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945B1 -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945B1
KR102353945B1 KR1020200117685A KR20200117685A KR102353945B1 KR 102353945 B1 KR102353945 B1 KR 102353945B1 KR 1020200117685 A KR1020200117685 A KR 1020200117685A KR 20200117685 A KR20200117685 A KR 20200117685A KR 102353945 B1 KR102353945 B1 KR 102353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pipe
turntable
sensor
weld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아
임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씨유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씨유스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씨유스틸
Priority to KR1020200117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03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61Weld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턴테이블과 함께 용접대상 분배관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을 상기 턴테이블에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작업자가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한 상태로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에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는 용접대상 분배관을 회전가능하게 세팅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용접 작업 중 이동 동작 또는 분배관의 재세팅 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분배관에 설치된 센서를 냉각할 수 있는 센서 냉각부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용접 열에 의해 해당 센서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Distributor welding device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작업이 용이하도록 용접대상 분배관을 회전하여 지지하며, 용접 열에 의해 분배관에 설치된 센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냉동공조장비 또는 냉각수 등을 포함한 순환기 계통에 설치되어 유체 순환경로를 확보하는 소구경의 분배관은, 주를 이루는 몸체와 이러한 몸체에 다수의 관체가 용접을 통해 단일몸체를 이룬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분배관은, 가결합된 몸체와 관체의 접합부에 화염을 분사시켜 예열시킨 다음, 이 예열된 접합부에 선형의 가용물을 접단시켜 제작되게 된다.
이러한 분배관의 용접작업은 작업용 테이블에 해당 분배관을 세팅한 다음, 작업자가 용접기를 이용하여 용접한다. 이때, 분배관에 대한 용접 위치에 따라 작업자가 이동하거나 분배관을 재세팅해야 하므로 번거러운 단점이 있다. 또한, 용접작업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분배관에 설치된 센서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67226호: 냉동공조 분배관용 용접결합방법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용접작업이 용이하도록 용접대상 분배관을 회전하여 지지하며, 용접 열에 의해 분배관에 설치된 센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센서 냉각부가 마련된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턴테이블과 함께 용접대상 분배관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을 상기 턴테이블에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작업자가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한 상태로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에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는 상기 용접대상 분배관의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에 설치된 센서가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의 용접 작업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센서를 냉각하는 센서 냉각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냉각부는 상기 턴테이블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내부에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유로가 형성된 냉각자켓과, 상기 냉각자켓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유로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센서 냉각부는 일단에 냉각수가 분사될 수 있는 분사공이 형성된 분사노즐과, 상기 턴테이블 또는 프레임에 설치되며, 단부에 상기 분사노즐이 설치되되, 상기 분사노즐에서 상기 센서로 냉각수가 분사되도록 작업자가 상기 센서에 대향되도록 상기 분사공이 위치되게 상기 분사노즐의 위치를 세팅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자가 파지하여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는 구즈넥 부재와, 상기 분사노즐에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노즐에 설치되는 냉각수 공급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턴테이블은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설정 반경을 갖는 가상의 환형 궤적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다수의 관통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설정 반경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각도유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턴테이블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 및 삽입구에 삽입되는 구속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은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기둥부재와, 일단부에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타단부가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중심선에 대해 교차되는 가상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기둥부재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작업자가 상기 지지부재를 회전한 상태로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에 대한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부재에 대한 지지부재의 회전각도를 유지시키는 보조유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타단부에,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기준 반경을 갖는 가상의 환형 궤적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다수의 결합구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부에 대향된 위치에,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설정 반경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속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유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턴테이블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결합구 및 구속구에 삽입되는 보조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분배관 또는 센서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턴테이블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의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분배관 또는 센서가 해당 안착부재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속력을 인가하는 구속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안착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분배관 또는 센서가 안착되는 상기 분배관의 안착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로드와, 상기 안착부재의 안착면에 대향되는 회동로드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부재에 안착된 상기 분배관 또는 센서에 접촉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가 상기 분배관 또는 센서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로드가 회동되도록 상기 회동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는 용접대상 분배관을 회전가능하게 세팅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용접 작업 중 이동 동작 또는 분배관의 재세팅 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분배관에 설치된 센서를 냉각할 수 있는 센서 냉각부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용접 열에 의해 해당 센서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100)는 프레임(200)과, 상기 프레임(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300)과, 상기 턴테이블(3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턴테이블(300)과 함께 용접대상 분배관(15)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15)을 상기 턴테이블(300)에 지지하는 지지유닛(400)과, 작업자가 상기 턴테이블(300)을 회전한 상태로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15)에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00)에 대한 상기 턴테이블(300)의 회전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부(5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용접대상 분배관(15)은 에어컨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냉매와 같은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해당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속도, 온도 등과 같은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16)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200)은 베이스부재(210)와, 베이스부재(210)의 상부에 설치된 기둥부재(220)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재(2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지면 또는 공장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한편, 베이스부재(21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작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부에 다수의 이동바퀴가 설치될 수도 있다.
