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300B1 - 보청기 튜닝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청기 튜닝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300B1
KR102070300B1 KR1020180055531A KR20180055531A KR102070300B1 KR 102070300 B1 KR102070300 B1 KR 102070300B1 KR 1020180055531 A KR1020180055531 A KR 1020180055531A KR 20180055531 A KR20180055531 A KR 20180055531A KR 102070300 B1 KR102070300 B1 KR 102070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hearing aid
attribute value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0860A (ko
Inventor
지윤상
홍성화
문일준
설혜윤
박희성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180055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30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0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39Aspects relating to automatic logging of sound environment parameters and the performance of the hearing aid during use, e.g. histogram logging, or of user selected programs or settings in the hearing aid, e.g. usage log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1Detection or adaptation of hearing aid parameters or programs to listening situation, e.g. pub, fore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콘텐츠 및 상기 청각 콘텐츠와 유기적으로 결부된 시각 콘텐츠를 포함하는 다중 감각의 테스트 콘텐츠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보청기를 개인화 하는 보청기 튜닝 시스템은, 상기 시각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청각 콘텐츠가 보청기 유닛에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보청기 유닛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청각 콘텐츠를 출력하는 보청기 유닛;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청각 콘텐츠와 유기적으로 결부된 시각 콘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시각 콘텐츠를 참조한 상기 사용자의 청각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을 수용하는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보청기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결정하여 상기 보청기 유닛에 전송하고, 상기 보청기 유닛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결정한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에 기초하여 상기 청각 콘텐츠를 변조하여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청기 튜닝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METHOD, COMPUTER PROGRAM AND SYSTEM FOR TUNING HEARING AID}
본 발명은 보청기 튜닝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청각 콘텐츠 및 청각 콘텐츠와 유기적으로 결부된 시각 콘텐츠를 포함하는 다중 감각의 테스트 콘텐츠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보청기를 개인화 하는 보청기 튜닝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보청기의 튜닝에 있어서 단순히 보청기 유닛의 속성값을 변경하여 사용자가 소정의 기간 동안 착용하게 한 뒤, 해당 기간 동안의 착용 경험을 바탕으로 보청기 유닛을 튜닝 하거나 재튜닝 하였다.
또한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르면 보청기의 튜닝에 있어서 단순히 청각 콘텐츠만을 활용하여 보청기 유닛을 튜닝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다양한 환경에 대응하여 보청기 유닛을 튜닝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며, 심지어 검사의 일정 부분은 청각사와 같은 사람에 의해 수행되었기에 정확하고 일관적인 튜닝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제 보청기 유닛의 사용에 있어서 보청기 유닛의 사용자는 청각 정보와 함께 시각 정보를 사용하여 음향을 인지하는데 반해,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은 시각적 정보에 대한 고려를 전혀 하지 않아 보청기 유닛의 튜닝 환경과 실제 보청기 유닛의 사용 환경과 다소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들은 사용자의 시각적 정보를 전혀 고려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실시간 피드백인 아닌 사용자의 과거 경험에 기초하여 보청기 유닛을 튜닝 하고, 실제 현실의 상황과 동떨어진 상황에서 이루어진 테스트 결과에 기초하여 보청기 유닛을 튜닝하여, 정확한 보청기 유닛의 튜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콘텐츠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상황을 제공함으로써, 보청기 유닛의 튜닝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청각 콘텐츠 뿐만 아니라 청각 콘텐츠와 유기적으로 결부된 시각 콘텐츠까지 함께 제공하여, 실제 상황에 보다 부합하는 환경에서 보청기 유닛의 튜닝이 이루어 지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콘텐츠 및 상기 청각 콘텐츠와 유기적으로 결부된 시각 콘텐츠를 포함하는 다중 감각의 테스트 콘텐츠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보청기를 개인화 하는 보청기 튜닝 시스템은, 상기 시각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청각 콘텐츠가 보청기 유닛에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보청기 유닛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청각 콘텐츠를 출력하는 보청기 유닛;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청각 콘텐츠와 유기적으로 결부된 시각 콘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시각 콘텐츠를 참조한 상기 사용자의 청각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을 수용하는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보청기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결정하여 상기 보청기 유닛에 전송하고, 상기 보청기 유닛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결정한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에 기초하여 상기 청각 콘텐츠를 변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은 난청 보상에 관한 속성값, 피드백 음향 제거에 관한 속성값, 잡음 제거에 관한 속성값, 빔-포밍에 관한 속성값 및 음성 강조에 관한 속성값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콘텐츠는 상기 테스트 콘텐츠의 내용에 대한 질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질의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질의 콘텐츠에 대응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테스트 콘텐츠에 대한 인지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인지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조절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표시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콘텐츠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테스트 