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194B1 - 수신 장치 및 방법, 송신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수신 장치 및 방법, 송신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194B1
KR102355194B1 KR1020197005707A KR20197005707A KR102355194B1 KR 102355194 B1 KR102355194 B1 KR 102355194B1 KR 1020197005707 A KR1020197005707 A KR 1020197005707A KR 20197005707 A KR20197005707 A KR 20197005707A KR 102355194 B1 KR102355194 B1 KR 102355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form
unit
radio
signal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5072A (ko
Inventor
오사무 이토
이쿠오 야마노
료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55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2Details of protective gar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1281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33Handhel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5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by providing the operator with signals other than visual, e.g. acoustic, hapt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9/00Control of mechanical oscillations, e.g. of amplitude, of frequency, of phase
    • G05D19/02Control of mechanical oscillations, e.g. of amplitude, of frequency, of phas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9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additional data with content streams on multipl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3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for converting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into a haptic signal, e.g. using forc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25/00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cinem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2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wa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15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involving a public display, viewable by several users in a public space outside their home, e.g. movie theatre, information kio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본 개시는, 수신 에어리어에서의 특정 에어리어의 디바이스를 진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신 장치 및 방법, 송신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수신 에어리어 내에 있어서, 각 장착용 수신 장치를 장착한 유저가 자유롭게 활동하고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는, 에어리어 지정용 신호를 송신하고, 그 신호의 도달 범위는, 빔 조사 에어리어로서 도시되어 있다. 빔 조사 에어리어 내에 있는 유저만이,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에 의해 송신된 에어리어 지정용 신호를 수신한다. 본 개시는, 예를 들어 영상이 투사되는 특정 에어리어에 대해서 지향성의 무선 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수신 장치를 진동시키는 영상 투사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신 장치 및 방법, 송신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본 개시는, 수신 장치 및 방법, 송신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 에어리어에서의 특정 에어리어의 디바이스를 진동시킬 수 있도록 한 수신 장치 및 방법, 송신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진동시키는 디바이스는 있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 제2011-59821호 공보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에어리어 중, 특정 에어리어의 디바이스만을 진동시키고자 하는 요구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본 개시는,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신 에어리어에서의 특정 에어리어의 디바이스를 진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기술의 일 측면의 수신 장치는, 진동의 파형을 포함하는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무선 수신부와, 소정의 에어리어에 있어서, 상기 진동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무선 수신부와, 상기 제2 무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상기 진동의 파형을 생성하는 파형 생성부와, 상기 파형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파형에 따라서, 상기 진동을 행하는 진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무선 수신부는, 브로드캐스트로 상기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는, IR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는, 초음파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선 신호는, 상기 진동의 파형을 생성할 때의 장소 한정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를 갖고 있으며, 상기 파형 생성부는, 상기 제1 무선 신호에 있어서 장소 한정이 있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상기 진동의 파형을 생성하고, 상기 파형 생성부는, 상기 제1 무선 신호에 있어서 장소 한정이 없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상기 진동의 파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무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의 중계를 제어하는 중계 제어부와, 상기 중계 제어부에 의해 중계가 제어된 제2 무선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는, 유저에 장착되는 장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정의 에어리어는, 투영기에 의해 영상이 투영되는 투영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다.
본 기술의 일 측면의 수신 방법은, 수신 장치가, 진동의 파형을 포함하는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소정의 에어리어에 있어서, 상기 진동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상기 진동의 파형을 생성하고, 생성된 파형에 따라서, 상기 진동을 행한다.
본 기술의 일 측면의 프로그램은, 진동의 파형을 포함하는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무선 수신부와, 소정의 에어리어에 있어서, 상기 진동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무선 수신부와, 상기 제2 무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상기 진동의 파형을 생성하는 파형 생성부와, 상기 파형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파형에 따라서, 상기 진동을 행하는 진동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킨다.
본 기술의 다른 측면의 송신 장치는, 수신 장치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의 파형을 생성하는 파형 생성부와, 상기 파형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파형을 변조하여, 제1 무선 신호로서 송신하는 제1 무선 송신부와, 상기 진동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생성부와, 상기 제어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제어 정보를 변조하여, 제2 무선 신호로서 소정의 에어리어로 송신하는 제2 무선 송신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무선 송신부는, 브로드캐스트로 상기 제1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무선 송신부는, IR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무선 송신부는, 초음파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선 신호에는, 상기 제어 정보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진동의 파형을 생성할 때의 장소 한정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수신 장치는, 유저에 장착되는 장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정의 에어리어와 동일 방향으로 확장되는 투영 에어리어에 영상을 투영하는 투영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기술의 다른 측면의 송신 방법은, 송신 장치가, 수신 장치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의 파형을 생성하고, 생성된 파형을 변조하여, 제1 무선 신호로서 송신하고, 상기 진동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정보를 변조하여, 제2 무선 신호로서 소정의 에어리어로 송신한다.
본 기술의 다른 측면의 프로그램은, 수신 장치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의 파형을 생성하는 파형 생성부와, 상기 파형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파형을 변조하여, 제1 무선 신호로서 송신하는 제1 무선 송신부와, 상기 진동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생성부와, 상기 제어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제어 정보를 변조하여, 제2 무선 신호로서 소정의 에어리어로 송신하는 제2 무선 송신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킨다.
본 기술의 일 측면에 있어서는, 진동의 파형을 포함하는 제1 무선 신호가 수신되고, 소정의 에어리어에 있어서, 상기 진동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무선 신호가 수신된다. 그리고,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상기 진동의 파형이 생성되고, 생성된 파형에 따라서, 상기 진동이 행해진다.
본 기술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수신 장치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의 파형이 생성되고, 생성된 파형이 변조되어, 제1 무선 신호로서 송신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가 생성되고, 생성된 제어 정보가 변조되어, 제2 무선 신호로서 소정의 에어리어로 송신된다.
본 기술에 의하면, 특정 에어리어의 디바이스를 진동시킬 수 있다. 특히, 수신 에어리어에서의 특정 에어리어의 디바이스를 진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기술의 효과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가적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영상 투사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장착형 수신 장치의 외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에어리어 지정의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영상 투사 시스템의 송신 장치와 장착형 수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송신 장치 및 장착형 수신 장치의 내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제1 무선 송신부가 출력하는 신호의 패킷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2 무선 송신부가 출력하는 신호의 패킷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패킷 송신의 타이밍 차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패킷 송신의 타이밍 차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송신 장치의 송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장착형 수신 장치의 수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장착형 수신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2 무선 수신부 및 제3 무선 송신부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장착형 수신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진동부, 제2 무선 수신부, 제3 무선 송신부의 조합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퍼스널 컴퓨터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영상 투사 시스템의 구성예>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영상 투사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예에 있어서는, 영상 투사 시스템(1)은 송신 장치(11), 유저(13a) 내지 유저(13o)에 장착되어 있는 장착형 수신 장치(12a 내지 12o), 및 수신 에어리어(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형 수신 장치(12a 내지 12o)는,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장착형 수신 장치(12)라 칭해지고, 유저(13a) 내지 유저(13o)는,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유저(13)라 적절히 칭해진다.
