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116B1 - 전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전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116B1
KR101898116B1 KR1020120081894A KR20120081894A KR101898116B1 KR 101898116 B1 KR101898116 B1 KR 101898116B1 KR 1020120081894 A KR1020120081894 A KR 1020120081894A KR 20120081894 A KR20120081894 A KR 20120081894A KR 101898116 B1 KR101898116 B1 KR 101898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tube
unit
reaction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3709A (ko
Inventor
강연균
김영목
여선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티사이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티사이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티사이언
Priority to KR1020120081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116B1/ko
Publication of KR20140013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4Sample treatment involving radiation, e.g. hea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346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반응튜브 및 가열수단을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자동으로 진행이 가능하며, 반응튜브와 열교환몸체 사이의 기밀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복수개의 시료를 전처리 하는 것이 가능한 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처리 장치 {Pre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반응튜브 및 가열수단을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자동으로 진행이 가능하며, 반응튜브와 열교환몸체 사이의 기밀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복수개의 시료를 전처리 하는 것이 가능한 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물질의 분석(예, 토양) 시, 분석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농축을 위한 가열이 수반되는 전처리 작업이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유해물질을 포함하는 액체를 가열하여 약 1/10 정도의 농축을 시키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액체가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험자가 대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공개특허 2011-169871호(발명의 명칭 : 유해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의 전처리 장치 및 방법)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유해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의 전처리 장치 및 방법은 복수개의 시료에 적용되기 어려우며, 가열기와 응축기 사이가 배관으로 연결되고, 배관상에 구비된 밸브의 조작에 의해 그 흐름이 조절됨에 따라 내압설계가 요구되며, 대량의 분석을 위한 전처리 장비로서는 적합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 2011-169871(공개일 2011년 9월 1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응튜브 및 가열수단을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자동으로 진행이 가능하며, 반응튜브와 열교환몸체 사이의 기밀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복수개의 시료를 전처리 하는 것이 가능한 전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1000)는 케이스(100); 제1이동부(710)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의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반응튜브(200)가 고정되는 반응랙(210); 상기 반응랙(210)의 하부에, 제2이동부(720)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의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반응튜브(200)를 가열하는 가열수단(300); 상기 반응랙(210)의 상측에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제1공간(411)과, 상기 반응튜브(200)와 대응되는 제2공간(412)이 형성된 열교환관(410)을 포함하는 열교환수단(400); 및 상기 제1이동부(710), 제2이동부(720), 가열수단(300), 및 열교환수단(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수단(400)의 열교환관(410)의 하부 일정영역이 하측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부(410a)가 형성되며, 상기 반응튜브(200)의 상측이 상기 열교환관(410)의 경사부(410a)가 안착되는 안착부(20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처리 장치(1000)는 상기 반응튜브(200)가 행과 열을 갖도록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수단(400)의 열교환관(410)이 상기 반응튜브(200)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처리 장치(1000)는 상기 열교환수단(400)의 열교환관(410) 상측을 고정하는 고정판(110)과, 상기 고정판(110)과 열교환관(410) 상측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수단(12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열수단(300)은 상기 제2이동부(720)와 연결되며, 상측이 개구된 오목한 형태의 몸체(310); 상기 몸체(310)에 고정되어 발열하는 가열부(320); 및 상기 몸체(310) 내부의 상기 가열부(320)의 상측에 고정되되, 상기 반응튜브(200)의 하부 일정 영역이 안착되는 삽입홈(331)이 형성되는 방열부(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열수단(300)은 상기 삽입홈(331)에 대응되는 중공홀(341a)이 형성된 판 형태로 상기 몸체(310) 내부의 상기 방열부(330) 상측에 고정되어 열전달을 방지하는 제1열전달방지부(34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300)은 상기 몸체(310)와 제2이동부(720)의 고정 부분에 열전달을 방지하는 제2열전달방지부(34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전처리 장치(1000)는 상기 반응튜브(200)가 안착되며, 상기 반응랙(21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고정되는 튜브고정부(2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처리 장치(1000)는 상기 