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958B1 -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 - Google Patents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958B1
KR102352958B1 KR1020200013692A KR20200013692A KR102352958B1 KR 102352958 B1 KR102352958 B1 KR 102352958B1 KR 1020200013692 A KR1020200013692 A KR 1020200013692A KR 20200013692 A KR20200013692 A KR 20200013692A KR 102352958 B1 KR102352958 B1 KR 102352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cg
card
barcode
offline
problem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9843A (ko
Inventor
박성옥
Original Assignee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3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958B1/ko
Publication of KR20210099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xic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프라인에서 문제상황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TCG 시스템, 상기 오프라인의 TCG 활동을 인식하는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 TCG 활동에 대한 결과를 인식한 후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으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시키는 환경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과 연동하여 모듈을 교체하고 바코드를 관리하는 모듈 교체 시스템을 포함하고, 오프라인 TCG 시스템,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 환경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모듈 교체 시스템이 상호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TCG 활동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An on-off line instruction platform}
본 발명은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생 교육을 위하여, 오프라인 활동을 쉽게 온라인 환경으로 전환하여 수업 참여자의 학습 동기 유발 및 흥미를 끌기 위한 TCG 게임 및 장치를 결합한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업 플랫폼은 일반적인 TCG 게임에서 오프라인으로 카드와 활동지만을 가지고 수업하는 방식과, 온라인으로 교재나 동영상을 보는 수업이 따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수업 플랫폼은 학생들의 주목도와 활용도가 떨어지며, TCG 게임의 결과를 학생 또는 선생님이 계속적으로 피드백하고 오프라인 상에 적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며, 수업 진행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어서, 인류가 이어져 내려오는 오랜 시간 동안에 교육의 방법론적 형태는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지만, 가르침이라는 핵심적 요소는 절대적 맥락으로 유지되어오고 있다.
콘텐츠 개발 솔루션의 발전은 온라인 형태의 강의를 인터넷 또는 비디오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강의를 수강하는 교육 방법론적 효율성과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과 스마트디바이스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직접 방문하지 않고 온라인상에서 실시간으로 교육을 받는 형태가 선호되고 있으며 계속해서 늘어가는 추세이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 및 현재 추세에 따라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이며, 수업을 진행하는 선생님의 편의를 높이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게이미피케이션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어려운 주제를 쉽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오프라인 수업 활동 결과가 학교 교실 현장의 PC를 통해 실시간으로 반영되어 학생들이 수업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하며, 활용하기 쉬운 장치를 통한 수업을 진행하는 선생님이 좀 더 수업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수업 플랫폼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0666호(2015.11.24.)
(특허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1571757호(2015.11.19.)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이며, 수업을 진행하는 선생님의 편의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게이미피케이션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어려운 주제를 쉽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오프라인 수업 활동 결과가 학교 교실 현장의 PC를 통해 실시간으로 반영되어 학생들이 수업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하며, 활용하기 쉬운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수업을 진행하는 선생님이 좀 더 수업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오프라인에서 문제상황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TCG 시스템; 상기 오프라인의 TCG 활동을 인식하는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 상기 TCG 활동에 대한 결과를 인식한 후 상기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으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시키는 환경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상기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과 연동하여 모듈을 교체하고 바코드를 관리하는 모듈 교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오프라인 TCG 시스템, 상기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 상기 환경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상기 모듈 교체 시스템이 상호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TCG 