송신 장치(11)는,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무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1) 및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2)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무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1)는, 수신 에어리어(14)에 대해서 브로드캐스트용 신호를 송신한다.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2)는, 영상 투사 기능을 갖고 있으며, 수신 에어리어(14)의 영상 투사 기능에 의해 영상이 투사되는 특정 에어리어에 대해서, 특정 에어리어용 신호를 송신한다.
장착형 수신 장치(12)는, 유저(13)에 장착되는 베스트 형상의 수신 장치이다. 장착형 수신 장치(12)는, 무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에어리어(14) 내의 위치에 따라,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2)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장착형 수신 장치(12)는, 유저(13)의 신체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부(31)를 갖고 있으며, 무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1)로부터의 신호 및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2)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유저(13)의 신체를 진동시킨다.
즉, 장착형 수신 장치(12)는,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2)로부터의 신호가 수신된 경우, 브로드캐스트용 신호를 사용하여 유저(13)의 신체를 진동시킨다. 한편,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2)로부터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브로드캐스트용 신호는 사용되지 않는다. 단, 브로드캐스트된 신호의 전부가 이 판정에 기초하는 것은 아니고, 브로드캐스트된 신호 내에서,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2)로부터의 신호를 사용한다고 지시되어 있는 경우로 한다. 이 지시 방법에 관해서는, 범용적인 방법이 이용된다. 이후, 이 지시가 「사용한다」로 되어 있는 신호에 대하여 설명해 간다.
유저(13)는, 장착형 수신 장치(12)를 장착하고, 수신 에어리어(14)를 자유롭게 이동하고 있는 복수 유저 중 한 명이다. 수신 에어리어(14)는, 무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 가능한 에어리어이다.
도 2는, 장착형 수신 장치(12)의 외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형 수신 장치(12)는, 장착형의 재킷(베스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흉부 및 복부 부근에 진동부(31-1 내지 31-4)가 마련되어 있다. 진동부(31-1 내지 31-4)는, 각각 동일한 타이밍에 진동하는 경우도 있으며, 서로 다른 타이밍에 진동하기도 한다. 또한, 재킷의 어깨부에는, 스피커(32R 및 32L)가 마련되어 있으며, 유저(13)는, 진동부(31-1 내지 31-4)의 진동이나 스피커(32R 및 32L)의 음성에 의해, 임장감 넘치는 촉감이나 음성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진동부(31-1 내지 31-4)는,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진동부(31)라 칭해진다. 도 2의 예에 있어서는, 진동부(31)가 4개로 구성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6개나 8개 등 다른 복수 개여도 된다. 진동부(31)는, 좌우 동일한 개수 마련되는, 즉, 짝수 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피커(32R 및 32L)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스피커(32)라 칭해진다.
도 3은,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예에 있어서는, 위에서 본 화상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예에 있어서,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2)에는, 영상 투사 기능으로서, 프로젝터(22a)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빔 조사 에어리어(41)는,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2)로부터 에어리어 지정용 신호가 송신되는 에어리어이다.
프로젝터(22a)는, 빔 조사 에어리어(41)와 동일 에어리어에 영상을 비추는 투영 장치이다. 투영 에어리어(42)는, 프로젝터(22a)에 의해 영상이 투영되는 에어리어이다.
즉, 빔 조사 에어리어(41)와 투영 에어리어(42)는 동일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다. 2개의 에어리어는, 겹쳐 있지만, 엄밀하게는 투영되고 있는 영상 콘텐츠에 대응한 한정된 에어리어만이 빔 조사 에어리어(41)로 되어 있다. 단, 영상 콘텐츠에 따라서는, 빔 조사 에어리어(41)가 넓은 에어리어로 되어도 된다.
도 4는,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2)는, 에어리어 지정용 신호를 송신하는 방향이 바뀐다. 방향의 변화 방법은,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2)가 설치된 대를 회전시키는 방법이 일례이기는 하지만, 그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프로젝터(22a)도 동일한 회전대에 설치되고, 동일축에서 가동한다.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2)가 가동함으로써, 빔 조사 에어리어(41)도 함께 이동해 간다.
도 5는, 에어리어 지정의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의 예에 있어서는, 수신 에어리어(14) 내가 도시되어 있으며, 수신 에어리어(14) 내에 있어서, 장착용 수신 장치(12a 내지 12l)를 장착한 유저(13a 내지 13l)가 자유롭게 활동하고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2)는, 에어리어 지정용 신호를 송신하고, 그 신호의 도달 범위는, 빔 조사 에어리어(41)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예에 있어서는, 유저(13d, 13f, 13g)가 빔 조사 에어리어(41) 내에 있어,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2)에 의해 송신된 에어리어 지정용 신호를 수신한다. 실제로는, 장착형 수신 장치(12)가 빔 조사 에어리어(41) 내에 있는 경우, 장착형 수신 장치(12)가 신호를 수신한다. 단, 송신한 신호가 광을 사용한 경우 등, 장착형 수신 장치(12)의 도시하지 않은 수광부가 광원인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2)의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만 신호를 수신한다.
도 5의 예에 있어서,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2)를 가동시켜 유저(13a)의 방향을 향한 경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유저(13a)에 장착된 장착형 수신 장치(12a)로 되고, 유저(13d, 13f, 13g)의 장착형 수신 장치(12d, 12f, 12g)는 수신을 못하게 된다. 또한,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2)를 유저(13a)의 방향을 향한 채, 유저(13d)가 빔 조사 에어리어(41) 내로 이동하면, 유저(13a 및 13d)의 장착형 수신 장치(12a 및 12d)는, 에어리어 지정용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도 6은, 영상 투사 시스템의 송신 장치와 장착형 수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영상 투사 시스템(1)에 있어서, 송신 장치(11)는, 제1 무선 송신 디바이스부(51) 및 제2 무선 송신 디바이스부(52)를 갖고 있다. 제1 무선 송신 디바이스부(51)는, 도 1의 무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1)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전파를 송신한다. 제2 무선 송신 디바이스부(52)는, 도 1의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2)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광을 발광한다.
장착형 수신 장치(12a 내지 12h)는, 각각 제1 무선 수신 디바이스부(61a 내지 61h) 및 제2 무선 수신 디바이스부(62a 내지 62h)를 갖고 있다. 또한, 제1 무선 수신 디바이스부(61a 내지 61h)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제1 무선 수신 디바이스부(61)라 칭하고, 제2 무선 수신 디바이스부(62a 내지 62h)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제2 무선 수신 디바이스부(62)라 칭한다.
제1 무선 수신 디바이스부(61)는, 제1 무선 송신 디바이스부(51)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한다. 제2 무선 수신 디바이스부(62)는, 제2 무선 송신 디바이스부(52)로부터의 광을 수광한다.
