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380B1 - Curved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Curved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380B1
KR102356380B1 KR1020170085014A KR20170085014A KR102356380B1 KR 102356380 B1 KR102356380 B1 KR 102356380B1 KR 1020170085014 A KR1020170085014 A KR 1020170085014A KR 20170085014 A KR20170085014 A KR 20170085014A KR 102356380 B1 KR102356380 B1 KR 102356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substrate
curvature
layer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0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4585A (en
Inventor
이준재
최인수
김진우
신명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5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380B1/en
Publication of KR20190004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585A/en
Priority to KR1020220009846A priority patent/KR1025295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380B1/en
Priority to KR1020230056863A priority patent/KR202300652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27/3246
    • H01L51/0097
    • H01L51/529
    • H01L51/529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4Arrangements for heating and 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면형 커버 글라스의 4 측 모서리들 각각이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형 표시장치의 베젤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곡면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표시장치는 평탄부, 상기 평탄부의 제1 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제1 곡률로 구부러진 제1 곡률부, 상기 평탄부의 제2 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제2 곡률로 구부러진 제2 곡률부, 및 상기 제1 곡률부와 상기 제2 곡률부가 중첩되어 다중 곡률로 구부러진 다중 곡률부를 포함하는 곡면형 기판; 및 상기 곡면형 기판의 하면에 배치되며, 기판 상에 배치된 화소 어레이층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기판의 모서리는 상기 다중 곡률부에 배치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ved display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a bezel area of a curved display device having multiple curvatures at each of four side corners of the curved cover glass. A curv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flat portion, a first curved portion extending from a first side of the flat portion and bent at a first curvature, and a second curved portion extending from a second side of the flat portion and bent at a second curvature. a curved substrate including two curvature portions, and multiple curvature portions overlapped with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to be bent into multiple curvatures; and a display modul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urved substrate and including a pixel array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The edge of the substrate is disposed on the multi-curvature portion.

Description

곡면형 표시장치{CURVED DISPLAY DEVICE}Curved display device {CURVE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곡면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ved display device.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와 같은 비자발광 표시장치,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퀀텀닷발광표시장치(QLED: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와 같은 전계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등 여러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As the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the demand for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is increasing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recently,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non-emission display device such as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quantum dot emission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such as a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 (QLED) are being used.

최근에,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유연성을 갖는 표시장치의 양측 가장자리 또는 상하좌우의 4 측 가장자리가 구부러진 곡면형 표시장치로 개발되고 있다. 곡면형 표시장치는 유연성이 있는 플렉서블 표시 모듈을 곡면형 커버 글라스에 부착한 표시장치를 가리킨다.Recentl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s been developed as a curved display device in which both edges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r four edges of the display device are curved. The curved display device refers to a display device in which a flexible display module is attached to a curved cover glass.

도 1은 상하좌우의 4 측이 구부러진 곡면형 커버 글라스를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곡면형 커버 글라스(CCG)의 상측은 제1 방향성을 가지는 제1 곡률, 좌측은 제2 방향성 가지는 제2 곡률, 우측은 제3 방향성 가지는 제3 곡률, 하측은 제4 방향성을 가지는 제4 곡률로 구부러질 수 있다. 곡면형 커버 글라스(CCG)의 4 측 모서리들(C1~C4) 각각은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가지는 곡률을 포함하는 다중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곡면형 커버 글라스(CCG)의 좌측 상부 모서리(C1)는 제1 방향성을 가지는 제1 곡률과 제2 방향성을 가지는 제2 곡률을 포함하는 다중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곡면형 커버 글라스(CCG)의 우측 상부 모서리(C2)는 제1 방향성을 가지는 제1 곡률과 제3 방향성을 가지는 제3 곡률을 포함하는 다중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곡면형 커버 글라스(CCG)의 우측 하부 모서리(C3)는 제2 방향성을 가지는 제2 곡률과 제4 방향성을 가지는 제4 곡률을 포함하는 다중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곡면형 커버 글라스(CCG)의 우측 하부 모서리(C1)는 제3 방향성을 가지는 제3 곡률과 제4 방향성을 가지는 제4 곡률을 포함하는 다중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urved cover glass in which four sides of up, down, left and right are bent. Referring to FIG. 4 , an upper side of the curved cover glass (CCG) has a first curvature having a first directionality, a left side has a second curvature having a second directionality, a right side has a third curvature having a third directionality, and a lower side thereof is a fourth directionality It can be bent with a fourth curvature having Each of the four side corners C1 to C4 of the curved cover glass CCG is formed to have multiple curvatures including curvatures having different directions. For example, the upper left corner C1 of the curved cover glass CCG may be formed to have multiple curvatures including a first curvature having a first directionality and a second curvature having a second directionality. The upper right corner C2 of the curved cover glass CCG may be formed to have multiple curvatures including a first curvature having a first directionality and a third curvature having a third directionality. The lower right corner C3 of the curved cover glass CCG may be formed to have multiple curvatures including a second curvature having a second directionality and a fourth curvature having a fourth directionality. The lower right corner C1 of the curved cover glass CCG may be formed to have multiple curvatures including a third curvature having a third directionality and a fourth curvature having a fourth directionality.

곡면형 커버 글라스(CCG)의 4 측 모서리들 각각은 다중 곡률을 가지므로, 플렉서블 표시 모듈(FDP)이 배치되는 경우 곡면형 커버 글라스(CCG)와 간섭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 모듈(FDP)은 곡면형 커버 글라스(CCG)의 4 측 모서리들(C1~C4)의 하면에 배치되지 않는다. 이 경우, 플렉서블 표시 모듈(FDP)은 도 1과 같이 곡면형 커버 글라스(CCG)의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커버 글라스(CCG)의 상측 끝단 또는 하측 끝단으로부터 플렉서블 표시 모듈(FDP)의 표시 영역(DA)까지의 거리(D1, D2)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곡면형 표시장치의 베젤 영역(bezel area)이 넓어지는 문제가 있다.Since each of the four side corners of the curved cover glass CCG has multiple curvatures, there may be interference with the curved cover glass CCG when the flexible display module FDP is disposed. Accordingly, the flexible display module FDP is not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four side corners C1 to C4 of the curved cover glass CCG. In this case, the flexible display module FDP is not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curved cover glass CCG as shown in FIG. 1 .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istances D1 and D2 from the upper end or lower end of the cover glass CCG to the display area DA of the flexible display module FDP become longer. 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ezel area of the curved display device is widened.

본 발명은 곡면형 커버 글라스의 4 측 모서리들 각각이 다중 곡률을 갖는 곡면형 표시장치의 베젤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곡면형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rved display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the bezel area of the curved display device having multiple curvatures at each of the four side corners of the curved cover gla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표시장치는 평탄부, 상기 평탄부의 제1 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제1 곡률로 구부러진 제1 곡률부, 상기 평탄부의 제2 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제2 곡률로 구부러진 제2 곡률부, 및 상기 제1 곡률부와 상기 제2 곡률부가 중첩되어 다중 곡률로 구부러진 다중 곡률부를 포함하는 곡면형 기판; 및 상기 곡면형 기판의 하면에 배치되며, 기판 상에 배치된 화소 어레이층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기판의 모서리는 상기 다중 곡률부에 배치된다.A curv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flat portion, a first curved portion extending from a first side of the flat portion and bent at a first curvature, and a second curved portion extending from a second side of the flat portion and bent at a second curvature. a curved substrate including two curvature portions, and multiple curvature portions overlapped with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to be bent into multiple curvatures; and a display modul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urved substrate and including a pixel array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The edge of the substrate is disposed on the multi-curvature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렉서블 표시 모듈이 곡면형 기판의 평탄부와 제1 내지 제4 곡률부들에 뿐만 아니라, 제1 내지 제4 다중 곡률부들에도 배치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렉서블 표시 모듈의 비표시영역을 제1 내지 제4 다중 곡률부들에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커버 글라스의 상측 끝단 또는 하측 끝단으로부터 플렉서블 표시 모듈의 표시 영역까지의 거리를 줄일 수 있으므로, 곡면형 표시장치의 베젤 영역(bezel area)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ible display module is disposed not only on the flat portion and the first to fourth curved portions of the curved substrate, but also the first to fourth multi-curvature portions. As a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module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to fourth multi-curvature portions.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r lower end of the cover glass to the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module can be reduced, so that the bezel area of the curved display device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다중 곡률부의 다중 곡률을 감안하여 플렉서블 표시 모듈의 지지 기판과 플렉서블 기판의 모서리를 비스듬하게 절단된 형태로 형성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지 기판이 곡면형 기판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multiple curvatures of the first multiple curvature portion, the support substrate of the flexible display module and the corners of the flexible substrate are formed in an obliquely cut shape. As a resul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support substrate from interfering with the curved substrate.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렉서블 기판으로부터 곡면형 기판까지의 두께에 따라 제1 다중 곡률부에서 곡면형 기판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는 플렉서블 기판의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산출된 플렉서블 기판의 길이에 따라 플렉서블 기판의 모서리를 비스듬하게 절단함으로써, 플렉서블 기판이 곡면형 기판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flexible substrate that may not interfere with the curved substrate in the first multi-curvature portion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from the flexible substrate to the curved substrate. As a resul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bliquely cutting the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according to the calculated length of the flexible substr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exible substrate from interfering with the curved substrate.