튜브고정부(220)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반응랙(210)이 각각의 튜브고정부(22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수단(400)은 상기 열교환관(410)으로 배분되는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유입부(421)와 상기 열교환관(410)을 통과한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배출부(422)가 배분판(423)에 의해 구획되는 매니폴드(420); 및 상기 매니폴드(420)의 유입부(421) 및 배출부(422)와, 상기 열교환관(410)을 연결하는 연결관(4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전처리 장치(1000)는 상기 열교환수단(400)의 열교환관(410)이 관통되는 제1대응홈(131)이 형성되며, 상측에 상기 매니폴드(420)가 안착되는 보호판(13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판(130)은 상기 제1대응홈(131)의 일정 영역이 확장되어 상기 연결관(430)이 관통되는 제2대응홈(1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처리 장치(1000)는 케이스(100)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거나, 흡입하여 배출하는 팬(6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전처리 장치(1000)는 상기 팬(600)이 상기 반응튜브(200)의 하측 및 상기 가열수단(300)을 냉각할 수 있는 위치에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는 반응랙이 제1이동부에 의해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가열수단이 제2이동부에 의해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제어부에 의해 조작이 제어됨으로써 자동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는 열교환관의 하부에 경사부가 형성되며, 반응튜브의 상측에 경사부에 대응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열교환관의 높이방향 이동을 완충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열교환관과 반응튜브 사이의 기밀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는 몸체 내부에 가열부 및 방열부는 포함하는 형태로서, 반응튜브의 하측이 방열부의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가열됨으로써 가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는 방열부의 상측에 중공홀이 형성된 제1열전달방지부 및 몸체와 제2이동부의 고정 부분에 제2열전달방지부가 구비됨으로써, 가열부 및 방열부의 열이 반응튜브로 집중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반응튜브를 가열할 수 있으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는 반응튜브가 튜브고정부에 고정된 상태로 반응랙에 슬라이딩됨으로써 작업자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전체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는 튜브고정부가 복수개형성됨으로써 이송이 용이하며, 개별 모듈로서 전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는 제1대응홈 및 제2대응홈이 형성된 보호판이 구비됨으로써, 열교환수단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가열수단 등의 하부에 위치한 구성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는 공기를 송풍하거나, 흡입하는 팬이 구비됨으로써 가열수단의 작동 이후, 가열된 반응튜브 및 가열수단을 냉각할 수 있어 전체 전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처리 장치의 작동 시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처리 장치의 측면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 장치의 열교환관과 반응튜브의 결합 전,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 장치의 반응튜브, 튜브고정부, 및 반응랙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 장치의 다른 방향 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 장치의 열교환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부분 사시도, 및 단면도(도 9의 AA' 방향).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 장치의 보호판을 나타낸 도면.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10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1000)는 케이스(100), 반응랙(210), 가열수단(300), 열교환수단(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도 1 내지 도 3 참조)
상기 케이스(100)는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1000)를 구성하는 기본 골격으로서, 나머지 구성들이 고정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반응랙(210)은 상기 케이스(100)에 고정되어 내부에 반응튜브(200)를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제1이동부(710)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의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반응튜브(200)는 전처리 대상 시료가 내장되는 구성으로, 행과 열을 형성하도록 복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제1이동부(710)는 공압 실린더를 이용한 구성, 랙-피니언 기어를 이용한 구성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반응랙(210)을 높이방향(도 1 화살표 표시 참조, 도 1 상하방향을 의미함)으로 이송할 수 있는 더욱 다양한 구성 또는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반응랙(210)은 그 자체가 상기 반응튜브(200)가 안착 고정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작업자의 편의성을 더욱 고려하여 상기 반응튜트가 튜브고정부(220)에 1차로 안착되며, 상기 튜브고정부(220)가 상기 반응랙(210)에 고정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고정부(220)는 상기 반응랙(210)에 슬라이딩 고정되는 형태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참조)
이 때, 작업자가 상기 튜브고정부(220)를 전측으로 인출하고, 후측으로 인입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도록 상기 튜브고정부(220) 상에 손잡이(230)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1000)는 상기 튜브고정부(220)가 두 개 이상 구비되어 각각이 복수개의 반응튜브(200)를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반응랙(210)이 복수개의 튜브고정부(220)를 각각 슬라이딩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수단(300)은 상기 반응랙(2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반응튜브(200)를 가열하는 수단이다.
