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229B1 -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 - Google Patents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229B1
KR102356229B1 KR1020190114348A KR20190114348A KR102356229B1 KR 102356229 B1 KR102356229 B1 KR 102356229B1 KR 1020190114348 A KR1020190114348 A KR 1020190114348A KR 20190114348 A KR20190114348 A KR 20190114348A KR 102356229 B1 KR102356229 B1 KR 102356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device
iot
information
stat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2834A (ko
Inventor
김동일
조세나
호윤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114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2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32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Abstract

이하의 실시예는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은 셋톱박스 및 IoT 기기가 IoT 서버를 통해 연동되는 환경에서, 셋톱박스 및 컨텐츠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컨텐츠의 재생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재생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여부에 따라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를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Operating Method Of IoT Server For IoT Linkage Service And IoT Server Of Thereof}
이하의 실시예는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IoT 서버에 관한 것이다.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이란, 디지털 네트워킹 기술을 사용자 주변의 사물에 도입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공간적, 시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로서, 기기의 자동화에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현재에는 IoT 환경의 일반화로 모든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는 형태로 발전 중에 있으며,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인식률이 향상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다양한 센서 모듈 및 액추에이터 모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시장에서는 유사한 모듈 또는 기능이 업그레이된 모듈 또는 새로운 모듈들이 출시되는 양이 증가하고 있다.
실시예에서, IoT 기기들 간의 상황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IoT 기기의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여 다른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제어하는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셋톱박스 및 IoT 기기가 상기 IoT 서버를 통해 연동되는 환경에서, 상기 셋톱박스 및 컨텐츠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컨텐츠의 재생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생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여부에 따라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서버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IoT 기기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 상황 정보 및 상기 IoT 기기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상태 변경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여부에 따라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셋톱박스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추천하기 위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 메시지를 상기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여부에 따라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메시지에 대해 수신된 응답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추천하기 위한 메시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는 상기 컨텐츠와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판단 여부에 따라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인공지능 스피커에서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추천하기 위한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제어 메시지를 상기 인공지능 스피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여부에 따라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지능 스피커에 입력된 상기 제어 메시지에 대한 음성 답변에 따른 응답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셋톱박스에서 특정 카테고리의 컨텐츠가 재생됨을 감지하고, 상기 특정 카테고리의 컨텐츠의 재생 이후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IoT 기기가 수동 제어된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상황이 일정 횟수 이상 발생하는 경우, 상기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판단하기 위한 판단 기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의 실행을 동의하지 않는 상황이 일정 횟수 이상 발생하는 경우, 상기 판단 기준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실시예에서, IoT 기기들 간의 상황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IoT 기기의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여 다른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제어하는 연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IoT 기기 간의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IoT 기기 간의 연동 서비스의 일례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IoT 기기 간의 연동 서비스의 다른 일례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IoT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기술적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은 다양한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간의에"와 "바로~간의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IoT 기기 간의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연동 서비스는 셋톱박스 및 IoT 기기들이 IoT 서버를 통해 연동되는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기기들로는 IoT 조명, TV, 인공지능 스피커 등의 기기들이 포함될 수 있고, IoT 서버는 셋톱박스를 통해 출력되는 재생 상황에 대응하여 IoT 조명, TV, 인공지능 스피커 등 중 어느 하나의 IoT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셋톱박스는 별도의 연결된 TV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용하는 장비일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 디바이스(노트북, 태블릿, 스마트TV 등)에서 구현되는 장치도 포함된다. 셋톱박스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셋톱박스가 구현된 장치와 별도의 장치 이거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장치로 해당 장치 내에 셋톱박스 기능이 구현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110)에서 IoT 서버는, 셋톱박스 및 컨텐츠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컨텐츠의 재생 상황 정보를 수신한다.
실시예에서 재생 상황 정보는, 셋톱박스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의 종류에 대한 정보, 재생 시각에 대한 정보, 재생 시간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컨텐츠의 종류로 예를 들어, 실시간 방송, 영화, TV 다시 보기 등 중 어떤 형태의 컨텐츠가 재생되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120)에서 IoT 서버는, 재생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이 필요한지 판단한다.
