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453B1 -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453B1
KR102354453B1 KR1020210161790A KR20210161790A KR102354453B1 KR 102354453 B1 KR102354453 B1 KR 102354453B1 KR 1020210161790 A KR1020210161790 A KR 1020210161790A KR 20210161790 A KR20210161790 A KR 20210161790A KR 102354453 B1 KR102354453 B1 KR 102354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uction device
smoke reduction
air
suction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1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근
Original Assignee
이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근 filed Critical 이재근
Priority to KR1020210161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 F01N3/023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for regenerating ex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 F01N3/023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periodically cleaning filter by blowing a gas through the filt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exhaust flow, e.g. exposing filter to engine air int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 F01N3/02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using fuel burner or by adding fuel to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2Control of additional air supply only, e.g. using by-passes or variable air pump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14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fuel bu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40/00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xhaust system, e.g. length, diameter or volume of the apparatus; Spatial arrangements of exhaust apparatuses
    • F01N2340/06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xhaust system, e.g. length, diameter or volume of the apparatus; Spatial arrangements of exhaust apparatus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exhaust apparatus relative to the turbine of a turbochar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24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by bolts, screws, rive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60/00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 F01N2560/08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 pressure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26Filtra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과 타측에 각각 흡입부(110)와 배기부(120)를 가지며, 내부에는 촉매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촉매의 기공이나 활성점에 달라 붙어 있는 복합슬러지의 누적으로 촉매의 기공이나 활성점이 막혀 기능이 상실되어 차량으로부터 탈거된 매연저감장치(100)의 내부 슬러지를 제거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차량으로부터 탈거된 매연저감장치(100)의 흡입부(110)에 고온의 화력을 인가하는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 및 내부가 벤츄리관의 형태로 구성되어 유입구가 상기 배기부(120) 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중간측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별도의 콤프레샤(800)에 호스(840)를 통해 연결되되 내부가 벤츄리관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콤프레샤로부터 공급된 공기의 유속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입부(110)에 인가된 화력에 의한 열기를 포함하는 열풍을 공급되는 상기 압축 공기와 혼합하면서 냉각하여 냉각 공기로 만들어 유입구와 반대쪽에 있는 유출구 측으로 배출하도록 된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Regeneration Device And Method Of Diesel Particulate Filter}
본 발명은 일측과 타측에 각각 흡입부(110)와 배기부(120)를 가지며, 내부에는 촉매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촉매의 기공이나 활성점에 달라 붙어 있는 복합슬러지의 누적으로 촉매의 기공이나 활성점이 막혀 기능이 상실되어 차량으로부터 탈거된 매연저감장치(100)의 내부 슬러지를 제거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차량으로부터 탈거된 매연저감장치(100)의 흡입부(110)에 고온의 화력을 인가하는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 및 내부가 벤츄리관의 형태로 구성되어 유입구가 상기 배기부(120) 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중간측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별도의 콤프레샤(800)에 호스(840)를 통해 연결되되 내부가 벤츄리관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콤프레샤로부터 공급된 공기의 유속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입부(110)에 인가된 화력에 의한 열기를 포함하는 열풍을 공급되는 상기 압축 공기와 혼합하면서 냉각하여 냉각 공기로 만들어 유입구와 반대쪽에 있는 유출구 측으로 배출하도록 된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젤차량의 매연저감장치(DPF, Diesel Particulate Filter)는, 디젤차량에 설치될 때 매연저감장치만 설치되는 경우도 있지만 매연저감장치에 디젤 산화 촉매장치(DOC, Diesel Oxidation Catalysts)나 선택적 환원 촉매(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가 내장된 경우도 있는데 이들을 일괄하여 통상 매연저감장치라 한다, 이러한 매연저감장치는 자동차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에서 매연, 그을음, 또는 미세먼지 등 대기환경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질소산화물인 입자상 물질(PM, Particulate Matter)을 제거하고, 특히 매연저감장치의 선택적 환원 촉매의 전단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배기가스에 요소수를 분사하면 열분해 반응과 가수분해 반응이 일어나면서 암모니아를 발생시키는데 이때 암모니아는 촉매 내에서 산화질소와 반응하여 인체에 무해한 질소와 물로 환원됨에 따라 대기를 비롯한 환경오염 예방에 크게 기여하는 장치이다.
한편, 디젤차량의 매연저감장치에 부착되는 선택적 환원 촉매는 일정한 기간 동안 사용하면 요소수의 열분해와 가수분해 등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과정에서 요소수의 결정체인 여러 복합 슬러지(이소시안산, 시안산, 뷰렛, 아말라이드 아멜린, 멜라민 등의 이물질)가 생성된 후 선택적 환원 촉매의 표면에 달라 붙어 쌓여서 고착화되어 촉매의 기공이나 활성점 등을 막고 환원반응을 방해함으로써 대기 오염의 주범인 질소산화물의 여과없는 방출을 야기하고 이는 스모그 등 환경오염의 원인이 된다.
또한, 복합슬러지의 누적으로 촉매의 기공이나 활성점을 막으면 엔진 부하가 가중되면서 매연저감장치의 선택적 환원 촉매 전단의 배기가스에 요소수 분사시 암모니아의 슬립(미반응 암모니아) 현상이 나타나면서 슬러지의 량이 늘어날 수 있고, 특히 추운 날씨로 인해 배기가스의 온도가 200℃ 이하일 가능성이 높은 겨울철에 차가운 운행풍까지 더해질 경우 암모니아의 반응이 어려워 슬러지 발생량의 증가는 더욱 심해질 수 있다.
이처럼 선택적 환원 촉매에 대한 복합슬러지의 누적으로 촉매의 기공이나 활성점이 막혀 촉매의 수명이 다하게 되면 기존의 매연저감장치는 폐기하고 고가의 비용을 들여서 새로운 매연저감장치를 구입한 후에 교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수명이 다하여 폐기되는 선택적 환원 촉매를 포함하는 매연저감장치라 하더라도 각 부위의 기능이나 구조 및 외형은 온전한 경우가 많고 내부에 퇴적되어 선택적 환원 촉매의 기공이나 활성점을 막고 있는 복합슬러지만 제거하면 신품 매연저감장치만큼은 아니지만 상당한 기간 동안 재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최근 차량정비업소에서는 수명이 다하여 폐기에 이르는 선택적 환원 촉매를 포함하는 매연저감장치를 차량으로부터 탈거한 다음 별도의 공정을 거쳐 선택적 환원 촉매의 기공이나 활성점을 막고 있는 복합슬러지를 제거하는 매연저감장치 재생처리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즉, 매연저감장치의 선택적 환원 촉매의 기공이나 활성점을 막고 있는 복합슬러지를 제거하여 매연저감장치를 재생시키면, 차량 소유주의 입장에서는 선택적 환원 촉매의 기공이나 활성점이 막혀 있는 매연저감장치를 신품 매연저감장치로 교체하는것보다 훨씬 비용이 덜 들기 때문에 막대한 비용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고, 재생작업을 수행하는 차량정비업소의 경우에는 재생작업에 따른 수익창출을 기대할 수 있으며, 국가적인 측면에서는 막대한 자원의 낭비를 예방하고 환경오염원이 되는 무분별한 산업폐기물 배출의 억제가 가능하게 되는 등 여러모로 유용하다.
