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161B1 -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 - Google Patents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161B1
KR102370161B1 KR1020190114838A KR20190114838A KR102370161B1 KR 102370161 B1 KR102370161 B1 KR 102370161B1 KR 1020190114838 A KR1020190114838 A KR 1020190114838A KR 20190114838 A KR20190114838 A KR 20190114838A KR 102370161 B1 KR102370161 B1 KR 102370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information
iot device
control informatio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3289A (ko
Inventor
김동일
조세나
호윤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114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161B1/ko
Publication of KR20210033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Abstract

이하의 실시예는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은 제1 IoT 기기를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제2 IoT 기기에서 컨텐츠의 재생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제2 IoT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결정하여 제2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Operating Method Of IoT Server For IoT Linkage Service And IoT Server Of Thereof}
이하의 실시예는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IoT 서버에 관한 것이다.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이란, 디지털 네트워킹 기술을 사용자 주변의 사물에 도입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공간적, 시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로서, 기기의 자동화에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현재에는 IoT 환경의 일반화로 모든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는 형태로 발전 중에 있으며,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인식률이 향상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다양한 센서 모듈 및 액추에이터 모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시장에서는 유사한 모듈 또는 기능이 업그레이된 모듈 또는 새로운 모듈들이 출시되는 양이 증가하고 있다.
실시예에서, IoT 기기들 간의 상황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IoT 기기의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여 다른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제어하는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에 따른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IoT 기기를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제2 IoT 기기에서 컨텐츠의 재생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제2 IoT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결정하여 상기 제2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서버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IoT 기기의 재생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IoT 기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시청자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 상황 정보는, 상기 제2 IoT 기기를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oT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어 명령에 시간 상황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명령에 시간 상황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제2 IoT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는 상기 시간 상황 정보에 더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IoT 기기를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인공지능 스피커를 통해 음성 형태의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IoT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결정하여 상기 제2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IoT 기기에서 상기 제어 정보의 실행을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2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 메시지는, 상기 컨텐츠와 중첩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의 실행을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2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어린이 컨텐츠인 경우, 캐릭터를 이용한 음성 안내를 포함하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IoT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결정하여 상기 제2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인 경우, 상기 제2 IoT 기기가 종료되거나 잠금설정되도록 상기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IoT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결정하여 상기 제2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VOD인 경우, 상기 VOD의 잔여 재생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잔여 재생 시간이 기준 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VOD의 잔여 재생 시간 이후로 상기 제2 IoT 기기의 종료 혹은 잠금설정을 예약하도록 상기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잔여 재생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VOD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도록 상기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기기의 동작 방법은 IoT 서버를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IoT 기기에서 영상 출력 장치 및 음성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컨텐츠의 재생 상황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출력 장치 및 상기 음성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결정하여 상기 영상 출력 장치 및 상기 음성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측에 따른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제1 IoT 기기를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제2 IoT 기기에서 컨텐츠의 재생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제2 IoT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결정하여 상기 제2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IoT 기기들 간의 상황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IoT 기기의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여 다른 IoT 기기의 상태 변경을 제어하는 연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IoT 기기 간의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IoT 기기에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일례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IoT 기기 간의 연동 서비스의 일례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IoT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기술적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은 다양한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간의에"와 "바로~간의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IoT 기기 간의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연동 서비스는 IoT 기기들이 IoT 서버를 통해 연동되는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기기들로는 셋톱박스, IoT 조명, TV, 인공지능 스피커 등의 기기들이 포함될 수 있고, IoT 서버는 입력되는 제어 명령 및 셋톱박스나 TV 등의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 이상의 IoT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110)에서 IoT 서버는, 제1 IoT 기기를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실시예에서, 제1 IoT 기기는 인공지능 스피커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인공지능 스피커를 실행시키기 위한 음성 형태의 발화어를 포함하여 인공지능 스피커로 음성 형태의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명령은 연동되는 IoT 기기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 명령이 아닌 특정 상황, 특정 모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IoT 기기의 제어 상황에 대한 명령으로, 예를 들어 "TV를 꺼"나 "주방 조명 켜줘"의 특정 IoT 기기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 명령이 아니라 "XX 시간(예를 들어, 밥 먹을 시간이야 등)", "YY 상황(예를 들어, 아기가 열이 나는 상황 등)" 등의 IoT 기기의 특정 없이 제어 상황의 실행에 대한 제어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단계(120)에서 IoT 서버는, 제2 IoT 기기에서 컨텐츠의 재생 상황 정보를 수신한다.
