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110B1 -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 - Google Patents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110B1
KR102612110B1 KR1020230091033A KR20230091033A KR102612110B1 KR 102612110 B1 KR102612110 B1 KR 102612110B1 KR 1020230091033 A KR1020230091033 A KR 1020230091033A KR 20230091033 A KR20230091033 A KR 20230091033A KR 102612110 B1 KR102612110 B1 KR 102612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water tank
close contact
seating
perform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1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항수
김혜성
장정국
박주현
박지형
김용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30091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방되며 액상 시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 용적을 갖는 수조 몸체부(100); 상기 수조 몸체부(100)의 상부 개방구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제1 관통구(210)가 형성된 수조 덮개(200); 및 상기 제1 관통구(2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다수 종류의 간이측정기를 직립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홀더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Water Tank For Performance Test of Water Quality Simple Meter}
본 발명은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질 분석을 위한 분석장치 중 휴대가 가능하며 비교적 간단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센서형 측정기인 간이측정기에 대한 성능시험을 위한 수조에 관한 것이다.
수질 간이측정기란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 제9조의3에 따라 수질분석을 위한 측정장비로 형식승인이나 예비형식승인의 대상이 되지 아니하는 측정기기 중 센서형 측정기기 등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측정기기를 말하며, 이를 제작 또는 수입하려는 자는 환경부장관의 성능인증을 받아야 한다.
성능인증이란 환경부령에 따라 지정된 검사기관이 간이측정기의 성능시험을 통하여 인증 등급을 판정하고 성능인증서를 발급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성능시험은 간이측정기에 대하여 반복성(단기간 내 동일한 측정대상을 반복 측정하였을 때 그 측정값의 일치하는 정도), 직선성(선형으로 농도가 변화하는 측정대상을 측정하였을 때 그 측정값이 측정대상의 농도에 비례하여 선형을 나타내는 정도), 온도보상(온도 변화에 따른 측정대상의 농도 변화를 감응할 수 있는 정도), 지시오차(측정대상 (표준시료)을 간이측정기로 측정한 값과 형식승인을 받은 기준측정기로 측정한 값의 오차 정도), 상대정확도(측정대상(현장시료))를 간이측정기로 측정한 값과 형식승인을 받은 기준측정기로 측정한 값의 오차 정도)의 항목에 대하여 시험하는 것을 말한다(간이측정기 성능인증 등에 관한 고시, 국립환경과학원 고시 제2022-46호).
하지만 아직까지 수질 간이측정기의 성능시험을 위한 수조가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성능시험 시에는 수질 간이측정기가 유동하지 않으면서도 직립한 상태를 유지해야 정확한 측정결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을 갖는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가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1-0032233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0131100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3-0043487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3-000791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판매하고자 하는 간이측정기의 성능인증을 위한 성능시험에 사용되는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여러 대의 피시험 장치를 동시에 성능시험할 수 있는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는, 상부가 개방되며 액상 시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 용적을 갖는 수조 몸체부(100); 상기 수조 몸체부(100)의 상부 개방구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제1 관통구(210)가 형성된 수조 덮개(200); 및 상기 제1 관통구(2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다수 종류의 간이측정기를 직립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홀더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에서, 상기 수조 몸체부(100)는 육면체 외형의 수조 본체(110), 및 상기 수조 본체(110)에 구비된 다수개의 밸브(120)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 덮개(200)는 상기 수조 본체(110) 내측면과 밀착하도록 아래를 향해 연장된 제1 연장부(2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에서, 상기 제1 관통구(210) 가장자리 내측면에는 상기 