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146B1 -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146B1
KR102356146B1 KR1020200008613A KR20200008613A KR102356146B1 KR 102356146 B1 KR102356146 B1 KR 102356146B1 KR 1020200008613 A KR1020200008613 A KR 1020200008613A KR 20200008613 A KR20200008613 A KR 20200008613A KR 102356146 B1 KR102356146 B1 KR 102356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tyrofoam
solvent
dissolver
polystyrene resin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4858A (ko
Inventor
김신
이필곤
장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인
장경섭
이필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인, 장경섭, 이필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인
Priority to KR1020200008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1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94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06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without chemical reactions
    • C08J11/08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without chemical reactions using selective solvents for polyme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6Polystyr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폐스티로폼을 용해하여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형성하기 위한 용해기; 상기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저장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필터링 하기 위한 복수의 필터부; 필터링된 상기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증류하여 용매와 폴리스티렌 수지를 분리하는 복수의 증류기; 상기 분리된 폴리스티렌 수지를 압출하는 압출기; 및 상기 분리된 용매를 회수하기 위한 용매 회수기;를 포함하는,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WASTE STYROFOAM RE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로폼(styrene foam)은 작은 크기의 폴리스티렌 비드를 소정의 부피를 가지는 구상으로 발포시키고 이를 다시 소정의 공극률을 갖도록 응집시킨 후 필요한 크기로 절단하여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어업 양식장, 농수산물 시장, 건축 현장 등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스티로폼이 폐기물이 되면 공극률 때문에 다른 폐기물 대비 부피가 커서 이를 처리하는데 환경오염 및 처리비용의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따라서, 폐스티로폼을 처리하기 위하여 이를 용융한 이후에 압출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폐스티로폼의 경우에는 순수한 폴리스티렌 만이 버려지는 경우는 거의 없고 다른 이물질과 함께 버려지는 경우가 많아서 이를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이물질을 미리 제거하기 위해서는 시간이나 비용 측면에서 소모가 심하기 때문에 폐스티로폼 처리가 효율적이지 않게 되며, 처리 과정에서 이물질에 의해서 순수한 폴리스티렌의 재활용이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756313 호 (2007. 08. 31)
본 발명은 앞서 기술한 종래의 폐스티로폼 재생 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공정 시간을 단축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폐스티로폼 재생 공정의 효율을 높이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용해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폐스티로폼을 용해하여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형성하기 위한 용해기; 상기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저장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필터링 하기 위한 복수의 필터부; 필터링된 상기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증류하여 용매와 폴리스티렌 수지를 분리하는 복수의 증류기; 상기 분리된 폴리스티렌 수지를 압출하는 압출기; 및 상기 분리된 용매를 회수하기 위한 용매 회수기;를 포함하는,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용해기는 그 측부에 형성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해기는 그 내부에 상기 폐스티로폼에 부착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내부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해기에서 용해된 상기 폐스티로폼 용해물에 대해서 탈유 작업을 행하기 위한 탈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필터부 각각은 교체가능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출기는,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오거; 및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를 압출하는 압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오거의 중간에는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 내에 포함된 용매 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매 회수기에는 내부 압력을 낮추기 위한 감압 펌프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용매 회수기에는 상기 용매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외부 탱크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정 단계별로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설계됨으로써 전체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폐스티로폼 재생 공정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해기에 도어를 설치하여 용해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의 청소가 가능한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폐스티로폼을 재생하기 위한 용해 단계 이전에 폐스티로폼에 부착되어 있던 해초류 및 석회질 등의 이물질의 제거와 같은 전처리를 요하지 않는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100)의 전체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해기(10)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80)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100)의 전체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100)은 폐스티로폼을 용해하여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형성하기 위한 용해기(10),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저장하는 저장조(30), 저장조에 저장된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필터링 하기 위한 복수의 필터부(40), 필터링된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증류하여 용매와 폴리스티렌 수지를 분리하는 복수의 증류기(50), 분리된 용매를 회수하기 위한 용매 회수기(70) 및 분리된 폴리스티렌 수지를 압출하는 압출기(80)를 포함할 수 있다.
