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585B1 - 열차 자율주행 차상단말의 핸드오버 시점 결정 방법 - Google Patents

열차 자율주행 차상단말의 핸드오버 시점 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585B1
KR102354585B1 KR1020190169398A KR20190169398A KR102354585B1 KR 102354585 B1 KR102354585 B1 KR 102354585B1 KR 1020190169398 A KR1020190169398 A KR 1020190169398A KR 20190169398 A KR20190169398 A KR 20190169398A KR 102354585 B1 KR102354585 B1 KR 102354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access
train
access point
handover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8587A (ko
Inventor
방준호
채성윤
최현영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69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5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78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18Communication with or on the vehicle or train
    • B61L15/0027Radio-based, e.g. using GSM-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04Automatic systems, e.g. controlled by train; Change-over to manual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2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mass transport vehicles, e.g. buses, trains 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 자율주행 차상단말의 핸드오버 시점 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율주행을 수행하는 열차 차상단말의 핸드오버 시점을 최적화해 무선접속점들 사이의 통신영역 경계면에서 차상단말의 통신 신뢰성을 향상시칼 수 있도록, 열차 자율주행 차상단말로부터 현재 열차의 주행속도와 소스 및 타겟 무선접속점의 참조신호세기 정보를 수신하는 제1단계, 상기 주행속도와 참조신호세기 정보를 이용해 소스 무선접속점와 타겟 무선접속점의 통신영역 경계면에 상기 차상단말이 도착하기 까지 남은 잔여시간을 예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예측된 잔여시간을 기반으로 열차의 차상단말이 타겟 무선접속점에 연결되는 핸드오버 시작 시점을 지정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열차 자율주행 차상단말의 핸드오버 시점 결정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열차 자율주행 차상단말의 핸드오버 시점 결정 방법 {Handover Time Determination Method of Train Autonomous Driving Terminal}
본 발명은 열차 자율주행 차상단말의 핸드오버 시점 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차의 차상단말에 신뢰성 높은 통신을 보장해 주어 열차자율주행이 가능하도록 핸드오버 시점 결정 알고리즘을 최적화한 열차 자율주행 차상단말의 핸드오버 시점 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는 대단위 운송 시스템으로 고도의 안전성이 최우선적으로 확보되어야 하는 운송교통수단으로, 열차와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고 운행 효율을 높이며 운전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장치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고속으로 이동하는 열차에 탑재된 열차자율주행 차상단말은 다른 차량에 탑재된 차상단말과 실시간으로 운행상태정보를 공유하면서 전체 노선 상황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안전하게 열차를 운행한다.
따라서, 차상단말의 신뢰성 높은 통신은 열차자율주행의 선결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열차자율주행에 관련한 선행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9-0042962호, 등록특허 제10-1834854호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이때, 열차자율주행 차상단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T)가 고속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무선접속점을 변경하는 핸드오버(Handover)를 빈번하게 겪는다. 핸드오버 시점이 적절하지 않으면 소스 및 타겟 무선접속점(Source BS, Target BS) 통신영역 경계 근처를 지날 때 열차(T)의 차상단말(MS)은 통신 신뢰성 열화나 양 무선접속점(Source BS, Target BS)과의 무선연결시 손실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안전한 열차자율주행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핸드오버 시점 결정 알고리즘을 최적화해 차상단말에 신뢰성 높은 통신을 보장해 주어야 한다.
이에 종래 핸드오버 결정기법은 열차(T)가 통신영역 경계를 지날 때 해당 열차(T)의 차상단말(MS)이 다른 열차의 차상단말 및 지상서버와의 통신 품질 열화를 야기하고 궁극적으로 열차제어의 안전성을 떨어뜨린다는 단점을 가진다.
종래의 핸드오버 과정 및 핸드오버 결정기법, 그리고 이 결정기법이 가진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핸드오버 과정을 살펴보면 열차(T)에 탑재된 차상단말(MS)은 주변의 무선접속점(Source BS, Target BS)이 송신하는 참조신호의 수신세기(RSRP, Reference Signal Reception Power)를 측정하여 주기적으로 현재 자신과 연결된 소스 무선접속점(Source BS)에 통지한다.