홀더부(300)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안착턱(21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에서, 상기 홀더부(300)는 다수개의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관통구(210)에 밀착되도록 수납되는 제1 홀더(310), 상기 제1 홀더(310) 내측에 밀착되도록 수납되는 제2 홀더(320); 및 상기 제2 홀더(320) 내측에 밀착되도록 수납되는 제3 홀더(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에서, 상기 제1 홀더(310)는 중앙이 뚫려 있으며 상기 제2 안착턱(211)에 밀착되도록 외측 가장자리 저면에는 제1 단차부(311)가 구비되는 한편 내측 가장자리에는 제3a 안착턱(31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홀더(320)는 중앙이 뚫려 있으며 상기 제3a 안착턱(312)에 밀착되도록 외측 가장자리 저면에는 제2 단차부(321)가 구비되는 한편 내측 가장자리에는 제3b 안착턱(32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3 홀더(330)는 중앙이 뚫려 있으며 상기 제3b 안착턱(322)에 밀착되도록 외측 가장자리 저면에는 제3 단차부(331)가 구비되는 한편 내측 가장자리에는 제3c 안착턱(33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에서, 상기 제1 홀더(310) 내지 제3 홀더(330) 가장자리 상면에는 내경 또는 단면적을 표시하는 제1 표시부(313) 내지 제3 표시부(333)가 각각 새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에서, 상기 제1 홀더(310) 내지 제3 홀더(330)는 실리콘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에서, 상기 수조 본체(110) 내측면 일정 위치에는 제1 안착턱(1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안착턱(111)에 의해 지지되는 보조 덮개(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에서, 상기 보조 덮개(400)는 상기 수조 덮개(200)의 제1 관통구(210)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며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제4 안착턱(411)이 마련된 다수개의 제2 관통구(4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에서, 상기 제2 관통구(410)에는 상기 홀더부(30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홀더부(300)는 상기 제2 관통구(410)에 밀착되도록 수납되는 제1 홀더(310), 상기 제1 홀더(310) 내측에 밀착되도록 수납되는 제2 홀더(320); 및 상기 제2 홀더(320) 내측에 밀착되도록 수납되는 제3 홀더(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에서, 상기 제1 홀더(310)는 중앙이 뚫려 있으며 상기 제4 안착턱(411)에 밀착되도록 외측 가장자리 저면에는 제1 단차부(311)가 구비되는 한편 내측 가장자리에는 제3a 안착턱(31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홀더(320)는 중앙이 뚫려 있으며 상기 제3a 안착턱(312)에 밀착되도록 외측 가장자리 저면에는 제2 단차부(321)가 구비되는 한편 내측 가장자리에는 제3b 안착턱(32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3 홀더(330)는 중앙이 뚫려 있으며 상기 제3b 안착턱(322)에 밀착되도록 외측 가장자리 저면에는 제3 단차부(331)가 구비되는 한편 내측 가장자리에는 제3c 안착턱(33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에 의하면, 수조 본체에는 다수개의 관통구가 마련되어 있어 다수의 피시험 장치를 동시에 성능시험할 수 있고 이는 소요 인력과 시간 절약에 기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에 의하면, 수조 본체의 관통구에는 피시험 장치의 외경이나 단면적에 부합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홀더부가 구비되어 있어 피시험 장치의 외형에 따른 제약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에 의하면, 수조 본체와 보조 덮개에는 외경이나 단면적 조절이 가능한 홀더부가 장착된 관통구가 마련되어 있어 피시험 장치가 최대한 직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는 측정 결과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를 일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를 타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를 Ⅰ-Ⅰ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홀더부의 분해 사시도(a)와 결합 단면도(b)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에 간이측정기가 수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를 일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를 타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를 Ⅰ-Ⅰ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는 수조 몸체부(100), 수조 덮개(200), 홀더부(300) 및 보조 덮개(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수조 몸체부(100)는 성능시험이 필요한 간이측정기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액상 시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 용적을 갖는 수조 본체(110)와, 수조 본체(110)에 구비된 다수개의 밸브(120), 예를 들어 제1 밸브(121), 제2 밸브(122) 및 제3 밸브(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수개의 밸브(120)는 성능시험에 필요한 액상 시료의 공급, 성능시험이 끝난 