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099B1 -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099B1
KR102355099B1 KR1020200082635A KR20200082635A KR102355099B1 KR 102355099 B1 KR102355099 B1 KR 102355099B1 KR 1020200082635 A KR1020200082635 A KR 1020200082635A KR 20200082635 A KR20200082635 A KR 20200082635A KR 102355099 B1 KR102355099 B1 KR 102355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halt
heated
supplied
aggregate
mi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5163A (ko
Inventor
리출선
Original Assignee
리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은경 filed Critical 리은경
Priority to KR1020200082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099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 E01C19/1004Reconditioning or reprocessing bituminous mixtures, e.g. salvaged paving, fresh patching mixtures grown unserviceable; Recycling salvaged bituminous mixtures; Apparatus for the in-plant recyc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46Arrangements for applying super- or sub-atmospheric pressure during mixing; Arrangements for cooling or heating during mixing, e.g. by introducing vapou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08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heating or melting asphalt, bitumen, tar,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가열 아스콘과 상온 아스콘의 생산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가 개시된다. 본 아스콘 플랜트는, 신골재가 투입되는 제1공급기, 재생골재가 투입되는 제2공급기, 제1공급기로부터 신골재를 공급받아 가열하는 가열기, 채움재를 저장하는 필러 탱크, 가열 아스팔트를 저장하는 가열 아스팔트 탱크, 유화 아스팔트가 저장되는 유화 아스팔트 탱크, 및 가열된 신골재, 채움재, 가열 아스팔트, 및 유화 아스팔트가 혼합되어 아스콘을 생산하는 믹서를 구비한다. 하나의 플랜트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가열 아스콘과 상온 아스콘을 생산할 수 있으며, 필요 시 폐아스콘을 이용한 재생골재를 사용하여 아스콘을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 {Hybrid Asphalt Concrete Plant}
본 발명은 도로 포장 등에 사용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작하기 위한 아스콘 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포장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사용되며, 아스팔트 콘크리트는 통상적으로 아스콘으로 불린다. 아스콘을 제작하기 위한 기초 재료는 골재와 채움재(필러 : filler)이며, 이들에 아스팔트(역청제)를 바인더(binder)로서 혼합하여 재작한다. 아스팔트는 골재에 코팅되며, 골재들간의 공극은 채움재에 의해 충진된다.
아스콘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아스팔트(역청제)는 원유정제 과정의 부산물로 고온에서는 액체 상태에서 상온에서는 고체로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골재에 코팅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골재의 온도를 약 140℃~180℃ 정도의 온도로 가열되어야 한다. 그런데, 아스팔트와 골재를 가열하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소모되고 이에 따른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석유의 부산물인 아스팔트는 가열 시 환경 오염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포장 도로가 오랜 기간 사용되면 도로를 철거하고 다시 포장을 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과정에서 철거된 폐기물인 폐아스콘이 발생하여 이를 처리하기 위한 환경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폐아스콘을 재사용하기 위한 방안이 오랫동안 모색되어 왔으며, 그러한 방안 중 하나가 폐아스콘을 새로운 아스콘을 만드는 기본 재료인 골재로서 재활용하는 친환경적 방안이다.