이 경우 차상단말(MS)이 현재 연결된 소스 무선접속점(Source BS)과 다른 타겟 무선접속점(Target BS)의 통신영역 경계에 접근함에 따라 현 소스 무선접속점(Source BS)으로부터 받는 참조신호는 점차 약해지는 반면 다른 타겟 무선접속점(Target BS)으로부터 받는 참조신호의 세기는 점차 강해진다.
이에 현재 연결된 소스 무선접속점(Source BS)은 이 참조신호 세기 변화를 활용해 해당 차상단말(MS)의 핸드오버 프로세스 시점을 결정하고 해당 시점부터 핸드오버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핸드오버 프로세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핸드오버 준비과정(S1)과 핸드오버 수행과정(S2)으로 구분된다. 핸드오버 준비과정(S1)에서는 다음의 타겟 무선접속점(Target BS)과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조정하고 터널을 생성해 이어지는 핸드오버 수행과정(S2)에서 전달되지 못하는 메시지를 전달할 준비를 한다. 핸드오버 수행과정(S2)에서는 이전 무선접속점(Source BS)과의 연결을 종료하고 새로운 무선접속점(Target BS)과의 연결을 새로이 수립한다. 이 기간동안 차상단말(MS)은 통신두절을 겪는다.
이러한 종래의 핸드오버 결정기법은 열차(T)가 두 무선접속점(Source BS, Target BS)의 통신영역을 지날 때 차상단말(MS)이 통신영역 경계(A1)를 이미 한참 지난 후 핸드오버가 실질적으로 시작(A2)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 경우 열차(T)의 차상단말(MS)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나은 통신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무선접속점이 근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열등한 통신품질을 제공하는 이전 무선접속점과의 연결을 고수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결국 차상단말은 더 나은 무선연결을 통해 통신할 기회를 잃어버리게 되며, 이는 통신채널 열화로 이어져 열차자율주행 제어메시지의 손실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종종 열차와 무선접속점간 연결 손실을 야기한다.
참고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9-0042962호 참고문헌 2: 등록특허 제10-183485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열차의 차상단말이 두 무선접속점의 통신영역을 지날 때 더 나은 통신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무선접속점과 연결하여 테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열차의 차상단말에 신뢰성 높은 통신을 보장해주어 열차자율주행이 가능하도록 핸드오버 시점을 결정하는 열차 자율주행 차상단말의 핸드오버 시점 결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열차 자율주행 차상단말로부터 현재 열차의 주행속도와, 소스 및 타겟 무선접속점의 참조신호세기 정보를 수신하는 제1단계; 상기 주행속도와 참조신호세기 정보를 이용해 소스 무선접속점와 타겟 무선접속점의 통신영역 경계면에 상기 차상단말이 도착하기까지 남은 잔여시간을 예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예측된 잔여시간을 기반으로 열차의 차상단말이 타겟 무선접속점에 연결되는 핸드오버 시작 시점을 지정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자율주행 차상단말의 핸드오버 시점 결정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소스 무선접속점은 상기 열차의 차상단말로부터 현재 열차의 주행속도와 소스 무선접속점와 타겟 무선접속점의 참조신호세기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차상단말이 탑재된 열차의 주행 속도와 소스 및 타겟 무선접속점으로부터 수신한 최근의 참조신호세기를 가우시안 회귀모델을 활용한 예측모델을 이용해 상기 차상단말이 통신영역 경계면에 도착하기 까지 남은 잔여시간을 예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예측한 잔여시간의 불확실성을 측정해 불확실성이 낮으면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예측한 잔여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핸드오버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예측한 잔여시간의 불확실성이 높으면 상기 차상단말로부터 다음 참조신호세기가 통지될 때 까지 시작시점 지정을 미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예측한 잔여시간에서 소스 무선접속점과 타겟 무선접속점의 통신영역 경계면에 도달하는 시점이 핸드오버 수행시간의 중간에 포섭되도록 핸드오버 준비시간과 수행시간을 고려해 핸드오버 시작 시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율주행을 수행하는 열차 차상단말의 핸드오버 시점을 최적화해 무선접속점들 사이의 통신영역 경계면에서 차상단말의 통신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열차의 차상단말이 두 무선접속점의 통신영역을 지날 때 더 나은 통신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무선접속점과 연결하여 테이터 통신을 수행시 열차의 차상단말에게 신뢰성 높은 통신을 보장해줌으로써 열차자율주행이 가능하며 이는 열차자율주행 제어메시지의 손실 가능성도 낮춰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열차자율주행 차상단말의 핸드오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차상단말의 핸드오버 