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509B1 -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 - Google Patents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509B1
KR102354509B1 KR1020200080767A KR20200080767A KR102354509B1 KR 102354509 B1 KR102354509 B1 KR 102354509B1 KR 1020200080767 A KR1020200080767 A KR 1020200080767A KR 20200080767 A KR20200080767 A KR 20200080767A KR 102354509 B1 KR102354509 B1 KR 102354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line
mounting groove
desk
electric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1116A (ko
Inventor
안용석
Original Assignee
안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석 filed Critical 안용석
Publication of KR20210101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47B2021/064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with power rail running along the back of the desk top and projecting upw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47B2021/06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with power or communication connection interfac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이 제공된다. 상기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은,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가 거치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책상 상판; 상기 책상 상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하향 구비되어 상기 책상 상판을 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상판 지지대; 및 상기 책상 상판의 하면에 장착되되, 일측의 상기 상판 지지대로부터 타측의 상기 상판 지지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장착되며, 외부 배전반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를 상기 전기 기기에 공급하는 전기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전기 라인은, 마주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는 + 전기 라인 및 - 전기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 전기 라인 및 - 전기 라인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상 유지가 가능한 두께를 갖는 구리 스틱으로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Connection type Desk for Leak-proof}
본 발명은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누전을 일으킬 위험이 큰 외부 요인들이 상존하는 영역으로 전기 라인이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 요인으로 인한 누전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에 관련된 것이다.
좁은 공간에 많은 수의 책상 배열이 요구되는, 예컨대, PC방, 독서실 등에는, 최대한 많은 수의 책상을 배치하기 위해, 책상 간 이격 거리를 최소화하여 배치하고 있다.
종래에는 책상 간 이격 거리가 최소화되도록 배치된 책상 각각에 연결된 콘센트와, 메인 전원이 순차적으로 전기적 연결되어 각 책상에 전류를 공급하는 구조를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전원으로부터 제1 책상에 연결된 제1 콘센트, 제2 책상에 연결된 제2 콘센트 … 제n 책상에 연결된 제n 콘센트가 순차적으로 전기적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복수의 책상마다 각각 콘센트가 연결되므로, 책상 수에 대응하는 양의 콘센트 수가 요구될 뿐 아니라, 많은 수의 콘센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하나의 메인 전원으로부터 복수의 책상 각각의 콘센트가 순차적으로 전기적 연결되므로, 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센트의 책상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누전되는 경우, 순차적으로 연결된 다른 콘센트의 책상에서도 전기공급이 차단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독서실, 게임방과 같은 환경의 경우, 많은 수의 콘센트가 바닥에 무질서하게 놓여지게 되는데, 콘센트가 많아진다는 것은 누전의 위험성을 크게 한다는 점에서 주의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게임방의 경우, 바닥에 놓여 있는 콘센트에 음료가 쏟아지는 것에 의하여 누전이 야기되고 있다. 이때, 콘센트의 수가 많기 때문에 어느 콘센트가 음료에 의하여 누전이 발생하였는지 신속히 파악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외부 요인으로 인한 누전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선 간의 접촉으로 인한 누전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일 방향으로 밀착 배치되는 책상들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배치되는 책상의 수 또는 그 이상 구비되어 바닥에 무질서하게 놓여졌던 콘센트의 사용이 자제되는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은,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가 거치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책상 상판; 상기 책상 상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하향 구비되어 상기 책상 상판을 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상판 지지대; 및 상기 책상 상판의 하면에 장착되되, 일측의 상기 상판 지지대로부터 타측의 상기 상판 지지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장착되며, 외부 배전반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를 상기 전기 기기에 공급하는 전기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전기 라인은, 마주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는 + 전기 라인 및 - 전기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 전기 라인 및 - 전기 라인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상 유지가 가능한 두께를 갖는 구리 스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책상 상판은, 판상의 상판 본체; 상기 상판 본체의 하면에 일 방향으로 마련되는 장착 프레임; 및 지면과 마주하는 상기 장착 