액상 시료의 배출 또는 수조 본체(110) 내부의 액상 시료 농도가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순환시키기 등의 용도로 사용되며, 비록 도면에서는 밸브가 3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얼마든지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한편, 수조 본체(110) 내측면 일정 위치에는 내부를 향해 돌출한 제1 안착턱(11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수조 본체(110) 내부 공간에 수납되는 보조 덮개(4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비록 수조 본체(110)의 외형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설치될 공간의 제약이 적은 육면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조 본체(11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성능 테스트가 필요한 수질 측정기로서 pH 측정기, 잔류염소 측정기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내화학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예로 PVC가 바람직하다. 물론 성능 테스트가 필요한 수질 측정기는 이에 제한하지 않으며, 탁도계 및 용존산소 측정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은 수조 덮개(2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수조 몸체부(100)의 상부 개방구,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 본체(110)의 상부 개방구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조 덮개(200)에는 일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일정 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제1 관통구(21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관통구(210)는 테스트가 필요한 수질 측정기가 수조 본체(110) 내에서 직립하게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서는 제1 관통구(210)가 원형이며 6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형상 및 개수는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제1 관통구(210) 가장자리 내측면에는 내부를 향해 돌출한 제2 안착턱(211)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는 홀더부(3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 수조 덮개(200)에는 수조 본체(110) 내측면과 밀착하도록 아래를 향해 연장된 제1 연장부(2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조 본체(110)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손잡이(230)가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연장부(220)가 구비될 시, 수조 본체(110)에 정확하게 안착시키는 것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안착된 이후 수조 덮개(200)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어 측정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수조 덮개(20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성능 테스트가 필요한 수질 측정기로서 pH 측정기, 잔류염소 측정기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수조 본체(110)와 동일한 내화학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부(300)는 수질 측정기가 수조 본체(110) 내에서 직립하게 위치하도록 도와주기 위한 것으로 구성이다. 수질 측정기는 제1 관통구(210)에 의해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지만, 성능 테스트가 필요한 수질 측정기 별로 외경 또는 단면적이 상이하기 때문에, 측정시마다 제1 관통구(210)를 달리하는 수조 덮개(200)를 준비하는 것은 곤란하다.
제1 관통구(2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부(300)는 내경 또는 단면적을 변경할 수 있어, 간이측정기의 외경이 상이하더라도 동시에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다.
도 5는 홀더부의 분해 사시도(a)와 결합 단면도(b)이다. 도 5를 함께 참조하면서 홀더부(300)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관통구(210)와 형상이 동일한 홀더부(300)는 내경 또는 단면적이 상이한 다수개의 홀더들, 예를 들어 제1 홀더(310), 제2 홀더(320), 제3 홀더(330) 및 제4 홀더(340)를 포함한다.
제1 홀더(310)는 최외곽에 위치하는데 전술한 제1 관통구(210)의 제2 안착턱(211)에 밀착 지지되어 제1 관통구(2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제1 홀더(310)는 중앙이 뚫려 있으며 제2 안착턱(211)에 밀착되도록 외측 가장자리 저면에는 제1 단차부(311)가 구비되는 한편 내측 가장자리에는 중앙을 연장된 제3a 안착턱(312)이 구비되어 있다.
제2 홀더(320)는 제1 홀더(310) 내측에 밀착되도록 수납되는데, 중앙이 뚫려 있으며 제1 홀더(310)의 제3a 안착턱(312)에 밀착되도록 외측 가장자리 저면에는 제2 단차부(321)가 구비되는 한편 내측 가장자리에는 중앙을 향해 연장된 제3b 안착턱(322)이 구비되어 있다.
제3 홀더(330)는 제2 홀더(320) 내측에 밀착되도록 수납되는데, 중앙이 뚫려 있으며 제2 홀더(320)의 제3b 안착턱(322)에 밀착되도록 외측 가장자리 저면에는 제3 단차부(331)가 구비되는 한편 내측 가장자리에는 중앙을 향해 연장된 제3c 안착턱(332)이 구비되어 있다.
