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300B1 - 막힘 현상이 방지되는 부비동 처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막힘 현상이 방지되는 부비동 처치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4300B1 KR102354300B1 KR1020190173359A KR20190173359A KR102354300B1 KR 102354300 B1 KR102354300 B1 KR 102354300B1 KR 1020190173359 A KR1020190173359 A KR 1020190173359A KR 20190173359 A KR20190173359 A KR 20190173359A KR 102354300 B1 KR102354300 B1 KR 1023543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ction
- blade
- hollow
- pipe
- discharge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2—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022—Sensing or detecting at the treatment sit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115—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 A61B2017/00119—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alarm; indicating an abnormal situ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79—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suction of debr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2—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24—Morcellators, e.g. having a hollow cutting tube with an annular cutter for morcellating and removing tiss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68—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 A61B2017/32007—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with suction or vacuum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nt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부비동 처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처치 시스템은 중공이 관통 형성된 블레이드(110), 상기 블레이드(110)의 상기 중공에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의 흡인력을 제공하는 흡인 장치(130), 상기 블레이드(110)의 상기 중공과 연결된 흡인관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감지부(121) 및 상기 압력 감지부(121)에 의해 센싱된 압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흡인 장치(130)에 의한 흡인력 제공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비동 처치 시스템에서 절제된 조직에 의해 블레이드의 중공이 막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처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부비동염은 부비동 입구가 막히거나 좁아져, 부비동 내부의 분비물이 잘 배출되지 못해 세균 감염 및 염증이 발생하는 증상이다. 흔히 축농증이라 불리우며 일상 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부비동염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풍선 카테터를 이용하여 좁아진 부비동 입구를 확장시키는 방법과, 부비동 입구를 좁게 하는 조직의 일부를 절제하는 방법이 시도되어 왔다.
이 중, 조직의 일부를 절제하는 방법은 날카로운 칼날이 다수 형성되어 회전하는 블레이드를 이용하는데, 블레이드에 의해 절제된 조직은 흡인되어 별도의 흡인 공간에 저장된다.
하지만, 처치 시스템을 구성하는 블레이드와 흡인관은 콧속으로 들어가서 부비동 입구까지 도달해야 하기 때문에 그 직경이 작아질 수 밖에 없으며, 이는 절제된 조직이 블레이드의 입구와 중공을 막게 되어 흡인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여 왔다.
절제된 조직의 흡인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조직이 제대로 절제되지 않거나 부비동에 절제된 조직이 잔존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2차 감염 또는 재 수술 등의 추가 문제를 발생시킨다.
절제된 조직에 의해 블레이드의 중공을 막는 경우, 종래의 부비동 처치 시스템에서는 블레이드를 핸드피스로부터 분리시키고, 블레이드 후단에 유체 충진된 시린지를 결합하고 이를 가압하여 유체를 역방향으로 공급함으로써 중공을 막고 있는 절제된 조직을 제거하여 왔다.
하지만, 이는 막힘 현상이 발생할때마다 수작업으로 블레이드를 핸드피스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라는 번거로움이 초래되며, 이는 곧 부비동 처치 효율의 감소를 의미하는 바, 간편하게 막힘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부비동 조직 절제 시 절제된 조직에 의해 블레이드의 중공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했을 때, 막힘 현상을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는 처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중공이 관통 형성된 블레이드(110), 상기 블레이드(110)의 상기 중공에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의 흡인력을 제공하는 흡인 장치(130), 상기 블레이드(110)의 상기 중공과 연결된 흡인관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감지부(121) 및 상기 압력 감지부(121)에 의해 센싱된 압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흡인 장치(130)에 의한 흡인력 제공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40)를 포함하는, 부비동 처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인 장치(130)와 상기 블레이드(110)의 중공을 연결하는 제1 흡인관(131), 상기 제1 흡인관(131)으로부터 분지되며 일단이 외기와 연통되는 제2 흡인관(132), 일단이 상기 흡인 장치(130)의 흡인 공간(130b)과 연통되며, 타단이 외기와 연통되는 제1 배출관(133) 및 상기 제1 배출관(133)으로부터 분지되며 일단이 상기 블레이드(110)의 중공과 연통되는 제2 배출관(1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인관(131)이 상기 제2 흡인관(132)으로 분지되는 부분에는 상기 흡인 장치(130)와, 상기 제1 흡인관(131) 및 상기 제2 흡인관(132) 중 어느 하나의 흡인관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1 밸브(135)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배출관(133)이 