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302B1 -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일체로 구비한 의자 좌판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일체로 구비한 의자 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302B1
KR102352302B1 KR1020210058742A KR20210058742A KR102352302B1 KR 102352302 B1 KR102352302 B1 KR 102352302B1 KR 1020210058742 A KR1020210058742 A KR 1020210058742A KR 20210058742 A KR20210058742 A KR 20210058742A KR 102352302 B1 KR102352302 B1 KR 102352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le
adjusting device
backrest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순
Original Assignee
윤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순 filed Critical 윤종순
Priority to KR1020210058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4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screw-and-nu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가 의자 좌판에 쉽게 결합됨으로써 의자 생산의 효율성이 좋고, 고장시 부품의 교체가 편리한 의자 좌판에 관한 것으로, 의자 좌판(100)은 좌판 본체(110)와 중앙에 일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되어 위치한 조절장치 결합부(19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좌판 본체(110)는 의자 쿠션(미명명, 미도시)이 위치하도록 안으로 약간 들어가 공간을 가지는 쿠션 위치부(111)와 상기 쿠션 위치부(111)의 테두리를 따라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고리부(113)와 상기 고리부(113)의 바깥쪽으로 형성된 통공(112)을 구비하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는 부분인 쿠션과 결합되어 사용자를 지지한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일체로 구비한 의자 좌판 {Chair seat with height adjustment and backrest adjustment}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일체로 구비한 의자 좌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가 의자 좌판에 쉽게 결합됨으로써 의자 생산의 효율성이 좋고, 고장시 부품의 교체가 편리한 의자 좌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높낮이 조절과 등받이 조절 기능을 구비한 의자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사람이 앉는 좌판과 좌판의 저면에 설치되어 좌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가스실린더, 좌판 일측에 연결 결합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 의자 전체를 지지하는 다리체로 구성되는데, 보통 가스실린더는 그 하단부를 다리체의 상부에 매입 형성하고, 등받이는 좌판 저면 일측에 결합함으로써 좌판의 높낮이 및 등받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국내 공개특허 10-2020-0121770호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의자 장력 조절장치는, 의자는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100); 앉을 수 있는 좌판(200); 등을 기대는 등받이(300); 상기 좌판(200)의 하부에 일단이 힌지부(600)로 연결되고, 타단은 등받이에 고정되는 'ㄴ'자 형상의 등받이연결용 프레임(400); 상기 등받이연결용 프레임(40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장력조절부(A)는, 좌판(2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오목한 요부(520)가 형성되며, 상기 요부(520)에는 통공(522)이 형성된 고정부재(50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500)의 하부 외면에 상기 등받이연결용 프레임(400)의 일단이 축핀(650)으로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600)가 형성된다.
등받이연결용 프레임(400)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재(500)의 통공(522)에 결합되어 수직하게 형성되는 볼트축(700)과, 볼트축(700)의 하단에 형성되며 공구가 결합되도록 공구홈(712)이 형성된 볼트머리(710)가 형성된다.
볼트축(700)의 외부에 결합되는 스프링(720)이 포함된다.
고정부재(500)는 요부(520)가 형성된 저판부(540)와, 저판부(540)의 양측에 수직의 측벽(542)이 형성되어 형성되고, 힌지부(600)는 저판부(540)를 펀칭시켜 외부에 돌출된 복수의 힌지편체(610)를 축핀(650)이 관통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고정부재(500)는 수직의 측벽에는 좌판(200)의 하부에 부착되는 플레이트(546)가 양측에 평평하게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재(500)는 양측 플레이트(546)에 연결되며 하부로 오목하도록 측벽(542)과 저판부(540)로 이루어진다.
저판부(540)의 일측에 오목하게 요부(520)가 하향 돌출형성되고, 상기 요부(520)에 통공(522)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500)의 하향 돌출형성된 요부(520)는 평상시 등받이연결용 프레임(400) 내에 위치된다.