그런데 종래의 가열 아스팔트를 사용한 아스콘 제작 방식에서는 폐아스콘의 재활용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가열 아스팔트를 이용한 아스콘 제작 방식에서는 골재에 폐아스콘이 포함되는 비율이 30%를 넘는 경우 도로 표면에 포트홀이 발생할 위험성이 있어 별도의 첨가제를 첨가해야 하기 때문에 재활용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아스콘 제작의 비용이 증가하여 경제성을 상실한다. 또한 폐아스콘에는 이미 다량의 아스팔트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가열 방식을 적용할 경우 재생골재(폐아스콘) 가열 과정에서 심각한 환경 오염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상온에서 아스콘을 제작할 수 있는 상온 아스콘 제작 방법이 제안되었다. 상온 아스콘 제작 방법은 아스팔트를 가열하지 않고 상온인 상태에서 아스콘을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아스팔트에 물과 유화제(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유화 아스팔트를 제작하고 이를 골재 및 채움재와 혼합함으로써 상온 아스콘을 제작한다. 아스팔트는 상온에서 고체로 변하여 골재에 균일하게 코팅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아스팔트가 바인더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 종래에는 아스팔트를 가열함으로써 골재에 균일하게 코팅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온 아스콘 제작 방법에서는 아스팔트를 가열하는 대신 물과 유화제를 혼합한 유화 아스팔트로 제작함으로써 아스팔트를 액상화하여 상온에서도 유화 아스팔트가 골재에 균일하게 코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온 아스콘 제작 방식이 도입됨에 따라 폐아스콘을 재활용하여 아스콘을 제작할 때 종래의 가열 아스팔트 방식에서 발생하는 심각한 환경 오염 문제를 상당히 해결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상온 아스콘 제작 방법은 폐아스콘의 재활용의 가능성을 크게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상온 아스콘 제작 방법에서는 유화 아스팔트를 제작하는 데에 사용되는 유화제 등의 첨가물로 인하여 아스콘의 제작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온 아스콘 생산용 플랜트는 기존의 가열 아스콘 생산용 플랜트와 비교할 때 그 공정상의 차이로 인하여 개별 구성이 상이하므로, 기존의 가열 아스콘 생산용 플랜트를 상온 아스콘 생산용 플랜트로 변경하여 사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상온 아스콘을 생산하고자 한다면 별도의 플랜트를 새롭게 건설하여야 했다. 이와 같이 새로운 플랜트의 건설이 요구되고 나아가 이러한 새로운 플랜트에서의 아스콘 생산 단가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상온 아스콘의 생산은 요원한 상황이 되었다. 이로 인하여 가열에 의한 환경 문제가 적고 폐아스콘의 재활용 측면 등에서 획기적인 효용을 가져오는 상온 아스콘 제작 기술이 사장되는 실정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 아스콘과 상온 아스콘을 하나의 설비에서 제작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온 아스콘의 환경 오염 개선 및 폐아스콘 재활용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가열 아스콘 플랜트에 대해 다소간의 추가 설비를 증설하고 운영 방식을 가변적으로 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상온 아스콘 제작 설비를 추가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열 아스콘과 상온 아스콘의 생산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로서, 신골재가 투입되는 제1공급기; 상기 제1공급기로부터 상기 신골재를 공급받아 가열하는 가열기; 채움재를 저장하는 필러 탱크; 가열 아스팔트를 저장하는 가열 아스팔트 탱크; 아스팔트, 물, 및 유화제가 혼합된 유화 아스팔트가 저장되는 유화 아스팔트 탱크; 및 상기 가열기에서 가열되어 공급되는 상기 신골재, 상기 필러 팅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채움재, 상기 가열 아스팔트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가열 아스팔트, 및 상기 유화 아스팔트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화 아스팔트가 혼합되어 아스콘을 생산하는 믹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는, 상기 믹서에 상기 가열 아스팔트와 상기 유화 아스팔트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가열 아스팔트 탱크와 상기 유화 아스팔트 탱크로부터의 상기 가열 아스팔트와 상기 유화 아스팔트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하는 제어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열 아스팔트가 상기 믹서에 공급되는 동안에는 상기 가열 아스팔트가 가열 아스콘의 생산에 요구되는 소정의 제1온도로 가열되도록 상기 가열기의 가열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유화 아스팔트가 상기 믹서에 공급되는 동안에는 상기 유화 아스팔트가 상온 아스콘의 생산에 요구되는 소정의 제2온도로 가열되도록 상기 가열기의 가열 온도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는, 상기 유화 아스팔트 탱크로부터 