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694B1 - 멀티 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 - Google Patents

멀티 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694B1
KR101903694B1 KR1020160094580A KR20160094580A KR101903694B1 KR 101903694 B1 KR101903694 B1 KR 101903694B1 KR 1020160094580 A KR1020160094580 A KR 1020160094580A KR 20160094580 A KR20160094580 A KR 20160094580A KR 101903694 B1 KR101903694 B1 KR 101903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ap
exit
electric wire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2354A (ko
Inventor
여인우
오영기
허민
Original Assignee
(주)이노테크
오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테크, 오영기 filed Critical (주)이노테크
Priority to KR1020160094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694B1/ko
Publication of KR20180012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2Mobile apparatus, i.e. mounted on mobile carrier such as tractor or tru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은 내부에 전선이 정리되어 수납되는 전선정리 공간이 형성된 함체, 상기 함체의 제1 측면에 상기 멀티탭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멀티탭 장착홈, 상기 함체의 제2 측면에 상기 멀티탭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멀티탭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멀티탭 장착홈, 상기 제1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선이 상기 전선정리 공간에 출입할 수 있게 하는 제1 전선 출입구 및 상기 제2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선이 상기 전선정리 공간에 출입할 수 있게 하는 제2 전선 출입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Electric wire arrangement case having detachable multi tap}
본 발명은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의 제약이 없으며, 기존의 멀티탭의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고, 기존의 멀티탭에 선정리 기능을 부가시킬 수 있는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에 관한 것이다.
멀티탭은 다수의 전기 또는 전자기기들이 하나의 전원 콘센트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기이다. 전기 또는 전자기기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충분한 길이의 전선과 플러그가 설치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한편, 전기 또는 전자기기들 각각의 플러그를 멀티탭의 플러그 삽입 홈 각각에 연결하면, 상당한 길이의 전선이 보관할 곳이 없어, 바닥에 흐트러져 있거나 책상벽 또는 기기의 측벽에 늘어져 있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8215호에서 개시된 콘센트 선정리 멀티탭,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8215호에 개시된 멀티탭 및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0771호에 개시된 배선 정리가 용이한 멀티탭과 같은 선정리 기능이 부가된 멀티탭이 제안되었다.
그런데 상기의 공보들에서 개시된 선정리 기능이 부가된 멀티탭은 기존의 멀티탭의 구조를 변경시켜 형성된 선정리장착부 등을 가진다. 따라서 기존의 멀티탭에 선정리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멀티탭의 구조를 변경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공보들에서 개시된 선정리 기능이 부가된 멀티탭은 멀티탭 부분이 선정리 기능 부분에 대해 어느 일측에 고정되어 있어, 멀티탭 설치의 제약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선정리 기능이 부가된 멀티탭을 책상의 측면에 설치하는 경우, 멀티탭 부분이 노출되게 해야하므로, 선정리 기능이 부가된 멀티탭을 책상의 좌우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만 설치해야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8215호(공고일: 2004.09.07.)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8215호(공고일: 2001.10.29.)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0771호(공고일: 2001.10.27.)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설치의 제약이 없으며, 기존의 멀티탭의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고 기존의 멀티탭에 선정리 기능을 부가시킬 수 있는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은 내부에 전선이 정리되어 수납되는 전선정리 공간이 형성된 함체; 상기 함체의 제1 측면에 상기 멀티탭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멀티탭 장착홈; 상기 함체의 제2 측면에 상기 멀티탭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멀티탭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멀티탭 장착홈; 상기 제1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선이 상기 전선정리 공간에 출입할 수 있게 하는 제1 전선 출입구; 및 상기 제2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선이 상기 전선정리 공간에 출입할 수 있게 하는 제2 전선 출입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멀티탭 장착홈의 상기 제1 멀티탭 장착홈의 깊이와 폭에 수직한 길이가 통과하는 면과 상기 제2 멀티탭 장착홈의 상기 제2 멀티탭 장착홈의 깊이와 폭에 수직한 길이가 통과하는 면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전선 출입구 각각의 크기는 상기 멀티탭의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의 하부에는 이동바퀴 또는 받침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차되는 전선정리 함에 의하면, 설치의 제약이 없으며, 기존의 멀티탭의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고, 기존의 멀티탭에 선정리 기능을 부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우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좌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우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좌후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10)(이하, ‘전선정리 함’이라 한다.)