실시예에서 제2 IoT 기기는 IoT 서버에 등록되어 제어가 가능한 IoT 기기로써 영상 또는 음악 등의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IoT기기(예를 들어, TV, 빔 프로젝터, 셋톱박스 또는 인공지능 스피커 등)를 대상으로 한다. 재생 상황 정보는, 셋톱박스 등 제2 IoT 기기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의 종류에 대한 정보, 재생 시각에 대한 정보, 재생 시간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컨텐츠의 종류로 예를 들어, 실시간 방송, 영화, 컨텐츠 다시 보기 등 중 어떤 형태의 컨텐츠가 재생되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IoT 서버는 셋톱박스가 아닌 TV, 빔 프로젝터 또는 인공지능 스피커 등의 제2 IoT 기기를 통해서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재생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단계(110) 이전에 IoT 서버에 제2 IoT 기기의 재생 상황 정보가 수신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제2 IoT 기기의 재생 상황 정보가 IoT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제2 IoT 기기의 사용자의 패턴(예를 들어, 생활 패턴이나 IoT 기기를 사용하는 패턴 등)에 따라, 제2 IoT 기기의 재생 상황 정보를 IoT 서버로 전송하는 시점 혹은 주기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제2 IoT 기기의 재생 상황 정보를 IoT 서버로 전송하는 시점 혹은 주기는 사용자의 수동 설정에 의하여 결정될 수도 있고, 딥러닝 등의 학습 기법을 통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IoT 서버는 재생 중인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의 재생 시각 등을 이용하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시청자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 컨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어린 아이가 시청 중인 것으로 분석할 수 있고, 일반 TV 방송이 재생 중인 경우, 영화 VOD가 재생 중인 경우는 해당 채널 또는 해당 VOD의 선호 성별 및 연령대로 시청자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단계(130)에서 IoT 서버는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제2 IoT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결정하여 제2 IoT 기기로 전송한다.
실시예에서, IoT 서버는 TV, 빔 프로젝터, 셋톱박스 또는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제어 명령 및 재생 상황 정보 각각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할 시, 실시간의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다른 형태의 제어 정보를 생성하거나, 동일한 제어 정보에 대해서 다른 형태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IoT 서버에 등록된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TV, 빔 프로젝터, 셋톱박스 또는 인공지능 스피커의 제어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밥 먹을 시간이야"라는 식사 시간에 대응하는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TV 또는 셋톱박스의 제어, IoT 조명의 제어 등 제어 정보들이 사용자에 의해 기등록될 수 있고, 기등록된 정보를 호출하여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다른 형태로 제어 정보가 저장되거나, IoT 서버에서 자동으로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다른 형태로 제어 정보가 결정되도록 기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컨텐츠가 재생 중인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여 특정한 상황에서 TV 또는 셋톱박스의 상태를 제어하는 루틴에 대해 학습하는 딥러닝 과정을 통해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사 시간이 되면, 재생 중인 TV의 전원을 OFF하거나 재생 중인 VOD를 일시 정지하는 상황 및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어떠한 제어가 입력되는지 등에 대해서 학습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IoT 서버에서 특정 상황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제어 패턴을 학습할 수 있고, 학습 결과에 따라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TV, 빔 프로젝터 또는 셋톱박스의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의 실행 시, IoT 서버는 제2 IoT 기기에서 컨텐츠의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다른 형태로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어린이 컨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일반 TV 방송이 재생 중인 경우, 영화 VOD가 재생 중인 경우 등 재생 중인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다른 제어 정보가 제공되거나 또는 제어 정보가 다른 형태로 안내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IoT 서버는 제2 IoT 기기에서의 제어 정보의 실행을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제2 IoT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는 TV, 빔 프로젝터 또는 셋톱박스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며 음성 안내를 동반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하다시피 컨텐츠의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여 제어 정보가 다른 형태로 안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 컨텐츠가 재생되는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여, 캐릭터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의 실행을 안내하되, 텍스트의 안내는 안내 메시지의 