상기 가열수단(300)은 제2이동부(720)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의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2이동부(720) 역시, 상기 제1이동부(710)와 마찬가지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가열수단(300)은 몸체(310), 가열부(320), 및 방열부(3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310)는 상기 제2이동부(720)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측이 개구된 오목한 형태로, 상기 가열수단(300)을 구성하는 나머지 구성들이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가열부(320)는 상기 몸체(310) 내부에 구비되어 발열하는 구성으로서, 전체 반응튜브(200)를 고르게 가열할 수 있는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그 예로서,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1000)는 상기 몸체(310) 하부 내면에 대응되는 크기의 판형 가열부(320)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1000)는 상기 가열부(320)가 판형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봉형 가열부(320)가 균등하게 형성된 예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개의 반응튜브(200)를 고르게 가열할 수 있는 예라면 더욱 다양하게 변형ㆍ실시될 수 있다.
상기 방열부(330)는 상기 몸체(310) 내부의 가열부(320) 상측에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반응튜브(200)를 용이하게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반응튜브(200)의 하부 일정 영역이 안착되는 삽입홈(331)이 형성된다.
상기 방열부(330)는 상기 가열부(320)에 의해 발열된 열을 상기 반응튜브(200) 측으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열전도도가 높은 다양한 재질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일예로서, 알루미늄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1000)는 상기 방열부(330)의 상측에 제1열전달방지부(34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열전달방지부(341)는 상기 반응튜브(200)가 상기 방열부(330)의 삽입홈(331)에 안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삽입홈(331)에 대응되는 중공홀(341a)이 형성된 판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1열전달방지부(341)는 열전달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열전도도가 낮은 다양한 재질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일예로서, 흑연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1000)는 상기 가열수단(300)과 제2이동부(720)의 고정부분에, 열전달을 방지하는 제2열전달방지부(34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열전달방지부(342)는 상기 몸체(310)와 제2이동부(720)가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제1열전달방지와 같이 열전도도가 낮은 다양한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1000)는 제1열전달방지부(341) 및 제2열전달방지부(342)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가열부(320)를 통해 발열된 열이 상기 방열부(330)를 통해 상기 반응튜브(200)에 집중되어 상기 반응튜브(200)의 가열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나머지 부분으로 열이 방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가 열을 느끼지 않아 용이하게 실험가능하여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고, 장치 내구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열교환수단(400)은 상기 반응랙(210)의 상측에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제1공간(411)과, 상기 반응튜브(200)와 대응되는 제2공간(412)이 형성된 열교환관(410)을 포함하는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반응튜브(200)와 대응되는 제2공간(412)"이란, 상기 반응튜브(200)와 서로 연통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즉, 상기 열교환수단(400)의 열교환관(410)은 이중관 형태로서, 내부에 제2공간(412)이 형성되며, 상기 제2공간(412)을 감싸도록 제1공간(411)이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상기 제1공간(411)은 냉각된 열교환매체가 이송되어 제2공간(412) 상의 물질을 응축한다.