도 1은 상하좌우의 4 측이 구부러진 곡면형 커버 글라스를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표시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모서리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확대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Ⅰ-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Ⅱ-Ⅱ'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플렉서블 표시 모듈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플렉서블 표시 모듈의 표시 영역을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는 도 4의 제2 모서리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확대 저면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urved cover glass in which four sides of up, down, left and right are ben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rv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curv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view of a curv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bottom view illustrating in detail the first corner of FIG. 4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4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4 .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flexible display module of FIGS. 6 and 7 .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module of FIG. 8 in detail.
FIG. 10 is an enlarged bottom view illustrating in detail a second corner portion of FIG. 4 .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핵심 구성과 관련이 없는 경우 및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구성과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substantially identical elements throughou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known in the art and cases not related to the cor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matter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When 'including', 'having', 'consisting',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case in which the plural is included is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construed as including an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on', 'on', 'beside', etc., 'right' Alternatively,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positioned between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immediately' or 'directly' when a temporal relationship is described with 'after', 'following', 'after', 'before', etc. It may include cases that are not continuous unless this is used.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Z-axis direc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only as a geometric relationship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is vertical, and is wider than within the scope w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nction functionally. It may mean having a direction.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The term “at least one”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tems” means that each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as well as two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tems It may mean a combination of all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more than one.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of the embodiments may be independently implement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or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may b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표시장치의 저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rv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curv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view of a curv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표시장치(CDIS)는 곡면형 기판(10), 제1 접착층(20), 플렉서블 표시 모듈(30), 방열 기판(40) 등을 포함한다.2 to 4 , a curved display device (CD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rved substrate 10 , a first adhesive layer 20 , a flexible display module 30 , and a heat dissipation substrate 40 . ), etc.

곡면형 기판(10)은 플라스틱 필름 또는 유리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곡면형 기판(10)은 도 2와 같이 평탄부(FA), 제1 내지 제4 곡률부들(CA1~CA4), 및 제1 내지 제4 다중 곡률부들(DCA1~DCA4)을 포함한다.The curved substrate 10 may be formed of a plastic film or a glass substrate. The curved substrate 10 includes a flat portion FA, first to fourth curved portions CA1 to CA4, and first to fourth multi-curvature portions DCA1 to DCA4 as shown in FIG. 2 .

평탄부(FA)는 곡면형 기판(10)의 중앙 영역에 해당한다.The flat portion FA corresponds to a central area of the curved substrate 10 .

제1 곡률부(CA1)는 곡면형 기판(10)의 제1 측 영역, 도 3과 같이 곡면형 기판(10)의 상측 영역일 수 있다. 제1 곡률부(CA1)는 제1 방향성을 가지며 제1 곡률로 구부러진 영역으로, 평탄부(FA)의 제1 측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일 수 있다.The first curved portion CA1 may be a first side region of the curved substrate 10 , and an upper region of the curved substrate 10 as shown in FIG. 3 . The first curvature portion CA1 has a first directionality and is bent at the first curvature, and may be an area extending from the first side of the flat portion FA.

제2 곡률부(CA2)는 곡면형 기판(10)의 제2 측 영역, 도 3과 같이 곡면형 기판(10)의 좌측 영역일 수 있다. 제2 곡률부(CA2)는 제2 방향성을 가지며 제2 곡률로 구부러진 영역으로, 평탄부(FA)의 제2 측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일 수 있다.The second curved portion CA2 may be a second side region of the curved substrate 10 , and a left region of the curved substrate 10 as shown in FIG. 3 . The second curvature portion CA2 has a second directionality and is bent at the second curvature, and may be an area extending from the second side of the flat portion FA.

제3 곡률부(CA3)는 곡면형 기판(10)의 제3 측 영역, 도 3과 같이 곡면형 기판(10)의 우측 영역일 수 있다. 제3 곡률부(CA3)는 제3 방향성을 가지며 제3 곡률로 구부러진 영역으로, 평탄부(FA)의 제3 측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일 수 있다.The third curved portion CA3 may be a third side region of the curved substrate 10 , and may be a right region of the curved substrate 10 as shown in FIG. 3 . The third curvature portion CA3 has a third directionality and is curved at the third curvature, and may be an area extending from the third side of the flat portion FA.

제4 곡률부(CA4)는 곡면형 기판(10)의 제4 측 영역, 도 3과 같이 곡면형 기판(10)의 하측 영역일 수 있다. 제4 곡률부(CA4)는 제4 방향성을 가지며 제4 곡률로 구부러진 영역으로, 평탄부(FA)의 제4 측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일 수 있다.The fourth curved portion CA4 may be a fourth side region of the curved substrate 10 , and a lower region of the curved substrate 10 as shown in FIG. 3 . The fourth curvature portion CA4 has a fourth directionality and is curved at the fourth curvature, and may be an area extending from the fourth side of the flat portion FA.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1 다중 곡률부(DCA1)는 제1 곡률부(CA1)와 제2 곡률부(CA2)가 중첩되어 다중 곡률로 구부러진 영역일 수 있다. 제1 다중 곡률부(DCA1)는 곡면형 기판(10)의 좌상측 모서리부에 해당하는 제1 모서리부(C1)에 위치할 수 있다.3 and 4 , the first multi-curvature portion DCA1 may be an area in which the first curved portion CA1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CA2 overlap and are bent to multiple curvatures. The first multi-curvature portion DCA1 may be located at the first corner portion C1 corresponding to the upper left corner portion of the curved substrate 10 .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2 다중 곡률부(DCA2)는 제1 곡률부(CA1)와 제3 곡률부(CA3)가 중첩되어 다중 곡률로 구부러진 영역일 수 있다. 제2 다중 곡률부(DCA2)는 곡면형 기판(10)의 우상측 모서리부에 해당하는 제2 모서리부(C2)에 위치할 수 있다.3 and 4 , the second multi-curvature portion DCA2 may be an area in which the first curved portion CA1 and the third curved portion CA3 overlap and are bent to multiple curvatures. The second multi-curvature portion DCA2 may be positioned at the second corner portion C2 corresponding to the upper right corner portion of the curved substrate 10 .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3 다중 곡률부(DCA3)는 제2 곡률부(CA2)와 제4 곡률부(CA4)가 중첩되어 다중 곡률로 구부러진 영역일 수 있다. 제3 다중 곡률부(DCA2)는 곡면형 기판(10)의 좌하측 모서리부에 해당하는 제3 모서리부(C3)에 위치할 수 있다.3 and 4 , the third multi-curvature portion DCA3 may be an area in which the second curved portion CA2 and the fourth curved portion CA4 overlap and are bent to multiple curvatures. The third multi-curvature portion DCA2 may be positioned at the third corner portion C3 corresponding to the lower left corner portion of the curved substrate 10 .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4 다중 곡률부(DCA4)는 제3 곡률부(CA3)와 제4 곡률부(CA4)가 중첩되어 다중 곡률로 구부러진 영역일 수 있다. 제4 다중 곡률부(DCA4)는 곡면형 기판(10)의 우하측 모서리부에 해당하는 제4 모서리부(C4)에 위치할 수 있다 .3 and 4 , the fourth multi-curvature portion DCA4 may be an area in which the third curved portion CA3 and the fourth curved portion CA4 overlap and are bent to multiple curvatures. The fourth multi-curvature portion DCA4 may be positioned at the fourth corner portion C4 corresponding to the lower right corner portion of the curved substrate 10 .

한편,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곡면형 기판(10)이 4 개의 곡률부들(CA1~CA4)과 4 개의 다중 곡률부들(DCA1~DCA4)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곡면형 기판(10)은 적어도 2 개의 곡률부들과 그들의 중첩에 의해 형성되는 1 개의 다중 곡률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FIGS. 2 to 4 ,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urved substrate 10 includes four curvature portions CA1 to CA4 and four multi-curvature portions DCA1 to DCA4, but is not limited thereto. does not That is, the curved substrate 10 may include at least two curved portions and only one multi-curvature portion formed by overlapping them.