현재 디젤차량용 매연저감장치를 재생하는 매연저감장치 재생방법으로는, 차량 자체에서 배기가스의 분사시 자동으로 제거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을 들 수 있지만, 차량 연료시스템의 노후화가 진행되면 배기가스의 온도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슬러지 제거에 필요한 최적 상태인 온도 조건과 배기 압력 등을 항상 항상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선택적 환원 촉매의 수명은 항구적이지 않고 유한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차량에 탑재된 선택적 환원 촉매가 부착된 매연저감장치에 자동차 자체의 배기가스 외에 별도의 히팅장치로 열을 가하여 선택적 환원 촉매에 축적된 슬러지의 제거 및 재생을 도모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차량에 매연저감장치가 탑재된 상태에서 디젤 산화 촉매장치나 선택적 환원 촉매에 슬러지 제거에 필요한 고온의 열을 별도의 가열장치를 통해 인가하면서 이때 발생하는 미립자의 오염물까지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재생장치를 갖추려면 상당히 복잡하고 난해할 뿐 아니라 첨단 고가의 장치나 부품들이 동원되어야 하는 등 막대한 비용의 지출이 불가피하다.
일부에서는 매연저감장치를 차량으로부터 탈거한 다음 버너 등 가열기구로 열을 인가해 디젤 산화 촉매장치나 선택적 환원 촉매의 슬러지를 제거하는 방법을 시도하고 있지만, 내부에 슬러지가 꽉 차 있는 매연저감장치의 흡입부에 화력을 단순하게 인가하기만 하면, 화력이 접촉되는 흡입부의 주변에만 고온의 열기가 전달되고 매연저감장치의 내부 깊은 곳에는 슬러지 제거에 필요한 고온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아 전체 슬러지의 제거 효율을 기대하기 어렵고, 만약 이를 고려하여 화력을 더 강하게 높일 경우에는 흡입부 쪽이 너무 높은 초고온을 받게 되어 매연저감장치의 내부에 부착된 디젤 산화 촉매장치나 선택적 환원 촉매가 녹아 내려 오히려 더 큰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다른 일부에서는 선택적 환원 촉매의 전체에 대한 균일한 열전달을 위해 일정한 공간을 가지는 챔버 내에 선택적 환원 촉매가 부착된 매연저감장치 자체를 투입한 다음 그 챔버 내의 공간 전체를 슬러지 제거에 필요한 고온으로 설정하여 매연저감장치 전체를 구워내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불필요하게 막대한 규모의 설비가 갖춰져야 할 뿐만 아니라 막대한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함과 동시에 유지관리에도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또 다른 일부에서는 선택적 환원 촉매가 내부에 부착된 매연저감장치를 산성용액(아세트산, 젖산, 시트르산, 술폰산, 아스코르브산, 글리콜산, 옥살산, 개미산 및 초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산을 포함하는 산성용액)에 담궈서 세척하는 산이 포함된 화학약품을 이용한 세척방법이 특허등록번호 제10-1446142호(SCR 촉매의 세미-인시츄 재생방법)이 공지된 바 있으나, 이는 유독성의 화학약품인 산을 이용하기 때문에 작업환경이 열악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선택적 환원 촉매에 강하게 달라 붙은 복합 슬러지의 제거효율향상을 기대하기는 부족하다.
특허등록번호 제10-10-1446142호(2014.09.24.)
본 발명의 목적은, 매연저감장치 전체에 고온의 열기를 포함하는 열풍이 냉각되면서도 보다 신속하고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연저감장치에 축적된 슬러지의 제거시 슬러지의 제거 정도에 의거하여 매연저감장치의 재생된 상태에 대한 즉각적인 확인이 가능한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매연저감장치에 축적된 슬러지, 그을음, 입자상 이물질, 및 매연 등의 제거를 위한 연소시에 연소 후 남는 재를 제거할 수 있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매연저감장치에 일정한 물리적인 충격 또는 진동을 가하여 매연저감장치의 내부에 축적된 슬러지의 제거 효율을 더욱 높이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목적은, 흡입력 연결수단에 설치된 필터를 더 포함하여 매연저감장치에서 배출되는 연기를 포집하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일측과 타측에 각각 흡입부(110)와 배기부(120)를 가지며, 내부에는 촉매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촉매의 기공이나 활성점에 달라 붙어 있는 복합슬러지의 누적으로 촉매의 기공이나 활성점이 막혀 기능이 상실되어 차량으로부터 탈거된 매연저감장치(100)의 내부 슬러지를 제거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차량으로부터 탈거된 매연저감장치(100)의 흡입부(110)에 고온의 화력을 인가하는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 및 내부가 벤츄리관의 형태로 구성되어 유입구가 상기 배기부(120) 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중간측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별도의 콤프레샤(800)에 호스(840)를 통해 연결되되 내부가 벤츄리관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콤프레샤로부터 공급된 공기의 유속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입부(110)에 인가된 화력에 의한 열기를 포함하는 열풍을 공급되는 상기 압축 공기와 혼합하면서 냉각하여 냉각 공기로 만들어 유입구와 반대쪽에 있는 유출구 측으로 배출하도록 된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는, 매연저감장치(100)의 상측에 설치된 상부 어댑터(90-1)에 결합되는 중공 실린더 형상의 일측 부분과, 상기 일측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로서의 사다리꼴 단면의 내부공간(612) 및 상기 사다리꼴 단면의 내부 공간(612)과 연통되는 제1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13)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타측 부분을 가지는 유입부(610); 제1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13)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제2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21h)을 형성하는 삽입 결합부(621)와, 상기 삽입 결합부(621)와 일체로 형성되되 제2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21h)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상기 유출구로서의 제3 원형 단면의 내부공간(622h)을 형성하는 배출부(622)를 포함하는 유출부(620); 및 제1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13)과 연통하여 콤프레샤(800)로부터 호스(840)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제1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13)으로 유입되는 유입 통로(611h)를 형성하도록 유입부(610)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된 압축공기 유입관(611)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결합부(621)가 제1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13)의 전방의 내벽면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었을 때, 상기 사다리꼴 단면의 내부공간(612)과, 제2 원형 단면의 내부공간(621h)과, 상기 제2 원형 단면의 내부공간(621h)의 상기 사다리꼴 단면의 내부공간(612)까지의 길이방향 연장부와, 제3 원형 단면의 내부공간(622h) 병목 형태의 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제1, 2 어댑터(410, 420)를 가지고, 일단부의 제1 어댑터(410)가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의 상기 유출부(620)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 공기가 유동하는 냉각 공기 유동호스(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 결합부(621)의 외주면과 제1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13)에 접하는 유입부(610)의 내주면은 나사체결 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상기 간격은 삽입 결합부(621)가 내부 공간(613)의 내측으로 