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100B1 -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 - Google Patents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100B1
KR102353100B1 KR1020190154457A KR20190154457A KR102353100B1 KR 102353100 B1 KR102353100 B1 KR 102353100B1 KR 1020190154457 A KR1020190154457 A KR 1020190154457A KR 20190154457 A KR20190154457 A KR 20190154457A KR 102353100 B1 KR102353100 B1 KR 102353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module
laser beam
rotation modu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5566A (ko
Inventor
김미영
Original Assignee
(주)자이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이선 filed Critical (주)자이선
Priority to KR1020190154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10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5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H13/0043Directed energy weapons, i.e. devices that direct a beam of high energy content toward a target for incapacitating or destroying the target
    • F41H13/005Directed energy weapons, i.e. devices that direct a beam of high energy content toward a target for incapacitating or destroying the target the high-energy beam being a laser bea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정된 목표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illuminator)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야간에는 창문에 적색 레이저를 조사하여 외부 침입을 억제하고, 주간에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호기심을 유발시켜 반려동물이 혼자 놀 수 있도록 하는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AUTO LASER ILLUMINATOR}
본 발명은 지정된 목표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illuminator)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야간에는 창문에 적색 레이저를 조사하여 외부 침입을 억제하고, 주간에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호기심을 유발시켜 반려동물이 혼자 놀 수 있도록 하는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에는 반려동물을 기르는 인구가 1,000만 명을 넘어설 정도로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이 점점 늘어나고 있고, 점차 확산되는 1인 가구 및 노령 인구의 증가로 인해 반려동물을 기르는 인구 수 또한 급속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바쁜 생활에 쫓겨 자신의 반려동물을 돌볼 시간이 부족하며, 이러한 결과로 반려동물을 오랜 시간 홀로 방치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이, 반려동물을 오랜 시간 홀로 방치하게 되고 반려동물과 주인 간의 교감이 부족한 경우에는 반려동물에게 운동부족, 비만, 당뇨 등의 육체적 질환뿐 아니라, 우울증, 정서불안 등과 같은 정신적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주인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반려동물의 경우, 주인이 외출한 뒤 집안을 어지럽히거나 배변훈련이 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집안 곳곳에 용변을 보는 등 이상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이에 주인의 부재시, 반려동물이 무료하지 않도록 TV를 켜 두거나 반려동물이 가지고 놀 수 있는 장난감을 두고 나오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TV나 장난감은 활동성이 강하고, 집중력이 약한 반려동물의 관심을 장시간 유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처럼 주인 부재시 홀로 집안에 남아 있는 반려동물에게 놀잇감을 제공하기 위해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70624호에서는 애완동물용 놀이로봇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공개특허 제10-2015-0070624호에서 제안된 애완동물용 놀이로봇은 애완동물의 이동동선을 따라 청소를 해주는 청소겸용 놀이로봇으로서 실질적으로 애완동물과 교감하는 능력이 떨어져 애완동물의 놀잇감으로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한편, 해마다 명절이나 여름 휴가철이 되면, 아무도 없는 집을 노려 금품을 털어가는 빈집털이 범죄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휴가철인 7~8월에는 평소보다 빈집털이 범죄가 20~30% 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빈집털이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출입문이나 창문 단속을 철저하게 하는 한편, 도어락 비밀번호를 변경하고, 신문이나 택배 등이 쌓이지 않도록 사전 조치를 하며, 조명이나 TV 예약기능을 활용하여 집안에서 소리가 나도록 하거나 작은 조명을 하나 정도 켜 두는 방식이 알려져 있으나, 그 효과는 미흡한 실정에 있다.