또한, 곡면형 기판(10)의 제1 내지 제4 곡률들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4 곡률들은 서로 동일하고 제2 및 제3 곡률들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4 곡률들은 서로 동일하나 제2 및 제3 곡률들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는, 제2 및 제3 곡률들은 서로 동일하나 제1 및 제4 곡률들은 서로 다를 수 있다.Also, the first to fourth curvatures of the curved substrate 1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lternatively, the first and fourth curvatures may be equal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and third curvatures may be equal to each other. Alternatively, the first and fourth curvatures may be the same as each other, but the second and third curvature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lternatively, the second and third curvatures may be the same as each other, but the first and fourth curvature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곡면형 기판(10)의 하면에는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데코층이 형성될 수 있다. 데코층은 플렉서블 표시 모듈(30)이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패턴이 형성된 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코층에는 회사의 로고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데코층은 플렉서블 표시 모듈의 베젤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색상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코층은 블랙 색상을 갖는 색상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데코층의 색상층은 플렉서블 표시 모듈(30)이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 플렉서블 표시 모듈(30)의 표시영역과 동일한 색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 모듈(30)의 화면은 사용자에게 넓어 보일 수 있다.A decoration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formed thereon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urved substrate 10 . The decoration layer may be a layer on which a pattern that can be shown to a user is formed even when the flexible display module 30 does not display an image. For example, a company logo may be formed on the decoration layer. Alternatively, the decoration layer may include a color layer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bezel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module. For example, the decoration layer may include a color layer having a black color, and in this case, the color layer of the decoration layer is the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module 30 and the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module 30 when the flexible display module 30 does not display an image. It can be expressed in the same color. Accordingly, the screen of the flexible display module 30 may appear wide to the user.

플렉서블 표시 모듈(30)은 곡면형 기판(10)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모듈(30)은 도 4와 같이 곡면형 기판(10)의 평탄부(FA), 제1 내지 제4 곡률부들(CA1~CA4), 및 제1 내지 제4 다중 곡률부들(DCA1~DCA4)에 배치될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module 3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urved substrate 10 . As shown in FIG. 4 , the flexible display module 30 includes a flat portion FA, first to fourth curved portions CA1 to CA4 , and first to fourth multi-curvature portions DCA1 to DCA4 of the curved substrate 10 , as shown in FIG. 4 . ) can be placed in

플렉서블 표시 모듈(30)은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이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표시 모듈(30)은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또는 퀀텀닷 발광표시장치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플렉서블 표시 모듈(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10을 결부하여 후술한다.The flexible display module 30 is a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a predetermined image. For example, the flexible display module 30 may b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r a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lexible display module 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0 .

플렉서블 표시 모듈(30)의 하면 상에는 방열층(40)이 배치될 수 있다. 방열층(40)은 플렉서블 표시 모듈(3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열층(40)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플렉서블 표시 모듈(30)을 보호하기 위해 완충 역할을 하는 폼을 포함할 수 있다.A heat dissipation layer 40 may b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module 30 . The heat dissipation layer 40 may include a metal layer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to effectively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the flexible display module 30 . In addition, the heat dissipation layer 40 may include a foam that serves as a buffer to protect the flexible display module 30 from external impact.

터치 회로 기판(60)은 플렉서블 표시 모듈(30)의 상면에 부착되며, 플렉서블 표시 모듈(30)의 하면으로 벤딩되어 방열층(40)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touch circuit board 60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module 30 , and may be bent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module 30 to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layer 40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렉서블 표시 모듈(30)이 곡면형 기판(10)의 평탄부(FA)와 제1 내지 제4 곡률부들(CA1~CA4)에 뿐만 아니라, 제1 내지 제4 다중 곡률부들(DCA1~DCA4)에도 배치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렉서블 표시 모듈(30)의 비표시영역을 제1 내지 제4 다중 곡률부들(DCA1~DCA4)에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커버 글라스(CCG)의 상측 끝단 또는 하측 끝단으로부터 플렉서블 표시 모듈(FDP)의 표시 영역(DA)까지의 거리를 줄일 수 있으므로, 곡면형 표시장치의 베젤 영역(bezel area)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ible display module 30 is provided not only in the flat portion FA and the first to fourth curved portions CA1 to CA4 of the curved substrate 10 , but also in the first to fourth multi-curvature portions DCA1 to DCA4 are also disposed. As a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module 3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to fourth multi-curvature portions DCA1 to DCA4 .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r lower end of the cover glass CCG to the display area DA of the flexible display module FDP can be reduced, and thus the bezel area of the curved display device. ) can be minimized.

도 5는 도 4의 제1 모서리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확대 저면도이다. 도 5에서는 제1 다중 곡률부(DCA1)가 위치하는 곡면형 기판(10)의 제1 모서리부(C1)의 확대 저면도가 나타나 있다.FIG. 5 is an enlarged bottom view illustrating in detail the first corner of FIG. 4 . 5 is an enlarged bottom view of the first corner portion C1 of the curved substrate 10 on which the first multi-curvature portion DCA1 is positioned.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곡면형 기판(10), 표시 모듈(30)의 지지 기판(31), 방열층(40), 제1 접착층(20), 및 터치 회로 기판(60)만을 도시하였다. 제1 접착층(20)은 표시 모듈(30)을 곡면형 기판(10)에 접착하는 층으로써 저면도에서는 보이지 않는 구성이므로, 점선으로 도시하였다.In FIG. 5 , only the curved substrate 10 , the support substrate 31 of the display module 30 , the heat dissipation layer 40 , the first adhesive layer 20 , and the touch circuit board 60 are illustra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 The first adhesive layer 20 is a layer for bonding the display module 30 to the curved substrate 10 and is not visible from the bottom view, and thus is illustrated with a dotted line.

도 5를 참조하면, 곡면형 기판(10)은 평탄부(FA)로부터 y축 방향으로 제1 곡률로 구부러진 제1 곡률부(CA1), 평탄부(FA)로부터 x축 방향으로 제2 곡률로 구부러진 제2 곡률부(CA2), 및 제1 곡률부(CA1)와 제2 곡률부(CA2)의 중첩 영역에서 제1 곡률과 제2 곡률을 포함하는 다중 곡률로 구부러진 제1 다중 곡률부(DCA1)를 포함한다. 도 5에서는 제2 곡률이 제1 곡률에 비해 큰 것을 예시하였다.Referring to FIG. 5 , the curved substrate 10 has a first curvature CA1 bent from the flat portion FA to a first curvature in the y-axis direction, and a second curvature in the x-axis direction from the flat portion FA. The second curved portion CA2, and the first multi-curvature portion DCA1 bent to multiple curvatures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curvatures in the overlapping region of the first and second curved portions CA1 and CA2 ) is included. 5 illustrates that the second curvature is greater than the first curvature.

표시 모듈(30)의 지지 기판(31)은 곡면형 기판(10)의 하면 상에 배치된다. 표시 모듈(30)의 지지 기판(31)은 평탄부(FA), 제1 곡률부(CA1), 제2 곡률부(CA2), 및 제1 다중 곡률부(DCA1)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기판(31)의 모서리와 지지 기판(31)이 지지하는 플렉서블 기판(32, 도 6 및 도 7 참조)의 모서리는 도 5와 같이 제1 다중 곡률부(DCA1)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기판(31)이 곡면형 기판(1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 기판(31)과 플렉서블 기판(32)의 모서리는 제1 다중 곡률부(DCA1)의 다중 곡률을 감안하여 비스듬하게 절단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x축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2 곡률이 y축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1 곡률에 비해 크다면, 지지 기판(31)과 플렉서블 기판(32)에서 x축 방향의 절단 길이(a)는 y축 방향의 절단 길이(b)보다 짧을 수 있다. 도 5에서는 지지 기판(31)과 플렉서블 기판(32)의 모서리가 사선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만곡된 형태(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substrate 31 of the display module 3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urved substrate 10 . The support substrate 31 of the display module 30 may be disposed on the flat portion FA, the first curved portion CA1 , the second curved portion CA2 , and the first multi-curvature portion DCA1 . The edge of the support substrate 31 and the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32 (refer to FIGS. 6 and 7 ) supported by the support substrate 31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multi-curvature portion DCA1 as shown in FIG. 5 .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support substrate 31 from interfering with the curved substrate 10 , the corners of the support substrate 31 and the flexible substrate 32 are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multiple curvatures of the first multi-curvature portion DCA1 . It may be formed in an obliquely cut shape. For example, if the second curvature bent in the x-axis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first curvature bent in the y-axis direction as shown in FIG. 5 , the cutting length (a) in the x-axis direction in the support substrate 31 and the flexible substrate 32 ) may be shorter than the cut length (b) in the y-axis direction. 5 illustrates that the corners of the support substrate 31 and the flexible substrate 32 are formed in an oblique li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elliptical shape).