활동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TCG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문제상황 바코드가 제공되며 상기 문제상황을 표시하는 문제상황판;을 포함하고, 상기 문제상황판은 상기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에 의해 상기 문제상황 바코드가 태그되면, 상기 문제상황이 표시됨과 동시에 해당 조에게 상기 문제상황에 대한 소유권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TCG 시스템은, TCG 카드 바코드가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문제상황에 대한 정답을 도출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TCG 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TCG 카드는 상기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에 의해 상기 TCG 카드 바코드가 태그되면, 상기 TCG 카드 바코드의 인식 순서에 따라 조별 소유권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TCG 시스템은, 상기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을 통해 명령어를 입력하는 지시 입력기; 및 상기 사용자가 인식하여 조를 선택하는 도구로 사용되는 캐릭터 카드;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는 주사위, 이전, 끌기 및 변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은, 상기 문제상황 바코드 및 상기 TCG 카드 바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TCG 활동의 내용을 인식하는 바코드 인식기; 및 상기 문제상황 바코드 및 상기 TCG 카드 바코드를 발급하는 바코드 발급기; 및 신규 카드나 신규 문제상황에 매칭되는 바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추가 발급기;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 발급기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신규 카드나 상기 신규 문제상황을 제작한 후 '바코드 발급' 버튼을 통하여 상기 신규 카드나 상기 신규 문제상황에 매칭되는 바코드를 프린트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환경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상기 바코드 인식기를 통하여 상기 TCG 활동을 인식하는 TCG 게임 인식기; 상기 TCG 게임 인식기에서 전송되는 상기 TCG 활동에 액션리스트를 실시간으로 반영시키는 게임환경 반영기; 및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TCG 활동을 수치적으로 집계하는 점수 집계기;를 포함하고, 상기 액션리스트는 캐릭터 카드 인식을 통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캐릭터, 지시 카드의 인식을 통한 하나의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캐릭터, 설명 카드 인식을 통항 각 조별 카드, 상기 지시 카드를 통한 제출된 카드 중 하나의 카드, 조별 캐릭터 이동 상황, 조별 점수 획득 상황, 조별 랭킹, 상기 문제상황판 및 최종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듈 교체 시스템은, 상기 문제상황과 상기 문제상황 카드, 상기 TCG 카드 및 상기 캐릭터 카드 중 어느 하나를 각각 또는 하나의 모듈로 생성하고 신규 모듈의 삽입 기능을 통한 신규 콘텐츠를 추가하거나 상기 하나의 모듈의 삭제 기능을 통한 게임 콘텐츠를 제어하는 교체 모듈; 상기 하나의 모듈에서 중복되는 바코드를 확인하여 신규 바코드를 발급하는 바코드 관리 모듈; 및 상기 문제상황과 상기 문제상황 카드, 상기 TCG 카드 및 상기 캐릭터 카드에 이미지 및 텍스트를 추가하는 추가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모든 수업 방식을 모듈 형식으로 제작하여, 새로운 수업 환경에 다른 내용이 필요할 경우, 최소한의 시간과 노력으로 새로운 게임물 등을 쉽게 변경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의 문제상황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의 TCG 카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의 점수 말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의 캐릭터 카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의 바코드 인식기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의 PC 게임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의 문제상황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의 TCG 카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의 점수 말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의 캐릭터 카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의 바코드 인식기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의 PC 게임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은 오프라인 TCG 시스템(100),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200), 환경 어플리케이션 시스템(300) 및 모듈 교체 시스템(4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프라인 TCG 시스템(100),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200), 환경 어플리케이션 시스템(300) 및 모듈 교체 시스템(400)이 상호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TCG 활동을 지원한다.
오프라인 TCG 시스템(100)은 오프라인에서 문제상황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오프라인 TCG 시스템(100)은 문제상황판(110), TCG 카드(120), 지시 입력기(130) 및 캐릭터 카드(140)를 포함한다.
문제상황판(110)은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문제상황 바코드가 제공되며 문제상황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문제상황판(110)은 사용자인 실제 학생들이 다루어야 할 문제 상황을 나타내는 판으로서, 오프라인에서 실제 출력물로 학생들에게 제공된다.
또한, 문제상황판(110)은 바코드가 추가되어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200)에 의해 문제상황 바코드가 태그되면, 문제상황이 표시됨과 동시에 해당 조에게 문제상황에 대한 소유권을 부여한다.
TCG 카드(120)는 TCG 카드 바코드가 형성되고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사용자가 문제상황에 대한 정답을 도출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된다.
또한, TCG 카드(120)는 TCG 카드 바코드가 발급되어 있어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200)에 의해 TCG 카드 바코드가 태그되면, TCG 카드 바코드의 인식 순서에 따라 조별 소유권을 부여함은 물론 게임 상에 바로 문제상황을 반영한다.
