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2596A -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2596A
KR20140092596A KR1020130004827A KR20130004827A KR20140092596A KR 20140092596 A KR20140092596 A KR 20140092596A KR 1020130004827 A KR1020130004827 A KR 1020130004827A KR 20130004827 A KR20130004827 A KR 20130004827A KR 20140092596 A KR20140092596 A KR 20140092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ervice menu
menu
us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1810B1 (ko
Inventor
한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4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810B1/ko
Priority to PCT/KR2013/012206 priority patent/WO2014112729A1/ko
Publication of KR20140092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즉,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한 사용자의 1 이상의 접속경로정보 각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접속한 1 이상의 서비스메뉴를 확인하고, 상기 1 이상의 서비스메뉴 각각의 접속정보를 기초로 상기 1 이상의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선호도가 가장 높은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여 상기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초기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MENU BASED ON APPLICATION SERVICE,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서비스 이용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접속한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선호서비스메뉴를 확인하여 해당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단축서비스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장치의 경우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음성 호 서비스와 같은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함께 제공하고 있다.
이에, 사용자는 편의를 위해 자신이 선호하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를 바로 실행하거나, 내지는 직접 접속하기 위한 단축메뉴를 등록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축메뉴의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접속 후에 서비스메뉴 선택 과정과 같은 사용자의 부수적인 행위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의 측면에서는 서비스 이용 시의 추가적인 메뉴 선택의 번잡함, 소요되는 시간 및 그에 따른 불필요한 통신 비용 등의 문제들이 있다.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한 사용자의 1 이상의 접속경로정보 각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접속한 1 이상의 서비스메뉴를 확인하고, 상기 1 이상의 서비스메뉴 각각의 접속정보를 기초로 상기 1 이상의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선호도가 가장 높은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며, 상기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단축서비스메뉴를 생성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초기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으로서, 어플리케이션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한 사용자의 1 이상의 접속경로정보 각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접속한 1 이상의 서비스메뉴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1 이상의 서비스메뉴 각각의 접속정보를 기초로 상기 1 이상의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선호도가 가장 높은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는 서비스장치; 및 상기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단축서비스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초기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서비스장치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한 사용자의 1 이상의 접속경로정보 각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접속한 1 이상의 서비스메뉴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1 이상의 서비스메뉴 각각의 접속정보를 기초로 상기 1 이상의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선호도가 가장 높은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단축서비스메뉴를 생성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초기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정보는, 접속시간 및 접속회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접속정보로부터 확인되는 접속시간 및 접속회수를 기초로 상기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접속시간이 가장 최근이거나, 접속회수가 가장 많은 서비스메뉴 내지는 최종 접속시간 이전의 접속시간이 가장 최근인 서비스메뉴를 상기 선호서비스메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접속경로정보로부터 각각의 서비스메뉴 이후에 접속한 서비스메뉴의 개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서비스메뉴의 개수가 가장 많은 서비스메뉴를 상기 선호서비스메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접속경로정보로부터 특정 서비스메뉴 이후에 접속한 서비스메뉴로부터 회기되어 상기 특정 서비스메뉴를 통해 다른 서비스메뉴로 접속하는 동작이 반복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서비스메뉴를 상기 선호서비스메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방법은 서비스장치가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한 사용자의 1 이상의 접속경로정보 각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접속한 1 이상의 서비스메뉴를 확인하는 서비스확인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1 이상의 서비스메뉴 각각의 접속정보를 기초로 상기 1 이상의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선호도가 가장 높은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는 선호서비스판단단계; 및 사용자장치가 상기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단축서비스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초기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한 사용자의 1 이상의 접속경로정보 각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접속한 1 이상의 서비스메뉴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1 