방열층(40)은 표시 모듈(30)의 지지 기판(31)의 하면 상에 배치된다. 방열층(40)은 평탄부(FA), 제1 곡률부(CA1), 제2 곡률부(CA2), 및 제1 다중 곡률부(DCA1)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층(40)의 모서리는 도 5와 같이 제1 다중 곡률부(DCA1)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층(40)의 모서리는 지지 기판(31)과 플렉서블 기판(32)의 모서리와 유사하게 비스듬하게 절단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layer 4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substrate 31 of the display module 30 . The heat dissipation layer 40 may be disposed on the flat portion FA, the first curved portion CA1 , the second curved portion CA2 , and the first multi-curvature portion DCA1 . The edge of the heat dissipation layer 4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multi-curvature portion DCA1 as shown in FIG. 5 . The edge of the heat dissipation layer 40 may be formed in a shape cut obliquely similarly to the edge of the support substrate 31 and the flexible substrate 32 .

제1 접착층(20)은 곡면형 기판(10)의 하면과 표시 모듈(3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며, 곡면형 기판(10)의 하면과 표시 모듈(30)의 상면을 접착한다. 제1 접착층(20)은 평탄부(FA), 제1 곡률부(CA1), 및 제2 곡률부(CA2)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y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접착층(20)으로부터 제1 곡률부(CA1)에서 곡면형 기판(10)의 끝단까지의 거리(D3)는 제1 접착층(20)으로부터 제1 다중 곡률부(DCA1)에서 곡면형 기판(10)의 끝단까지의 거리(D4)에 비해 짧을 수 있다. 또한,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접착층(20)으로부터 제2 곡률부(CA2)에서 곡면형 기판(10)의 끝단까지의 거리(D5)는 제1 접착층(20)으로부터 제1 다중 곡률부(DCA1)에서 곡면형 기판(10)의 끝단까지의 거리(D6)에 비해 짧을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layer 20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curved substrate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30 , and adheres the lower surface of the curved substrate 1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30 . The first adhesive layer 20 may be disposed on the flat portion FA, the first curved portion CA1 ,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CA2 . For this reason, based on the y-axis direction, the distance D3 from the first adhesive layer 20 to the end of the curved substrate 10 from the first curved portion CA1 is the first multiple from the first adhesive layer 20 . It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D4 from the curved portion DCA1 to the end of the curved substrate 10 . In addition, based on the x-axis direction, the distance D5 from the first adhesive layer 20 to the end of the curved substrate 10 from the second curved portion CA2 is the first multiple curvature from the first adhesive layer 20 . It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D6 from the portion DCA1 to the end of the curved substrate 10 .

또한, 제1 다중 곡률부(DCA1)는 제1 곡률과 제2 곡률을 포함하는 다중 곡률로 구부러지기 때문에, 제1 접착층(20)을 이용하여 제1 다중 곡률부(DCA1)에서 표시 모듈(30)을 고정하려는 경우 제1 접착층(20)이 중첩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접착층(20)은 제1 다중 곡률부(DCA1)에 배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multiple curvature portion DCA1 is bent to multiple curvatures including the first curvature and the second curvature, the display module 30 is formed in the first multiple curvature portion DCA1 using the first adhesive layer 20 . ), problems such as overlapping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0 may occur.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dhesive layer 20 is not disposed on the first multi-curvature portion DCA1 .

한편, 제2 다중 곡률부(DCA2)가 위치하는 곡면형 기판(10)의 제2 모서리부(C2)의 확대 저면도는 y축을 기준으로 도 5를 대칭적으로 도시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곡면형 기판(10)의 제2 모서리부(C2)의 확대 저면도는 생략한다.Meanwhile, an enlarged bottom view of the second corner portion C2 of the curved substrate 10 on which the second multi-curvature portion DCA2 is positioned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illustrated in FIG. 5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y-axis. Accordingly, an enlarged bottom view of the second corner portion C2 of the curved substrate 10 is omitt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다중 곡률부(DCA1)의 다중 곡률을 감안하여 플렉서블 표시 모듈(30)의 지지 기판(31)과 플렉서블 기판(32)의 모서리를 비스듬하게 절단된 형태로 형성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지 기판(31)이 곡면형 기판(1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ners of the support substrate 31 and the flexible substrate 32 of the flexible display module 30 are cut obliquely in consideration of the multiple curvatures of the first multiple curvature portion DCA1 . formed in the form As a resul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support substrate 31 from interfering with the curved substrate 10 .

도 6은 도 4의 Ⅰ-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Ⅱ-Ⅱ'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4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4 .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표시장치(CDIS)는 곡면형 기판(10), 제1 접착층(20), 표시 모듈(30), 방열층(40), 연성 필름(50), 및 터치 회로 기판(60)을 포함한다.6 and 7 , a curved display device (CD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rved substrate 10 , a first adhesive layer 20 , a display module 30 , and a heat dissipation layer 40 . , a flexible film 50 , and a touch circuit board 60 .

곡면형 기판(10)은 도 2 내지 도 4를 결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curved substrate 10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플렉서블 표시 모듈(30)은 곡면형 기판(10)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모듈(30)은 도 4와 같이 곡면형 기판(10)의 평탄부(FA), 제1 내지 제4 곡률부들(CA1~CA4), 및 제1 내지 제4 다중 곡률부들(DCA1~DCA4)에 배치될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module 3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urved substrate 10 . As shown in FIG. 4 , the flexible display module 30 includes a flat portion FA, first to fourth curved portions CA1 to CA4 , and first to fourth multi-curvature portions DCA1 to DCA4 of the curved substrate 10 , as shown in FIG. 4 . ) can be placed in

플렉서블 표시 모듈(30)은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이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표시 모듈(30)은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또는 퀀텀닷 발광표시장치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플렉서블 표시 모듈(30)이 유기발광 표시장치로 구현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flexible display module 30 is a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a predetermined image. For example, the flexible display module 30 may b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r a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lexible display module 30 will be mainly described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표시 모듈(30)은 지지 기판(31), 플렉서블 기판(32), 화소 어레이층(33), 배리어 필름(34), 및 편광 필름(35)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30 may include a support substrate 31 , a flexible substrate 32 , a pixel array layer 33 , a barrier film 34 , and a polarizing film 35 .

지지 기판(31)은 플렉서블 기판(32)을 지지하기 위한 기판으로,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기판(31)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substrate 31 is a substrate for supporting the flexible substrate 32 and may be formed of plastic or glass. For example, the support substrate 31 may be formed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플렉서블 기판(32)은 지지 기판(31)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유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기판(32)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lexible substrate 32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substrate 31 and may be formed of a plastic film having flexibility. For example, the flexible substrate 32 may be formed of a polyimide film.

화소 어레이층(33)은 플렉서블 기판(32)의 상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어레이층(33)은 복수의 화소들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는 층이다. 화소 어레이층(33)은 박막 트랜지스터층, 발광 소자층, 및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30)의 화소 어레이층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 및 도 9를 결부하여 후술한다.The pixel array layer 33 may b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32 . The pixel array layer 33 is a layer for displaying an image by means of a plurality of pixels. The pixel array layer 33 may include a thin film transistor layer, a light emitting device layer, and an encapsulation lay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ixel array layer of the display module 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

배리어 필름(34)은 화소 어레이층(33)을 산소나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화소 어레이층(33)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배리어 필름(34)은 화소 어레이층(3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리어 필름(34)은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터치 센싱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rrier film 34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pixel array layer 33 in order to protect the pixel array layer 33 from oxygen or moisture. That is, the barrier film 34 may be disposed on the pixel array layer 33 . The barrier film 34 may include a touch sensing layer for sensing a user's touch.

편광 필름(35)은 외부광 반사로 인한 시인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배리어 필름(34)의 상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편광 필름(35)은 화소 어레이층(33)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polarizing film 35 may be attach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rrier film 34 to prevent deterioration of visibility due to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The polarizing film 35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pixel array layer 33 .

제1 접착층(20)은 곡면형 기판(10)과 표시 모듈(30) 사이에 배치되어 곡면형 기판(10)과 표시 모듈(30)의 편광 필름(35)을 접착한다. 제1 접착층(20)은 투명한 접착 레진(optically transparent resin, OCR) 또는 투명한 접착 필름(optically transparent adhesive film, OCA film)일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layer 20 is disposed between the curved substrate 10 and the display module 30 to adhere the curved substrate 10 and the polarizing film 35 of the display module 30 . The first adhesive layer 20 may be an optically transparent resin (OCR) or an optically transparent adhesive film (OCA film).