프로세스 진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차상단말의 핸드오버 도입시 신호 세기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핸드오버 시작 시점 결정방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핸드오버 결정 방법을 의사코드(Pseudo Code) 로 도시화한 도면이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예측된 잔여시간(RCDT)를 활용한 핸드오버 시작시점 결정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자율주행 차상단말의 핸드오버 시점 결정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자율주행 차상단말의 핸드오버 시점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물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종래기술에 언급한 도 1 내지 도 3 역시 함께 설명한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핸드오버(Handover) 시작 시점을 최적화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T)가 2개의 무선접속점인 소스 및 타겟 무선접속점(Source BS, Target BS) 통신영역 경계 근처를 지나는 경우, 열차(T)의 차상단말(MS)은 핸드오버 전후 양 무선접속점(Source BS, Target BS)으로부터 받는 참조신호(Reference Signal)의 세기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차상단말(MS)이 항시 최적의 통신 품질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무선접속점(Source BS 또는 Target BS)과 연결을 유지할 수 있게 해 준다.
따라서, 참조신호 차이를 최소화 하도록 핸드오버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통신영역 경계 근처에서 차상단말(MS)에게 최적의 무선연결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어진다고 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핸드오버 시작 시점 결정방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에 의하면 참조신호(Reference Signal)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핸드오버 시작 시점을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먼저, 열차(T) 주행으로 인해 차상단말(MS)이 두 무선접속점(Source BS, Target BS)의 통신영역 경계(Cell boundary)에 접근할 때 해당 열차(T)의 차상단말(MS)과 연결된 현재의 소스 무선접속점(Source BS)은 차상단말(MS)의 경계 도달시점을 예측한다.
또한, 핸드오버 준비시간과 실행시간을 감안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오버 실행시간의 중간에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핸드오버 프로세스 시작 시점을 결정한다. 이 경우 참조신호(Reference Signal) 차이를 최소로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소스 무선접속점(Source BS)에서 핸드오버 시작 시점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차상단말(MS)이 통신영역 경계(Cell boundary)에 도달 하기 전에 그 도달 시점을 높은 수준으로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핸드오버 결정 방법을 의사코드(Pseudo Code) 로 도시화한 도면이다.
이때, 열차(T)의 차상단말(MS)과 연결되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스 무선접속점(Source BS)에서 핸드오버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소스 무선접속점(Source BS)은 열차의 차상단말(MS)로부터 차상단말(MS)이 탑재된 열차(T)의 주행 속도는 물론 소스 및 타겟 무선접속점(Source BS, Target BS)으로부터 받는 차상단말(MS)에서 측정된 참조신호(Reference Signal)의 세기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차상단말(MS)은 열차(T)의 주행 속도를 측정함은 물론, 타겟 무선접속점(Target BS) 통신영역 경계 근처를 지나는 경우 핸드오버 전후 소스 무선접속점(Source BS)으로부터 받는 참조신호(Reference Signal)세기와 타겟 무선접속점(Target BS)으로부터 받는 참조신호(Reference Signal)세기를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열차의 차상단말(MS)은 이러한 열차(T)의 주행 속도와 소스 및 타겟 무선접속점(Source BS, Target BS)의 참조신호(Reference Signal)세기에 관한 정보를 현재 연결된 소스 무선접속점(Source BS)에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열차(T)의 주행 속도와 소스 및 타겟 무선접속점(Source BS, Target BS)의 참조신호(Reference Signal)세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소스 무선접속점(Source BS)은, 먼저 현재 차상단말(MS)이 탑재된 열차(T)의 주행 속도와 소스 및 타겟 무선접속점(Source BS, Target BS)으로부터 수신한 최근의 참조신호세기를 가우시안 회귀모델을 활용한 예측모델에 입력값으로 넣어 차상단말(MS)이 통신영역 경계면에 도착하기 까지 남은 잔여시간(RCDT, Residual Cell Dwelling Time)을 예측한다.