지시 입력기(130)는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200)을 통해 명령어를 입력한다. 여기서, 명령어는 주사위, 이전, 끌기 및 변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릭터 카드(140)는 사용자가 인식하여 조를 선택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캐릭터 카드(140)는 사용자인 학생들이 인식하여 조를 선택하고, 조별 캐릭터 선정 및 변경이 가능하도록 한다.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200)은 오프라인의 TCG 활동을 인식한다. 구체적으로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200)은 오프라인 활동의 내용을 인식할 수 있는 구조로서, 오프라인으로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 바코드 리더기 및 PC와의 연결(무선 또는 유선)을 통한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신규로 구축한 암호화된 바코드 인식 시스템의 사용 및 다양한 활용을 위한 'Unified 발급 체계'의 활용 모두가 가능하다.
또한,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200)은 신규 오프라인 모듈 추가 및 수정을 위한 바코드 체계 구축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코드 체계 구축 시스템은 바코드를 실제 발급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신규 게임 모듈 제작 및 추가나 변경을 할 경우, 사용자가 신규 카드나 문제 상황을 제작한 후 '바코드 발급' 원 버튼을 통해서, 해당 카드 및 문제 상황에 매칭되는 바코드를 생성하며, 직접 프린트해서 인식할 수 있는 바코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오프라인 교구도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200)은 범용 바코드 인식기 활용 API 구축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200)은 사용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범용 바코드 인식기를 활용하여도 문제 없이 인식이 될 수 있는 바코드 인식 및 발급 시스템 구축을 통한, 소비자 편의성 증대 및 장치 선택에 따른 소비자 선택권 보장한다.
이러한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200)은 바코드 인식기(210), 바코드 발급기(220) 및 추가 발급기(230)를 포함한다.
바코드 인식기(210)는 문제상황 바코드 및 TCG 카드 바코드를 인식하고 TCG 활동의 내용을 인식한다.
바코드 발급기(220)는 문제상황 바코드 및 TCG 카드 바코드를 발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추가 발급기(230)는 신규 카드나 신규 문제상황에 매칭되는 바코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추가 발급기(230)는 사용자가 신규 카드나 신규 문제상황을 제작한 후 '바코드 발급' 버튼을 통하여 신규 카드나 신규 문제상황에 매칭되는 바코드를 프린트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환경 어플리케이션 시스템(300)은 TCG 활동에 대한 결과를 인식한 후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200)으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시키며, 이러한 환경 어플리케이션 시스템(300)은 TCG 게임 인식기(310), 게임환경 반영기(320) 및 점수 집계기(330)를 포함한다.
TCG 게임 인식기(310)는 바코드 인식기를 통하여 TCG 활동을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게임환경 반영기(320)는 TCG 게임 인식기에서 전송되는 TCG 활동에 액션리스트를 실시간으로 반영시킨다. 여기서, 액션리스트는 캐릭터 카드 인식을 통한 사용자가 원하는 캐릭터, 지시 카드의 인식을 통한 하나의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캐릭터, 설명 카드 인식을 통항 각 조별 카드, 지시 카드를 통한 제출된 카드 중 하나의 카드, 조별 캐릭터 이동 상황, 조별 점수 획득 상황, 조별 랭킹, 문제상황판 및 최종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점수 집계기(330)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TCG 활동을 수치적으로 집계한다.
모듈 교체 시스템(400)은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200)과 연동하여 모듈을 교체하고 바코드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모듈 교체 시스템(400)은 문제 상황과 카드 묶음을 각각 또는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여 생성된 모듈의 보내기(Export) 기능 및 다른 모듈의 받기(Import) 기능 및 모듈 리스트 관리를 수행한다.
또한, 모듈 교체 시스템(400)은 신규 모듈의 삽입 기능을 통해, 새로운 콘텐츠 추가하거나 기존 모듈의 삭제 기능을 통한 게임 콘텐츠 내용 제어하는 모듈 교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듈 교체 시스템(400)은 모듈 보내기(Module Import) 시 바코드 관리, 모듈 받기(Module Import) 시에 중복되는 바코드를 발견할 경우, 추후에 추가되는 모듈에서 받기(Import)되는 바코드를 자동으로 새로운 바코드를 발급, 새로 발급된 바코드의 경우, 사용자가 프린트해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 및 신규 일련번호를 발급하여 사용자에게 통지Notification), 모듈에 구성되는 카드 및 문제상황판 이미지 및 텍스트를 추가 입력할 수 있는 구조 제작, 신규 모듈에서 받기(Import)된 데이터도, 기존 게임 데이터와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하여 새로운 MOD를 만들 수 있도록 제작, 기존 삽입되어 있는 이미지의 교체 또는 삭제도 가능하도록 제작, 이미지 변경시, 기삽입되어 있는 모듈의 원본을 보관하여, 추후 다시 원본으로 변경할 수 있는 구조 제작하는 모듈에 이미지 삽입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모듈 교체 시스템(400)은 교체 모듈(410), 바코드 관리 모듈(420) 및 추가 입력 모듈(430)을 포함한다.