방열층(40)은 표시 모듈(30)의 지지 기판(31)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층(40)은 플렉서블 표시 모듈(3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층(4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층(41)은 구리(Cu),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N)일 수 있다. 또한, 방열층(40)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표시 모듈(30)을 보호하기 위해 완충 역할을 하는 폼(foam, 42)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층(40)이 금속층(41)과 폼(42)을 포함하는 경우, 폼(42)이 지지 기판(31)의 하면 상에 배치되고, 금속층(41)은 폼(42)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layer 4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substrate 31 of the display module 30 . The heat dissipation layer 40 may include a metal layer 41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to effectively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the flexible display module 30 . For example, the metal layer 41 may be copper (Cu), aluminum (Al), or aluminum nitride (AlN). In addition, the heat dissipation layer 40 may include a foam 42 that serves as a buffer to protect the display module 30 from external impact. When the heat dissipation layer 40 includes the metal layer 41 and the foam 42 , the foam 42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substrate 31 , and the metal layer 41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oam 42 . can be placed.

연성 필름(50)은 구동 IC(51)를 실장하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일 수 있다. 구동 IC(51)는 화소 어레이층(33)의 데이터 라인들에 구동 신호들을 공급하기 위한 소스 드라이브 IC일 수 있다.The flexible film 50 may be a chip on film (COF) on which the driving IC 51 is mounted. The driving IC 51 may be a source driving IC for supplying driving signals to the data lines of the pixel array layer 33 .

연성 필름(50)은 도 6과 같이 벤딩된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연성 필름(50)의 일 측은 제1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71)을 통해 이용하여 플렉서블 기판(32)의 상면 상에 부착되고, 타 측은 제2 접착층(73)을 통해 방열층(40)의 금속층(41)의 하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성 필름(50)의 일 측은 배리어 필름(34)에 의해 덮이지 않은 플렉서블 기판(32)의 상면 상에 마련된 패드들 상에 부착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32)의 상면 상에 마련된 패드들은 화소 어레이층(33)의 데이터 라인들에 연결되므로, 소스 드라이브 IC의 구동 신호들은 연성 필름(50)과 패드들을 통해 화소 어레이층(33)의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될 수 있다.The flexible film 50 may be attached in a bent form as shown in FIG. 6 . One side of the flexible film 5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32 using a first anisotropic conductive film 71 , and the other side is a heat dissipation layer 40 through a second adhesive layer 73 . )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etal layer 41 . Specifically, one side of the flexible film 50 may be attached to pad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32 not covered by the barrier film 34 . Since the pad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32 are connected to the data lines of the pixel array layer 33 , driving signals of the source drive IC are transmitted to the data of the pixel array layer 33 through the flexible film 50 and the pads. can be supplied to the lines.

터치 회로 기판(60)은 배리어 필름(34)의 터치 센싱층에 터치 신호들을 공급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센싱하기 위한 터치 센싱 회로(61)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회로 기판(60)은 유연성을 갖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The touch circuit board 60 may include a touch sensing circuit 61 for supplying touch signals to the touch sensing layer of the barrier film 34 and sensing a user's touch input. The touch circuit board 60 may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flexibility.

터치 회로 기판(60)은 도 6과 같이 벤딩된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터치 회로 기판(60)의 일 측은 제2 이방성 도전 필름(92)을 통해 이용하여 배리어 필름(34)의 상면 상에 부착되고, 타 측은 제3 접착층(94)을 통해 연성 필름(50)의 타 측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회로 기판(60)의 일 측은 편광 필름(35)에 의해 덮이지 않은 배리어 필름(34)의 상면 상에 마련된 패드들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배리어 필름(34)의 상면 상에 마련된 패드들은 배리어 필름(34)의 터치 센싱층에 연결되므로, 터치 회로 기판(60)의 터치 센싱 회로(61)의 터치 신호들은 터치 회로 기판(60)과 패드들을 통해 배리어 필름(34)의 터치 센싱층에 공급될 수 있다.The touch circuit board 60 may be attached in a bent form as shown in FIG. 6 . One side of the touch circuit board 6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rrier film 34 using the second anisotropic conductive film 92 , and the other side is the other side of the flexible film 50 through the third adhesive layer 94 . can be attached to the side. Specifically, one side of the touch circuit board 60 may be attached to pad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rrier film 34 not covered by the polarizing film 35 . Since the pad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rrier film 34 are connected to the touch sensing layer of the barrier film 34 , the touch signals of the touch sensing circuit 61 of the touch circuit board 60 are applied to the touch circuit board 60 and the pad. It can be supplied to the touch sensing layer of the barrier film 34 through the.

한편, 제1 접착층(20)은 배리어 필름(34)의 상면 상에 부착되는 터치 회로 기판(60)의 일 측을 덮을 수 있다. 이 경우, 배리어 필름(34)의 상면 상에 부착되는 터치 회로 기판(60)의 일 측이 제1 접착층(20)에 의해 고정되므로, 제품의 운송 중에 충돌 등으로 인해 터치 회로 기판(60)의 부착 영역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터치 회로 기판(60)의 일 측이 배리어 필름(34)으로부터 분리되거나(unstuck)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adhesive layer 20 may cover one side of the touch circuit board 60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rrier film 34 . In this case, since one side of the touch circuit board 60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rrier film 34 is fixed by the first adhesive layer 20, the touch circuit board 60 is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attachment region, one side of the touch circuit board 6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unstucked or sagging from the barrier film 34 .

연성 필름(50)의 타 측의 상면 또는 하면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이용하여 제어 회로가 실장된 메인 회로 기판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회로 기판(60)의 타 측의 상면 또는 하면은 접착층을 통해 메인 회로 기판에 부착될 수 있다. 메인 회로 기판은 방열층(40)의 금속층(41)의 하면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메인 회로 기판은 유연성을 갖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flexible film 50 may be attached to the main circuit board on which the control circuit is mounted us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In additi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touch circuit board 60 may be attached to the main circuit board through an adhesive layer. The main circuit board may be fixedly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etal layer 41 of the heat dissipation layer 40 . The main circuit board may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or a printed circuit board.

한편, 도 7과 같이 곡면형 기판(10)의 하면에서 제1 다중 곡률부(DCA1)의 경계부(BD)에 해당하는 지점을 A, 플렉서블 기판(32)에서 경계부(BD)에 해당하는 지점을 B, 및 플렉서블 기판(32)에 가장 근접한 곡면형 기판(10)에 해당하는 지점을 C라 하면, A, B, C를 연결하여 삼각형을 만들 수 있다. 이 때, A에서 B까지의 거리를 X, B에서 C까지의 거리를 Y, C에서의 각도를 θ라고 하면, X는 플렉서블 기판(32)으로부터 곡면형 기판(10)까지의 두께, Y는 제1 다중 곡률부(DCA1)에서 플렉서블 기판(32)의 끝단까지의 길이 (Y1)와 플렉서블 기판(32)의 끝단과 곡면형 기판(10) 사이의 거리(Y2)의 합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스블 기판(32)이 곡면형 기판(10)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제1 다중 곡률부(DCA1)에서 곡면형 기판(10)에 접촉하는 플렉서블 기판(32)의 길이가 Y라 할 수 있다. X, Y, 및 θ는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urved substrate 10 ,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portion BD of the first multi-curvature portion DCA1 is A, and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portion BD in the flexible substrate 32 is selected If B and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bstrate 10 closest to the flexible substrate 32 are referred to as C, then A, B, and C may be connected to form a triangle. At this time, if the distance from A to B is X, the distance from B to C is Y, and the angle at C is θ, X is the thickness from the flexible substrate 32 to the curved substrate 10, and Y is It may be referred to as the sum of the length Y1 from the first multi-curvature portion DCA1 to the end of the flexible substrate 32 and the distance Y2 between the end of the flexible substrate 32 and the curved substrate 10 . Therefore, when the flexible substrate 32 is in contact with the curved substrate 10 , the length of the flexible substrate 32 in contact with the curved substrate 10 in the first multiple curvature DCA1 is Y. can X, Y, and θ may be defined as in Equation 1.

Figure 112017064117764-pat00001
Figure 112017064117764-pat00001

플렉서블 기판(32)이 제1 다중 곡률부(CA1)에서 곡면형 기판(10)에 간섭되지 않기 위해서, 제1 다중 곡률부(CA1)에서 플렉서블 기판(32)의 길이는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Y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기판(32)의 모서리는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Y에 따라 도 5와 같이 비스듬하게 절단될 수 있다.In order for the flexible substrate 32 not to interfere with the curved substrate 10 in the first multi-curvature portion CA1 , the length of the flexible substrate 32 in the first multi-curvature portion CA1 is calculated by Equation 1 It can be set to be smaller than Y. That is, the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32 may be cut obliquely as shown in FIG. 5 according to Y calculated by Equation 1 .