상기 열교환관(410)은 행과 열을 갖도록 복수개 구비된 반응튜브(200)에 대응되는 개수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열교환관(410)은 열교환매체가 공급,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 때,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1000)는 열교환매체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매니폴드(420) 및 연결관(43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니폴드(420)는 열교환관(410)으로 배분되는 열교환매체가 유입(저장)되는 공간인 유입부(421)와, 상기 열교환관(410)을 통과한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배출부(422)가 형성되며, 이는 배분판(423)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상측에 유입부(421)가 형성되고, 하측에 배출부(422)가 형성되는 매니폴드(420) 구성을 나타내었으며, 이 때, 상기 매니폴드(420)의 유입부(421)는 열교환매체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관(421a)이, 상기 배출부(422)는 열교환매체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관(422a)이 형성된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열교환수단(400)은 상기 매니폴드(420)가 각각의 열교환관(410)에 열교환매체를 공급하는 구성(병렬 형태)를 나타내었다.
이는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1000)는 복수개의 열교환관(410) 중 일부에 매니폴드(420)의 유입부(421)로부터 열교환매체가 공급된 후, 하나의 열교환관(410)을 통과한 열교환매체가 이웃하는 열교환관(410)으로 다시 공급되어 배출되고, 또 다시 이웃하는 열교환관(410)으로 다시 공급되어 배출되는 구성(병렬, 직렬 혼합 형태)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1000)는 복수개의 열교환관(410) 중 하나의 열교환관(410)에 공급된 후, 이웃하는 열교환관(410)으로 연속하여 공급되는 직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열교환매체의 공급이 병렬 형태인 경우에는 낮은 온도의 열교환매체가 각각의 열교환관(410)으로 직접 공급될 수 있으므로, 냉각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전체 열교환관(410)의 냉각 성능을 균등하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매니폴드(420) 또는 연결관(430)의 형성이 다소 복잡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1000)는 복수개의 열교환관(410)이 구비되며, 매니폴드(420) 및 연결관(430)을 통해 열교환매체를 공급 및 배출하되, 직력, 병렬, 및 그 혼합 형태 등 다양한 방식을 갖는 열교환매체 흐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1000)는 매니폴드(420)가 용이하게 구비되며, 열교환매체가 넘치더라도 그 하부에 위치된 구성(가열수단(300) 등)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관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1 참조)
이 때, 상기 보호관은 케이스(100)에 고정되며, 복수개의 열교환관(410)이 관통되어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관(410)에 대응되는 제1대응홈(1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호관은 연결관(430)이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대응홈(131)의 중공된 영역 중 일정 영역이 확장되는 제2대응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이동부(710), 및 제2이동부(720)를 제어하여 각각 상기 반응랙(210) 및 가열수단(300)의 높이방향 위치를 제어하며, 가열수단(300)의 가열부(320) 발열 정도를 제어하고, 열교환수단(400)의 열교환매체 공급량 및 유동방식 등을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1000)는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가열수단(300), 반응랙(210)(반응튜브(200)), 및 열교환수단(400)이 구비되고, 반응랙(210) 및 가열수단(300)이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자동으로 전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1000)는 반응튜브(200)와 열교환관(410)의 기밀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열교환관(410)의 하부 일정영역이 하측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부(410a)가 형성되고, 상기 반응튜브(200)의 상측이 상기 열교환관(410)의 경사부(410a)가 안착되는 안착부(20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1000)는 상기 열교환수단(400)의 열교환관(410) 상측을 고정하는 고정판(110)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110)과 열교환관(410) 상측 사이에 완충수단(120) 개재되어 기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완충수단(120)은 스프링 및 코일 등을 포함하여 상기 반응튜브(200)가 제1이동부(710)에 의해 상측으로의 방향 힘이 작용할 때, 열교환관(410)이 하측방향으로의 힘을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라면 다양한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1000)는 상기 열교환관(410)과 반응튜브(200)의 접촉 면적을 늘리며, 완충수단(120)에 의해 열교환관(410)이 하측방향으로의 힘이 