프레임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기 라인이 장착되는 장착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착홈부는, 상기 장착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길이 방향 양단이 개방되며 상기 + 전기 라인이 장착되는 제1 장착홈; 및 상기 제1 장착홈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형태로 상기 장착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길이 방향 양단이 개방되며 상기 - 전기 라인이 장착되는 제2 장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착홈부는, 홈 바닥면; 및 상기 홈 바닥면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일 방향으로 절곡되어 홈의 깊이를 정의하는 홈 벽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홈 벽면은 상기 홈 바닥면의 폭보다 큰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착홈부의 길이 방향 일단에는 상기 홈 바닥면의 폭을 증가시키는 홈 바닥 연장면이 상기 홈 바닥면의 폭 방향 가장자리에 이어져 구비되되, 상기 홈 바닥 연장면 측에는 일 방향으로 밀착 배치되는 다른 상기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에 구비되어 횡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웃 전기 라인의 길이 방향 일단이 삽입되며, 상기 전기 라인의 길이 방향 일단은 상기 이웃 전기 라인의 길이 방향 일단과 폭 방향으로 포개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기 라인의 길이 방향 타단은 상기 장착홈부의 길이 방향 타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착홈부는, 홈 바닥면; 및 상기 홈 바닥면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일 방향으로 절곡되어 홈의 깊이를 정의하는 홈 벽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장착홈부 측에는 일 방향으로 밀착 배치되는 다른 상기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에 구비되어 횡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웃 전기 라인의 길이 방향 일단이 삽입되며, 상기 전기 라인의 길이 방향 일단은 상기 이웃 전기 라인의 길이 방향 일단과 상하 방향으로 포개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기 라인의 길이 방향 타단은 상기 장착홈부의 길이 방향 타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원 단자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 단자함은 상기 책상 상판 상에 마련되되, 상기 전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기 기기가 접속되는 소켓부; 및 상기 소켓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기 기기의 케이블을 감아 정리 가능하게 하는 헹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책상 상판은 상, 하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 라인으로부터 분기된 분기 라인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소켓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 라인은 접지 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장착홈부는, 상기 제1 장착홈과 제2 장착홈 사이에 상기 장착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길이 방향 양단이 개방되며 상기 접지 라인이 장착되는 제3 장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가 거치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책상 상판; 상기 책상 상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하향 구비되어 상기 책상 상판을 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상판 지지대; 및 상기 책상 상판의 하면에 장착되되, 일측의 상기 상판 지지대로부터 타측의 상기 상판 지지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장착되며, 외부 배전반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를 상기 전기 기기에 공급하는 전기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전기 라인은, 마주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는 + 전기 라인 및 - 전기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 전기 라인 및 - 전기 라인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상 유지가 가능한 두께를 갖는 구리 스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전을 일으킬 위험이 큰 외부 요인들이 상존하는 영역으로 전기 라인이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 요인으로 인한 누전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 전기 라인과 - 전기 라인 간의 접촉으로 인한 누전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밀착되게 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책상들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치되는 책상의 수 또는 그 이상 구비되어 바닥에 무질서하게 놓여졌던 콘센트의 사용이 자제되는, 혹은 필요치 않는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을 나타낸 사시도로,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들이 밀착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로, 전기 라인이 장착되기 전 모습을 나타낸 부분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의 장착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의 장착 프레임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를 나타낸 측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의 장착 프레임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를 나타낸 평면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로, 전기 라인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부분 단면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에서, 장착 프레임에 전기 라인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의 장착 프레임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를 나타낸 측면 모식도로, 전기 라인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이 이웃하는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의 장착 프레임을 나타낸 