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463B1 - 폐색 저항성 선단을 구비한 카테터 - Google Patents

폐색 저항성 선단을 구비한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463B1
KR100972463B1 KR1020057018386A KR20057018386A KR100972463B1 KR 100972463 B1 KR100972463 B1 KR 100972463B1 KR 1020057018386 A KR1020057018386 A KR 1020057018386A KR 20057018386 A KR20057018386 A KR 20057018386A KR 100972463 B1 KR100972463 B1 KR 100972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umen
extension
wall extension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8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2225A (ko
Inventor
마크 로티토
앤터니 트루피아노
마이크 샌소시
커트 핵스트롬
Original Assignee
코비디엔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비디엔 아게 filed Critical 코비디엔 아게
Publication of KR20050122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5/003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to least one lumen located at the distal part of the catheter, e.g. filters, plugs o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5/003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to least one lumen located at the distal part of the catheter, e.g. filters, plugs or valves
    • A61M2025/0031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to least one lumen located at the distal part of the catheter, e.g. filters, plugs or valves characterized by lumina for withdrawing or delivering, i.e. used for extracorporeal circuit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025/0037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lumina being arranged side-by-s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말단 단부까지 연장되는 긴 관형 본체를 포함하는 카테터가 제공된다. 관형 본체는 제1 루멘 및 제2 루멘과 이들 루멘들 사이에 배치된 격벽을 구비한다. 관형 본체는 제1 루멘을 한정하는 제1 벽과 제2 루멘을 한정하는 제2 벽을 구비한다. 상기 격벽의 일부 격벽 부분이 상기 제1 루멘과 제2 루멘을 넘어서 멀리 연장된다. 상기 제1 벽은, 상기 제1 루멘을 지나 멀리 연장되며 상기 격벽의 상기 일부 격벽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제1 벽 연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벽 연장부는 상기 격벽의 상기 일부 격벽 부분과 대면하는 오목면을 한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루멘과 상기 제2 루멘을 지나 멀리 연장되는 격벽 연장부를 구비한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상기 격벽 연장부는 제1 평탄면과 이에 대향되는 제2 평탄면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폐색 저항성 선단을 구비한 카테터{CATHETER WITH OCCLUSION RESISTANT TIP}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의료 카테터 기구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 중의 폐색을 방지하는 카테터 팁을 포함하는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몇몇 카테터들은 신체의 체강(體腔), 도관, 맥관 등 내에 유체를 투여(채취, 도입 등)하기 위한 관형 가요성 의료 기구이다.
이러한 카테터 기구는, 수술, 치료, 진단 등과 같은 적용 분야에 있어서, 유체의 동시 도입과 채취를 포함하는 유체 투여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특별한 혈액 투석 적용 분야에 있어서는, 치료를 위하여 인공 신장 장치에 의하여 혈액이 혈관으로부터 채취되고, 치료된 혈액은 혈관 내로 다시 도입된다.
공지된 여러 카테터 기구들은 신체에 유체를 동시에 도입하고 채취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기구들은 2방향 유체 흐름을 용이하게 하는 2중 루멘 카테터와 같은 다중 루멘을 이용할 수 있으며, 2중 루멘의 하나의 루멘은 혈액을 채취하고 다른 하나의 루멘은 치료된 혈액을 혈관 내로 도입한다. 대표적인 혈액 투석 과정 중에, 다중 루멘 카테터가 체내로 삽입되고, 카테터의 동맥 루멘을 통해 혈액이 채취된다. 이 혈액은 혈액 투석 유닛에 공급되고, 혈액 투석 유닛은 혈액을 투석 또는 세정하여 노폐물 또는 과잉 수분을 제거한다. 투석된 혈액은 카테터의 정맥 루멘을 통하여 다시 환자에게 공급된다. 전형적으로, 정맥 루멘은 격벽(septum)이라고 불리는 내측 카테터 벽에 의하여 동맥 루멘으로부터 분리된다.
혈액 투석 과정의 효율은, 정맥 루멘 내에 존재하는 투석된 혈액이 직접 동맥 루멘으로 회송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혈류의 재순환에 의해 감소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결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몇몇 카테터 기구에는 정맥 루멘의 개구부가 동맥 루멘의 개구부를 지나 말단에 배치되도록 루멘의 개구부들이 엇갈리게 배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카테터 기구도 여러 부수적인 결점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양 루멘들의 개구부 근방 또는 개구부 상에 그리고 루멘의 개구부들 사이에 응혈이 형성될 수 있다. 특별한 루멘에 대하여 전용(專用)된 흐름 방향에 의하여 발생할 수도 있는 또 다른 결점은, 흐름 방향이 역전되었을 경우의 재순환이다. 또한, 종래 기술의 루멘 개구부를 통해 도입된 흡입은 체내의 혈관 벽의 일부분을 루멘 내로 끌어들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결점들은 흐름 폐색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사용 중에 폐색을 방지하여 방해를 받지 않는 유체 흐름을 용이하게 하는 카테터 팁을 포함하는 카테터를 이용하여, 종래 기술의 단점과 결점을 극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색을 방지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재순환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테터는 카테터 팁에 인접한 오목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테터는 카테터의 루멘들 사이의 가역 흐름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카테터와 그 구성 부재들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제조되고 조립된다면, 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단점과 결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사용 중에 폐색을 방지하여 원할한 유체 흐름을 용이하게 하는 카테터 팁을 포함하는 카테터가 제공된다. 그러한 카테터는 폐색과 바람직하지 않은 재순환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테터 팁에 인접한 오목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테터는 카테터의 루멘들 사이의 가역 흐름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카테터는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제조되고 조립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은 종래 기술에서 경험하였던 관련된 단점과 결점을 해결한다.
본 발명은 개시 내용은, 무엇보다도, 루멘의 말단부들이 대칭 각도의 관계로 종결되는 팁 형상을 갖는 다중 루멘 투석 카테터를 제공한다. 루멘의 말단 벽 연장부는 카테터를 따라 동일한 종방향 위치에 있다. 카테터는 측공(sidehole)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카테터 팁 형상은 위치 폐색에 대한 가능성을 감소시키므로 바람직하다. 카테터 팁의 설계는 팁이 혈관의 측벽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유지시키는 것을 도우며, 흡입이 실시될 때에 카테터가 혈관 벽에 부착될 가능성을 제거한다.