콘텐츠는 서로 상이한 환경에 대한 청각 콘텐츠 및 시각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은 길거리 환경, 화자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환경, 화자가 이동하는 환경, 카페 환경, 교실 환경, 이동수단 내부 환경 및 콘텐츠 시청 환경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보청기 튜닝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시선을 인식하는 시선 인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되도록 상기 시각 콘텐츠의 출력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보청기 유닛이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되도록 상기 청각 콘텐츠를 변조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보청기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설정 완료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에 대응되도록 상기 보청기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콘텐츠 및 상기 청각 콘텐츠와 유기적으로 결부된 시각 콘텐츠를 포함하는 다중 감각의 테스트 콘텐츠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보청기를 개인화 하는 보청기 튜닝 방법은, 상기 시각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청각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보청기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시각 콘텐츠를 참조한 상기 사용자의 청각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보청기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결정하여 상기 보청기 유닛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보청기 유닛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에 기초하여 상기 청각 콘텐츠를 변조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보청기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은 난청 보상에 관한 속성값, 피드백 음향 제거에 관한 속성값, 잡음 제거에 관한 속성값, 빔-포밍에 관한 속성값 및 음성 강조에 관한 속성값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콘텐츠는 상기 테스트 콘텐츠의 내용에 대한 질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질의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질의 콘텐츠에 대응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보청기 유닛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테스트 콘텐츠에 대한 인지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인지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조절하여 상기 보청기 유닛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보청기 튜닝 방법은 상기 보청기 유닛에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조절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표시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콘텐츠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테스트 콘텐츠는 서로 상이한 환경에 대한 청각 콘텐츠 및 시각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은 길거리 환경, 화자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환경, 화자가 이동하는 환경, 카페 환경, 교실 환경, 이동수단 내부 환경 및 콘텐츠 시청 환경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보청기 튜닝 방법은 상기 보청기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설정 완료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저장하도록 상기 보청기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학습 콘텐츠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상황을 제공함으로써, 보청기 유닛의 튜닝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청각 콘텐츠 뿐만 아니라 청각 콘텐츠와 유기적으로 결부된 시각 콘텐츠까지 함께 제공하여, 실제 상황에 보다 부합하는 환경에서 보청기 유닛의 튜닝이 이루어 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튜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테스트 콘텐츠가 '화자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환경인 경우'에 대한 것으로, 질의 콘텐츠가 테스트 콘텐츠와 함께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3은 테스트 콘텐츠가 '이동수단의 내부 환경인 경우'에 대한 것으로, 테스트 콘텐츠와 함께 속성값을 표시하는 영상이 표시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보청기 튜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튜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튜닝 시스템은 청각 콘텐츠 및 청각 콘텐츠와 유기적으로 결부(結付)된 시각 콘텐츠를 포함하는 다중 감각의 테스트 콘텐츠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보청기 유닛을 개인화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튜닝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보청기 유닛(200), 디스플레이 장치(300) 및 입력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테스트 콘텐츠를 보청기 유닛(200) 및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제공하고, 입력 장치(400)를 통해 테스트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수용하여 보청기 유닛(200)의 하나 이상의 속성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메모리, 프로세서, 통신 모듈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을 통해 메모리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코드는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메모리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 또는 통신 모듈에 의해 프로세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메모리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다양한 장치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 모듈은 사용자 단말(100)이 디스플레이 장치(300) 및/또는 보청기 유닛(200)에 테스트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입출력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이때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전술한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100)은 휴대용 단말(101)일 수도 있고 퍼스널 컴퓨터(102)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테스트 콘텐츠를 후술하는 보청기 유닛(200) 및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테스트 콘텐츠'는 보청기 유닛을 튜닝하기 위한 콘텐츠로, 청각 콘텐츠 및 청각 콘텐츠와 유기적으로 결부된 시각 콘텐츠를 포함하는 다중 감각의 콘텐츠일 수 있다.