그리고 저판부(540)의 타측에는 실린더 결합공(550)이 형성되고, 이 실린더 결합공(550)에 의자의 다리부에 수직하게 결합된 실린더(551)의 로드(552)가 관통 결합된다.
고정부재(500)의 측벽(542)의 측면에 관통구멍(543)이 형성되며, 이 관통구멍(543)을 통해 레버축(544)이 결합되며, 레버축(544)의 선단이 로드(552)의 상부에 지지되어 높이조절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레버축(544)을 당기면 로드(552)를 누르게 되어 실린더(551)의 로드(552)가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좌판(20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500)의 저판부(540)의 하부에는 펀칭 가공에 의해 양측에 대칭되게 힌지편체(610)가 돌출되어 힌지부(600)가 형성된다.
힌지편체(610)에 등받이연결용 프레임(400)의 일단이 끼워진 후 축핀(650)으로 결합됨으로써 힌지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등받이연결용 프레임(400)이 힌지부(60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등받이(300)의 각도와 적당한 지지력이 조절될 수 있다.
등받이(300)의 적당한 지지력은 장력조절부(A)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즉, 장력조절부(A)를 구성하는 볼트축(700)과 너트(740)의 결합과, 그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720)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일 예에 따르면, 장력조절부(A)는, 볼트축(700)이 등받이연결용 프레임(400)을 관통하고, 저판부(540)의 요부에 형성된 통공(522)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결합된 후 그 외측에 스프링(720)이 결합된 다음 와셔(730)와 너트(740)가 볼트축(700)에 결합되어 스프링(720)을 적당한 장력으로 가압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프링(720)의 하단이 요부에 지지되고, 볼트축(700)의 상부에 와셔(730)가 끼움결합되며, 와셔(730)는 스프링(720)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높낮이 및 등받이 조절용 의자는 좌판의 저면에 가스실린더의 승강봉과 승강봉을 조절하는 손잡이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구성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는 결합부를 좌판과는 별도로 사출 성형하여 이를 좌판 저면에 일일이 볼트 조립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의자의 조립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고, 수작업에 의한 조립 과정으로 인해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의자 좌판과 별도로 형성된 결합부는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으며, 오래 사용하면 좌판과 결합부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볼트 결합 부분이 마모되어 결합부가 쉽게 파손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의자 생산의 효율성이 좋고, 고장시 부품의 교체가 편리하도록,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가 추가 결합부 없이 의자 좌판에 쉽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추가적인 결합장치 없이, 의자의 좌판 저면에 의자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조절 손잡이와 가스실린더의 승강봉, 등받이를 추가적인 결합장치 없이 바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함에 따라, 의자의 생산성 향상과 제조원가 절감 효과, 고장시 효율적인 부품의 교체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게 하는 의자 좌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의자 쿠션(미명명, 미도시)이 위치하도록 안으로 약간 들어가 공간을 가지는 쿠션 위치부(111)와 상기 쿠션 위치부(111)의 테두리를 따라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고리부(113)와 상기 고리부(113)의 바깥쪽으로 형성된 통공(112)을 구비하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판 형태로 형성된 좌판 본체(110)와 내부 양측에 원통형의 평면이 측면에 오도록 눕혀진 형태로 형성되어 위치하고 측면 중앙에 통공(192)을 구비하는 한 쌍의 연결 결합부(191)와 양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통공(122)과 윗면의 일측에 통공(124)을 구비하고, 바닥면과 일측면이 뚫려 있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면체의 형태로 내부 중앙 일측에 위치하는 등받이 연결 결합부(120), 의자 윗면에 위치하는 결합본체(131)와 