연속 작동됨으로써 상기 열교환관(410)과 반응튜브(200) 사이의 기밀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1000)는 상기 가열수단(300)의 작동이 완료된 후, 상기 가열수단(300) 및 반응튜브(200)를 냉각하는 팬(6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600)은 외부 공기를 송풍하거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형태가 이용될 수 있으며, 물론, 2가지의 종류가 모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팬(600)은 상기 가열수단(300) 및 반응튜브(200)의 하측을 냉각할 수 있도록 케이스(1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1000)는 가열 이후, 빠르게 냉각되어 전체 전처리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전처리 장치
100 : 케이스
110 : 고정판 120 : 완충수단
130 : 보호판 131 : 제1대응홈
132 : 제2대응홈
200 : 반응튜브 201 : 안착부
210 : 반응랙 220 : 튜브고정부
230 : 손잡이
300 : 가열수단
310 : 몸체 320 : 가열부
330 : 방열부 331 : 삽입홈
341 : 제1열전달방지부 341a : 중공홀
342 : 제2열전달방지부
400 : 열교환수단
410 : 열교환관 411 : 제1공간
412 : 제2공간
410a : 경사부
420 : 매니폴드
421 : 유입부 421a : 유입관
422 : 배출부 422a : 배출관
423 : 배분판
430 : 연결관
500 : 제어부
600 : 팬
710 : 제1이동부 720 : 제2이동부

Claims (13)

  1. 케이스(100);
    제1이동부(710)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의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반응튜브(200)가 고정되는 반응랙(210);
    상기 반응랙(210)의 하부에, 제2이동부(720)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의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반응튜브(200)를 가열하는 가열수단(300);
    상기 반응랙(210)의 상측에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제1공간(411)과, 상기 반응튜브(200)와 대응되는 제2공간(412)이 형성된 열교환관(410)을 포함하는 열교환수단(400); 및
    상기 제1이동부(710), 제2이동부(720), 가열수단(300), 및 열교환수단(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수단(400)의 열교환관(410)의 하부 일정영역이 하측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경사부(410a)가 형성되며, 상기 반응튜브(200)의 상측이 상기 열교환관(410)의 경사부(410a)가 안착되는 안착부(20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장치(1000)는 상기 반응튜브(200)가 행과 열을 갖도록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수단(400)의 열교환관(410)이 상기 반응튜브(200)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장치(1000)는
    상기 열교환수단(400)의 열교환관(410) 상측을 고정하는 고정판(110)과,
    상기 고정판(110)과 열교환관(410) 상측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수단(12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300)은
    상기 제2이동부(720)와 연결되며, 상측이 개구된 오목한 형태의 몸체(310);
    상기 몸체(310)에 고정되어 발열하는 가열부(320); 및
    상기 몸체(310) 내부의 상기 가열부(320)의 상측에 고정되되, 상기 반응튜브(200)의 하부 일정 영역이 안착되는 삽입홈(331)이 형성되는 방열부(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300)은 상기 삽입홈(331)에 대응되는 중공홀(341a)이 형성된 판 형태로 상기 몸체(310) 내부의 상기 방열부(330) 상측에 고정되어 열전달을 방지하는 제1열전달방지부(34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300)은 상기 몸체(310)와 제2이동부(720)의 고정 부분에 열전달을 방지하는 제2열전달방지부(34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장치(1000)는 상기 반응튜브(200)가 안착되며, 상기 반응랙(21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고정되는 튜브고정부(2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장치(1000)는 상기 튜브고정부(220)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반응랙(210)이 각각의 튜브고정부(22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수단(400)은
    상기 열교환관(410)으로 배분되는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유입부(421)와 상기 열교환관(410)을 통과한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배출부(422)가 배분판(423)에 의해 구획되는 매니폴드(420); 및
    상기 매니폴드(420)의 유입부(421) 및 배출부(422)와, 상기 열교환관(410)을 연결하는 연결관(4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장치(1000)는
    상기 열교환수단(400)의 열교환관(410)이 관통되는 제1대응홈(131)이 형성되며, 상측에 상기 매니폴드(420)가 안착되는 보호판(13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130)은 상기 제1대응홈(131)의 일정 영역이 확장되어 상기 연결관(430)이 관통되는 제2대응홈(1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장치.
