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463B1 -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463B1
KR102356463B1 KR1020200055171A KR20200055171A KR102356463B1 KR 102356463 B1 KR102356463 B1 KR 102356463B1 KR 1020200055171 A KR1020200055171 A KR 1020200055171A KR 20200055171 A KR20200055171 A KR 20200055171A KR 102356463 B1 KR102356463 B1 KR 102356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kin
interior material
stitch
sew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7325A (ko
Inventor
이동기
김성훈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5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463B1/ko
Publication of KR20210137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5/00Machines for sewing leather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봉제 영역이 형성되는 코어; 코어에 결합되는 스킨; 및 봉제 영역을 따라서 스킨에 형성되는 스티치를 포함하는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의 제조방법은, 사출금형장치에 용융수지를 사출하여 봉제 영역이 형성되는 코어를 성형하는 제1단계; IMG 금형장치에 코어를 배치하는 제2단계; IMG 금형장치에 코어와 마주보게 원단을 배치하는 제3단계; IMG 금형장치로 원단을 코어에 압착하여 스킨을 성형하는 제4단계; IMG 금형장치에서 코어와 스킨으로 이루어진 내장재를 취출하는 제5단계; 및 봉제장치로 스킨에 봉제 영역을 따라서 스티치 라인을 형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코어에 스킨이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Interior material on which real stitch is form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봉제 영역이 형성된 코어에 스킨을 IMG 진공 성형하고 봉제 영역 위의 스킨에 리얼 스티치가 형성되는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문 트림, 등의 여러 가지 내장재들은 합성수지를 용융하여 사출성형된다.
근래 들어 차량 내장재의 고급화가 이뤄지면서 내장재 성형방법으로 인 몰두 그레이닝(In Mold Graining, IMG)이 도입되고 있다.
IMG 성형은 전기 주조(electron forming)를 통해 정교한 패턴이나 질감이 구현된 금형(전주 금형)을 사용함으로써, 더욱 고급스러운 내장재의 표면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종래의 IMG 성형공법은 표면 처리가 된 스킨(skin)을 미리 사출성형된 코어(core)와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하는 방식이므로, 스킨을 성형하기 위한 IMG 금형과 코어를 성형하기 위한 사출금형이 각각 필요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IMG 성형공법은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시간이 오래 걸리며,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리얼 스티치(real stitch)는 자동차 내장재의 고급스러움을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리얼 스티치가 아닌 스티치 모양이 표현된 내장재도 등장하고 있다.
종래 리얼 스티치가 구현된 내장재를 위한 제조공정은 ① IMG 금형으로 스킨을 프리포밍, ② 프리포밍된 스킨에 리얼 스티치 봉제작업, ③ 리얼스티치 봉제작업된 스킨과 코어의 가접착, ④ 압착 금형으로 가접착된 스킨과 코어를 압착 순서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리얼 스티치가 구현된 내장재의 제조공정은 리얼 스티치 봉제작업된 스킨과 코어의 가접착 공정이 사람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많은 인건비와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62954호는 스킨과 기재와의 결합력을 높이고 친환경적이면서 스티치감을 살릴 수 있는 고급스러운 도어트림을 제조할 수 있는 차량의 도어트림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62954호는 스킨에 스티치를 먼저 형성하고 기재를 나중에 형성한다는 점에서 종래의 제조공정과 같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코어에 스킨을 성형한 후에 리얼 스티치가 형성되는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봉제 영역이 형성되는 코어; 코어에 결합되는 스킨; 및 봉제 영역을 따라서 스킨에 형성되는 스티치를 포함할 수 있는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봉제 영역은 코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이드홀일 수 있는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봉제 영역은 코어에 형성되는 박막일 수 있는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코어의 봉제 영역에 결합되는 보강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는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보강라인은 조명을 포함할 수 있는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사출금형장치에 