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029B1 -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029B1
KR101911029B1 KR1020180062516A KR20180062516A KR101911029B1 KR 101911029 B1 KR101911029 B1 KR 101911029B1 KR 1020180062516 A KR1020180062516 A KR 1020180062516A KR 20180062516 A KR20180062516 A KR 20180062516A KR 101911029 B1 KR101911029 B1 KR 101911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control
broadcasting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언
Original Assignee
김승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언 filed Critical 김승언
Priority to KR1020180062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0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종류 이상으로 방송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방송장비들을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제어하기 위한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한 종류 이상으로 방송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고유식별부호가 각각 기록되고, 무선통신모듈이 각각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방송장비; 상기 방송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한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갖는 장비제어단말; 을 포함하되, 상기 방송장비는, 상기 장비제어단말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제어신호의 수신 대기상태에서 제어신호에 방송장비가 갖는 고유식별부호가 포함되는지를 인식하는 식별부호인식부; 상기 식별부호인식부에서의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인식 여부에 따라 제어신호의 계속적인 수신여부를 결정함과 더불어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한 제어명령을 실행하는 제어부; 상기 식별부호인식부를 통해 제어신호로부터 고유식별부호를 인식한 경우 제어부에서의 제어명령에 따라 방해전파신호를 내보내 제어신호가 해당 방송장비가 아닌 다른 방송장비에서 인터셉트(intercept)하거나 오버랩(overlap)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해전파신호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비제어단말은,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입력부; 상기 방송장비로 무선 송신하는 제어신호에 방송장비가 갖는 고유식별부호를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제어 및 장비제어단말의 총괄적인 제어를 담당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장비 및 장비제어단말이 갖는 각각의 무선통신모듈은, 송신기와 수신기를 갖되 송신기로부터 출력된 무선 송신신호가 변화하면서 수신기로 궤환하는 궤환신호를 제거하여 수신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간섭잡음이나 발진현상을 방지하는 노이즈필터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노이즈필터링부는, 표본화된 기준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신호생성부; 상기 기준신호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기준신호에 대해 진폭과 시간지연 및 위상의 계수 값을 조정하여 궤환신호로부터 원하지 않는 수신신호를 제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상쇄신호를 생성하는 상쇄신호생성부; 상기 상쇄신호생성부에서 생성된 상쇄신호를 이용하여 송신신호 및 궤환신호와 결합함으로써 상쇄신호를 통해 궤환신호로부터 동일 진폭과 역위상 및 동일 시간지연 조건으로 원하지 않는 수신신호를 상쇄시켜 원하는 수신신호만을 출력시키는 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정된 공간이 아닌 다양한 위치에서 방송장비를 제어할 수 있고, 제어신호에 대한 간섭 잡음 제거 및 체크 기능을 통해 신호처리효율과 전송효율 및 제어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제어신호에 대한 제어 오류를 방지하는 등 신뢰성을 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FOR BROADCASTING DEVICE}
본 발명은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한정된 공간이 아닌 다양한 위치에서 방송장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무선통신에 의한 제어신호의 전송효율과 제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신뢰성을 강화하여 제어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은 기본적으로 다수개의 카메라가 필요하고, 여기에 음향장비, 조명장비, 편집장비, 송출장비 등의 방송장비가 요구된다. 방송실에서는 집중화된 제어 콘솔을 통해 비교적 최소의 인원으로 방송장비들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방송을 위해 설치되는 방송장비들을 이용하여 영상신호나 음성신호 등의 각종 신호들을 출력 및 조정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방송장비를 한정된 공간에서만 제어하는 시스템이므로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방송장비에 대해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하는 기술들이 제안 및 개시되고 있으나, 제어신호에 대한 신뢰성과 신호처리효율 및 제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0042호(2014.08.1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6016호(2015.12.04)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한정된 공간이 아닌 다양한 위치에서 방송장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무선통신에 의한 제어신호 등의 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방송장비의 제어효율 또한 높일 수 있도록 한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어신호의 송신과 수신에 따른 신뢰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며, 