상기 믹서로 공급되는 상기 유화 아스팔트를 분사시켜 공급하는 스프레이 노즐; 및 상기 스프레이 노즐에서 분사되도록 상기 유화 아스팔트를 가압하는 스프레이 펌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아시콘 플랜트는, 재생골재가 투입되어 상기 믹서로 공급하는 제2공급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믹서에 상기 가열 아스팔트가 공급되는 동안 상기 믹서로 상기 재생골재가 공급되도록 상기 제2공급기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재생골재가 상기 믹서에 공급되는 전체 골재공급량의 3할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믹서에 상기 유화 아스팔트가 공급되는 동안 상기 믹서로 상기 재생골재가 공급되도록 상기 제2공급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재생골재가 상기 믹서에 공되는 전체 골재공급량의 9할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플랜트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가열 아스콘과 상온 아스콘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랜트는 기존의 가열 아스콘 플랜트에 대해 다소간의 추가 설비를 증설하고 운영 방식을 가변적으로 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제작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온 아스콘 제작 시의 환경 오염 개선 효과 및 폐아스콘 재활용에 의한 장점을 활용할 수 있고, 또한 상온 아스콘은 적절한 상황에서만 제작하고 통상적인 상황에서는 가열 아스콘을 제작하는 등의 적응적 운영 방식의 적용을 통해 친환경적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어느 나라나 국가의 큰 자산인 도로에 사용되는 아스콘 생산 기술이 저탄소 녹색성장의 친환경적으로 적용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요자(발주자) 입장과 공급자(생산자) 입장의 차이로 인하여 적극 활용되지 못하고 있으나,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저탄소 녹색성장과 미세먼지 저감 등 시대가 요구하는 상온아스콘 생산기술로 건너가는 디딤돌 역할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의 주요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
도 2 는 도 1 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 은 도 2 의 유화 아스팔트 탱크 측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을 도시한 도 1 과 유사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의 주요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의 제 1 실시예는 폐아스콘을 이용하여 생산되는 재생골재가 아닌 신골재를 이용하여 아스콘을 제작하는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를 보여준다. 이하의 제1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골재'는 신골재를 의미한다.
먼저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는 공급기(10), 가열기(20), 필러 탱크(30), 가열 아스팔트 탱크(40), 유화 아스팔트 탱크(50) 및 믹서(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급기(10)는 아스콘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골재를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이를 크기별로 선별하여 가열기(30)로 공급한다. 가열기(20)는 공급기(10)로부터 공급된 골재를 아스콘 제작을 위해 필요한 온도로 가열하며, 가열된 골재를 믹서(60)로 공급한다. 필러 탱크(30)는 골재의 공극을 채우기 위한 채움재(필러 : filler)를 저장하며, 채움재를 믹서(60)로 공급한다.
가열 아스팔트 탱크(40)는 가열된 아스팔트를 저장한다. 아스팔트는 제조 공장에서 가열된 상태로 운반되어 가열 아스팔트 탱크(40)에 저장되며, 가열 아스팔트 탱크(40)는 가열된 아스팔트의 가열 온도를 유지한다. 가열 온도는 약 140℃ 이며 이는 통상적으로 가열 아스콘을 제작하는 데에 요구되는 온도이다.
유화 아스팔트 탱크(50)는 유화 아스팔트를 저장한다. 유화 아스팔트는 아스팔트와 물 및 유화제가 혼합된 것으로서, 상온 아스콘을 제작하는 데에 사용된다. 아스콘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아스팔트가 골재에 균일하게 코팅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통상적으로 아스팔트를 가열한다. 그러나 유화 아스팔트는 가열하지 않고도 골재에 고르게 코팅되는 성상을 보이므로, 가열 없이 상온 아스콘을 제작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믹서(60)는 가열기(20)에서 가열되어 공급되는 골재, 필러 탱크(30)로부터 공급되는 채움재, 가열 아스팔트 탱크(40)로부터 공급되는 가열 아스팔트, 및 유화 아스팔트 탱크(50)로부터 공급되는 유화 아스팔트를 혼합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의해 아스콘이 생산되어, 이를 이송하는 차량 등으로 공급된다.
도 2 를 참조하여 상기한 주요 구성 외의 세부 구성에 대해 기술한다.
공급기(10)는 골재를 크기별로 선별하여 수용하는 복수의 빈(bin)으로 구성되어, 골재를 크기별로 투하한다. 공급기(10)의 하부에는 컨베이어 벨트(12)가 구비되어, 각각의 빈에서 투하된 골재를 가열기(20)로 투입한다.