즉, 제1 무선 송신 디바이스부(51)로부터의 전파는, 무지향성으로 송신되고, 제1 무선 수신 디바이스부(61)는, 무지향성으로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송신 디바이스부(51) 및 제1 무선 수신 디바이스부(61)의 사이는, 브로드캐스트로 통신된다. 이에 의해, 전파가 도달하는 수신 에어리어(14) 내이면, 유저(13)의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통신이 확립된다. 제2 무선 송신 디바이스부(52)로부터의 광은, 지향성을 갖고 발광되며, 제2 무선 수신 디바이스(62)는 지향성을 갖고 수광된다. 이에 의해, 제2 무선 송신 디바이스부(52)로부터 조사된 광이 비추는 한정된 범위이며, 또한 제2 무선 수신 디바이스부(62)가 제2 무선 송신 디바이스부(52)의 방향을 향해 광을 수광할 수 있는 자세로 유저(13)가 있는 경우에만 통신이 확립된다. 또한, 제2 무선 송신 디바이스부(52)와 제2 무선 수신 디바이스부(62)의 사이에 차폐물이 있으면 광이 차단되어 통신은 확립되지 않는다.
도 7은, 송신 장치 및 장착형 수신 장치의 내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의 예에 있어서, 송신 장치(11)는, 컨트롤부(101), 파형 생성부(102), 제1 무선 송신부(103), 제어 정보 생성부(104), 및 제2 무선 송신부(105)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착형 수신 장치(12)는 제1 무선 수신부(111), 진동 파형 생성부(112), 진동부(31), 제2 무선 수신부(114), 및 기능 제어부(115)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부(101)는, 진동부(31)를 진동시키기 위한 파형 정보를 파형 생성부(102)로 출력하고, 기능 제어부(115)가 기능 제어하기 위한 제어 조건을 제어 정보 생성부(104)로 출력한다. 파형 생성부(102)는, 컨트롤부(101)로부터의 파형 정보에 기초하여 진동부(31)를 진동시키기 위한 파형 신호를 생성하여 제1 무선 송신부(103)로 출력한다. 제1 무선 송신부(103)는, 제1 무선 송신 디바이스부(51)에 상당하며, 파형 생성부(102)로부터의 파형 신호를 변조하여 무선 신호로서 출력한다.
제어 정보 생성부(104)는, 컨트롤부(101)로부터의 제어 조건에 기초하여, 기능 제어부(115)가 제어 동작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2 무선 송신부(105)로 출력한다. 제2 무선 송신부(105)는, 제2 무선 송신 디바이스부(52)에 상당하며, 제어 정보 생성부(104)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변조하여 무선 신호로서 출력한다.
제1 무선 수신부(111)는, 제1 무선 수신 디바이스부(61)에 상당하며, 제1 무선 송신부(103)로부터 보내져 온 무선 신호를 수신, 복조하여 파형 신호로 하고 진동 파형 생성부(112)로 출력한다. 진동 파형 생성부(112)는, 기능 제어부(115)로부터의 제어 조건에 기초하여, 제1 무선 수신부(111)로부터의 파형 신호를 진동부(31)가 진동하기 위한 파형으로서 생성하고, 진동 파형 신호로서 진동부(31)로 출력한다.
진동부(31)는, 진동 파형 생성부(112)로부터의 진동 파형 신호에 의해 진동한다. 제2 무선 수신부(114)는, 제2 무선 수신 디바이스부(62)에 상당하며, 제2 무선 송신부(105)로부터 보내져 온 무선 신호를 수신, 복조하여 제어 신호로 하고, 기능 제어부(115)로 출력한다. 기능 제어부(115)는, 제2 무선 수신부(114)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조건을 생성하여 진동 파형 생성부(112)로 출력한다.
컨트롤부(101)는, 진동부(31)를 진동시킬 때, 그 진동 파형과 제어 조건을 정해서 파형 생성부(102)와 제어 정보 생성부(104)에 지시를 보낸다. 이때, 컨트롤부(101)는, 도시하지 않은 영상 투사 시스템 전체의 애플리케이션 콘텐츠와 동기 하고 있으며, 또한, 프로젝터(22a)가 투영하고 있는 영상에 적합한 지시를 보낸다. 예를 들어, 투영하고 있는 영상이 유저(13)를 강하게 두드리는 영상이면, 진동부(31)가 강하게 반응하는 진동 파형이 지시된다. 투영하고 있는 영상이 유저를 약하게 건드리는 영상이면, 진동부(31)가 약하게 진동하는 진동 파형이 지시된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기능 제어부(115)로부터의 제어 조건을 진동 파형 생성부(112)에 있어서, 「이용한다/이용하지 않는다」의 판정은, 컨트롤부(101)를 기점으로 하여 파형 생성부(102), 제1 무선 송신부(103), 제1 무선 수신부(111)를 경유하여, 진동 파형 생성부(112)에 전달된다. 따라서, 제2 무선 송신부(105), 제2 무선 수신부(114)의 사이에 통신이 확립되지 않은 경우라도, 진동 파형 생성부(112)의 판정 동작에 의해 진동부(31)를 진동시키는 진동 파형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진동 파형 생성부(112)에 대해서, 복수의 진동부(31)가 설치되어도 된다.
도 8은, 제1 무선 송신부(103)가 출력하는 신호의 패킷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신호는, 헤더와 진동 파형(촉각 신호)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8의 예에 있어서는, 진동 파형에 있어서, 진동부(31)의 액추에이터 1개에 대해서 1개의 무선 채널을 사용하고 있다.
헤더는, 「ID」, 「장소 한정 있음 또는 없음」, 「개시 대기의 유효 시간」의 정보가 저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ID」는, 패킷 ID이며, 제2 무선 송신부(105)로부터의 신호(패킷)와의 대응을 취하고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액추에이터의 진동 파형에 대해서 동일한 ID가 할당되어, 다음의 도 9에서 설명하는 공통의 제어를 받는 일은 가능하다.
「장소 한정 있음 또는 없음」은, 후술하는 도 13의 스텝 S52에 상당하는 정보이다. 즉, 여기에는, 본 패킷에 저장되는 파형을 생성할 때, 장소 한정이 있는 지 여부가 표시되어 있다. 「개시 대기의 유효 시간」은, 「장소 한정 있음」의 경우에, 본 패킷을 수신하고 나서 유효 시간 이후에 제2 무선 수신부(114)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진동 파형 재생이, 「처음에」 ON이 되어도 그 진동 파형은 OFF인 채로 하는 시간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중계에 의해 제2 무선 수신부(114)로부터의 정보가 지연되어 도달한 경우에 대한 대책이다. 또한, ON/OFF를 반복하고 있는 제어의 경우에는, 「처음에」가 아니므로, 유효하다.
도 9는, 제2 무선 송신부(105)가 출력하는 신호의 패킷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신호는, 헤더와 제어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도 9의 예에 있어서는, 제어 정보에 의해, 진동부(31)의 각 액추에이터의 ON/OFF 상태가 전달된다.