용융수지를 사출하여 봉제 영역이 형성되는 코어를 성형하는 제1단계; IMG 금형장치에 코어를 배치하는 제2단계; IMG 금형장치에 코어와 마주보게 원단을 배치하는 제3단계; IMG 금형장치로 원단을 코어에 압착하여 스킨을 성형하는 제4단계; IMG 금형장치에서 코어와 스킨으로 이루어진 내장재를 취출하는 제5단계; 및 봉제장치로 스킨에 봉제 영역을 따라서 스티치 라인을 형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사출금형장치에 용융수지를 사출하여 봉제 영역이 형성되는 코어를 성형하는 제1단계; IMG 금형장치에 코어를 배치하는 제2단계; IMG 금형장치에 코어와 마주보게 원단을 배치하는 제3단계; IMG 금형장치로 원단을 코어에 압착하여 스킨을 성형하는 제4단계; IMG 금형장치에서 코어와 스킨으로 이루어진 내장재를 취출하는 제5단계; 및 봉제장치로 스킨에 봉제 영역을 따라서 스티치 라인을 형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고, 봉제 영역은 코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이드홀일 수 있는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사출금형장치에 용융수지를 사출하여 봉제 영역이 형성되는 코어를 성형하는 제1단계; IMG 금형장치에 코어를 배치하는 제2단계; IMG 금형장치에 코어와 마주보게 원단을 배치하는 제3단계; IMG 금형장치로 원단을 코어에 압착하여 스킨을 성형하는 제4단계; IMG 금형장치에서 코어와 스킨으로 이루어진 내장재를 취출하는 제5단계; 및 봉제장치로 스킨에 봉제 영역을 따라서 스티치 라인을 형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고, 봉제 영역은 코어에 형성되는 박막일 수 있는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코어의 봉제 영역에 결합되는 보강라인을 형성하는 제7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보강라인은 조명을 포함할 수 있는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에 의하면, 봉제 영역이 형성되는 코어; 코어에 결합되는 스킨; 및 봉제 영역을 따라서 스킨에 형성되는 스티치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봉제 영역을 따라서 스킨에 쉽게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에 의하면, 봉제 영역은 코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이드홀일 수 있으므로, 봉제장치의 바늘이나 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에 의하면, 봉제 영역은 코어에 형성되는 박막일 수 있으므로, 봉제 영역은 스킨을 지지할 수 있고 스티치는 코어와 스킨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에 의하면, 코어의 봉제 영역에 결합되는 보강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봉제 영역에 위치하는 스킨과 스티치를 지지하고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에 의하면, 보강라인은 조명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스킨과 스티치 사이의 틈을 통해서 조명의 빛을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제조방법에 의하면, 사출금형장치에 용융수지를 사출하여 봉제 영역이 형성되는 코어를 성형하는 제1단계; IMG 금형장치에 코어를 배치하는 제2단계; IMG 금형장치에 코어와 마주보게 원단을 배치하는 제3단계; IMG 금형장치로 원단을 코어에 압착하여 스킨을 성형하는 제4단계; IMG 금형장치에서 코어와 스킨으로 이루어진 내장재를 취출하는 제5단계; 및 봉제장치로 스킨에 봉제 영역을 따라서 스티치 라인을 형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코어에 스킨이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제조방법에 의하면, 사출금형장치에 용융수지를 사출하여 봉제 영역이 형성되는 코어를 성형하는 제1단계; IMG 금형장치에 코어를 배치하는 제2단계; IMG 금형장치에 코어와 마주보게 원단을 배치하는 제3단계; IMG 금형장치로 원단을 코어에 압착하여 스킨을 성형하는 제4단계; IMG 금형장치에서 코어와 스킨으로 이루어진 내장재를 취출하는 제5단계; 및 봉제장치로 스킨에 봉제 영역을 따라서 스티치 라인을 형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고, 봉제 영역은 코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이드홀일 수 있으므로, 코어에 스킨이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제조방법에 의하면, 사출금형장치에 용융수지를 사출하여 봉제 영역이 형성되는 코어를 성형하는 제1단계; IMG 금형장치에 코어를 배치하는 제2단계; IMG 금형장치에 코어와 마주보게 원단을 배치하는 제3단계; IMG 금형장치로 원단을 코어에 압착하여 스킨을 성형하는 제4단계; IMG 금형장치에서 코어와 스킨으로 이루어진 내장재를 취출하는 제5단계; 및 봉제장치로 스킨에 봉제 영역을 따라서 스티치 라인을 형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고, 봉제 영역은 코어에 형성되는 박막일 수 있으므로, 코어에 스킨이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제조방법에 의하면, 코어의 봉제 영역에 결합되는 보강라인을 형성하는 제7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코어에 스킨이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고, 봉제 영역에 위치하는 스킨과 스티치를 지지하고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제조방법에 의하면, 보강라인은 조명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스킨과 스티치 사이의 틈을 통해서 조명의 빛을 볼 수 있다.