대칭적인 카테터 팁 설계는 카테터의 각 루멘에 대하여 2방향 유체 흐름을 용이하게 하므로 또한 바람직하다. 카테터 팁의 대칭 형상은, 특별한 루멘을 예를 들어 유입, 유출 등과 같은 흐름 방향에 전용하였던 단점을 해결한다. 이러한 형상은 혈류의 양방향으로의 유사한 재순환을 일으킨다(유입에 사용되는 유입 루멘과 유출에 사용되는 유출 루멘, 또는 유입에 사용되는 유출 루멘과 유출에 사용되는 유입 루멘). 따라서, 연속 투석에서 흐름 방향을 번갈아 변경 및/또는 역전시킴으로써, 격벽을 포함한 카테터에 부착된 응혈이 씻겨나갈 수 있다. 교호적 및/또는 가역적 흐름은, 예를 들면 카테터에 연결된 투석기 등과 같은 카테터의 본체 외부의 소스에 의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한 특별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라 카테터가 제공된다. 카테터는 카테터의 말단부까지 연장된 긴 관형 본체를 포함한다. 관형 본체는 제1 루멘과 제2 루멘을 구비하고, 루멘들 사이에 격벽이 배치된다. 관형 본체는 제1 루멘을 획정하는 제1 벽과 제2 루멘을 획정하는 제2 벽을 포함한다. 격벽의 일부는 제1 루멘과 제2 루멘을 지나 말단으로 연장된다. 제1 벽은, 제1 루멘을 지나 말단으로 연장되고 격벽의 일부와 이격된 제1 벽 연장부를 포함한다. 제1 벽 연장부는 격벽의 일부와 대향하는 오목면을 한정한다.
격벽의 일부는 제1 벽 연장부의 오목면과 대향하는 평면을 한정할 수도 있다. 제1 벽 연장부는 제1 벽 연장부의 오목면 주위의 경계를 형성하는 평탄 단부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평탄 단부면은, 제1 벽 연장부의 오목면과 대향하는 격벽의 일부의 평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그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제2 벽은, 제2 루멘을 지나 말단으로 연장되고 격벽의 일부와 이격된 제2 벽 연장부를 포함한다. 제2 벽 연장부는 격벽의 일부와 대향하는 오목면을 한정한다. 격벽의 일부는 제2 벽 연장부의 오목면과 대향하는 평면을 한정할 수도 있다. 제2 벽 연장부는 제2 벽 연장부의 오목면 주위의 경계를 형성하는 평탄 단부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평탄 단부면은, 제2 벽 연장부의 오목면과 대향하는 격벽의 일부의 평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그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벽 연장부의 오목면은 제1 공동을 한정하고 제2 벽 연장부의 오목면은 제2 공동을 한정할 수 있다. 제1 공동과 제2 공동은 대칭이다. 제1 벽 연장부와 제2 벽 연장부는 격벽의 일부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벽 연장부는 제1 루멘을 지나 제1 거리만큼 연장된 제1 단차부와 제2 루멘을 지나 제2 거리만큼 연장된 제2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벽 연장부는 제2 루멘을 지나 제1 거리만큼 연장된 제1 단차부와 제2 루멘을 지나 제2 거리만큼 연장된 제2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격벽은, 카테터의 말단 팁에 인접하여 배치된 격벽 연장부를 구비하고 제1 루멘과 제2 루멘을 지나 말단으로 연장된다. 제1 벽은 제1 루멘을 지나 말단으로 연장되고 격벽 연장부로부터 이격된다. 제1 벽 연장부는 격벽 연장부와 대향하는 오목면을 한정한다. 제2 벽은 제2 루멘을 지나 말단으로 연장되고 격벽 연장부로부터 이격된다. 제2 벽 연장부는 격벽 연장부와 대향하는 오목면을 한정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격벽 연장부는 제1 평면과 대향 제2 평면을 한정한다. 제1 벽은 제1 루멘과 제2 루멘을 지나 말단으로 연장되는 제1 벽 연장부를 포함한다. 제1 벽은 격벽 연장부로부터 이격된다. 제1 벽 연장부는 격벽 연장부의 제1 평면과 대향하는 오목면을 한정하고 제1 벽 연장부의 평탄 단부면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제1 벽 연장부의 평탄 단부면은 격벽 연장부의 제1 평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그를 향하여 배치된다. 제2 벽은 제1 루멘과 제2 루멘을 지나 말단으로 연장되는 제2 벽 연장부를 포함한다. 제2 벽은 격벽 연장부로부터 이격된다. 제2 벽 연장부는 격벽 연장부의 제2 평면과 대향하는 오목면을 한정하고 제2 벽 연장부의 평탄 단부면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제2 벽 연장부의 평탄 단부면은 격벽 연장부의 제2 평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그를 향하여 배치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벽 연장부의 오목면은 제1 공동을 한정하고 제2 벽 연장부의 오목면은 제2 공동을 한정한다. 제1 벽 연장부는 제1 공동의 유입구를 한정하는 제1 기부를 포함한다. 제1 기부는 제2 벽 연장부의 제2 공동으로부터 방출되는 유체 흐름의 기단에 배치된다. 제2 벽 연장부는 제2 공동의 유입구를 한정하는 제2 기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기부는 제2 벽 연장부의 제1 공동으로부터 방출되는 유체 흐름의 기단에 배치된다. 제1 기부 및/또는 제2 기부는 아치 형상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신규한 개시 내용의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과 조작 방법에 대한 개시 내용과 더불어 그 밖의 목적 및 장점은, 다음과 같은 첨부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명확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개시된 원리에 따른 카테터의 사시도로서 격벽을 은선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테터의 말단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테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카테터의 말단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카테터의 말단부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카테터의 또 다른 실시예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카테터의 다른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카테터의 다른 확대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6에 도시된 카테터의 다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카테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카테터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카테터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시된 카테터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카테터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0에 도시된 카테터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0에 도시된 카테터의 사시도로서 유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0에 도시된 카테터의 사시도로서 유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0에 도시된 카테터의 측면 사시도로서 유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신체에 유체를 투여(배출, 주입 등)하기 위한 의료용 카테터(catheter), 특히 사용 중에 폐색(occlusion)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여 유체의 유동이 차단되지 않도록 하는 카테터 팁을 포함한 카테터의 실시예들과 그 용도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테터는 바람직하게는 루멘(lumen)들 사이에서 유체가 역전되어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는, 일례로 혈액 투석용 카테터, 복막용 카테터, 주입용 카테터, PICC용 카테터, CVC용 카테터, 포트용 카테터 등과 같은 카테터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피시술자의 질병, 신체 결함 등에 대한 외과 수술, 진단 및 그에 관련된 치료 등을 포함하는 카테터 적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카테터의 원리에는, 일례로 만성 또는 급성 등의 혈액 투석 분야, 심장 분야, 복부 분야, 비뇨기 분야, 장 분야 등에 대한 여러 가지 관련 절차들이 포함된다. 카테터는, 일례로 혈액, 소변 등의 체액, 식염수, 약물 등과 같은 유체를 투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카테터는 또한 피시술자의 상태를 모니터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근위(proximal)"라는 용어는 시술자에게 가까운 피시술자 부분을 가리키고, "말단(distal)"라는 용어는 시술자로부터 떨어진 피시술자 부분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피시술자"라는 용어는 환자 또는 동물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시술자"라는 용어는 의사, 간호사 또는 여타 다른 치료 행위자를 가리키며 보조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가지고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카테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동일 부재는 동일 도면 부호로 표기하였다. 도 1 내지 도 4를 보면, 카테터(10)는 말단 단부(14)로 연장되는 긴 관형 본체(12)를 포함한다. 본체(12)는 제1 루멘(16)과 제2 루멘(18)을 포함하며, 이 루멘들 사이에는 격벽(20)이 배치된다. 본체(12)는, 제1 루멘(16)을 형성하는 제1 벽(22)과, 제2 루멘(18)을 형성하는 제2 벽(24)을 포함한다. 일례로 격벽(20)의 격벽 연장부(26)와 같은 부분은 제1 루멘(16)과 제2 루멘(18)을 넘어 멀리 연장된다. 격벽(20)은 본체(12)의 종방향 길이를 따라 제1 루멘(16)과 제2 루멘(18) 사이의 중간에 배치된다. 격벽(20)은 본체(12)와 함께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일례로 제1 벽과 제2 벽의 연장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그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벽(22)은, 제1 루멘(16)을 넘어 멀리 연장되고 격벽 연장부(26)로부터 이격되는 제1 벽 연장부(28)를 포함한다. 제1 벽 연장부(28)는 격벽 연장부(26)와 대면하는 오목면(30)을 형성한다. 제2 벽(24)은, 제2 루멘(18)을 넘어 멀리 연장되고 격벽 연장부(26)로부터 이격되는 제2 벽 연장부(32)를 포함한다. 제2 벽 연장부(32)는 격벽 연장부(26)와 대면하는 오목면(34)을 형성한다.