교체 모듈(410)은 문제상황과 문제상황 카드, TCG 카드 및 캐릭터 카드 중 어느 하나를 각각 또는 하나의 모듈로 생성하고 신규 모듈의 삽입 기능을 통한 신규 콘텐츠를 추가하거나 하나의 모듈의 삭제 기능을 통한 게임 콘텐츠를 제어한다.
바코드 관리 모듈(420)은 하나의 모듈에서 중복되는 바코드를 확인하여 신규 바코드를 발급한다.
추가 입력 모듈(430)은 문제상황과 문제상황 카드, TCG 카드 및 캐릭터 카드에 이미지 및 텍스트를 추가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오프라인 TCG 시스템
110: 문제상황판
120: TCG 카드
130: 지시 입력기
140: 캐릭터 카드
200: 온-오프라인 결합 시스템
210: 바코드 인식기
220: 바코드 발급기
230: 추가 발급기
300: 환경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310: TCG 게임 인식기
320: 게임환경 반영기
330: 점수 집계기
400: 모듈 교체 시스템
410: 교체 모듈
420: 바코드 관리 모듈
430: 추가 입력 모듈

Claims (7)

  1. 오프라인에서 사용자인 학생들에게 문제상황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TCG부;
    상기 오프라인의 TCG(Trading Card Game) 활동을 인식하는 온-오프라인 결합부;
    상기 TCG 활동에 대한 결과를 인식한 후 상기 온-오프라인 결합부으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시키는 환경 어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온-오프라인 결합부와 연동하여 모듈을 교체하고 바코드를 관리하는 모듈 교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라인 TCG부는, 문제상황 바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상기 문제상황을 표시하는 문제상황판;
    TCG 카드 바코드가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문제상황에 대한 정답을 도출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TCG 카드;
    상기 온-오프라인 결합부를 통해 명령어를 입력하는 지시 입력기; 및
    상기 사용자가 인식하여 조를 선택하는 도구로 사용되는 캐릭터 카드;를 포함하고,
    상기 문제상황판은 상기 온-오프라인 결합부에 의해 상기 문제상황 바코드가 태그되면, 상기 TCG 카드 바코드의 인식 순서에 따라 상기 TCG 카드 바코드를 조별로 부여함과 동시에 게임 상에 상기 문제상황을 반영하고,
    상기 명령어는 주사위, 이전, 끌기 및 변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온-오프라인 결합부는,
    상기 문제상황 바코드와 상기 TCG 카드 바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TCG 활동의 내용을 인식하는 바코드 인식기;
    상기 문제상황 바코드와 상기 TCG 카드 바코드를 발급하는 바코드 발급기; 및
    신규 카드나 신규 문제상황에 매칭되는 바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추가 발급기;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 발급기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신규 카드나 상기 신규 문제상황을 제작한 후 '바코드 발급' 버튼을 통하여 상기 신규 카드나 상기 신규 문제상황에 매칭되는 바코드를 프린트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상기 오프라인 TCG부, 상기 온-오프라인 결합부, 상기 환경 어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모듈 교체부가 상호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TCG 활동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수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바코드 인식기를 통하여 상기 TCG 활동을 인식하는 TCG 게임 인식기;
    상기 TCG 게임 인식기에서 전송되는 상기 TCG 활동에 액션리스트를 실시간으로 반영시키는 게임환경 반영기; 및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TCG 활동을 수치적으로 집계하는 점수 집계기;를 포함하고,
    상기 액션리스트는 캐릭터 카드 인식을 통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캐릭터, 지시 카드의 인식을 통한 하나의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캐릭터, 설명 카드 인식을 통항 각 조별 카드, 상기 지시 카드를 통한 제출된 카드 중 하나의 카드, 조별 캐릭터 이동 상황, 조별 점수 획득 상황, 조별 랭킹, 상기 문제상황판 및 최종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수업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교체부는,
    상기 문제상황과 문제상황 카드, 상기 TCG 카드 및 상기 캐릭터 카드 중 어느 하나를 각각 또는 하나의 모듈로 생성하고 신규 모듈의 삽입 기능을 통한 신규 콘텐츠를 추가하거나 상기 하나의 모듈의 삭제 기능을 통한 게임 콘텐츠를 제어하는 교체 모듈;
    상기 하나의 모듈에서 중복되는 바코드를 확인하여 신규 바코드를 발급하는 바코드 관리 모듈; 및
    상기 문제상황과 상기 문제상황 카드, 상기 TCG 카드 및 상기 캐릭터 카드에 이미지 및 텍스트를 추가하는 추가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수업장치.