용해기(10)에는 폐스티로폼(B)가 투입되고, 투입된 폐스티로폼(B)은 용매에 의해 용해되어 폐스티로폼 용해물(S1)로 될 수 있다. 용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용해기(10)에는 모터(m1)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용해된 폐스티로폼 용해물(S1)이 기 결정된 양만큼 형성되면, 폐스티로폼 용해물(S1)이 밸브(V1)가 달린 라인(L1)을 통해 저장조(30)로 이송될 수 있다.
용해기(10)에서 폐스티로폼의 용해가 진행되면 폐스티로폼에 부착된 이물질이 용해기(10) 내부에 잔존하게 될 수 있다. 용해기(10)는 그 측부에 도어가 형성됨으로써 용해기(10) 내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일에 한 번씩 용해기(10)의 동작을 중지하고 도어를 통해 용해기(10) 내부에 남은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다. 용해기(1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용해기(10)에서 용해된 폐스티로폼 용해물(S1)은 저장조(30)에 우선 저장될 수 있다. 폐스티로폼 용해물(S1)이 저장되는 저장조(30)가 용해기(10)와 별도로 존재함으로써, 용해기(10)의 동작이 중지되더라도 저장조(30) 내에 저장된 폐스티로폼 용해물(S1)이 공급되어서 이후의 폐스티로폼 재생 공정의 연속성이 담보될 수 있다.
그리고, 용해기(10) 내에서 폐스티로폼에 부착된 이물질이 어느 정도 용해기(10) 내에 잔존하면서 저장조(30)로 이송되는 폐스티로폼 용해물(S1)에는 이물질이 소정 정도 제거된 상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폐스티로폼에 포함되는 이물질(예를 들어, 유류)을 좀더 제거하기 위하여, 용해기(10)에서 용해된 폐스티로폼 용해물(S1) 중 적어도 일부가 탈유기(20)로 이송될 수 있다. 특히, 용해기(10)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필터(도 2의 14)에 의해 폐스티로폼에 부착된 이물질(해초류, 석회물, 모래, 금속 등)이 필터링되는데, 필터링된 이물질은 용매에 의해 용해된 폐스티로폼 용해물과 혼재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을 탈유기(20)로 이송하고, 탈유기(20)에서 이물질에 혼재된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이물질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폐스티로폼이 붙어있지 않은 이물질만을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물질을 처리가능한 상태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에 혼재된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이물질과 분리하고 이를 필터부(40)로 이송함으로써 폐스티로폼 용해물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탈유기(20)는 그 동작을 위하여 모터(m2)를 포함할 수 있다. 탈유기(20)에서 탈유 작업이 진행된 폐스티로폼 용해물(S1)은 저장조(30)로 이송될 수 있다.
저장조(30)에 저장된 폐스티로폼 용해물(S1)은 라인(L2)을 통해 복수의 필터부(40)로 이송될 수 있다. 복수의 필터부(40)로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라인(L2) 상에 펌프(P1)가 배치될 수 있다. 펌프(P1)는 폐스티로폼 용해물(S1)을 펌핑하는데 적합한 약액 펌프일 수 있다.
또한, 저장조(30)에 저장된 폐스티로폼 용해물(S1) 중에서 용매 일부가 용해기(10)로 회귀하여 폐스티로폼의 용해에 사용될 수 있다. 저장조(30) 내의 용매를 용해기(10)로 회귀시키기 위하여 펌프(P2)가 사용될 수 있다. 펌프(P2)는 약액 펌프일 수 있다.
복수의 필터부(40)로 이송된 폐스티로폼 용해물(S2)은 필터링이 되어 미세 잔류물을 거를 수 있다. 복수의 필터부(40)에 포함되는 각각의 필터부(40a, 40b)는 그 내부에 교체가능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40)를 복수로 마련함으로써, 필터부(40a, 40b) 내의 필터를 교체하는 작업 중에도 필터링 공정이 중단되지 않고 연속되게 할 수 있다. 필터 교체 등을 고려하여 폐스티로폼 용해물(S2)을 필터부(40a, 40b)에 적절하게 분배하기 위하여 밸브(V3)가 라인(L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밸브(V3)는 바이패스 밸브일 수 있다.