격벽 연장부(26)는 제1 벽 연장부(28)와 제2 벽 연장부(32)를 넘어 멀리 연장된다. 격벽 연장부(26)는 본체(12)로부터 연장되면서 제1 벽 연장부(28)와 제2 벽 연장부(32) 사이의 중간에 배치된다. 격벽 연장부(26)는 다양하게 본체(12)로부터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카테터(10)의 구성에 따르면,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루멘(16)과 제2 루멘(18)의 폐색 현상이 방지된다. 카테터 적용 분야의 요건에 따라서, 하나 또는 다수의 벽 연장부가 카테터(10)에 구비될 수 있다.
본체(12)는 원통형 외부 표면(36)을 구비한다. 본체(12)는 여러 가지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타 다른 의료용 장치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외부 표면(36)의 단면은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장방형, 직사각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2)는 또한 측부 개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벽(22)은 격벽(20)의 표면(40)과 함께 제1 루멘(16)을 형성하는 벽 표면(38)을 구비한다. 제2 벽(24)은 격벽(20)의 표면(44)과 함께 제2 루멘(18)을 형성하는 벽 표면(42)을 구비한다.
루멘(16, 18) 각각의 단면 형상은 D자형 또는 반원형일 수 있다. 루멘(16, 18)은 본체(12)와 함께 연장되고, 표면(38, 40, 42, 44)은 유체가 루멘(16, 18) 내에서 유동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루멘(16, 18)은 동맥류 및/또는 정맥류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루멘(16, 18)은 일례로 원통형, 직사각형, 타원형, 다각형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카테터 적용 분야의 특정 요건에 따라서, 제1 루멘과 제2 루멘은 여러 방향으로 유동하는 다양한 형태의 유체에 대해서 구성될 수도 있다.
특정 유동 표시 요건 및/또는 유량 요건에 따라서, 루멘(16, 18)은 크기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협폭부 및 광폭부와 수렴형 표면과 파형 표면 등과 같은 또 다른 크기의 단면을 본체(12) 내에 포함할 수 있다. 루멘(16)과 루멘(18)은 다른 길이들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체(12)는 일례로 3중 루멘 구성 등과 같이 하나 또는 다수의 루멘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루멘(16)은 일례로 본체(12)의 말단 단부(14)에 인접하게 배치된 유입구(46)와 같은 제1 개구를 포함한다. 제1 루멘(16)의 유출 개구(미도시)는 본체(12)의 근위 단부(48)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유입구(46)는 흡입용으로 구성되며, 피시술자(미도시)의 혈관에 삽입되어, 인공 신장 장치(미도시)에 의한 치료를 위해 혈액, 일례로 동맥 혈액이 혈관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유입구(46)는 일례로 직사각형, 타원형, 다각형 등과 같이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여타 다른 구조체로의 유체 유동 및/또는 그 구조체에 대한 부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 클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루멘(16)은 격벽(20)에 의해 제2 루멘(18)으로부터 이격된다. 제2 루멘(18)은, 일례로 말단 단부(14)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본체(12)를 따라 유입구(46)와 종방향으로 정렬되게 배치되는 유출 개구(50)와 같은 제2 개구를 포함한다. 제2 루멘(18)의 유입구(미도시)는 근위 단부(48)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유출 개구(50)는 혈액 배출용으로 구성되며, 인공 신장 장치로부터의 혈액, 일례로 정맥 혈액이 대향 제2 방향으로 혈관 내로 다시 유입되도록 한다. 유출 개구(50)는 일례로 직사각형, 타원형, 다각형 등과 같이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여타 다른 구조체로의 유체 유동 및/또는 그 구조체에 대한 부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 클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출 개구(50)는 유체의 배출을 위해서 구성될 수 있다.
카테터(10)의 구성 부재는 카테터의 특정 적용 분야 및/또는 시술자의 선호도에 따라서 일례로 스테인레스 강재와 같은 금속이나 중합체와 같이 의료용으로 적합한 소재로 제조된다. 반강성 및 강성 중합체와, 일례로 의료용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탄성 소재가 제조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여타 다른 소재와 조립 및 제조 방법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벽 연장부(28)는 제1 루멘(16)의 유입구(46)와 제2 루멘(18)의 유출 개구(50)를 넘어 거리(a)만큼 연장된다. 이 거리(a)는 특정 카테터 적용 분야의 요건에 따라서 다양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일례로 약 0.100 내지 0.200 인치일 수 있다. 오목면(30)은 격벽 연장부(26)의 평탄한 제1 표면(52)과 대면하며, 그 평탄한 제1 표면으로부터 간격(b)만큼 이격된다. 이 간격(b)은 다양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표면(52)은 일례로 아치형, 파형, 무늬형 등과 같은 비평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오목면(30)은 제1 벽 연장부(28)의 평탄 단부면(54)에 접하며 반경 방향 간격(c)을 형성한다. 단부면(54)이 오목면(30) 외주 주위로 연장되어, 제1 벽 연장부(28)가 스쿠프(scoop)형 형태를 갖게 됨으로써, 유체가 제1 루멘(16)을 통해 쉽게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제1 벽 연장부(28)는 구형, 직사각형 등과 같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단부면(54)은 제1 벽 연장부(28)의 말단 단부에 인접한 반경 방향 부분(55)을 포함한다. 반경 방향 부분(55)은 아치 형태를 형성하면서 본체(12)의 종방향 외부 표면(36)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혈관 벽(미도시)이 제1 루멘(16)의 유입구 내에 배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 부분(155)은 본체(12)의 종방향 외부 표면(36)에 수직하게 교차하면서 연장된다.