가열기(20)는 투입된 골재를 약 600℃ 의 온도로 가열하며, 이에 따라 가열기(20)에서 토출되는 골재는 약 140~180℃ 의 온도로 가열된다(가열 아스팔트 사용 시). 자세하게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가열기(20)에서 토출되는 골재의 온도는 상온~90℃ 의 온도일 수 있다(유화 아스팔트 사용 시). 이러한 가열기(20)의 가열 온도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의 운전 모드에 따라 선택된다.
믹서(60)의 상부에는 선별기(71)와 계량기(73)가 설치되어 있다. 선별기(71)는 가열기(20)에서 공급된 가열된 골재를 그 크기별로 선별하여 분리 배출한다. 계량기(73)는 크기별로 분류된 골재를 각 크기별로 정해진 비율에 따라 계량하여 믹서(60)에 공급되도록 계량한다. 이에 따라 믹서(60)에 투입되는 골재는 크기별로 정해진 비율에 따라 계량되어 공급된다.
도면부호 82 는 가열기(20)로부터 배출되는 가열 골재를 상방 이동시키는 승강기이고, 도면부호 83 은 필러 탱크(30)로부터 배출되는 채움재를 상방 이동시키는 승강기이다. 믹서(60)와 그 상부의 선별기(71)와 계량기73)의 높이에 기인하여, 가열 골재와 채움재가 투입되는 투입구는 지상에서 상당한 높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승강기(82, 83)가 마련되어 각각 골재와 채움재를 믹서(60)에 투입할 수 있는 위치로 승강시킨다. 도면부호 86 은 가열 아스팔트 탱크(40)로부터 믹서(60)로 가열 아스팔트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펌프이다. 도면부호 90 은 가열기(20) 내의 골재의 먼지를 집진하는 백필터(bag filter)로서, 집진된 먼지는 채움재 대용품으로서 사용되기 위하여 필러 탱크(30)로 공급된다. 도면부호 75 는 필러 계량기로서, 필러 탱크(30)에서 공급되는 필러의 양을 계량하여 필요한 양의 채움재가 공급되도록 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면부호 72 는 핫빈(Hot Bin)으로서 선별기(71)에서 선별된 골재가 계량기(73)에 투입되기 전에 수용되는 데에 사용된다.
도 3 은 도 2 의 유화 아스팔트 탱크 측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유화 아스팔트 탱크(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아스팔트와 물 및 유화제가 혼합되어 있는 유화 아스팔트를 저장한다. 유화 아스팔트 탱크(50)의 내부에는 히터(52)와 교반기(54)가 설치되어 있다. 히터(52)는 유화 아스팔트 탱크(50) 내의 유화 아스팔트가 예컨대 동절기에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유화 아스팔트가 적절한 온도에서 최적의 아스콘 제조 성능을 가져올 경우, 해당 온도로 유화 아스팔트를 유지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교반기(54)는 유화 아스팔트가 그 조성물들이 적절하게 혼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교반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유화 아스팔트 탱크(50)와 믹서(60) 사이에는 공급 펌프(56), 스프레이 펌프(57), 및 스프레이 노즐(58)이 구비되어 있다. 공급 펌프(56)는 유화 아스팔트 탱크(50) 내의 유화 아스팔트가 믹서(60)로 공급되도록 이동시키는 주된 펌프이다. 스프레이 노즐(58)은 유화 아스팔트 탱크(50)로부터 믹서(60)로 공급되는 유화 아스팔트를 분사시켜 공급하는 기능을 하며, 스프레이 펌프(57)는 유화 아스팔트가 스프레이 노즐(58)에서 퍼지는 형태로 강하게 분사되도록 유화 아스팔트를 가압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스프레이 펌프(57)와 스프레이 노즐(58)의 구성에 의하여, 유화 아스팔트가 믹서(60)의 넓은 영역이 고르게 퍼져 분사되어 골재에 도포되는 균일도가 더욱 증가되고 혼합 효율이 개선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는 별도의 제어기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기는 주로 가열 아스팔트 탱크(40)와 유화 아스팔트 탱크(50)를 제어하며, 보다 정확하게는 가열 아스팔트 탱크(40)로부터 믹서(60)로의 가열 아스팔트 공급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해당 공급을 제어하는 공급 펌프(86) 및 유화 아스팔트 탱크(50)로부터 믹서(60)로의 유화 아스팔트 공급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해당 공급을 제어하는 공급 펌프(56)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기는 두 공급 펌프(86, 56)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믹서(60)로 가열 아스팔트 또는 유화 아스팔트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기는 가열기(20)의 가열 온도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기는 가열 아스팔트가 믹서(60)에 공급되는 동안에는 가열 아스팔트가 가열 아스콘의 생산에 요구되는 소정의 제1온도로 가열되도록 가열기(20)의 가열 온도를 제어하고, 유화 아스팔트가 믹서(60)에 공급되는 동안에는 유화 아스팔트가 상온 아스콘의 생산에 요구되는 소정의 제2온도로 가열되도록 가열기(20)의 가열 온도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제1온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기(20)에서 배출되는 골재의 온도가 140~180℃ 가 되는 온도로서, 가열 아스콘을 생산하는 데에 적합한 온도이다. 