필터링이 완료된 폐스티로폼 용해물(S3)은 라인(L3)을 통해 복수의 증류기(50)로 이송될 수 있다. 증류기(50a, 50b)는 폐스티로폼 용해물(S3)을 증류하여 용매를 폴리스티렌 수지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증류기(50a, 50b)를 복수로 마련함으로써 용해공정과 증류공정 간의 공정시간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공정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류공정이 용해공정보다 3배의 시간이 더 걸리는 경우, 증류기(50a, 50b)를 3개로 마련함으로써 증류공정에 의해서 전체 공정시간이 연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증류기(50a, 50b)가 2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증류공정과 용해공정 간의 공정시간 차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의 증류기(50a, 50b)를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필터부(40)에서 복수의 증류기로 폐스티로폼 용해물(S3)을 이송하기 위하여 라인(L3) 상에 밸브(V4, V5)를 설치할 수 있다. 밸브(V4)는 각각의 필터부(40a, 40b)와 연결되어 필터링된 폐스티로폼 용해물(S3)이 라인(L3)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밸브이고, 밸브(V5)는 라인(L3)을 통해 이송되는 폐스티로폼 용해물(S3)이 복수의 증류기(50a, 50b) 중 어느 하나로 라인(L5)을 통해 보내기 위한 밸브일 수 있다.
복수의 증류기 각각(50a, 50b)의 내부에서는 폐스티로폼 용해물(S3)을 가열하여 폐스티로폼 용해물(S3)에 포함되는 용매를 기체로 만들어서, 폐스티로폼 용해물(S3)을 기체화된 용매와 폴리스티렌 수지로 분리할 수 있다. 폐스티로폼 용해물(S3)에서 기체화된 용매를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모터(m3)를 통해 폐스티로폼 용해물(S3)을 젓을 수 있다.
증류기(50)를 통해 증류된 기체화 용매는 라인(L7)을 통해서 열교환기(60)를 거쳐서 액화되고 액화된 용매는 라인(L8)을 거쳐서 용매 회수기(70)로 회수될 수 있다. 열교환기(60)는 기체화된 용매에서 열을 뺏음으로써 용매를 액화할 수 있다.
용매 회수기(70)에서 회수된 용매는 앞서 폐스티로폼을 용해하기 위한 공정으로 다시 재활용될 수 있다. 용해 공정 쪽으로 회수된 용매를 이송하기 위하여 용매 회수기(70)에는 펌프(P3)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용매 회수기(70) 내의 압력을 낮추기 위하여 펌프(P4)가 설치될 수 있고, 펌프(P4)는 감압펌프일 수 있다. 용매 회수기(70) 내의 압력을 낮춤으로써 라인(L8)을 통한 용매 회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증류기(50) 내에서 용매가 기화되는 온도를 낮추어서 기체 상태의 용매의 온도를 낮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교환기(60)를 통과하여 용매를 액화시키는 소요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어서, 열교환기(60)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용매 회수기(70)에는 용매 회수기(70) 내에 회수된 용매의 수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용매를 보충할 수 있는 외부 탱크(200)가 연결될 수 있다. 용매가 재활용되더라도 공정이 계속되면서 용매가 소모될 수 있기 때문에 그 내부에 용매(S5)를 포함하는 외부 탱크(200)가 연결될 수 있다. 용매 회수기(70) 내의 용매의 수위가 낮아지면 외부 탱크(200)와 용매 회수기(70) 간의 라인(L10) 상에 위치한 펌프(P5)가 동작하여 라인(L10)을 통해 외부 탱크(200)의 용매(S5)가 용매 회수기(70)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증류기(50)에서 용매가 기화됨으로써 남은 폴리스티렌 수지는 라인(L6)을 통해 압출기(80)로 이송될 수 있다. 압출기(80)를 통해 폴리스티렌 수지를 사용가능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압출기(8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해기(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용해기(10)는 폐스티로폼(B)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1), 투입된 폐스티로폼(B)을 용해하여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폐스티로폼(B)과 용매 간을 교반하는 교반장치(12) 및 용해기(10)의 측부에 형성되는 도어(13)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장치(12)는 모터(m1)와 연결되어서 구동될 수 있다.