KR 10-2015-0070624 A, 2015. 06. 25. KR 10-1991039 B1, 2019. 06. 13.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양한 레이저 패턴 및 간헐적 레이저 스팟 등을 발생시켜 자연스럽게 반려동물의 관심을 유도하여 장시간 홀로 방치되는 반려동물이 즐겁게 혼자 놀 수 있도록 놀잇감을 제공하는 한편, 야간에는 창문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외부인의 침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된 하우징; 상기 베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를 축으로 상기 하우징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좌우 회전모듈;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모듈;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 모듈을 상하로 회전시키는 상하 회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좌우 회전모듈은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제1 구동모터와, 상기 제1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축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하우징이 고정되어 상기 제1 구동모터의 구동시 회전하여 상기 하우징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제1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 회전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 일측에 고정 설치된 제2 구동모터와, 상기 제2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축 결합되고 일측에는 상기 레이저 모듈이 고정되어 상기 제2 구동모터의 구동시 회전하여 상기 레이저 모듈을 상하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설치되어 시간을 표시하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야간에는 레이저 빔이 창문 또는 커튼에 조사되도록 상기 좌우 회전모듈과 상기 상하 회전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레이저 모듈이 창문측으로 향하도록 이동시키고, 주간에는 레이저 빔이 반려동물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소정 위치로 조사되도록 상기 좌우 회전모듈과 상기 상하 회전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 및 상기 레이저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레이저 빔의 형상 및 색상을 조정하는 레이저 출력 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저 모듈을 통해 소정 위치에 레이저 빔을 조사한 후 이 레이저 빔에 반응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좌우 회전모듈과 상기 상하 회전모듈의 동작을 제어하여 현재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위치에서 설정된 공간좌표 만큼 레이저 빔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상기 레이저 모듈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반려동물의 주인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저 모듈이 동작하는 중에 상기 움직임 센서에 의해 상기 반려동물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음향 출력부를 매개로 기녹음된 주인의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관심과 호기심을 유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간에 실내 곳곳에 다양한 소리, 다양한 레이저 패턴 및 간헐적 레이저 스팟 등을 발생시켜 자연스럽게 반려동물의 관심을 유도하고 장시간 동안 반려동물에게 즐거운 놀잇감을 제공하여 홀로 방치되는 반려동물의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한편, 야간에는 창문(또는, 커튼)에 레이저 스팟을 발생시켜 외부인으로부터의 침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가 베이스 내부에 내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의 부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의 야간 동작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의 주간 동작특성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과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10)는 베이스(11)와, 베이스(11)의 상부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하우징(12)과, 하우징(12)의 내측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하우징(12)의 외부로 다양한 패턴 또는 간헐적인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모듈(13)을 포함한다.
베이스(11)는 상부로 볼록한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책상이나 탁자 등에 안정적으로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바닥면이 평평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하우징(12)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좌우 회전모듈(14)이 설치되어 있다.
좌우 회전모듈(14)은 도 2와 같이, 베이스(11)의 내부에 수용된 제1 구동모터(141)와, 하부가 제1 구동모터(141)의 구동축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하우징(12)이 고정 설치되어 제1 구동모터(141)의 구동시 이와 연동하여 베이스(11)를 축으로 하우징(12)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회전체(142)를 포함한다.
하우징(12)은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레이저 모듈(13)을 상하로 회전시키는 상하 회전모듈(15)이 설치되고, 상하 회전모듈(15)에는 레이저 모듈(13)이 장착되어 상하 회전모듈(15)에 의해 상하로 회전한다.
이러한 하우징(12)은 도 2와 같이, 레이저 모듈(13)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외부로 투과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전면커버(121)와, 전면커버(121)의 후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후면커버(122)를 포함한다.
전면커버(121)는 후면커버(122)와 마찬가지로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후면커버(122)와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후면부에 형성된 나사홈을 통해 후면커버(122)와 나사 결합되거나, 혹은 별도의 나사부재 등을 통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커버(121)는 투명한 아크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후면커버(122)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의 플라스틱, 혹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와 같이, 후면커버(122)의 내측 일측면에는 상하 회전모듈(15)이 고정 설치된다.
상하 회전모듈(15)은 제2 구동모터(151)와, 일측부(좌측부)가 제2 구동모터(151)의 구동축에 결합되고 타측부(우측부)에는 레이저 모듈(13)이 장착되어 제2 구동모터(151)와 연동하여 레이저 모듈(13)을 회전시키는 제2 회전체(15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회전체(142, 152)는 각각 원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회전체(152)의 타측부에는 제2 회전체(152)가 회전할 때 레이저 모듈(13)이 제2 회전체(15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 방지판(153)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11)의 일측부에는 시간을 표시하는 타이머(16)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가 베이스 내부에 내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타이머(16)는 도 1과 같이, 베이스(11)의 외부에 설치되거나, 혹은 도 3과 같이, 베이스(11)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베이스(11)의 내부에 내장되는 경우 외부에서 타이머(16)를 볼 수 있도록 베이스(11)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의 부가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10)는 기본적으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7)와, 전원부(17)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18)를 포함한다.
또한, 스위치(18)의 턴-온/오프 스위칭 동작에 의해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9)를 포함한다.
또한, 레이저 모듈(13)에서 출력되는 레이저 빔의 패턴, 색상 및 세기(밝기)를 조정하는 레이저 출력 조정부(21)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22)와,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7)는 충전용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8)는 베이스(11) 또는 하우징(12)의 외측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버튼식 또는 터치식 스위치일 수 있다.
제어부(19)는 베이스(11)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PCB)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구동칩과,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한편,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위해 능동 및 수동소자로 이루어진 회로부를 포함한다.