이상의 서비스메뉴 각각의 접속정보를 기초로 상기 1 이상의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선호도가 가장 높은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초기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정보는, 접속시간 및 접속회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접속정보로부터 확인되는 접속시간 및 접속회수를 기초로 상기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접속시간이 가장 최근이거나, 접속회수가 가장 많은 서비스메뉴 내지는 최종 접속시간 이전의 접속시간이 가장 최근인 서비스메뉴를 상기 선호서비스메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접속경로정보로부터 각각의 서비스메뉴 이후에 접속한 서비스메뉴의 개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서비스메뉴의 개수가 가장 많은 서비스메뉴를 상기 선호서비스메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접속경로정보로부터 특정 서비스메뉴 이후에 접속한 서비스메뉴로부터 회기되어 상기 특정 서비스메뉴를 통해 다른 서비스메뉴로 접속하는 동작이 반복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서비스메뉴를 상기 선호서비스메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한 사용자의 1 이상의 접속경로정보 각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접속한 1 이상의 서비스메뉴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1 이상의 서비스메뉴 각각의 접속정보를 기초로 상기 1 이상의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선호도가 가장 높은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초기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생성단계를 수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서비스 이용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접속한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선호서비스메뉴를 확인하여 해당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단축서비스메뉴를 제공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장치(100), 및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서비스메뉴인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는 서비스장치(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서비스는 사용자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 가능한 서비스이거나, 서비스장치(200) 내지는 외부 서버(도시안됨)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웹 서비스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경우 사용자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 가능한 서비스의 형태로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단축서비스메뉴의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초기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로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다양한 아이콘의 형태로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전술한 어플리케이션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개인용컴퓨터(PC), 노트북, 및 테블릿 PC,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자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하며, 상기 서비스장치(200)에 접속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 이용과 관련한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선호서비스메뉴를 확인하여 해당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단축서비스메뉴를 생성하여 사용자장치(100)에 제공하기 위한 서버를 지칭한다.
이러한, 서비스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한 단축서비스메뉴를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장치(100)에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장치(100)와는 별도의 독립적인 구성으로서 동작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사용자장치(100)에서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연계하여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모듈 형태 또한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장치(200)에서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사용자장치(100)에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한 단축서비스메뉴를 생성하여 제공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한 단축서비스메뉴의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 등을 단축서비스메뉴로서 생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단축서비스메뉴를 생성한다 할지라도 어플리케이션서비스 실행 후, 해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추가적인 서비스메뉴 선택 과정과 같은 부수적인 행위가 요구된다.
즉, 사용자가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메뉴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디렉토리 형식으로 되어있는 서비스메뉴 트리를 단계적으로 탐색하면서 원하는 서비스메뉴로 이동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 이용과 관련한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선호서비스메뉴를 확인하여 해당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단축서비스메뉴를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 이용과 관련한 사용자의 접속경로정보를 서비스장치(2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서비스가 실행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이용 과정에서 사용자가 접속한 서비스메뉴에 대한 정보인 접속경로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접속경로정보를 서비스장치(200)에 전달하여 단축서비스메뉴를 요청하게 된다.
여기서, 접속경로정보는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서비스 이용과 관련하여 일정기잔 동안 누적 저장된 로그정보로서, 상기 일정기간 동안 사용자가 접속한 각 서비스메뉴의 접속정보(예: 접속시간, 접속회수)를 포함하게 된다.
서비스장치(200)는 접속경로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접속한 서비스메뉴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장치(200)는 사용자장치(100)로부터 접속경로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접속경로정보로부터 어플리케이션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가 접속한 모든 서비스메뉴를 확인하고, 확인된 서비스메뉴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시간과 접속회수를 확인하게 된다.