은 내부에 전선이 정리되어 수납되는 전선정리 공간(LS)이 형성된 함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함체(100)의 제1 측면(110)에는 멀티탭(400)(도 3 참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멀티탭(400)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멀티탭 장착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함체(100)의 제2 측면(120)에는 멀티탭(40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멀티탭(400)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멀티탭 장착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함체(100)의 제1 측면(110)에는 전선이 전선정리 공간(LS)에 출입할 수 있게 하는 제1 전선 출입구(31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함체(100)의 제2 측면(120)에는 전선이 전선정리 공간(LS)에 출입할 수 있게 하는 제2 전선 출입구(3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함체(100)의 형상은 내부에 전선정리 공간(LS)이 형성되도록 속이 빈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함체(100)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멀티탭 장착홈(210)의 양쪽에 깊이(d1)와 폭(w1)에 해당하는 면을 연결한 길이(l1)만큼 함몰되고, 제2 멀티탭 장착홈(220)의 양쪽에 깊이(d2)와 폭(w2)에 해당하는 면을 연결한 길이(l2)만큼 함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멀티탭(400)을 제1 및 제2 멀티탭 장착홈(210,220) 각각에 제1 및 제2 멀티탭 장착홈(210,220)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탈거할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 전선 출입구(310,320) 각각의 크기는 멀티탭(400)의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가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멀티탭(400)의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크기는 단면의 면적 및 직경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선이 다양한 방향에서 전선정리 공간(LS)에 출입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전선 출입구(310,320) 각각이 형성된 제1 및 제2 측면(110,130) 이외의 제3 및 제4 측면(130,140) 각각에도 제3 및 제4 전선 출입구(330,340) 각각이 형성될 수 있다.
멀티탭(400)은 제1 및 제2 멀티탭 장착홈(210,220) 각각에 삽입되어 양면테이프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함체(100)의 하부에는 이동바퀴(150), 받침 다리(도면에 미도시) 및 받침대(도면에 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있다. 이러한 이동바퀴(150), 받침 다리 및 받침대에 의해 함체(100)가 바닥에서 상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바닥을 물청소하는 경우, 물이 멀티탭(400)에 튀지 않게 되어 누전 등의 전기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함체(100)의 하부에 이동바퀴(15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함체(100)를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의 사용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10)을 책상의 윗면 등 적절한 위치에 배치한다.
그 다음, 제1 및 제2 멀티탭 장착홈(210,220) 중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10)의 배치에 적절한 멀티탭 장착홈을 선택하여, 선택된 멀티탭 장착홈에 멀티탭(400)을 장착한다. 이때,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멀티탭(400)을 제1 멀티탭 장착홈(21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10)의 설치제약이 해소된다.
그 다음, 전기 또는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제2 전선 출입구(320)를 통과시켜 전선정리 공간(LS)를 진입시킨 후 제1 전선 출입구(310)로 인출시킨다. 이때, 멀티탭(400)과 전기 또는 전자기기를 연결하는 데 불필요한 여분의 전선을 전선정리 공간(LS)에 정리한다.
그 다음, 전기 또는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멀티탭(400)의 콘센트에 결합시킨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10)에 의해, 설치의 제약이 없으며, 기존의 멀티탭의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고 기존의 멀티탭에 선정리 기능을 부가시킬 수 있는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10)의 양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 멀티탭 장착홈(210,220) 중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10)의 배치에 적절한 멀티탭 장착홈을 선택하여 선택된 멀티탭 장착홈에 멀티탭(400)을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설치의 제약이 해소된다.
또한,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10)의 제1 및 제2 멀티탭 장착홈(210,220)과 전선정리 공간(LS)에 의해, 기존의 멀티탭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기존의 멀티탭에 전선정리 기능을 부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멀티탭(400)이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10)의 측면에 장착됨으로써, 멀티탭(400)의 콘센트에 먼지가 적게 쌓이게 되어 먼지에 의한 화재의 위험이 감소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
100: 함체
110: 제1 측면
120: 제2 측면
130: 제3 측면
140: 제4 측면
210: 제1 멀티탭 장착홈
220: 제2 멀티탭 장착홈
310: 제1 전선 출입구
320: 제2 전선 출입구
330: 제3 전선 출입구
340: 제4 전선 출입구
400: 멀티탭