테스트 콘텐츠는 테스트 콘텐츠의 내용에 대한 질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질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이러한 질의 콘텐츠에 대응한 사용자의 입력(가령 입력 장치(400)를 통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테스트 콘텐츠에 대한 인지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인지도에 기초하여 보청기 유닛(200)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술한 과정에 따라 조절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표시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속성값을 표시하는 영상은 테스트 콘텐츠 상에 표시될 수도 있고, 테스트 콘텐츠에 갈음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테스트 콘텐츠는 복수로, 다양한 환경에 대한 청각 콘텐츠 및 시각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테스트 콘텐츠는 길거리 환경, 화자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환경, 화자가 이동하는 환경, 카페 환경, 교실 환경, 이동수단 내부 환경 및 콘텐츠 시청 환경 중 어느 하나의 환경에 대한 콘텐츠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테스트 콘텐츠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가령 주로 차량 내부에서 생활하는 사용자의 경우, 테스트 콘텐츠를 이동 수단 내부 환경에 관한 것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주로 사람과 대화하는 환경에서 생활하는 사용자의 경우, 테스트 콘텐츠를 화자가 이동하는 환경에 대한 것으로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테스트 콘텐츠를 통한 보청기 유닛의 최적 속성값을 획득하고, 설정 완료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획득된 최적 속성값에 대응되도록 보청기 유닛(200)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유닛(200)은 사용자가 주변의 음향을 더욱 잘 들을 수 있도록, 획득된 주변 음향을 적절하게 처리하고 이를 사용자의 청신경계로 제공하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가령 보청기 유닛(200)은 청력이 저하 또는 손실된 상태의 사용자에게 주변 음향을 증폭시켜 전달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유닛(200)은 전술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청각 콘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의 청신경계로 전달할 수도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보청기 유닛(200)은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에 따라 테스트 콘텐츠의 소리를 재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보청기 유닛(200)은 사용자 단말(100)을 비롯한 외부 장치로부터 청각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유닛(200)은 복수개의 속성값(또는 속성 파라미터)에 의해 음향 출력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속성값은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결정한 것 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유닛(200)은 사용자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형태로 청각 콘텐츠를 변조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속성값은 가령 난청 보상에 관한 속성값, 피드백 음향 제거에 관한 속성값, 잡음 제거에 관한 속성값, 빔-포밍에 관한 속성값 및 음성 강조에 관한 속성값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유닛(200)은 좌측 음향과 우측 음향 각각을 출력하기 위한 두 개의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청기 유닛(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신체와 이격 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전술한 보청기 유닛(200)에 의해 출력되는 청각 콘텐츠와 유기적으로 결부된 시각 콘텐츠를 표시하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가령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머리에 쓰고 영상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HMD(Head mounted Display)일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전술한 HMD 외에, TV, 모니터 및 빔-프로젝터 등 다양한 표시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청각 콘텐츠와 유기적으로 결부된 시각 콘텐츠'는 청각 콘텐츠에 의해 묘사되는 상황과 시각 콘텐츠에 의해 묘사되는 상황이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시각 콘텐츠가 운행중인 자동차의 내부에 관한 것일 경우, 청각 콘텐츠는 자동차의 구동 소음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시각 콘텐츠가 사람이 많은 카페 내부에 관한 것일 경우, 청각 콘텐츠는 다수의 화자에 의한 대화 소리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보청기의 튜닝에 있어서, 단순히 보청기 유닛의 속성값을 변경하여 사용자가 소정의 기간 동안 착용하게 한 뒤, 해당 기간 동안의 착용 경험을 바탕으로 보청기 유닛을 튜닝 하거나 재튜닝 하였다. 