또한 제2온도는 제1온도보다 낮은 온도로서, 가열기(20)에서 배출되는 골재의 온도가 상온~90℃, 바람직하게는 70℃ 가 되는 온도이며, 상온 아스콘을 생산하는 데에 적합한 온도이다. 상온 아스콘을 제작하는 데에 있어서는 골재의 가열은 필수적이지는 않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상온 아스콘의 경우 골재로 폐아스콘을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 골재별로 수분의 함량 정도가 상이하여 골재로서 사용하기에 부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온도로 가열함으로써 골재의 수분을 제거하는 드라이 동작을 수행하여, 상온 아스콘이 원활하게 생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는 계량기(73)의 동작을 제어한다. 선별기(71)로부터 선별되어 공급되는 각 크기별 골재의 비율이 요구되는 값이 되도록 계량기(73)를 제어함으로써 최적의 아스콘이 생산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기는 별도의 전자적 장비로 구성되어 외부에서 원격으로 각 공급 펌프(86, 56)의 동작과 가열기(20)의 가열 온도의 제어가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기계적인 조작 노브 등으로 구성되어 동일한 제어를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예컨대 가열기(20)에 별도의 수동 조작 노브가 마련되고 펌프에도 별도의 수동 조작 노브가 마련되는 등과 같이 각 구성 설비마다 개별적으로 수작업에 의해 조작되는 기구적 장치로서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제어기는 이러한 기구적 장치들의 총화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 아스콘을 제작할 경우에는 가열 아스팔트 탱크(40)의 공급 펌프(86)를 동작시키고 유화 아스팔트 탱크(50)의 공급 펌프(56)의 동작을 중지시키며, 가열기(20)가 골재를 140~180℃ 의 온도로 가열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온 아스콘을 제작할 경우에는 유화 아스팔트 탱크(50)의 공급 펌프(56)를 동작시키고 가열 아스팔트 탱크(40)의 공급 펌프(86)의 동작을 중지시키며, 가열기(20)가 골재를 상온~90℃, 바람직하게는 70℃ 의 온도로 가열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가열 아스콘과 상온 아스콘을 선택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 과 유사학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의 각 구성요소의 기본적인 동작은 도 1 의 실예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되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기술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공급기 즉, 제1공급기(110)와 제2공급기(120)가 구비되어 있다. 제1공급기(110)는 도 1 의 실시예에서의 공급기(10)와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신골재가 제1공급기(110)에 투입되며, 이에 따라 가열기(20)에는 신골재가 공급된다. 제2공급기(120)는 본 실시예에서 추가로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재생골재 즉 폐아스콘을 재활용하여 생산되는 골재가 공급된다. 제2공급기(120)는 투입되는 재생골재를 믹서(60)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도 2 에서 믹서(60)에 공급되는 신골재가 핫빈(72)과 계량기(73)를 거쳐 공급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제2공급기(120)에서 공급되는 재생골재 또한 별도의 핫빈(도시되지 않음)과 계량기(도시되지 않음)를 거쳐 공급된다. 재생골재의 경우 통상적으로 특정 크기를 가지도록 생산되므로 각 골재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기는 불필요하나, 만약 재생골재가 다양한 크기가 혼재된 상태로 공급된다면 별도의 선별기가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2공급기(120)로부터 재생골재가 공급되는 동작은 제어기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기는 재생골재의 공급 여부를 제어함과 아울러, 제2공급기(120)에 대응되어 마련된 계량기(도시되지 않음)를 제어하여 믹서(60)로 공급되는 재생골재의 양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재생골재는 가열 아스콘 생산 모드에서 공급될 수도 있고 상온 아스콘 생산 모드에서 공급될 수도 있다. 