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851B1 - 이중 튜브 구조의 배액 카테터 - Google Patents

이중 튜브 구조의 배액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851B1
KR102354851B1 KR1020200024786A KR20200024786A KR102354851B1 KR 102354851 B1 KR102354851 B1 KR 102354851B1 KR 1020200024786 A KR1020200024786 A KR 1020200024786A KR 20200024786 A KR20200024786 A KR 20200024786A KR 102354851 B1 KR102354851 B1 KR 102354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tube
tube member
drain
cath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9774A (ko
Inventor
전승룡
신지훈
이덕희
황선문
최준호
김태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to KR1020200024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851B1/ko
Publication of KR20210109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5/0029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to least one lumen located at the middle part of the catheter, e.g. slots, flaps, valves, cuffs, apertures, notches, grooves or rapid exchange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4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two or more concentrically arranged tubes for forming a concentric cathete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025/0039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lumina being arranged coaxi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61M2025/0079Separate user-activated means, e.g. guidewires, guide tubes, balloon catheters or sheaths, for sealing off an orifice, e.g. a lumen or side holes, of a catheter

Abstract

이중 튜브 구조의 배액 카테터가 개시된다. 일 실예에 따른 이중 튜브 구조의 배액 카테터는, 원위부와 근위부를 가지며, 신체 내부로부터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액 카테터로서, 복수의 제1 배액 구멍들과 복수의 제2 배액 구멍들이 상기 원위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외측 배액관(outer drainage lumen)을 갖는 외측 튜브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제1 배액 구멍들 각각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제3 배액 구멍들이 상기 원위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배액관 내에 제거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가 흐를 수 있는 내측 배액관(inner drainage lumen)을 갖는 내측 튜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튜브 부재가 상기 외측 배액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액 구멍들 각각과 상기 복수의 제3 배액 구멍들 각각을 통과한 상기 유체는 상기 내측 배액관을 통과하여 배출되며, 상기 내측 튜브 부재가 상기 외측 배액관으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제2 배액 구멍들 각각을 통과한 상기 유체가 상기 외측 배액관을 통과하여 배출된다.

Description

이중 튜브 구조의 배액 카테터{Drainage catheter having dual tubes}
본 발명은 배액 카테터(drainage cathet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 튜브 구조를 갖는 배액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배액 카테터는 의료용 카테터의 하나로서, 인체 복강(腹腔) 내로부터 흉수(chest effusion)나 복수(ascites) 등과 같은 체액을 인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의료용 기구이다. 배액 카테터는 전문 의료인의 시술을 통하여 배액이 필요한 환자의 복강 내로 삽입되는데, 시술 전 환자는 금식을 해야 하고, 시술 후에는 X선 장치 등을 통해 삽입 위치 등을 확인한다. 그리고 복강 내로 삽입된 배액 카테터는 배액을 위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배액 카테터의 원위부는 삽입된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또는 설치되어 있는 모노 필라멘트를 당겨서 원위부(distal end)가 피그 테일(pig tail) 형상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피그 테일 형상의 원위부를 통해 좁은 공간에서도 배액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배액이 이루어지는 동안 삽입된 배액관이 복강으로부터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배액 카테터를 통해 배출되는 체액에는 수분과 같은 액체가 주요 구성 성분으로 포함되나, 육아 조직(granulation tissues)이나 혈전(thrombi) 등과 같은 이물질이 체액에 함께 포함되어 있다. 문제는 체액이 배출되면서 이들 이물질도 함께 배출되므로, 카테터의 배액 구멍이나 배액관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도 1은 이물질에 의하여 배액 구멍이 폐색된 현상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물질에 의하여 배액 구멍이나 배액관이 막힐 경우에는, 체액의 정상적인 추가 배출이 어려워지므로, 이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이 시도되거나 또는 제안되고 있다.
