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639Y1 - 좌식 겸용 의자 - Google Patents

좌식 겸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639Y1
KR200430639Y1 KR2020060021260U KR20060021260U KR200430639Y1 KR 200430639 Y1 KR200430639 Y1 KR 200430639Y1 KR 2020060021260 U KR2020060021260 U KR 2020060021260U KR 20060021260 U KR20060021260 U KR 20060021260U KR 200430639 Y1 KR200430639 Y1 KR 2004306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chair
central shaft
support member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형
Original Assignee
최윤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형 filed Critical 최윤형
Priority to KR2020060021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6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6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4Chair or stool bases for chairs or stools with central column, e.g. office chair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지지다리 위에 좌판이 올려진 상태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지다리를 제거한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어, 실내구조나 테이블의 구조 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그에 적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함은 물론 경제적이며, 보관이 간편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좌식 겸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10)와, 이 다리(10)에 형성된 중심축봉(11)의 상측에 구비되어 착석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20)을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20)의 저면에는 상기 중심축봉(11)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결합공(31)이 형성된 결합부(30)가 하향 돌출되며, 상기 결합공(31)의 저면에 위치되며 상기 중심축봉(11)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테두리 형상의 지지부재(40)가 구비되고, 이 지지부재(40)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41)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관통공(41)에 승강핀(44)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핀(44)의 승강에 의해 상기 중심축봉(11)이 결합공(31)에서 분리되는 좌식 겸용 좌판이 구비된 의자가 제공된다.
다리, 좌판, 중심축봉, 결합부, 지지부재