간격(c)은 다양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평탄 단부면(54)은 평탄한 제1 표면(52)에 대해 각도(α)를 형성하면서 배치된다. 단부면(54)은 다양한 각도(α)를 형성하면서 배치될 수 있으며, 일례로 5 내지 20°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오목면(30)과 평판한 제1 표면(52)은 함께 제1 공동(56)을 형성한다. 제1 공동(56)은 유입구(46)를 넘어 멀리 연장된다. 제1 공동(56)은 카테터 적용 분야의 특정 요건에 따라서 유입구(46), 오목면(30), 평탄 단부면(54) 및 격벽 연장부(26) 중 하나 또는 모두의 가장자리에 의해서 크기와 형태가 형성된다. 제1 공동(56)이 유입구(46)를 넘어 멀리 연장됨으로써, 유체가 제1 루멘(16)과 제2 루멘(18) 사이에서 재순환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는 격벽 연장부(26)에 의해 형성된 차단벽에 의해서 쉽게 달성된다.
제2 벽 연장부(32)는 제1 루멘(16)의 유입구(46)와 제2 루멘(18)의 유출 개구(50)를 넘어 거리(d)만큼 연장된다. 이 거리(d)는 특정 카테터 적용 분야의 요건에 따라서 다양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일례로 약 0.100 내지 0.200 인치일 수 있다. 오목면(34)은 평탄한 제1 표면(52)에 대향된 격벽 연장부(26)의 평탄한 제2 표면(58)과 대면하며, 그 평탄한 제2 표면으로부터 간격(e)만큼 이격된다.
간격(e)은 다양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표면(58)은 일례로 아치형, 파형, 무늬형 등과 같은 비평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면(52)은 표면(58)과 각도를 형성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오목면(34)은 제2 벽 연장부(32)의 평탄 단부면(60)에 접하며 반경 방향 간격(f)을 형성한다. 단부면(60)이 오목면(34) 외주 주위로 연장되어, 제2 벽 연장부(32)가 스쿠프(scoop)형 형태를 갖게 됨으로써, 유체가 제2 루멘(18)을 통해 쉽게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제2 벽 연장부(32)는 구형, 직사각형 등과 같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단부면(60)은 제2 벽 연장부(32)의 말단 단부에 인접한 반경 방향 부분(61)을 포함한다. 반경 방향 부분(61)은 아치 형태를 형성하면서 본체(12)의 종방향 외부 표면(36)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유체가 역류하고 유체의 배출을 위해 흡입력이 제공되는 경우에, 혈관 벽(미도시)이 제2 루멘(18)의 말단 개구 내에 배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 부분(161)은 종방향 외부 표면(36)에 수직하게 교차하면서 연장된다.
간격(f)은 다양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평탄 단부면(60)은 평탄한 제2 표면(58)에 대해 각도(β)를 형성하면서 배치된다. 단부면(60)은 다양한 각도(β)를 형성하면서 배치될 수 있으며, 일례로 5 내지 20°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오목면(34)과 평판한 제2 표면(58)은 함께 제2 공동(62)을 형성한다. 제2 공동(62)은 유출 개구(50)를 넘어 멀리 연장된다. 제2 공동(62)은 카테터 적용 분야의 특정 요건에 따라서 유출 개구(50), 오목면(34), 평탄 단부면(60) 및 격벽 연장부(26) 중 하나 또는 모두의 가장자리에 의해서 크기와 형태가 형성된다. 제2 공동(62)이 유출 개구(50)를 넘어 멀리 연장됨으로써, 유체가 제2 루멘(18)과 제1 루멘(16) 사이에서 재순환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는 격벽 연장부(26)에 의해 형성된 차단벽에 의해서 쉽게 달성된다.
제1 벽 연장부(28)와 제2 벽 연장부(32)는 제1 공동(56)과 제2 공동(62)이 대칭이 되도록 격벽 연장부(26)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제1 공동(56)과 제2 공동(62)은 각각의 루멘에 대한 유입 및 유출을 쉽게 달성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동일한 공간을 형성한다. 제1 공동(56)과 제2 공동(62)에 의해 형성된 공간은 위에서 설명한 각각의 평탄 단부면(54, 60)과 각도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공동(56, 62)이 평탄 단부면(54, 60)과 각도(α, β)를 형성함으로써, 유체가 도 4에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카테터(10)의 구성에 따르면, 제1 루멘(16)과 제2 루멘(18) 사이에서 유체의 역류가 가능하여, 일례로 격벽(20)과 카테터(10)에 고착된 응혈(blood clot)을 혈액의 유동 방향을 교번시킴으로써 떼어낼 수 있게 된다. 혈액이 신체 혈관으로 주입되도록 제2 루멘(18)이 혈액을 배출시키기 때문에, 혈액은 제2 루멘(18) 외부로 유동된다. 혈액은 제2 벽 연장부(32)를 거쳐 공동(62) 외부로 축방향으로 유동된다. 이렇게 혈액이 축방향으로 유동됨으로써 인접 공동(62)에 고착된 어떠한 응혈도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루멘(18)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로 인해, 카테터(10)에 고착된 여타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도 떼어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유체가 제2 루멘(18)과 제1 루멘(16) 사이에서 재순환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격벽(20)과 카테터(10)에 고착된 응혈 등은 연속 투석법을 이용하여 유동 방향을 교번 및/또는 역전시킴으로써 떼어 낼 수 있다. 카테터(10) 본체 외부의 작동원, 일례로 카테터 본체 외부에 연결된 투석기 등을 사용하여 유동 방향을 교번 및/또는 역전시킬 수 있다.
제1 루멘(16)에는 유체를 신체 혈관으로부터 유출시키기 위한 흡입력이 인가된다. 유체가 공동(56)을 통해 제1 루멘(16)으로 유입되는 효율은 공동(56)의 형태와 유동 방향으로 인해 향상된다. 제1 루멘(16)의 인접 공동(56)에 고착된 응혈이나 여타 다른 소망하지 않는 물질들은 연속 투석 절차에 따라서 루멘(16, 18)의 혈액 유동 방향을 역전시킴으로써 떼내어질 수 있다. 혈액 유동 방향을 역전시키게 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혈액이 공동(56)으로부터 배출되어, 축방향으로 유동하는 혈액이 응혈을 떼어내게 된다. 제2 루멘(18)에는 유체를 신체 혈관으로부터 유출시켜 개구(50) 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력이 인가된다.
제1 벽 연장부(28)와 제2 벽 연장부(32)가 대칭으로 구성됨으로써, 신체 혈관(미도시)의 혈관 벽이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혈관 벽이 유입구(46)와 유출 개구(50)로부터 이격되어, 일례로 루멘들을 통한 흡입 작업 중에 혈관 벽이 개구(46, 50)와 폐색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제1 벽 연장부(28)와 제2 벽 연장부(32)는 그들의 소망하지 않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반강성 또는 강성 소재로 제조될 수 있거나 그리고/또는 충분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보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한 카테터(1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벽(22)은, 제1 루멘(16)을 넘어 멀리 연장되고 격벽 연장부(26)로부터 이격되는 제1 벽 연장부(228)를 포함한다. 제1 벽 연장부(228)는 격벽 연장부(26)와 대면하는 오목면(230)을 형성한다. 제2 벽(24)은, 제2 루멘(18) 을 넘어 멀리 연장되고 격벽 연장부(26)로부터 이격되는 제2 벽 연장부(232)를 포함한다. 제2 벽 연장부(232)는 격벽 연장부(26)와 대면하는 오목면(234)을 형성한다.