그 중의 한 가지 방안은 혈전 용해제를 투입하여 배액 구멍이나 배액관을 막고 있는 혈전 등을 용해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혈전 용해제는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혈전이 아닌 다른 이물질은 잘 용해시키지 못하므로 배액 구멍이나 배액관의 폐색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 다른 방안으로 사용 중인 배액 카테터를 빼고 새로운 배액 카테터로 교체하여 삽입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배액 카테터의 교체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여 환자의 비용 부담이 증가하는 것은 물론, 새로운 배액 카테터의 삽입 시술을 추가로 행해야 하기 때문에 환자에게 불편과 함께 건강상의 해로움(예컨대, 방사선 피폭 등)을 초래할 수 있다.
배액 카테터의 배액 구멍이나 배액관이 막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다른 한 가지 방안은, 미국등록특허 제5,514,112호, "Drainage catheter and method of use"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국등록특허에 개시된 일례에 의하면, 배액 카테터는 배액 구멍(inlet port)이 서로 정렬되는 내측 튜브 부재(inner tubular member)와 외측 튜브 부재(outer tubular member)의 이중 튜브 구조를 가지되, 내측 튜브 부재가 제거 가능하도록 외측 튜브 부재(즉, 외측 배액관) 내에 삽입되어 위치한다. 그리고 체액의 경질화(encrustation of the fluids)에 의하여 카테터, 특히 내측 튜브 부재의 배액 구멍이나 배액관이 막히면, 내측 튜브 부재만을 제거하거나 또는 새로운 것으로 교체한다. 이에 의하여, 카테터 교체를 위한 추가적인 시술 없이, 체액의 배출을 계속적으로 할 수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5,514,112호
그런데, 상기 미국등록특허에 개시된 배액 카테터는, 내측 튜브 부재의 배액관이 폐색되는 문제는 해결이 가능하지만, 외측 튜브 부재 및 내측 튜브 부재 각각의 배액 구멍이 막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즉, 내측 튜브 부재의 배액관과 함께 외측 튜브 부재 및 내측 튜브 부재 각각의 배액 구멍이 막힐 경우에는, 설사 내측 튜브 부재만을 제거하거나 또는 교체한다고 하더라도, 외측 튜브 부재의 배액 구멍이 막혀 있으면, 배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흉수나 복수 등과 같은 체액을 비교적 오랜 시간 동안 효과적으로 인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이중 튜브 구조의 배액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과제는 체액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에 의하여 배액관은 물론 배액 구멍이 막히는 경우에,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환자의 불편이나 환자에 대한 악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배액이 계속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중 튜브 구조의 배액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하나의 과제는 배액 구멍이나 배액관을 막고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또한 의료인의 업무 부하를 최소화하여 신속하게 배액이 재개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튜브 구조의 배액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위부와 근위부를 가지며, 신체 내부로부터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액 카테터로서, 복수의 제1 배액 구멍들과 복수의 제2 배액 구멍들이 상기 원위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외측 배액관(outer drainage lumen)을 갖는 외측 튜브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제1 배액 구멍들 각각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제3 배액 구멍들이 상기 원위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배액관 내에 제거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가 흐를 수 있는 내측 배액관(inner drainage lumen)을 갖는 내측 튜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튜브 부재가 상기 외측 배액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액 구멍들 각각과 상기 복수의 제3 배액 구멍들 각각을 통과한 상기 유체는 상기 내측 배액관을 통과하여 배출되며, 상기 내측 튜브 부재가 상기 외측 배액관으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제2 배액 구멍들 각각을 통과한 상기 유체가 상기 외측 배액관을 통과하여 배출된다.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3 배액 구멍들 각각의 크기는, 대응되는 상기 제1 배액 구멍들 각각의 크기보다 더 크다.