기둥부재(220)는 베이스부재(210)의 상면에 고정되며, 베이스부재(210)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한편, 기둥부재(220)의 상단부 전면에는 턴테이블(30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회전지지판(221)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회전지지판(221)은 턴테이블(30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삽입구(22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삽입구(222)는 턴테이블(30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후술되는 관통구(302)까지의 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게 회전지지판(22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턴테이블(30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기둥부재(220)의 회전지지판(221)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턴테이블(300)은 작업자가 용이하게 지지유닛(400)을 조작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작업구(30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턴테이블(300)은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설정 반경을 갖는 가상의 환형 궤적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다수의 관통구(30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302)는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턴테이블(30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회전지지판(221)에는 턴테이블(30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설정 반경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삽입구(22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턴테이블(300)을 회전시켜 관통구(302)들 중 어느 하나를 삽입구(222)와 동축선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지지유닛(400)은 상기 분배관(15) 또는 센서(16)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턴테이블(30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의 안착부재(410)와, 상기 안착부재(410)에 설치되어 상기 분배관(15) 또는 센서(16)가 해당 안착부재(4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속력을 인가하는 구속부재(420)를 구비한다.
안착부재(410)는 작업구(301) 하방의 턴테이블(300) 전면에 고정되며, 상부에 분배관(15)의 센서(16)가 안착된 안착면(411)이 마련될 수 있도록 턴테이블(300)에 대해 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된다. 여기서, 안착부재(410)는 복수개가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다. 또한, 안착부재(410)는 센서(16)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에 복수의 이탈방지판(41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탈방지판(412)은 안착부재(410)의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며,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어 있다. 이때, 이탈방지판(412)들은 안착부재(410)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안착부재(410)의 상면에, 분배관(15)의 센서(16)가 안착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안착부재(410)의 상면에 분배관(15)의 일부가 안착될 수도 있다.
구속부재(420)는 상기 안착부재(410)에 형성되며, 상기 센서(16)가 안착되는 상기 분배관(15)의 안착면(4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브라켓(421)과, 상기 브라켓(421)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로드(422)와, 상기 안착부재(410)의 안착면(411)에 대향되는 회동로드(422)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부재(410)에 안착된 상기 센서(16)에 접촉되는 접촉부재(423)와, 상기 접촉부재(423)가 상기 센서(16)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로드(422)가 회동되도록 상기 회동로드(42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브라켓(421)은 이탈방지판(412)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안착부재(410) 상면에 고정되며, 안착부재(410)의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회동로드(422)는 브라켓(421)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회동로드(422)는 전단부가 이탈방지판(412)들 사이의 공간에 대향되며, 후단부는 브라켓(421)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재(423)는 안착부재(410)에 안착된 센서(16)에 접촉될 수 있도록 회동로드(422)의 전단부에 설치되며, 하단부에, 고무와 같이 소정의 탄성을 갖는 밀착패드(424)가 설치되어 있다. 탄성부재는 회동로드(42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토션스프링이 적용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접촉부재(423)가 안착부재(410)에 안착된 센서(16)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동로드(422)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안착부재(410)에 안착된 센서(16)를 파지하여 용접대상 분배관(15)이 턴테이블(300)과 함께 회전된다.
상술된 구속부재(420)는 복수개가 상기 안착부재(410)들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한편, 지지유닛(400)은 턴테이블(300) 외부로 돌출되는 분배관(15)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보조부재(430)를 더 구비한다.
보조부재(430)는 턴테이블(30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며, 턴테이블(300)의 반경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보조부재(430)의 단부에는 분배관(15)의 절곡된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패드(431)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지지패드(431)의 상면에는, 분배관(15)의 절곡된 부분 또는 해당 절곡된 부분에 설치된 센서(16)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다.