나사체결되어 들어가는 깊이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기구(120)로 배출되는 열풍이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에 의해 흡입되는 흡입량은, 상기 간격이 넓을수록 많아지고 좁을수록 적어지고, 별도의 콤프레샤(8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많을수록 많아지며 적을수록 적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는, 매연저감장치(100)에 대한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의 화력 인가시 슬러지 제거 중에 수반될 수 있는 폐오일로 인하여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에서 배출되는 연기를 포집하도록 상기 냉각 공기 유동호스(400)에 설치된 필터(F)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는, 차량으로부터 탈거된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흡입부(110)에 화력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가스 또는 유류를 원료로 하는 버너와 전기히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는, 일측에 구비되어 제2 어댑터(420)와 연결될 수 있는 인입구(310)와, 타측에 구비된 인출구(320)와, 출구측에 설치된 차압센서(910)를 가지는 블로워모터(300); 차압센서(9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제어부(591); 컨트롤제어부(591)에 설치되어 매연저감장치(100)의 흡입부(110) 및 배기부(120)의 압력차이 및 그 변화의 추이를 디지털 그래프로 상세히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스코프메타(920); 및 일단부는 제1 어댑터(410)에 그리고 타단부는 배기부(120)에 각각 연통되게 결합될 수 있는 제3 어댑터(430)를 더 포함하고, 매연저감장치(100)에 대한 차압 측정시에는,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의 유출부(620)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어댑터(410)를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의 유출부(620)로부터 분리하고, 이후 인입구(310)에 제2 어댑터(420)를 연결하며 제3 어댑터(430)를 제1 어댑터(410)에 결합하고 제3 어댑터(430)를 다시 매연저감장치(100)의 배기부(120) 측에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는, 상기 매연저감장치(100)가 안착되고, 상기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와 블로워모터(300)을 내부에 설치하고 있는 박스형 본체(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박스형 본체(500)는, 상면에 차량으로부터 탈거된 매연저감장치(100)를 안착시켜서 재생작업을 하는 매연저감장치 안착용 작업대(510)와, 상기 매연저감장치 안착용 작업대(510)의 일측 단부에 접하여 상기 매연저감장치 안착용 작업대(510)보다 더 위로 돌출되고 내부가 텅빈 통체헤드부(520)를 포함하고, 상기 통체헤드부(520)의 내부에 상기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가 설치되며, 상기 통체헤드부(520)의 측면부 중 상기 매연저감장치 안착용 작업대(510)와 대향하는 측면부에는 상기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의 불꽃을 내뿜는 화력분사구(530)가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스형 본체(500)는, 별도의 컴프레셔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압축하였다가 필요한 경우 순간적이고 강력한 고압의 에어를 일시에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박스형 본체(500) 내부에 설치된 에어압축탱크(5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는, 상기 박스형 본체(5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내부 슬러지의 제거 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해 매연저감장치(100)에 에어압축탱크(540)의 고압의 에어를 일순간 분사할 때, 매연저감장치(100)에 설정 크기의 물리적인 충격 또는 진동을 가하기 위한 진동발생장치(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발생장치(700)는, 수평한 상태로 배치되어 상면에 매연저감장치(100)가 고정되는 진동판(710)과, 상기 진동판(710)의 저면에 결합된 진동기(720)와, 상기 진동판(710)의 하부에 진동판(710)과 간격을 두고 수평한 상태로 배치된 지지대(730)와, 상기 진동판(710)과 지지대(730)의 사이에 설치된 제1 충격흡수용 고무댐퍼(740-1)와, 상기 지지대(730)의 양측 단부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연장된 제2 충격흡수용 고무댐퍼(740-2)와, 상기 제2 충격흡수용 고무댐퍼(740-2)의 외측 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고정되는 'U'자형 단면의 골격프레임(750)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판(710)의 상면에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는 매연저감장치(100)를 고정하도록 양측에 각각 벨트고정구(711)와 벨트체결구(7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고정구(711)와 벨트체결구(712)의 사이에서 길이조절이 용이한 고정벨트(760)를 결속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매연저감장치의 재생방법은,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매연저감장치를 재생하는 매연저감장치 재생방법으로서,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흡입부(110)에는 설정 온도의 화력을 인가하는 흡입부측 화력인가단계;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배기부(120)에는 상기 흡입부(110)의 입구로부터 제공된 화력의 열기를 포함하는 매연저감장치(10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한 후 배기부(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기부측 공기흡입단계; 및 내부가 벤츄리관의 형태로 구성되어 유입구가 상기 배기부(120) 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중간측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별도의 콤프레샤(800)에 호스(840)를 통해 연결되되 내부가 벤츄리관의 형태로 구성된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에 의해 상기 콤프레샤로부터 공급된 공기의 유속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입부(110)에 인가된 화력에 의한 열기를 포함하는 열풍을 공급되는 상기 압축 공기와 혼합하면서 냉각하여 냉각 공기로 만들어 배기부(120)로 배출하도록 하는 열풍의 냉각 및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매연저감장치 전체에 고온의 열기를 포함하는 열풍이 냉각되면서도 보다 신속하고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매연저감장치에 축적된 슬러지의 제거시 슬러지의 제거 정도에 의거하여 매연저감장치의 재생된 상태에 대한 즉각적인 확인이 가능한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매연저감장치에 축적된 슬러지, 그을음, 입자상 이물질, 및 매연 등의 제거를 위한 연소시에 연소 후 남는 재를 제거할 수 있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매연저감장치에 일정한 물리적인 충격 또는 진동을 가하여 매연저감장치의 내부에 축적된 슬러지의 제거 효율을 더욱 높이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흡입력 연결수단에 설치된 필터를 더 포함하여 매연저감장치에서 배출되는 연기를 포집하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처리되는 매연저감장치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도 2의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의 흡입력 연결수단에 설치된 필터를 더 포함하는 도면.
도 4는 도 2의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의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와 화구보조결합구의 개략도.