상기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외측 배액관을 통과한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외측 튜브 부재의 상기 근위부측 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제1 허브 및 상기 내측 배액관을 통과한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내측 튜브 부재의 상기 근위부측 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제2 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허브는 상기 제1 허브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허브 구조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내측 튜브 부재는, 상기 내측 튜브 부재가 상기 외측 튜브 부재로부터 슬라이딩되면서 제거될 때, 상기 외측 배액관의 내면과 마찰하면서 상기 원위부로부터 상기 근위부로 슬라이딩되는 필터링 수단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필터링 수단은, 일 단부가 상기 내측 튜브 부재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내측 튜브 부재의 상기 원위부 측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타 단부가 상기 외측 배액관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중심이 비어 있는 원판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링 수단은, 상기 원위부로부터 상기 근위부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외측 배액관의 내면과 마찰하더라도 상기 외측 배액관의 내면에 손상을 입히지 않을 정도의 경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배액 도중에 배액관 및/또는 배액 구멍이 막힌 경우에, 내측 튜브 부재를 제거할 때에, 배액관 또는 배액 구멍을 막고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외측 튜브 부재와 내측 튜브 부재의 대응 위치에 공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배액 구멍(제1 및 제3 배액 구멍)이 폐색되는 경우라도, 내측 튜브 부재를 외측 튜브 부재로부터 제거한 다음 외측 튜브 부재에만 형성되어 있는 배액 구멍(제2 배액 구멍)을 통해 배액을 계속 진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배액 카테터가 폐색되는 경우에 단순히 내측 튜브 부재의 제거만으로 계속 배액을 할 수 있으므로, 혈전 용해제 등과 같은 고가의 약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이미 시술되어 있는 배액 카테터를 교체하는 시술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신체에 유해한 시술(예컨대, 방사선 피폭을 이용하는 X레이 촬영 등)을 추가로 진행할 필요도 없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내측 튜브 부재를 제거할 때 외측 튜브 부재의 내벽이나 배액 구멍에 달라붙어 있는 이물질들도 함께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외측 튜브 부재만을 통해 재개되는 배액 과정에서 체액의 배출이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이물질에 의하여 배액 구멍이 폐색된 배액 카테터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튜브 구조의 카테터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점선 사각형 부분(A)에 대한 단면도의 일례이다.
도 4는 도 2의 점선 사각형 부분(A)에 대한 단면도의 다른 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튜브 구조의 카테터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점선 사각형 부분(A)에 대한 단면도의 일례이고, 도 4는 도 2의 점선 사각형 부분(A)에 대한 단면도의 다른 예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튜브 구조의 카테터(100)는 배액이 필요한 신체 부위(기관)와 연결된 개구를 통하여 해당 신체 부위까지 삽입되거나 또는 피부 조직을 뚫고 지나서 배액이 필요한 신체 부위에 삽입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카테터(100)는 도시하지 않은 투관침(trocar)이 원위부을 뚫고 나오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이와 연결된 허브가 허브 구조체(13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투관침 및 허브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미국등록특허 제5,514,112호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중 튜브 구조의 카테터(100)는 외측 튜브 부재(110)와 내측 튜브 부재(120)를 포함한다. 내측 튜브 부재(120)는 외측 튜브 부재(110)의 안쪽, 즉 외측 배액관(116) 내에 삽입되어 있는데, 추후 외측 튜브 부재(110)로부터 제거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도면에는 외측 튜브 부재(110)의 내면, 즉 외측 배액관(116)과 내측 튜브 부재(120)의 외면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도시한 것으로, 실시 형태에 따라 해당 간극은 거의 없거나 또는 후술하는 필터링 수단(128a, 128b)이 개재될 수 있을 정도의 미세한 크기를 가진다. 이에 의하여, 외측 배액관(116)과 내측 튜브 부재(120) 사이의 간극을 통해 체액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도 2a 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튜브 구조의 카테터(100)는 원위부는 피그 테일(pig tail) 형상으로 말려 있을 수 있는데,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실시 형태에 따라서, 이중 튜브 구조의 카테터(100)의 원위부 말단은 직선으로 펴진 형상을 가져도 된다. 