또한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르면 보청기의 튜닝에 있어서 단순히 청각 콘텐츠만을 활용하여 보청기 유닛을 튜닝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들은 사용자의 실시간 피드백인 아닌 사용자의 과거 경험에 기초하여 보청기 유닛을 튜닝 하거나, 실제 현실의 상황과 동떨어진 상황에서 이루어진 테스트 결과에 기초하여 보청기 유닛을 튜닝하였고, 이에 따라 정확한 보청기 유닛의 튜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콘텐츠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상황을 제공함으로써, 보청기 유닛의 튜닝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청각 콘텐츠 뿐만 아니라 청각 콘텐츠와 유기적으로 결부된 시각 콘텐츠까지 함께 제공하여, 실제 상황에 보다 부합하는 환경에서 보청기 유닛의 튜닝이 이루어 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400)는 테스트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가령 입력 장치(400)는 전술한 시각 콘텐츠를 참조한 사용자의 청각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을 수용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입력 장치(400)는 사용자가 다중 감각에 기초하여 인지한 결과에 기초한 사용자의 반응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 장치(400)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버튼 및 터치패드 등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튜닝 시스템은 사용자의 시선을 인식하는 시선 인식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선 인식 장치(미도시)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표시되는 시각 콘텐츠 상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현재 어디에 머무르는지를 확인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선 인식 장치(미도시) 사용자의 머리 회전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시선을 확인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시선 인식 장치(미도시)로부터 시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되도록 시각 콘텐츠의 출력 위치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보청기 유닛(200)이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되도록 청각 콘텐츠를 변조하여 출력하도록 보청기 유닛(200)을 제어할 수 있다.
가령 대화상대방이 정면에 있는 환경을 가정한 테스트 콘텐츠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고개를 우측으로 회전한 경우, 시선 인식 장치(미도시)는 사용자의 시선이 우측으로 이동하였음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이러한 시선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종래 시선의 우측 부분이 사용자의 정면에 오도록 시각 콘텐츠의 출력 위치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전술한 시선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좌측 보청기 유닛에서 대화상대방의 목소리가 더 크게 출력되도록 보청기 유닛(200)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2내지 도 4를 통하여 다양한 상황에서의 보청기 튜닝 시스템의 각 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테스트 콘텐츠가 '화자(511)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환경인 경우'에 대한 것으로, 질의 콘텐츠(512)가 테스트 콘텐츠와 함께 표시된 화면(510)의 예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테스트 콘텐츠는 보청기 유닛(200)을 튜닝하기 위한 콘텐츠로, 다양한 환경에 대한 청각 콘텐츠 및 시각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테스트 콘텐츠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자(511)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환경에 대한 콘텐츠 일 수 있다.
도 2와 같이 화자(511)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환경인 경우, 청각 콘텐츠는 화자(511)의 위치에 대응되는 방향에서 들려오는 화자(511)의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각 콘텐츠는 화자(511)가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는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시각 콘텐츠를 통하여 화자(511)의 목소리가 어떤 방향에서 어떤 형태로 들릴지 예상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예상을 통하여 콘텐츠를 감상하므로, 보청기 유닛이 사용자의 청각 상태에 보다 부합되도록 튜닝될 수 있다.