각도유지부(500)는 상기 프레임(200)에 대해 상기 턴테이블(300)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302) 및 삽입구(222)에 삽입되는 구속핀(501)을 구비한다. 구속핀(501)은 관통구(302) 및 삽입구(2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302) 및 삽입구(22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삽입부분과,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삽입부분의 단부에 형성되며, 관통구(302) 및 삽입구(222)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파지부분을 구비한다. 한편, 각도유지부(50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200)에 상기 턴테이블(300)을 구속할 수 있는 구속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100)를 이용한 용접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턴테이블(300)에 마련된 지지유닛(400)에 용접대상 분배관(15)을 세팅한다. 이때, 안착부재(410)의 상면에 분배관(15)의 일부나 분배관(15)에 설치된 센서(16)를 안착시킨 다음, 구속부재(420)를 조작하여 해당 분배관(15)이 턴테이블(30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파지한다. 턴테이블(300)에 용접대상 분배관(15)의 세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용접기를 이용하여 해당 분배관(15)에 용접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분배관(15)의 용접 작업 부분을 변경할 경우, 작업자는 관통구(302) 및 삽입구(222)로부터 구속핀(501)을 분리한 다음, 해당 분배관(15)의 용접 작업 부분이 작업자에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턴테이블(300)을 회전한다. 다음, 턴테이블(300)의 회전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구속핀(501)을 삽입구(222)과, 해당 삽입구(222)의 동축선 상에 위치한 관통구(302)에 삽입하여 턴테이블(300)을 프레임(200)에 구속시킨다. 턴테이블(300)은 해당 구속핀(501)에 의해 회전 각도가 유지되므로 작업자는 용이하게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100)는 용접대상 분배관(15)을 회전가능하게 세팅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용접 작업 중 이동 동작 또는 분배관(15)의 재세팅 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60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600)는 상기 용접대상 분배관(15)의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15)에 설치된 센서(16)가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15)의 용접 작업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센서(16)를 냉각하는 센서 냉각부(610)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지지유닛(400)은 분배관(15)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안착부재(410)가 턴테이블(3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안착부재(410)들 중 일부에만 구속부재(4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 냉각부(610)는 상기 턴테이블(300)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16)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614)이 마련되며, 내부에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유로가 형성된 냉각자켓(611)과, 상기 냉각자켓(611)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유로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부(612)를 구비한다.
냉각자켓(611)은 일단부가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회동블럭(613)을 구비한다. 회동블럭(613)들은 상호 대향되는 측면에 상기 센서(16)가 수용될 수 있도록 각각 수용공간(614)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회동블럭(613)은 내부에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동유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동유로는 다단으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블럭(613)은 냉각수와의 열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열전도도를 갖는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동블럭(613)은 하면에, 유동유로를 통과한 냉각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냉각자켓(611)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회동블럭(613)들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해당 회동블럭(613)들의 타단부를 선택적으로 잠글 수 있는 시건장치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냉각자켓(611)은 안착부재(410)에 안착된 분배관(15)의 센서(16)에 대응되는 위치의 턴테이블(300)에 설치되어 센서(16)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냉각수 공급부(612)는 내부에 냉각수가 수용된 냉각탱크(미도시)와, 일단이 냉각탱크에 연결되며, 타단은 유동유로에 연통되도록 냉각자켓(611)의 회동블럭(613)들에 각각 연결된 공급관(615)과, 상기 공급관(615)에 설치되어 냉각탱크에 수용된 냉각수를 상기 냉각자켓(611)으로 펌핑하는 공급펌프(미도시)를 구비한다.
한편, 냉각수 공급부(612)는 턴테이블(300) 하방의 기둥부재(220)에 설치되어 냉각자켓(611)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수집할 수 있는 수집탱크(616)를 더 구비한다. 상기 수집탱크(616)는 내부에 수집공간이 마련되며, 냉각수가 용이하게 상기 수집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수집탱크(616)의 좌우측에는 냉각자켓(611)에서 배출되는 냉각수를 수집탱크(616) 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각각 유도판(61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도판(617)은 수집탱크(616)의 상단 좌우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수집탱크(616)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되, 상방으로 갈수록 수집탱크(616)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냉각수 공급부(612)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수집탱크(616)에 수집된 냉각수를 냉각탱크로 회수하기 위한 회수유닛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회수유닛은 양단이 각각 수집탱크(616) 및 냉각탱크에 연결된 회수관과, 수집탱크(616)에 수용된 냉각수를 냉각탱크에 펌핑하기 위한 회수탱크를 구비한다.