원위부가 피그 테일 형상이 되도록, 이중 튜브 구조의 카테터(100)는 허브 구조체(130)로부터 원위부의 말단까지 연결된 필라멘트(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카테터(100)에서 외측 튜브 부재(110)만이 피그 테일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도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내측 튜브 부재(120)의 원위부도, 외측 튜브 부재(110)와 마찬가지로 피그 테일 형상을 가져도 된다. 이와 같이, 원위부가 피그 테일(pig tail) 형상을 가지면, 이중 튜브 구조의 카테터(100)는 배액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의도하지 않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신속하게 체액을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외측 튜브 부재(110)와 내측 튜브 부재(120)는 모두 유연한 소재로 형성된다. 예컨대, 외측 튜브 부재(110)와 내측 튜브 부재(120)는 각각 종래 카테터의 제조에 널리 사용되는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머 재질은 생체에 무해한 특성을 갖고 또한 체액에 대하여 화학적으로 안정된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테터(100)가 신체에 삽입된 경우에, 피부 조직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폴리머 재질은 유연한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외측 튜브 부재(110)와 내측 튜브 부재(120)는 우레탄(urethane)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외측 튜브 부재(110)와 내측 튜브 부재(120) 각각의 직경이나 두께 등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일례로, 외측 튜브 부재(110)는 약 1 내지 8mm의 외측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두께는 약 0.1 내지 1mm일 수 있다. 그리고 내측 튜브 부재(120)는 약 0.9 내지 7mm의 외측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두께는 약 0.25 내지 0.4mm일 수 있다. 그리고 외측 튜브 부재(110)의 길이는, 원위부(distal end)가 배액이 필요한 신체 부위에 도달할 수 있고 또한 허브 구조체(130)가 연결되어 있는 근위부(proximal end)는 환자의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면 충분하고, 그 구체적인 크기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외측 튜브 부재(110)와 내측 튜브 부재(120) 각각의 원위부에는 복수의 배액 구멍들(112, 114, 122)이 측벽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배액 구멍들(112, 114, 122)은 배출이 필요한 체액이, 카테터(100)의 외측 배액관(116) 또는 내측 배액관(126)으로 흘러 들어가는 입구로서 기능한다. 즉, 체액은 복수의 배액 구멍들(112, 114, 122)을 통하여 외측 배액관(116) 또는 내측 배액관(126)으로 유입된다. 도시된 배액 구멍들(112, 114, 122)의 크기나 위치,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며, 배출하고자 하는 체액의 종류나 양, 외측 배액관(116) 및/또는 내측 배액관(126)의 직경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외측 튜브 부재(11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배액 구멍들(112, 114)은, 내측 튜브 부재(12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배액 구멍들(122)과의 상대 위치에 따라서 2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외측 튜브 부재(110)에 형성되어 있는 배액 구멍(112, 114)과 내측 튜브 부재(120)에 형성되어 있는 배액 구멍(122)의 상대 위치는, 내측 튜브 부재(120)가, 외측 튜브 부재(110)의 배액관, 즉 외측 배액관(116) 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 즉 도 2a 또는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를 전제로 한다.
첫 번째 유형은 제1 배액 구멍(112)으로서, 내측 튜브 부재(120)에 형성되어 있는 제3 배액 구멍(122)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내측 튜브 부재(120)가 외측 튜브 부재(110) 내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 제1 배액 구멍들(112) 각각과 제3 배액 구멍들(122) 각각은 일대일로 서로 정렬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제1 배액 구멍(112)을 통과한 체액은 제3 배액 구멍(122)을 통과한 다음, 내측 튜브 부재(120)의 배액관, 즉 내측 배액관(126)을 통해 흘러서 외부로 배출된다.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제3 배액 구멍(122)의 크기는 제1 배액 구멍(112)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또는 더 클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제1 배액 구멍(112)을 통과한 체액이, 내측 튜브 부재(120)와 외측 배액관(116) 사이의 간극을 통해 흐르지 않고 제3 배액 구멍(122)을 통과하여, 내측 배액관(126)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보장될 수 있다.