측면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의 장착 프레임에 전기 라인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의 장착 프레임에 전기 라인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크기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10)은 이웃하는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10')과 밀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10)은 이웃하는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두 개의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10, 10')이 밀착 배치되고, 이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이는 일례일 뿐, 다수 개의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10)이 일 방향으로 밀착 배치될 수 있고, 이들 모두, 이러한 배치 형태 혹은 구조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방향으로 확장 가능하고, 일체로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10)은 책상 상판(100), 상판 지지대(200) 및 전기 라인(30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책상 상판(100)은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책상 상판(100)은 모니터, 전화기, 컴퓨터 본체 등과 같은 전기 기기가 거치될 수 있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책상 상판(100)은 상판 지지대(20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책상 상판(100)은 상판 지지대(200)에 의해 수평이 유지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책상 상판(100)은 상판 본체(110), 장착 프레임(120) 및 장착홈부(1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판 본체(110)는 책상 상판(100)의 외관을 이룬다. 상판 본체(110)는 사각 평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판 본체(110)의 형상을 사각 모양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상판 본체(110) 상면에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전기 기기가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상판 본체(110)의 상면에는 후술되는 전원 단자함(400)과 칸막이(도 1의 60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판 본체(110)의 일측에는 관통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11)은 상판 본체(110)의 상, 하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11)은 상판 본체(110)의 후면에 장착되는 전기 라인(300)으로부터 분기된 분기 라인(도 7의 340)이 상판 본체(110)의 상면으로 인출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판 본체(110) 상면에 거치되는 다양한 전기 기기는 이러한 분기 라인(340)을 통해 전기를 공급 받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서로 밀착되는 양측 상판 본체(110)는 이음 부재(5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음 부재(500)는 양측 상판 본체(110)의 하면 가장자리 중 서로 만나는 일측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음 부재(500)는 본체(510)와 볼트(5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510)는 판상으로 구비되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 기준으로, 본체(510)의 일측 부분은 왼쪽에 위치하는 상판 본체(110)의 하면 상에 배치되며, 타측 부분은 오른쪽에 위치하는 상판 본체(110)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볼트(5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배치되는 본체(510)를 관통하면서 양측 상판 본체(110)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서로 밀착 배치되는 양측 상판 본체(110)는 이러한 이음 부재(500)에 의해, 그 배치 혹은 연결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장착 프레임(120)은 상판 본체(110)의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 장착 프레임(120)은 상판 본체(110)의 하면에 일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장착 프레임(120)은, 사용자가 책상(10)과 마주할 때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 측과 반대되는 측, 다시 말해, 사용자로부터 전방으로 멀리 떨어진 상판 본체(110)의 하면 일측에 좌우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장착 프레임(120)은 설정 두께와 너비를 갖는 바(bar)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프레임(120)은 상판 본체(110)의 하면에 별도의 체결 수단을 통해 일체로 체결될 수 있다.
장착홈부(130)는 장착 프레임(120)에 구비될 수 있다. 장착홈부(130)는 장착 프레임(120)이 상판 본체(100)의 하면에 체결된 상태를 기준으로, 지면과 마주하는 장착 프레임(120)의 일측면, 즉,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홈부(130)는 전기 라인(300)의 장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착홈부(130)는 제1 장착홈(131) 및 제2 장착홈(1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장착홈(131)은 장착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장착홈(131)은 장착 프레임(120)의 하면으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장착홈(131)은 길이 방향 양단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장착홈(131)에는 전기 라인(300)을 이루는 + 전기 라인(310)이 장착될 수 있다.