한편, 냉각수 공급부(612)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냉각자켓(611)의 유동유로에 저온의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는 냉각수 공급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600)는 분배관(15)에 설치된 센서(16)를 냉각할 수 있는 센서 냉각부(610)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용접 열에 의해 해당 센서(16)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620) 및 센서 냉각부(7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620)은 베이스부재(630)와, 상기 베이스부재(630)에 설치되는 기둥부재(640)와, 일단부에 상기 턴테이블(30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타단부가 상기 턴테이블(300)의 회전중심선에 대해 교차되는 가상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기둥부재(640)에 설치되는 지지부재(650)와, 상기 작업자가 상기 지지부재(650)를 회전한 상태로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15)에 대한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부재(640)에 대한 지지부재(650)의 회전각도를 유지시키는 보조유지부(660)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재(63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지면 또는 공장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한편, 베이스부재(63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작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부에 다수의 이동바퀴가 설치될 수도 있다.
기둥부재(640)는 베이스부재(630)의 상면에 고정되며, 베이스부재(630)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한편, 기둥부재(640)의 상단부 전면에는 지지부재(65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보조지지판(641)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보조지지판(641)은 지지부재(65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속구(64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구속구(642)는 지지부재(65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후술되는 결합구(654)까지의 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게 회전지지판(22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650)는 보조지지판(641)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판(651)과, 상기 회동판(651)에 고정되며, 상기 회동판(651)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1연장패널(652)과, 상기 제1연장패널(652)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연장패널(652)로부터 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2연장패널(653)을 구비한다.
회동판(651)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보조지지판(641)의 전면에, 중심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회동판(651)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해당 보조지지판(641)에 설치된다.
한편, 회동판(651)은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기준 반경을 갖는 가상의 환형 궤적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다수의 결합구(654)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보조지지판(641)에는 회동판(651)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기준 반경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결합구(65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지지부재(650)를 회전시켜 결합구(654)들 중 어느 하나를 구속구(642)와 동축선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1연장패널(652)은 상단부가 회동판(651)의 전면에 고정되며, 회동판(651)의 반경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다. 제2연장패널(653)은 제1연장패널(652)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단부에 턴테이블(30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회전지지판(221)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턴테이블(30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해당 회전지지판(22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턴테이블(300)의 상면에는 다수의 안착부재(410)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안착부재(410)들 중 일부에만 상기 구속부재(4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300)의 회전중심선과, 지지부재(650)의 회동판(651)의 회전중심선이 상호 교차되도록 마련되므로 턴테이블(300)에 파지된 용접대상 분배관(15)을 보다 다양한 각도 및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보조유지부(660)는 상기 프레임(620)에 대해 상기 턴테이블(300)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결합구(654) 및 구속구(642)에 삽입되는 보조핀(661)을 구비한다. 보조핀(661)은 결합구(654) 및 구속구(642)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구(654) 및 구속구(64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인입부분과,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인입부분의 단부에 형성되며, 결합구(654) 및 구속구(642)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돌출부분을 구비한다. 한편, 보조유지부(66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둥부재(640)에 지지부재(650)를 구속할 수 있는 구속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작업자는 용접대상 분배관(15)의 회전시킬 경우, 결합구(654) 및 구속구(642)로부터 보조핀(661)을 분리한 다음, 지지부재(650)를 회전시켜 분배관(15)의 위치를 변경한다. 분배관(15)의 위치 변경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보조핀(661)을 구속구(642)와, 해당 구속구(642)의 동축선 상에 위치한 결합구(654)에 삽입하여 지지부재(650)를 기둥부재(640)에 구속시킨다.
한편, 센서 냉각부(710)는 일단에 냉각수가 분사될 수 있는 분사공이 형성된 다수의 분사노즐(711)과, 상기 턴테이블(300) 또는 프레임(620)에 설치되며, 단부에 상기 분사노즐(711)이 설치되되, 상기 분사노즐(711)에서 상기 센서(16)로 냉각수가 분사되도록 작업자가 상기 센서(16)에 대향되도록 상기 분사공이 위치되게 상기 분사노즐(711)의 위치를 세팅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자가 파지하여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는 구즈넥 부재(712)와, 상기 분사노즐(711)에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노즐(711)에 설치되는 냉각수 공급부(미도시)를 구비한다.