제어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한 종류 이상으로 방송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방송장비들을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제어하기 위한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한 종류 이상으로 방송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고유식별부호가 각각 기록되고, 데이터 무선 송신 및 제어신호를 무선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이 각각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방송장비; 상기 방송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한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송신 및 방송장비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무선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갖는 장비제어단말; 을 포함하되, 상기 방송장비는, 상기 장비제어단말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제어신호의 수신 대기상태에서 제어신호에 방송장비가 갖는 고유식별부호가 포함되는지를 인식하는 식별부호인식부; 상기 식별부호인식부에서의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인식 여부에 따라 제어신호의 계속적인 수신여부를 결정함과 더불어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한 제어명령을 실행하는 제어부; 상기 식별부호인식부를 통해 제어신호로부터 고유식별부호를 인식한 경우 제어부에서의 제어명령에 따라 방해전파신호를 내보내 제어신호가 해당 방송장비가 아닌 다른 방송장비에서 인터셉트(intercept)하거나 오버랩(overlap)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해전파신호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비제어단말은, 상기 방송장비로부터 상태신호들을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도록 구비되고, 방송장비의 위치와 현재 출력상태 및 장애발생 여부를 디스플레이하여주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방송장비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입력부; 상기 방송장비로 무선 송신하는 제어신호에 방송장비가 갖는 고유식별부호를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제어 및 장비제어단말의 총괄적인 제어를 담당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장비 및 장비제어단말이 갖는 각각의 무선통신모듈은, 송신기와 수신기를 갖되 송신기로부터 출력된 무선 송신신호가 변화하면서 수신기로 궤환하는 궤환신호를 제거하여 수신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간섭잡음이나 발진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전송효율 및 제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이즈필터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노이즈필터링부는, 표본화된 기준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신호생성부; 상기 기준신호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기준신호에 대해 진폭과 시간지연 및 위상의 계수 값을 조정하여 궤환신호로부터 원하지 않는 수신신호를 제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상쇄신호를 생성하는 상쇄신호생성부; 상기 상쇄신호생성부에서 생성된 상쇄신호를 이용하여 송신신호 및 궤환신호와 결합함으로써 상쇄신호를 통해 궤환신호로부터 동일 진폭과 역위상 및 동일 시간지연 조건으로 원하지 않는 수신신호를 상쇄시켜 원하는 수신신호만을 출력시키는 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한 종류 이상으로 방송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방송장비들을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제어하기 위한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한 종류 이상으로 방송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고유식별부호가 각각 기록되고, 데이터 무선 송신 및 제어신호를 무선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이 각각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방송장비; 상기 방송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한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송신 및 방송장비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무선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갖는 장비제어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방송장비는, 상기 장비제어단말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제어신호의 수신 대기상태에서 제어신호에 방송장비가 갖는 고유식별부호가 포함되는지를 인식하는 식별부호인식부; 상기 식별부호인식부에서의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인식 여부에 따라 제어신호의 계속적인 수신여부를 결정함과 더불어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한 제어명령을 실행하는 제어부; 상기 식별부호인식부를 통해 제어신호로부터 고유식별부호를 인식한 경우 제어부에서의 제어명령에 따라 방해전파신호를 내보내 제어신호가 해당 방송장비가 아닌 다른 방송장비에서 인터셉트(intercept)하거나 오버랩(overlap)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해전파신호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비제어단말은, 상기 방송장비로부터 상태신호들을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도록 구비되고, 방송장비의 위치와 현재 출력상태 및 장애발생 여부를 디스플레이하여주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방송장비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입력부; 상기 방송장비로 무선 송신하는 제어신호에 방송장비가 갖는 고유식별부호를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제어 및 장비제어단말의 총괄적인 제어를 담당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장비 및 장비제어단말이 갖는 각각의 무선통신모듈은, 송신기 및 수신기에 시역전 필터를 연결 설치하여 전파간 간섭을 