한편 테스트 콘텐츠는 테스트 콘텐츠의 내용에 대한 질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질의 콘텐츠(51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테스트 콘텐츠의 질의사항에 대한 답변을 입력 장치(4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입력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여성의 음성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점은?"이라는 질의에 대해서 "[3]CCCCCC"와 같이 응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질의 콘텐츠에 대응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테스트 콘텐츠에 대한 인지도를 산출할 수 있다. 가령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객관식의 질의에 대해 응답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응답의 정답 유무를 확인하고, 정답인 경우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정답이 아닌 경우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100)은 산출된 인지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조절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100)은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볼륨에 관한 속성값을 증가시켜 사용자가 더 큰 소리로 화자(511)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상황을 제공함으로써, 보청기 유닛의 튜닝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청각 콘텐츠 뿐만 아니라 청각 콘텐츠와 유기적으로 결부된 시각 콘텐츠까지 함께 제공하여, 실제 상황에 보다 부합하는 환경에서 보청기 유닛의 튜닝이 이루어 지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테스트 콘텐츠가 '이동수단의 내부 환경인 경우'에 대한 것으로, 테스트 콘텐츠와 함께 속성값을 표시하는 영상(521)이 표시된 화면(520)의 예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다양한 테스트 콘텐츠를 통하여 조절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표시하는 영상(521)을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속성값을 표시하는 영상(5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콘텐츠 상에 표시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달리 테스트 콘텐츠에 갈음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속성값을 표시하는 영상(521)을 통하여 어느 상황에서 어떤 속성값이 어떻게 설정되어있는지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수행되는 보청기 튜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하되,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출력할 테스트 콘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S40) 전술한 바와 같이 테스트 콘텐츠는 복수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보청기 유닛에 복수의 테스트 콘텐츠 중 어떠한 테스트 콘텐츠가 출력되는지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가령 어떤 사용자가 주로 차량 내부에서 생활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 수단 내부 환경에 대한 테스트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주 생활 환경을 고려하여 테스트 콘텐츠를 선택함으로써 적절한 보청기 튜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전술한 단계에서 선택된 테스트 콘텐츠에 포함된 시각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고, 테스트 콘텐츠에 포함된 청각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보청기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S41)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테스트 콘텐츠'는 보청기 유닛을 튜닝하기 위한 콘텐츠로, 청각 콘텐츠 및 청각 콘텐츠와 유기적으로 결부된 시각 콘텐츠를 포함하는 다중 감각의 콘텐츠일 수 있다.
가령 테스트 콘텐츠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자(511)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환경에 대한 콘텐츠 일 수 있다. 도 2와 같이 화자(511)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환경인 경우, 청각 콘텐츠는 화자(511)의 위치에 대응되는 방향에서 들려오는 화자(511)의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각 콘텐츠는 화자(511)가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는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시각 콘텐츠를 통하여 화자(511)의 목소리가 어떤 방향에서 어떤 형태로 들릴지 예상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예상을 통하여 콘텐츠를 감상하므로, 보청기 유닛이 사용자의 청각 상태에 보다 부합되도록 튜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시각 콘텐츠를 참조한 사용자의 청각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을 획득할 수 있다.(S42)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테스트 콘텐츠는 테스트 콘텐츠의 내용에 대한 질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질의 콘텐츠(51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테스트 콘텐츠의 질의사항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즉 답변을 입력 장치(400)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여성의 음성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점은?"이라는 질의에 대한 답변으로 "[3]CCCCCC"와 같은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단계 S42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보청기 유닛(200)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결정하여 보청기 유닛(200)에 전송할 수 있다.(S43)
사용자 단말(100)은 질의 콘텐츠에 대응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테스트 콘텐츠에 대한 인지도를 산출할 수 있다. 가령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객관식의 질의에 대해 응답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응답의 정답 유무를 확인하고, 정답인 경우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정답이 아닌 경우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산출된 인지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조절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100)은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볼륨에 관한 속성값을 증가시켜 사용자가 더 큰 소리로 화자(511)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보청기 유닛(200)이 단계 S43에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에 기초하여 청각 콘텐츠를 변조하여 출력하도록 보청기 유닛(200)을 제어할 수 있다.(S44)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유닛(200)은 복수개의 속성값(또는 속성 파라미터)에 의해 음향 출력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속성값은 사용자 단말(100)이 단계 S43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결정한 것 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유닛(200)은 사용자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형태로 청각 콘텐츠를 변조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속성값은 가령 난청 보상에 관한 속성값, 피드백 음향 제거에 관한 속성값, 잡음 제거에 관한 속성값, 빔-포밍에 관한 속성값 및 음성 강조에 관한 속성값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설정 완료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저장하도록 보청기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S45) 이때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은 단계 S41 내지 S44를 반복하여 수행하여 획득된 최적의 속성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상황을 제공함으로써, 보청기 유닛의 튜닝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청각 콘텐츠 뿐만 아니라 청각 콘텐츠와 유기적으로 결부된 시각 콘텐츠까지 함께 제공하여, 실제 상황에 보다 부합하는 환경에서 보청기 유닛의 튜닝이 이루어 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사용자 단말