전달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텍스트와 함께 음성 안내가 동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실시간 방송으로 드라마가 재생되는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여, 심플하게 텍스트로 제어 정보의 실행이 안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안내 메시지는 재생 중인 컨텐츠와 중첩되어 디스플레이에 출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어 정보는, TV 또는 셋톱박스의 시청자에 대해서 동의 또는 비동의를 구하여 실행되지 않으며, 제어 명령의 입력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를 위해 앞서 설명된 IoT 기기 간의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방법은 IoT 서버가 아닌 셋톱박스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셋톱박스에서 IoT 서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의 도 2 및 도 3의 실시예는 IoT 기기 간 연동 서비스의 일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설명에 의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실시예로 확대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IoT 기기에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일례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공지능 스피커(20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210)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 명령(210)은 음성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스피커(200)는 IoT 서버로 무선 연결을 위해 와이파이 또는 LTE나 5G등의 무선 인터넷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인공지능 스피커는 제1 IoT 기기 및/또는 제2 IoT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제어 명령(210)은 인공지능 스피커(200)를 실행시키기 위한 음성 형태의 발화어(예를 들어, "클로바" 등)를 포함하고, 제어 상황에 대한 실행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 의한 제어 상황은 "밥 먹을 시간이야"에 대응하고, 인공지능 스피커(200)는 음성 형태의 제어 명령(210)의 입력에 따라 인공지능 스피커(200) 자체 또는 인공지능 스피커(200)와 연동된 별도의 음성 인식 서버를 통해 제어 명령의 텍스트 정보가 생성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의 텍스트 정보가 IoT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입력된 제어 명령(210)에 대응하여 IoT 서버는 제어 정보를 결정하여 컨텐츠가 재생 중인 TV 또는 셋톱박스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된 제어 정보의 안내 메시지는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출력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IoT 기기 간의 연동 서비스의 일례이다.
실시예는, 도 2와 같이 인공지능 스피커(200)를 통해 음성으로 제어 명령(210)이 입력된 이후 제어 정보의 실행을 위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일례에 관한 것이다. 도 2에서 입력된 제어 명령은 "밥 먹을 시간이야"에 대한 것이며, 도 3을 통해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안내 메시지가 다른 형태로 출력될 수 있으며, 제어 정보가 달리 제공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상황 정보는, TV를 통해 어린이 컨텐츠가 재생되는 상황에 대한 것이고, 도 3(b)는 실시간 방송 채널을 통해 드라마가 재생되는 상황에 대한 것이다.
도 3(a)의 실시예에 의하면, 어린이 컨텐츠가 TV에 출력되는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여 "밥 먹을 시간이야"의 실행 시, 캐릭터를 이용하여 "이제 밥 먹을 시간이야!"를 공지하고 이후 TV의 전원 및/또는 셋톱박스의 전원을 OFF하여 컨텐츠의 재생을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서버는 TV의 전원 및/또는 셋톱박스의 전원을 OFF하거나 잠금설정할 수 있으며, 안내 메시지의 공지 이후 즉각 전원을 OFF하거나 잠금설정할 수 있고, 일정 시간 이후 전원을 OFF하거나 잠금설정할 수 있다.
잠금설정이란 제2 IoT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컨텐츠 표시를 중단하고, 별도의 잠금 화면이 표시되는 모드로 동작되는 것이며, 특정 키 또는 비밀번호 입력이 있어야 해당 모드가 해제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3(b)의 실시예에 의하면, 일반 TV 채널이 출력되는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여 "밥 먹을 시간이야"의 실행 시, [밥 먹을 시간]의 실행을 심플하게 공지하고 수초 이후에 TV가 꺼짐(또는 셋톱박스가 꺼짐)을 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서버는 TV의 꺼짐을 공지하고 TV가 꺼지기까지의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안내 메시지는 재생되는 컨텐츠에 중첩되어 컨텐츠를 중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출력될 수 있다.
도 3(a)의 실시예 및 도 3(b)의 실시예는 "밥 먹을 시간이야"에 대한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재생 상황 정보 상황에 따라 다른 형태의 안내 메시지 또는 제어 정보가 제공됨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다른 실시예로, IoT 서버는 "밥 먹을 시간이야"의 실행 시, 다른 재생 상황 정보를 고려하여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 컨텐츠의 실시간 방송 재생 시, 캐릭터를 이용한 안내 메시지의 출력 이후 TV 리모컨 및/또는 셋톱박스 리모컨에 대해 비활성화되도록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VOD 컨텐츠의 재생 중이라면 현재 재생 중인 VOD의 잔여 내용 재생이 완료된 후 전원을 OFF하거나 잠금설정되도록 종료 예약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어린이 컨텐츠가 재생중인 경우 캐릭터를 이용하여 "이번 것만 보고 밥먹자"를 영상 또는 음성으로 공지하고 잔여 내용 재생이 완료된 후 전원을 OFF하거나 잠금설정될 수 있다.