제2 장착홈(132)은 장착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장착홈(132)은 장착 프레임(120)의 하면으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장착홈(132)은 제1 장착홈(131)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형태로 장착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장착홈(131)과 제2 장착홈(132)은 장착 프레임(120)의 하면 폭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장착홈(132)은 제1 장착홈(131)과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 양단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장착홈(132)에는 전기 라인(300)을 이루는 - 전기 라인(320)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착홈부(130)는 제3 장착홈(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장착홈(133)은 장착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장착홈(133)은 장착 프레임(120)의 하면으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장착홈(133)은 제1 장착홈(131)과 제2 장착홈(132) 사이에 장착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장착홈(131), 제2 장착홈(132) 및 제3 장착홈(133)은 장착 프레임(120)의 하면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3 장착홈(133)은 제1 장착홈(131) 및 제2 장착홈(132)과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 양단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장착홈(133)에는 전기 라인(300)을 이루는 접지 라인(330)이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착홈부(130)는 상판 본체(110)의 하면측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누전을 일으킬 위험이 큰 외부 요인들이 상존하는 영역으로 전기 라인(300)이 노출되지 않아, 외부 요인으로 인한 누전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착홈부(130)는 전기 라인(300)을 이루는 + 전기 라인(310)이 장착되는 제1 장착홈(131), 전기 라인(300)을 이루는 - 전기 라인(320)이 장착되는 제2 장착홈(132) 및 전기 라인(300)을 이루는 접지 라인(330)이 장착되는 제3 장착홈(133)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장착홈(131) 내지 제3 장착홈(133)은 길이 방향으로 만나지 않는 구조, 예컨대, 서로 마주하는 방향, 구체적으로 장착 프레임(120) 하면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 전기 라인(310)과 - 전기 라인(320)의 접촉이 원천 차단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 전기 라인(310)과 - 전기 라인(320)의 접촉으로 인한 누전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적으로 안전한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10)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장착홈부(130)를 이루는 제1 장착홈(131), 제2 장착홈(132) 및 제3 장착홈(133)은 홈 바닥면(130a) 및 홈 벽면(13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장착홈(131), 제2 장착홈(132) 및 제3 장착홈(133)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홈 바닥면(130a)은 설정 폭(w)을 가지며, 장착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홈 벽면(130b)은 홈 바닥면(130a)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일 방향, 예컨대, 지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홈의 깊이를 정의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벽면(130b)은 홈 바닥면(130a)의 폭(w)보다 큰 높이(h)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제1 장착홈(131)에 장착되는 + 전기 라인(310)은 소위 세워진 형태로 제1 장착홈(131)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장착홈(132)에 장착되는 - 전기 라인(310) 및 제3 장착홈(133)에 장착되는 접지 라인(330) 또한 + 전기 라인(310)과 같은 세워진 형태로 삽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장착홈부(130)를 이루는 제1 장착홈(131), 제2 장착홈(132) 및 제3 장착홈(133)은 홈 바닥 연장면(130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홈 바닥 연장면(130c)은 제1 장착홈(131), 제2 장착홈(132) 및 제3 장착홈(133) 각각의 길이 방향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홈 바닥 연장면(130c)은 홈 바닥면(130a)의 폭 방향 가장자리에 이어져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홈 바닥 연장면(130c)은 홈 바닥면(130a)의 폭(w)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착홈(131)에 장착된 + 전기 라인(310)은 이러한 홈 바닥 연장면(130c)에 의해, 이웃하는 책상(10')에 구비되는 + 전기 라인(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장착홈(132)에 장착된 - 전기 라인(320)은 이러한 홈 바닥 연장면(130c)에 의해, 이웃하는 책상(10')에 구비되는 - 전기 라인(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장착홈(133)에 장착된 접지 라인(330)은 이러한 홈 바닥 연장면(130c)에 의해, 이웃하는 책상(10')에 구비되는 접지 라인(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장착홈부(130)는 전선 정리홈(130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선 정리홈(130d)은 + 전기 라인(310), - 전기 라인(320) 및 접지 라인(330)으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상판 본체(110) 상에 설치되는 전원 단자함(도 1의 400)에 연결되는 분기 라인(도 7의 340)을 정리하기 위한 홈이다.
이러한 전선 정리홈(130d)은 제1 장착홈(131), 제2 장착홈(132) 및 제3 장착홈(133)의 일측 벽면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 전기 라인(310), - 전기 라인(320) 및 접지 라인(330)으로부터 분기된 3개의 분기 라인(340)은 장착 프레임(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111)을 통해 전원 단자함(4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착홈부(130)는 전선 가이드 홈(130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선 가이드 홈(130e)은 장착 프레임(12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전선 가이드 홈(130e)은 각각의 전선 정리홈(130d)과 대응되는 형태로 장착 프레임(12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전선 가이드 홈(130e)은 각각의 전선 정리홈(130d)을 통해 장착 프레임(120)의 하면으로 인출되는 각각의 분기 라인(340)을 관통공(111)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장착 프레임(120)의 하면에 일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판 지지대(200)는 책상 상판(100)의 하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판 지지대(200)는 책상 상판(100)의 하면 양측 가장자리에 하향 구비될 수 있다. 