한편, 제1 다중 곡률부(CA1)에서 플렉서블 기판(32)의 길이(Y1)가 Y인 경우, 플렉서블 기판(32)은 곡면형 기판(10)에 접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곡면형 기판(10)으로부터 플렉서블 기판(32)을 보호하기 위한 완충 부재가 플렉서블 기판(32)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ength Y1 of the flexible substrate 32 in the first multi-curvature portion CA1 is Y, the flexible substrate 32 may contact the curved substrate 10, in this case the curved substrate ( 10 ) A buffer member for protecting the flexible substrate 32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32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렉서블 기판(32)으로부터 곡면형 기판(10)까지의 두께에 따라 제1 다중 곡률부(CA1)에서 곡면형 기판(10)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는 플렉서블 기판(32)의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산출된 플렉서블 기판(32)의 길이에 따라 플렉서블 기판(32)의 모서리를 비스듬하게 절단함으로써, 플렉서블 기판(32)이 곡면형 기판(1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interfere with the curved substrate 10 in the first multi-curvature portion CA1 depending on the thickness from the flexible substrate 32 to the curved substrate 10 . The length of the flexible substrate 32 may be calculated. As a resul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flexible substrate 32 from interfering with the curved substrate 10 by obliquely cutting the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32 according to the calculated length of the flexible substrate 32 . can do.

도 8은 도 6 및 도 7의 플렉서블 표시 모듈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플렉서블 표시 모듈의 표시 영역을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flexible display module of FIGS. 6 and 7 .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module of FIG. 8 in detail.

도 8 및 도 9에서는 표시 모듈(30)이 유기발광 표시장치로 구현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도 8 및 도 9에서는 발광 소자층(120)이 배리어 필름(34)이 배치된 방향, 즉 상부 방향으로 발광하는 상부 발광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In FIGS. 8 and 9 , the display module 30 has been mainly described as being implemented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addition, in FIGS. 8 and 9 , the light emitting device layer 120 is mainly describ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rrier film 34 is disposed, that is, formed in a top emission method in which light is emitted in an upper direc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영역(AA)은 발광 소자층(120)이 형성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가리키며, 비표시영역(NAA)은 표시영역의 주변 영역을 가리킨다.8 and 9 , the display area AA indicates an area in which the light emitting device layer 120 is formed to display an image, and the non-display area NAA indicates a peripheral area of the display area.

표시 모듈(30)은 지지 기판(31), 플렉서블 기판(32), 박막 트랜지스터층(110), 발광소자층(120) 및 봉지층(130)을 포함하는 화소 어레이층(33), 배리어 필름(34), 및 편광 필름(35)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30 includes a pixel array layer 33 including a support substrate 31 , a flexible substrate 32 , a thin film transistor layer 110 , a light emitting device layer 120 , and an encapsulation layer 130 , a barrier film ( 34 ), and a polarizing film 35 .

지지 기판(31), 플렉서블 기판(32), 배리어 필름(34), 및 편광 필름(35)에 대하여는 도 2 및 도 3을 결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support substrate 31 , the flexible substrate 32 , the barrier film 34 , and the polarizing film 35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플렉서블 기판(32)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층(110)이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층(110)은 박막 트랜지스터(210)들, 게이트 절연막(220), 층간 절연막(230), 보호막(240), 및 평탄화막(250)을 포함한다.A thin film transistor layer 110 is formed on the flexible substrate 32 . The thin film transistor layer 110 includes thin film transistors 210 , a gate insulating layer 220 ,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30 , a passivation layer 240 , and a planarization layer 250 .

플렉서블 기판(32) 상에는 버퍼막이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은 투습에 취약한 지지 기판(31)과 플렉서블 기판(32)을 통해 침투하는 수분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210)들과 발광 소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플렉서블 기판(3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은 교번하여 적층된 복수의 무기막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막은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SiON 중 하나 이상의 무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은 생략될 수 있다.A buffer layer may be formed on the flexible substrate 32 . The buffer layer may be formed on the flexible substrate 32 to protect the thin film transistors 210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s from moisture penetrating through the support substrate 31 and the flexible substrate 32, which are vulnerable to moisture permeation. The buffer layer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inorganic layers alternately stacked. For example, the buffer layer may be formed as a multilayer in which one or more inorganic layers of a silicon oxide layer (SiO x ), a silicon nitride layer (SiN x ), and SiON are alternately stacked. The buffer layer may be omitted.

버퍼막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210)가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210)는 액티브층(211), 게이트전극(212), 소스전극(213) 및 드레인전극(214)을 포함한다. 도 5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210)가 게이트전극(212)이 액티브층(2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게이트(탑 게이트, top gate)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즉, 박막 트랜지스터(210)들은 게이트전극(212)이 액티브층(211)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게이트(보텀 게이트, bottom gate) 방식 또는 게이트전극(212)이 액티브층(211)의 상부와 하부에 모두 위치하는 더블 게이트(double gate)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A thin film transistor 210 is formed on the buffer layer. The thin film transistor 210 includes an active layer 211 , a gate electrode 212 , a source electrode 213 , and a drain electrode 214 . 5 illustrates that the thin film transistor 210 is formed in a top gate (top gate) method in which the gate electrode 212 is positioned on the active layer 211 ,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thin film transistors 210 have a lower gate (bottom gate) method in which the gate electrode 212 is positioned under the active layer 211 or the gate electrode 212 is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active layer 211 . It may be formed in a double gate method in which all of them are located.

버퍼막 상에는 액티브층(211)이 형성된다. 액티브층(211)은 실리콘계 반도체 물질 또는 산화물계 반도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과 액티브층(211) 사이에는 액티브층(211)으로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층이 형성될 수 있다.An active layer 211 is formed on the buffer layer. The active layer 211 may be formed of a silicon-based semiconductor material or an oxide-based semiconductor material. A light blocking layer for blocking external light incident to the active layer 211 may be formed between the buffer layer and the active layer 211 .

액티브층(211)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220)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220)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A gate insulating layer 220 may be formed on the active layer 211 . The gate insulating layer 220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layer, for example, a silicon oxide layer (SiO x ), a silicon nitride layer (SiN x ), or a multilayer thereof.

게이트 절연막(220) 상에는 게이트전극(212)과 게이트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212)과 게이트 라인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A gate electrode 212 and a gate line may be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220 . The gate electrode 212 and the gate line may include any one of molybdenum (Mo), aluminum (Al), chromium (Cr), gold (Au), titanium (Ti), nickel (Ni), neodymium (Nd), and copper (Cu). It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made of one or an alloy thereof.

게이트전극(212)과 게이트 라인 상에는 층간 절연막(230)이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230)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30 may be formed on the gate electrode 212 and the gate line.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30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layer, for example, a silicon oxide layer (SiO x ), a silicon nitride layer (SiN x ), or a multilayer thereof.

층간 절연막(230) 상에는 소스전극(213), 드레인전극(214), 및 데이터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소스전극(213)과 드레인 전극(214) 각각은 게이트 절연막(220)과 층간 절연막(230)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층(211)에 접속될 수 있다. 소스전극(213), 드레인전극(214), 및 데이터 라인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A source electrode 213 , a drain electrode 214 , and a data line may be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30 . Each of the source electrode 213 and the drain electrode 214 may be connected to the active layer 211 through a contact hole penetrating the gate insulating layer 220 and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30 . The source electrode 213 , the drain electrode 214 , and the data line are formed of molybdenum (Mo), aluminum (Al), chromium (Cr), gold (Au), titanium (Ti), nickel (Ni), and neodymium (Nd). and copper (Cu) or an alloy thereof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소스전극(223), 드레인전극(224), 및 데이터 라인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220)를 절연하기 위한 보호막(240)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240)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A protective layer 240 for insulating the thin film transistor 220 may be formed on the source electrode 223 , the drain electrode 224 , and the data line. The passivation layer 240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layer, for example, a silicon oxide layer (SiO x ), a silicon nitride layer (SiN x ), or a multilayer thereof.

보호막(240)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210)로 인한 단차를 평탄하게 하기 위한 평탄화막(250)이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막(250)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A planarization layer 250 for flattening a step caused by the thin film transistor 210 may be formed on the passivation layer 240 . The planarization film 250 may be formed of an organic film such as an acrylic resin, an epoxy resin, a phenolic resin, a polyamide resin, or a polyimide resin. have.