VOD 컨텐츠의 재생 시, VOD의 잔여 재생 시간에 따라 잔여 재생 시간이 일정 시간(예컨대, 5분 등) 이내인 경우, 잔여 재생 시간 이후 전원이 OFF되거나 잠금설정되도록 종료 예약이 설정되고 이러한 종료 예약의 설정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만약 VOD의 잔여 재생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해당 VOD의 재생을 일시 정지(또는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밥 먹을 시간이야"의 제어 상황 이후 인공지능 스피커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명령(예를 들어, "밥 다 먹었네. 다시 보자" 등)을 통해 해당 VOD를 일시 정지된 지점(혹은 종료된 지점)부터 재생되도록 제어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VOD가 다시 재생됨에 대한 안내 메시지(예를 들어, "잘 했어, 이어서 보자" 등)가 출력될 수 있다.
만일 IoT 서버는 제1 IoT 기기를 통해 입력된 제어 상황의 실행에 대한 제어 명령에 시간 상황 정보가 들어가 있다면 그 시간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제2 IoT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금 바로 와서 밥먹어라"의 경우 제2 IoT 기기의 안내 메시지의 공지 이후 즉각 전원을 OFF하거나 잠금설정할 수 있다. 만일 "이번 것만 보고 밥먹어라" 혹은 "5분뒤 밥먹어라"의 경우 현재 재생중인 VOD컨턴츠 재생 완료 또는 5분 후 종료 예약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IoT 서버의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IoT 서버(400)는 메모리(410)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20)가 포함될 수 있고, IoT 서버(400)의 동작 방법이 메모리(410)에 저장되어 프로세서(4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연동 서비스는 IoT 기기들이 IoT 서버(400)를 통해 연동되는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기기들로는 셋톱박스, IoT 조명, TV, 인공지능 스피커 등의 기기들이 포함될 수 있고, IoT 서버(400)는 입력되는 제어 명령 및 셋톱박스나 TV 등의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 이상의 IoT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oT 서버(400)는, 제1 IoT 기기를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실시예에서, 제1 IoT 기기는 인공지능 스피커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인공지능 스피커를 실행시키기 위한 음성 형태의 발화어를 포함하여 인공지능 스피커로 음성 형태의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명령은 연동되는 IoT 기기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 명령이 아닌 특정 상황, 특정 모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IoT 기기의 제어 상황에 대한 것으로, 예를 들어 "TV를 꺼"나 "주방 조명 켜줘"의 직접적인 제어 명령이 아니라 "XX 시간", "YY 상황" 등의 제어 상황의 실행에 대한 제어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입력되는 제어 명령에 시간 상황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IoT 서버(400)는, 제2 IoT 기기에서 컨텐츠의 재생 상황 정보를 수신한다.
실시예에서 제2 IoT 기기는 TV, 빔 프로젝터 또는 셋톱박스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재생 상황 정보는, 셋톱박스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의 종류에 대한 정보, 재생 시각에 대한 정보, 재생 시간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컨텐츠의 종류로 예를 들어, 실시간 방송, 영화, TV 다시 보기 등 중 어떤 형태의 컨텐츠가 재생되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IoT 서버(400)는 셋톱박스가 아닌 TV나 빔 프로젝터를 통해서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재생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oT 서버(400)는 재생 중인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의 재생 시각 등을 이용하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시청자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 컨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어린 아이가 시청 중인 것으로 분석할 수 있고, 일반 TV 방송이 재생 중인 경우, 영화 VOD가 재생 중인 경우는 해당 채널 또는 해당 VOD의 선호 성별 및 연령대로 시청자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IoT 서버(400)는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제2 IoT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결정하여 제2 IoT 기기로 전송한다.
실시예에서, IoT 서버(400)는 TV, 빔 프로젝터 또는 셋톱박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제어 명령 및 재생 상황 정보 각각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할 시, 실시간의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다른 형태의 제어 정보를 생성하거나, 동일한 제어 정보에 대해서 다른 형태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IoT 서버(400)에 등록된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TV, 빔 프로젝터 또는 셋톱박스의 제어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밥 먹을 시간"이라는 식사 시간에 대응하는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TV 또는 셋톱박스의 제어, IoT 조명의 제어 등 제어 정보들이 사용자에 의해 기등록될 수 있고, 기등록된 정보를 호출하여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다른 형태로 제어 정보가 저장되거나, IoT 서버(400)에서 자동으로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다른 형태로 제어 정보가 결정되도록 기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컨텐츠가 재생 중인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여 특정한 상황에서 TV 또는 셋톱박스의 상태를 제어하는 루틴에 대해 학습하는 딥러닝 과정을 통해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사 시간이 되면, 재생 중인 TV의 전원을 OFF하거나 재생 중인 VOD를 일시 정지하는 상황 및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어떠한 제어가 입력되는지 등에 대해서 학습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IoT 서버(400)에서 특정 상황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제어 패턴을 학습할 수 있고, 학습 결과에 따라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TV, 빔 프로젝터 또는 셋톱박스의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의 실행 시, IoT 서버(400)는 제2 IoT 기기에서 컨텐츠의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다른 형태로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어린이 컨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일반 TV 방송이 재생 중인 경우, 영화 VOD가 재생 중인 경우 등 재생 중인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다른 제어 정보가 제공되거나 또는 제어 정보가 다른 형태로 안내될 수 있다.