이때, 예측모델을 이용해 예측한 잔여시간(RCDT)은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낮은, 다시 말해 확실성이 높은 예측값만을 활용해야 궁극적으로 최적의 핸드오버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소스 무선접속점(Source BS)은 예측모델을 이용해 예측한 잔여시간(RCDT)의 불확실성을 측정해 이 값이 충분히 낮은 경우(불확실성이 낮은 경우) 이를 활용해 핸드오버 시작 시점을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불확실성이 높은 경우) 현재 차상단말(MS)이 다음번 참조신호를 통지할 때 까지 시작시점 지정을 미룬다. 이러한 과정은 도 5의 5번째 줄에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소스 무선접속점(Source BS)에서 예측된 잔여시간(RCDT)이 충분히 높은 예측 확실성을 가지면 이 예측한 잔여시간(RCDT)을 기반으로 핸드오버 시작 시점을 지정한다. 이러한 과정은 도 5의 4번째 및 5번째 줄에 표시되어 있다.
한편,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예측된 잔여시간(RCDT)를 활용한 핸드오버 시작시점 결정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열차(T)가 위치하는 현재 시간(Current time), 최적의 핸드오버 개시(Optimal HO init) 시간, 예측된 통신영역 경계 도달시점(Predicted cell boundary crossing time)을 시계열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상기 소스 무선접속점(Source BS)은 예측된 잔여시간(RCDT)에서 도 7의 (a)와 같이 예측된 소스 무선접속점(Source BS)와 타겟 무선접속점(Target BS)의 통신영역 경계면의 도달시점(Predicted cell boundary crossing time)이 핸드오버 수행시간(Texec)의 중간에 포섭되도록 핸드오버 준비시간(Tprep)과 수행시간(Texec)을 고려해 핸드오버 시작 시점을 설정한다.
만약, 최적의 핸드오버 개시(Optimal HO init) 시간을 경과함에 따라 이미 시간이 너무 늦어져 상술한 바와 같은 최적화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도 7의 (b)와 같이 소스 무선접속점(Source BS)은 즉시 핸드오버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즉, 이전 무선접속점(Source BS)과의 연결을 종료하고 새로운 무선접속점(Target BS)과의 연결을 새로이 수립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 열차
MS: 차상단말
Source BS: 소스 무선접속점
Target BS: 타겟 무선접속점

Claims (6)

  1. 소스 무선접속점은 열차 자율주행 차상단말로부터 현재 열차의 주행속도와, 소스 및 타겟 무선접속점의 참조신호세기 정보를 수신하는 제1단계;
    상기 소스 무선접속점은 상기 주행속도와 참조신호세기 정보를 이용해 소스 무선접속점와 타겟 무선접속점의 통신영역 경계면에 상기 차상단말이 도착하기 까지 남은 잔여시간을 예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소스 무선접속점은 상기 예측된 잔여시간을 기반으로 열차의 차상단말이 타겟 무선접속점에 연결되는 핸드오버 시작 시점을 지정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예측한 잔여시간에서 소스 무선접속점과 타겟 무선접속점의 통신영역 경계면에 도달하는 시점이 핸드오버 수행시간의 중간에 포섭되도록 핸드오버 준비시간과 수행시간을 고려해 핸드오버 시작 시점을 설정하며,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소스 무선접속점은 상기 열차의 차상단말로부터 현재 열차의 주행속도와 소스 무선접속점와 타겟 무선접속점의 참조신호세기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차상단말이 탑재된 열차의 주행 속도와 상기 소스 및 타겟 무선접속점으로부터 수신한 최근의 참조신호세기를 가우시안 회귀모델을 활용한 예측모델을 이용해 상기 차상단말이 통신영역 경계면에 도착하기까지 남은 잔여시간을 예측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예측한 잔여시간의 불확실성을 측정해 불확실성이 낮으면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예측한 잔여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핸드오버 시작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예측한 잔여시간의 불확실성이 높으면 상기 차상단말로부터 다음 참조신호세기가 통지될 때 까지 상기 핸드오버의 시작시점 지정을 미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자율주행 차상단말의 핸드오버 시점 결정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69398A 2019-12-18 2019-12-18 열차 자율주행 차상단말의 핸드오버 시점 결정 방법 KR102354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398A KR102354585B1 (ko) 2019-12-18 2019-12-18 열차 자율주행 차상단말의 핸드오버 시점 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398A KR102354585B1 (ko) 2019-12-18 2019-12-18 열차 자율주행 차상단말의 핸드오버 시점 결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587A KR20210078587A (ko) 2021-06-29