Description

좌식 겸용 의자{A chair can be separated the leg}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상기 실시예 중 요부인 좌판과 중심축봉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다리 20 : 좌판
21 : 힌지부 30 : 결합부
31 : 결합공 40 : 지지부재
41 : 관통공 44 : 승강핀
50 : 등받이 51 : 등받이프레임
60 : 받침부재
본 고안은 사용자가 좌식으로도 앉을 수 있는 좌식 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지지다리 위에 좌판이 올려진 상태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지다리를 제거한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어, 실내구조나 테이블의 구조 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그에 적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함은 물론 경제적이며, 보관이 간편한 좌식 겸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지지다리와 그 상부에 좌판이 구비되며, 지지다리 또는 좌판에서 상향 연장 형성된 등받이로 구성된다. 또한, 요즘 음식점 등에는 지지다리가 없이 좌판과 등받이가 일체로 형성된 좌식 의자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의자들은 각각 테이블의 높이에 맞게 사용되기 때문에, 높이가 상호 다른 테이블에서는 상기 의자가 모두 필요하게 되는데, 실내의 구조에 따라 높이가 다른 여러 개의 테이블이 구비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의 의자를 모두 구입해야 하므로 경제적으로 부담된다. 특히, 높낮이가 조절되는 테이블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높낮이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의 의자들을 모두 구비해야 하므로, 경제적으로 부담될 뿐 아니라, 상기 의자들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므로, 실내공간의 활용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지지다리 위에 좌판이 올려진 상태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지다리를 제거한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어, 실내구조나 테이블의 구조 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그에 적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함은 물론 경제적이며, 보관이 간편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좌식 겸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10)와, 이 다리(10)에 형성된 중심축봉(11)의 상측에 구비되어 착석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20)을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20)의 저면에는 상기 중심축봉(11)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결합공(31)이 형성된 결합부(30)가 하향 돌출되며, 상기 결합공(31)의 저면에 위치되며 상기 중심축봉(11)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테두리 형상의 지지부재(40)가 구비되고, 이 지지부재(40)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41)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관통공(41)에 승강핀(44)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핀(44)의 승강에 의해 상기 중심축봉(11)이 결합공(31)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겸용 의자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40)의 관통공(41)에는 너 트(42)가 인서트되며, 상기 승강핀(44)의 외주면에는 상기 너트(42)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4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겸용 의자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좌판(20)의 상면에는 힌지부(21)가 구비되고, 이 힌지부(21)에 착석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50)가 구비된 등받이프레임(51)이 결합되어, 등받이프레임(51)이 힌지부(21)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좌판(20)을 향하여 접혀지며, 상기 힌지부(21)에는 등받이프레임(51)이 좌판(20)과 둔각을 이루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겸용 의자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좌판(20)의 저면에는 상기 결합부(30)와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되거나 착탈되는 하나 이상의 받침부재(60)가 구비되어, 이 받침부재(60)가 상기 좌판(20)을 바닥면(1)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겸용 의자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좌식 겸용 의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그 중 요부인 좌판과 중심축봉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좌식 겸용 좌판이 구비된 의자는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10)와, 이 다리(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착석자가 앉을 수 있는 쿠션이 구비된 좌판(20)과, 이 좌판(20)에 구비되어 착석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5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다리(10)는 바퀴가 장착된 복수개의 프레임(12)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그 중심부에는 중심축봉(11)이 직립 설치되어 상하로 승강되므로, 좌판(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의자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좌판(20)에는 상하로 결합공(31)이 형성된 결합부(30)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1)에 중심축봉(11)이 삽입되며, 이 중심축봉(11)에는 상기 좌판(2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축봉(11)은 단면이 원형이나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중심축봉(11)의 둘레에는 중심축봉(11)의 단면과 대응되는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금속재의 지지부재(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40)의 테두리 형상은 어느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양단부가 상호 근접되어 있으며, 이 양단부를 클램프(46)로 상호 결합시켜 상기 중심축봉(11)에서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40)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공(41)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공(41)에는 너트(42)가 인서트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40)는 상기 너트(42)를 인서트하여 일체로 사출성형하거나 너트(42)를 끼울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도록 사출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41)의 너트(42)에 외주면에 나사산(45)이 형성된 승강핀(44)이 나사결합되어 승강 및 하강된다.
상기 좌판(20)과 결합부(30)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일체로 이루어진 것 으로, 그 외형은 종래의 좌판에 다리가 결합되는 브라켓을 일체로 결합한 것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30)에는 금속재의 보스(32)가 삽입되어 결합공(31)을 형성하는데, 이 결합공(31)의 단면은 상기 중심축봉(11)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중심축봉(11)이 결합공(3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끼움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공(31)은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이에 끼움결합되는 중심축봉(11)의 선단부도 상기 결합공(31)에 대응되게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좌판(20)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좌판(20)은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외관이 미려하여, 이 좌판(20)을 은폐할 별도의 시트를 부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이 간단하고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판(20)의 저면에는 결합부(30) 외측에 받침부재(60)가 고정 결합되거나 또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60)가 결합부(30)의 두께보다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같게 형성되어, 좌판(20)을 바닥면(1)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어, 좌판(20)이 바닥면(1)에 접촉되더라도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받침부재(60)가 좌판(20)의 모서리부에 각각 구비된 통 형상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결합부(30)를 둘러싸는 테두리 형상이나 결합부(30)의 전후방 또는 양측방에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또한, 상기 결합부(30)의 저면이 바닥면(1)과 평행을 이루도록 성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중심축봉(11)의 상단에는 길이조절버튼(13)이 구비되며, 상기 좌 판(20)의 결합부(30) 일측에는 길이조절레버(14)가 구비되어, 이 길이조절레버(14)가 상기 길이조절버튼(13)을 눌러서 좌판(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50)는 등받이프레임(51)에 결합되며, 이 등받이프레임(51)은 상기 좌판(2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좌판(20)에는 힌지부(21)가 구비되며, 이 힌지부(21)에 등받이프레임(51)이 결합되어, 힌지부(21)를 중심으로 좌판(20) 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등받이(50)를 상기와 같이 회동시켜 의자를 테이블 밑에 보관할 수 있어서, 보관이 용이하면서도 공간을 좀 더 넓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21)에는 등받이프레임(51)이 좌판(20)과 둔각을 이루도록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2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좌판(20)에 둘 이상의 힌지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22)가 상기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다리(10)에 의해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구비되는 좌판(20)을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다리(10)를 구성하는 중심축봉(11)의 외주면에 상하로 관통공(41)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41)에서 승강되는 승 강핀(44)이 구비된 지지부재(40)와, 좌판(20)의 저면에 상기 중심축봉(11)이 결합되는 결합공(31)이 형성된 결합부(3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40)에 의해 좌판(20)이 견고하게 지지됨은 물론, 상기 승강핀(44)을 승강시킴에 따라 중심축봉(11)을 좌판(20)에서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좌판(20)을 바닥면(1)에 놓고 사용하는 좌식 의자로도 사용할 수 있어, 하나의 의자로 다양한 높이의 여러 개의 테이블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보관장소도 많이 차지하지 않아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40)의 관통공(41)에 너트(42)를 인서트하고 승강핀(44)을 이 너트(42)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좀 더 용이하게 중심축봉(11)을 좌판(20)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좌판(20)에 스토퍼(22)가 형성된 힌지부(21)를 구비하여, 등받이(50)가 구비된 등받이프레임(51)을 좌판(20) 방향으로만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테이블 밑으로 의자를 들어갈 수 있어서 실내공간을 더욱 더 넓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스토퍼(22)에 의해서 등받이프레임(51)이 좌판(20)과 둔각을 이루는 것이 방지되어, 등받이(50) 본래의 기능을 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심축봉(11)이 분리된 좌판(20)을 좌식 의자로 사용하는 경우, 좌판(20)의 저면 결합부(30)의 둘레부에 받침부재(60)가 구비됨으로써, 좌판(20)의 유동이 방지되어, 착석자는 좌식 의자에 앉더라도 안락함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10)와, 이 다리(10)에 형성된 중심축봉(11)의 상측에 구비되어 착석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20)을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20)의 저면에는 상기 중심축봉(11)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결합공(31)이 형성된 결합부(30)가 하향 돌출되며, 상기 결합공(31)의 저면에 위치되며 상기 중심축봉(11)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테두리 형상의 지지부재(40)가 구비되고, 이 지지부재(40)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41)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관통공(41)에 승강핀(44)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핀(44)의 승강에 의해 상기 중심축봉(11)이 결합공(31)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겸용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0)의 관통공(41)에는 너트(42)가 인서트되며, 상기 승강핀(44)의 외주면에는 상기 너트(42)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4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겸용 의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20)의 상면에는 힌지부(21)가 구비되고, 이 힌지부(21)에 착석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50)가 구비된 등받이프레 임(51)이 결합되어, 등받이프레임(51)이 힌지부(21)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좌판(20)을 향하여 접혀지며, 상기 힌지부(21)에는 등받이프레임(51)이 좌판(20)과 둔각을 이루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겸용 의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20)의 저면에는 상기 결합부(30)와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되거나 착탈되는 하나 이상의 받침부재(60)가 구비되어, 이 받침부재(60)가 상기 좌판(20)을 바닥면(1)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겸용 의자.
KR2020060021260U 2006-08-08 2006-08-08 좌식 겸용 의자 KR2004306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260U KR200430639Y1 (ko) 2006-08-08 2006-08-08 좌식 겸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260U KR200430639Y1 (ko) 2006-08-08 2006-08-08 좌식 겸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639Y1 true KR200430639Y1 (ko) 2006-11-10