아울러, 서비스장치(200)는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200)는 접속경로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접속한 서비스메뉴와 각 서비스메뉴의 접속정보가 확인되면, 접속정보로부터 확인되는 접속시간 및 접속회수를 기초로 각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장치(200)는 최종 접속시간 이전의 접속시간이 가장 최근인 서비스메뉴를 선호서비스메뉴로 판단하거나, 각각의 서비스메뉴 이후에 접속한 서비스메뉴의 개수가 가장 많은 서비스메뉴 또는 특정 서비스메뉴 이후에 접속한 서비스메뉴로부터 회기되어 다른 서비스메뉴로 접속하는 동작이 반복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서비스메뉴를 상기 선호서비스메뉴로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서비스장치(200)는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단축서비스메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200)는 선호서비스메뉴에 대한 판단이 완료되면,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이 가능한 단축서비스메뉴를 생성하고, 생성한 단축서비스메뉴를 사용자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장치(100)로 하여금 단축서비스메뉴를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초기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단축서비스메뉴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특정 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선택 메뉴(예: 아이콘)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특정 서비스메뉴에 해당하는 서비스페이지 그 자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페이지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하여 TV/방송을 많이 구매하는 사용자의 경우 TV/방송 카테고리 페이지가 해당될 수 있으며, 무료 추천 페이지에 많이 접속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무료 추천 페이지가 해당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0)는 접속경로정보로부터 서비스메뉴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부(210),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부(220), 단축서비스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전술한 확인부(210), 판단부(220), 및 생성부(230)를 포함하는 서비스장치(200)의 각 구성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확인부(210)는 접속경로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접속한 서비스메뉴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210)는 사용자장치(1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한 사용자의 접속경로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접속경로정보로부터 어플리케이션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가 접속한 모든 서비스메뉴를 확인하고, 확인된 서비스메뉴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시간과 접속회수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확인부(210)는 서비스메뉴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시간을 확인함으로써, 각 서비스메뉴에 대해 해당 서비스메뉴에 접속하기 이전에 사용자 접속한 서비스메뉴와, 해당 서비스메뉴의 접속 이후 사용자가 접속한 서비스메뉴를 추가적으로 확인하게 된다.
판단부(220)는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단부(220)는 접속경로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접속한 서비스메뉴와 각 서비스메뉴의 접속정보가 확인되면, 접속정보로부터 확인되는 접속시간 및 접속회수를 기초로 각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판단부(220)는 접속시간이 가장 최근이거나, 또는 접속회수가 가장 많은 서비스메뉴를 선호서비스메뉴로서 판단하게 되며, 접속시간 및 접속회수 중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기 위한 우선순위는 운용자 설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메뉴 A의 접속시간이 12:00이고, 서비스메뉴 B의 접속시간은 13:00, 그리고 서비스메뉴 A의 접속회수가 2회이며, 서비스메뉴 B의 접속회수가 1회인 상태에서, 접속시간에 판단 우선순위가 설정된 경우, 서비스메뉴 B가 선호서비스로서 판단되게 되며, 반면, 접속회수에 판단 우선순위가 설정된 경우에는 서비스메뉴 A가 선호서비스메뉴로서 판단되게 된다.
만약, 서비스메뉴 A, 서비스메뉴 B의 접속회수가 모두 2회로 동일하며, 서비스메뉴 A의 접속시간이 13:00이고, 서비스메뉴 B의 접속시간이 14:00인 경우에는 판단 우선순위에 상관 없이 가장 최근에 접속한 서비스메뉴 B가 선호서비스메뉴로서 선택됨은 물론이다.
또한, 판단부(220)는 최종 접속시간 이전의 접속시간이 가장 최근인 서비스메뉴를 선호서비스메뉴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판단부(220)는 서비스메뉴의 접속회수가 동일한 상태에서 최종 접속시간과 최종 접속시간과 이전 접속시간 간의 차이를 기초로 사용자가 최근에 자주 이용한 서비스메뉴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서비스메뉴를 선호서비스메뉴로서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서비스메뉴 A, 서비스메뉴 B의 접속회수가 모두 2회로 동일하며, 서비스메뉴 A의 최종 접속시간이며 14:00, 이전 접속시간이 08:00이며, 서비스메뉴 B의 최종 접속시간이 13:00, 이전 접속시간이 12:00인 경우에는 최종 접속시간에 상관 없이, 접속시간 간의 차이가 작은 서비스메뉴 B를 선호서비스메뉴로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220)는 각각의 서비스메뉴 이후에 접속한 서비스메뉴의 개수가 가장 