도 1은 자동차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제조방법의 제1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제조방법의 제3단계 및 제4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제조방법에 따라 내장재가 제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제조방법의 제6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나타난 X, Y, Z 축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임의로 정한 것으로, X축이 전(화살표 쪽), 후(화살표 반대쪽) 방향을 지시하고, Y축은 좌, 우방향을 지시하며, Z축은 상, 하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 앞쪽), 후(배, 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이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는 봉제 영역(21)이 형성되는 코어(20); 코어(20)에 결합되는 스킨(30); 및 봉제 영역(21)을 따라서 스킨(30)에 형성되는 스티치(4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코어(20)는 내장재(10)의 전체적인 형상을 결정하는 골격을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윗면에 스킨(30)이 결합된다.
코어(20)는 사출장치(62)에서 사출금형장치(60)로 용융수지(70)를 주입하여 성형할 수 있다.
코어(20)는 PPF 수지(PolyPropylene Fiber resin) 등과 같이 강성이 높은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코어(20)는 스킨(30)에서 스티치(40) 라인을 형성하려는 부분 아래에 봉제 영역(21)을 형성할 수 있다.
봉제 영역(21)은 봉제장치(100)의 바늘이 쉽게 통과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코어(20)는 스킨(30)에 비해 두께가 두껍고 경도가 크기 때문에 봉제장치(100)의 바늘이 직접 코어(20)를 관통하면 봉제장치(100)가 파손되거나 스티치(40)가 불량하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봉제 영역(21)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봉제 영역(21)은 코어(2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이드홀(22)일 수 있다.
가이드홀(22)은 스킨(30)에 형성되는 스티치(40) 라인의 아래에서 코어(20)에 형성되는 빈 공간이다.
가이드홀(22)은 코어(20)에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고, 코어(20)의 굴곡진 부분에도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22)은 코어(20)에 하나의 선 형태로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점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봉제장치(100)의 바늘은 가이드홀(22)을 통과할 때 코어(20)에 접촉되지 않는다.
봉제 영역(21)을 가이드홀(22)로 형성하면 봉제장치(100)의 바늘과 실은 가이드홀(22)을 통과할 때 코어(20)에 접촉되어 손상되지 않는다.
도 9를 참조하면, 봉제 영역(21)은 코어(20)에 형성되는 박막(23)일 수 있다.
박막(23)은 스킨(30)에 형성되는 스티치(40) 라인의 아래에서 코어(20)에 형성되는 두께가 얇은 부분이다.
봉제 영역(21)을 박막(23)으로 형성하면 봉제장치(100)의 바늘과 실은 박막(23)을 통과할 때 코어(20)에 거의 접촉되지 않으므로 바늘과 실은 거의 손상되지 않는다.
박막(23)은 스킨(30)과 결합하여 스킨(30)을 지지할 수 있다.
스티치(40)는 박막(23)과 스킨(30)을 관통하여 형성되므로 박막(23)과 스킨(30)을 결합할 수 있다.
박막(23)은 코어(20)보다 저경도 소재를 이중 사출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박막(23)은 TPO 수지(ThermoPlastic Olefin resin) 또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 resin) 등과 같이 연성이 높은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박막(23)을 코어(20)보다 저경도 소재로 형성하면 봉제장치(100)의 손상은 최소화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킨(30)은 내장재(10)의 표면을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코어(20)의 윗면을 덮도록 결합된다.
스킨(30)은 천연가죽 또는 인조가죽 소재의 원단(80)을 사용할 수 있다.