헤더는, 「ID」, 「잔여 중계 횟수」, 「중계 방향」 및 「제어 유효 시간」의 정보가 저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ID」는, 패킷 ID이며, 제1 무선 송신부(103)로부터의 패킷(서로 다른 액추에이터의 진동 파형에 의해 공통도 가능)과의 대응을 취하는 것이다.
「잔여 중계 횟수」는, 각 유저에 의한 중계에 있어서, "1"씩 감산된다. 송신 장치(11)로부터, "0"으로 송신되거나, 감산에 의해 "0"으로 된 패킷을 수신한 장착형 수신 장치(12)는 후방으로의 중계는 행하지 않는다. 「중계 방향」은, 예를 들어 「전방위」, 「바로 뒤」, 「대각」 등의 정보를 갖고, 중계는 그것에 따른다.
「제어 유효 시간」은, 특히 제어 정보가 "ON"인 경우(어느 하나의 액추에이터에서도), "OFF"의 패킷 수신을 놓칠 경우, 액추에이터가 항상 계속해서 ON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대책이다. 제1 무선 송신부(103)로부터의 진동 파형이 「수신되지 않은 상태」와의 연계도 취하면서, 외란에 의해 이 상태를 검지하지 못하더라도 액추에이터 구동을 OFF로 할 수 있게 된다.
도 10 및 도 11은, 패킷 송신의 타이밍 차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의 예에 있어서, 제어 패킷은, 제2 무선 송신부(105)로부터의 신호이며, 파형 m패킷(m≥0)은, 제1 무선 송신부(103)로부터의 신호이다.
도 10의 예에 있어서는, <ID: 0>의 제어 패킷의 송신 직후, <ID: 0>의 파형 1패킷이 송신 개시되고, <ID: 1>의 제어 패킷의 송신 직후, <ID: 1>의 파형 n패킷이 송신 개시되며, 그 잠시 후이며, 또한, 파형 n패킷의 송신 완료 전에, <ID: 1>의 파형 2패킷이 송신 개시된다.
즉, <ID: 0>에서, 파형 1패킷의 진동 파형이 제어된다. 단, 제어 패킷 자체에는, 다른 액추에이터의 제어 정보도 포함되어 있지만, "OFF"로 되어 있다.
<ID: 1>에서, 파형 2패킷, 파형 n패킷의 진동 파형이 제어된다. 파형 m패킷이 송신되는 타이밍은, 반드시 제어 패킷의 송신 직후일 필요는 없다.
도 11의 예에 있어서는, <ID: 2>의 제어 패킷의 송신 직후, <ID: 2>의 파형 1패킷과 파형 n패킷이 송신 개시되고, 그 잠시 후에, <ID: 2>의 파형 2패킷이 송신 개시된다.
<ID: 2>의 제어 패킷의 송신 후, <ID: 2-1>의 제어 패킷이 송신되고, <ID: 2-2>의 제어 패킷이 송신되며, 그 후, <ID: 2-3>의 제어 패킷이 순서대로 송신되고 있지만, <ID: 2-1>의 송신 중에, 파형 1패킷의 송신이 완료되어 있고, <ID: 2-2>의 송신 직전에, 파형 2패킷의 송신이 완료되어 있으며, <ID: 2-3>의 제어 패킷이 송신된 후, 파형 n패킷의 송신이 완료되어 있다.
즉, <ID: 2>에서 파형 1패킷, 파형 2패킷, 파형 n패킷의 진동 파형이 제어된다. <ID: 2-*>에서 파형 n패킷의 진동 파형이, ON/OFF 제어된다.
도 11의 예에 있어서는, 파형 m패킷의 송신에 의해 진동 파형의 ON/OFF를 전환하는 것과는 달리, 진동 파형 자체는 오랫동안 계속해서 송신하는 중에, 다른 에어리어에 대해서 서로 다른 제어 패킷을 사용하여, 상이한 타이밍에 진동 파형을 ON/OFF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송신 장치(11)의 송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컨트롤부(101)는, 진동부(31)를 진동시킬 때, 그 진동 파형과 제어 조건을 정하여 파형 생성부(102)와 제어 정보 생성부(104)에 지시를 보낸다.
스텝 S11에 있어서, 제어 정보 생성부(104)는, 컨트롤부(101)로부터의 제어 조건에 기초하여, 기능 제어부(115)가 제어 동작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2 무선 송신부(105)로 출력한다. 스텝 S12에 있어서, 제2 무선 송신부(105)는, 제어 정보 생성부(104)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변조하여 무선 신호로서 출력한다. 즉, 제2 무선 송신부(105)는, 제어 신호가 변조된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스텝 S13에 있어서, 파형 생성부(102)는, 컨트롤부(101)로부터의 파형 정보에 기초하여 진동부(31)를 진동시키기 위한 파형 신호를 생성하여 제1 무선 송신부(103)로 출력한다. 스텝 S14에 있어서, 제1 무선 송신부(103)는, 파형 생성부(102)로부터의 파형 신호를 변조하여 무선 신호로서 출력한다. 즉, 제1 무선 송신부(103)는, 파형 신호가 변조된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컨트롤부(101)는, 스텝 S15에 있어서, 무선 송신을 종료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5에 있어서, 무선 송신을 종료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1로 되돌아가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스텝 S15에 있어서, 무선 송신을 종료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송신 처리는 종료된다.
다음으로, 도 1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장착형 수신 장치(12)의 수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51에 있어서, 제1 무선 수신부(111)는, 무선 신호의 착신/헤더 해석을 행한다. 즉, 제1 무선 수신부(111)는, 무선 신호의 착신을 받아, 무선 복조 처리를 행하고, 파형 신호를 생성함과 함께, 그 파형 신호에 부수되는 헤더를 해석하여 조건, 정보를 얻어, 그들의 파형 신호 및 조건, 정보를, 진동 파형 생성부(112)로 출력한다.
스텝 S52에 있어서, 진동 파형 생성부(112)는, 그 파형 신호의 헤더(도 8)를 참조하여, 장소 한정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52에 있어서, 장소 한정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 기능 제어부(115)로부터의 지시를 이용하기 위해서, 처리는, 스텝 S53으로 진행한다. 스텝 S52에 있어서, 장소 한정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 직접 진동부(31)로 출력하는 파형 신호로 보고, 처리는 스텝 S53 및 S54를 스킵하고, 스텝 S55로 진행한다.
스텝 S53에 있어서, 진동 파형 생성부(112)는, 기능 제어부(115)에, 제2 무선 수신부(114)에서의 수신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기능 제어부(115)에, 제2 무선 수신부(114)로부터의 수신 신호가 얻어지고 있는 경우, 스텝 S53에 있어서, 제2 무선 수신부(114)에서의 수신이 있다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54로 진행한다. 기능 제어부(115)에, 제2 무선 수신부(114)로부터의 수신 신호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 스텝 S53에 있어서, 제2 무선 수신부(114)에서의 수신이 없다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54 및 S55를 스킵하고, 스텝 S56으로 진행한다. 즉, 이 경우, 빔 조사 에어리어(41)에 유저(13)가 없으며, 진동부(31)가 진동하지 않는다.