줄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송효율 및 제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시역전필터는 필터 계수에 가중치를 주어 필터 계수를 조절함으로써 성능을 개선하는 방식 또는 가중치 매트릭스를 추가하여 성능을 개선하는 방식에 의한 가중치 시역전 필터로 구비하는 구성을 통해 잔여 심볼 간 간섭을 최소화하면서도 잡음에 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한 종류 이상으로 방송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방송장비들을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제어하기 위한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한 종류 이상으로 방송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고유식별부호가 각각 기록되고, 데이터 무선 송신 및 제어신호를 무선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이 각각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방송장비; 상기 방송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한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송신 및 방송장비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무선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갖는 장비제어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방송장비와 장비제어단말에는 각각 블루투스 기반 비콘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도록 비콘처리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되, 상기 방송장비와 장비제어단말이 갖는 비콘처리부에서는 상기 장비제어단말에서 방송장비 측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장비제어단말에서 방송장비 측으로 비콘데이터를 전송하여 방송장비와 연결을 시도 및 연결 대기상태에 있게 하고, 방송장비에서 비콘데이터를 수신하여 장비제어단말의 ID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한 후 ID가 존재하면 장비제어단말과의 연결을 승인하며, 이렇게 비콘데이터를 이용한 연결 승인이 완료되면 장비제어단말에서 방송장비 측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방송장비에서 제어신호의 수신을 완료한 후 연결상태를 해제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상쇄신호생성부는, 기준신호에 대한 진폭의 계수 값을 조정하기 위한 진폭계수조정부; 기준신호에 대한 시간지연의 계수 값을 조정하기 위한 시간지연계수조정부; 기준신호에 대한 위상의 계수 값을 조정하여 신호 상쇄를 위한 역위상을 갖게 하는 위상계수조정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장비제어단말은, 스마트폰이나 PDA를 비롯한 모바일기기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종래 방송장비의 제어 시스템에 비해 한정된 공간이 아닌 다양한 위치에서 방송장비를 제어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에 의한 제어신호 등의 신호 처리시 간섭 잡음 등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어 신호처리효율 및 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방송장비의 제어효율 또한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어신호의 송신과 수신에 따른 신뢰성을 강화할 수 있고, 제어신호에 대한 체크 기능을 수행하므로 무선통신에 의한 제어신호의 잘못된 전송을 방지하는 등 제어 오류를 방지할 수 있어 해당 방송장비에 대한 정확한 제어를 실행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 방송장비와 장비제어단말이 갖는 무선통신모듈을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 노이즈필터링부의 상쇄신호생성부를 나타낸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 방송장비와 장비제어단말이 갖는 무선통신모듈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방송장비와 장비제어단말이 갖는 비콘처리부에 의한 신호 처리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은, 도 1 내지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방송장비(100)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장비제어단말(2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나 이상의 방송장비(100)는 적어도 한 종류 이상으로 방송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고유식별부호가 각각 기록되고, 방송장비의 상태출력 등 데이터의 무선 송신은 물론 장비제어단말(200)에서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무선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1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방송장비(100)는 상기 장비제어단말(20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제어신호의 수신 대기상태에서 제어신호에 방송장비가 갖는 고유식별부호가 포함되는지를 인식하는 식별부호인식부(120)와, 상기 식별부호인식부(120)에서의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인식 여부에 따라 제어신호의 계속적인 수신여부를 결정함과 더불어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한 제어명령을 실행하는 제어부(130)와, 상기 식별부호인식부(120)를 통해 제어신호로부터 고유식별부호를 인식한 경우 제어부(130)에서의 제어명령에 따라 방해전파신호를 내보내 제어신호가 해당 방송장비가 아닌 다른 방송장비에서 인터셉트(intercept)하거나 오버랩(overlap)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해전파신호출력부(140)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방송장비는 카메라, 음향장비, 조명장비, 편집장비, 송출장비 등의 장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장비제어단말(200)은 상기 방송장비(100)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한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송신 및 방송장비(100)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무선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21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장비제어단말(200)은 