추가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40)의 사이에 위치하고, 중앙에 실린더 결합홀(152)을 구비하는 중앙이 빈 원통형의 실린더 결합부(150), 일측에 형성된 통공(195)을 구비하고, 중앙에 일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되어 위치한 조절장치 결합부(190)를 구비하는 의자 좌판(100);과, 양측면의 일단에 하나씩 형성된 한 쌍의 측면 통공(212)과 등받이 연결 결합부재(230)와 끼움 결합하기 위해 일측에 형성된 긴 타원형의 통공(214), 의자 등받이와 연결되도록 타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216)을 구비하는 내측에 다수개의 홈과 다수개의 리브가 형성된 긴 막대 모양의 직육면체로, 의자의 등받이와 연결되는 등받이 연결부재(210)와 빈 원통형의 탄성부재 제1 프레임(222)과 중앙에 통공(미명명)을 구비하고, 하단이 오픈된 빈 원통형으로 상기 탄성부재 제1 프레임(222)의 내측에 끼움 결합하여 위치하는 탄성부재 제2 프레임(225), 상기 탄성부재 제2 프레임(225)의 내측에 위치하고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 탄성부(224), 상기 탄성부재 제2 프레임(225)의 내측 및 상기 스프링 탄성부(224)의 아래에 위치하고 중앙에 통공(미명명)을 구비하는 탄성 지지부(223), 등받이 연결 결합부재(230)와 결합하는 너트(229)로 구성되어, 의자의 등받이가 뒤로 젖혔을 때 지지하는 등받이 탄성부재(220), 상기 등받이 연결 결합부(120)의 통공(124)에 끼움 결합하는 타원형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결합 헤드(232)와 상기 등받이 연결 결합부(120)의 통공(124)과 등받이 연결부재(210), 등받이 탄성부재(220)에 끼워져 너트(229)로 결합되는 결합 볼트(234)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등받이 연결 결합부재(230)로 구성된 등받이 조절장치(200);로 구성되고, 상기 등받이 연결 결합부(120)의 통공(124)은 등받이 연결 결합부재(230)의 결합헤드(232)와 끼움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 제1 프레임(222)의 내부에 탄성 지지부(223)와 스프링 탄성부(224), 탄성부재 제2 프레임(225)이 순서대로 위치하여 등받이 탄성부재(220)를 형성하고,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210)가 등받이 연결 결합부(120)에 끼움 결합하고,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210)의 하단에 등받이 탄성부재(220)가 위치하며, 등받이 연결 결합부재(230)가 상기 등받이 연결 결합부(120)에 위치하는 통공(124)과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210)의 통공(214), 상기 등받이 탄성부재(220)의 탄성부재 제2 프레임(225) 및 스프링 탄성부(224), 탄성 지지부(223), 탄성부재 제1 프레임(222)에 형성된 통공(미명명)을 통과하여, 상기 등받이 연결 결합부(120) 및 등받이 연결부재(210), 등받이 탄성부재(220)를 너트(229)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일체로 구비한 의자 좌판.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중앙에 형성된 결합돌기(132)를 구비하고, 앞뒤와 윗면이 오픈된 형태의 결합본체(131)로 형성된 내부 중앙 일측에 대각선으로 형성되어 정면과 바닥면에 하나씩 형성된 한 쌍의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30), 앞뒤와 윗면이 오픈된 형태로 정면의 내부 중앙 일측에 대각선으로 형성된 추가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40), 다수개의 통공(312)과 일단에 위치하는 실린더높이조절부(314)를 구비하는 막대기 형상의 직육면체로 형성된 조절본체(310)와 착석자가 높낮이 조절을 위하여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부(320)가 일체형으로 연결 형성되어 T자 형태를 가지는 높낮이 조절장치(300);를 더 구비하되,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300)는 조절본체(310)가 의자 좌판(100)의 밑면에 위치하는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30)의 결합본체(131)에 끼움 결합하고, 손잡이부(320)의 근처에 위치한 통공(312)이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30)의 결합돌기(132)와 결합한 후, 상기 조절장치 결합부(190)의 통공(195)을 통과하여, 조절본체(310)가 의자 좌판(100)의 정면에 위치하는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30)의 결합본체(131)에 끼움 결합하고, 또 다른 통공(312)이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30)의 결합돌기(132)와 결합하며, 추가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40)에 끼움 결합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일체로 구비한 의자 좌판이다.