스텝 S54에 있어서, 진동 파형 생성부(112)는, 기능 제어와 진동이 ON하고 있는지 여부, 즉, 기능 제어부(115)가 진동부(31)를 진동시킬지 여부를 판정한다. 기능 제어부(115)가 제1 무선 수신부(111) 경유로 얻은 지시에 기초하여 진동 파형 생성부(112)의 동작을 제어하여, 진동 파형 생성부(112)가 진동 파형을 생성하여 진동부(31)를 진동시킬지, 진동 파형을 생성시키지 않고 진동부(31)를 진동시킬지의 분기가 행해진다. 진동시킬 경우, 스텝 S54에 있어서, 기능 제어와 진동이 ON 하고 있다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55로 진행한다. 진동시키지 않을 경우, 스텝 S54에 있어서, 기능 제어와 진동이 ON하지 않는다고 판정되어, 스텝 S55은 스킵되고, 처리는 스텝 S56으로 진행한다. 즉, 이 경우, 유저(13)가 빔 조사 에어리어(41)에 있었다고 해도 일률적으로 동작하는 것은 아니고, 기능 제어부(115)로부터의 진동 파형 생성 타이밍 제어 등의 처리도 행해진다.
스텝 S55에 있어서, 진동 파형 생성부(112)는, 진동부(31)를 진동시킨다. 즉, 진동부(31)는, 진동을 생성한다. 스텝 S56에 있어서, 제1 무선 수신부(111)는, 제1 무선 수신부(111) 경유의 무선 신호의 수신이 아직 계속 중인지, 종료할지를 판정한다. 스텝 S56에 있어서, 아직 계속 중이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51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56에 있어서, 종료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도 13의 수신 처리는 종료된다.
도 14는, 장착형 수신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의 A의 예에 있어서는, 장착형 수신 장치(12)를 장착하는 유저(13)를 측면에서 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의 B의 예에 있어서는, 화살표로 빔 진행 방향이 표시되는 빔 조사 에어리어(41, 161a 내지 161c), 장착형 수신 장치(12a)를 장착하는 유저(13a), 장착형 수신 장치(12b)를 장착하는 유저(13b), 장착형 수신 장치(12c)를 장착하는 유저(13c)를 위에서 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빔 조사 에어리어(41)는,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2)로부터 송신된 빔 조사 에어리어이며, 빔 조사 에어리어(161a 내지 161c)는, 빔 조사 에어리어를 대체해서 담당하는 제3 무선 송신부(152a 내지 152c)로부터 각각 송신된 신호의 빔 조사 에어리어이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형 수신 장치(12)는, 유저(13)의 전방면에 장착되는 제2 무선 수신부(151) 및 유저(13)의 배면에 장착되는 제3 무선 송신부(152)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무선 수신부(151a)는,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2)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제2 무선 수신부(151b 및 151c)는, 각각, 제3 무선 송신부(152a 및 152b)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제3 무선 송신부(152a 내지 152c)는, 각각, 제2 무선 수신부(151a 내지 151c) 등이 수신한 신호와 마찬가지의 신호를 순차 송신한다. 제3 무선 송신부(152a 내지 152c)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빔 조사 에어리어(41)의 연장선상의 빔 조사 에어리어(161a 내지 161c)로 퍼진다.
상술한 도 6의 구성의 장착형 수신 장치(12)에 있어서는,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2)로부터 송신한 신호가 광을 사용한 경우에 대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빔 조사 에어리어(41)가 유저(13)의 전방에 조사되면, 빔 조사 에어리어(41)는 유저(13)의 후방에서 도중에 끊긴다.
이에 반하여, 도 14의 구성의 장착형 수신 장치(12)에 있어서는, 제2 무선 수신부(151a)가 수신한 신호를, 제3 무선 송신부(152a)에서 송신함으로써,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2)로부터 송신한 신호의 정보가, 제2 무선 수신부(151b)에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제2 무선 수신부(151b)가 수신한 신호를 제3 무선 송신부(152b)에서 송신함으로써,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22)로부터 송신한 신호의 정보가, 제2 무선 수신부(151c)에 전달된다.
이상에 의해, 유저(13)에 의해 도중에 끊긴 빔 조사 에어리어(41)가 있어도, 그 유저(13)의 후방에 있는 다른 유저에 대해서도 정보 전달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무선 수신부(151) 및 제3 무선 송신부(152)는, 각각 단일이어도 복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제2 무선 수신부(151), 제3 무선 송신부(152)가 신체의 중심(척추의 라인) 대칭으로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엄밀하게는 각각의 무선 송수신부에 연결되는 송수신 디바이스부가 대칭 위치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제2 무선 수신부(151) 및 제3 무선 송신부(152)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의 A의 예에 있어서는, 제2 무선 수신부(151)가 수신한 신호를, 제3 무선 송신부(152)가, 무지향성으로 송신한다. 즉, 제3 무선 송신부(152)는, 제2 무선 수신부(151)에 있어서 수광한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빔 조사 에어리어(1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신체의 반대측 면)에 광각으로 발광한다.
도 15의 B의 예에 있어서는, 제2 무선 수신부(151)가 수신한 신호를, 제2 무선 수신부(151)가 수신한 방향을 고려하여, 유저(13)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빔 조사 에어리어(1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무선 송신부(152)로부터 지향성을 갖고 발광한다.
도 15의 C의 예에 있어서는, 제2 무선 수신부(151)에 의해 수신하였다고 해도, 수신한 신호를, 제3 무선 송신부(152)에서는 송신하지 않는다.
또한, 기능은 이들 3가지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느 기능으로 동작할지는, 별도 정해진 방법에 의해 장착형 수신 장치(12) 내에서 판정된다. 별도 정해진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터된 신호상에 정보가 나타나 있는 방법, 예를 들어 제2 무선 수신부(151)가 수신한 신호상에 정보가 나타나 있는 방법, 예를 들어 시스템을 구동한 시점에서 장착형 수신 장치(12)에 설정되어 있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도 16은, 장착형 수신 장치(12)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의 장착형 수신 장치(12)는, 제1 무선 수신부(111), 진동 파형 생성부(112), 진동부(31)를 구비하는 점은, 도 7의 장착형 수신 장치(12)와 공통되어 있다.
도 16의 장착형 수신 장치(12)는, 제2 무선 수신부(114)가, 도 14의 제2 무선 수신부(151)와 대체된 점, 기능 제어부(115)가, 기능 제어부(172)와 대체된 점, 또한, 도 14의 제3 무선 송신부(152)와 중계 제어부(171)가 추가된 점이, 도 7의 장착형 수신 장치(12)와 상이하다.
즉, 기능 제어부(172)는, 진동 파형 생성부(112)뿐만 아니라, 중계 제어부(171)에도 제어 조건을 출력한다. 중계 제어부(171)는, 기능 제어부(172)로부터의 제어 조건에 기초하여, 제2 무선 수신부(151)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제3 무선 송신부(152)로 출력한다. 제3 무선 송신부(152)는, 중계 제어부(171)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변조하여 무선 신호로서 출력한다.