즉, 제어기는 믹서(60)에 가열 아스팔트가 공급되는 동안 믹서(60)로 재생골재가 공급되도록 제2공급기(120)를 제어할 수도 있고, 믹서(60)에 유화 아스팔트가 공급되는 동안 믹서로 재생골재가 공급되도록 상기 제2공급기(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제2공급기(120)를 제어한다는 것은 정확하게는 제2공급기(120)로 투입된 재생골재의 공급량을 계량하는 계량기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재생골재가 가열 아스콘 생산 모드에서 공급되는 경우에는, 재생골재의 투입량은 믹서(60)에 공급되는 전체 골재공급량(즉 신골재와 재생골재의 합계 공급량)의 3할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할 이상인 경우 믹서에 공급되는 가열 아스팔트의 온도가 저하되어 최종 생산되는 아스콘의 품질이 저하되며, 이를 방지하게 위해서는 별도의 첨가제가 필요하여 결과적으로 재생골재를 사용하는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기 어렵다.
재생골재가 상온 아스콘 생산 모드에서 공급되는 경우에는, 재생골재의 투입량은 믹서(60)에 공되는 전체 골재공급량의 9할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온 아스콘 생산 시 재생골재만이 사용될 경우에는 굵은 크기의 골재의 부족으로 인하여 최종 생산된 상온 아스콘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재생골재 외의 신골재가 골재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할 이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품질의 상온 아스콘을 생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9)

  1. 삭제
  2. 가열 아스콘과 상온 아스콘의 생산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로서,
    신골재가 투입되는 제1공급기;
    상기 제1공급기로부터 상기 신골재를 공급받아 가열하는 가열기;
    채움재를 저장하는 필러 탱크;
    가열 아스팔트를 저장하는 가열 아스팔트 탱크;
    아스팔트, 물, 및 유화제가 혼합된 유화 아스팔트가 저장되는 유화 아스팔트 탱크;
    상기 가열기에서 가열되어 공급되는 상기 신골재, 상기 필러 팅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채움재, 상기 가열 아스팔트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가열 아스팔트, 및 상기 유화 아스팔트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화 아스팔트가 혼합되어 아스콘을 생산하는 믹서; 및
    상기 믹서에 상기 가열 아스팔트와 상기 유화 아스팔트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가열 아스팔트 탱크와 상기 유화 아스팔트 탱크로부터의 상기 가열 아스팔트와 상기 유화 아스팔트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열 아스팔트가 상기 믹서에 공급되는 동안에는 상기 가열 아스팔트가 가열 아스콘의 생산에 요구되는 소정의 제1온도로 가열되도록 상기 가열기의 가열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유화 아스팔트가 상기 믹서에 공급되는 동안에는 상기 유화 아스팔트가 상온 아스콘의 생산에 요구되는 소정의 제2온도로 가열되도록 상기 가열기의 가열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
  4.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 아스팔트 탱크로부터 상기 믹서로 공급되는 상기 유화 아스팔트를 분사시켜 공급하는 스프레이 노즐; 및
    상기 스프레이 노즐에서 분사되도록 상기 유화 아스팔트를 가압하는 스프레이 펌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
  5. 가열 아스콘과 상온 아스콘의 생산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로서,
    신골재가 투입되는 제1공급기;
    재생골재가 투입되는 제2공급기;
    상기 제1공급기로부터 상기 신골재를 공급받아 가열하는 가열기;
    채움재를 저장하는 필러 탱크;
    가열 아스팔트를 저장하는 가열 아스팔트 탱크;
    아스팔트, 물, 및 유화제가 혼합된 유화 아스팔트가 저장되는 유화 아스팔트 탱크;
    상기 가열기에서 가열되어 공급되는 상기 신골재, 상기 제2공급기에서 공급되는 상기 재생골재, 상기 필러 팅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채움재, 상기 가열 아스팔트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가열 아스팔트, 및 상기 유화 아스팔트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화 아스팔트가 혼합되어 아스콘을 생산하는 믹서;