상기 방송장비(100)로부터 상태신호들을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도록 구비되고 방송장비(100)의 위치와 현재 출력상태 및 장애발생 여부를 디스플레이하여주는 디스플레이부(220)와, 상기 방송장비(100)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입력부(230)와, 상기 방송장비(100) 측으로 무선 송신하는 제어신호에 방송장비(100)가 갖는 고유식별부호를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제어 및 장비제어단말(200)의 총괄적인 제어를 담당하기 위한 제어부(240)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장비제어단말(200)은 스마트폰이나 PDA를 비롯한 모바일기기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방송장비(100) 및 장비제어단말(200)이 갖는 각각의 무선통신모듈(110)(210)은 공통의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기(10)와 수신기(20)를 갖되 송신기로부터 출력된 무선 송신신호가 변화하면서 수신기로 궤환하는 궤환신호를 제거하여 수신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간섭잡음이나 발진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전송효율 및 제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이즈필터링부(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필터링부(30)는 표본화된 기준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신호생성부(31)와, 상기 기준신호생성부(31)를 통해 생성된 기준신호에 대해 진폭과 시간지연 및 위상의 계수 값을 조정하여 궤환신호로부터 원하지 않는 수신신호를 제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상쇄신호를 생성하는 상쇄신호생성부(32)와, 상기 상쇄신호생성부(32)에서 생성된 상쇄신호를 이용하여 송신신호 및 궤환신호와 결합함으로써 상쇄신호를 통해 궤환신호로부터 동일 진폭과 역위상 및 동일 시간지연 조건으로 원하지 않는 수신신호를 상쇄시켜 원하는 수신신호만을 출력시키는 신호출력부(33)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쇄신호생성부(3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신호에 대한 진폭의 계수 값을 조정하기 위한 진폭계수조정부(32a)와, 기준신호에 대한 시간지연의 계수 값을 조정하기 위한 시간지연계수조정부(32b)와, 기준신호에 대한 위상의 계수 값을 조정하여 신호 상쇄를 위한 역위상을 갖게 하는 위상계수조정부(32c)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상기 노이즈필터링부(30)는 신호 상쇄기법을 이용하여 궤환신호로부터 원하지 않은 신호를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하나의 신호에 대해 다른 신호를 더 구비하여 상호 결합하되 하나의 신호와는 위상을 반전시키고 진폭을 동일하게 조정함으로써 신호 결합에 의해 간섭잡음을 상쇄시켜 원하는 신호만을 출력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에 있어 방송장비(100) 및 장비제어단말(200)이 갖는 각각의 무선통신모듈(110)(210)에 대한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방송장비(100) 및 장비제어단말(200)이 갖는 각각의 무선통신모듈(110)(210)은 공통의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송신기(10) 및 수신기(20)에 시역전 필터(40)를 연결 설치하여 무선통신에 따른 전파간 간섭을 줄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시역전 필터(40)는 필터 계수에 가중치를 주어 필터 계수를 조절함으로써 성능을 개선하는 방식 또는 가중치 매트릭스를 추가하여 성능을 개선하는 방식에 의한 가중치 시역전 필터로 구비하는 구성을 통해 무선통신에 의한 신호 처리시 잔여 심볼 간 간섭을 최소화하면서도 잡음에 강인할 수 있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시역전 필터(40)는 상기 방송장비(100)와 장비제어단말(200)간 무선통신 실행시 송신기와 수신기간에 많이 발생되는 전파간 간섭을 줄일 수 있고 신호 처리에 따른 비트 에러 비율을 개선함에 의해 잔여 심볼 간 간섭을 최소화하면서도 잡음에 강인할 수 있게 하므로 전송효율 및 제어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방송장비(100)와 장비제어단말(200)이 갖는 비콘처리부(150)(250)에 의한 신호 처리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방송장비(100)와 장비제어단말(200)에는 각각 블루투스 기반 비콘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비콘처리부(150)(2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방송장비(100)와 장비제어단말(200)이 갖는 비콘처리부(150)(250)를 통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장비제어단말(200)에서 방송장비(100) 측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장비제어단말(200)에서 방송장비(100) 측으로 비콘데이터를 전송하여 방송장비(100)와 연결을 시도 및 연결 대기상태에 있게 하고, 방송장비(100)에서 비콘데이터를 수신하여 장비제어단말(200)의 ID패킷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한 후 ID패킷이 존재하면 장비제어단말(200)과의 연결을 승인하며, 이렇게 비콘데이터를 이용한 연결 승인이 완료되면 장비제어단말(200)에서 방송장비(100) 측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방송장비(100)에서 제어신호의 수신을 완료한 후 연결상태를 해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비콘처리부(150)(250)를 통해서는 장비제어단말(200)에서 방송장비(100) 측으로 무선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대해 비콘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신 여부를 결정한 후 신호 처리하는 것으로서, 원하지 않는 방송장비(100)에 대한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무선 송수신에 따른 신뢰성을 높이면서 방송장비의 대상에 대한 정확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은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종래 방송장비의 제어 시스템에 비해 한정된 공간이 아닌 다양한 위치에서 방송장비를 제어할 수 있고, 무선통신에 의한 제어신호 등의 신호 처리시 간섭 잡음 등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어 신호처리효율 및 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송장비의 제어효율 또한 높일 수 있으며, 제어신호에 대한 체크 기능을 수행하여 수신하므로 제어신호의 송신과 수신에 따른 신뢰성을 강화할 수 있으면서 제어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방송장비 110: 무선통신모듈