중계 제어부(171)는, 도 15의 A 내지 도 15의 C를 참조하여 상술한 3가지 기능을 선택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3 무선 송신부(152)는 다수 마련되고, 어느 제3 무선 송신부(152)로 제어 신호가 출력될지는, 중계 제어부(171)의 동작에 의해 정해진다.
또한, 진동부(31)의 중계를 시키는 기능인 제2 무선 수신부(151)와 제3 무선 송신부(152)는, 빔 조사 에어리어의 중계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개인의 이동에 따른 환경 변화는 여기 중계 디바이스의 독립된 기능에 의해 동작하고 있으면 되며, 중계가 도중에 끊어지는 특별한 기능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 패킷 자체는 상정 수[㎳]만큼 짧은 패킷이며, 진동 파형 패킷으로 생각되는 수[s]의 길이와 달리, 신체가 움직이고 있었다고 하면, 제어 패킷 자체의 수신/송신은 일순간이며, 환경 변화(신체의 방향)를 고려할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된다.
이상을 근거로 하여, 움직임이면서 수광할 경우의 대책을 강구한다고 하면,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를 사용하여 몸의 비틀기를 검출하여, 무선 신호의 수신 연장 방향이 원래는 대각선상의 디바이스로서 있던 것을 회전량에 맞춰서 다른 디바이스로 할당하고, 또한, 중계 방향이 바로 뒤인 경우에는 그 각도도 연산에 의해 구해 조정하는 기능을, 도 16의 중계 제어부(171)에 의해 갖도록 하여, 적절한 제3 무선 송신부(152)로 신호를 출력해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은, 진동부, 제2 무선 수신부, 제3 무선 송신부의 조합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블록 일체형(201)은, 진동부(31), 제2 무선 수신부(151), 및 제3 무선 송신부(152)가 일체로 되어 있다. 2블록 일체형(202)은, 진동부(31)와 제2 무선 수신부(151)가 일체로 되어 있다. 2블록 일체형(203)은, 제2 무선 수신부(151)와 제3 무선 송신부(152)가 일체로 되어 있다.
3블록 일체형(201)의 경우, 수신 방향과 진동 방향을 일치시키며, 또한, 중계 출력 방향이 수신 연장 방향을 전제로 하고 있는 케이스이다.
2블록 일체형(202)의 경우, 수신 방향과 진동 방향은 일치시키지만, 중계 출력 방향은 다른 2블록 일체형(202)과는 독립적으로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진동부(31)의 설치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중계시킬 방향으로 최적화된 위치에 제3 무선 송신부(152)가 설치 가능한 케이스이다.
2블록 일체형(203)의 경우, 진동부(31)의 중계를 시키는 기능인 제2 무선 수신부(151)와 제3 무선 송신부(152)는 독립적으로 되어 있으므로, 수신하는 신호는,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어 정보에 각 액추에이터(진동부(31))의 ON/OFF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즉, 수신 방향과 진동 방향의 일치는 전제로 하고 있지 않으며, 각 유저(13)의 신체의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송신 장치(11)에 의해 관리하고 있는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케이스이다.
또한, 도 9의 패킷 포맷 예에 있어서, 3블록 일체형(201)과 2블록 일체형(202)에 대해서는, 제어 정보는 대응하는 액추에이터만의 정보를 가지면 된다.
일례로서, 장착형 수신 장치(12)에, 3블록 일체형(201)이 복수 설치되어 있어 진동부(31)와 제2 무선 수신부(151)의 관계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의 진동부(31)가 진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제2 무선 수신부(151)와 제3 무선 송신부(152)의 관계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해서, 도 14의 신체의 중심 대칭에 위치하는 제3 무선 송신부(152)가 송신하도록 배선되어 있다.
즉,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진동부(31a), 제2 무선 수신부(151a), 제3 무선 송신부(152a)의 1조와, 진동부(31b), 제2 무선 수신부(151b), 제3 무선 수신부(152b)의 1조가 장착형 수신 장치(12)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3블록 일체형(201a)에는, 진동부(31a), 제2 무선 수신부(151a), 제3 무선 송신부(152b)가 일체화되어 있고, 3블록 일체형(201b)에는, 진동부(31b), 제2 무선 수신부(151b), 제3 무선 송신부(152a)가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기능 제어부(172a)와 기능 제어부(172b)가 연계하여 동작해도 된다. 2블록 일체형(202)과 2블록 일체형(203)의 기능은 3블록 일체형(201)의 기능의 일부에 상당하므로, 그들의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제2 무선 송신부(105), 제2 무선 수신부(114) 사이의 통신 방식, 제3 무선 송신부(152), 제2 무선 수신부(114) 사이의 통신 방식은, IR 신호나 초음파 신호 등에 의해 원하는 지향성을 갖는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신 방식에 있어서, 제2 무선 수신부(114)(제2 무선 수신부(151))가 수신한 파워를 진동 파형 생성부(112)에 의해 생성하는 진동 파형의 강도에 관련지어도 된다. 이에 따라, 제3 무선 송신부(152)로 출력하는 파워도 제2 무선 수신부(151)가 수신한 파워에 관련지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기술에 의하면, 수신 에어리어에서의 특정 에어리어의 디바이스만을 진동시킬 수 있다. 즉, 본 기술에 의하면, 많은 수신자에 대해서 촉각(진동) 제시가 가능한 시스템에 있어서, 촉각(진동) 제시를 행하는 에어리어를 한정하여 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퍼스널 컴퓨터>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인스톨된다. 여기서, 컴퓨터에는,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나,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이 포함된다.
도 18은,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퍼스널 컴퓨터의 하드웨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퍼스널 컴퓨터(500)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501), ROM(Read Only Memory)(502), RAM(Random Access Memory)(503)은, 버스(5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버스(504)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505)가 추가로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505)에는, 입력부(506), 출력부(507), 기억부(508), 통신부(509), 및 드라이브(510)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506)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한다. 출력부(507)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기억부(508)는, 하드디스크나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509)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한다. 드라이브(510)는,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511)를 구동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퍼스널 컴퓨터(500)에서는, CPU(501)가, 예를 들어 기억부(508)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입출력 인터페이스(505) 및 버스(504)를 통해 RAM(503)에 로드하여 실행한다. 이에 의해, 상술한 일련의 처리가 행해진다.