실시예에서, 셋톱박스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여 IoT 기기의 상태를 제어하는 루틴에 대해 학습하는 딥러닝 과정을 통해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여 IoT 기기의 상태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IoT 서버에서 사용자의 IoT 기기의 사용 패턴을 학습할 수 있고, 학습 결과에 따라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IoT 기기의 상태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IoT 서버에 등록된 패턴에 기초하여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IoT 기기의 상태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oT 기기의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IoT 기기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IoT 기기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재생 상황 정보 및 IoT 기기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상태 변경이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톱박스에서 특정 카테고리의 컨텐츠가 재생되는 상황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수동 제어로 IoT 기기(예컨대 IoT 조명)의 상태 변경이 일정 기준 횟수 이상 발생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가 셋톱박스에서 재생되는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판단하기 위한 판단 기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IoT 서버는 판단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를 IoT 기기 또는 셋톱박스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판단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제공되었으나, 만약 사용자에 의하여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의 실행을 동의하지 않는 상황이 일정 횟수 이상 발생하는 경우, IoT 서버는 해당 판단 기준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단계(130)에서 IoT 서버는, 판단 여부에 따라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를 IoT 기기로 전송한다.
실시예에서,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IoT 기기의 상태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고, 또는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사용자에게 문의한 뒤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상태를 변경하거나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IoT 기기의 상태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경우, IoT 서버는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공지하기 위한 메시지를 IoT 기기 혹은 셋톱박스와 연결된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출력하되, 시각적 또는 청각적 메시지로 출력될 수 있다.
또는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문의하기 위해, IoT 서버는 IoT 기기, 셋톱박스와 연결된 출력 장치(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IoT 기기(예를 들어, 인공지능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문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톱박스 또는 셋톱박스와 연결된 TV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추천하는 메시지가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어 메시지가 셋톱박스 또는 TV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제어 메시지를 인공지능 스피커로 전송하여 인공지능 스피커를 통해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추천하는 메시지가 청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IoT 서버는 IoT 기기의 상태 변경에 대한 문의에 대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면 응답 정보에 대응하여 IoT 기기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IoT 기기로 전송하거나, 제어 정보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셋톱박스 또는 TV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추천하는 메시지가 시각적으로 출력되는 경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에 대해서 동의 및 반대를 위한 두 가지 버튼이 출력되고, 두 가지 버튼 중 사용자로부터의 어느 하나의 버튼의 입력에 따라 생성된 응답 정보를 수신하여, IoT 서버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거나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IoT 서버는 상태 변경의 대상이 되는 IoT 기기로 해당 제어 정보를 전송하여 IoT 기기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추천하기 위한 메시지는 셋톱박스 또는 TV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컨텐츠와 중첩되어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인공지능 스피커를 통해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추천하는 메시지가 청각적으로 출력되는 경우, 해당 메시지의 출력 이후 사용자의 음성 답변을 통해 상태 변경에 대한 동의 또는 반대를 지시하는 응답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 "응"이나 "아니", "싫어" 등의 동의 또는 반대를 위한 음성 답변이 인공지능 스피커로 수신될 수 있다. 수신된 음성 답변에 기초하여 인공지능 스피커 자체 또는 인공지능 스피커와 연동된 별도의 음성 인식 서버를 통해 응답 정보가 생성되고, 생성된 응답 정보는 IoT 서버로 전송된다.
IoT 기기의 상태를 변경하는 일례로, 재생 상황 정보에 셋톱박스를 통해 영화 컨텐츠가 TV로 출력되는 상황이 포함되는 경우, IoT 서버는 실시간으로 IoT 조명의 조도를 판단하고, IoT 조명의 상태를 변경할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IoT 기기 간의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방법은 IoT 서버가 아닌 셋톱박스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셋톱박스에서 IoT 서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의 도 2 및 도 3의 실시예는 IoT 기기 간 연동 서비스의 일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설명에 의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실시예로 확대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IoT 기기 간의 연동 서비스의 일례이다.