상기 제2 배출관(134)으로 분지되는 부분에는 상기 흡인 장치(130)와, 상기 제1 배출관(133) 및 상기 제2 배출관(134) 중 어느 하나의 배출관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2 밸브(136)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블레이드(110)의 상기 중공의 입구로부터 상기 제1 흡인관(131)과 상기 흡인 장치(130)를 거쳐 상기 제1 배출관(133)을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2 흡인관(132)으로부터 상기 흡인 장치(130), 상기 제2 배출관(134)을 거쳐 상기 블레이드(110)의 상기 중공의 입구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40)는 상기 압력 감지부(121)에서 센싱된 압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밸브(135) 및 상기 제2 밸브(136)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부(121)에서 센싱한 압력 값이 미리 결정된 압력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어 장치(140)는 상기 흡인 장치(130)가 상기 제1 흡인관(131)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1 밸브(135)를 제어하고, 상기 흡인 장치(130)가 상기 제1 배출관(133)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2 밸브(136)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부(121)에서 센싱된 압력 값이 상기 미리 결정된 압력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 장치(140)는 상기 흡인 장치(130)가 상기 제2 흡인관(132)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 밸브(135)를 제어하고, 상기 흡인 장치(130)가 상기 제2 배출관(134)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2 밸브(136)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10)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블레이드(110)의 중공과 상기 제1 흡인관(131)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핸드피스(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부(121)는 상기 핸드피스(120) 내에 위치되어, 상기 블레이드(110)의 중공과 연통된 상기 핸드피스(120)의 제1 흡인 통로(122)의 압력 값을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부(121)가 센싱한 압력 값에 기초하여 작동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력 감지부(121)가 센싱한 압력 값이 상기 미리 결정된 압력 값보다 작을 때, 상기 알림부가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비동 조직을 절제함으로써 부비동염을 처치하는 시스템에서, 절제된 조직에 의해 내부 통로의 막힘 현상이 발생하여 흡인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내부 통로를 막고 있는 조직의 배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존 막힘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블레이드를 핸드피스로부터 분리시켜 별도로 유체를 주입하여야 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어 부비동 처치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막힘 현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압력 감지부의 압력 센싱을 통해 신속히 감지할 수 있어 즉각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비동 처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비동 처치 시스템에서 흡인 장치에 의해 흡인력이 제공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절제된 조직에 의해 블레이드의 중공이 막히지 않았을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절제된 조직에 의해 블레이드의 중공이 막혔을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압력 감지부에서 센싱한 압력 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값 이상일 때의 흡인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압력 감지부에서 센싱한 압력 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값 미만일 때의 흡인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비동 처치 시스템에서 흡인 장치에 의해 흡인력이 제공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절제된 조직에 의해 블레이드의 중공이 막히지 않았을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절제된 조직에 의해 블레이드의 중공이 막혔을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압력 감지부에서 센싱한 압력 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값 이상일 때의 흡인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압력 감지부에서 센싱한 압력 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값 미만일 때의 흡인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처치 시스템(100)은 블레이드(110), 핸드피스(120), 흡인 장치(130) 및 제어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110)는 부비동 조직을 절제하는 부분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외측 블레이드(111)와 내측 블레이드(112)를 포함한다.
외측 블레이드(111)에는 종방향으로 제1 중공(111a)이 관통 형성되며, 외측 블레이드(111)의 제1 중공(111a)에 내측 블레이드(112)가 형성된다. 외측 블레이드(111)의 일단은 핸드피스(120)의 선단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며, 타단에는 다수의 제1 칼날부(111b)가 형성된다.
내측 블레이드(112)는 외측 블레이드(111) 내부의 제1 중공(111a)에 형성되며, 외측 블레이드(111)와 마찬가지로 종방향으로 제2 중공(112a)이 관통 형성되고, 일단은 핸드피스(120)의 선단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다수의 제2 칼날부(112b)가 형성된다.
조직 절제 시, 외측 블레이드(111)는 고정되되, 내측 블레이드(112)는 종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거나 그 자체로 진동 운동하게 된다. 절제될 조직에 블레이드(110)를 근접하게 위치시키면 외측 블레이드(111)와 내측 블레이드(112)의 공간 사이에 조직이 위치되고, 공간 사이에 위치된 조직은 다수의 제1 칼날부(111b)와 다수의 제2 칼날부(112b)에 의해 절제된다. 절제된 조직은 내측 블레이드(112)의 제2 중공(112a)을 통해 흡인 장치(130)를 향해 흡인된다.