도 5는 도 2의 매연저감장치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어댑터와 냉각 공기 유동호스의 사이에 설치된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매연저감장치에 대한 차압 측정을 위해 도 5의 냉각 공기 유동호스가 블로워모터와 매연저감장치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2의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에서 매연저감장치가 안착되고,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와 공기흡입수단을 내부에 설치하고 있는 박스형 본체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7의 박스형 본체에 매연저감장치가 안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가 적용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2의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의 공기흡입수단의 출구 풍압을 측정하는 차압센서와 이 차압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제어부와 이 컨트롤제어부에 설치된 스크프메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2의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에 안착되는 매연저감장치의 흡입부와 배기부에 형성된 구멍에 꽂을 수 있는 입구온도센서와 내부온도센서와 출구온도센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 7의 박스형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진동발생장치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처리되는 매연저감장치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2의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의 흡입력 연결수단에 설치된 필터를 더 포함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의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와 화구보조결합구의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2의 매연저감장치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어댑터와 냉각 공기 유동호스의 사이에 설치된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매연저감장치에 대한 차압 측정을 위해 도 5의 냉각 공기 유동호스가 블로워모터와 매연저감장치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2의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에서 매연저감장치가 안착되고,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와 공기흡입수단을 내부에 설치하고 있는 박스형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종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박스형 본체에 매연저감장치가 안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가 적용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2의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의 공기흡입수단의 출구 풍압을 측정하는 차압센서와 이 차압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제어부와 이 컨트롤제어부에 설치된 스크프메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1은 도 2의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에 안착되는 매연저감장치의 흡입부와 배기부에 형성된 구멍에 꽂을 수 있는 입구온도센서와 내부온도센서와 출구온도센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7의 박스형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진동발생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를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본 발명의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흡입부(110)와 배기부(120)를 가지며, 내부에는 촉매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촉매의 기공이나 활성점에 달라 붙어 있는 복합슬러지의 누적으로 촉매의 기공이나 활성점이 막혀 기능이 상실되어 차량으로부터 탈거된 매연저감장치(100)의 내부 슬러지를 제거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에 있어서,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 및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는, 상기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차량으로부터 탈거된 매연저감장치(100)의 흡입부(110)에 고온의 화력을 인가한다. 이러한 화력에 의해 매연저감장치(100)의 흡입부(110)에는 열풍(예, 400∼700℃의 열풍)이 공급되면서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로 매연저감장치(100)에 축적된 슬러지를 태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는, 차량으로부터 탈거된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흡입부(110)에 화력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가스 또는 유류를 원료로 하는 버너와 전기히터 중 어느 하나이다. 이러한 버너나 전기히터는 차량으로부터 탈거된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흡입부(110)에 화력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는 내부가 벤츄리관의 형태로 구성되어 유입구가 상기 배기부(120) 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중간측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별도의 콤프레샤(800)에 호스(840)를 통해 연결되되 내부가 벤츄리관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콤프레샤로부터 공급된 공기의 유속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입부(110)에 인가된 화력에 의한 열기를 포함하는 열풍을 공급되는 상기 압축 공기와 혼합하면서 냉각하여 냉각 공기로 만들어 유입구와 반대쪽에 있는 유출구 측으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는, 매연저감장치(100)의 상측에 설치된 상부 어댑터(90-1)에 결합되는 중공 실린더 형상의 일측 부분과, 상기 일측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로서의 사다리꼴 단면의 내부공간(612) 및 상기 사다리꼴 단면의 내부 공간(612)과 연통되는 제1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13)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타측 부분을 가지는 유입부(610); 제1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13)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제2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21h)을 형성하는 삽입 결합부(621)와, 상기 삽입 결합부(621)와 일체로 형성되되 제2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21h)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상기 유출구로서의 제3 원형 단면의 내부공간(622h)을 형성하는 배출부(622)를 포함하는 유출부(620); 및 제1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13)과 연통하여 콤프레샤(800)로부터 호스(840)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제1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13)으로 유입되는 유입 통로(611h)를 형성하도록 유입부(610)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된 압축공기 유입관(611)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결합부(621)가 제1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13)의 전방의 내벽면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었을 때, 상기 사다리꼴 단면의 내부공간(612)과, 제2 원형 단면의 내부공간(621h)과, 상기 제2 원형 단면의 내부공간(621h)의 상기 사다리꼴 단면의 내부공간(612)까지의 길이방향 연장부와, 제3 원형 단면의 내부공간(622h) 병목 형태의 관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압축공기 유입관(611)의 유입 통로(611h)를 통해서는 콤프레샤(800)로부터 호스(840)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제1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13)으로 유입되게 되고 그에 따라 매연저감장치의 배기부(120)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이 제1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13)에서 빠져나와 제2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21h)에서 유입되는 상기 압축 공기와 혼합되면서 냉각되어 냉각풍이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사다리꼴 단면의 내부공간(612)과, 제2 원형 단면의 내부공간(621h)과, 상기 제2 원형 단면의 내부공간(621h)의 상기 사다리꼴 단면의 내부공간(612)까지의 길이방향 연장부와, 제3 원형 단면의 내부공간(622h) 병목 형태의 관을 형성함으로써 콤프레샤로부터 공급된 공기의 유속이 증대되어 결과적으로 매연저감장치의 배기부(120)로부터 더 많은 양의 열풍이 병목 형태의 관 내부로 유입되게 하면서 제2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21h)에서 유입되는 상기 압축 공기와 혼합되면서 냉각되어 냉각풍이 형성될 수 있게 하며 이와 같이 형성된 냉각풍은 유출부(620)를 통해 유출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는, 상기 구성 외에,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제1, 2 어댑터(410, 420)를 가지고, 일단부의 제1 어댑터(410)가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의 상기 유출부(620)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 공기가 유동하는 냉각 공기 유동호스(4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냉각 공기 유동호스(400)에 의해 상기 냉각 공기는 상기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로부터 원격한 위치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내부를 유동하는 것은 냉각된 냉각 공기이므로 녹아내리지 않는다.
또한, 상기 삽입 결합부(621)의 외주면과 제1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13)에 접하는 유입부(610)의 내주면은 나사체결 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상기 간격은 삽입 결합부(621)가 내부 공간(613)의 내측으로 나사체결되어 들어가는 깊이에 따라 조절된다. 즉, 상기 간격은 넓거나 좁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기구(120)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이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에 의해 흡입되는 흡입량은, 제1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13)의 전방의 내벽면과 상기 삽입 결합부(621) 사이의 간격이 넓을수록 많아지며 좁을수록 적어지고, 별도의 콤프레샤(8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많을수록 많아지며 적을수록 적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배기구(120)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이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에 의해 흡입되는 흡입량은 상기 간격의 넓이 조절과 별도의 콤프레샤(8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양의 조절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때 상기 열풍은 제2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21h)에서 별도의 콤프레샤(8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와 혼합되면서 상기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삽입 결합부(621)가 제1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13)의 전방의 내벽면과 간격을 두지 않고 상기 내벽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상기 사다리꼴 단면의 내부공간(612)과, 제2 원형 단면의 내부공간(621h), 및 제3 원형 단면의 내부공간(622h) 병목 형태의 관을 형성하며 이러한 병목 형태의 관에 의해 배기구(120)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의 유속이 빨라지면서 배기구(120)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이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에 의해 흡입되는 흡입량은 많아지지만, 별도의 콤프레샤(8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유입이 차단되므로 