또 제4 홀더(340)는 제3 홀더(330) 내측에 밀착되도록 수납되는데, 중앙이 뚫려 있으며 제3 홀더(330)의 제3c 안착턱(332)에 밀착되도록 외측 가장자리 저면에는 제4 단차부(341)가 구비되어 있는 한편 내측 가장자리에는 중앙을 향해 연장된 제3d 안착턱(342)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각 홀더의 내경 또는 단면적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1 홀더(310) 내지 제4 홀더(340) 상면에는 숫자 등의 제1 표시부(313), 제2 표시부(323), 제3 표시부(333) 및 제4 표시부(343)가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홀더부(300)가 제1 관통구(210)에 구비될 시, 성능 테스트가 필요한 수질 측정기들의 외경이나 단면적이 상이하더라도 이에 부합되는 홀더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수조 덮개(200) 또는 제1 관통구를 새로이 형성시킬 필요가 없다.
수조 본체(110)에 채워지는 액체의 종류를 고려할 때, 홀더부(300)는 스테인리스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질 측정기 외면과의 밀착력을 고려할 때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은 보조 덮개(4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보조 덮개(400)는 수조 본체(110) 내측면 일정 위치의 제1 안착턱(111)에 의해 지지되는데, 수질 측정기가 수조 본체(110) 내에서 확실하게 직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보조 덮개(400)는 수조 덮개(200)의 제1 관통구(210)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제2 관통구(410)가 형성되는 한편, 수조 본체(110) 내에서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 인근 저면에는 아래를 향해 연장된 제2 연장부(420)가 수조 본체(110) 내면과 밀착하도록 결합된다.
또 제2 관통구(410)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전술한 홀더부(300)를 탈부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제4 안착턱(411)이 구비되어 있고, 홀더부(300)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수조 본체(110) 내부 공간부에 구획판(130)이 추가적으로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수조 본체(110) 내부 공간부를 분할하는 구획판(130)이 구비될 시에는 2종류의 측정기를 동시에 테스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구획판(130)을 경계로 일측에는 pH 측정기를 테스트하고 타측에는 잔류염소 측정기를 테스트할 수 있다. 물론 pH 측정기를 테스트할 시에는 특정 pH가 되도록 조절한 액상 시료가 구획판(130) 일측 공간부에 채워지고, 잔류염소 측정기를 테스트할 시에는 특정 농도의 잔류염소가 되도록 조절한 액상 시료가 구획판(130) 타측 공간부에 채워진다.
비록 도면에서는 구획판이 1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얼마든지 증감이 가능함은 자명하고, 성능 테스트가 필요한 수질 측정기로서 pH 측정기, 잔류염소 측정기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구획판(130)은 수조 본체(110)와 동일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에 간이측정기가 수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 본체(110)에는 테스트 항목에 해당되는 수질의 시료, 즉 표준시료가 채워져 있고, 제1 간이측정기(A), 제2 간이측정기(B) 및 제3 간이측정기(C)는 수조 덮개(200)의 제1 관통구(210)와 보조 덮개(400)의 제2 관통구(410)에 장착되어 있는 홀더부(300)를 관통한 채 수직하게 세워진다.
이때 제1 간이측정기(A) 내지 제3 간이측정기(C)의 외경이 상이할 시, 해당 간이측정기가 유동하지 않고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홀더부를 구성하는 각 홀더의 개수를 조절한다.