실시예는 TV를 통해 또는 빔 프로젝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에 대한 것이다. 실시예에서 TV는 영화 컨텐츠(200)를 출력하고 있으며, 영화 컨텐츠(200)는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셋톱박스로부터 수신하여 출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도시된 장면은 영화 컨텐츠(200)가 재생된 이후 출력되는 화면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IoT 서버는 셋톱박스를 통해 영화 컨텐츠(200)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되기 시작 이후(예를 들어, 영화 재생이 시작된 뒤 수 분 이후에) 상태 변경 추천을 위한 제어 메시지(210)를 셋톱박스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영화 컨텐츠(200)에 중첩되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IoT 서버는 기학습된 상황에 대응하여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대응하여, 영화 컨텐츠(200)의 재생의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영화 볼 때"에 연동된 IoT 기기에 대한 상태 변경이 필요한지 판단하여, IoT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화 컨텐츠의 재생에 대한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여 IoT 기기 중 "거실 조명"을 OFF하는 것으로 제어 정보가 기등록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어 메시지(210)는 IoT 서버에서 영화 컨텐츠(200)의 실행 및 거실 조명이 ON 상태인 상황을 감지하는 경우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 컨텐츠(200)가 실행되었을 시, 거실 조명이 OFF 상태인 경우 제어 메시지(210)는 셋톱박스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 메시지(210)에 의하여 실행 버튼(211) 및 취소 버튼(212)이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셋톱박스 리모컨 또는 TV 리모컨의 버튼 등을 이용한 입력을 통해 제어 메시지(210)에 의하여 추천되는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의 실행을 동의하거나 동의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리모컨의 마이크나 인공지능 스피커형의 셋톱박스를 이용한 음성 인식을 통하여 인식 혹은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답변에 대응하여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의 실행을 동의하거나 동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IoT 기기 간의 연동 서비스의 다른 일례이다.
실시예는, 인공지능 스피커(300)를 통해 음성으로 제어 메시지(310)를 출력하는 형태에 대한 것이다.
해당 실시예를 도 2의 실시예로 확대하면, 영화 컨텐츠(200)의 재생 시 인공지능 스피커(300)에서 음성의 메시지로 제어 메시지(210)의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인공지능 스피커(300)를 통해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추천하는 메시지가 청각적으로 출력되는 경우, 해당 메시지의 출력 이후 사용자의 음성 답변을 통해 상태 변경에 대한 동의 또는 반대할 수 있다. 수신된 음성 답변은 인공지능 스피커 자체 또는 인공지능 스피커와 연동된 별도의 음성 인식 서버를 통해 응답 정보가 생성되고, 생성된 응답 정보를 IoT 서버가 수신 받을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상황 정보는, TV를 통해 불특정 컨텐츠가 재생되는 도중 인공지능 스피커(300)를 통해 음악을 재생하는 상황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어, TV에서 컨텐츠 재생 중에 사용자에 의해 인공지능 스피커(300)에서 음악을 재생하면, 해당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여 TV를 OFF하는 제어 정보가 IoT 서버에 미리 등록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어 메시지(310)는 IoT 서버에서 TV의 실행 및 인공지능 스피커에서 음악이 재생 중인 상황을 감지하는 경우에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인공지능 스피커(300)로 출력되는 제어 메시지(310)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 답변의 응답을 통해 TV를 OFF하는 제어 정보의 실행을 동의하거나 동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IoT 서버의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IoT 서버(400)는 메모리(410)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20)가 포함될 수 있고, IoT 서버(400)의 동작 방법이 메모리(410)에 저장되어 프로세서(4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IoT 서버(400)는, 셋톱박스 및 컨텐츠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컨텐츠의 재생 상황 정보를 수신한다.
실시예에서 재생 상황 정보는, 셋톱박스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의 종류에 대한 정보, 재생 시각에 대한 정보, 재생 시간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컨텐츠의 종류로 예를 들어, 실시간 방송, 영화, TV 다시 보기 등 중 어떤 형태의 컨텐츠가 재생되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IoT 서버(400)는, 재생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이 필요한지 판단한다.
실시예에서, 셋톱박스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여 IoT 기기의 상태를 제어하는 루틴에 대해 학습하는 딥러닝 과정을 통해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여 IoT 기기의 상태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IoT 서버(400)에서 사용자의 IoT 기기의 사용 패턴을 학습할 수 있고, 학습 결과에 따라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IoT 기기의 상태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IoT 서버(400)에 등록된 패턴에 기초하여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IoT 기기의 상태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oT 기기의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IoT 기기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IoT 기기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재생 상황 정보 및 IoT 기기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상태 변경이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톱박스에서 특정 카테고리의 컨텐츠가 재생되는 상황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수동 제어로 IoT 기기(예컨대 IoT 조명)의 상태 변경이 일정 기준 횟수 이상 발생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가 셋톱박스에서 재생되는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oT 서버(400)는, 판단 여부에 따라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를 IoT 기기로 전송한다.