101, 102: 사용자 단말
200: 보청기 유닛
300: 디스플레이 장치
400: 입력 장치

Claims (16)

  1. 청각 콘텐츠 및 상기 청각 콘텐츠와 유기적으로 결부된 시각 콘텐츠를 포함하는 다중 감각의 테스트 콘텐츠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보청기를 개인화 하는 보청기 튜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테스트 콘텐츠에 포함된 시각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테스트 콘텐츠에 포함된 청각 콘텐츠가 보청기 유닛에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보청기 유닛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이 결정한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테스트 콘텐츠에 포함된 청각 콘텐츠를 출력하는 보청기 유닛;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테스트 콘텐츠에 포함된 시각 콘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사용자의 테스트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을 수용하는 입력 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시선 위치를 인식하는 시선 인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콘텐츠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테스트 콘텐츠 각각은, 각각의 테스트 콘텐츠가 묘사하는 서로 상이한 환경에 대한 청각 콘텐츠 및 상기 환경에 대한 청각 콘텐츠와 유기적으로 결부된 시각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테스트 콘텐츠에 포함된 청각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되도록 변조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결정하는, 보청기 튜닝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은
    난청 보상에 관한 속성값, 피드백 음향 제거에 관한 속성값, 잡음 제거에 관한 속성값, 빔-포밍에 관한 속성값 및 음성 강조에 관한 속성값 중 적어도 하나인, 보청기 튜닝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테스트 콘텐츠 각각은 테스트 콘텐츠의 내용에 대한 질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질의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테스트 콘텐츠에 포함된 질의 콘텐츠에 대응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선택한 테스트 콘텐츠에 대한 인지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인지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조절하는, 보청기 튜닝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조절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표시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보청기 튜닝 시스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은
    길거리 환경, 화자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환경, 화자가 이동하는 환경, 카페 환경, 교실 환경, 이동수단 내부 환경 및 콘텐츠 시청 환경 중 어느 하나인, 보청기 튜닝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되도록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테스트 콘텐츠에 포함된 시각 콘텐츠의 출력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보청기 튜닝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설정 완료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에 대응되도록 상기 보청기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변경하는, 보청기 튜닝 시스템.
  9. 청각 콘텐츠 및 상기 청각 콘텐츠와 유기적으로 결부된 시각 콘텐츠를 포함하는 다중 감각의 테스트 콘텐츠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보청기를 개인화 하는 보청기 튜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테스트 콘텐츠에 포함된 시각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테스트 콘텐츠에 포함된 청각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보청기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테스트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보청기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결정하여 상기 보청기 유닛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보청기 유닛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에 기초하여 상기 청각 콘텐츠를 변조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보청기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콘텐츠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테스트 콘텐츠 각각은, 각각의 테스트 콘텐츠가 묘사하는 서로 상이한 환경에 대한 청각 콘텐츠 및 상기 환경에 대한 청각 콘텐츠와 유기적으로 결부된 시각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 상의 시선의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보청기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보청기 유닛이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되도록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테스트 콘텐츠에 포함된 청각 콘텐츠를 변조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보청기 튜닝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은
    난청 보상에 관한 속성값, 피드백 음향 제거에 관한 속성값, 잡음 제거에 관한 속성값, 빔-포밍에 관한 속성값 및 음성 강조에 관한 속성값 중 적어도 하나인, 보청기 튜닝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테스트 콘텐츠 각각은 테스트 콘텐츠의 내용에 대한 질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질의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테스트 콘텐츠에 포함된 질의 콘텐츠에 대응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보청기 유닛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선택한 테스트 콘텐츠에 대한 인지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인지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조절하여 상기 보청기 유닛에 전송하는, 보청기 튜닝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 튜닝 방법은
    상기 보청기 유닛에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조절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표시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청기 튜닝 방법.