일정 시간 방치하면서 해당 간이측정기의 측정값을 확인하여 성능인증 여부를 결정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수조 몸체부
110: 수조 본체
111: 제1 안착턱
120: 밸브
121: 제1 밸브 122: 제2 밸브
123: 제3 밸브
130: 구획판
200: 수조 덮개
210: 제1 관통구 211: 제2 안착턱
220: 제1 연장부
230: 손잡이
300: 홀더부
310: 제1 홀더
311: 제1 단차부 312: 제3a 안착턱
313: 제1 표시부
320: 제2 홀더
321: 제2 단차부 322: 제3b 안착턱
323: 제2 표시부
330: 제3 홀더
331: 제3 단차부 332: 제3c 안착턱
333: 제3 표시부
340: 제4 홀더
341: 제4 단차부 342: 제3d 안착턱
343: 제4 표시부
400: 보조 덮개
410: 제2 관통구 411: 제4 안착턱
420: 제2 연장부
A: 제1 간이측정기
B: 제2 간이측정기
C: 제3 간이측정기

Claims (11)

  1. 상부가 개방되며 액상 시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 용적을 갖는 수조 몸체부(100);
    상기 수조 몸체부(100)의 상부 개방구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제1 관통구(210)가 형성된 수조 덮개(200); 및
    상기 제1 관통구(2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다수 종류의 간이측정기를 직립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홀더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수조 몸체부(100)는 육면체 외형의 수조 본체(110), 및 상기 수조 본체(110)에 구비된 다수개의 밸브(120)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 덮개(200)는 상기 수조 본체(110) 내측면과 밀착하도록 아래를 향해 연장된 제1 연장부(22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관통구(210) 가장자리 내측면에는 상기 홀더부(300)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안착턱(211)이 구비되며,
    상기 홀더부(300)는 다수개의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관통구(210)에 밀착되도록 수납되는 제1 홀더(310), 상기 제1 홀더(310) 내측에 밀착되도록 수납되는 제2 홀더(320); 및 상기 제2 홀더(320) 내측에 밀착되도록 수납되는 제3 홀더(3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더(310)는 중앙이 뚫려 있으며 상기 제2 안착턱(211)에 밀착되도록 외측 가장자리 저면에는 제1 단차부(311)가 구비되는 한편 내측 가장자리에는 제3a 안착턱(31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홀더(320)는 중앙이 뚫려 있으며 상기 제3a 안착턱(312)에 밀착되도록 외측 가장자리 저면에는 제2 단차부(321)가 구비되는 한편 내측 가장자리에는 제3b 안착턱(32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3 홀더(330)는 중앙이 뚫려 있으며 상기 제3b 안착턱(322)에 밀착되도록 외측 가장자리 저면에는 제3 단차부(331)가 구비되는 한편 내측 가장자리에는 제3c 안착턱(33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310) 내지 제3 홀더(330) 가장자리 상면에는 내경 또는 단면적을 표시하는 제1 표시부(313) 내지 제3 표시부(333)가 각각 새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310) 내지 제3 홀더(330)는 실리콘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본체(110) 내측면 일정 위치에는 제1 안착턱(1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안착턱(111)에 의해 지지되는 보조 덮개(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덮개(400)는 상기 수조 덮개(200)의 제1 관통구(210)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며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제4 안착턱(411)이 마련된 다수개의 제2 관통구(4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구(410)에는 상기 홀더부(30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홀더부(300)는 상기 제2 관통구(410)에 밀착되도록 수납되는 제1 홀더(310), 상기 제1 홀더(310) 내측에 밀착되도록 수납되는 제2 홀더(320); 및 상기 제2 홀더(320) 내측에 밀착되도록 수납되는 제3 홀더(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310)는 중앙이 뚫려 있으며 상기 제4 안착턱(411)에 밀착되도록 외측 가장자리 저면에는 제1 단차부(311)가 구비되는 한편 내측 가장자리에는 제3a 안착턱(31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홀더(320)는 중앙이 뚫려 있으며 상기 제3a 안착턱(312)에 밀착되도록 외측 가장자리 저면에는 제2 단차부(321)가 구비되는 한편 내측 가장자리에는 제3b 안착턱(32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3 홀더(330)는 중앙이 뚫려 있으며 상기 제3b 안착턱(322)에 밀착되도록 외측 가장자리 저면에는 제3 단차부(331)가 구비되는 한편 내측 가장자리에는 제3c 안착턱(33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