실시예에서,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IoT 기기의 상태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고 또는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사용자에게 문의한 뒤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상태를 변경하거나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IoT 기기의 상태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경우, IoT 서버(400)는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공지하기 위한 메시지를 IoT 기기 혹은 셋톱박스와 연결된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출력하되, 시각적 또는 청각적 메시지로 출력될 수 있다.
또는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문의하기 위해, IoT 서버(400)는 IoT 기기, 셋톱박스와 연결된 출력장치(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IoT 기기(예를 들어,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문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톱박스 또는 셋톱박스와 연결된 TV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추천하는 메시지가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어 메시지가 셋톱박스 또는 TV 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제어 메시지를 인공지능 스피커로 전송하여 인공지능 스피커를 통해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추천하는 메시지가 청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IoT 서버(400)는 IoT 기기의 상태 변경에 대한 문의에 대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면 응답 정보에 대응하여 IoT 기기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IoT 기기로 전송하거나, 제어 정보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셋톱박스 또는 TV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추천하는 제어 메시지가 시각적으로 출력되는 경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에 대해서 동의 및 반대를 위한 두 가지 버튼이 출력되고, 두 가지 버튼 중 사용자로부터의 어느 하나의 버튼의 입력에 따라 생성된 응답 정보를 수신하여 IoT 서버(400)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거나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IoT 서버(400)는 상태 변경의 대상이 되는 IoT 기기로 해당 제어 정보를 전송하여 IoT 기기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추천하기 위한 메시지는 셋톱박스 또는 TV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컨텐츠와 중첩되어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인공지능 스피커를 통해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추천하는 메시지가 청각적으로 출력되는 경우, 해당 메시지의 출력 이후 사용자의 음성 답변을 통해 상태 변경에 대한 동의 또는 반대를 지시하는 응답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 "응"이나 "아니", "싫어" 등의 동의 또는 반대를 위한 음성 답변을 인공지능 스피커로 수신될 수 있다. 수신된 음성 답변에 기초하여 인공지능 스피커 자체 또는 인공지능 스피커와 연동된 별도의 음성 인식 서버를 통해 응답 정보가 생성되고, 생성된 응답 정보는 IoT 서버로 전송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20)

  1.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셋톱박스 및 IoT 기기가 상기 IoT 서버를 통해 연동되는 환경에서, 상기 셋톱박스에서 특정 카테고리의 컨텐츠가 재생됨을 감지하고, 상기 특정 카테고리의 컨텐츠의 재생 이후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IoT 기기가 수동 제어된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상황이 일정 횟수 이상 발생하는 경우, 상기 특정 카테고리의 컨텐츠의 재생에 대응하여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 정보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기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셋톱박스 및 컨텐츠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컨텐츠의 재생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생 상황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판단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여부에 따라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서버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IoT 기기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 상황 정보 및 상기 IoT 기기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상태 변경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서버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여부에 따라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셋톱박스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추천하기 위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 메시지를 상기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서버의 동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여부에 따라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메시지에 대해 수신된 응답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서버의 동작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추천하기 위한 메시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는 상기 컨텐츠와 중첩되어 표시되는,
    IoT 서버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여부에 따라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인공지능 스피커에서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추천하기 위한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제어 메시지를 상기 인공지능 스피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서버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여부에 따라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지능 스피커에 입력된 상기 제어 메시지에 대한 음성 답변에 따른 응답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서버의 동작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의 실행을 동의하지 않는 상황이 일정 횟수 이상 발생하는 경우, 상기 판단 기준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IoT 서버의 동작 방법.