    상기 믹서에 상기 가열 아스팔트가 공급되는 동안 상기 믹서로 상기 재생골재가 공급되도록 상기 제2공급기를 제어하되 상기 재생골재가 상기 믹서에 공급되는 전체 골재공급량의 3할 이하가 되도록 제어거나, 또는 상기 믹서에 상기 유화 아스팔트가 공급되는 동안 상기 믹서로 상기 재생골재가 공급되도록 상기 제2공급기를 제어하되 상기 재생골재가 상기 믹서에 공급되는 전체 골재공급량의 9할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00082635A 2020-07-06 2020-07-06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 KR102355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635A KR102355099B1 (ko) 2020-07-06 2020-07-06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635A KR102355099B1 (ko) 2020-07-06 2020-07-06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163A KR20220005163A (ko) 2022-01-13
KR102355099B1 true KR102355099B1 (ko) 2022-01-26

Family

ID=79341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635A KR102355099B1 (ko) 2020-07-06 2020-07-06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0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060B1 (ko) * 2013-11-08 2014-04-22 (주)제주산업서귀포 상온 재생아스콘 플랜트
KR102123307B1 (ko) * 2020-02-05 2020-06-16 유창토건 (주) 아스콘 제조설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755A (ko) * 2001-08-30 2003-03-07 주식회사 서원 폐아스콘을 재생할 수 있는 가열식 아스콘 제조장치
KR101013213B1 (ko) * 2008-09-22 2011-02-22 주식회사 바스코플랜트 상온식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060B1 (ko) * 2013-11-08 2014-04-22 (주)제주산업서귀포 상온 재생아스콘 플랜트
KR102123307B1 (ko) * 2020-02-05 2020-06-16 유창토건 (주) 아스콘 제조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163A (ko)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8825B2 (en) Method for continuous on-site recycling of an asphalt mixture layer of a pavement and a motor-driven vehicle system therefor
CN104762863B (zh) 一种用于水泥混凝土路面薄层罩面的沥青混合料及其制备与施工方法
CN101549529B (zh) 沥青冷再生水泥碎石就地拌和列车
RU2685511C2 (ru) Система,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битумной черепицы и производства асфальтобетонной смеси
CN104846740A (zh) 大跨度钢箱梁桥面铺装层材料梯度结构铺装施工方法
CN108221560A (zh) 胶粉改性沥青路面的施工工艺
KR102213683B1 (ko) 재생 골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상온 아스콘
CN101343853A (zh) 高模量沥青混凝土的路面施工方法
KR101976524B1 (ko) 아스팔트 표면이 확장된 폼드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CN102493316A (zh) 厂拌冷再生泡沫沥青混凝土的生产方法
CN104662230A (zh) 用于路面再生的微波处理单元以及沥青路面生产
US71148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 hot blacktop paving material
CN101591885B (zh) 移动式沥青冷再生水泥碎石拌合楼
KR102355099B1 (ko) 하이브리드 아스콘 플랜트
PL176264B1 (pl) Sposób układania i zagęszczania leżących jedna na drugiej warstw asfaltowych oraz rozkładarka do realizacji tego sposobu
KR101214383B1 (ko) 신재 아스콘과 재생 아스콘을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순환 아스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2011255287A (ja) アスファルト廃材からなる再生アスファルト簡易舗装材及びアスファルト廃材から再生アスファルト簡易舗装材を製造する方法
KR101386060B1 (ko) 상온 재생아스콘 플랜트
KR101240540B1 (ko) 운반이 용이한 아스콘을 사용하여 포장하는 방법
US8382362B2 (en) Method of making paving composition without adding asphalt content oil or minimizing addition
JP4121622B2 (ja) 舗装構造の施工方法
US1954997A (en) Production of asphalt paving mixtures
KR101129306B1 (ko) 상온 재생 아스콘 제조 장치 및 제조방법
EP0810276A1 (en) Method for recycling asphalt
McQuillen Jr et al. Construction of rubber-modified asphalt pav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