핸드피스(120)는 블레이드(110)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며, 시술자의 손에 파지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핸드피스(120)의 직경은 블레이드(110)의 직경보다 클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핸드피스(120)에는 그 종방향을 따라 제1 흡인 통로(122)가 관통 형성되며, 제1 흡인 통로(122)는 내측 블레이드(112)의 제2 중공(112a)과 연통되어 있다.
또한, 핸드피스(120)에는 제1 흡인 통로(122)와 연결되는 제2 흡인 통로(123)가 제1 흡인 통로(122)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루며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110)에 막힘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제2 흡인 통로(123)를 통해 소정 방향의 흡인력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블레이드(110)(특히, 내측 블레이드의 제2 중공)을 막고 있는 절제된 조직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핸드피스(120)의 내부에는 압력 감지부(121)가 설치될 수 있다.
압력 감지부(121)는 핸드피스(120)의 제1 흡인 통로(122)의 압력을 센싱하게 된다.
제1 흡인 통로(122)는 본 발명에 따른 처치 시스템(100)에 의해 부비동 조직의 절제가 이루어질 때, 절제된 조직이 흡인 장치(130)를 향해 흡인되면서 통과하는 부분이다(도 3 참조). 후술하는 흡인 장치(130)가 흡인력을 발생시킴에 따라 그에 비례하는 압력이 제1 흡인 통로(122)에 인가되는데, 핸드피스(120) 선단에 설치된 블레이드(110) 내부에 막힘 현상이 발생한 경우(도 4), 통로를 막고 있는 조직으로 인해 소정 압력 값보다 낮은 압력 값이 제1 흡인 통로(122)에서 센싱될 것이다. 압력 감지부(121)에 의해 센싱된 압력 값은 제어 장치(140)에 전송되며, 제어 장치(140)는 센싱된 압력 값이 소정의 압력 값보다 작은 경우 막힘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흡인 방향을 다르게 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압력 감지를 위해, 압력 감지부(121)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확한 압력 센싱을 위해 제1 흡인 통로(122)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핸드피스(120) 내부에는 내측 블레이드(112)의 회전 또는 진동을 위한 모터(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어 장치(14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내측 블레이드(112)에 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핸드피스(120)에는 별도의 알림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알림부(미도시)는 압력 감지부(121)에 의해 센싱된 압력 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값 미만인 경우, 발광하거나 경고 신호 출력 등으로 외부에 이를 신속히 알릴수도 있다.
흡인 장치(130)는 블레이드(110)에 흡인력을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블레이드(110)로부터 시작하여 제1 배출관(133)에 이르는 방향(제1 방향)으로의 흡인력을 발생시키며, 또한 제2 흡인관(132)으로부터 시작하여 블레이드(110)에 이르는 방향(제2 방향)으로의 흡인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흡인 장치(130)는 본체(130a), 흡인 공간(130b) 및 동력 제공부(130c)를 포함할 수 있다.
흡인 장치(130)의 본체(130a) 내부에는 소정 부피의 흡인 공간(130b)이 형성되며, 블레이드(110)에 의해 절제된 조직, 절제 과정에서 발생하는 혈액, 고름 등이 흡인 공간(130b)으로 투입될 수 있다.
동력 제공부(130c)는 블레이드(110)로부터의 흡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며, 일 예로 모터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동력 제공부(130c)의 동력 제공에 의해 블레이드(110)에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의 흡인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자세히 설명한다.
흡인 장치(130)는 제1 흡인관(131)을 통해 핸드피스(1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흡인관(131)의 일단은 핸드피스(120)의 제1 흡인 통로(122)와 연통되고, 타단은 본체(130a)를 관통하여 흡인 공간(130b)과 연통된다.
즉, 제1 흡인관(131)을 통해 흡인력이 발생하면 제2 중공(112a), 제1 흡인 통로(122), 제1 흡인관(131)을 따라 이물질이 흡인 공간(130b)에 투입될 수 있다.