상판 지지대(200)는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가 책상 상판(100)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책상 상판(100)을 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이격시킨다. 또한, 상판 지지대(200)는 책상 상판(100)에 각종 전기 기기나 물건 등이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책상 상판(100)의 수평 유지가 가능한 구조 혹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판 지지대(200)는 바(bar) 또는 봉 형태로 구비되어, 책상 상판(100)의 하면측 4개의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판 지지대(200)는 책상 상판(100)의 하면 양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프레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판 지지대(200)는 판상 또는 사각테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판 지지대(200)는 책상 상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기 라인(300)은 책상 상판(100)의 하면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전기 라인(300)은 누전을 일으킬 위험이 큰 외부 요인들이 상존하는 영역, 예컨대, 책상 상판(100)의 상면이나 책상(10)이 배치되는 바닥 등의 영역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10)은 외부 요인으로 인한 누전 발생을 차단 혹은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기 라인(300)은 일측의 상판 지지대(도 1의 200)로부터 타측의 상판 지지대(200)를 향하는 방향, 즉, 책상 상판(100)의 장착 프레임(120)이 마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책상 상판(100)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라인(300)은 외부에 구비되는 배전반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를 책상 상판(100)에 놓여있는 전기 기기에 공급한다. 이때, 다수 개의 책상(10)이 밀착 배치되는 경우, 배전반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는 각 책상(10)에 놓여있는 전기 기기에 전기 라인(300)을 통해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라인(300)은 + 전기 라인(310), - 전기 라인(320) 및 접지 라인(330)을 포함할 수 있다. + 전기 라인(310)은 제1 장착홈(131)에 장착되고, - 전기 라인(320)은 제2 장착홈(132)에 장착되며, 접지 라인(330)은 제3 장착홈(133)에 장착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 전기 라인(310)과 - 전기 라인(320)은 마주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는 제1 장착홈(131) 및 제2 장착홈(132)에 + 전기 라인(310)과 - 전기 라인(320)이 각각 장착됨으로써,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 전기 라인(310)과 - 전기 라인(320)은 제1 장착홈(131) 및 제2 장착홈(132)에 의해 강제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 전기 라인(310)과 - 전기 라인(320)이 이격된다는 것은 이들의 접촉이 차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 전기 라인(310)과 - 전기 라인(320)의 접촉으로 인한 누전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라인(300), 즉, + 전기 라인(310), - 전기 라인(320) 및 접지 라인(330)은 구리 스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 전기 라인(310), - 전기 라인(320) 및 접지 라인(33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상 유지가 가능한 두께를 갖는 구리 스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책상(1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 전기 라인(310), - 전기 라인(320) 및 접지 라인(330)은 변형 없이 유지되어,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이음 부재(500)를 통해 서로 이웃하는 책상(10, 10')들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리 스틱은 자체 강성뿐만 아니라, 이음 부재(500)에 의해 외부 충격으로 인한 변형이 방지 혹은 최소화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정적이고 안전한 전기 공급 환경이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 전기 라인(310), - 전기 라인(320) 및 접지 라인(330)을 이루는 구리 스틱은, 그 외주면이 피복재에 의해 피복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전기 라인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길이 방향 양단은 피복재에 의해 피복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 전기 라인(310), - 전기 라인(320) 및 접지 라인(330) 각각의 길이 방향 일단은 장착홈부(130) 내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 타단은 장착홈부(130)로부터 횡 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책상(10, 10') 간의 전기적 연결 시, 제1 장착홈(131) 내지 제3 장착홈(133) 각각의 길이 방향 일단에 구비되는 홈 바닥면(130a)에는 + 전기 라인(310), - 전기 라인(320) 및 접지 라인(330)의 길이 방향 일단이 각각 위치하고, 홈 바닥 연장면(130c)에는 이웃하는 책상(10')에 구비되어 횡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 전기 라인(310'), - 전기 라인(320') 및 접지 라인(330')의 길이 방향 타단이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측 책상(10, 10')의 + 전기 라인(310, 310'), - 전기 라인(320, 320') 및 접지 라인(330, 330')은 폭 방향으로 포개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이웃하는 책상(10, 10')들에 구비되는 + 전기 라인(310, 310'), - 전기 라인(320, 320') 및 접지 라인(330, 330') 간의 암수 결합 방식을 통해, 서로 밀착되게 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책상(10, 10')들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배치되는 책상(10)의 수 또는 그 이상 구비되어 바닥에 무질서하게 놓여졌던 콘센트의 사용을 최소화하거나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포개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측 책상(10, 10')의 + 전기 라인(310, 310'), - 전기 라인(320, 320') 및 접지 라인(330, 33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장착 프레임(120)의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금속 피스(350)가 체결될 수 있다.