본 발명은 추가적인 결합장치 없이, 의자의 좌판 저면에 의자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조절 손잡이와 가스실린더의 승강봉, 등받이를 추가적인 결합장치 없이 바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함에 따라, 의자의 생산성 향상과 제조원가 절감 효과, 고장시 효율적인 부품의 교체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게 하는 의자 좌판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실시예에 따른 의자 장력 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실시예에 따른 의자 장력 조절장치를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종래 실시예에 따른 의자 장력 조절장치를 나타낸 결합된 단면도,
도 4와 5는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 좌판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 좌판의 평면도
도 7과 8은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 좌판을 위에서 바라봤을 때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 좌판의 저면도
도 10과 11은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 좌판을 아래에서 바라봤을 때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 좌판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 좌판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 좌판의 정면도와 배면도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도 4와 5는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 좌판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 좌판의 평면도, 도 7과 8은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 좌판을 위에서 바라봤을 때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 좌판의 저면도, 도 10과 11은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 좌판을 아래에서 바라봤을 때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 좌판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 좌판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 좌판의 정면도와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 좌판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의자 좌판(100)과 등받이 조절장치(200), 높낮이 조절장치(30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의자 좌판(100)은 좌판 본체(110)와 중앙에 일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되어 위치한 조절장치 결합부(19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좌판 본체(110)는 의자 쿠션(미명명, 미도시)이 위치하도록 안으로 약간 들어가 공간을 가지는 쿠션 위치부(111)와 상기 쿠션 위치부(111)의 테두리를 따라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고리부(113)와 상기 고리부(113)의 바깥쪽으로 형성된 통공(112)을 구비하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는 부분인 쿠션과 결합되어 사용자를 지지한다.
상기 쿠션 위치부(111)에 위치하는 의자 쿠션은 오랫동안 착석할 수 있도록 허리 척추를 지지 하는 쿠션에 신축성을 가지는 커버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덮여 형성되고, 쿠션과 커버는 통기성과 수분 흡수성의 기능을 가져 사용자가 오랫동안 착석을 하여도 편리하고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의자 쿠션의 커버는 의자 쿠션과 함께 상기 좌판 본체(110)의 쿠션 위치부(111)에 위치한 후, 상기 좌판 본체(110)의 통공(112)을 통해 잡아 당겨 고리부(113)에 걸 수 있도록 실 또는 고무줄 등을 구비하는 일측면이 오픈된 그물형의 덮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좌판 본체(110)는 플라스틱 및 합성수지재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재질과 모양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고리부(113)는 의자 쿠션(미명명, 미도시)의 커버에 위치하는 방석 테두리의 실 또는 고무줄 등과의 끼움 결합한다.
상기 방석 테두리 실의 경우 별도의 통공(122)으로 빼내어 당긴 후 타카로 좌판 밑면에 고정시키는 경우도 있다.
상기 등받이 연결 결합부(120)는 바닥면과 일측면이 뚫려 있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면체의 형태로, 양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통공(122)과 윗면의 일측에 통공(124)을 구비한다.