제2 흡인관(132)은 제1 흡인관(131)의 일 지점으로부터 분지되며, 일단이 외기와 연통된다. 그리고, 제1 흡인관(131)과 제2 흡인관(132)의 연결 부분(즉, 제1 흡인관으로부터 제2 흡인관으로 분지되는 부분)에는 제1 밸브(13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밸브(135)는 제1 흡인관(131) 및 제2 흡인관(132) 중 어느 하나의 흡인관을 흡인 장치(130)의 흡인 공간(130b)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3-way 밸브가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제1 밸브(135)는 회전에 의해 제1 흡인관(131)과 흡인 공간(130b)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면서 제2 흡인관(132)과 흡인 공간(130b)의 연통은 차단되도록 하며, 반대로 제2 흡인관(132)과 흡인 공간(130b)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면서 제1 흡인관(131)과 흡인 공간(130b)의 연통은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흡인 공간(130b)은 제1 흡인관(131) 및 제2 흡인관(132) 중 어느 하나의 흡인관과만 연통되어 있다.
흡인 장치(130)는 제1 흡인관(131)과 연통된 부분과 다른 부분에서 제1 배출관(133)과 더 연통할 수 있다.
제1 배출관(133)의 일단은 본체(130a)를 관통하여 흡인 공간(130b)과 연통되며, 타단은 외기와 연통된다.
흡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내부 통로의 유체를 흡인하게 되면 자연히 내부 통로의 선단에 후단을 향한 흡인력이 발생시키게 된다. 이 때, 유체 흡인 시 흡인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통로가 필요한데, 제1 배출관(133)은 이러한 배출 통로의 역할을 한다.
즉, 동력 제공부(130c)에 의해 유체 흡인이 이루어지는 경우 흡인된 유체는 제1 배출관(133)을 통해 외기로 배출되는 것이며, 도 1을 참조하면 제1 배출관(133)은 제1 흡인관(131)과 직접 연통되는 것이 아닌 흡인 공간(130b)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통되어 있으므로 제1 흡인관(131)을 통해 흡인된 절제된 조직, 혈액 등이 제1 배출관(133)을 통해 배출되지는 않고 오로지 유체(공기)만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배출관(134)은 제1 배출관(133)의 일 지점으로부터 분지되며, 일단이 내측 블레이드(112)의 제2 중공(112a)과 연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핸드피스(120)의 제2 흡인 통로(123)와 연통되는 것을 통해 내측 블레이드(112)의 제2 중공(112a)과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배출관(133)과 제2 배출관(134)의 연결 부분(즉, 제1 배출관으로부터 제2 배출관으로 분지되는 부분)에는 제2 밸브(136)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밸브(136)는 제1 배출관(133) 및 제2 배출관(134) 중 어느 하나의 배출관을 흡인 장치(130)의 흡인 공간(130b)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3-way 밸브가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제2 밸브(136)는 회전에 의해 제1 배출관(133)과 흡인 공간(130b)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면서 제2 배출관(134)과 흡인 공간(130b)의 연통은 차단되도록 하며, 반대로 제2 배출관(134)과 흡인 공간(130b)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면서 제1 배출관(133)과 흡인 공간(130b)의 연통은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 장치(140)는 본 발명에 따른 처치 시스템(100)의 제어를 수행한다. 내부에는 연산 기능을 갖춘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Controller Unit, MCU)가 구비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압력 감지부(121)가 센싱한 압력 값을 전송받게 된다.
제어 장치(140)는 압력 감지부(121)가 센싱한 압력 값을 전송받아, 제1 밸브(135) 및 제2 밸브(136)의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140)와 제1 밸브(136), 제2 밸브(136)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 장치(140)에는 식염수 저장부(14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식염수 저장부(141)는 제3 배출관(143)을 통해 내측 블레이드(112)의 제2 중공(112a)과 연통될 수 있다. 제어 장치(140)에 세척(irrigation) 명령이 입력되면 식염수 저장부(141)에 저장된 식염수가 제3 배출관(143)을 따라 제2 중공(112a)에 배출된다. 제2 중공(112a)으로 배출된 식염수는 블레이드(110)의 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수술 대상 부위의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3 배출관(143)을 따라 식염수가 아닌 공기(air)가 더 배출될 수 있으며, 제3 배출관(143)을 따라 배출되는 공기는 내측 블레이드(112)의 제2 중공(112a)을 향해 이동하면서 제2 중공(112a)을 막고 있는 조직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제어 장치(140)에는 풋 스위치(142)가 연결될 수 있으며, 시술자가 풋 스위치(142)를 가압하면 내측 블레이드(112)의 회전 또는 진동 운동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풋 스위치(142)에 2개의 스위치 버튼이 구비되어, 1개의 스위치 버튼을 가압하는 경우 내측 블레이드(112)의 회전 또는 진동 운동이 수행되고, 다른 1개의 스위치 버튼을 가압하는 경우 식염수 저장부(141)에 저장된 식염수가 블레이드(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부비동 처치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10)의 중공(내측 블레이드의 제2 중공)이 막히지 않았을 경우를 가정하여 부비동 처치 시스템(1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블레이드(110)를 핸드피스(120)에 설치한 후, 시술 대상의 비강을 거쳐 부비동 입구에 블레이드(110)가 위치되도록 한다. 다음, 시술자가 풋 스위치(142)의 일 스위치 버튼을 가압하여 식염수 저장부(141)에 저장된 식염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을 통해 수술 시야를 확보한다.