Claims (4)

  1. 멀티탭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함에 관한 것으로써,
    내부에 전선이 정리되어 수납되는 전선정리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 저면,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측면과, 서로 마주보는 제3 및 제4 측면으로 구성된 육면체 형상의 함체;
    상기 함체의 제1 측면에 일정 폭(w1)과 길이(d1)를 갖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멀티탭 장착홈;
    상기 함체의 제2 측면에 일정 폭(w2)과 길이(d2)를 갖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 멀티탭 장착홈;
    상기 제1 측면의 제1 멀티탭 장착홈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선이 상기 전선정리 공간에 출입할 수 있게 하는 제1 전선 출입구;
    상기 제2 측면의 제2 멀티탭 장착홈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선이 상기 전선정리 공간에 출입할 수 있게 하는 제2 전선 출입구;
    상기 제3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선이 상기 전선정리 공간에 출입할 수 있게 하는 제3 전선 출입구; 및
    상기 제4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선이 상기 전선정리 공간에 출입할 수 있게 하는 제4 전선 출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멀티탭 장착홈과 상기 제2 멀티탭 장착홈은 각각, 상기 멀티탭의 측방향 슬라이드 삽입 및 탈거가 가능하도록 그 길이방향 양단 영역이 외부와 연통하도록 개구되며,
    상기 제1 및 제2 멀티탭 장착홈에 장착되는 상기 멀티탭은 플러그 삽입 홈이 외측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선 출입구 각각의 크기는 상기 멀티탭의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하부에는 이동바퀴 또는 받침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
KR1020160094580A 2016-07-26 2016-07-26 멀티 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 KR101903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580A KR101903694B1 (ko) 2016-07-26 2016-07-26 멀티 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580A KR101903694B1 (ko) 2016-07-26 2016-07-26 멀티 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354A KR20180012354A (ko) 2018-02-06
KR101903694B1 true KR101903694B1 (ko) 2018-10-05

Family

ID=61228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580A KR101903694B1 (ko) 2016-07-26 2016-07-26 멀티 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6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1472Y1 (ko) * 1996-06-19 1999-11-15 김주형 확장 콘센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1472Y1 (ko) * 1996-06-19 1999-11-15 김주형 확장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354A (ko)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129B1 (ko) 전원공급선이 설치된 측면플레이트가 구비된 컴퓨터 케이스
US20140247577A1 (en) Electrical socket apparatus
KR101200287B1 (ko) 멀티탭
US7371105B1 (en) Electrical plug lock
KR101903694B1 (ko) 멀티 탭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선정리 함
US9666980B2 (en) Electrical power strip housing
US80536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density power distribution unit with integrated cable management
KR200419231Y1 (ko) 박스형 멀티탭
KR101487393B1 (ko) 멀티탭용 케이스
JP6199943B2 (ja) 情報盤
CN203551852U (zh) 一种光缆布线固定装置
KR101990597B1 (ko) 배선정리가 용이한 컴퓨터 본체
JP5562213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
KR102250149B1 (ko) 누전 방지 연결형 책상
CN216450853U (zh) 插座收纳盒及收纳盒组件
KR200340010Y1 (ko) 콘센트 설비 장치
KR20180000252U (ko) 콘센트 커버 일체형 멀티탭
KR101566594B1 (ko) 배선 덕트
KR20090106426A (ko) 박스형 멀티탭
JP2024006999A (ja) 電源タップ
JP2016181222A (ja) 情報通信ユニット及び情報コンセント
KR200389570Y1 (ko) 통합 멀티 콘센트
KR101116874B1 (ko) 모듈화 콘센트 장치
KR101447169B1 (ko) 멀티탭
CN103416032B (zh) 交换机外壳及具有交换机外壳的交换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