제어부(19)는 스위치(18)의 턴-온 동작시 구동하여 좌우 회전모듈(14), 상하 회전모듈(15) 및 레이저 모듈(13)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9)는 타이머(16), 조도센서(22) 및 움직임 센서(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과 연동하여 좌우 회전모듈(14), 상하 회전모듈(15) 및 레이저 모듈(13)을 구동시킬 수 있다.
타이머(16)는 현재 시간을 표시하는 시계로서, LED 또는 LCD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고, 조도센서(22)는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고, 움직임 센서(23)는 주변의 사물, 즉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어부(19)로 감지신호를 제공한다.
제어부(19)는 타이머(16)를 통해 설정된 시간 동안 좌우 회전모듈(14) 및 상하 회전모듈(15)을 제어하여 레이저 모듈(13)을 통해 설정된 공간좌표(X, Y, Z)로 레이저 빔을 조사한다. 예를 들어, 야간에는 창문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외부 침입을 억제하고, 주간에는 레이저 빔을 특정 위치에 조사하여 반려동물의 호기심을 유발시킨다.
주간 및 야간에 레이저 모듈(13)으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공간좌표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거나, 혹은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10) 제작시 프로그램화되어 메모리(미도시)에 기등록 저장된 후 구동시 제어부(19)에 의해 일정 패턴(주기)으로 반복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레이저 모듈(13)을 통해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형상, 색상, 위치 및 반복 회수 등은 일정한 패턴으로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의 동작특성을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5는 야간, 도 6은 주간 동작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9)는 야간에 좌우 회전모듈(14)과 상하 회전모듈(15)을 제어하여 레이저 모듈(13)을 통해 창문(1)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도록 한다. 이때, 레이저 모듈(13)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은 적색을 띄는 레이저 빔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9)는 주간에 좌우 회전모듈(14)과 상하 회전모듈(15)을 제어하여 레이저 모듈(13)을 통해 특정 형상 및 색상을 갖는 레이저 빔을 소정 위치, 예를 들면 거실 바닥 등으로 조사한다. 이때, 레이저 모듈(13)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형상 및 색상은 반려동물(2)의 시각적인 자극을 통해 반려동물의 호기심을 유발시키기 위해 레이저 출력 조정부(21)를 통해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19)는 반려동물의 호기심을 극대화하기 위해, 소정 위치에 레이저 빔을 조사한 상태에서, 이 레이저 빔에 반응하여 반려동물(2)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좌우 회전모듈(14)과 상하 회전모듈(15)의 동작을 제어하여 현재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위치에서 설정된 공간좌표 만큼 위치를 이동시킨다. 즉, 좌우 회전모듈(14)과 상하 회전모듈(15)을 동작시켜 레이저 모듈(13)을 설정된 공간좌표로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10)는 주인의 부재시 실내의 곳곳에 다양한 패턴 또는 간헐적인 레이저 스팟을 조사함으로써 홀로 방치된 반려동물에게 즐거운 놀잇감이 될 수 있고, 야간에는 창문(또는 커튼)에 레이저 스팟을 발생시켜 빈집털이범과 같이 외부인의 침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레이저 모듈(13)에 의해 형성되는 레이저 빔의 조사시간, 위치 이동, 형상 및 색상이나 패턴 등은 기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이 가능한데, 이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하여 외출하거나, 외출 후에 외부에서 원격으로도 조종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원격 조정은 사용자 단말기(스마트폰)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10)에는 사물인터넷(IoT)이 설치되고, 사용자 단말기에는 이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 별도로 어플리케이션(앱)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프로그램에 의한 동작 및 외부에서의 원격 조종을 위해, 베이스(11)에는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커넥터,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커넥터 및 기본적인 또는 추가적인 메모리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카드 슬롯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음향 출력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4)는 제어부(19)에 의해 제어되어 알람 기능뿐만 아니라, 기 녹음된 반려동물의 주인의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9)는 레이저 모듈(13)이 동작하는 중에 레이저 빔에 반응하지 않고 움직임 센서(23)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반려동물(2)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음향 출력부(24)를 매개로 기녹음된 주인의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반려동물의 관심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반려동물에게 시각적 효과와 청각적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여 레이저 만으로는 반려동물의 관심을 장시간 끌고 가는데 오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창문 2 : 반려동물
10 :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 11 : 베이스
12 : 하우징 13 : 레이저 모듈
14 : 좌우 회전모듈 15 : 상하 회전모듈
16 : 타이머(시계) 17 : 전원부
18 : 스위치 19 : 제어부
21 : 레이저 출력 조정부 22 : 조도센서
23 : 움직임 센서 24 : 음향 출력부
141 : 제1 구동모터 142 : 제1 회전체
151 : 제2 구동모터 152 : 제2 회전체

Claims (5)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된 하우징;
    상기 베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를 축으로 상기 하우징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좌우 회전모듈;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모듈;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 모듈을 상하로 회전시키는 상하 회전모듈; 및