KR1020230091033A 2023-07-13 2023-07-13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 KR102612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1033A KR102612110B1 (ko) 2023-07-13 2023-07-13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1033A KR102612110B1 (ko) 2023-07-13 2023-07-13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110B1 true KR102612110B1 (ko) 2023-12-12

Family

ID=89159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1033A KR102612110B1 (ko) 2023-07-13 2023-07-13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11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0237A (ja) * 2002-03-13 2003-09-25 Toshiba Corp 水質検出装置
KR100837837B1 (ko) * 2007-11-02 2008-06-13 일호기전(주) 수질 오염 총량 분석 통합장치용 시료수 탱크
KR20140013709A (ko) * 2012-07-26 2014-02-05 주식회사 지티사이언 전처리 장치
KR20160110701A (ko) * 2015-03-11 2016-09-22 케이맥(주) 막 기반 다중튜브를 포함하는 생체 물질 분석 장치
KR101685531B1 (ko) * 2015-07-22 2016-12-12 서정범 수질 측정기용 센서 홀더
KR20200131100A (ko) 2019-05-13 2020-11-23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물 재이용을 위한 고도산화공정 성능 평가 방법 및 장치
KR20210032233A (ko) 2019-09-16 2021-03-24 한국전력공사 이산화탄소 흡수제 성능평가장치 및 성능평가 방법
KR20230007911A (ko) 2021-07-06 2023-01-13 수경화학 주식회사 수전해 평가 장치 및 방법
KR20230043487A (ko) 2021-09-24 2023-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온 전지의 안전성 평가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0237A (ja) * 2002-03-13 2003-09-25 Toshiba Corp 水質検出装置
KR100837837B1 (ko) * 2007-11-02 2008-06-13 일호기전(주) 수질 오염 총량 분석 통합장치용 시료수 탱크
KR20140013709A (ko) * 2012-07-26 2014-02-05 주식회사 지티사이언 전처리 장치
KR20160110701A (ko) * 2015-03-11 2016-09-22 케이맥(주) 막 기반 다중튜브를 포함하는 생체 물질 분석 장치
KR101685531B1 (ko) * 2015-07-22 2016-12-12 서정범 수질 측정기용 센서 홀더
KR20200131100A (ko) 2019-05-13 2020-11-23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물 재이용을 위한 고도산화공정 성능 평가 방법 및 장치
KR20210032233A (ko) 2019-09-16 2021-03-24 한국전력공사 이산화탄소 흡수제 성능평가장치 및 성능평가 방법
KR20230007911A (ko) 2021-07-06 2023-01-13 수경화학 주식회사 수전해 평가 장치 및 방법
KR20230043487A (ko) 2021-09-24 2023-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온 전지의 안전성 평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7827A (en) Gravimetric absorbency tester
CN103512821A (zh) 一种电池隔膜吸液率的测试方法
KR102612110B1 (ko) 수질 측정기의 성능 테스트용 수조
CN107421475A (zh) 一种用于薄壁钢管分层检测和测厚的超声检测装置
CN107271345B (zh) 一种两法联合标定氧气透过量标准膜及其制备方法
CN206121804U (zh) 实验台
CN101799392B (zh) 一种便携式表面张力测定仪
CN108152176B (zh) 一种雾滴传感器标定装置及其标定方法
JP3215970U (ja) 計量器
KR101845066B1 (ko) 강우량 측정계 검증장치
CN108375558A (zh) 用于校准生物通量的方法和装置
CN109991392B (zh) 一种用于土工试验液塑限联合测定的三瓣皿及测试方法
CN207066372U (zh) 一种用于薄壁钢管分层检测和测厚的超声检测装置
CN210981450U (zh) 校验装置
CN205642340U (zh) 一种用于检定楼板厚度测量仪的装置
JP2002039752A (ja) 水準器
CN207963829U (zh) 一种圆丝焊带涂层厚度测量装置
CN115077760B (zh) 一种残余应力测试辅助装置及测试方法
CN207764084U (zh) 一种测试仪
CN212843816U (zh) 测量极片体积的容器
CN104833608A (zh) 一种烟用接装纸总迁移量的测定方法
US9746485B2 (en) Automatic blood coagulation analysis device
US11378435B2 (en) Device and method for evaluating amount of biological sample in a specimen container
JP3071450U (ja) 水平垂直器
CN202382695U (zh) 纵轴垂直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