이러한 공기에 의한 상기 열풍의 냉각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는, 위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와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와 냉각 공기 유동호스(400)의 구성 외에, 일측에 구비된 인입구(310)와 타측에 구비된 인출구(320)를 가지며, 매연저감장치(100) 내부의 공기를 매연저감장치(100)의 배기부(120)를 거쳐 상기 인입구(310)를 통해 설정 흡입력으로 빨아들인 후 상기 인출구(320)를 통해 외부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블로워모터(3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블로워모터(300)에 의해 상기 배기구(120)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이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을 통해 흡입되는 흡입량은 더욱 증대될 수 있으며 또한 흡입시 매연저감장치(100) 내부의 제거된 슬러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블로워모터(300)를 거칠 때에도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기구(120)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이 별도의 콤프레샤(8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된 냉각풍이 블로워모터(300)를 거치게 되므로 블로워모터(300)가 손상되지 않는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블로워모터(300) 대신 송풍팬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의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는, 위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와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와 냉각 공기 유동호스(400)의 구성 외에, 일측에 구비되어 제2 어댑터(420)와 연결될 수 있는 인입구(310)와, 타측에 구비된 인출구(320)와, 출구측에 설치된 차압센서(910)를 가지는 블로워모터(300); 차압센서(9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제어부(591); 컨트롤제어부(591)에 설치되어 매연저감장치(100)의 흡입부(110) 및 배기부(120)의 압력차이 및 그 변화의 추이를 디지털 그래프로 상세히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스코프메타(920); 및 일단부는 제1 어댑터(410)에 그리고 타단부는 배기부(120)에 각각 연통되게 결합될 수 있는 제3 어댑터(430)를 더 포함하고, 매연저감장치(100)에 대한 차압 측정시에는,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의 유출부(620)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어댑터(410)를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의 유출부(620)로부터 분리하고, 이후 인입구(310)에 제2 어댑터(420)를 연결하며 제3 어댑터(430)를 제1 어댑터(410)에 결합하고 제3 어댑터(430)를 다시 매연저감장치(100)의 배기부(120) 측에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모터(300)의 출구에 풍압(매연저감장치(100)에 가해지는 공기압력)을 측정하는 차압센서(910)를 설치하고, 상기 차압센서(9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제어부(591)에는 매연저감장치(100)의 흡입부(110) 및 배기부(120)의 압력차이 및 그 변화의 추이를 디지털 그래프로 상세히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스코프메타(920)를 설치하면, 매연저감장치(100)의 연소 전후의 상태를 흡입부(110)에 인가된 압력과 그 변화의 추이를 디지털 그래프를 통하여 실시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이 가능함과 동시에 슬러지 제거 정도의 확인은 물론 작업 재실시 여부, 작업시간 연장 또는 작업불가 등의 판정을 더욱 신속 정확하게 내릴 수 있어 유용하다. 또한, 상기 제3 어댑터(430)는 일단부는 제1 어댑터(410)에 그리고 타단부는 배기부(120)에 각각 연통되게 결합되게 하는 것으로, 매연저감장치(100)에 대한 차압 측정시에는,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의 유출부(620)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어댑터(410)를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의 유출부(620)로부터 분리하고, 이후 인입구(310)에 제2 어댑터(420)를 연결하며 제3 어댑터(430)를 제1 어댑터(410)에 결합하고 제3 어댑터(430)를 다시 매연저감장치(100)의 배기부(120) 측에 연통되도록 연결하여 매연저감장치(100)에 대한 차압 측정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는, 상기 매연저감장치(100)가 안착되고, 상기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와 블로워모터(300)을 내부에 설치하고 있는 박스형 본체(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박스형 본체(500)는, 상면에 차량으로부터 탈거된 매연저감장치(100)를 안착시켜서 재생작업을 하는 매연저감장치 안착용 작업대(510)와, 상기 매연저감장치 안착용 작업대(510)의 일측 단부에 접하여 상기 매연저감장치 안착용 작업대(510)보다 더 위로 돌출되고 내부가 텅빈 통체헤드부(520)를 포함하고, 상기 통체헤드부(520)의 내부에 상기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가 설치되며, 상기 통체헤드부(520)의 측면부 중 상기 매연저감장치 안착용 작업대(510)와 대향하는 측면부에는 상기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의 불꽃을 내뿜는 화력분사구(530)가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매연저감장치 안착용 작업대(510)에는 매연저감장치(100)가 안착되고, 통체헤드부(520)에는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와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의 불꽃을 내뿜는 화력분사구(530)가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박스형 본체(500)는, 별도의 컴프레셔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압축하였다가 필요한 경우 순간적이고 강력한 고압의 에어를 일시에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박스형 본체(500) 내부의 텅빈 공간 중 블로워모터(300)가 설치된 곳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에어압축탱크(5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에어압축탱크(540)는,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와 블로워모터(300)에 의해 매연저감장치 내 슬러지 및 그을음(입자상 물질이나 매연)의 연소 후 남는 재를 제거하기 위해 매연저감장치에 순간적이고 강력한 일시적 고압의 에어를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고압출력부(541)를 가지는데, 이러한 고압출력부(541)와 매연저감장치(100)의 배기부(120)의 사이에 고압호스(542)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즉, 매연저감장치(100)의 흡입부(110)에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로부터 화력을 인가하여 매연저감장치(100) 내의 슬러지를 연소시키고, 내부의 재는 배기부(120)에 고압호스(542)를 연결하여 에어압축탱크(540)에 의한 고압 에어의 분사에 의해 제거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본체(5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내부 슬러지의 제거 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해 매연저감장치(100)에 에어압축탱크(540)의 고압의 에어를 일순간 분사할 때, 매연저감장치(100)에 설정 크기의 물리적인 충격 또는 진동을 가하기 위한 진동발생장치(7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진동발생장치(700)에 의해 매연저감장치(100)의 내부 슬러지의 제거 효율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상기 진동발생장치(700)는, 수평한 상태로 배치되어 상면에 매연저감장치(100)가 고정되는 진동판(710)과, 상기 진동판(710)의 저면에 결합된 진동기(720)와, 상기 진동판(710)의 하부에 진동판(710)과 간격을 두고 수평한 상태로 배치된 지지대(730)와, 상기 진동판(710)과 지지대(730)의 사이에 설치된 제1 충격흡수용 고무댐퍼(740-1)와, 상기 지지대(730)의 양측 단부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연장된 제2 충격흡수용 고무댐퍼(740-2)와, 상기 제2 충격흡수용 고무댐퍼(740-2)의 외측 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고정되는 'U'자형 단면의 골격프레임(750)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판(710)의 상면에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는 매연저감장치(100)를 고정하도록 양측에 각각 벨트고정구(711)와 벨트체결구(7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고정구(711)와 벨트체결구(712)의 사이에서 길이조절이 용이한 고정벨트(760)를 결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르면, 진동판(710)에 의해 매연저감장치(100)가 고정되고 고정된 상태에서 매연저감장치(100)에 진동을 가하게 되면 매연저감장치(100)의 내부 슬러지의 제거 효율이 더욱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진동발생장치(700)는 진동발생시 매연저감장치(100)로는 진동을 전달하지만 제1 충격흡수용 고무댐퍼(740-1)와 제2 충격흡수용 고무댐퍼(740-2)에 의해 자체적으로는충격이 완화되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벨트고정구(711)와 벨트체결구(712)가 구비되고 고정벨트(76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음으로써 고정벨트(760)의 길이 조절을 하여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는 매연저감장치(100)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는, 매연저감장치(100)에 대한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의 화력 인가시 슬러지 제거 중에 수반될 수 있는 폐오일로 인하여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에서 배출되는 연기를 포집하도록 상기 냉각 공기 유동호스(400)에 설치된 필터(F)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필터(F)로 매연저감장치(100)에 대한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의 화력 인가시 매연저감장치(100)에서 배출되는 연기를 포집할 수 있는데 상기 연기는 미세먼지를 포함하므로 이러한 미세먼지 포함의 연기를 포집함으로써 작업자의 건강을 도모함과 동시에 대기환경기준에 부합하는 청정한 공기만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추가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스형 본체(500)의 다른 일측에는 위 구성에 의해 제거되는 슬러지의 미립자와 기타 미세 입자상 이물질 및 그을음이나 분진 등이 포함된 공기(환경 오염원이 존재하는 공기)를 상기 필터(F)로 여과한 다음 대기환경기준에 부합하는 청정한 공기만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이물질여과장치를 상기 냉각 공기 유동호스(400)에 추가로 더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추가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본체(500)의 또 다른 일측에는 매연저감장치(100)의 슬러지 제거 중에 수반될 수 있는 폐오일(엔진 고장이나 터보인터쿨러 고장으로 매연저감장치 내부에 자동차 엔진오일이 묻어 있을 수 있음)의 용이한 회수 및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오일정화장치(미도시)도 더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추가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압축탱크(540)와 고압 출력부(541)의 사이에는 매연저감장치(100)로 공압을 인가할 때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가장 이상적인 분사조절(분사되는 간격 및 그 타이밍)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컨트롤밸브(590)가 설치되고, 상기 자동컨트롤밸브(5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제어부(591)에는 하나 이상의 공압 분사타임 간격조절기(59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하나의 추가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모터(300)으로 선택될 수 있는 블로워모터의 출구에 풍압(매연저감장치(100)에 가해지는 공기압력)을 측정하는 차압센서(910)를 설치하고, 상기 차압센서(9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제어부(591)에는 매연저감장치(100)의 흡입부(110) 및 배기부(120)의 압력차이 및 그 변화의 추이를 디지털 그래프로 상세히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스코프메타(920)를 설치하면, 매연저감장치(100)의 연소 전후의 상태를 흡입부(110)에 인가된 압력과 그 변화의 추이를 디지털 그래프를 통하여 실시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이 가능함과 동시에 슬러지 제거 정도의 확인은 물론 작업 재실시 여부, 작업시간 연장 또는 작업불가 등의 판정을 더욱 신속 정확하게 내릴 수 있어 유용하다.