  12. 제1항 내지 제 11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장치(1000)는 케이스(100)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거나, 흡입하여 배출하는 팬(6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장치(1000)는 상기 팬(600)이 상기 반응튜브(200)의 하측 및 상기 가열수단(300)을 냉각할 수 있는 위치에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 장치.
KR1020120081894A 2012-07-26 2012-07-26 전처리 장치 KR101898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894A KR101898116B1 (ko) 2012-07-26 2012-07-26 전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894A KR101898116B1 (ko) 2012-07-26 2012-07-26 전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709A KR20140013709A (ko) 2014-02-05
KR101898116B1 true KR101898116B1 (ko) 2018-09-12

Family

ID=5026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894A KR101898116B1 (ko) 2012-07-26 2012-07-26 전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1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61859A (zh) * 2020-09-30 2021-01-01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一种分体式耐腐蚀全自动消解装置
KR102612110B1 (ko) * 2023-07-13 2023-12-12 대한민국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7523A1 (fr) 2010-03-22 2011-09-29 Novacyt Procédé automatique et automate de préparation et d'analyse d'une pluralité de suspensions cellulair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128B1 (ko) * 2004-12-21 2006-11-24 (주)인터페이스 엔지니어링 반나선형 가스 유동에 의한 증발 농축 방법 및 이를이용한 농축기
KR101025135B1 (ko) * 2008-04-09 2011-03-31 (주)바이오니아 자동정제장치, 멀티 웰 플레이트 키트 및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핵산을 추출하는 방법
JP5471577B2 (ja) 2010-02-22 2014-04-16 株式会社大林組 有害物質を含む液体の前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7523A1 (fr) 2010-03-22 2011-09-29 Novacyt Procédé automatique et automate de préparation et d'analyse d'une pluralité de suspensions cellulai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709A (ko)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7408B1 (en) Natural circulation type cooling apparatus
US9717161B2 (en) Board assembly including cooling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70031690A (ko) 강력한 중복 가능 누설-방지성의 냉각 엔클러져 벽
US9670886B2 (en) Integrated exhaust gas recirculation cooler
US20120057298A1 (en) Server system with heat dissipation apparatus
EP1793422A3 (en) System and method of enhanced boiling heat transfer using pin fins
KR20100019308A (ko) 냉각 유닛, 랙용 도어, 전자 장치 랙, 냉각 시스템 및 그 구축 방법
JP2001519224A (ja) 流体衝突熱サイクラーのための装置
KR101898116B1 (ko) 전처리 장치
RU2012122226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помещений, а также агрегат теплового насоса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таком устройстве
JP5737995B2 (ja) オートクレーブ及び成形材の加熱硬化方法
CN106457251A (zh) 用于反应的过程和设备
US20080247916A1 (en) Reaction apparatus and reaction chip
CN211645193U (zh) 一种pcr基因扩增仪
JP3217608U (ja) 液冷伝熱装置
WO2008065420A1 (en) Cooling system for ink curing apparatus
JP4628898B2 (ja) 加熱冷却装置
JP6418830B2 (ja) 冷却装置及び多室型熱処理装置
CN206975525U (zh) 一种温度自动控制器
KR101920327B1 (ko) 기판 열처리 장치
CN103282496B (zh) 聚合酶连锁反应的温度设定方法及装置
CN104136109B (zh) 流化层反应器
TWI683368B (zh) 加熱裝置及加熱方法
CN101976661B (zh) 大功率芯片液体冷却装置
KR20160084859A (ko) 배관 구조, 그 배관 구조를 사용한 냉각 장치, 및 냉매 증기 수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