는 입력부(170)에 구비된 제1 버튼의 기능을 다음과 같이 전환 설정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행 중인 사용자가 치안 상태가 좋지 않은 지역을 지나가게 됨에 따라 신변의 위협을 느끼게 된 사용자가 입력부(170)에 구비된 제1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기록 및 전송 요청을 생성하고, 통신부(150)는 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구글 맵 등의 지도 정보에 연속적으로 기록함으로서 사용자의 보행 이동 경로를 기록하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와 같이 기록된 사용자의 보행 이동 경로를 사용자가 설정한 소정의 시간 주기(예를 들면, 10분)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에 입력된 보호자 단말기로 주기적으로 전송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보호자의 픽업을 희망하는 사용자가 입력부(170)에 구비된 제2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통신부(150)는 픽업 요청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송신하고, 이에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픽업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입력된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제어부(130)가 안전 지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보행 안전 지원 모드로 설정함에 따라 제어부(130)는 입력부(170)에 구비된 제3 버튼에 다음과 같은 기능이 맵핑 설정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범죄 노출 등의 긴급 상황에 있는 사용자가 입력부(170)에 구비된 제3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제어부(130)는 출력부(180)에 구비된 스피커 모듈을 통해 소정의 경고음을 출력함과 동시에 출력부(180)에 구비된 경광등을 점등시킴으로써 사용자의 구호 지원을 주변에 요청할 수 있을것이다.
아울러, 사용자가 입력부(170)에 구비된 제3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통신부(15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경고음 출력 요청을 송신하며, 이에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구비된 스피커 모듈을 통해 경고음을 최대 크기로 추가 출력하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가 입력부(170)에 구비된 제3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통신부(150)는 주변 소리의 녹음 요청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송신하며, 이에 사용자 단말기(200)는 긴급 상황이 발생한 현장의 소리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구비된 마이크 모듈을 통해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3분) 동안 녹음함으로써 범죄의 증거 확보 및 범인의 추적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부(170)에 구비된 제3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통신부(150)는 긴급 상황 발생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입력되어 있는 보호자의 연락처 또는 긴급 구호 센터의 연락처로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발생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지하철 등의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성추행, 소매치기 등의 긴급 상황에 노출된 경우에 사용자가 입력부(170)에 구비된 제3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통신부(150)는 긴급 상황 발생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송신하고, 이에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대중 교통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와이파이 등의 자체 통신망을 통해 대중 교통 방송 시스템의 서버로 긴급 상황 발생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며, 이에 따라 대중 교통 방송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있는 지하철에 설치된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경고 방송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즉각적인 구호 조치가 가능토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안전 지원 장치(10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두 개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 버튼이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모드 선택 버튼의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모드 전환 기능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두 개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안전 지원 장치(100)의 감지부(110)에서의 각종 감지 정보, 제어부(130)에서의 각종 제어 정보, 통신부(150)에서의 각종 송수신 정보, 입력부(170)에서의 각종 입력 정보, 출력부(180)에서의 각종 출력 정보, 속도 측정부(190)에서의 각종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 지원 장치(100)의 동작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하고, 안전 지원 장치(100)와 관련된 사용자 단말기(200)의 각종 동작 정보와 함께 상기 안전 지원 장치(100)의 동작 정보를 정부가 구축 및 운영하는 '스마트 폰 기반의 보행자 안전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정부 및 지자체, 기업 등에서 운영하는 '여성 안전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함으로써 이들 안전 시스템에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지원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가 사용자 디바이스로서 포함되어 연계 운영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개인 이동 수단, 100: 안전 지원 장치,
120: 체결부, 2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3)