금속 피스(350)는 + 전기 라인(310, 310') 및 - 전기 라인(320, 320')을 각각 관통하는 형태로, 장착 프레임(120)의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 금속 피스(350)는 장착 프레임(120)의 폭 방향 양측에서 최외측에 각각 위치하는 + 전기 라인(310) 및 - 전기 라인(320)을 중심 방향으로 누르는 형태로도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전기 라인(300)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므로, 금속 피스(350)는 양측 책상(10, 10')의 전기 라인(300)이 폭 방향으로 포개진 부분 외에도 전기 라인(30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라인(300)의 장착 안정성은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장착홈부(130)에 장착되는 전기 라인(300)이 하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 프레임(140)을 구비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40)은 장착 프레임(120)의 하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40)은 장착홈부(130)에 전기 라인(300)이 장착되고, 이웃하는 책상(10')의 전기 라인(300)과의 전기적 연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장착 프레임(120)의 하면에 예컨대, 볼트 등과 같은 체결 수단을 통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라인(300)은 분기 라인(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기 라인(340)은 + 전기 라인(310), - 전기 라인(320) 및 접지 라인(330)으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상판 본체(110) 상에 설치되는 전원 단자함(도 1의 400)에 연결되고, 이러한 전원 단자함(400)에 접속되는 전기 기기에 전기 라인(300)을 통해 공급되는 전기를 제공하는 전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분기 라인(340)은 구리 스틱으로 이루어지는 + 전기 라인(310), - 전기 라인(320) 및 접지 라인(330)에 각각 체결되는 별도의 전선일 수 있다.
이때, + 전기 라인(310), - 전기 라인(320) 및 접지 라인(330)으로부터 분기된 분기 라인(340)은 장착홈부(130)에 형성되어 있는 전선 정리홈(130d) 및 전선 가이드 홈(130e)에 의해 관통공(111) 측으로 유도되고, 관통공(111)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통과하여 전원 단자함(400) 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단자함(400)은 책상 상판(10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원 단자함(400)은 책상 상판(100)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책상 상판(100)의 전방 측에 칸막이(600)가 설치되는 경우, 전원 단자함(400)은 칸막이(600) 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원 단자함(400)은 소켓부(410) 및 헹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부(410)는 책상 상판(100)의 하면에 장착되는 전기 라인(300)으로부터 분기된 분기 라인(3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소켓부(410)에는 책상 상판(100) 상에 거치되는 각종 전기 기기가 접속된다. 이에 따라, 외부 배전반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는 책상 상판(100)의 하면측에 장착되는 전기 라인(300), 전기 라인(300)으로부터 분기되어 관통공(111)을 통해 책상 상판(100)의 하면에서 상면으로 인출되는 분기 라인(340) 및 소켓부(410)를 통해 해당 전기 기기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외부 배전반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는 이웃하는 책상(10') 측에도 동일한 경로를 통해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헹거부(420)는 소켓부(4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헹거부(420)는 전기 기기로부터 인출되어 소켓부(410)에 접속되는 케이블을 정리하는 후크(hook)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전기 기기의 케이블은 이러한 헹거부(420)에 복수 회 감긴 후 그 말단의 플러그가 소켓부(410)에 접속될 수 있다. 책상 상판(100)에는 복수 개의 전기 기기가 거치될 수 있는 바, 헹거부(420)는 이들의 케이블을 깔끔하게 정리하기 위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의 장착 프레임을 나타낸 측면 모식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의 장착 프레임에 전기 라인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 모식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의 장착 프레임에 전기 라인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과 비교하여, 장착홈부의 구조 및 이에 따른 전기 라인의 전기적 연결 형태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착홈부(130)는 상판 본체(110)의 하면측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누전을 일으킬 위험이 큰 외부 요인들이 상존하는 영역으로 전기 라인(300)이 노출되지 않아, 외부 요인으로 인한 누전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착홈부(130)는 전기 라인(300)을 이루는 + 전기 라인(310)이 장착되는 제1 장착홈(131), 전기 라인(300)을 이루는 - 전기 라인(320)이 장착되는 제2 장착홈(132) 및 전기 라인(300)을 이루는 접지 라인(330)이 장착되는 제3 장착홈(133)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장착홈(131) 내지 제3 장착홈(133)은 길이 방향으로 만나지 않는 구조, 예컨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 전기 라인(310)과 - 전기 라인(320)의 접촉이 원천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들의 