상기 통공(122)은 후술하는 연결 결합부(191)의 통공(192)과 일직선으로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통공(124)은 후술하는 등받이 연결 결합부재(230)의 결합헤드(232)와 끼움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조절장치 결합부(190)는 내부 양측에 원통형의 평면이 측면에 오도록 눕혀진 형태로 형성되어 위치하고 측면 중앙에 통공(192)을 구비하는 한 쌍의 연결 결합부(191)와 내부 중앙 일측에 위치하는 등받이 연결 결합부(120), 내부 중앙 일측에 대각선으로 형성되어 정면과 바닥면에 하나씩 형성된 한 쌍의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30), 정면의 내부 중앙 일측에 대각선으로 형성된 추가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40), 상기 윗면에 위치하는 결합본체(131)와 추가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40)의 사이에 위치하고, 실린더 결합홀(152)을 구비하는 중앙이 빈 원통형의 실린더 결합부(150), 일측에 형성된 통공(195)을 구비한다.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30)는 후술하는 높낮이 조절장치(300)의 통공(312)에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본체(131)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돌기(132)를 구비하고, 후술하는 높낮이 조절장치(300)가 끼움 결합되도록 앞뒤와 윗면이 오픈된 결합본체(131)로 형성된다.
상기 추가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40)는 후술하는 높낮이 조절장치(300)가 끼움 결합되도록 앞뒤와 윗면이 오픈되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 결합부(150)는 상기 실린더 결합홀(152)이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일반적인 실린더 장치와 결합하기 위한 장치로, 실린더 장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등받이 조절장치(200)는 의자의 등받이와 연결 결합되는 등받이 연결부재(210)와 의자의 등받이가 뒤로 젖혔을 때 지지하는 등받이 탄성부재(220), 상기 의자 좌판(100)과 등받이 연결부재(210)를 연결 결합하는 등받이 연결 결합부재(230)로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210)는 양측면의 일단에 하나씩 형성된 한 쌍의 측면 통공(212)과 후술하는 등받이 연결 결합부재(230)와 끼움 결합하기 위해 일측에 형성된 긴 타원형의 통공(214), 의자 등받이와 연결되도록 타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216)을 구비하는 긴 막대 모양의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의자의 등받이와 연결된다.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210)는 착석자가 등받이를 뒤로 젖혔을 때 지지할 수 있도록 일측면의 내측에 다수개의 홈과 다수개의 리브가 형성되어, 높은 강도를 가진다.
상기 등받이 탄성부재(220)는 빈 원통형의 탄성부재 제1 프레임(222)과 하단이 오픈된 빈 원통형으로 중앙에 통공(미명명)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재 제1 프레임(222)의 내측에 끼움 결합하여 위치하는 탄성부재 제2 프레임(225), 상기 탄성부재 제2 프레임(225)의 내측에 위치하고 탄성력을 지닌 스프링 탄성부(224), 상기 탄성부재 제2 프레임(225)의 내측 및 상기 스프링 탄성부(224)의 아래에 위치하고 중앙에 통공(미명명)을 구비하는 탄성 지지부(223), 후술하는 등받이 연결 결합부재(230)와 결합하는 너트(229)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 지지부(223)는 스프링 탄성부(224)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프링 탄성부(224)의 이탈을 막는다.
상기 등받이 연결 결합부재(230)는 상기 등받이 연결 결합부(120)의 통공(124)에 끼움 결합하는 타원형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결합 헤드(232)와 상기 등받이 연결 결합부(120)의 통공(124)과 등받이 연결부재(210), 등받이 탄성부재(220)에 끼워져 너트(229)로 결합되는 결합 볼트(234)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 헤드(232)는 상기 등받이 연결 결합부(120)의 통공(124)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 볼트(234)는 상기 등받이 연결 결합부(120)와 등받이 연결부재(210), 등받이 탄성부재(220)를 모두 끼움 결합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300)는 다수개의 통공(312)과 일단에 위치하는 실린더높이조절부(314)를 구비하는 막대기 형상의 직육면체로 형성된 조절본체(310)와 착석자가 높낮이 조절을 위하여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부(320)로 구성된 T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통공(312) 중 하나의 통공(312)은 의자 좌판(100)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30)의 결합돌기(132)와 결합하고, 다른 통공(312)은 의자 좌판(100)의 밑면에 위치하는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30)의 결합돌기(132)와 결합한다.