  1. 안전 지원 장치에 있어서,
    개인 이동 수단에 체결 가능한 체결부;
    상기 개인 이동 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으며 상기 개인 이동 수단의 제한 속도가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연결되는 통신부;
    상기 개인 이동 수단의 속도가 상기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안전 지원 장치를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입력부
    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녹음한 음성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개인 이동 수단의 운행 중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조작하는 경우에 상기 출력부는 상기 음성 파일을 출력하며,
    상기 안전 지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운행 안전 지원 모드에서 보행 안전 지원 모드로 전환 설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지원 장치의 동작 모드가 보행 안전 지원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보행 중인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제1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록하여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기록 및 전송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안전 지원 장치의 동작 모드가 보행 안전 지원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보행 중인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제2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경고음 출력 요청을 송신하는 것인 다목적 안전 지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개인 이동 수단에 체결되는 경우에 환형 구조로 변형되고, 상기 개인 이동 수단에 체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직선형 구조로 변형되는 것인 다목적 안전 지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개인 이동 수단에 체결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인 다목적 안전 지원 장치.
KR1020200090612A 2020-07-21 2020-07-21 다목적 안전 지원 장치 KR102356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612A KR102356977B1 (ko) 2020-07-21 2020-07-21 다목적 안전 지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612A KR102356977B1 (ko) 2020-07-21 2020-07-21 다목적 안전 지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977B1 true KR102356977B1 (ko) 2022-02-07

Family

ID=80252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612A KR102356977B1 (ko) 2020-07-21 2020-07-21 다목적 안전 지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97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032A (ko) * 2008-04-01 2009-10-07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 과속 경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1494550U (zh) * 2009-08-12 2010-06-02 陈吉浩 一种电动车超速报警装置
CN202499213U (zh) * 2012-01-30 2012-10-24 张驰 车载超速报警装置
KR20150000233U (ko) * 2013-07-08 2015-01-19 박수현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케이스
KR20170031570A (ko) * 2015-09-11 2017-03-21 (주)파트론 정보 표시 장치
JP2019520252A (ja) * 2016-06-03 2019-07-18 ヴェル’コ 自転車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自転車ハンドルバー
KR102172565B1 (ko) * 2019-04-24 2020-11-02 대시컴퍼니 주식회사 주행 속도에 반응하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경보음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032A (ko) * 2008-04-01 2009-10-07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 과속 경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1494550U (zh) * 2009-08-12 2010-06-02 陈吉浩 一种电动车超速报警装置
CN202499213U (zh) * 2012-01-30 2012-10-24 张驰 车载超速报警装置
KR20150000233U (ko) * 2013-07-08 2015-01-19 박수현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케이스
KR20170031570A (ko) * 2015-09-11 2017-03-21 (주)파트론 정보 표시 장치
JP2019520252A (ja) * 2016-06-03 2019-07-18 ヴェル’コ 自転車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自転車ハンドルバー
KR102172565B1 (ko) * 2019-04-24 2020-11-02 대시컴퍼니 주식회사 주행 속도에 반응하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경보음 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2285B1 (ko) 휴대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0709150B1 (ko) 차량 탑재형 경보 시스템
JP5885379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通信装置
US20080242261A1 (en) Emergency rescue system, emergency rescue method, mobile phone device for emergency rescu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mergency rescue
KR101882478B1 (ko) 센서를 이용한 이륜차의 위험 상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 구난 신호 전송 방법
JP2012048537A (ja) 車両接近報知システム
JP4879573B2 (ja) 盗難通知システム
WO2015147346A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
JP2013120409A (ja) 運行車両監視システム
US20160057392A1 (en) Computing device for use in a vehicle
KR102356977B1 (ko) 다목적 안전 지원 장치
KR20160112667A (ko) 2차 도로사고 방지를 위한 사고 신호장치
KR100916315B1 (ko) 보호 시스템, 보호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WO201904445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VEHICLE, AND ROAD EDGE UNIT
JP2006254055A (ja) 車載電話システム
KR100925721B1 (ko) 차량 도난 경보 시스템
US20190206249A1 (en) Collision awareness and emergency signal system
KR101887010B1 (ko) 차량 신호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06338A (ko) 오토바이 사고 알림 장치
KR20230113873A (ko) 운행 안전 지원 장비
KR101874123B1 (ko) 차량 및 이와 통신하는 휴대 단말기
KR101707906B1 (ko) 비상호출장치 및 비상호출시스템
KR20160057709A (ko) 어린이 위치추적 단말시스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GB2387006A (en) Motorcyc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a tilt sensor to detect an emergency situation which is transmitted to a remote location
WO2015136558A1 (en) Warning system about possible emergency situations to road u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