박막 트랜지스터층(110) 상에는 발광 소자층(120)이 형성된다. 발광 소자층(120)은 발 광소자들과 뱅크(264)를 포함한다.The light emitting device layer 120 is form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layer 110 . The light emitting device layer 120 includes light emitting devices and a bank 264 .

발광 소자들과 뱅크(264)는 평탄화막(250) 상에 형성된다. 발광 소자는 제1 전극(261), 발광층(262), 및 제2 전극(2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261)은 애노드 전극이고, 제2 전극(263)은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s and the bank 264 are form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250 .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261 , a light emitting layer 262 , and a second electrode 263 . The first electrode 261 may be an anod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263 may be a cathode electrode.

제1 전극(261)은 평탄화막(25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261)은 보호막(240)과 평탄화막(250)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210)의 소스전극(213)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전극(261)은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적층 구조(Ti/Al/Ti), 알루미늄과 ITO의 적층 구조(ITO/Al/ITO), APC 합금, 및 APC 합금과 ITO의 적층 구조(ITO/APC/ITO)과 같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APC 합금은 은(Ag), 팔라듐(Pd), 및 구리(Cu)의 합금이다.The first electrode 261 may be form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250 . The first electrode 261 may be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213 of the thin film transistor 210 through a contact hole penetrating the passivation layer 240 and the planarization layer 250 . The first electrode 261 has a stacked structure of aluminum and titanium (Ti/Al/Ti), a stacked structure of aluminum and ITO (ITO/Al/ITO), an APC alloy, and a stacked structure of an APC alloy and ITO (ITO/APC). /ITO) may be formed of a high reflectance metal material. The APC alloy is an alloy of silver (Ag), palladium (Pd), and copper (Cu).

뱅크(264)는 화소들을 구획하기 위해 평탄화막(250) 상에서 제1 전극(261)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뱅크(264)는 화소들을 정의하는 화소 정의막으로서 역할을 한다.The bank 264 may be formed to cover the edge of the first electrode 261 on the planarization layer 250 to partition the pixels. That is, the bank 264 serves as a pixel defining film defining pixels.

화소들 각각은 애노드 전극에 해당하는 제1 전극(261), 발광층(262), 및 캐소드 전극에 해당하는 제2 전극(263)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제1 전극(261)으로부터의 정공과 제2 전극(263)으로부터의 전자가 발광층(262)에서 서로 결합되어 발광하는 영역을 나타낸다.In each of the pixels, a first electrode 261 corresponding to an anode electrode, a light emitting layer 262 , and a second electrode 263 corresponding to a cathode electrode are sequentially stacked to form a hole and a second electrode from the first electrode 261 . It represents a region where electrons from the electrode 263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light emitting layer 262 to emit light.

제1 전극(261)과 뱅크(264) 상에는 발광층(262)이 형성된다. 발광층(262)은 유기발광층일 수 있다. 이 경우, 발광층(262)은 화소들에 공통적으로 형성되는 공통층이며, 백색 광을 발광하는 백색 발광층일 수 있다. 발광층(262)은 2 스택(stack) 이상의 탠덤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스택들 각각은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적어도 하나의 발광층(light emitting layer), 및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A light emitting layer 262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261 and the bank 264 . The emission layer 262 may be an organic emission layer.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layer 262 is a common layer commonly formed in pixels, and may be a white light emitting layer that emits white light. The emission layer 262 may be formed in a tandem structure of two or more stacks. Each of the stacks may include a hole transporting layer, at least one light emitting layer, and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또한, 발광층(262)이 2 스택(stack) 이상의 탠덤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스택들 사이에는 전하 생성층이 형성될 수 있다. 전하 생성층은 하부 스택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n형 전하 생성층과 n형 전하 생성층 상에 형성되어 상부 스택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p형 전하 생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 n형 전하 생성층은 하부 스택으로 전자(electron)를 주입해주고, p형 전하 생성층은 상부 스택으로 정공(hole)을 주입해준다. n형 전하 생성층은 전자수송능력이 있는 유기 호스트 물질에 Li, Na, K, 또는 Cs와 같은 알칼리 금속, 또는 Mg, Sr, Ba, 또는 Ra와 같은 알칼리 토금속이 도핑된 유기층일 수 있다. p형 전하 생성층은 정공수송능력이 있는 유기 호스트 물질에 도펀트가 도핑된 유기층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mission layer 262 is formed in a tandem structure of two or more stacks, a charge generating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stacks. The charge generation layer may include an n-type charge generation layer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stack and a p-type charge generation layer formed on the n-type charge generation layer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stack. The n-type charge generation layer injects electrons into the lower stack, and the p-type charge generation layer injects holes into the upper stack. The n-type charge generation layer may be an organic layer doped with an alkali metal such as Li, Na, K, or Cs, or an alkaline earth metal such as Mg, Sr, Ba, or Ra to an organic host material having electron transport ability. The p-type charge generating layer may be an organic layer in which a dopant is doped into an organic host material having hole transport ability.

제2 전극(263)은 발광층(262) 상에 형성된다. 제2 전극(263)은 발광층(262)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263)은 화소들에 공통적으로 형성되는 공통층일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263 is formed on the emission layer 262 . The second electrode 263 may be formed to cover the emission layer 262 . The second electrode 263 may be a common layer commonly formed in pixels.

제2 전극(263)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또는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140)이 반투과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미세 공진(micro cavity)에 의해 출광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제2 전극(263) 상에는 캡핑층(capping layer)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263 is a transparent metal material (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or IZO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or magnesium (Mg), silver (Ag), or magnesium (Mg) and silver (Ag). It may be formed of a 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n alloy of When the second electrode 140 is formed of a transflective metal material, light output efficiency may be increased due to a micro cavity. A capp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263 .

발광소자층(120) 상에는 봉지층(130)이 형성된다. 봉지층(130)은 봉지막(270)을 포함한다.An encapsulation layer 130 is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device layer 120 . The encapsulation layer 130 includes an encapsulation film 270 .

봉지막(270)은 발광층(262)과 제2 전극(263)에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봉지막(270)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ncapsulation layer 270 serves to prevent oxygen or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light emitting layer 262 and the second electrode 263 . To this end, the encapsulation film 270 may include at least one inorganic film. The inorganic layer may be formed of silicon nitride, aluminum nitride, zirconium nitride, titanium nitride, hafnium nitride, tantalum nitride, silicon oxide, aluminum oxide, or titanium oxide.

또한, 봉지막(270)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은 이물들(particles)이 봉지막(270)을 뚫고 발광층(262)과 제2 전극(263)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encapsulation layer 27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rganic layer. The organic layer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sufficient to prevent particles from penetrating the encapsulation layer 270 and being input to the emission layer 262 and the second electrode 263 .

봉지층(130) 상에는 컬러필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컬러필터층은 컬러필터들과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컬러필터들 각각은 화소들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294)는 어느 한 화소의 광이 인접한 화소의 컬러필터로 진행함으로써 혼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컬러필터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294)는 뱅크(264)와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컬러필터들 상에는 컬러필터들과 블랙 매트릭스로 인한 단차를 평탄화하기 위해 오버코트층이 형성될 수 있다.A color filter layer may be formed on the encapsulation layer 130 . The color filter layer includes color filters and a black matrix. Each of the color filters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pixels. The black matrix 29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lor filters in order to prevent color mixing due to light from one pixel traveling to the color filter of an adjacent pixel. The black matrix 294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bank 264 . An overcoat layer may be formed on the color filters to planarize a level difference due to the color filters and the black matrix.

도 10는 도 4의 제4 모서리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확대 저면도이다.FIG. 10 is an enlarged bottom view illustrating in detail a fourth corner of FIG. 4 .

도 10에서는 제4 다중 곡률부(DCA4)가 위치하는 곡면형 기판(10)의 제4 모서리부(C4)의 확대 저면도가 나타나 있다.10 is an enlarged bottom view of the fourth corner portion C4 of the curved substrate 10 in which the fourth multi-curvature portion DCA4 is positioned.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곡면형 기판(10), 표시 모듈(30)의 지지 기판(31), 방열층(40), 및 제1 접착층(20)만을 도시하였다. 제1 접착층(20)은 표시 모듈(30)을 곡면형 기판(10)에 접착하는 층으로써 저면도에서는 보이지 않는 구성이므로, 점선으로 도시하였다.In FIG. 10 , only the curved substrate 10 , the support substrate 31 of the display module 30 , the heat dissipation layer 40 ,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20 are illustra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adhesive layer 20 is a layer for bonding the display module 30 to the curved substrate 10 and is not visible from the bottom view, and thus is illustrated with a dotted line.