상기 실린더높이조절부(314)는 사용자가 의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실린더를 개폐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즉,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300)를 잡아 당기면 실린더의 개폐가 이루어져 의자가 내려가거나 올릴 수 있게 되고, 잡아당겼던 높낮이 조절장치(300)를 놓으면 실린더의 고정되어 일정 위치에 있게 되어 의자 높이가 조절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 좌판의 결합 및 기능, 구동은 다음과 같다.
우선적으로 탄성부재 제1 프레임(222)의 내부에 탄성 지지부(223)와 스프링 탄성부(224), 탄성부재 제2 프레임(225)이 순서대로 위치하여 등받이 탄성부재(220)를 형성한다.
이후,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210)가 등받이 연결 결합부(120)에 끼움 결합하고,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210)의 하단에 등받이 탄성부재(220)가 위치하며, 등받이 연결 결합부재(230)가 상기 등받이 연결 결합부(120)에 위치하는 통공(124)과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210)의 통공(214), 상기 등받이 탄성부재(220)의 탄성부재 제2 프레임(225) 및 스프링 탄성부(224), 탄성 지지부(223), 탄성부재 제1 프레임(222)에 형성된 통공(미명명)을 통과하여, 상기 등받이 연결 결합부(120) 및 등받이 연결부재(210), 등받이 탄성부재(220)를 너트(229)로 결합시킨다.
결합된 등받이 조절장치(200)는 휴식을 위해 착석자가 의자 등받이를 뒤로 젖힐 경우, 상기 탄성부재 제2 프레임(225)이 탄성 지지부(223) 측으로 스프링 탄성부(224)를 누르면서 탄성력을 통해 젖혀진 의자 등받이를 지지하고, 휴식을 끝낸 후 착석자가 의자 등받이를 원 위치로 되돌릴 경우, 상기 눌려있던 스프링 탄성부(224)가 회복되면서 상기 탄성부재 제2 프레임(225)이 위로 올라오며 원래의 위치로 세워진 의자 등받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300)는 우선적으로 조절본체(310)가 의자 좌판(100)의 밑면에 위치하는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30)의 결합본체(131)에 끼움 결합하고, 손잡이부(320)의 근처에 위치한 통공(312)이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30)의 결합돌기(132)와 결합한 후, 상기 조절장치 결합부(190)의 통공(195)을 통과하여, 조절본체(310)가 의자 좌판(100)의 정면에 위치하는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30)의 결합본체(131)에 끼움 결합하고, 또 다른 통공(312)이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30)의 결합돌기(132)와 결합하며, 추가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40)에 끼움 결합하여 위치한다.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300)를 잡아 당기면 실린더의 개폐가 이루어져 의자가 내려가거나 올릴 수 있게 되고, 잡아당겼던 높낮이 조절장치(300)를 놓으면 실린더의 고정되어 일정 위치에 있게 되어 의자 높이가 조절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 좌판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의자 좌판
110: 좌판 본체
111: 쿠션 위치부
112: 통공
113: 고리부
120: 등받이 연결 결합부
124: 통공
130: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
131: 결합본체
132: 결합돌기
140: 추가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
150: 실린더 결합부
152: 실린더 결합홀
190: 조절장치 결합부
191: 연결 결합부
192: 통공
195: 통공
200: 등받이 조절장치
210: 등받이 연결부재
212: 측면 통공
214: 통공
216: 통공
220: 등받이 탄성부재
222: 탄성부재 제1 프레임
223: 탄성 지지부
224: 스프링 탄성부
225: 탄성부재 제2 프레임
229: 너트
230: 등받이 연결 결합부재
232: 결합 헤드
234: 결합 볼트
300: 높낮이 조절장치
310: 조절본체
312: 통공
314: 홈부
320: 손잡이부

Claims (2)

  1. 의자 쿠션(미명명, 미도시)이 위치하도록 안으로 약간 들어가 공간을 가지는 쿠션 위치부(111)와 상기 쿠션 위치부(111)의 테두리를 따라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고리부(113)와 상기 고리부(113)의 바깥쪽으로 형성된 통공(112)을 구비하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판 형태로 형성된 좌판 본체(110)와 내부 양측에 원통형의 평면이 측면에 오도록 눕혀진 형태로 형성되어 위치하고 측면 중앙에 통공(192)을 구비하는 한 쌍의 연결 결합부(191)와 양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통공(122)과 윗면의 일측에 통공(124)을 구비하고, 바닥면과 일측면이 뚫려 있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면체의 형태로 내부 중앙 일측에 위치하는 등받이 연결 결합부(120), 의자 윗면에 위치하는 결합본체(131)와 추가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40)의 사이에 위치하고, 중앙에 실린더 결합홀(152)을 구비하는 중앙이 빈 원통형의 실린더 결합부(150), 일측에 형성된 통공(195)을 구비하고, 중앙에 일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되어 위치한 조절장치 결합부(190)를 구비하는 의자 좌판(100);과