Family

ID=4177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260U KR200430639Y1 (ko) 2006-08-08 2006-08-08 좌식 겸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6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671Y1 (ko) * 2019-06-17 2020-05-15 김성림 다목적 작업의자 프레임 및 이 프레임을 이용한 작업의자
KR20210080878A (ko) * 2019-12-23 2021-07-01 한봉현 다용도 의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671Y1 (ko) * 2019-06-17 2020-05-15 김성림 다목적 작업의자 프레임 및 이 프레임을 이용한 작업의자
KR20210080878A (ko) * 2019-12-23 2021-07-01 한봉현 다용도 의자
KR102344880B1 (ko) * 2019-12-23 2021-12-28 한봉현 다용도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559Y1 (ko) 착탈식 팔걸이소파
KR200430639Y1 (ko) 좌식 겸용 의자
CN202407895U (zh) 可拆卸式的具有人体工学结构的座椅
US20110221240A1 (en) Compact children&#39;s table and stool set
KR101496727B1 (ko) 접철식 좌식의자
WO2007021179A1 (en) Piece of furniture
US20100066140A1 (en) Stackable chair with flexible back
JP6041586B2 (ja) 椅子及びその座板
KR200275534Y1 (ko) 발 받침대를 갖는 의자
WO2020168588A1 (zh) 一种洗澡、坐便一体式全塑料椅
KR20100012707U (ko) 의자의 등받이 결합장치
JP2008506438A (ja) 椅子
CN212698311U (zh) 一种升降餐凳
CN212066266U (zh) 一种便于办公的多功能沙发
CN210672808U (zh) 多功能餐椅
KR200342400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062216B1 (ko) 의자
CN211483746U (zh) 一种一体设计的儿童学习用座椅
CN211298870U (zh) 一种可伸缩式儿童安全型两用茶几
KR200458497Y1 (ko) 등받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20120002824U (ko) 좌우 회동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의자 팔걸이
KR200286437Y1 (ko) 쇼파
KR200409235Y1 (ko) 의자용 머리받침대의 높이 조절 구조
KR200400879Y1 (ko) 의자용 등받이의 해드레스트 구조
KR200331389Y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