120: 식별부호인식부 130: 제어부
140: 방해전파신호출력부 150: 비콘처리부
200: 장비제어단말 210: 무선통신모듈
220: 디스플레이부 230: 사용자입력부
240: 제어부 250: 비콘처리부
30: 노이즈필터링부 40: 시역전필터

Claims (5)

  1. 적어도 한 종류 이상으로 방송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방송장비들을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 음향장비, 조명장비, 편집장비, 송출장비 중에서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이 사용되고 고유식별부호가 각각 기록되며 데이터 무선 송신 및 제어신호를 무선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방송장비와, 상기 방송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한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송신 및 방송장비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무선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갖는 장비제어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방송장비 및 장비제어단말이 갖는 각각의 무선통신모듈은 송신기와 수신기를 갖되 송신기로부터 출력된 무선 송신신호가 변화하면서 수신기로 궤환하는 궤환신호를 제거하여 수신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간섭잡음이나 발진현상을 방지하는 노이즈필터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노이즈필터링부는 표본화된 기준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신호생성부와, 상기 기준신호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기준신호에 대해 진폭과 시간지연 및 위상의 계수 값을 조정하여 궤환신호로부터 원하지 않는 수신신호를 제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상쇄신호를 생성하는 상쇄신호생성부부, 및 상기 상쇄신호생성부에서 생성된 상쇄신호를 이용하여 송신신호 및 궤환신호와 결합함으로써 상쇄신호를 통해 궤환신호로부터 동일 진폭과 역위상 및 동일 시간지연 조건으로 원하지 않는 수신신호를 상쇄시켜 원하는 수신신호만을 출력시키는 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장비는,
    상기 장비제어단말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제어신호의 수신 대기상태에서 제어신호에 방송장비가 갖는 고유식별부호가 포함되는지를 인식하는 식별부호인식부; 상기 식별부호인식부에서의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인식 여부에 따라 제어신호의 계속적인 수신여부를 결정함과 더불어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한 제어명령을 실행하는 제어부; 상기 식별부호인식부를 통해 제어신호로부터 고유식별부호를 인식한 경우 제어부에서의 제어명령에 따라 방해전파신호를 내보내 제어신호가 해당 방송장비가 아닌 다른 방송장비에서 인터셉트(intercept)하거나 오버랩(overlap)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해전파신호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장비제어단말은,
    상기 방송장비로부터 상태신호들을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도록 구비되고, 방송장비의 위치와 현재 출력상태 및 장애발생 여부를 디스플레이하여주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방송장비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입력부; 상기 방송장비로 무선 송신하는 제어신호에 방송장비가 갖는 고유식별부호를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제어 및 장비제어단말의 총괄적인 제어를 담당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장비와 장비제어단말에는 각각 블루투스 기반 비콘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도록 비콘처리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되, 상기 방송장비와 장비제어단말이 갖는 비콘처리부에서는 상기 장비제어단말에서 방송장비 측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장비제어단말에서 방송장비 측으로 비콘데이터를 전송하여 방송장비와 연결을 시도 및 연결 대기상태에 있게 하고, 방송장비에서 비콘데이터를 수신하여 장비제어단말의 ID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한 후 ID가 존재하면 장비제어단말과의 연결을 승인하며, 이렇게 비콘데이터를 이용한 연결 승인이 완료되면 장비제어단말에서 방송장비 측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방송장비에서 제어신호의 수신을 완료한 후 연결상태를 해제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적어도 한 종류 이상으로 방송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방송장비들을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 음향장비, 조명장비, 편집장비, 송출장비 중에서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이 사용되고 고유식별부호가 각각 기록되며 데이터 무선 송신 및 제어신호를 무선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방송장비와, 상기 방송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한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송신 및 방송장비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무선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갖는 장비제어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방송장비 및 장비제어단말이 갖는 각각의 무선통신모듈은 송신기 및 수신기에 시역전 필터를 연결 설치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장비는,
    상기 장비제어단말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제어신호의 수신 대기상태에서 제어신호에 방송장비가 갖는 고유식별부호가 포함되는지를 인식하는 식별부호인식부; 상기 식별부호인식부에서의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인식 여부에 따라 제어신호의 계속적인 수신여부를 결정함과 더불어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한 제어명령을 실행하는 제어부; 상기 식별부호인식부를 통해 제어신호로부터 고유식별부호를 인식한 경우 제어부에서의 제어명령에 따라 방해전파신호를 내보내 제어신호가 해당 방송장비가 아닌 다른 방송장비에서 인터셉트(intercept)하거나 오버랩(overlap)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해전파신호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장비제어단말은,