두 번째 유형은 제2 배액 구멍(114)으로서, 내측 튜브 부재(120)에 형성되어 있는 제3 배액 구멍(122)의 위치에 대응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내측 튜브 부재(120)가 외측 튜브 부재(110) 내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배액 구멍(114)은 내측 튜브 부재(120)의 측벽에 의하여 막혀 있으므로, 체액을 제2 배액 구멍(114)을 통해서는 배출되지 못한다. 반면, 내측 튜브 부재(120)가 외측 튜브 부재(110)로부터 제거된 경우에는, 제2 배액 구멍(114)을 막고 있는 내측 튜브 부재(120)의 측벽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2 배액 구멍(114)을 통과한 체액은 외측 배액관(116)을 통해 흘러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외측 튜브 부재(110)의 원위부에는, 내측 튜브 부재(120)의 원위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3 배액 구멍(122)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배액 구멍(112) 이외에 제2 배액 구멍(114)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배액하고 신체 부위(복강)에 카테터(100)가 처음 시술이 되면, 체액은 제1 배액 구멍(112) 및 제3 배액 구멍(122)을 통과하여, 내측 배액관(126)을 통해 흘러서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액 도중에 체액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에 의하여, 내측 배액관(126) 및/또는 제1 배액 구멍(112) 및 제3 배액 구멍(122)이 막히면, 내측 튜브 부재(120)를 외측 튜브 부재(110)로부터 제거한다. 그 결과, 체액은 적어도 제2 배액 구멍(114)을 통과하여 외측 배액관(116)을 통해 흘러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중 튜브 구조의 카테터(100)는, 외측 튜브 부재(110)와 내측 튜브 부재(120) 각각의 근위부에 결합된 허브 구조체(13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허브 구조체(130)의 구체적인 구조나 기능 등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종래 이중 튜브 구조의 배액 카테터에 적용되는 허브 구조체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구조체(130)는, 전술한 미국등록특허 미국등록특허 제5,514,112호에 개시되어 있는 허브(20, 22) 및 쓰레드(20a)와 동일한 구성을 가져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허브 구조체(130)는 외측 튜브 부재(110)의 근위부측 단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외측 배액관(116)을 통과한 체액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허브(132)와, 내측 튜브 부재(120)의 근위부측 단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내측 배액관(126)을 통과한 체액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허브(134)를 적어도 포함한다. 그리고 제2 허브(134)는 제1 허브(13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일례로, 제2 허브(134)는 쓰레드(132a)에 의하여 제1 허브(132)에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추후에 필요한 경우에는, 쓰레드(132a)를 제1 허브(132)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내측 튜브 부재(120)를 외측 튜브 부재(11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튜브 구조의 카테터(100)는, 내측 튜브 부재(120)의 원위부 말단 외벽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링 수단(128a, 128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링 수단(128a, 128b)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액 도중에 체액에 포함되어 있는 육아 조직(granulation tissues)이나 혈전(thrombi) 등과 같은 이물질에 의하여 내측 튜브 부재(120)가 폐색되어서, 내측 튜브 부재(120)를 외측 튜브 부재(110)로부터 제거할 때, 외측 배액관(116)의 내면과 마찰을 하면서 원위부로부터 근위부까지 슬라이딩된다. 그 결과, 필터링 수단(128a, 128b)에 의하여, 외측 튜브 부재(110)의 배액 구멍들(112, 114)에 침전되어 있거나 및/또는 외측 배액관(116)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이, 내측 튜브 부재(120)와 함께 외측 튜브 부재(11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필터링 수단(128a, 128b)은 내측 튜브 부재(120)의 원위부측 말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 배액 구멍(112)에 침전되어 있거나 및/또는 외측 배액관(116)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경우에 따라서는 제2 배액 구멍(114)에 침전되어 있는 이물질도 포함된다)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형상과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링 수단(128a)은, 일 단부가 내측 튜브 부재(120)의 외벽을 둘러싸도록 내측 튜브 부재(120)의 원위부측 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타 단부가 외측 배액관(116)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중심이 비어 있는 원판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링 수단(128b)은, 내측 튜브 부재(120)의 원위부측 단부에 끼워져 있는 링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내측 튜브 부재(120)가 슬라이딩되어서 외측 튜브 부재(110)로부터 제거될 때, 외측 배액관(116)의 내면과의 마찰에 의하여, 필터링 수단(128a)의 타 단부 또는 링 형상의 부재의 돌출부가, 외측 배액관(116)의 내면에 부착된 이물질은 물론 제1 배액 구멍(112) 및/또는 제2 배액 구멍(114)을 막고 있는 이물질도 함께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링 