많은 서비스메뉴를 선호서비스메뉴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판단부(220)는 서비스메뉴 간의 연결 노드 상에서 연결된 브릿지의 개수가 가장 많은 서비스메뉴를 중요도가 가장 높은 선호서비스메뉴로서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접속한 서비스메뉴 간의 연결 노드 상에서, 서비스메뉴 A는 1개의 브릿지(서비스메뉴 B) 가지며, 서비스메뉴 B는 2개의 브릿지(서비스메뉴 C, D)를 갖고, 서비스메뉴 C는 4개의 브릿지(서비스메뉴 E, F, G, H)를 갖는 경우, 4개의 브릿지를 갖는 서비스메뉴 C를 연결 노드 상에서 중요도가 가장 높은 선호서비스메뉴로서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판단부(220)는 특정 서비스메뉴 이후에 접속한 서비스메뉴로부터 회기되어 다른 서비스메뉴로 접속하는 동작이 반복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서비스메뉴를 상기 선호서비스메뉴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판단부(220)는 서비스메뉴 간의 연결 노드 상에서 상위의 노드에 해당하는 특정 서비스메뉴를 통해 최종 노드에 해당하는 다수의 서비스메뉴에 반복 접속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서비스메뉴를 중요도가 가장 높은 선호서비스메뉴로서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접속한 서비스메뉴 간의 연결 노드 상에서, 서비스메뉴 C는 최종 노드에 해당하는 서비스메뉴 E, F, G, H의 상위 노드로서 위치하게 되며, 서비스메뉴 C를 통해 서비스메뉴 E -> F -> G -> H에 순차적인 접속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서비스메뉴 C를 연결 노드 상에서 중요도가 가장 높은 선호서비스메뉴로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판단부(220)는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선호도가 가장 높은 서비스메뉴 하나만을 선호서비스메뉴로 판단하거나, 사용자선호도의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개의 서비스메뉴를 선호서비스메뉴로서 판단할 수 있다.
생성부(230)는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단축서비스메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성부(230)는 선호서비스메뉴에 대한 판단이 완료되면,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이 가능한 단축서비스메뉴를 생성하고, 생성한 단축서비스메뉴를 사용자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장치(100)로 하여금 단축서비스메뉴를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초기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서비스 이용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접속한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선호서비스메뉴를 확인하여 해당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단축서비스메뉴를 생성하여 사용자장치(100)에 제공하고, 사용자장치(100)는 상기 단축서비스메뉴를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초기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단축서비스메뉴를 통해 자신이 선호하는 서비스메뉴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서비스가 실행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이용 과정에서 사용자가 접속한 서비스메뉴에 대한 정보인 접속경로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접속경로정보를 서비스장치(200)에 전달하여 단축서비스메뉴를 요청하게 된다(S110-S120).
이에, 서비스장치(200)는 사용자장치(100)로부터 접속경로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접속경로정보로부터 어플리케이션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가 접속한 모든 서비스메뉴를 확인하고, 확인된 서비스메뉴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시간과 접속회수를 확인하게 된다(S130).
그런 다음, 서비스장치(200)는 접속경로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접속한 서비스메뉴와 각 서비스메뉴의 접속정보가 확인되면, 접속정보로부터 확인되는 접속시간 및 접속회수를 기초로 각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게 된다(S140).
이때, 서비스장치(200)는 최종 접속시간 이전의 접속시간이 가장 최근인 서비스메뉴를 선호서비스메뉴로 판단하거나, 각각의 서비스메뉴 이후에 접속한 서비스메뉴의 개수가 가장 많은 서비스메뉴 또는 특정 서비스메뉴 이후에 접속한 서비스메뉴로부터 회기되어 다른 서비스메뉴로 접속하는 동작이 반복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서비스메뉴를 상기 선호서비스메뉴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서비스장치(200)는 선호서비스메뉴에 대한 판단이 완료되면,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이 가능한 단축서비스메뉴를 생성하고, 생성한 단축서비스메뉴를 사용자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장치(100)로 하여금 단축서비스메뉴를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초기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한다(S150-S170).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확인부(210)는 사용자장치(1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한 사용자의 접속경로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접속경로정보로부터 어플리케이션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가 접속한 모든 서비스메뉴를 확인하고, 확인된 서비스메뉴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시간과 접속회수를 확인하게 된다(S210-S220).