용해기(10) 내부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 필터(14)가 설치되어 폐스티로폼(B)에 부착되어 있는 해초류, 석회물, 모래 및 금속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폐스티로폼(B)을 용해하기 전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폐스티로폼(B)을 파쇄하고 이물질을 폐스티로폼(B)과 분류하는 전처리 과정을 생략하고 이물질이 부탁된 상태의 폐스티로폼(B)을 용해기(10)로 바로 투입할 수 있어서,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도어(13)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해기(10) 내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필요에 따라 청소하기 위하여 용해기(10) 내부를 개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8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압출기(80)는 폴리스티렌 수지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81), 폴리스티렌 수지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오거(82) 및 폴리스티렌 수지를 압출하는 압출부(84)를 포함하고, 이송 오거(82)의 중간에는 폴리스티렌 수지에 포함되는 용매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부(83)가 형성될 수 있다. 투입구(81)를 통해 증류기(50)로부터 연속적으로 투입되는 폴리스티렌 수지를 이송 오거(82)가 회전하면서 압출부(84) 측으로 서서히 이송할 수 있다. 이송 오거(82)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모터(m4)가 구동할 수 있다. 중간에 배기부(83)가 없으면 폴리스티렌 수지 내에 기체화된 용매가 포함되어 폴리스티렌 수지가 완전히 압축되지 못하고 곳곳에 공극이 존재하는 상태로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기부(83)가 형성됨으로써 폴리스티렌 수지 내의 공극을 제거할 수 있고 공극 내의 기체화된 용매가 빠질 수 있도록 하는 버퍼(buffer)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배기부(83)를 통해 배기된 기체화된 용매는 라인(L9)을 거쳐서 열교환기(60) 측으로 이송될 수 있고, 열교환기(60)에서 액화되어 용매 회수기(70)로 회수될 수 있다.
배기부(83)의 전후에는 이송 오거(82)를 통해 이송되는 폴리스티렌 수지를 연화시키기 위하여 히터(h1, h2)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출기(80)에 배기부(83)를 형성함으로써, 압출 과정에서 폴리스티렌 수지에 잔존할지 모르는 용매를 추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 압출되는 폴리스티렌 수지의 순도를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증류기(50)에서의 증류 공정 후 압출기(80)에 공급되는 폴리스티렌 수지의 순도가 최종 목표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괜찮기 때문에 증류기(50)에서의 증류 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용해기
11 : 투입구
12 : 교반장치
13 : 도어
14 : 내부 필터
20 : 탈유기
30 : 저장조
40 : 필터부
50 : 증류기
60 : 열교환기
70 : 용매 회수기
80 : 압출기
81 : 투입구
82 : 이송 오거
83 : 배기부
84 : 압출부
100 :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
200 : 외부 탱크

Claims (8)

  1. 폐스티로폼을 용해하여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형성하기 위한 용해기;
    상기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저장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필터링 하기 위한 복수의 필터부;
    필터링된 상기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증류하여 용매와 폴리스티렌 수지를 분리하는 복수의 증류기;
    상기 분리된 폴리스티렌 수지를 압출하는 압출기; 및
    상기 분리된 용매를 회수하기 위한 용매 회수기;를 포함하며,
    상기 용매 회수기에서 회수된 용매는 상기 저장조로 이송되어 재활용되고,
    상기 용매 회수기에는 상기 용매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외부 탱크가 연결되는,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해기는 그 측부에 형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해기는 그 내부에 상기 폐스티로폼에 부착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내부 필터를 포함하는,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해기에서 용해된 상기 폐스티로폼 용해물에 대해서 탈유 작업을 행하기 위한 탈유기를 더 포함하는,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터부 각각은 교체가능한 필터를 