다음, 좁아진 부비동 입구부에 위치하는 조직에 블레이드(110)가 근접하도록 위치시키고, 풋 스위치(142)의 다른 스위치 버튼을 가압하여 내측 블레이드(112)의 회전 또는 진동 운동이 수행된다. 여기서, 외측 블레이드(111)와 내측 블레이드(11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조직은 절제되며, 흡인 장치(130)는 지속적으로 블레이드(110)에 흡인력을 발생시키고 있으므로, 절제된 조직은 내측 블레이드(112)의 제2 중공(112a), 핸드피스(120)의 제1 흡인 통로(122), 제1 흡인관(131)을 통해 흡인 공간(130b)으로 투입된다(도 5).
블레이드(110)의 입구, 제2 중공(112a), 제1 흡인 통로(122), 제1 흡인관(131)의 순서로 흡인되는 방향을 후술하는 방향과 구별하기 위해 강학상 제1 흡인 방향으로 규정한다.
이 때, 제2 중공(112a)이 절제된 조직에 의해 막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1 흡인 통로(122)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압력 감지부(121)에서 센싱된 압력 값은 미리 설정된 압력 값보다 크거나 같을 것이며, 센싱된 압력 값을 전송받은 제어 장치(140)는 흡인 장치(130)와 제1 흡인관(131)이 서로 연통되도록 제1 밸브(135)를 제어하고, 흡인 장치(130)와 제1 배출관(133)이 서로 연통되도록 제2 밸브(136)를 제어하게 된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10)의 중공(내측 블레이드의 제2 중공)이 절제된 조직에 의해 막힌 경우를 가정하여 부비동 처치 시스템(1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동시에 많은 조직이 절제되는 경우 내측 블레이드(112)의 제2 중공(112a)이 막힘 현상이 발생하여 흡인 장치(130)에 의해 발생된 흡인력으로 다수의 절제된 조직이 흡인 장치(130)를 향해 제대로 흡인되지 못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한다.
이 때, 제1 흡인 통로(122)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압력 감지부(121)에서 센싱된 압력 값은 미리 설정된 압력 값보다 작을 것이며, 센싱된 압력 값을 전송받은 제어 장치(140)는 흡인 장치(130)와 제2 흡인관(132)이 서로 연통되도록 제1 밸브(135)를 제어하고, 흡인 장치(130)와 제2 배출관(134)이 서로 연통되도록 제2 밸브(136)를 제어하게 된다.