제어 명령의 실행 시, IoT 서버(400)는 제1 IoT 기기에서 입력된 제어 명령의 시간 상황 정보의 포함여부에 따라 제2 IoT 기기를 다른 형태로 제어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 명령에 포함된 시간 상황 정보에 따라, 제2 IoT 기기에서 재생중인 컨텐츠를 즉시 재생을 종료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종료예약 설정되도록 제2 IoT 기기로 전송할 제어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IoT 서버(400)는 제2 IoT 기기에서의 제어 정보의 실행을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제2 IoT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는 TV, 빔 프로젝터 또는 셋톱박스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며 음성 안내를 동반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하다시피 컨텐츠의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여 제어 정보가 다른 형태로 안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 컨텐츠가 재생되는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여, 캐릭터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의 실행을 안내하되, 텍스트의 안내는 안내 메시지의 전달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텍스트와 함께 음성 안내가 동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실시간 방송으로 드라마가 재생되는 재생 상황 정보에 대응하여, 심플하게 텍스트로 제어 정보의 실행이 안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안내 메시지는 재생 중인 컨텐츠와 중첩되어 디스플레이에 출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어 정보는, TV 또는 셋톱박스의 시청자에 대해서 동의 또는 비동의를 구하여 실행되지 않으며, 제어 명령의 입력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또는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20)

  1.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IoT 기기를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제2 IoT 기기에서 컨텐츠의 재생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제2 IoT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결정하여 상기 제2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IoT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결정하여 상기 제2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VOD인 경우, 상기 VOD의 잔여 재생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잔여 재생 시간이 기준 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VOD의 잔여 재생 시간 이후로 상기 제2 IoT 기기의 종료 혹은 잠금설정을 예약하도록 상기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잔여 재생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VOD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도록 상기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서버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IoT 기기의 재생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IoT 기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시청자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서버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상황 정보는,
    상기 제2 IoT 기기를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의 종류를 포함하는,
    IoT 서버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에 시간 상황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시간 상황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제2 IoT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는 상기 시간 상황 정보에 더 기초하여 결정되는,
    IoT 서버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IoT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결정하여 상기 제2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IoT 기기에서 상기 제어 정보의 실행을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2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서버의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는,
    상기 컨텐츠와 중첩되어 출력되는,
    IoT 서버의 동작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의 실행을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2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어린이 컨텐츠인 경우, 캐릭터를 이용한 음성 안내를 포함하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서버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IoT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결정하여 상기 제2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인 경우, 상기 제2 IoT 기기가 종료되거나 잠금설정되도록 상기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서버의 동작 방법.
  9. 삭제
  10.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IoT 서버를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IoT 기기에서 영상 출력 장치 및 음성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컨텐츠의 재생 상황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출력 장치 및 상기 음성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결정하여 상기 영상 출력 장치 및 상기 음성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결정하여 상기 상기 영상 출력 장치 및 상기 음성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VOD인 경우, 상기 VOD의 잔여 재생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잔여 재생 시간이 기준 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VOD의 잔여 재생 시간 이후로 상기 영상 출력 장치 및 상기 음성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종료 혹은 잠금설정을 예약하도록 상기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잔여 재생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VOD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도록 상기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기기의 동작 방법.