    상기 방송장비로부터 상태신호들을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도록 구비되고, 방송장비의 위치와 현재 출력상태 및 장애발생 여부를 디스플레이하여주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방송장비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입력부; 상기 방송장비로 무선 송신하는 제어신호에 방송장비가 갖는 고유식별부호를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제어 및 장비제어단말의 총괄적인 제어를 담당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시역전필터는 필터 계수에 가중치를 주어 필터 계수를 조절함으로써 성능을 개선하는 방식 또는 가중치 매트릭스를 추가하여 성능을 개선하는 방식에 의한 가중치 시역전 필터로 구비하는 구성을 통해 잔여 심볼 간 간섭을 최소화하면서도 잡음에 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방송장비와 장비제어단말에는 각각 블루투스 기반 비콘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도록 비콘처리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되, 상기 방송장비와 장비제어단말이 갖는 비콘처리부에서는 상기 장비제어단말에서 방송장비 측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장비제어단말에서 방송장비 측으로 비콘데이터를 전송하여 방송장비와 연결을 시도 및 연결 대기상태에 있게 하고, 방송장비에서 비콘데이터를 수신하여 장비제어단말의 ID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한 후 ID가 존재하면 장비제어단말과의 연결을 승인하며, 이렇게 비콘데이터를 이용한 연결 승인이 완료되면 장비제어단말에서 방송장비 측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방송장비에서 제어신호의 수신을 완료한 후 연결상태를 해제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62516A 2018-05-31 2018-05-31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 KR101911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516A KR101911029B1 (ko) 2018-05-31 2018-05-31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516A KR101911029B1 (ko) 2018-05-31 2018-05-31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856A Division KR101920599B1 (ko) 2018-10-17 2018-10-17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029B1 true KR101911029B1 (ko) 2018-10-23

Family

ID=64101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516A KR101911029B1 (ko) 2018-05-31 2018-05-31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0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977B1 (ko) 2020-06-10 2020-11-06 아카데미정보통신(주) 사용자 레벨 구분을 이용한 방송장비 동시접속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977B1 (ko) 2020-06-10 2020-11-06 아카데미정보통신(주) 사용자 레벨 구분을 이용한 방송장비 동시접속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88979B (zh) 利用耳部生物测定配置手持音频设备的方法和装置
US6850617B1 (en) Telephone receiver circuit with dynamic sidetone signal generator controlled by voice activity detection
JP2845130B2 (ja) 通信装置
CN104025559B (zh) 在综合分布网络中传输音频路由
US8265297B2 (en) Sound reproducing device and sound reproduction method for echo cancelling and noise reduction
US20120140949A1 (en) Conference system for independently adjusting audio parameters
US86115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switching noise reduction modes in a radio system
US96289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acoustic feedback from a speaker to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device
KR101911029B1 (ko)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
CN1625300B (zh) 具有无线传输系统的助听器和相应的传输方法
KR101920599B1 (ko) 방송장비 제어 시스템
CN104933849A (zh) 一种基于亚超声波的手机控制家电的系统和方法
US20070008280A1 (en) Remote control for an audio signal playback system
US10075894B2 (en) Wireless microphone system
CA3133075C (en) Method and system for acoustic feedback cancellation using a known full band sequence
JP4674117B2 (ja) マイクロホン
KR100873118B1 (ko) 음파를 이용한 송/수신장치
WO2013168170A1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ultrasonic capabilities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US20050201577A1 (en) Hearing instrument with data transmission interference blocking
WO2012174676A1 (en) An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JP5300754B2 (ja) 無線通話確認装置
JP2814913B2 (ja) 携帯無線電話用モデムカード
JP4376170B2 (ja) 受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20170111937A1 (en) Pairing connection method for devices
KR101742990B1 (ko) 음향 전송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