원단(80)은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로 이루어진 평평한 시트일 수 있다.
스킨(30)은 IMG 금형장치(90)로 원단(80)을 코어(20)에 압착하여 성형할 수 있다.
IMG 금형장치(90)는 IMG 성형으로 코어(20)에 결합되는 스킨(30)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이다.
스킨(30)은 원단(80)히터로 예열된 원단(80)을 IMG 금형장치(90)로 진공압착하여 성형할 수 있다.
스킨(30)을 성형하기 위한 소재인 원단(80)은 공급롤에 감겨 있다가 IMG 금형장치(90)로 공급될 수 있다.
스킨(30)은 코어(20)의 봉제 영역(21) 위에 스티치(4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티치(40)는 자동차 내장재(10)의 고급스러움을 표현하기 위한 부분이다.
스티치(40)는 IMG 금형장치(90)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 봉제작업을 통한 실밥으로 이루어진다.
스티치(40)는 코어(20)에 결합된 스킨(30)에 봉제장치(100)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스티치(40)는 스킨(30)에 미리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코어(20)에 스킨(30)이 결합된 후에 형성되는 것이다.
스티치(40)는 코어(20)의 봉제 영역(21) 위에 결합된 스킨(30)에 형성될 수 있다.
스티치(40)는 코어(20)의 봉제 영역(21)을 따라서 스킨(30)에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는 코어(20)의 봉제 영역(21)에 결합되는 보강라인(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라인(50)은 봉제 영역(21)에 결합되어 봉제 영역(21)이 형성되어 약해진 코어(20)를 지지할 수 있다.
보강라인(50)은 스킨(30)에 접촉되어 스킨(3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라인(50)은 스킨(30)에 결합되어 스킨(3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보강라인(50)은 스티치(40)에 결합되어 스티치(4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라인(50)은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어 발광하는 조명(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라인(50)에 조명이 포함되면 자동차 이용자는 스킨(30)을 통해서 비치는 빛이나 스킨(30)과 스티치(40) 사이의 틈을 통해서 나오는 빛을 볼 수 있다.
조명은 보강라인(50)을 따라서 결합되는 복수의 LED일 수 있다.
조명은 보강라인(50)을 따라서 결합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광섬유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제조방법은, 사출금형장치(60)에 용융수지(70)를 사출하여 봉제 영역(21)이 형성되는 코어(20)를 성형하는 제1단계; IMG 금형장치(90)에 코어(20)를 배치하는 제2단계; IMG 금형장치(90)에 코어(20)와 마주보게 원단(80)을 배치하는 제3단계; IMG 금형장치(90)로 원단(80)을 코어(20)에 압착하여 스킨(30)을 성형하는 제4단계; IMG 금형장치(90)에서 코어(20)와 스킨(30)으로 이루어진 내장재(10)를 취출하는 제5단계; 및 봉제장치(100)로 스킨(30)에 봉제 영역(21)을 따라서 스티치(40) 라인을 형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단계는 사출금형장치(60)로 코어(20)를 성형하는 과정이다.
사출장치(62)에서 사출금형장치(60)로 용융수지(70)를 사출하면 사출금형장치(60) 내부의 캐비티에서 용융수지(70)를 내장재(10) 형상의 코어(20)로 성형할 수 있다.
사출금형장치(60)는 코어(20)에 봉제 영역(21)이 형성될 수 있도록 캐비티의 형상을 준비할 수 있다.
제2단계는 코어(20)에 스킨(30)을 성형하기 위해서 IMG 금형장치(90)에 코어(20)를 배치하는 과정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단계는 IMG 금형장치(90)에 미리 배치된 코어(20)에 스킨(30)을 성형할 수 있도록 원단(80)을 코어(20)와 마주보게 배치하는 과정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4단계는 스킨(30)을 성형하기 위해 마주보게 배치된 원단(80)과 코어(20)를 IMG 금형장치(90)로 압착하는 과정이다.
IMG 금형장치(90)로 코어(20)에 원단(80)을 진공압착하면 접착제 없이도 코어(20)에 원단(80)을 결합하면서 스킨(30)의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원단(80)은 공급롤에 감겨 있다가 IMG 금형장치(90)로 공급될 수 있다.