이 때, 유체는 제2 흡인관(132), 흡인 공간(130b), 제2 배출관(134), 제2 흡인 통로(123), 내측 블레이드(112)의 제2 중공(112a) 순으로 흡인되며, 흡인 방향에 따라 흡인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 때, 내측 블레이드(112)의 제2 중공(112a)은 완전히 막히지 않은 상태이므로 블레이드(110) 입구를 통해 유체가 배출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내측 블레이드(112)의 제2 중공(112a)에 위치하는 다수의 절제된 조직이 블레이드(110)의 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흡인관(132), 흡인 공간(130b), 제2 배출관(134), 제2 흡인 통로(123), 제2 중공(112a), 블레이드(110)의 입구의 순서로 흡인되는 방향을 제1 흡인 방향과 구별하기 위해 강학상 제2 흡인 방향으로 규정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부비동 처치 시스템(100)에서 제어 장치(140)는 압력 감지부(121)에 의해 센싱된 압력 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값 이상인 경우, 막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제1 방향으로 흡인력을 발생시키고, 센싱된 압력 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값 미만인 경우, 막힌 것으로 판단하여 제2 방향으로의 흡인력을 발생시켜 제2 중공(112a)을 막고 있는 절제된 조직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출원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부비동 처치 시스템
110: 블레이드
111: 외측 블레이드
111a: 제1 중공
111b: 제1 칼날부
112: 내측 블레이드
112a: 제2 중공
112b: 제2 칼날부
120: 핸드피스
121: 압력 감지부
122: 제1 흡인 통로
123: 제2 흡인 통로
130: 흡인 장치
131: 제1 흡인관
132: 제2 흡인관
133: 제1 배출관
134: 제2 배출관
135: 제1 밸브
136: 제2 밸브
140: 제어 장치
141: 식염수 저장부
142: 풋 스위치
143: 제3 배출관
110: 블레이드
111: 외측 블레이드
111a: 제1 중공
111b: 제1 칼날부
112: 내측 블레이드
112a: 제2 중공
112b: 제2 칼날부
120: 핸드피스
121: 압력 감지부
122: 제1 흡인 통로
123: 제2 흡인 통로
130: 흡인 장치
131: 제1 흡인관
132: 제2 흡인관
133: 제1 배출관
134: 제2 배출관
135: 제1 밸브
136: 제2 밸브
140: 제어 장치
141: 식염수 저장부
142: 풋 스위치
143: 제3 배출관
Claims (10)
- 중공이 관통 형성된 블레이드(110);
상기 블레이드(110)의 상기 중공에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의 흡인력을 제공하는 흡인 장치(130);
상기 블레이드(110)의 상기 중공과 연결된 흡인관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감지부(121); 및
상기 압력 감지부(121)에 의해 센싱된 압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흡인 장치(130)에 의한 흡인력 제공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40);를 포함하는,
부비동 처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흡인 장치(130)와 상기 블레이드(110)의 중공을 연결하는 제1 흡인관(131);
상기 제1 흡인관(131)으로부터 분지되며 일단이 외기와 연통되는 제2 흡인관(132);
일단이 상기 흡인 장치(130)의 흡인 공간(130b)과 연통되며, 타단이 외기와 연통되는 제1 배출관(133); 및
상기 제1 배출관(133)으로부터 분지되며 일단이 상기 블레이드(110)의 중공과 연통되는 제2 배출관(13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인관(131)이 상기 제2 흡인관(132)으로 분지되는 부분에는 상기 흡인 장치(130)와, 상기 제1 흡인관(131) 및 상기 제2 흡인관(132) 중 어느 하나의 흡인관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1 밸브(135)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배출관(133)이 상기 제2 배출관(134)으로 분지되는 부분에는 상기 흡인 장치(130)와, 상기 제1 배출관(133) 및 상기 제2 배출관(134) 중 어느 하나의 배출관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2 밸브(13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비동 처치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블레이드(110)의 상기 중공의 입구로부터 상기 제1 흡인관(131)과 상기 흡인 장치(130)를 거쳐 상기 제1 배출관(133)을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2 흡인관(132)으로부터 상기 흡인 장치(130), 상기 제2 배출관(134)을 거쳐 상기 블레이드(110)의 상기 중공의 입구를 향하는 방향인,
부비동 처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40)는 상기 압력 감지부(121)에서 센싱된 압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밸브(135) 및 상기 제2 밸브(136)를 제어하는,
부비동 처치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부(121)에서 센싱한 압력 값이 미리 결정된 압력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어 장치(140)는 상기 흡인 장치(130)가 상기 제1 흡인관(131)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1 밸브(135)를 제어하고, 상기 흡인 장치(130)가 상기 제1 배출관(133)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2 밸브(136)를 제어하는,
부비동 처치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부(121)에서 센싱된 압력 값이 상기 미리 결정된 압력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 장치(140)는 상기 흡인 장치(130)가 상기 제2 흡인관(132)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 밸브(135)를 제어하고, 상기 흡인 장치(130)가 상기 제2 배출관(134)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2 밸브(136)를 제어하는,
부비동 처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10)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블레이드(110)의 중공과 상기 제1 흡인관(131)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핸드피스(120);를 더 포함하는,