    상기 베이스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설치되어 시간을 표시하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야간에는 레이저 빔이 창문 또는 커튼에 조사되도록 상기 좌우 회전모듈과 상기 상하 회전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레이저 모듈이 창문측으로 향하도록 이동시키고, 주간에는 레이저 빔이 반려동물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소정 위치로 조사되도록 상기 좌우 회전모듈과 상기 상하 회전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회전모듈은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제1 구동모터와, 상기 제1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축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하우징이 고정되어 상기 제1 구동모터의 구동시 회전하여 상기 하우징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제1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 회전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 일측에 고정 설치된 제2 구동모터와, 상기 제2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축 결합되고 일측에는 상기 레이저 모듈이 고정되어 상기 제2 구동모터의 구동시 회전하여 상기 레이저 모듈을 상하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 및
    상기 레이저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레이저 빔의 형상 및 색상을 조정하는 레이저 출력 조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저 모듈을 통해 소정 위치에 레이저 빔을 조사한 후 이 레이저 빔에 반응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좌우 회전모듈과 상기 상하 회전모듈의 동작을 제어하여 현재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위치에서 설정된 공간좌표 만큼 레이저 빔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상기 레이저 모듈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반려동물의 주인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저 모듈이 동작하는 중에 상기 움직임 센서에 의해 상기 반려동물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음향 출력부를 매개로 기녹음된 주인의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관심과 호기심을 유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
KR1020190154457A 2019-11-27 2019-11-27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 KR102353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457A KR102353100B1 (ko) 2019-11-27 2019-11-27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457A KR102353100B1 (ko) 2019-11-27 2019-11-27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566A KR20210065566A (ko) 2021-06-04
KR102353100B1 true KR102353100B1 (ko) 2022-01-19

Family

ID=76391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457A KR102353100B1 (ko) 2019-11-27 2019-11-27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100B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0624A (ko) 2013-12-17 2015-06-25 임승권 애완동물용 놀이로봇
TWM485754U (zh) * 2014-04-29 2014-09-11 Wondereye Technology Corp 多功能寵物玩具
KR20160002491U (ko) * 2015-01-07 2016-07-15 손명환 원격으로 조작과 관찰이 가능한 애완동물 놀이 로봇
KR20160120005A (ko) * 2015-04-07 2016-10-17 고명아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 및 그 원격 조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KR101781372B1 (ko) * 2015-10-19 2017-09-25 장민준 터치 센서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장난감
KR20180089241A (ko) * 2017-01-31 2018-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애완동물 돌봄 장치
KR101991039B1 (ko) 2017-08-25 2019-06-19 울산과학기술원 반려동물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53683A (ko) * 2017-11-10 2019-05-20 추명호 애완동물의 동작 제어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게시물, "5 Cat Laser Toys that Provide Them with Hours of Fun(2019.09.30.) (Url : toypetreviews.com/cat-laser-to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566A (ko) 2021-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7878B2 (en)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monitoring birds
US9137974B2 (en)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feeding birds
US20180077904A1 (en) Toy and App for Remotely Viewing and Playing with a Pet
US4930236A (en) Passive infrared display devices
US20160306603A1 (en) Interactive display system for swimming pools
US10546476B2 (en) Safety device for break-in-prevention
KR102353100B1 (ko)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
US9663966B1 (en) Interactive door knob
CN203467383U (zh) 全智能宠物箱
KR20080075268A (ko)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동작하는 로봇 완구
US7967459B2 (en) Activation device
KR20170071666A (ko)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
GB2255217A (en) Bird scaring apparatus
GB2555204A (en) A display assembly
US5322717A (en) Animated outdoor ornament
KR20150020954A (ko) 감정적 반응을 표현하는 청소로봇
US10518183B2 (en) Light-up toy with motion sensing capabilities
JP7228923B2 (ja) 野生動物撃退装置
CN205535493U (zh) 电子蜡烛及其火焰模拟组件
CN102246704A (zh) 夜间宠物玩具
JP4830735B2 (ja) 加湿装置の給水タンク用残水表示方法
US20070087658A1 (en) Interactive toy including transparent container
KR102123009B1 (ko) 펫 케어 장치
US11602233B2 (en) Digital shadow box
McAndrew Evolutionary psychology explains why haunted houses creep us o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