포함하는,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는,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오거; 및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를 압출하는 압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오거의 중간에는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 내에 포함된 용매 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부가 형성되는,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매 회수기에는 내부 압력을 낮추기 위한 감압 펌프가 연결되는,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
  8. 삭제
KR1020200008613A 2020-01-22 2020-01-22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 KR102356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613A KR102356146B1 (ko) 2020-01-22 2020-01-22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613A KR102356146B1 (ko) 2020-01-22 2020-01-22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858A KR20210094858A (ko) 2021-07-30
KR102356146B1 true KR102356146B1 (ko) 2022-01-27

Family

ID=7714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613A KR102356146B1 (ko) 2020-01-22 2020-01-22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146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9024A (ja) * 1997-02-04 1998-08-18 Norifumi Nagamatsu 廃棄発泡スチロール再生処理方法
KR100406910B1 (ko) * 2002-02-28 2003-11-21 후루가와 히로요시 폴리스티렌 겔 처리시스템 및 용제 분리장치
KR100604557B1 (ko) * 2004-08-31 2006-07-28 이동재 폴리스티렌의 재생 처리장치
KR100756313B1 (ko) * 2005-10-15 2007-09-07 한국화학연구원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
KR102116128B1 (ko) * 2018-10-15 2020-05-27 마나부 오 폴리스티렌 겔 처리시스템과 용제 분리장치 및 발포 폴리스티렌 재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858A (ko)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4213B1 (ko) 알루미늄 및 플라스틱 처리된 용기, 선택적으로 카톤 용기의 구성 성분 분리에 의한 재활용 공정 및 해당 장비
CN101352900A (zh) 塑料产品的循环使用和清洗压碎塑料的方法及其设备
JP6854770B2 (ja) アルミパック、アルミプラスチックラミネート、アルミカートン等の成分分離によるリサイクル方法及び関連設備
CN103990879A (zh) 带元器件电路板的拆解装置及其拆解方法
KR100937022B1 (ko) 원유 속에 포함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원유 전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56146B1 (ko) 폐스티로폼 재생 시스템
US7722759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minerals from mineral feedstock
JP5614089B2 (ja) 樹脂複合物の溶解処理装置、及び、樹脂複合物の溶解処理方法
CN202169259U (zh) 一种塑料回收混炼设备中漂洗槽清洗水循环系统
KR102116128B1 (ko) 폴리스티렌 겔 처리시스템과 용제 분리장치 및 발포 폴리스티렌 재생방법
KR100813337B1 (ko) 친환경 스티로폼 감용기
KR100406910B1 (ko) 폴리스티렌 겔 처리시스템 및 용제 분리장치
JP4376700B2 (ja) スラッジ処理方法
JP2001170937A (ja) フィルム廃棄物再生処理設備およびフィルム廃棄物再生処理方法
WO2004020167A1 (ja) 発泡スチロール樹脂のリサイクル方法
JP2001164035A (ja) 発泡ポリスチレンの再生処理方法及びこの方法に用いられる不純物除去装置
JP2002128948A (ja) ポリスチレンゲル処理システム、溶剤回収装置、および該溶剤の分離装置
JPH11199700A (ja) 発泡プラスチックの処理・再生装置
JP7258485B2 (ja) メタン発酵装置およびメタン発酵方法
JP2000280245A (ja) 遠心式比重分離装置によって廃プラスチックから塩素含有プラスチックを分離する方法
JP2006272103A (ja) 生ごみの前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20090030465A (ko) 폐 플라스틱 재생유 유화장치
JP3258629B2 (ja) 発泡スチロール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1179228A (ja) 金属複合プラスチック廃棄物溶解分離設備における搬出・回収装置
JP2008050521A (ja) 熱硬化性樹脂の分離回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