    양측면의 일단에 하나씩 형성된 한 쌍의 측면 통공(212)과 등받이 연결 결합부재(230)와 끼움 결합하기 위해 일측에 형성된 긴 타원형의 통공(214), 의자 등받이와 연결되도록 타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216)을 구비하는 내측에 다수개의 홈과 다수개의 리브가 형성된 긴 막대 모양의 직육면체로, 의자의 등받이와 연결되는 등받이 연결부재(210)와 빈 원통형의 탄성부재 제1 프레임(222)과 중앙에 통공(미명명)을 구비하고, 하단이 오픈된 빈 원통형으로 상기 탄성부재 제1 프레임(222)의 내측에 끼움 결합하여 위치하는 탄성부재 제2 프레임(225), 상기 탄성부재 제2 프레임(225)의 내측에 위치하고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 탄성부(224), 상기 탄성부재 제2 프레임(225)의 내측 및 상기 스프링 탄성부(224)의 아래에 위치하고 중앙에 통공(미명명)을 구비하는 탄성 지지부(223), 등받이 연결 결합부재(230)와 결합하는 너트(229)로 구성되어, 의자의 등받이가 뒤로 젖혔을 때 지지하는 등받이 탄성부재(220), 상기 등받이 연결 결합부(120)의 통공(124)에 끼움 결합하는 타원형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결합 헤드(232)와 상기 등받이 연결 결합부(120)의 통공(124)과 등받이 연결부재(210), 등받이 탄성부재(220)에 끼워져 너트(229)로 결합되는 결합 볼트(234)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등받이 연결 결합부재(230)로 구성된 등받이 조절장치(200);로 구성되고
    상기 등받이 연결 결합부(120)의 통공(124)은 등받이 연결 결합부재(230)의 결합헤드(232)와 끼움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 제1 프레임(222)의 내부에 탄성 지지부(223)와 스프링 탄성부(224), 탄성부재 제2 프레임(225)이 순서대로 위치하여 등받이 탄성부재(220)를 형성하고,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210)가 등받이 연결 결합부(120)에 끼움 결합하고,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210)의 하단에 등받이 탄성부재(220)가 위치하며, 등받이 연결 결합부재(230)가 상기 등받이 연결 결합부(120)에 위치하는 통공(124)과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210)의 통공(214), 상기 등받이 탄성부재(220)의 탄성부재 제2 프레임(225) 및 스프링 탄성부(224), 탄성 지지부(223), 탄성부재 제1 프레임(222)에 형성된 통공(미명명)을 통과하여, 상기 등받이 연결 결합부(120) 및 등받이 연결부재(210), 등받이 탄성부재(220)를 너트(229)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일체로 구비한 의자 좌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중앙에 형성된 결합돌기(132)를 구비하고, 앞뒤와 윗면이 오픈된 형태의 결합본체(131)로 형성된 내부 중앙 일측에 대각선으로 형성되어 정면과 바닥면에 하나씩 형성된 한 쌍의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30), 앞뒤와 윗면이 오픈된 형태로 정면의 내부 중앙 일측에 대각선으로 형성된 추가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40),
    다수개의 통공(312)과 일단에 위치하는 실린더높이조절부(314)를 구비하는 막대기 형상의 직육면체로 형성된 조절본체(310)와 착석자가 높낮이 조절을 위하여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부(320)가 일체형으로 연결 형성되어 T자 형태를 가지는 높낮이 조절장치(300);를 더 구비하되,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300)는 조절본체(310)가 의자 좌판(100)의 밑면에 위치하는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30)의 결합본체(131)에 끼움 결합하고, 손잡이부(320)의 근처에 위치한 통공(312)이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30)의 결합돌기(132)와 결합한 후, 상기 조절장치 결합부(190)의 통공(195)을 통과하여, 조절본체(310)가 의자 좌판(100)의 정면에 위치하는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30)의 결합본체(131)에 끼움 결합하고, 또 다른 통공(312)이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30)의 결합돌기(132)와 결합하며, 추가 높낮이 조절장치 결합부(140)에 끼움 결합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일체로 구비한 의자 좌판.