수단(128a, 128b)은, 외측 배액관(116)의 내면 및/또는 배액 구멍(112, 114)을 막고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그 재질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컨대, 필터링 수단(128a, 118b)은, 외측 튜브 부재(110) 또는 내측 튜브 부재(12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어떠한 경우이든, 필터링 수단(128a, 128b)은, 원위부로부터 근위부로 슬라이딩될 때, 외측 배액관(116)의 내면과 마찰하더라도 외측 배액관(116)의 내면에 손상을 입히지 않을 정도의 경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외측 튜브 부재(110)의 원위부에는, 내측 튜브 부재(120)의 원위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3 배액 구멍(122)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배액 구멍(112) 이외에, 제2 배액 구멍(114)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링 수단(128a, 128b)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배액하고 신체 부위(복강)에 카테터(100)가 처음 시술이 되면, 체액은 제1 배액 구멍(112) 및 제3 배액 구멍(122)을 통과하여, 내측 배액관(126)을 통해 흘러서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액 도중에 체액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에 의하여, 내측 배액관(126) 및/또는 제1 배액 구멍(112) 및 제3 배액 구멍(122)이 막히면, 내측 튜브 부재(120)를 외측 튜브 부재(110)로부터 제거한다. 이 때, 필터링 수단(128a, 128b)에 의하여, 제1 배액 구멍(112)을 막고 있는 이물질도 함께 제거될 수 있다. 그 결과, 체액은 제1 배액 구멍(112) 및/또는 제2 배액 구멍(114)을 통과하여 외측 배액관(116)을 통해 흘러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실시 형태에 비하여 보다 신속한 배출이 가능하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이중 튜브 구조의 카테터
110: 외측 튜브 부재
112: 제1 배액 구멍
114: 제2 배액 구멍
116: 외측 배액관
120: 내측 튜브 부재
122: 제3 배액 구멍
128a, 128b: 필터링 수단
130: 허브 구조체

Claims (6)

  1. 원위부와 근위부를 가지며, 신체 내부로부터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액 카테터에 있어서,
    복수의 제1 배액 구멍들과 복수의 제2 배액 구멍들이 상기 원위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외측 배액관(outer drainage lumen)을 갖는 외측 튜브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제1 배액 구멍들 각각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제3 배액 구멍들이 상기 원위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배액관 내에 제거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가 흐를 수 있는 내측 배액관(inner drainage lumen)을 갖는 내측 튜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튜브 부재가 상기 외측 배액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액 구멍들 각각과 상기 복수의 제3 배액 구멍들 각각을 통과한 상기 유체는 상기 내측 배액관을 통과하여 배출되며, 상기 내측 튜브 부재가 상기 외측 배액관으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제2 배액 구멍들 각각을 통과한 상기 유체가 상기 외측 배액관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튜브 구조의 배액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배액 구멍들 각각의 크기는, 대응되는 상기 제1 배액 구멍들 각각의 크기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튜브 구조의 배액 카테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배액관을 통과한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외측 튜브 부재의 상기 근위부측 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제1 허브 및 상기 내측 배액관을 통과한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내측 튜브 부재의 상기 근위부측 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제2 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허브는 상기 제1 허브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허브 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튜브 구조의 배액 카테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튜브 부재는, 상기 내측 튜브 부재가 상기 외측 튜브 부재로부터 슬라이딩되면서 제거될 때, 상기 외측 배액관의 내면과 마찰하면서 상기 원위부로부터 상기 근위부로 슬라이딩되는 필터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튜브 구조의 배액 카테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수단은, 일 단부가 상기 내측 튜브 부재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내측 튜브 부재의 상기 원위부 측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타 단부가 상기 외측 배액관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중심이 비어 있는 원판 형상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튜브 구조의 배액 카테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수단은, 상기 원위부로부터 상기 근위부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외측 배액관의 내면과 마찰하더라도 상기 외측 배액관의 내면에 손상을 입히지 않을 정도의 경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튜브 구조의 배액 카테터.