제1 벽 연장부(228)는 제1 단차부(212)와 그와 함께 형성되는 제2 단차부(214)를 포함한다. 제1 단차부(212)는 격벽 연장부(26)와 함께 형성된다. 제1 단차부(212)와 제2 단차부(214)는 격벽 연장부(26)의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 단차부(212) 및/또는 제2 단차부(214)는 평면 등과 같은 또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단차부(212)는 제1 루멘(16)의 유입구(46)와 제2 루멘(18)의 유출 개구(50)를 넘어 거리(aa)만큼 연장된다. 제2 단차부(214)는 유입구(46)와 유출 개구(50)를 넘어 거리(bb)만큼 연장된다. 이 거리(aa, bb)들은 다양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오목면(230)은 격벽 연장부(26)의 평탄한 제1 표면(52)과 대면하고, 그 평탄한 제1 표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오목면(230)은 격벽 연장부(26)로부터 본체(12) 외주의 대략 1/4만큼 연장되거나 90°의 원호 형태로 연장된다. 제1 단차부(212) 및/또는 제2 단차부(214)나 여타 다른 오목면(230)의 부분들이 본체(12) 주위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오목면(230)은 제1 벽 연장부(228)의 평탄 단부면(254)과 접한다. 단부면(254)이 오목면(230)의 외주 주위로 연장되어, 유체가 제1 루멘(16)을 통해 쉽게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오목면(230)과 평탄한 제1 표면(52)은 함께 제1 공동(56)을 형성한다. 제1 공동(56)은 또한 근위 기부(264)에 의해서 형성된다. 근위 기부(264)는 유체의 배출시에 제1 루멘(16)에 대한 근위 유입부를 형성한다. 제1 루멘(16)에서의 흡입으로 인한 유체의 유량은 근위 기부(264)의 인접부에서 크다.
제2 벽 연장부(232)는 제1 단차부(216)와 그와 함께 형성되는 제2 단차부(218)를 포함한다. 제1 단차부(216)는 격벽 연장부(26)와 함께 형성된다. 제1 단차부(216)와 제2 단차부(218)는 격벽 연장부(26)의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 단차부(216) 및/또는 제2 단차부(218)는 평면 등과 같은 또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단차부(216)는 출구측 개구부(50)와 입구측 개구부(46)를 지나 거리(dd)만큼 멀리 연장된다. 제2 단차부(218)는 입구측 개구부(46)와 출구측 개구부(50)를 지나 거리(ee)만큼 멀리 연장된다. 거리(dd)와 거리(ee)는 다양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오목면(234)은 제1 평탄면(52)의 반대쪽에 있는, 격벽 연장부(septum extension)(26)의 제2 평탄면(58)과 면하며, 그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한다. 오목면(234)은 격벽 연장부(26)로부터 연장되어 본체(12) 원주의 약 1/4 또는 실질적으로 90°각도에 걸쳐 이어진다. 제1 단차부(216) 및/또는 제2 단차부(218), 또는 오목면(234)의 다른 부분들은 본체(12) 주변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오목면(234)은 제2 벽 연장부(232)의 평평한 단부면(260)에 의해 경계 지어진다. 단부면(260)은 오목면(234)의 주변에 대하여 연장되어 제2 루멘(lumen)(18)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용이하게 한다.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오목면(234)과 제 2 평탄면(58)은 함께 제2 공동(62)을 경계 짓는다. 제2 공동(62)은 근위 기부(proximal base)(266)에 의해 추가로 경계 지어진다. 예를 들어, 유동이 카테터(catheter)(10)를 따라 역류하면, 근위 기부(266)는 유체가 되돌아가는 동안 제2 루멘(18)의 인접 입구부를 경계 짓는다. 제2 루멘(18)에 제공되는 흡입은 근위 기부(266) 근처에서 더욱 큰 유속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제1 공동(56)과 제2 공동(62)이 대칭이 되도록 격벽 연장부(26) 주위에 제1 벽 연장부(first wall extension)(228)와 제2 벽 연장부(232)가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제1 공동(56)과 제2 공동(62)은 동등한 공간을 경계 지어 각 루멘의 유입과 유출 능력을 용이하게 한다.
카테터(10)의 배열은, 예를 들어 혈액의 유동 방향을 바꿈으로써 카테터(10)에 달라붙는 응혈이 씻겨 내려질 수 있도록, 제1 루멘(16)과 제2 루멘(18) 사이에서 가역적인 유동을 유리하게 조장할 수 있다. 제2 루멘(18)이 본체 용기로 유도되는 혈액 유동을 몰아냄에 따라, 혈액 유동은 제2 루멘(18)을 벗어나도록 힘을 받는다. 혈액 유동은 제2 벽 연장부(232)를 지나 공동(62)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유도된다. 그러한 축방향으로 유도된 혈액 유동은 공동(62)에 인접하게 놓여진 어떠한 응혈도 씻어 내리도록 설계된다. 나아가, 카테터(10)에 바람직스럽지 못하게 부착된 기타의 입자들도 제2 루멘(18)을 빠져나가는 혈액 유동이 씻어 내릴 수 있도록 설계된다.
본체 용기로부터 유체를 물러나도록 하는 흡입이 제1 루멘(16)에 제공된다. 흡입은 다양한 방향과 위치로부터 입구측 개구부(46)로 혈액의 유동을 끌어당긴다. 흡입은 근위 기부(264)의 근처에서 더 큰데, 이는 흡입원(도시되지 않았음)에 더욱 가깝기 때문이다. 유체 유동은 근위 기부(264)의 근처에서 더 크고, 따라서, 제2 루멘(18)의 공동(62)으로부터 배출된 혈액 유동에 가깝도록 유리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루멘(16, 18) 사이의 재순환을 최소화한다.
루멘(16, 18)의 혈액 유동 방향을 바꿈으로써 제1 루멘(16)의 공동(56)에 인접하게 놓여진 응혈이나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입자들이 씻겨져 내릴 수 있도록 설계된다. 혈액 유동 방향이 바뀜에 따라 혈액 유동은 공동(56)으로부터 배출되고, 축방향으로 유도된 혈액 유동은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응혈을 씻어 내린다.
유체를 본체 용기로부터 개구부(50)로 물러나게 하는 흡입이 제2 루멘(18)에 제공된다. 제2 벽 연장부(232)는 제1 벽 연장부(228)와 대칭적이고, 따라서 근위 기부(264)와 유사하게, 흡입은 근위 기부(266)의 근처에서 더욱 크다. 유체 유동은 근위 기부(266)의 근처에서 더욱 크고, 따라서, 공동(56)으로부터 배출된 혈액 유동에 가깝도록 유리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루멘(16, 18) 사이의 재순환을 최소화한다.