스킨(30)은 원단(80)히터로 예열된 원단(80)을 IMG 금형장치(90)로 진공압착하여 성형할 수 있다.
제5단계는 IMG 금형장치(90)로 코어(20)에 원단(80)을 진공압착하여 성형된 내장재(10)를 IMG 금형장치(90)에서 꺼내는 과정이다.
IMG 금형장치(90)에서 꺼낸 내장재(10)는 봉제장치(100)로 이동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6단계는 봉제장치(100)를 이용해 스티치(40)를 형성하는 과정이다.
봉제장치(100)는 봉제 영역(21)을 따라서 스킨(30)에 스티치(40)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코어(20)는 미리 봉제 영역(2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봉제장치(100)로 스티치(40) 라인을 쉽고 빠르게 형성할 수 있다.
제1단계에서 봉제 영역(21)을 코어(20)를 관통하는 가이드홀(22)로 형성하면 봉제장치(100)의 바늘과 실은 가이드홀(22)을 통과할 때 코어(20)에 접촉되어 손상되지 않는다.
제1단계에서 봉제 영역(21)을 박막(23)으로 형성하면 봉제장치(100)의 바늘과 실은 박막(23)을 통과할 때 코어(20)에 거의 접촉되지 않으므로 바늘과 실은 거의 손상되지 않는다.
박막(23)을 코어(20)보다 저경도 소재로 형성하면 봉제장치(10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제조방법은, 코어(20)의 봉제 영역(21)에 결합되는 보강라인(50)을 형성하는 제7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7단계는 봉제 영역(21)이 형성되어 약해진 코어(20)를 지지하기 위해서 봉제 영역(21)에 결합되는 보강라인(50)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보강라인(50)은 스킨(30)에 접촉되어 스킨(3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라인(50)을 스킨(30)에 결합되게 형성하면 스킨(3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보강라인(50)은 스티치(40)에 결합되게 형성하면 스티치(4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라인(50)은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어 발광하는 조명을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조명은 보강라인(50)을 따라서 결합되는 복수의 LED이거나 하나 또는 복수의 광섬유일 수 있다.
보강라인(50)에 조명이 포함되도록 형성하면 자동차 이용자는 스킨(30)을 통해서 비치는 빛이나 스킨(30)과 스티치(40) 사이의 틈을 통해서 나오는 빛을 볼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내장재
20: 코어
21: 봉제 영역
22: 가이드홀
23: 박막
30: 스킨
40: 스티치
50: 보강라인
60: 사출금형장치
62: 사출장치
70: 용융수지
80: 원단
90: IMG 금형장치
100: 봉제장치

Claims (10)

  1. 봉제 영역이 형성되는 코어;
    상기 코어에 결합되는 스킨;
    상기 봉제 영역을 따라서 상기 스킨에 형성되는 스티치; 및
    상기 코어의 봉제 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코어를 지지하면서 상기 스티치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 영역은 상기 코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이드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 영역은 상기 코어에 형성되는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라인은 조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6. 제1항의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의 제조방법으로서,
    사출금형장치에 용융수지를 사출하여 봉제 영역이 형성되는 코어를 성형하는 제1단계;
    IMG 금형장치에 상기 코어를 배치하는 제2단계;
    상기 IMG 금형장치에 상기 코어와 마주보게 원단을 배치하는 제3단계;
    상기 IMG 금형장치로 상기 원단을 코어에 압착하여 스킨을 성형하는 제4단계;
    상기 IMG 금형장치에서 상기 코어와 스킨으로 이루어진 내장재를 취출하는 제5단계;
    봉제장치로 상기 스킨에 상기 봉제 영역을 따라서 스티치 라인을 형성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코어의 봉제 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코어를 지지하면서 상기 스티치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라인을 형성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의 제조방법.