KR1020200013692A 2020-02-05 2020-02-05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 KR102352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692A KR102352958B1 (ko) 2020-02-05 2020-02-05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692A KR102352958B1 (ko) 2020-02-05 2020-02-05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843A KR20210099843A (ko) 2021-08-13
KR102352958B1 true KR102352958B1 (ko) 2022-01-20

Family

ID=7731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692A KR102352958B1 (ko) 2020-02-05 2020-02-05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9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436B1 (ko) * 2016-08-12 2017-08-30 이정욱 오프라인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그룹 생성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124B1 (ko) * 2005-09-07 2007-06-04 주식회사 케이티 식별태그를 이용한 외국어 교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학습 장치
KR20120051790A (ko) * 2010-11-13 2012-05-23 김경중 디지털 학습 어프리케이션과 디지털 학습 시스템
KR101892356B1 (ko) * 2016-10-04 2018-08-28 (주)모션블루 블록을 이용한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094695A (ko) * 2018-02-05 2019-08-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Nfc를 이용한 보드게임용 카드 인식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436B1 (ko) * 2016-08-12 2017-08-30 이정욱 오프라인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그룹 생성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843A (ko) 2021-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lark et al. E-learning and the science of instruction: Proven guidelines for consumers and designers of multimedia learning
Miller et al. Technology infusion and higher education: Changing teaching and learning
Bain The learning edge: What technology can do to educate all children
CN105139703A (zh) 云教学系统
Stallard et al. The promise of technology in schools: The next 20 years
CN113362206A (zh) 在线课堂的信息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5512980B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101887407B1 (ko) 문제를 풀고 해당 문제의 해설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체계적인 구축 방법
CN107274311A (zh) 基于二维码和数据库的实验室教学和设备管理方法
CN110379257A (zh) 一种多语言跨平台的在线代码对战系统和方法
CN110111620A (zh) 一种虚拟现实学习平台
CN104464410A (zh) 一种计算机仿真教学系统及方法
KR102352958B1 (ko) 온-오프라인 수업 플랫폼
Siegenthaler et al. Introduction: Decolonial Processes in Swiss Academia and Cultural Institutions
KR20060117828A (ko)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평가 관리 시스템
Fotaris et al. Designing Educational Escape Rooms With Generative AI: A Framework and ChatGPT Prompt Engineering Guide
Kearney-Volpe et al. Tangible Progress: Tools, Techniques, and Impacts of Teaching Web Development to Screen Reader Users
Rahman et al. Virtual pesantren: pesantren sustainability in facing the challenges of 4.0 Era
CN204833360U (zh) 一种电子作业管理系统
CN105118341B (zh) 一种网络课堂教学方法及系统
KR20180066913A (ko) 스마트 학습 어플리케이션 운용 장치 및 그 방법
JP2003187242A (ja) データ入力システム及びデータ入力方法
KR20140056854A (ko) 큐알코드를 이용한 문제풀이 동영상 제공 시스템
Kurtz Adopting Augmented Reality for Task-Oriented EFL Textbook Development, Instruction, and Learning.
CN111787127A (zh) 一种课堂信息传输方法及课堂信息传输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