구즈넥 부재(712)는 다수개가 턴테이블(300)의 상면 및 지지부재(650)의 제1연장패널(652)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즈넥 부재(712)는 턴테이블(300)의 상면 또는 제1연장패널(652) 상단부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여기서, 구즈넥 부재(712)는 작업자가 파지하여 구부릴 수 있도록 플렉시블하게 형성되되, 작업자가 조작을 완료시 분사노즐(711)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수 공급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내부에 냉각수가 수용된 냉각탱크와, 일단이 냉각탱크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분사노즐(711)들에 각각 연결된 주입관과, 상기 주입관에 설치되어 냉각탱크에 수용된 냉각수를 상기 분사노즐(711)로 펌핑하는 주입펌프를 구비한다. 한편, 냉각수 공급부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분사노즐(711)들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는 냉각수 공급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작업자는 파지유닛을 이용하여 용접대상 분배관(15)을 턴테이블(300)에 결합시킨 다음, 해당 분배관(15)에 설치된 센서(16)에 대향되도록 분사노즐(711)이 위치하도록 구즈넥 부재(712)를 조작한다. 구즈넥 부재(712)의 조작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냉각수 공급부를 작동시켜 분사노즐(711)로 냉각수를 주입하고, 분사노즐(711)에서 분배관(15)의 센서(16)로 분사되는 냉각수에 의해 센서(16)는 냉각되어 용접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711)이 구즈넥 부재(712)에 의해 턴테이블(300) 및 프레임(620)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분배관(15)에 설치된 센서(16)에 따라 분사노즐(71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
200: 프레임
210: 베이스부재
220: 기둥부재
221: 회전지지판
300: 턴테이블
400: 지지유닛
410: 안착부재
411: 안착면
412: 이탈방지판
420: 구속부재
421: 브라켓
422: 회동로드
423: 접촉부재
424: 밀착패드
430: 보조부재
431: 지지패드
500: 각도유지부
501: 구속핀

Claims (9)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턴테이블과 함께 용접대상 분배관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을 상기 턴테이블에 지지하는 지지유닛;
    작업자가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한 상태로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에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부; 및
    상기 용접대상 분배관의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에 설치된 센서가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의 용접 작업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센서를 냉각하는 센서 냉각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냉각부는
    상기 턴테이블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내부에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유로가 형성된 냉각자켓; 및
    상기 냉각자켓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유로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부;를 구비하는,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
  2. 삭제
  3. 삭제
  4.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턴테이블과 함께 용접대상 분배관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을 상기 턴테이블에 지지하는 지지유닛;
    작업자가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한 상태로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에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부; 및
    상기 용접대상 분배관의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에 설치된 센서가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의 용접 작업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센서를 냉각하는 센서 냉각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냉각부는
    일단에 냉각수가 분사될 수 있는 분사공이 형성된 분사노즐;
    상기 턴테이블 또는 프레임에 설치되며, 단부에 상기 분사노즐이 설치되되, 상기 분사노즐에서 상기 센서로 냉각수가 분사되도록 작업자가 상기 센서에 대향되도록 상기 분사공이 위치되게 상기 분사노즐의 위치를 세팅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자가 파지하여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는 구즈넥 부재;
    상기 분사노즐에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노즐에 설치되는 냉각수 공급부;를 구비하는,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
  5.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턴테이블과 함께 용접대상 분배관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을 상기 턴테이블에 지지하는 지지유닛; 및
    작업자가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한 상태로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에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턴테이블은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설정 반경을 갖는 가상의 환형 궤적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다수의 관통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설정 반경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각도유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턴테이블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 및 삽입구에 삽입되는 구속핀을 구비하는,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
  6.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턴테이블과 함께 용접대상 분배관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을 상기 턴테이블에 지지하는 지지유닛; 및
    작업자가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한 상태로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에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기둥부재;