  11.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제1 IoT 기기를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제2 IoT 기기에서 컨텐츠의 재생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제2 IoT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결정하여 상기 제2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실행하고,
    상기 제2 IoT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결정하여 상기 제2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VOD인 경우, 상기 VOD의 잔여 재생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잔여 재생 시간이 기준 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VOD의 잔여 재생 시간 이후로 상기 제2 IoT 기기의 종료 혹은 잠금설정을 예약하도록 상기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잔여 재생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VOD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도록 상기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IoT 기기의 재생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재생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IoT 기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시청자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IoT 서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상황 정보는,
    상기 제2 IoT 기기를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의 종류를 포함하는,
    IoT 서버.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 명령에 시간 상황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실행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시간 상황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제2 IoT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는 상기 시간 상황 정보에 더 기초하여 결정되는,
    IoT 서버.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IoT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결정하여 상기 제2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IoT 기기에서 상기 제어 정보의 실행을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2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IoT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는,
    상기 컨텐츠와 중첩되어 출력되는,
    IoT 서버.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의 실행을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2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가 어린이 컨텐츠인 경우, 캐릭터를 이용한 음성 안내를 포함하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IoT 서버.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IoT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재생 상황 정보에 따라 결정하여 상기 제2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인 경우, 상기 제2 IoT 기기가 종료되거나 잠금설정되도록 상기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IoT 서버.
  20. 삭제
KR1020190114838A 2019-09-18 2019-09-18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 KR102370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838A KR102370161B1 (ko) 2019-09-18 2019-09-18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838A KR102370161B1 (ko) 2019-09-18 2019-09-18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289A KR20210033289A (ko) 2021-03-26
KR102370161B1 true KR102370161B1 (ko) 2022-03-03

Family

ID=75259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838A KR102370161B1 (ko) 2019-09-18 2019-09-18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1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084B1 (ko) 2013-07-31 2014-12-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외부 출력 기기의 연결 상태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25034B1 (ko) * 2017-03-28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0300B1 (ko) 2018-03-07 2019-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90279655A1 (en) 2018-03-12 2019-09-12 Amazon Technologies, Inc. Detection of tv state using sub-audible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412B1 (ko) * 2009-03-18 2011-04-11 (주)다인시스 디지털티비와 네트워크 사용의 감시가 가능한 원격제어시스템
KR101631594B1 (ko) * 2012-01-09 2016-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16158B1 (ko) * 2012-08-06 2016-04-27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프로그램 장시간 시청 방지 방법 및 장치
KR20140094132A (ko) * 2013-01-21 201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29974A (ko) * 2013-09-11 2015-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56397A (ko) * 2013-11-15 2015-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의 알림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88443B1 (ko) * 2015-04-01 2020-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70069599A (ko) * 2015-12-11 201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344021B1 (ko) * 2015-12-23 202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99124B1 (ko) * 2016-01-21 2023-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80137913A (ko) * 2017-06-20 2018-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89914B1 (ko) * 2017-09-15 2023-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084B1 (ko) 2013-07-31 2014-12-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외부 출력 기기의 연결 상태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25034B1 (ko) * 2017-03-28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0300B1 (ko) 2018-03-07 2019-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90279655A1 (en) 2018-03-12 2019-09-12 Amazon Technologies, Inc. Detection of tv state using sub-audible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289A (ko)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9230B2 (en) Passive data collection from third-party channel applications
US9967613B2 (en) Reception device, reception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1792464B2 (en) Determining context to initiate interactivity
US2016032348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ynching supplemental audio content to video content
TW201743620A (zh) 視頻播放控制方法、裝置及視頻播放系統
US20140142762A1 (en) Ambient light effects based on video via home automation
JP2006518063A (ja) メディアストリームの選択用および上演用のブックマークおよびウオッチポイント
CN113242444B (zh) 一种显示设备、服务器及媒资播放方法
US11825148B2 (en) Expiring synchronized supplemental content in time-shifted media
WO2017016155A1 (zh) 元素调整方法、设备及系统
KR1023001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무선 연결을 위한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및 그 셋톱박스
US20110154387A1 (en) Television authorizing system for playing media content and authorizing method thereof
KR102370161B1 (ko)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
KR102356229B1 (ko)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
KR101616158B1 (ko) 프로그램 장시간 시청 방지 방법 및 장치
US118042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physical activity associated with media content
KR102062922B1 (ko)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 및 장치
KR2023002943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10771846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playing substitutional advertis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50083449A (ko) 프로그램 장시간 시청 방지 방법 및 장치
KR102551681B1 (ko) 음량이 조절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36805B1 (ko) 컨텐츠를 표시하는 도중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CN115119022B (zh) 一种跳过视频广告的控制方法及显示设备
CN115119051B (zh) 一种视频播放控制方法及显示设备
KR102362273B1 (ko) 방송을 중도에 시청한 사용자 단말에 대한 방송 재시청 안내 팝업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