부비동 처치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부(121)는 상기 핸드피스(120) 내에 위치되어, 상기 블레이드(110)의 중공과 연통된 상기 핸드피스(120)의 제1 흡인 통로(122)의 압력 값을 센싱하는,
부비동 처치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부(121)가 센싱한 압력 값에 기초하여 작동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력 감지부(121)가 센싱한 압력 값이 상기 미리 결정된 압력 값보다 작을 때, 상기 알림부가 작동하는,
부비동 처치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3359A KR102354300B1 (ko) | 2019-12-23 | 2019-12-23 | 막힘 현상이 방지되는 부비동 처치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3359A KR102354300B1 (ko) | 2019-12-23 | 2019-12-23 | 막힘 현상이 방지되는 부비동 처치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1125A KR20210081125A (ko) | 2021-07-01 |
KR102354300B1 true KR102354300B1 (ko) | 2022-01-21 |
Family
ID=76860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3359A KR102354300B1 (ko) | 2019-12-23 | 2019-12-23 | 막힘 현상이 방지되는 부비동 처치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430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8871B1 (ko) * | 2021-09-08 | 2022-09-02 | (주)포스메디칼 | 괴사 조직 절개용 초음파 수술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110859A (ja) * | 2017-01-10 | 2018-07-19 | バイオセンス・ウエブスター・(イスラエル)・リミテッドBiosense Webster (Israel), Ltd. | 組み合わせられたデブリーダ及びコアグレータ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8504906D0 (en) | 1985-02-26 | 1985-03-27 | Deane G | Suction irrigation apparatus |
US4793703A (en) * | 1987-08-03 | 1988-12-27 | Corning Glass Works | Laminated glass lenses |
US20070213667A1 (en) | 2006-03-07 | 2007-09-13 | Prusmack Chad J | Suction Irrigation Cleaner |
AU2007303132B2 (en) * | 2006-10-04 | 2013-03-28 | Boston Scientific Limited | Interventional catheters |
US10517608B2 (en) * | 2015-08-27 | 2019-12-31 | Acclarent, Inc. | Apparatus to form opening in ethmoid bulla and irrigate ethmoid sinus cavity |
-
2019
- 2019-12-23 KR KR1020190173359A patent/KR10235430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110859A (ja) * | 2017-01-10 | 2018-07-19 | バイオセンス・ウエブスター・(イスラエル)・リミテッドBiosense Webster (Israel), Ltd. | 組み合わせられたデブリーダ及びコアグレー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1125A (ko) | 2021-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18822B2 (en) | Surgical aspiration system and method of surgical aspiration | |
JP7048512B2 (ja) | 可撓性インペラポンプを有する超音波水晶体乳化吸引ハンドピース | |
AU733453B2 (en) | Endoscopic surgical instrument | |
ES2288562T3 (es) | Dispositivo para realizar intervenciones oftalmologicas. | |
US6394996B1 (en) | System for aspirating and irrigating tract wounds | |
KR102170110B1 (ko) | 흡인 및 관주 회로를 위하여 선택적으로 가동 가능한 밸브 요소 | |
EP1277602B1 (en) | Surgical suction cutting instrument with internal irrigation | |
JP6685933B2 (ja) | 閉ループ手術システム | |
JP2006198409A (ja) | 流体切断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 |
US12023095B2 (en) | Laser device for vascular and intrabody surgery and method of use | |
US20160089268A1 (en) | Phacoemulsification hand piece with integrated venturi aspiration pump | |
US11406452B2 (en) | Laser device for vascular and intrabody surgery and method of use | |
JP6732013B2 (ja) | 組織切除デバイス | |
CN109789034B (zh) | 用于实施晶状体乳化的系统 | |
EP2320842B1 (en) | Device for ophthalmic surgery, in particular for cataract removal, provided with a system for dynamically maintaining intraocular pressure | |
KR102354300B1 (ko) | 막힘 현상이 방지되는 부비동 처치 시스템 | |
CN109152587B (zh) | 管、管单元以及抽吸送液单元 | |
EP0578376A1 (en) | Ultrasonic surgical aspirator | |
CN113905681A (zh) | 用于血管和体内手术的激光装置及其使用方法 | |
US20220401119A1 (en) | Automated method of removing clog within lumen for debris removal | |
WO2022235762A1 (en) | Smart irrigation and aspiration system and method | |
RU2797292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тракорпоральной хирургии (варианты) | |
RU2816632C2 (ru) | Катетер для абляции биологической ткани | |
WO2022201809A1 (ja) | 吸引装置及び吸引システム | |
RU2020142148A (ru) | Устройства и методы для внутренней хирурги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