    일단부에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타단부가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중심선에 대해 교차되는 가상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기둥부재에 설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작업자가 상기 지지부재를 회전한 상태로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에 대한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부재에 대한 지지부재의 회전각도를 유지시키는 보조유지부;를 구비하는,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타단부에,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기준 반경을 갖는 가상의 환형 궤적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다수의 결합구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부에 대향된 위치에,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기준 반경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속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유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턴테이블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결합구 및 구속구에 삽입되는 보조핀을 구비하는,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분배관 또는 센서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턴테이블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의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분배관 또는 센서가 해당 안착부재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속력을 인가하는 구속부재;를 구비하는,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
  9.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턴테이블과 함께 용접대상 분배관이 회전 될 수 있도록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을 상기 턴테이블에 지지하는 지지유닛;
    작업자가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한 상태로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에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부; 및
    상기 용접대상 분배관의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에 설치된 센서가 해당 용접대상 분배관의 용접 작업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센서를 냉각하는 센서 냉각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분배관 또는 센서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턴테이블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의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분배관 또는 센서가 해당 안착부재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속력을 인가하는 구속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안착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분배관 또는 센서가 안착되는 상기 분배관의 안착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로드;
    상기 안착부재의 안착면에 대향되는 회동로드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부재에 안착된 상기 분배관 또는 센서에 접촉되는 접촉부재; 및
    상기 접촉부재가 상기 분배관 또는 센서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로드가 회동되도록 상기 회동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








KR1020200117685A 2020-09-14 2020-09-14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 KR102353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685A KR102353945B1 (ko) 2020-09-14 2020-09-14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685A KR102353945B1 (ko) 2020-09-14 2020-09-14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945B1 true KR102353945B1 (ko) 2022-01-20

Family

ID=80052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685A KR102353945B1 (ko) 2020-09-14 2020-09-14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9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1583A (ko) 2022-08-10 2024-02-19 성기천 에어컨용 배관용접 작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755A (ko) * 2008-03-21 2009-09-24 주식회사 엠티에스 튜브 접합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KR101467226B1 (ko) 2014-01-29 2014-12-01 알텍 주식회사 냉동공조 분배관용 용접결합방법
KR101993199B1 (ko) * 2018-12-27 2019-09-30 신영식 수직형 인덱싱 테이블을 이용한 브레이징 접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755A (ko) * 2008-03-21 2009-09-24 주식회사 엠티에스 튜브 접합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KR101467226B1 (ko) 2014-01-29 2014-12-01 알텍 주식회사 냉동공조 분배관용 용접결합방법
KR101993199B1 (ko) * 2018-12-27 2019-09-30 신영식 수직형 인덱싱 테이블을 이용한 브레이징 접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1583A (ko) 2022-08-10 2024-02-19 성기천 에어컨용 배관용접 작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3945B1 (ko) 에어컨용 분배관 용접장치
US6425276B1 (en) Water jet peening apparatus
CN109939980B (zh) 进给台装置、及对象物驱动装置
JP2016022461A (ja) 洗浄装置
JP6402858B2 (ja) 鋼管鉄塔部材のブラスト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6967586B2 (ja) 弓形工作物の摩擦撹拌接合のための弓形ブーム
KR20120045108A (ko) 열간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102044608B1 (ko) 튜브 투 튜브시트 용접용 보조기구
JP4659158B2 (ja) 建枠洗浄用高圧水噴射回転ノズルヘッドとそれを用いた建枠洗浄システム
JP2006129808A (ja) 土壌消毒装置
KR102253175B1 (ko) 터널용 천공장치
KR101996861B1 (ko) 스마트 배관 제조방법
KR102071194B1 (ko) 의자프레임 용접용 지그
KR101898116B1 (ko) 전처리 장치
CN110193692B (zh) 一种流水线焊接传输台
KR101167122B1 (ko) 출선구 중심 관리장치
US11465183B2 (en) Cleaning apparatus and cleaning method
CN117300414B (zh) 一种用于巷道冒顶的分组式拱架自动焊接装置
KR102284306B1 (ko) 용접작업대
US20230256564A1 (en) Workpiece processing apparatus blast gun plate assembly
JP3990006B2 (ja) 管体端部の水噴流施工装置及び水噴流施工方法
JP3232899U (ja) 洗浄装置
JP2001286832A (ja) 高圧水洗浄機
CN210189478U (zh) 一种用于四轴机床照明灯管的清洗装置
KR102509080B1 (ko) 자동 용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