또한, 별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연저감장치(100)의 흡입부(110)와 배기부(120)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매연저감장치(100)의 흡입부(110)와 배기부(120)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여 꽂을 수 있는 입구온도센서(810), 내부온도센서(820), 및출구온도센서(83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별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흡입부(110) 또는 배기부(120)와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의 화력 분사구의 사이 그리고 냉각 공기 유동호스(400)과 배기부(120)의 사이에는, 공기의 외부 유출없이 효과적으로 서로 연결 및 결속, 체결이 가능케 하는 다양한 형태의 상부 어댑터(90-1), 하부 어댑터(90-2), 화구보조결합구(90-3) 등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별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박스형 본체(500)의 상면의 매연저감장치 안착용 작업대(510)에는 다양한 모델과 형태의 매연저감장치(100)를 안전하게 고정시켜 셋팅하도록 하는 매연저감장치 고정지그(미도시)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는 디젤 산화 촉매장치나 선택적 환원 촉매를 포함하거나 이들 디젤 산화 촉매장치나 선택적 환원 촉매가 없이 매연저감장치만으로도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디젤 산화 촉매장치나 선택적 환원 촉매가 부착된 매연저감장치의 슬러지를 제거하는 것은 물론이고 디젤 산화 촉매장치나 선택적 환원 촉매가 없는 매연저감장치의 슬러지도 제거하여 매연저감장치를 재생한다.
그리고, 차량의 매연저감장치의 디젤 산화 촉매장치나 선택적 환원 촉매의 재생작업의 또 다른 방법으로 세척공정(내부 필터 또는 촉매에 세척액을 넣고 일정한 시간 동안 불림 작업 한 다음 고압의 세척액 또는 에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 이후 내부에 함유되어 잇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건조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수분이 존재하는 상태로 차량에 장착하여 운행이 이루어지면 열변형에 크게 취약한 디젤 산화 촉매장치나 선택적 환원 촉매에 이상이 나타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으름, 매연 등 이물질이 보다 집중적으로 달라 붙으면서 수명이 급속도로 단축될 수 있기 때문에 건조 작업은 차량 장착전 반드시 필요한 공정이고, 전술한 바와 같이 매연저감장치(100)의 일측의 흡입부(110)에는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를 통해 고온의 화력을 인가하고, 배기부(120)에는 흡입부(110)에 제공된 화력의 열기와 균일한 열기가 가해지고 디젤 산화 촉매장치나 선택적 환원 촉매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다음 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건조작업을 훨신 빠르고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매연저감장치 재생방법은, 상기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매연저감장치를 재생하는 매연저감장치 재생방법으로서,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흡입부(110)에는 설정 온도의 화력을 인가하는 흡입부측 화력인가단계;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배기부(120)에는 상기 흡입부(110)의 입구로부터 제공된 화력의 열기를 포함하는 매연저감장치(10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한 후 배기부(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기부측 공기흡입단계; 및 내부가 벤츄리관의 형태로 구성되어 유입구가 상기 배기부(120) 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중간측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별도의 콤프레샤(800)에 호스(840)를 통해 연결되되 내부가 벤츄리관의 형태로 구성된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에 의해 상기 콤프레샤로부터 공급된 공기의 유속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입부(110)에 인가된 화력에 의한 열기를 포함하는 열풍을 공급되는 상기 압축 공기와 혼합하면서 냉각하여 냉각 공기로 만들어 배기부(120)로 배출하도록 하는 열풍의 냉각 및 배출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매연저감장치(100)의 내부에 축적된 슬러지를 제거하여 매연저감장치(100)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재생할 때 버너나 전기히터를 포함하는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를 이용하여 매연저감장치(100)의 흡입부(110)에 고온의 화력을 인가하는 동시에, 배기부(120)에는 매연저감장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신규의 방법으로 실시하면,
고온의 열원이 무수한 기공이나 화성점을 가지는 매연저감장치(100) 내부의 촉매의 전체 표면적에 대하여 편중(일부에는 초고온이 가해져 초개가 손상되고 다른 일부에서는 그 보다 더 낮은 온도가 전달되어 슬러지의 제거가 어려운 상황)되지 아니하고 보다 균일하게 전달되기 때문에 촉매의 손상없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슬러지 제거작업이 가능하다.