이때, 확인부(210)는 서비스메뉴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시간을 확인함으로써, 각 서비스메뉴에 대해 해당 서비스메뉴에 접속하기 이전에 사용자 접속한 서비스메뉴와, 해당 서비스메뉴의 접속 이후 사용자가 접속한 서비스메뉴를 추가적으로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판단부(220)는 접속경로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접속한 서비스메뉴와 각 서비스메뉴의 접속정보가 확인되면, 접속정보를 기초로 각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게 된다(S230-S250).
이때, 판단부(220)는 접속시간이 가장 최근이거나, 또는 접속회수가 가장 많은 서비스메뉴를 선호서비스메뉴로서 판단하게 되며, 접속시간 및 접속회수 중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기 위한 우선순위는 운용자 설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판단부(220)는 서비스메뉴의 접속회수가 동일한 상태에서 최종 접속시간과 최종 접속시간과 이전 접속시간 간의 차이를 기초로 사용자가 최근에 자주 이용한 서비스메뉴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서비스메뉴를 선호서비스메뉴로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220)는 서비스메뉴 간의 연결 노드 상에서 연결된 브릿지의 개수가 가장 많은 서비스메뉴를 중요도가 가장 높은 선호서비스메뉴로서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판단부(220)는 서비스메뉴 간의 연결 노드 상에서 상위의 노드에 해당하는 특정 서비스메뉴를 통해 최종 노드에 해당하는 다수의 서비스메뉴에 반복 접속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서비스메뉴를 중요도가 가장 높은 선호서비스메뉴로서 판단하게 된다.
이후, 생성부(230)는 선호서비스메뉴에 대한 판단이 완료되면,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이 가능한 단축서비스메뉴를 생성하고, 생성한 단축서비스메뉴를 사용자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장치(100)로 하여금 단축서비스메뉴를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초기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한다(S260-S27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방법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서비스 이용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접속한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선호서비스메뉴를 확인하여 해당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단축서비스메뉴를 생성하여 사용자장치(100)에 제공하고, 사용자장치(100)는 상기 단축서비스메뉴를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초기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단축서비스메뉴를 통해 자신이 선호하는 서비스메뉴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서비스 이용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접속한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선호서비스메뉴를 확인하여 해당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단축서비스메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사용자장치
200: 서비스장치
210: 확인부 220: 판단부
230: 생성부

Claims (13)

  1.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한 사용자의 1 이상의 접속경로정보 각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접속한 1 이상의 서비스메뉴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1 이상의 서비스메뉴 각각의 접속정보를 기초로 상기 1 이상의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선호도가 가장 높은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단축서비스메뉴를 생성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초기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정보는,
    접속시간 및 접속회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접속정보로부터 확인되는 접속시간 및 접속회수를 기초로 상기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접속시간이 가장 최근이거나, 접속회수가 가장 많은 서비스메뉴 내지는 최종 접속시간 이전의 접속시간이 가장 최근인 서비스메뉴를 상기 선호서비스메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접속경로정보로부터 각각의 서비스메뉴 이후에 접속한 서비스메뉴의 개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서비스메뉴의 개수가 가장 많은 서비스메뉴를 상기 선호서비스메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접속경로정보로부터 특정 서비스메뉴 이후에 접속한 서비스메뉴로부터 회기되어 상기 특정 서비스메뉴를 통해 다른 서비스메뉴로 접속하는 동작이 반복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서비스메뉴를 상기 선호서비스메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6. 서비스장치가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한 사용자의 1 이상의 접속경로정보 각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접속한 1 이상의 서비스메뉴를 확인하는 서비스확인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1 이상의 서비스메뉴 각각의 접속정보를 기초로 상기 1 이상의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선호도가 가장 높은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는 선호서비스판단단계; 및
    사용자장치가 상기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단축서비스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초기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방법.