도 10 ~ 도 18에는 전술한 것과 유사한, 또 다른 카테터(10)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벽(22)은, 제1 루멘을 지나 멀리 연장되고, 격벽 연장부(26)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는 제1 벽 연장부(328)를 포함한다. 제1 벽 연장부(328)는 격벽 연장부(26)에 면하는 오목면(330)을 경계 짓는다. 제2 벽(24)은, 제2 루멘(18)을 지나 멀리 연장되는 제2 벽 연장부(332)를 포함한다. 제2 벽 연장부(332)는 격벽 연장부(26)에 면하는 오목면(334)을 경계 짓는다.
제1 벽 연장부(328)는 거기에 아치형 전이부(arcuate transition)로 형성된 제1 단차부(312)와 제2 단차부(314)를 포함한다. 제1 단차부(312)는 격벽 연장부(26)와 함께 아치형 전이부로 형성된다. 제1 단차부(312)와 제2 단차부(314)는 격벽 연장부(26)의 부근에 주변을 따라 배치된다. 제1 단차부(312) 및/또는 제2 단차부(314)는 예를 들자면 평탄면 등과 같은 또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단차부(312)는 제1 루멘(16)의 입구측 개구부(46)와 제2 루멘(18)의 출구측 개구부(46)를 지나 거리(aa)만큼 멀리 연장된다. 제2 단차부(314)는 입구측 개구부(46)와 출구측 개구부(50)를 지나 거리(bb) 만큼 멀리 연장된다. 거리(aa) 및 거리(bb)는 다양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오목면(330)은 격벽 연장부(26)의 제1 평탄면(52)과 면하고, 그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한다. 오목면(330)은 격벽 연장부(26)로부터 연장되어 본체(12) 원주의 약 1/4 또는 실질적으로 90°각도에 걸쳐 이어진다. 제1 단차부(312) 및/또는 제2 단차부(314), 또는 오목면(330)의 다른 부분들은 본체(12) 주변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오목면(330)은 제1 벽 연장부(328)의 평평한 단부면(354)에 의해 경계 지어진다. 단부면(354)은 오목면(330)의 주변에 대하여 연장되어 제1 루멘(16)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용이하게 한다.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오목면(330)과 제1 평탄면(52)은 함께 제1 공동(56)을 경계 짓는다. 제1 공동(56)은 근위 기부(364)에 의해 추가로 경계 지어진다. 근위 기부(364)는 아치 형상을 가지고, 유체가 되돌아 가는 동안 제1 루멘(16)의 인접 입구부를 경계 짓는다. 제1 루멘(16)에 제공되는 흡입은 근위 기부(364)의 근처에서 더욱 큰 유속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제2 벽 연장부(332)는 거기에 아치형 전이부로 형성되는 제1 단차부(316) 및 제2 단차부(318)를 포함한다. 제1 단차부(316)는 격벽 연장부(26)와 함께 형성된다. 제1 단차부(316)와 제2 단차부(318)는 격벽 연장부(26)의 부근에 주변을 따라 배치된다. 제1 단차부(316) 및/또는 제2 단차부(318)는 예를 들자면 평탄면 등과 같은 또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단차부(316)은 출구측 개구부(50)와 입구측 개구부(46)를 지나 거리(dd)만큼 멀리 연장된다. 제2 단차부(318)는 입구측 개구부(46)와 출구측 개구부(50)를 지나 거리(ee)만큼 멀리 연장된다. 거리(dd) 및 거리(ee)는 다양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오목면(334)은 제1 평탄면(52)의 반대쪽에 있는, 격벽 연장부(26)의 제2 평탄면(58)과 면하며, 그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한다. 오목면(334)은 격벽 연장부(26)로부터 연장되어 본체(12) 원주의 약 1/4 또는 실질적으로 90°각도에 걸쳐 이어진다. 제1 단차부(316) 및/또는 제2 단차부(318), 또는 오목면(334)의 다른 부분들은 본체(12) 주변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오목면(334)은 제2 벽 연장부(332)의 평평한 단부면(360)에 의해 경계 지어진다. 단부면(360)은 오목면(334)의 주변에 대하여 연장되어 제2 루멘(18)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용이하게 한다.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오목면(334)과 제2 평탄면(58)은 함께 제2 공동(58)을 경계 짓는다. 제2 공동(62)은 근위 기부(366)에 의해 추가로 경계 지어진다. 예를 들어, 유체 유동이 카테터(10)를 따라 역류되면, 근위 기부(366)는 아치 형상을 가지며, 유체가 되돌아 가는 동안 제2 루멘(18)의 인접 입구부를 경계 짓는다. 제2 루멘(18)에 제공되는 흡입은 근위 기부(366)의 근 처에서 더욱 큰 유속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제1 공동(56)과 제2 공동(62)이 대칭이 되도록 격벽 연장부(26) 주위에 제1 벽 연장부(228)와 제2 벽 연장부(232)가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제1 공동(56)과 제2 공동(62)은 동등한 공간을 경계 지어 각 루멘의 유입과 유출 능력을 용이하게 한다.
카테터(10)의 배열은, 혈액 유동 방향을 바꿈으로써 제1 루멘(16)과 제2 루멘(18) 사이의 가역적인 유동을 유리하게 조장할 수 있다. 제2 루멘(18)이 본체 용기로 유도되는 혈액 유동을 몰아냄에 따라, 혈액 유동은 제2 루멘(18)을 벗어나도록 힘을 받는다. 혈액 유동은 제2 벽 연장부(332)를 지나 공동(62)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유도된다. 그러한 축방향으로 유도된 혈액 유동은 공동(62)에 인접하게 놓여진 어떠한 응혈도 씻어 내리도록 설계된다.
본체 용기로부터 유체를 물러나게 하는 흡입이 제1 루멘(16)에 제공된다. 흡입은 다양한 방향과 위치로부터 입구측 개구부(46)로 혈액의 유동을 끌어당긴다. 흡입은 근위 기부(364)의 근처에서 더 큰데, 이는 흡입원(도시되지 않았음)에 더욱 가깝기 때문이다. 유체 유동은 근위 기부(364)의 근처에서 더 크고, 따라서, 제2 루멘(18)의 공동(61)으로부터 배출된 혈액 유동에 가깝도록 유리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루멘(16, 18) 사이의 재순환을 최소화한다.
루멘(16, 18)의 혈액 유동 방향을 바꿈으로써 제1 루멘(16)의 공동(56)에 인접하게 놓여진 응혈이나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입자들이 씻겨져 내릴 수 있도록 설계된다. 혈액 유동 방향이 바뀜에 따라 혈액 유동은 공동(56)으로부터 배출되고, 축방향으로 유도된 혈액 유동은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응혈을 씻어 내린다.