즉,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로부터의 고온의 열기를 기존과 같이 매연저감장치(100)의 흡입부(110)에 단순하게만 인가하면, 매연저감장치(100) 내부의 부착 촉매의 기공들 속에 슬러지가 달라 붙어 있어 자연적인 공기 흐름이 좋지 않기 때문에 매연저감장치(100)의 내부 깊은 곳까지 상기 열기가 전달되지 못하고 입구 부분인 흡입부 주변에만 집중적으로 가하지며 이러한 원인으로 매연저감장치(100) 내부에 쌓인 슬러지를 모두 다 태우지 못하고 결국 슬러지의 완전한 제거도 불가능하게 되는데, 만약 이를 고려하여 흡입부 측에 인가되는 화력을 더욱 높이면 흡입부 측에 초고온이 인가되어 촉매가 녹아내리는 등 손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매연저감장치(100) 일측의 흡입부(110)에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를 이용한 고온의 화력 인가와 동시에, 매연저감장치(100)의 배기부 측에서 공기를 빨아들이는 공기흡입력을 인가하면, 흡입부(110)에서 인가되는 화력의 열기가 흡입부(110)의 주변에만 집중되어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촉매의 기공들 사이 사이로 빨려들어가면서 기존에는 달성하기 어려웠던 균일한 열전달이 가능하고, 이와 같이 되었을 때 매연저감장치(100) 흡입부 측에 인가된 화력 및 열기가 촉매의 기공들 사이사이 마다 골고루 전달되어 슬러지를 모두 태워 슬러지의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설정 온도의 화력은 450∼550℃의 범위 내에서 제어된다. 상기 설정 온도의 화력의 온도가 450℃ 미만이면 슬러지의 제거가 불충분해지고 상기 설정 온도의 화력의 온도가 550℃ 초과이면 촉매가 손상되므로 상기 설정 온도의 화력의 온도가 450∼550℃의 범위 내에서 제어되게 하여 슬러지 제거를 이룸과 동시에 저감장치(100) 내의 촉매가 손상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매연저감장치(100) 내부의 촉매의 기공에 달라 붙어 있는 슬러지는 요소수의 열분해 및 가수분해 등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과정에서 요소수의 결정체인 이소시안산, 시안산, 뷰렛, 아멜라이드 아멜린, 멜라민 등이 고착된 산물이고, 실험 결과 450∼550℃의 고온의 열기를 매연저감장치(100)에 인가하였을 때 촉매에 고착되어 있는 슬러지가 녹거나 태워져 기체화되거나 또는 일정한 크기의 분진으로 떨어져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내부가 벤츄리관의 형태로 구성되어 유입구가 상기 배기부(120) 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중간측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별도의 콤프레샤(800)에 호스(840)를 통해 연결되되 내부가 벤츄리관의 형태로 구성된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에 의해 상기 콤프레샤로부터 공급된 공기의 유속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입부(110)에 인가된 화력에 의한 열기를 포함하는 열풍을 공급되는 상기 압축 공기와 혼합하면서 냉각하여 냉각 공기로 만들어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의 배출구 측으로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로 흡입되는 열풍의 흡입량이 증대됨과 동시에, 흡입되는 상기 열풍이 별도의 콤프레샤(800)에 호스(840)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의 배출구 측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의 배출구 측에 연결되는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90-1 : 상부 어댑터 90-2 : 화구보조결합구
90-3 : 화구보조결합구 100 : 매연저감장치
110 : 흡입부 120 : 배기부
200 :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 300 : 블로워모터
310 : 인입구 320 : 인출구
400 : 냉각 공기 유동호스 410, 420, 430 : 어댑터
500 : 박스형 본체 510 : 매연저감장치 안착용 작업대
520 : 통체헤드부 530 : 화력분사구
540 : 에어압축탱크 591 : 컨트롤제어부
600 :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 610 : 유입부
611 : 압축공기 유입관 611h : 유입 통로
612 : 사다리꼴 단면의 내부공간 613 : 제1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
620 : 유출부 621 : 삽입 결합부
621h : 제2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
622h : 제3 원형 단면의 내부공간
622 : 배출부 630 : 타공망형 관체
631 : 통공 632 : 걸림핀
633 : 외부 공기량 조절홈 700 : 진동발생장치
710 : 진동판 711 : 벨트고정구
712 : 벨트체결구 720 : 진동기
730 : 지지대 740-1 : 제1 충격흡수용 고무댐퍼
740-2 : 제2 충격흡수용 고무댐퍼 750 : 골격프레임
760 : 고정벨트 800 : 콤프레샤
810 : 입구온도센서 820 : 내부온도센서
830 : 출구온도센
840 : 호스 910 : 차압센서
920 : 스코프메타 F : 필터

Claims (13)

  1. 삭제
  2. 일측과 타측에 각각 흡입부(110)와 배기부(120)를 가지며, 내부에는 촉매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촉매의 기공이나 활성점에 달라 붙어 있는 복합슬러지의 누적으로 촉매의 기공이나 활성점이 막혀 기능이 상실되어 차량으로부터 탈거된 매연저감장치(100)의 내부 슬러지를 제거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차량으로부터 탈거된 매연저감장치(100)의 흡입부(110)에 고온의 화력을 인가하는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 및
    내부가 벤츄리관의 형태로 구성되어 유입구가 상기 배기부(120) 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중간측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별도의 콤프레샤(800)에 호스(840)를 통해 연결되되 내부가 벤츄리관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콤프레샤로부터 공급된 공기의 유속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입부(110)에 인가된 화력에 의한 열기를 포함하는 열풍을 공급되는 상기 압축 공기와 혼합하면서 냉각하여 냉각 공기로 만들어 유입구와 반대쪽에 있는 유출구 측으로 배출하도록 된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를 포함하고,
    상기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는,
    매연저감장치(100)의 상측에 설치된 상부 어댑터(90-1)에 결합되는 중공 실린더 형상의 일측 부분과, 상기 일측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로서의 사다리꼴 단면의 내부공간(612) 및 상기 사다리꼴 단면의 내부 공간(612)과 연통되는 제1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13)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타측 부분을 가지는 유입부(610);
    제1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13)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제2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21h)을 형성하는 삽입 결합부(621)와, 상기 삽입 결합부(621)와 일체로 형성되되 제2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21h)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상기 유출구로서의 제3 원형 단면의 내부공간(622h)을 형성하는 배출부(622)를 포함하는 유출부(620); 및
    제1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13)과 연통하여 콤프레샤(800)로부터 호스(840)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제1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13)으로 유입되는 유입 통로(611h)를 형성하도록 유입부(610)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된 압축공기 유입관(611)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결합부(621)가 제1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13)의 전방의 내벽면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었을 때, 상기 사다리꼴 단면의 내부공간(612)과, 제2 원형 단면의 내부공간(621h)과, 상기 제2 원형 단면의 내부공간(621h)의 상기 사다리꼴 단면의 내부공간(612)까지의 길이방향 연장부와, 제3 원형 단면의 내부공간(622h) 병목 형태의 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제1, 2 어댑터(410, 420)를 가지고, 일단부의 제1 어댑터(410)가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의 상기 유출부(620)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 공기가 유동하는 냉각 공기 유동호스(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결합부(621)의 외주면과 제1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13)에 접하는 유입부(610)의 내주면은 나사체결 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상기 간격은 삽입 결합부(621)가 내부 공간(613)의 내측으로 나사체결되어 들어가는 깊이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매연저감장치(100)에 대한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의 화력 인가시 슬러지 제거 중에 수반될 수 있는 폐오일로 인하여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에서 배출되는 연기를 포집하도록 상기 냉각 공기 유동호스(400)에 설치된 필터(F)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는,