KR1020210058742A 2021-05-06 2021-05-06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일체로 구비한 의자 좌판 KR102352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742A KR102352302B1 (ko) 2021-05-06 2021-05-06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일체로 구비한 의자 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742A KR102352302B1 (ko) 2021-05-06 2021-05-06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일체로 구비한 의자 좌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302B1 true KR102352302B1 (ko) 2022-01-17

Family

ID=80051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742A KR102352302B1 (ko) 2021-05-06 2021-05-06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일체로 구비한 의자 좌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3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376U (ko) * 2007-05-09 2008-11-13 정영복 의자용 지지판
KR20100008021U (ko) * 2009-02-04 2010-08-12 (주)대륜엠유씨 의자 지지판과 지지파이프의 결합구조
JP2020130317A (ja) * 2019-02-14 2020-08-31 アイコトレーディング 株式会社 椅子における背部のロッキング強弱調整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376U (ko) * 2007-05-09 2008-11-13 정영복 의자용 지지판
KR20100008021U (ko) * 2009-02-04 2010-08-12 (주)대륜엠유씨 의자 지지판과 지지파이프의 결합구조
JP2020130317A (ja) * 2019-02-14 2020-08-31 アイコトレーディング 株式会社 椅子における背部のロッキング強弱調整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07190A1 (en) Chair back
US20080018154A1 (en) Seat device for a chair
US9706848B2 (en) Waist supporting device equipped electric apparatus for lying and/or sitting
JP5007444B2 (ja) 背凭れ、及び椅子
KR102352302B1 (ko)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일체로 구비한 의자 좌판
WO2022148486A1 (zh) 连接结构及座具
KR101873721B1 (ko) 의자
JP3211306U (ja) ヒーター付きテーブル
KR101768436B1 (ko) 의자용 등받이 회동지지장치
KR102413009B1 (ko) T형 보강재를 형성한 실린더 결합부의 내부 구조
KR101174458B1 (ko) 의자용 등받이
JP3189545U (ja) 椅子及び椅子セット
KR102352303B1 (ko)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 결합체
KR102383272B1 (ko) 부분 교체 가능한 복합 의자
KR200401273Y1 (ko) 의자용 머리받침대
JP3188287U (ja) 椅子
KR20230085483A (ko) 의자의 좌판의 메쉬망 조절구조
KR101541160B1 (ko) 의자용 등받이
CN209121620U (zh) 办公椅
KR101893924B1 (ko) 의자
KR102650830B1 (ko) 높낮이 조절장치와 등받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 결합체
KR200430639Y1 (ko) 좌식 겸용 의자
KR101576968B1 (ko) 의자용 등받이 조립체
KR101563537B1 (ko)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
CN221307704U (zh) 一种可躺椅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