본체 용기로부터 유체를 물러나도록 하는 흡입이 제2 루멘(18)에 제공된다. 제2 벽 연장부(332)는 제1 벽 연장부(328)와 대칭적이고, 따라서 근위 기부(364)와 유사하게, 흡입은 근위 기부(366)의 근처에서 더욱 크다. 유체 유동은 근위 기부(366)의 근처에서 더욱 크고, 따라서, 공동(56)으로부터 배출된 혈액 유동에 가깝도록 유리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루멘(16, 18) 사이의 재순환을 최소화한다.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아래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른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말단 단부와 근위 단부를 구비하고, 제1 루멘(lumen) 및 제2 루멘과 이들 루멘들 사이에 배치된 격벽(septum)을 구비하고, 제1 루멘을 한정하는 제1 벽과 제2 루멘을 한정하는 제2 벽을 구비하며, 상기 격벽의 일부 격벽 부분이 상기 제1 루멘과 제2 루멘을 넘어서 멀리 연장되게 구성된, 긴 관형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벽은, 상기 제1 루멘을 넘어서 멀리 연장되며 상기 격벽의 상기 일부 격벽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제1 벽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벽 연장부는 상기 격벽의 상기 일부 격벽 부분과 대면하는 오목면(concave surface)을 한정하고,
    상기 제2 벽은, 상기 제2 루멘을 넘어서 멀리 연장되며 상기 격벽의 상기 일부 격벽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제2 벽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벽 연장부는 상기 격벽의 상기 일부 격벽 부분과 대면하는 오목면을 한정하고,
    상기 제1 벽 연장부와 상기 제2 벽 연장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격벽의 상기 일부 격벽 부분을 중심으로 해서 실질적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상기 일부 격벽 부분이, 상기 제1 벽 연장부의 오목면 및 상기 제2 벽 연장부의 오목면과 각각 대면하는 평탄면(planar surface)들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6. 제1 루멘(lumen) 및 제2 루멘과 이들 루멘들 사이에 배치된 격벽(septum)을 구비하고, 제1 루멘을 한정하는 제1 벽과 제2 루멘을 한정하는 제2 벽을 구비하며, 상기 격벽의 일부 격벽 부분이 상기 제1 루멘의 말단 단부와 제2 루멘의 말단 단부를 넘어서 멀리 연장되게 구성된, 말단 단부까지 연장되는 긴 관형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벽은, 상기 제1 루멘의 말단 단부를 넘어서 멀리 연장되며 상기 격벽의 상기 일부 격벽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제1 벽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벽 연장부는 상기 격벽의 상기 일부 격벽 부분과 대면하는 오목면(concave surface)을 한정하고,
    상기 제1 벽 연장부는, 상기 제1 벽 연장부의 오목면 둘레의 경계를 형성하는 평탄 단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평탄 단부면은, 상기 제1 벽 연장부의 오목면과 대면하는 상기 격벽의 상기 일부 격벽 부분의 평탄면에 대해서 각도를 이루며 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 연장부 및 상기 제2 벽 연장부 각각은, 상기 제1 벽 연장부의 오목면 및 상기 제2 벽 연장부의 오목면 각각의 둘레의 경계를 형성하는 평탄 단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 연장부 및 상기 제2 벽 연장부 각각의 상기 평탄 단부면은, 상기 제1 벽 연장부 및 상기 제2 벽 연장부 각각의 오목면과 대면하는 상기 격벽의 상기 일부 격벽 부분의 평탄면에 대해서 각도를 이루며 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 연장부의 오목면은 제1 공동을 한정하고, 상기 제2 벽 연장부의 오목면은 제2 공동을 한정하며, 상기 제1 공동과 제2 공동은 상기 격벽의 상기 일부 격벽 부분을 중심으로 해서 대칭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30. 제1 루멘(lumen) 및 제2 루멘과 이들 루멘들 사이에 배치된 격벽(septum)을 구비하고, 제1 루멘을 한정하는 제1 벽과 제2 루멘을 한정하는 제2 벽을 구비하며, 상기 격벽의 일부 격벽 부분이 상기 제1 루멘의 말단 단부와 제2 루멘의 말단 단부를 넘어서 멀리 연장되게 구성된, 말단 단부까지 연장되는 긴 관형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벽은, 상기 제1 루멘의 말단 단부를 넘어서 멀리 연장되며 상기 격벽의 상기 일부 격벽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제1 벽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벽 연장부는 상기 격벽의 상기 일부 격벽 부분과 대면하는 오목면(concave surface)을 한정하고,
    상기 제2 벽은, 상기 제2 루멘을 넘어서 멀리 연장되며 상기 격벽의 상기 일부 격벽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제2 벽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벽 연장부는 상기 격벽의 상기 일부 격벽 부분과 대면하는 오목면(concave surface)을 한정하고,
    상기 제1 벽 연장부는 상기 제1 루멘을 지나서 제1 길이로 연장되는 제1 단차부와, 상기 제1 루멘을 지나서 제2 길이로 연장되는 제2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벽 연장부는 상기 제2 루멘을 지나서 제1 길이로 연장되는 제1 단차부와, 상기 제2 루멘을 지나서 제2 길이로 연장되는 제2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 연장부는 상기 제1 공동의 인입구를 한정하는 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부는 상기 제2 벽 연장부의 제2 공동으로부터 추진되어 나오는 유체류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32. 제1 루멘(lumen)과 제2 루멘을 분리시키는 격벽을 구비하고, 제1 루멘을 한정하는 제1 벽과 제2 루멘을 한정하는 제2 벽을 구비하는, 말단 팁까지 연장되는 긴 관형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말단 팁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루멘과 상기 제2 루멘을 넘어서 멀리 연장되는 격벽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벽은, 상기 제1 루멘을 넘어서 멀리 연장되며 상기 격벽 연장부로부터 이격된 제1 벽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벽은, 상기 제2 루멘을 넘어서 멀리 연장되며 상기 격벽 연장부로부터 이격된 제2 벽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벽 연장부와 상기 제2 벽 연장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격벽 연장부를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 연장부와 상기 제2 벽 연장부 각각은 상기 격벽 연장부와 대면하는 오목면을 한정하고, 또한 상기 제1 벽 연장부와 상기 제2 벽 연장부 각각은 그들 각각의 오목면 둘레의 경계를 형성하는 평탄 단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 연장부와 상기 제2 벽 연장부 각각은 상기 격벽 연장부와 대면하는 오목면을 한정하고, 상기 제1 벽 연장부의 오목면은 제1 공동을 한정하고, 상기 제2 벽 연장부의 오목면은 제2 공동을 한정하고, 상기 제1 공동과 제2 공동은 상기 격벽 연장부를 중심으로 해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 연장부는 상기 제1 공동의 인입구를 한정하는 제1 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부는 상기 제2 벽 연장부의 제2 공동으로부터 추진되어 나오는 유체류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벽 연장부는 상기 제2 공동의 인입구를 한정하는 제2 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부는 상기 제2 벽 연장부의 제1 공동으로부터 추진되어 나오는 유체류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KR1020057018386A 2003-03-28 2003-03-28 폐색 저항성 선단을 구비한 카테터 KR100972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3/009687 WO2004096334A1 (en) 2003-03-28 2003-03-28 Catheter with occlusion resistant ti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225A KR20050122225A (ko) 2005-12-28
KR100972463B1 true KR100972463B1 (ko) 2010-07-27

Family

ID=33415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8386A KR100972463B1 (ko) 2003-03-28 2003-03-28 폐색 저항성 선단을 구비한 카테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1610853B1 (ko)