    차량으로부터 탈거된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흡입부(110)에 화력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가스 또는 유류를 원료로 하는 버너와 전기히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일측에 구비된 인입구(310)와 타측에 구비된 인출구(320)를 가지며, 매연저감장치(100) 내부의 공기를 매연저감장치(100)의 배기부(120)를 거쳐 상기 인입구(310)를 통해 설정 흡입력으로 빨아들인 후 상기 인출구(320)를 통해 외부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블로워모터(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일측에 구비되어 제2 어댑터(420)와 연결될 수 있는 인입구(310)와, 타측에 구비된 인출구(320)와, 출구측에 설치된 차압센서(910)를 가지는 블로워모터(300);
    차압센서(9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제어부(591);
    컨트롤제어부(591)에 설치되어 매연저감장치(100)의 흡입부(110) 및 배기부(120)의 압력차이 및 그 변화의 추이를 디지털 그래프로 상세히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스코프메타(920); 및
    일단부는 제1 어댑터(410)에 그리고 타단부는 배기부(120)에 각각 연통되게 결합될 수 있는 제3 어댑터(430)를 더 포함하고,
    매연저감장치(100)에 대한 차압 측정시에는,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의 유출부(620)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어댑터(410)를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의 유출부(620)로부터 분리하고, 이후 인입구(310)에 제2 어댑터(420)를 연결하며 제3 어댑터(430)를 제1 어댑터(410)에 결합하고 제3 어댑터(430)를 다시 매연저감장치(100)의 배기부(120) 측에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연저감장치(100)가 안착되고, 상기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와 블로워모터(300)을 내부에 설치하고 있는 박스형 본체(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박스형 본체(500)는,
    상면에 차량으로부터 탈거된 매연저감장치(100)를 안착시켜서 재생작업을 하는 매연저감장치 안착용 작업대(510)와,
    상기 매연저감장치 안착용 작업대(510)의 일측 단부에 접하여 상기 매연저감장치 안착용 작업대(510)보다 더 위로 돌출되고 내부가 텅빈 통체헤드부(520)를 포함하고,
    상기 통체헤드부(520)의 내부에 상기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가 설치되며,
    상기 통체헤드부(520)의 측면부 중 상기 매연저감장치 안착용 작업대(510)와 대향하는 측면부에는 상기 흡입측 고온 가열장치(200)의 불꽃을 내뿜는 화력분사구(530)가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본체(500)는,
    별도의 컴프레셔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압축하였다가 필요한 경우 순간적이고 강력한 고압의 에어를 일시에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박스형 본체(500) 내부에 설치된 에어압축탱크(5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본체(5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내부 슬러지의 제거 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해 매연저감장치(100)에 에어압축탱크(540)의 고압의 에어를 일순간 분사할 때, 매연저감장치(100)에 설정 크기의 물리적인 충격 또는 진동을 가하기 위한 진동발생장치(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장치(700)는,
    수평한 상태로 배치되어 상면에 매연저감장치(100)가 고정되는 진동판(710)과,
    상기 진동판(710)의 저면에 결합된 진동기(720)와,
    상기 진동판(710)의 하부에 진동판(710)과 간격을 두고 수평한 상태로 배치된 지지대(730)와,
    상기 진동판(710)과 지지대(730)의 사이에 설치된 제1 충격흡수용 고무댐퍼(740-1)와,
    상기 지지대(730)의 양측 단부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연장된 제2 충격흡수용 고무댐퍼(740-2)와,
    상기 제2 충격흡수용 고무댐퍼(740-2)의 외측 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고정되는 'U'자형 단면의 골격프레임(750)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판(710)의 상면에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는 매연저감장치(100)를 고정하도록 양측에 각각 벨트고정구(711)와 벨트체결구(7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고정구(711)와 벨트체결구(712)의 사이에서 길이조절이 용이한 고정벨트(760)를 결속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13. 제2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매연저감장치를 재생하는 매연저감장치 재생방법으로서,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흡입부(110)에는 설정 온도의 화력을 인가하는 흡입부측 화력인가단계;
    상기 매연저감장치(100)의 배기부(120)에는 상기 흡입부(110)의 입구로부터 제공된 화력의 열기를 포함하는 매연저감장치(10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한 후 배기부(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기부측 공기흡입단계; 및
    내부가 벤츄리관의 형태로 구성되어 유입구가 상기 배기부(120) 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중간측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별도의 콤프레샤(800)에 호스(840)를 통해 연결되되 내부가 벤츄리관의 형태로 구성된 벤츄리원리 진공흡입장치(600)에 의해 상기 콤프레샤로부터 공급된 공기의 유속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입부(110)에 인가된 화력에 의한 열기를 포함하는 열풍을 공급되는 상기 압축 공기와 혼합하면서 냉각하여 냉각 공기로 만들어 배기부(120)로 배출하도록 하는 열풍의 냉각 및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저감장치의 재생방법.
KR1020210161790A 2021-11-22 2021-11-22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KR102354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790A KR102354453B1 (ko) 2021-11-22 2021-11-22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790A KR102354453B1 (ko) 2021-11-22 2021-11-22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453B1 true KR102354453B1 (ko) 2022-01-21

Family

ID=80050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1790A KR102354453B1 (ko) 2021-11-22 2021-11-22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4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3915A (ja) * 2006-12-30 2008-07-17 Komotetsuku:Kk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KR101446142B1 (ko) 2013-08-01 2014-10-06 주식회사 아주엔비씨 Scr 촉매의 세미-인시츄 재생방법
KR20190020967A (ko) * 2017-08-22 2019-03-05 이재근 자동차 매연여과장치 전용 수공압 세척기
KR102205187B1 (ko) * 2019-04-16 2021-01-20 (주)이지시스 디젤 미립자 필터 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3915A (ja) * 2006-12-30 2008-07-17 Komotetsuku:Kk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KR101446142B1 (ko) 2013-08-01 2014-10-06 주식회사 아주엔비씨 Scr 촉매의 세미-인시츄 재생방법
KR20190020967A (ko) * 2017-08-22 2019-03-05 이재근 자동차 매연여과장치 전용 수공압 세척기
KR102205187B1 (ko) * 2019-04-16 2021-01-20 (주)이지시스 디젤 미립자 필터 재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67319B2 (en) Improved exhaust treatment system
US7767031B2 (en) Diesel particulate filter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2153706A1 (ja) 湿式排ガス浄化装置
CN104822915B (zh) 废气构件支架结构
WO2012153705A1 (ja) 湿式排ガス浄化装置
KR20140041098A (ko) 배기가스를 이용한 scr 촉매 클리닝 시스템
EP25000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enerating used particulate filters
KR102354453B1 (ko)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CA2108544A1 (en) Hydrocarbon fueled combustion filter
KR102082599B1 (ko) 매연저감장치용 버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소장치
KR102167012B1 (ko) 디젤차량에 장착되는 배기가스저감장치의 클리닝시스템
KR101059510B1 (ko) 세라믹필터용 집진기
KR101505455B1 (ko) 차량용 매연저감장치
KR102360435B1 (ko) 배기가스 정화 장치 및 배기가스 정화 방법
WO201809198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enerating diesel particulate filters and catalytic converters
DK177575B1 (en) Process for cleaning a particle filter
KR102160378B1 (ko) Dpf 세척 장치 및 세척 방법
EP2769061A1 (en) Method of cleaning a particle filter
KR102085073B1 (ko)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세척방법 및 세척장치
CN207762940U (zh) 一种柴油燃烧器尾气净化装置
KR200400396Y1 (ko) 디젤입자필터의 재생장치
US8534055B2 (en) Filter arrangement for exhaust aftertreatment system
CN215566177U (zh) 排气管二次燃烧设备
KR20130012826A (ko) 배기라인의 냉각 시스템
CN210874756U (zh) 一种sncr脱硝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