접촉으로 인한 누전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장착홈부(130)를 이루는 제1 장착홈(131), 제2 장착홈(132) 및 제3 장착홈(133)은 홈 바닥면(130a) 및 홈 벽면(13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홈 바닥면(130a)은 설정 폭(w)을 가지며, 장착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홈 벽면(130b)은 홈 바닥면(130a)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일 방향, 예컨대, 지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홈의 깊이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홈 벽면(130b)은 홈 바닥면(130a)의 폭(w)보다 작은 높이(h)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제1 장착홈(131)에 장착되는 + 전기 라인(310)은 소위 눕혀진 형태로 제1 장착홈(131)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 전기 라인(310), - 전기 라인(320) 및 접지 라인(330)은 구리 스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 전기 라인(310), - 전기 라인(320) 및 접지 라인(33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상 유지가 가능한 두께를 갖는 구리 스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책상(1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 전기 라인(310), - 전기 라인(320) 및 접지 라인(330)은 변형 없이 유지되어,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 전기 라인(310), - 전기 라인(320) 및 접지 라인(330)을 이루는 구리 스틱은, 그 외주면이 피복재에 의해 피복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전기 라인(300)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길이 방향 양단은 피복재에 의해 피복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한편, + 전기 라인(310), - 전기 라인(320) 및 접지 라인(330) 각각의 길이 방향 일단은 장착홈부(130) 내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 타단은 장착홈부(130)로부터 횡 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책상 간의 전기적 연결 시, 제1 장착홈(131) 내지 제3 장착홈(133) 각각의 길이 방향 일단에 구비되는 홈 바닥면(130a)에는 + 전기 라인(310), - 전기 라인(320) 및 접지 라인(330)의 길이 방향 일단이 각각 위치하고, 이들의 하면에는 이웃하는 책상에 구비되어 횡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 전기 라인(310'), - 전기 라인(320') 및 접지 라인(330')의 길이 방향 타단이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측 책상의 + 전기 라인(310, 310'), - 전기 라인(320, 320') 및 접지 라인(330, 330')은 상하 방향으로 포개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포개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측 책상의 + 전기 라인(310, 310'), - 전기 라인(320, 320') 및 접지 라인(330, 33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책상 상판(100)으로부터 금속 피스(350)가 체결될 수 있다. 금속 피스(350)는 + 전기 라인(310, 310'), - 전기 라인(320, 320') 및 접지 라인(330, 330')을 각각 관통하는 형태로, 책상 상판(100)으로부터 체결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 금속 피스(350)는 책상 상판(100)으로부터 최상측에 각각 위치하는 + 전기 라인(310), - 전기 라인(320) 및 접지 라인(330)을 아래 방향으로 누르는 형태로도 체결될 수 있다. 또한, 금속 피스(350)는 책상 상판(100)이 아닌 장착 프레임(120)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전기 라인(300)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므로, 금속 피스(350)는 양측 책상의 전기 라인(300)이 상하 방향으로 포개진 부분 외에도 전기 라인(30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라인(300)의 장착 안정성은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장착홈부(130)에 장착되는 전기 라인(300)이 하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 프레임(140)을 구비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40)은 장착 프레임(120)의 하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40)은 장착홈부(130)에 전기 라인(300)이 장착되고, 이웃하는 책상의 전기 라인(300)과의 전기적 연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장착 프레임(120)의 하면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장착 프레임(120)과 커버 프레임(140)이 금속 피스(350)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 100; 책상 상판
110; 상판 본체 111; 관통공
120; 장착 프레임 130; 장착홈부
130a; 홈 바닥면 130b; 홈 벽면
130c; 홈 바닥 연장면 130d; 전선 정리홈
131; 제1 장착홈 132; 제2 장착홈
133; 제3 장착홈 140; 커버 프레임
200; 상판 지지대 300; 전기 라인
310; + 전기 라인 320; - 전기 라인
330; 접지 라인 340; 분기 라인
350; 금속 피스 400; 전원 단자함
410; 소켓부 420; 행거부
500; 이음 부재 510; 본체
520; 볼트 600; 칸막이

Claims (2)

  1.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가 거치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책상 상판;
    상기 책상 상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하향 구비되어 상기 책상 상판을 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상판 지지대; 및