컴퓨터(CPU(5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리무버블 미디어(511)에 기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리무버블 미디어(511)는, 예를 들어 자기디스크(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한다), 광디스크(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 광자기디스크, 혹은 반도체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패키지 미디어 등이다. 또한, 혹은, 프로그램은,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 방송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리무버블 미디어(511)를 드라이브(510)에 장착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505)를 통해 기억부(5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해 통신부(509)에 의해 수신하고, 기억부(5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그외, 프로그램은, ROM(502)이나 기억부(508)에 미리 인스톨해 둘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순서를 따라서 시계열로 처리가 행해지는 프로그램이어도 되고, 병렬로, 혹은 호출이 행해졌을 때 등의 필요한 단계에서 처리가 행해지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를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은, 복수의 디바이스(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는, 하나의 기능을,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장치로 분담, 공동하여 처리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 하나의 장치(또는 처리부)로서 설명한 구성을 분할하고, 복수의 장치(또는 처리부)로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반대로, 이상에 있어서 복수의 장치(또는 처리부)로서 설명한 구성을 통합하여 하나의 장치(또는 처리부)로서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각 장치(또는 각 처리부)의 구성에 상술한 이외의 구성을 부가하도록 해도 물론 된다. 또한, 시스템 전체로서의 구성이나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어떤 장치(또는 처리부)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장치(또는 다른 처리부)의 구성에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즉, 본 기술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진동의 파형을 포함하는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무선 수신부와,
소정의 에어리어에 있어서, 상기 진동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무선 수신부와,
상기 제2 무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상기 진동의 파형을 생성하는 파형 생성부와,
상기 파형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파형에 따라서, 상기 진동을 행하는 진동부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
(2) 상기 제1 무선 수신부는, 브로드캐스트로 상기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수신 장치.
(3)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는, IR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수신 장치.
(4)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는, 초음파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수신 장치.
(5) 상기 제1 무선 신호는, 상기 진동의 파형을 생성할 때의 장소 한정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를 갖고 있으며,
상기 파형 생성부는, 상기 제1 무선 신호에 있어서 장소 한정이 있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상기 진동의 파형을 생성하고,
상기 파형 생성부는, 상기 제1 무선 신호에 있어서 장소 한정이 없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상기 진동의 파형을 생성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신 장치.
(6) 상기 제2 무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의 중계를 제어하는 중계 제어부와,
상기 중계 제어부에 의해 중계가 제어된 제2 무선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를 더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신 장치.
(7) 상기 수신 장치는, 유저에 장착되는 장착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신 장치.
(8) 상기 소정의 에어리어는, 투영기에 의해 영상이 투영되는 투영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신 장치.
(9) 수신 장치가,
진동의 파형을 포함하는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소정의 에어리어에 있어서, 상기 진동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상기 진동의 파형을 생성하고,
생성된 파형에 따라서, 상기 진동을 행하는, 수신 방법.
(10) 진동의 파형을 포함하는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무선 수신부와,
소정의 에어리어에 있어서, 상기 진동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무선 수신부와,
상기 제2 무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상기 진동의 파형을 생성하는 파형 생성부와,
상기 파형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파형에 따라서, 상기 진동을 행하는 진동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프로그램.
(11) 수신 장치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의 파형을 생성하는 파형 생성부와,
상기 파형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파형을 변조하여, 제1 무선 신호로서 송신하는 제1 무선 송신부와,
상기 진동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생성부와,
상기 제어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제어 정보를 변조하여, 제2 무선 신호로서 소정의 에어리어로 송신하는 제2 무선 송신부
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
(12) 상기 제1 무선 송신부는, 브로드캐스트로 상기 제1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11)에 기재된 송신 장치.
(13) 상기 제2 무선 송신부는, IR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11) 또는 (12)에 기재된 송신 장치.
(14) 상기 제2 무선 송신부는, 초음파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11) 또는 (12)에 기재된 송신 장치.
(15) 상기 제1 무선 신호에는, 상기 제어 정보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진동의 파형을 생성할 때의 장소 한정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상기 (1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송신 장치.
(16) 상기 수신 장치는, 유저에 장착되는 장착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1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송신 장치.
(17) 상기 소정의 에어리어와 동일 방향으로 확장되는 투영 에어리어에 영상을 투영하는 투영기를 더 구비하는, 상기 (1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송신 장치.
(18) 송신 장치가,
수신 장치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의 파형을 생성하고,
생성된 파형을 변조하여, 제1 무선 신호로서 송신하고,
상기 진동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정보를 변조하여, 제2 무선 신호로서 소정의 에어리어로 송신하는, 송신 방법.
(19) 수신 장치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의 파형을 생성하는 파형 생성부와,
상기 파형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파형을 변조하여, 제1 무선 신호로서 송신하는 제1 무선 송신부와,
상기 진동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생성부와,
상기 제어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제어 정보를 변조하여, 제2 무선 신호로서 소정의 에어리어로 송신하는 제2 무선 송신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프로그램.
1: 영상 투사 시스템
11: 송신 장치
12a 내지 12o, 12: 장착형 수신 장치
13a 내지 13o, 13: 유저
14: 수신 에어리어
21: 무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
22: 지향성 송신 디바이스부
22a: 프로젝터
31, 31-1 내지 31-4: 진동부
41: 빔 조사 에어리어
42: 투영 에어리어
51: 제1 무선 송신 디바이스부
52: 제2 무선 송신 디바이스부
61a 내지 61h, 61: 제1 무선 수신 디바이스부
62a 내지 62h, 62: 제2 무선 수신 디바이스부
101: 컨트롤부
102: 파형 생성부
103: 제1 무선 송신부
104: 제어 정보 생성부
105: 제2 무선 송신부
111: 제1 무선 수신부
112: 진동 파형 생성부
114: 제2 무선 수신부
115: 기능 제어부
151, 151a 내지 151c: 제2 무선 수신부
152, 152a 내지 152c: 제3 무선 송신부
161, 161a 내지 161c: 빔 조사 에어리어
171: 중계 제어부
172, 172a: 기능 제어부
201, 201a, 201b: 3블록 일체형
202: 2블록 일체형
203: 2블록 일체형

Claims (19)

  1. 진동의 파형을 포함하는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무선 수신부와,
    상기 제1 무선 신호가 수신 가능한 에어리어 중 지정된 소정의 에어리어에 있어서, 상기 진동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무선 수신부와,
    상기 제2 무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상기 진동의 파형을 생성하는 파형 생성부와,
    상기 파형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파형에 따라서, 상기 진동을 행하는 진동부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수신부는, 브로드캐스트로 상기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는, IR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는, 초음파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신호는, 상기 진동의 파형을 생성할 때의 장소 한정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를 갖고 있으며,
    상기 파형 생성부는, 상기 제1 무선 신호에 있어서 장소 한정이 있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상기 진동의 파형을 생성하고,
    상기 파형 생성부는, 상기 제1 무선 신호에 있어서 장소 한정이 없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상기 진동의 파형을 생성하는, 수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의 중계를 제어하는 중계 제어부와,
    상기 중계 제어부에 의해 중계가 제어된 제2 무선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를 더 구비하는, 수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유저에 장착되는 장착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에어리어는, 투영기에 의해 영상이 투영되는 투영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수신 장치.
  9. 수신 장치가,
    진동의 파형을 포함하는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무선 신호가 수신 가능한 에어리어 중 지정된 소정의 에어리어에 있어서, 상기 진동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상기 진동의 파형을 생성하고,
    생성된 파형에 따라서, 상기 진동을 행하는, 수신 방법.