KR1020200024786A 2020-02-28 2020-02-28 이중 튜브 구조의 배액 카테터 KR102354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786A KR102354851B1 (ko) 2020-02-28 2020-02-28 이중 튜브 구조의 배액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786A KR102354851B1 (ko) 2020-02-28 2020-02-28 이중 튜브 구조의 배액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774A KR20210109774A (ko) 2021-09-07
KR102354851B1 true KR102354851B1 (ko) 2022-01-21

Family

ID=77797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786A KR102354851B1 (ko) 2020-02-28 2020-02-28 이중 튜브 구조의 배액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8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2343A (en) 1976-10-05 1980-01-08 President of Tokyo Medical and Dental University Double coeliac drainage tube made of silicone
US5514112A (en) 1992-10-02 1996-05-07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Drainage catheter and method of use
US20160287848A1 (en) 2010-06-18 2016-10-06 Technion Research & Development Foundation Ltd. Self cleaning shunt
US20190054230A1 (en) 2017-08-18 2019-02-21 Ayman H. Al-Jazaeri Drainage Catheter With Retractable Internal Drain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0378A (en) * 1957-09-09 1960-03-29 Davol Rubber Co Abdominal drainage tube
KR101996814B1 (ko) * 2017-08-14 2019-07-0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세정기능을 구비한 피그테일 카테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2343A (en) 1976-10-05 1980-01-08 President of Tokyo Medical and Dental University Double coeliac drainage tube made of silicone
US5514112A (en) 1992-10-02 1996-05-07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Drainage catheter and method of use
US20160287848A1 (en) 2010-06-18 2016-10-06 Technion Research & Development Foundation Ltd. Self cleaning shunt
US20190054230A1 (en) 2017-08-18 2019-02-21 Ayman H. Al-Jazaeri Drainage Catheter With Retractable Internal Dra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774A (ko)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8674B2 (en) Methods and devices to clear obstructions from medical tubes
US5360397A (en) Hemodiaylsis catheter and catheter assembly
JP4447221B2 (ja) 移植可能な短絡装置および移植可能なカテーテル
US7322953B2 (en) Catheter device
WO2018043279A1 (ja) 吸引カテーテルおよび吸引システム並びに処置方法
US5163905A (en) Regional perfusion dissolution catheter
US200802623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continuous flow endoscopy
CA2616689A1 (en) Catheter and tunneling device therefor
KR100972463B1 (ko) 폐색 저항성 선단을 구비한 카테터
CA2881721A1 (en) Fluid exchange catheter and process for unblocking a fluid exchange catheter
CN116920264A (zh) 医疗管清洁
WO2018043281A1 (ja) 吸引システムおよび処置方法
JP2007175297A (ja) カテーテル
KR102354851B1 (ko) 이중 튜브 구조의 배액 카테터
EP3031412B1 (en) Catheter with a collection chamber
KR101996814B1 (ko) 세정기능을 구비한 피그테일 카테터
WO2018043280A1 (ja) 医療デバイスおよび処置方法
US11642508B2 (en) Thrombus detection device and method
JP2021013745A (ja) 再挿入のための血塊回収装置の洗浄
US9707325B2 (en) Drainage system with occlusion member
JP7483733B2 (ja) カテーテル
JP2023135252A (ja) 胆汁吸引カテーテル
JP2001008884A (ja) 硬性鏡用先端レンズ部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