도 10은 도 5에서 터치 회로 기판(60)을 삭제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도 10에 도시된 곡면형 기판(10), 표시 모듈(30)의 지지 기판(31), 방열층(40), 및 제1 접착층(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G. 1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ouch circuit board 60 in FIG. 5 , so the curved substrate 10 shown in FIG. 10 , the support substrate 31 of the display module 30 , and the heat dissipation layer 40 . ,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0 will be omitted.

또한, 제3 다중 곡률부(DCA3)가 위치하는 곡면형 기판(10)의 제3 모서리부(C3)의 확대 저면도는 y축을 기준으로 도 10을 대칭적으로 도시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곡면형 기판(10)의 제3 모서리부(C3)의 확대 저면도는 생략한다.In addition, an enlarged bottom view of the third corner portion C3 of the curved substrate 10 on which the third multi-curvature portion DCA3 is positioned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illustrated in FIG. 10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y-axis. Accordingly, an enlarged bottom view of the third corner portion C3 of the curved substrate 10 is omitt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곡면형 기판 20: 제1 접착층
30: 표시 모듈 31: 지지 기판
32: 플렉서블 기판 33: 화소 어레이층
34: 배리어 필름 35: 편광 필름
40: 방열층 41: 금속층
42: 폼 50: 연성 필름
51: 구동 IC 60: 터치 회로 기판
61: 터치 센싱 회로 71: 제1 이방성 도전 필름
72: 제2 이방성 도전 필름 73: 제2 접착층
74: 제3 접착층 FL: 평탄부
CA1: 제1 곡률부 CA2: 제2 곡률부
CA3: 제3 곡률부 CA4: 제4 곡률부
DCA1: 제1 다중 곡률부 DCA2: 제2 다중 곡률부
DCA3: 제3 다중 곡률부 DCA4: 제4 다중 곡률부
C1: 제1 모서리부 C2: 제2 모서리부
C3: 제3 모서리부 C4: 제4 모서리부
10: curved substrate 20: first adhesive layer
30: display module 31: support substrate
32: flexible substrate 33: pixel array layer
34: barrier film 35: polarizing film
40: heat dissipation layer 41: metal layer
42: foam 50: flexible film
51: driving IC 60: touch circuit board
61: touch sensing circuit 71: first anisotropic conductive film
72: second anisotropic conductive film 73: second adhesive layer
74: third adhesive layer FL: flat part
CA1: first curved portion CA2: second curved portion
CA3: third curved portion CA4: fourth curved portion
DCA1: first multi-curvature portion DCA2: second multi-curvature portion
DCA3: third multi-curvature portion DCA4: fourth multi-curvature portion
C1: first corner C2: second corner
C3: third corner C4: fourth corner

Claims (10)

평탄부, 상기 평탄부의 제1 측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곡률로 구부러진 제1 곡률부, 상기 평탄부의 제2 측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곡률로 구부러진 제2 곡률부, 및 상기 제1 곡률부와 상기 제2 곡률부가 중첩되어 다중 곡률로 구부러진 다중 곡률부를 포함하는 곡면형 기판; 및
상기 곡면형 기판의 하면에 배치되며, 기판 상에 배치된 화소 어레이층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의 모서리는 상기 다중 곡률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곡면형 기판은 상기 지지 기판을 덮는 곡면형 표시장치.
a flat portion, a first curved portion extending from a first side of the flat portion in a first direction and bent at a first curvature, a second curved portion extending from a second side of the flat portion in a second direction and bent at a second curvature, and a curved substrate including a multiple curvature part bent to multiple curvatures by overlapping the first curvature part and the second curvature part; and
a display modul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urved substrate and including a pixel array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The edge of the substrate is disposed on the multiple curvature,
The substrate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and a support substrate supporting the flexible substrate,
The curved display device covers the support substr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형 기판과 상기 기판을 접착하는 제1 접착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접착층으로부터 상기 제1 곡률부에서 상기 곡면형 기판의 끝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접착층으로부터 상기 다중 곡률부에서 상기 곡면형 기판의 끝단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곡면형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adhesive layer for adhering the curved substrate and the substrate,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the distance from the first adhesive layer to the end of the curved substrate from the first curved portion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first adhesive layer to the end of the curved substrate from the multi-curvature portion. type displa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접착층으로부터 상기 제2 곡률부에서 상기 곡면형 기판의 끝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접착층으로부터 상기 다중 곡률부에서 상기 곡면형 기판의 끝단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곡면형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Based on the second direction, the distance from the first adhesive layer to the end of the curved substrate from the second curved portion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first adhesive layer to the end of the curved substrate from the multi-curvature portion. type display.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곡률부에 배치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모서리와 상기 지지 기판의 모서리는 비스듬하게 절단되거나 만곡된 곡면형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curved display device in which an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disposed on the multi-curvature portion and an edge of the support substrate are obliquely cut or curv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곡률이 상기 제1 곡률보다 큰 경우,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모서리의 제2 방향의 절단 길이는 상기 제1 방향의 절단 길이보다 짧은 곡면형 표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second curvature is greater than the first curvature, the cut length of the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in the second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cut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판의 하면에 배치되는 방열 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방열 기판의 모서리는 상기 다중 곡률부에 배치되는 곡면형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eat dissipation substrat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substrate,
A curved display device in which an edge of the heat dissipation substrate is disposed on the multi-curvature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곡률부에 배치된 상기 방열 기판의 모서리는 비스듬하게 절단된 곡면형 표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curved display device in which an edge of the heat dissipation substrate disposed on the multi-curvature portion is cut obliqu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화소 어레이층을 덮는 배리어 필름; 및
상기 배리어 필름 상에 배치된 편광판을 더 포함하는 곡면형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module is
a barrier film covering the pixel array layer; and
The curved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olarizing plate disposed on the barrier film.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화소 어레이층의 주변의 비표시 영역에 부착된 연성 필름; 및
상기 배리어 필름 상에 부착된 연성 회로 기판을 더 구비하는 곡면형 표시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 flexible film attached to a non-display area around the pixel array layer on the substrate; and
The curved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lexible circuit board attached to the barrier film.
KR1020170085014A 2017-07-04 2017-07-04 Curved display device KR1023563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014A KR102356380B1 (en) 2017-07-04 2017-07-04 Curved display device
KR1020220009846A KR102529573B1 (en) 2017-07-04 2022-01-24 Display device
KR1020230056863A KR20230065220A (en) 2017-07-04 2023-05-02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014A KR102356380B1 (en) 2017-07-04 2017-07-04 Curved display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846A Division KR102529573B1 (en) 2017-07-04 2022-01-24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585A KR20190004585A (en) 2019-01-14
KR102356380B1 true KR102356380B1 (en) 2022-01-26

Family

ID=6502789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014A KR102356380B1 (en) 2017-07-04 2017-07-04 Curved display device
KR1020220009846A KR102529573B1 (en) 2017-07-04 2022-01-24 Display device
KR1020230056863A KR20230065220A (en) 2017-07-04 2023-05-02 Display device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846A KR102529573B1 (en) 2017-07-04 2022-01-24 Display device
KR1020230056863A KR20230065220A (en) 2017-07-04 2023-05-02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5638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46153A (en) 2020-10-30 2022-05-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Cover plat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CN112447110B (en) * 2020-11-30 2022-04-2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Displa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543B1 (en) * 2012-05-17 2013-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Curved dispaly apparatus and multi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16059030A (en) * 2014-09-05 2016-04-2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030B1 (en) * 2013-10-18 2020-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KR102111022B1 (en) * 2014-01-17 2020-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58641B1 (en) * 2015-07-20 2022-0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Curved display device
KR102598739B1 (en) * 2015-12-16 2023-11-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543B1 (en) * 2012-05-17 2013-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Curved dispaly apparatus and multi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16059030A (en) * 2014-09-05 2016-04-2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Portabl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585A (en) 2019-01-14
KR20230065220A (en) 2023-05-11
KR20220015484A (en) 2022-02-08
KR102529573B1 (en)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17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8231829B (en) Display device including color filter
EP3016168B1 (en) Touch panel integrat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453147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612998B1 (en) Display apparatus and multi screen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5381447B2 (en) Electro-optic device
KR102505255B1 (en) Display apparatus
KR102431312B1 (en) Display device
KR102529573B1 (en) Display device
JP6605441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62967B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fingerpring identification sensor
KR102553875B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TWI633657B (en) Display device
KR102338711B1 (en) Curved display device
KR102569691B1 (en) Display device
US1101832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647414B1 (en) Stretchable display device
KR102395860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28945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CN114068637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50839B1 (en) Display device
KR102625725B1 (en) Display apparatus
KR20190043766A (en) Display device
KR102666875B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pad
KR20180061843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