  10.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경우 상기 컴퓨터에 의해,
    진동의 파형을 포함하는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무선 신호가 수신 가능한 에어리어 중 지정된 소정의 에어리어에 있어서, 상기 진동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상기 진동의 파형을 생성하고,
    생성된 파형에 따라서, 상기 진동을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1. 수신 장치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의 파형을 생성하는 파형 생성부와,
    상기 파형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파형을 변조하여, 제1 무선 신호로서 송신하는 제1 무선 송신부와,
    상기 진동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생성부와,
    상기 제어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제어 정보를 변조하여, 제2 무선 신호로서 상기 제1 무선 신호가 수신 가능한 에어리어 중 지정된 소정의 에어리어로 송신하는 제2 무선 송신부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송신부는, 브로드캐스트로 상기 제1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송신부는, IR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송신부는, 초음파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신호에는, 상기 제어 정보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진동의 파형을 생성할 때의 장소 한정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송신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유저에 장착되는 장착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송신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에어리어와 동일 방향으로 확장되는 투영 에어리어에 영상을 투영하는 투영기를 더 구비하는, 송신 장치.
  18. 송신 장치가,
    수신 장치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의 파형을 생성하고,
    생성된 파형을 변조하여, 제1 무선 신호로서 송신하고,
    상기 진동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정보를 변조하여, 제2 무선 신호로서 상기 제1 무선 신호가 수신 가능한 에어리어 중 지정된 소정의 에어리어로 송신하는, 송신 방법.
  19.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경우 상기 컴퓨터에 의해,
    수신 장치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의 파형을 생성하고,
    생성된 파형을 변조하여, 제1 무선 신호로서 송신하고,
    상기 진동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정보를 변조하여, 제2 무선 신호로서 상기 제1 무선 신호가 수신 가능한 에어리어 중 지정된 소정의 에어리어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97005707A 2016-09-12 2017-08-29 수신 장치 및 방법, 송신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355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77335 2016-09-12
JP2016177335A JP2018045270A (ja) 2016-09-12 2016-09-12 通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CT/JP2017/030857 WO2018047666A1 (ja) 2016-09-12 2017-08-29 受信装置および方法、送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072A KR20190055072A (ko) 2019-05-22
KR102355194B1 true KR102355194B1 (ko) 2022-01-26

Family

ID=61562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707A KR102355194B1 (ko) 2016-09-12 2017-08-29 수신 장치 및 방법, 송신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41029B2 (ko)
EP (1) EP3510882B1 (ko)
JP (1) JP2018045270A (ko)
KR (1) KR102355194B1 (ko)
WO (1) WO20180476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55643B2 (ja) 2018-06-18 2022-10-19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7424301B2 (ja) 2018-10-19 2024-01-30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738262B2 (en) 2018-10-19 2023-08-29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230135709A1 (en) 2020-04-14 2023-05-04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5028A (ja) * 2002-01-26 2005-05-26 フリードリヒス アルノ 遠隔制御可能なバイブレータ
KR100772582B1 (ko) * 2006-10-31 2007-11-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말기의 진동패턴 생성장치 및 전송 및 재생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6396Y2 (ko) * 1979-10-25 1987-09-16
DE4221793C1 (de) * 1992-07-03 1994-02-03 Wacker Werke Kg Infrarot-Fernsteuerung für Bodenverdichtungsgeräte
AU716427B2 (en) * 1996-03-22 2000-02-24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ncoming call control system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coming call notifying device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JP3218191B2 (ja) * 1996-10-25 2001-10-15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無線機
US6198931B1 (en) * 1999-07-28 2001-03-06 Motorola, Inc. Method for prioritizing a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850782B2 (en) * 2001-01-22 2005-02-01 Wildseed Ltd. Wireless device with vibrational communication capabilities
US8634030B2 (en) * 2002-10-25 2014-01-21 Disney Enterprises, Inc. Streaming of digital data to a portable device
JP2006075715A (ja) * 2004-09-09 2006-03-23 Advance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振動ユニットおよび振動刺激提示システム
US7839269B2 (en) * 2007-12-12 2010-11-23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haptic synchronous signals
JP5278259B2 (ja) 2009-09-07 2013-09-04 ソニー株式会社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1158355A1 (ja) * 2010-06-16 2011-12-2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振動装置
US9466187B2 (en) * 2013-02-04 2016-10-11 Immersion Corporation Management of multiple wearable haptic devices
GB2520025B (en) * 2013-11-06 2021-04-14 Arm Ip Ltd Calibrating proximity detection for a wearable processing device
AU2015259302B2 (en) * 2014-05-12 2019-11-21 Mating Components, LLC Vibrating electromechanical device for female stimulation
US9635440B2 (en) * 2014-07-07 2017-04-25 Immersion Corporation Second screen haptics
US9711015B2 (en) * 2015-09-16 2017-07-18 Immersion Corporation Customizing haptic feedback in live ev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5028A (ja) * 2002-01-26 2005-05-26 フリードリヒス アルノ 遠隔制御可能なバイブレータ
KR100772582B1 (ko) * 2006-10-31 2007-11-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말기의 진동패턴 생성장치 및 전송 및 재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80578A1 (en) 2019-06-13
EP3510882A4 (en) 2019-07-17
EP3510882A1 (en) 2019-07-17
US10741029B2 (en) 2020-08-11
KR20190055072A (ko) 2019-05-22
JP2018045270A (ja) 2018-03-22
WO2018047666A1 (ja) 2018-03-15
EP3510882B1 (en)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5194B1 (ko) 수신 장치 및 방법, 송신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10369B1 (ko) 오디오 소스들의 무선 조정
US1100995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presentation of multiple haptic feedback channels based on sound characteristics extracted from multiple sound channels
EP3499854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457719B1 (en) Ultrasonic wave-based voice signal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JP2004514348A (ja) 動画記録方法
WO2021227571A1 (zh) 一种智能设备、控制智能音箱的方法和系统
WO2019156889A1 (en) Localization of sound in a speaker system
US8502648B2 (en) Remote-control device with directional audio system
US20230251345A1 (en) Location information adjustment method and system, and device
CN117319874A (zh) 音响的音效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9159312B1 (en) Audio device with privacy mode
KR101911029B1 (ko)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
JP6425790B1 (ja) 車載オーディオ装置
KR101450095B1 (ko) 실시간 위치 추적 초음파 장치를 이용한 자동 음량 조절 시스템
JP7344085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における超音波送受信方法
WO2024067570A1 (zh) 可穿戴设备、可穿戴设备的控制方法及其控制装置
JP2005167711A (ja) 音響システム
KR20210012998A (ko) 듀얼 패널 오디오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장치
CN113050076A (zh) 一种发送定向音频信息的方法、装置、系统及电子设备
JP2002044029A (ja) 室内交話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る室内交話端末
JPH05265470A (ja) 送受波器
JP2008166896A (ja) 変位検知リモコ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