KR102354585B1 true KR102354585B1 (ko) 2022-01-26

Family

ID=76626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398A KR102354585B1 (ko) 2019-12-18 2019-12-18 열차 자율주행 차상단말의 핸드오버 시점 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5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620B1 (ko) * 2021-10-20 2023-05-08 주식회사 이에스 전철 관제 통신 시스템 및 그의 통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252B1 (ko) * 2005-07-15 201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5178540A1 (ko) * 2014-05-20 2015-11-2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카메라간 핸드오버를 이용한 목표물 추적 장치 및 방법
KR101834854B1 (ko) 2016-07-28 2018-03-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간 연결기반 열차자율주행제어시스템을 위한 차상기반 연동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65292B1 (ko) 2017-10-17 2020-10-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상중심 분산 열차제어 시스템에서의 열차 자율주행 제어 방법 및 그 차상중심 분산 열차제어 시스템
KR20190112511A (ko) * 2018-03-26 2019-10-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이동 예측 기반의 핸드오버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미국 2015-0338497 (2015.11.26.)*
공개특허공보 한국 10-2007-0009359 (2007.01.18.)*
공개특허공보 한국 10-2019-0112511 (2019.10.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587A (ko)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06438B (zh) 抢占式切换准备和跟踪/寻呼区域处理以及蜂窝网络中的智能路线选择
CN110062349B (zh) 选择通信方式的方法、装置及车辆
EP14012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ing handovers for a group of mobile radios
WO2020038427A1 (zh) 车辆之间建立通信连接方法、装置及系统
US88741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handover between macro base station and vehicular base station
EP3253107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channels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in rail transit
US20080107082A1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CN108351215B (zh) 导航系统中切换路侧导航单元的方法和设备
JP4536605B2 (ja) 通信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00165312A (ja) 列車制御装置
CN107889181A (zh) 无线接入点的切换方法、装置以及列车
US9266544B2 (en) Method for transferring alarm data between a broken-down railway vehicle and a control center and associated device
KR102354585B1 (ko) 열차 자율주행 차상단말의 핸드오버 시점 결정 방법
US20210099850A1 (en)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nd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JP2012181651A (ja) 交通信号制御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KR20190082500A (ko) 차량간 데이터 통신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JP508463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2240715A (ja) 保安システムの選択システム、列車制御装置、地上制御装置および車上制御装置
JP2005354448A (ja) ハンドオーバー方法
JP2014236342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セルサーチ制御方法
KR20230041907A (ko) 열차 군집주행 회복을 위한 결합위치를 실시간으로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87253B1 (ko) 인접 열차 간 직접 통신의 오류 발생 시 통신 절체 기술
JP2007124128A (ja) 自律分散型無線システム
CN106888487B (zh) 一种链路断开方法及装置
KR20190112511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이동 예측 기반의 핸드오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