  7. 제2항의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의 제조방법으로서,
    사출금형장치에 용융수지를 사출하여 봉제 영역이 형성되는 코어를 성형하는 제1단계;
    IMG 금형장치에 상기 코어를 배치하는 제2단계;
    상기 IMG 금형장치에 상기 코어와 마주보게 원단을 배치하는 제3단계;
    상기 IMG 금형장치로 상기 원단을 코어에 압착하여 스킨을 성형하는 제4단계;
    상기 IMG 금형장치에서 상기 코어와 스킨으로 이루어진 내장재를 취출하는 제5단계; 및
    봉제장치로 상기 스킨에 상기 봉제 영역을 따라서 스티치 라인을 형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봉제 영역은 상기 코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이드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의 제조방법.
  8. 제3항의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의 제조방법으로서,
    사출금형장치에 용융수지를 사출하여 봉제 영역이 형성되는 코어를 성형하는 제1단계;
    IMG 금형장치에 상기 코어를 배치하는 제2단계;
    상기 IMG 금형장치에 상기 코어와 마주보게 원단을 배치하는 제3단계;
    상기 IMG 금형장치로 상기 원단을 코어에 압착하여 스킨을 성형하는 제4단계;
    상기 IMG 금형장치에서 상기 코어와 스킨으로 이루어진 내장재를 취출하는 제5단계; 및
    봉제장치로 상기 스킨에 상기 봉제 영역을 따라서 스티치 라인을 형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봉제 영역은 상기 코어에 형성되는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라인은 조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의 제조방법.
KR1020200055171A 2020-05-08 2020-05-08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56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171A KR102356463B1 (ko) 2020-05-08 2020-05-08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171A KR102356463B1 (ko) 2020-05-08 2020-05-08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325A KR20210137325A (ko) 2021-11-17
KR102356463B1 true KR102356463B1 (ko) 2022-02-03

Family

ID=78703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171A KR102356463B1 (ko) 2020-05-08 2020-05-08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4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8467A (ja) * 2009-11-04 2011-05-19 Inoac Corp 装飾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66509B1 (ko) * 2019-07-01 2020-01-21 덕양산업 주식회사 리얼 스티치가 스킨과 코어에 일체로 형성되는 내장재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241Y1 (ko) * 1998-09-22 2001-09-29 김재웅 재봉 부위에 수지층을 갖는 자리
KR101956390B1 (ko) * 2013-12-13 2019-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내장재 시트 스티칭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8467A (ja) * 2009-11-04 2011-05-19 Inoac Corp 装飾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66509B1 (ko) * 2019-07-01 2020-01-21 덕양산업 주식회사 리얼 스티치가 스킨과 코어에 일체로 형성되는 내장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325A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6976A (en) Resiliently padded laminate construction and injection molded thermoplastic articles faced therewith
US9457857B2 (en) Trim part and method for producing a trim part
CN102131637A (zh) 装潢性的装饰及其制造方法
JPH05124052A (ja) 積層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336157A (zh) 具有模内成型装饰件的成型制品
JP2017213865A (ja) 表皮材及び構造体並びに表皮材の製造方法
JP7127982B2 (ja) 刺繍付人工皮革を用いた加飾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10171435A1 (en) Single side stitching for interior skins
WO2017165294A1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EP1598169B1 (en) External covering material for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seat
KR102356463B1 (ko)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A2308992C (en) Molded article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KR102384257B1 (ko) 차량 내부 부재를 스티치 하는 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으로 형성된 부재
KR102323092B1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066509B1 (ko) 리얼 스티치가 스킨과 코어에 일체로 형성되는 내장재 제조방법
US20100260980A1 (en) Method for producing a molded part comprising different decorative zones
KR102099808B1 (ko) 리얼 스티치가 스킨과 코어에 일체로 형성되는 내장재 제조방법
JP6727004B2 (ja) 積層成形体の製造方法
JP2013216242A (ja) 車両内装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725488B1 (en) Decorative molded body,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light emitting structure which uses decorative molded body
WO2014157173A1 (ja) 樹脂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03928B2 (ja) 加飾樹脂成形品及び加飾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102160681B1 (ko) 이색 페이크 스티치 스킨,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970009920B1 (ko) 자동차용 내장부품의 제조방법
JP6809378B2 (ja) 車室内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