    상기 책상 상판의 하면에 장착되되, 일측의 상기 상판 지지대로부터 타측의 상기 상판 지지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장착되며, 외부 배전반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를 상기 전기 기기에 공급하는 전기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전기 라인은, 마주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는 + 전기 라인 및 - 전기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 전기 라인 및 - 전기 라인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상 유지가 가능한 두께를 갖는 구리 스틱으로 구비되되,
    상기 책상 상판은,
    판상의 상판 본체;
    상기 상판 본체의 하면에 일 방향으로 마련되는 장착 프레임; 및
    지면과 마주하는 상기 장착 프레임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기 라인이 장착되는 장착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착홈부는,
    상기 장착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길이 방향 양단이 개방되며 상기 + 전기 라인이 장착되는 제1 장착홈; 및
    상기 제1 장착홈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형태로 상기 장착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길이 방향 양단이 개방되며 상기 - 전기 라인이 장착되는 제2 장착홈을 포함하는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
  2. 삭제
KR1020200080767A 2020-02-07 2020-07-01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 KR102354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714 2020-02-07
KR20200014714 2020-02-07
KR1020200048703A KR102250149B1 (ko) 2020-02-07 2020-04-22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703A Division KR102250149B1 (ko) 2020-02-07 2020-04-22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116A KR20210101116A (ko) 2021-08-18
KR102354509B1 true KR102354509B1 (ko) 2022-01-21

Family

ID=759183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703A KR102250149B1 (ko) 2020-02-07 2020-04-22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
KR1020200080767A KR102354509B1 (ko) 2020-02-07 2020-07-01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703A KR102250149B1 (ko) 2020-02-07 2020-04-22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501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002B1 (ko) * 2013-02-25 2014-10-14 안상도 책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8643A (ja) * 1995-05-23 1996-11-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デスク用配電ユニット
JP3447570B2 (ja) * 1998-07-27 2003-09-16 リンナイ株式会社 配線忘れ防止構造
KR100370614B1 (ko) * 2000-04-19 2003-02-06 김동현 콘센트가 설치된 전선 정리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002B1 (ko) * 2013-02-25 2014-10-14 안상도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0149B1 (ko) 2021-05-10
KR20210101116A (ko)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28271B2 (ja) 配線キャビネット
EP1785117B1 (de) Konsole mit einem Stauraum
EP0214127A1 (en) Modular cable management system for related electronics equipment
JPS5845840B2 (ja) モジユ−ル状配線フレ−ム組立体
JPH07198960A (ja) 光ファイバー配線装置
CN102598890A (zh) 管理电缆的系统和方法
KR102354509B1 (ko)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
US7926231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routing cabling around leveler legs in a thin modular office panel
KR101200287B1 (ko) 멀티탭
US80536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density power distribution unit with integrated cable management
US5934623A (en) Conductor management system
JP2017092065A (ja) 情報盤
US9806438B2 (en) Ground bracket for an outlet of a rack power distribution unit and related method
JP5769568B2 (ja) コネクタを最適配置できる装置
KR20120004603U (ko) 케이블 정리용 지그
KR200438408Y1 (ko) 조립식 칸막이
KR101165035B1 (ko) 데스크의 전선 배선안내장치
JP4271797B2 (ja) 配線収納装置
JP5161923B2 (ja) 架台搭載式パンチダウンパネル及びパンチダウンパネル基板
KR101903694B1 (ko) 멀티 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
KR19990001958U (ko) 전선보호용 몰딩부재
JP3290121B2 (ja) 床下先行配線装置
FR2819114B1 (fr) Systeme de cablage integre pour armoire technique
ES2431030T3 (es) Dispositivo de conexión de cables
JPS583353Y2 (ja) 通信機用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