  7.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한 사용자의 1 이상의 접속경로정보 각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접속한 1 이상의 서비스메뉴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1 이상의 서비스메뉴 각각의 접속정보를 기초로 상기 1 이상의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선호도가 가장 높은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초기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정보는,
    접속시간 및 접속회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접속정보로부터 확인되는 접속시간 및 접속회수를 기초로 상기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접속시간이 가장 최근이거나, 접속회수가 가장 많은 서비스메뉴 내지는 최종 접속시간 이전의 접속시간이 가장 최근인 서비스메뉴를 상기 선호서비스메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접속경로정보로부터 각각의 서비스메뉴 이후에 접속한 서비스메뉴의 개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서비스메뉴의 개수가 가장 많은 서비스메뉴를 상기 선호서비스메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접속경로정보로부터 특정 서비스메뉴 이후에 접속한 서비스메뉴로부터 회기되어 상기 특정 서비스메뉴를 통해 다른 서비스메뉴로 접속하는 동작이 반복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서비스메뉴를 상기 선호서비스메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2.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한 사용자의 1 이상의 접속경로정보 각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접속한 1 이상의 서비스메뉴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1 이상의 서비스메뉴 각각의 접속정보를 기초로 상기 1 이상의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선호도가 가장 높은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초기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생성단계를 수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3.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한 사용자의 1 이상의 접속경로정보 각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접속한 1 이상의 서비스메뉴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1 이상의 서비스메뉴 각각의 접속정보를 기초로 상기 1 이상의 서비스메뉴 중 사용자선호도가 가장 높은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단하는 서비스장치; 및
    상기 선호서비스메뉴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단축서비스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초기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시스템.



KR1020130004827A 2013-01-16 2013-01-16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031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827A KR102031810B1 (ko) 2013-01-16 2013-01-16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PCT/KR2013/012206 WO2014112729A1 (ko) 2013-01-16 2013-12-26 세그먼트 생성 및 서비스 메뉴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827A KR102031810B1 (ko) 2013-01-16 2013-01-16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596A true KR20140092596A (ko) 2014-07-24
KR102031810B1 KR102031810B1 (ko) 2019-10-14

Family

ID=51739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827A KR102031810B1 (ko) 2013-01-16 2013-01-16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154A (ko) 2016-12-22 2018-07-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노드들을 논리적으로 그룹화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4812A (ko) * 2005-08-30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동적 메뉴 구성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93585A (ko) * 2006-03-14 2007-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으로의 빠른 접근 방법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4812A (ko) * 2005-08-30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동적 메뉴 구성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93585A (ko) * 2006-03-14 2007-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으로의 빠른 접근 방법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154A (ko) 2016-12-22 2018-07-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노드들을 논리적으로 그룹화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810B1 (ko) 201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1670B2 (en) Method for activating service based on user scenario perception, terminal device, and system
CN103154856B (zh) 针对手势识别的环境相关动态范围控制
US11175968B2 (en) Embedding an interface of one application into an interface of another application
EP2835798B1 (en) Interfacing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speech dialogue service
KR102013338B1 (ko) 서비스 페이지 공유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8949746B2 (en) Providing access for blind users on kiosks
CN110168487B (zh) 一种触摸控制方法及装置
KR20170096408A (ko)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637804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user terminal apparatus which support a messenger service with additional functionality
US9384073B2 (en) Cross-extension messaging using a browser as an intermediary
JP5209016B2 (ja) WebAPI作成支援装置及びWebAPI作成支援方法
CN109739656A (zh) 接口数据模拟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US201701854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controlling composite user interface control
CN105359131B (zh) 栓系选择句柄
US20200218502A1 (en) Cognitive tag library for custom natural language response rendering
EP3416070A1 (en) Page display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00116519A1 (en) Navigation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7862035A (zh) 会议记录的网络读取方法、装置、智能平板和存储介质
KR20140092596A (ko)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110045895B (zh) 信息处理方法、系统、介质和计算设备
US10805176B2 (en) SW framework support method for open IPMI and DCMI development
US20130212088A1 (en) Mobile device having a memo function and method for executing a memo function
CN110519650A (zh) 一种osd语言升级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6302295B (zh) 一种界面显示方法
CN112596812B (zh) 一种操作请求的响应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