JP (1) JP4343851B2 (ko)
KR (1) KR100972463B1 (ko)
CN (1) CN100506308C (ko)
AT (1) ATE431169T1 (ko)
AU (1) AU2003226132B2 (ko)
BR (1) BRPI0318216B1 (ko)
CA (1) CA2520572C (ko)
DE (1) DE60327660D1 (ko)
EG (1) EG24024A (ko)
ES (1) ES2327330T3 (ko)
HK (1) HK1079468A1 (ko)
MX (1) MXPA05010426A (ko)
WO (1) WO20040963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8836B2 (en) 2002-02-07 2004-07-06 C. R. Bard, Inc. Split tip dialysis catheter
US7393339B2 (en) 2003-02-21 2008-07-01 C. R. Bard, Inc. Multi-lumen catheter with separate distal tips
US7776005B2 (en) * 2003-03-28 2010-08-17 Covidien Ag Triple lumen catheter with occlusion resistant tip
US20040243095A1 (en) 2003-05-27 2004-12-02 Shekhar Nimkar Methods and apparatus for inserting multi-lumen spit-tip catheters into a blood vessel
US8992454B2 (en) 2004-06-09 2015-03-31 Bard Access Systems, Inc. Splitable tip catheter with bioresorbable adhesive
CN101918066B (zh) 2007-10-17 2013-07-31 巴德阿克塞斯系统股份有限公司 分裂末端导管的制造方法及分裂末端导管设备
US8066660B2 (en) 2007-10-26 2011-11-29 C. R. Bard, Inc. Split-tip catheter including lateral distal openings
US8292841B2 (en) 2007-10-26 2012-10-23 C. R. Bard, Inc. Solid-body catheter including lateral distal openings
US8092415B2 (en) 2007-11-01 2012-01-10 C. R. Bard, Inc. Catheter assembly including triple lumen tip
US9579485B2 (en) 2007-11-01 2017-02-28 C. R. Bard, Inc. Catheter assembly including a multi-lumen configuration
JP2012065861A (ja) 2010-09-24 2012-04-05 Nihon Covidien Kk 透析用カテーテル
US8636682B2 (en) 2011-09-29 2014-01-28 Covidien Lp Catheter with articulable septum extension
US20130085477A1 (en) * 2011-09-29 2013-04-04 Tyco Healthcare Group Lp Catheter with tapering surfaces
USD748252S1 (en) 2013-02-08 2016-01-26 C. R. Bard, Inc. Multi-lumen catheter tip
ES2856475T3 (es) 2013-06-04 2021-09-27 Tal Michael Gabriel Catéter de hemodiálisis de doble punta
WO2016011091A1 (en) 2014-07-14 2016-01-21 C. R. Bard,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inserting split tip catheters having enhanced stiffening and guiding features
US11400198B2 (en) 2015-07-20 2022-08-02 Pristine Access Technologies Ltd. Hemodialysis catheter with corrugated tips
EP3718591B1 (en) 2016-02-29 2022-11-23 Pristine Access Technologies Ltd A catheter assembly with a removable catheter cap and a medical kit comprising such catheter assembly
JP2018019976A (ja) * 2016-08-04 2018-02-08 株式会社カネカ 吸引カテーテル及び吸引カテーテルの製造方法
WO2018025860A1 (ja) * 2016-08-04 2018-02-08 株式会社カネカ 吸引カテーテル及び吸引カテーテルの製造方法
JP6593608B2 (ja) * 2017-09-27 2019-10-23 株式会社織田鐵工所 医療用吸引管
EP3954424A4 (en) * 2019-06-11 2022-09-21 Nipro Corporation DUAL Lumen CATHETER
CN110339416A (zh) * 2019-07-08 2019-10-18 中南大学湘雅医院 一种用于胸外科手术的冲洗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26941A1 (fr) 1975-10-06 1977-05-06 Beelen Roger Aiguille d'hemodialyse
WO1999038550A1 (en) * 1998-01-30 1999-08-05 Tyco Group S.A.E.L. Multiple lumen catheter with an enlarged tip
US5961486A (en) 1995-02-09 1999-10-05 Twardowski; Zbylut J. Clot resistant multiple lumen cathet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1691A (en) * 1949-06-24 1951-02-13 Clarence D Eicher Embalmer's drainage instrument
US5374245A (en) * 1990-01-10 1994-12-20 Mahurkar; Sakharam D. Reinforced multiple-lumen cathete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DE4105965A1 (de) * 1991-02-26 1992-08-27 Innovative Medizintechnik Doppellumenkatheter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infuehrprofils an diesem
US5221256A (en) * 1992-02-10 1993-06-22 Mahurkar Sakharam D Multiple-lumen catheter
US5509900A (en) * 1992-03-02 1996-04-23 Kirkman; Thomas R. Apparatus and method for retaining a catheter in a blood vessel in a fixed position
US5571093A (en) * 1994-09-21 1996-11-05 Cruz; Cosme Multiple-lumen catheter
EP1704890B1 (en) * 1995-09-21 2009-01-21 Covidien AG Tapered and reinforced catheter
US5968009A (en) * 1997-01-29 1999-10-19 Baxter International Inc. Double lumen tubing design for catheter
US6786884B1 (en) * 1999-10-29 2004-09-07 Bard Access Systems, Inc. Bolus tip design for a multi-lumen cathe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26941A1 (fr) 1975-10-06 1977-05-06 Beelen Roger Aiguille d'hemodialyse
US5961486A (en) 1995-02-09 1999-10-05 Twardowski; Zbylut J. Clot resistant multiple lumen catheter
WO1999038550A1 (en) * 1998-01-30 1999-08-05 Tyco Group S.A.E.L. Multiple lumen catheter with an enlarged t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06308C (zh) 2009-07-01
CA2520572A1 (en) 2004-11-11
AU2003226132A1 (en) 2004-11-23
EG24024A (en) 2008-03-26
EP1610853A1 (en) 2006-01-04
AU2003226132B2 (en) 2008-12-04
ES2327330T3 (es) 2009-10-28
BR0318216A (pt) 2006-03-21
ATE431169T1 (de) 2009-05-15
JP4343851B2 (ja) 2009-10-14
WO2004096334A1 (en) 2004-11-11
JP2006513803A (ja) 2006-04-27
CA2520572C (en) 2008-12-30
MXPA05010426A (es) 2005-11-04
KR20050122225A (ko) 2005-12-28
BRPI0318216B1 (pt) 2015-07-28
HK1079468A1 (en) 2006-04-07
CN1771069A (zh) 2006-05-10
EP1610853B1 (en) 2009-05-13
DE60327660D1 (de)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2371B1 (ko) 폐색 저항성 선단을 구비한 카테터
KR100972463B1 (ko) 폐색 저항성 선단을 구비한 카테터
JP4456634B2 (ja) 閉塞防止先端を備えたトリプルルーメンカテーテル
US7090654B2 (en) Catheter with occlusion resistant tip
JP2008503274A5 (ko)
JP2007524452A5 (ko)
US7322953B2 (en) Catheter device
ZA200508692B (en) Catheter with occlusion resistant tip
NZ543012A (en) Catheter with occlusion resistant t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