  13. 삭제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은
    길거리 환경, 화자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환경, 화자가 이동하는 환경, 카페 환경, 교실 환경, 이동수단 내부 환경 및 콘텐츠 시청 환경 중 어느 하나인, 보청기 튜닝 방법.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 튜닝 방법은
    상기 보청기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설정 완료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저장하도록 상기 보청기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청기 튜닝 방법.
  16.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9 항 내지 제12 항 및 제14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55531A 2018-05-15 2018-05-15 보청기 튜닝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 KR102070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531A KR102070300B1 (ko) 2018-05-15 2018-05-15 보청기 튜닝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531A KR102070300B1 (ko) 2018-05-15 2018-05-15 보청기 튜닝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860A KR20190130860A (ko) 2019-11-25
KR102070300B1 true KR102070300B1 (ko) 2020-01-28

Family

ID=6873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531A KR102070300B1 (ko) 2018-05-15 2018-05-15 보청기 튜닝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3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2475A1 (en) * 2021-01-28 2022-08-04 Cochlear Limited Adaptive loudness scali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6876A (ja) * 2004-03-30 2005-10-13 Harmony Hochoki Kk 環境音提示装置及び補聴器調整装置
JP2012156599A (ja) * 2011-01-21 2012-08-16 Panasonic Corp 遠隔補聴器調整システム
KR101255577B1 (ko) * 2012-12-11 2013-04-17 (주)샘물교육정보 난청진단이 가능한 화상보청 단말기
WO2014054215A1 (ja) * 2012-10-02 2014-04-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補聴器
US20160080874A1 (en) * 2014-09-16 2016-03-17 Scott Fullam Gaze-based audio direc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6876A (ja) * 2004-03-30 2005-10-13 Harmony Hochoki Kk 環境音提示装置及び補聴器調整装置
JP2012156599A (ja) * 2011-01-21 2012-08-16 Panasonic Corp 遠隔補聴器調整システム
WO2014054215A1 (ja) * 2012-10-02 2014-04-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補聴器
KR101255577B1 (ko) * 2012-12-11 2013-04-17 (주)샘물교육정보 난청진단이 가능한 화상보청 단말기
US20160080874A1 (en) * 2014-09-16 2016-03-17 Scott Fullam Gaze-based audio dir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860A (ko) 201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17115B2 (ja) オーディオシステムのための修正されたオーディオ体験を生成すること
Hohmann et al. The virtual reality lab: Realization and application of virtual sound environments
CN107168518B (zh) 一种用于头戴显示器的同步方法、装置及头戴显示器
KR20220005564A (ko) 복수의 헤드셋들 간의 오디오 공간화 및 강화
JP2015056905A (ja) 音声の到達性
US11482237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reconstructing speech signa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TW201820315A (zh) 改良型音訊耳機裝置及其聲音播放方法、電腦程式
US11604624B2 (en) Metadata-free audio-object interactions
US10146501B1 (en) Sound control by various hand gestures
US20190102142A1 (en) System with a computing program and a server for hearing device service requests
JP6121606B1 (ja) 聴覚トレーニング装置、聴覚トレーニング装置の作動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847767B2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adjusting an equalizer according to physiological condition of hearing and adjustment method thereof
JP7048784B2 (ja) 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081047A1 (en) Head-Mounted Display With Haptic Output
WO2021169689A1 (zh) 音效优化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KR102070300B1 (ko) 보청기 튜닝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
JP2022533755A (ja) 空間オーディオをキャプチャする装置および関連する方法
Mariette Human factors research in audio augmented reality
KR101609064B1 (ko) 증감 현실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설명서
Brandenburg et al. Creating auditory illusions with binaural technology
US11432078B1 (en)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ed amplification of auditory signals providing enhanced karaoke experience for hearing-deficient users
KR102046856B1 (ko) 청각 교육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
WO2020100583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Marentakis Spatial audio for multimodal location monitoring
CN112752190A (zh) 音频调整方法以及音频调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