  10. IoT 기기와 연동 서비스를 위한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 및 상기 IoT 기기가 연동되는 환경에서, 상기 셋톱박스에서 특정 카테고리의 컨텐츠가 재생됨을 감지하고, 상기 특정 카테고리의 컨텐츠의 재생 이후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IoT 기기가 수동 제어된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상황이 일정 횟수 이상 발생하는 경우, 상기 특정 카테고리의 컨텐츠의 재생에 대응하여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 정보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기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셋톱박스를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 상황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재생 상황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판단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여부에 따라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11.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셋톱박스 및 IoT 기기가 상기 IoT 서버를 통해 연동되는 환경에서, 상기 셋톱박스에서 특정 카테고리의 컨텐츠가 재생됨을 감지하고, 상기 특정 카테고리의 컨텐츠의 재생 이후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IoT 기기가 수동 제어된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상황이 일정 횟수 이상 발생하는 경우, 상기 특정 카테고리의 컨텐츠의 재생에 대응하여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 정보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기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셋톱박스 및 컨텐츠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컨텐츠의 재생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생 상황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판단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여부에 따라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IoT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IoT 기기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 상황 정보 및 상기 IoT 기기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상태 변경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IoT 서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여부에 따라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셋톱박스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추천하기 위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 메시지를 상기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IoT 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여부에 따라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 메시지에 대해 수신된 응답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IoT 서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추천하기 위한 메시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는 상기 컨텐츠와 중첩되어 표시되는,
    IoT 서버.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여부에 따라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인공지능 스피커에서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추천하기 위한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제어 메시지를 상기 인공지능 스피커로 전송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IoT 서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여부에 따라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공지능 스피커에 입력된 상기 제어 메시지에 대한 음성 답변에 따른 응답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IoT 서버.
  19. 삭제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의 실행을 동의하지 않는 상황이 일정 횟수 이상 발생하는 경우, 상기 판단 기준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를 더 실행하는,
    IoT 서버.
KR1020190114348A 2019-09-17 2019-09-17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 KR102356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348A KR102356229B1 (ko) 2019-09-17 2019-09-17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348A KR102356229B1 (ko) 2019-09-17 2019-09-17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834A KR20210032834A (ko) 2021-03-25
KR102356229B1 true KR102356229B1 (ko) 2022-01-26

Family

ID=75222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348A KR102356229B1 (ko) 2019-09-17 2019-09-17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2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1041A1 (ko) * 2021-12-24 2023-06-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034B1 (ko) * 2017-03-28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514B1 (ko) * 2011-12-27 2018-05-25 오종택 개인환경서비스를 위한 휴대폰과 생활기기, 서비스 서버를 이용한 장치 프로파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9974A (ko) * 2013-09-11 2015-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4021B1 (ko) * 2015-12-23 202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137913A (ko) * 2017-06-20 2018-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034B1 (ko) * 2017-03-28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834A (ko)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1406B2 (ja) 視覚的または聴覚的効果の双方向伝達を利用した映像通話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21170370A (ja) スマートデバイスの識別および制御
US20160291947A1 (en) Method for generating interoperability rules and electronic device
US20210044491A1 (en) Remote control gui for networked touchscreens
JP6582100B2 (ja) 音声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TW201743620A (zh) 視頻播放控制方法、裝置及視頻播放系統
KR20170027707A (ko) 로봇의 활동 모니터링
JP7342286B2 (ja) ヒューマンマシン対話のための音声機能ジャンプ方法、電子機器及び記憶媒体
CN104903863A (zh) 用于虚拟环境的控制反转组件服务模型
US11251987B2 (en) Modification of device settings based on user abilities
US20230043203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scen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9656364B (zh) 一种用于在用户设备上呈现增强现实内容的方法与设备
KR20200038162A (ko) 가상 현실에서 음향 확대 효과 적용을 위한 음향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56229B1 (ko)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
WO2015169138A1 (zh) 智能电视机遥控器的操作指示方法及装置
CN114042310A (zh) 游戏操作数据收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100056338A (ko) 재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gui 테스트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70161B1 (ko)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
KR102512184B1 (ko) 독서 지원 시스템 및 방법
EP3745332B1 (en) Systems,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a building automation environment
KR102070300B1 (ko) 보청기 튜닝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
US10448186B2 (en) Distributed audio mixing
KR102551681B1 (ko) 음량이 조절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10150816A1 (en) Superimposing a virtual representation of a sensor and its detection zone over an image
WO2020144196A1 (en) Determining a light effect based on a light effect parameter specified by a user for other content taking place at a similar lo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