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263B1 -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263B1
KR102352263B1 KR1020210012919A KR20210012919A KR102352263B1 KR 102352263 B1 KR102352263 B1 KR 102352263B1 KR 1020210012919 A KR1020210012919 A KR 1020210012919A KR 20210012919 A KR20210012919 A KR 20210012919A KR 102352263 B1 KR102352263 B1 KR 102352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corner column
support
support beam
predetermined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스트
Priority to KR1020210012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8Special structures in or on roofs, e.g. dormer window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r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 즉, 대기로부터 해충 또는 조류의 배설물 또는 오염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여 가정으로 깨끗한 물(또는 식수)을 공급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제1모서리기둥(102)과; 상기 제1모서리기둥(10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2모서리기둥(104)과;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3모서리기둥(106)과; 상기 제3모서리기둥(10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4모서리기둥(108)과; 상기 제1모서리기둥(102)의 상단부 내면과 제2모서리기둥(104)의 상단부 내면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에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있는 제1지지보(110)와;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3모서리기둥(106)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2지지보와; 상기 제3모서리기둥(106)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4모서리기둥(108)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에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있는 제3지지보(114)와; 상기 제4모서리기둥(108)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1모서리기둥(102)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4지지보와;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과 제3모서리기둥(106) 사이 일측에 설치되어 출입문을 지지해 주는 제1출입문지지기둥(116)과; 상기 제1출입문지지기둥(116)과 제3모서리기둥(106) 사이 일측에 설치되어 출입문을 지지해 주는 제2출입문지지기둥(118) 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Water Purification Plant Cover System for Inlet Prevention}
본 발명은 정수장 덮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 즉, 대기로부터 해충 또는 조류의 배설물 또는 오염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여 가정으로 깨끗한 물(또는 식수)을 공급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수장은 강물이나 지하수 따위의 물을 먹거나 쓸 수 있도록 깨끗하게 걸러 내는 시설을 갖춘 곳으로써, 현재 전국적으로 가동중인 정수장의 여과조나 침전조는 그 상부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된 개방형이다. 이러한 개방형 정수장은 그 주위에 대도심지나 농경지, 산업공간이 인접할 경우 대기로부터 각종 유해독성물질이 정수장 내부로 그대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정수장은 여과조나 침전조 등의 정수장 상부가 외부로 그대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직사광선이 그 내부로 그대로 유입되며 이러한 직사광선의 유입은 정수 내의 이끼의 번식을 촉진시키게 되어 결국 식수로써 부적합한 주요 원인이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 2006년 09월 07일자 출원번호 20-2006-0024065호(고안의 명칭 : 정수장용 덮개장치)로 특허청에 출원된 바 있으며, 도 1을 참조하여 청구범위를 살펴보면, 청구범위는 " 정수장의 상부 둘레에 설치되는 프레임(10)과; 상기 정수장의 프레임(10) 상에 상기 정수장의 상부공간(23)(26)(19)을 개폐하는 제1커버(21)(51)(61), 제2커버(24)(53)(62) 및 제3커버(27)(55)(63)를 설치하되, 상기 제1커버(21)(51)(61)와 제2커버(24)(53)(62) 사이에는 상기 정수장의 상부 중앙 공간을 개폐하는 제3커버(27)(55)(63)를 형성한 커버(20)(50)(60)와; 상기 프레임(10)과 커버(20)(50)(60)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기 커버(20)(50)(60)의 개폐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20)(50)(60)가 개폐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10) 상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1)과, 상기 커버(20)(50)(60)의 단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31)에 안착되어 이를 따라 이송되는 바퀴(38)(39)(40)로 이루어진 가이드수단(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용 덮개장치. " 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가정으로 깨끗한 물(또는 식수)을 공급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정수장용 덮개장치 또는 정수장 덮개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개발된 제품의 특허가 특허청에 여러 건 출원되어 있는 실정에 있다.
본 출원인은 해충 유입을 방지함과 아울러 전기 및 모터를 이용하지 않고 천장 일부를 개폐하여 내부 공기를 환기하는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상 즉, 대기로부터 해충 또는 조류의 배설물 또는 오염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여 가정으로 깨끗한 물(또는 식수)을 공급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은,
제1모서리기둥(102)과;
상기 제1모서리기둥(10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2모서리기둥(104)과;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3모서리기둥(106)과;
상기 제3모서리기둥(10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4모서리기둥(108)과;
상기 제1모서리기둥(102)의 상단부 내면과 제2모서리기둥(104)의 상단부 내면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에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있는 제1지지보(110)와;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3모서리기둥(106)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2지지보와;
상기 제3모서리기둥(106)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4모서리기둥(108)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에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있는 제3지지보(114)와;
상기 제4모서리기둥(108)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1모서리기둥(102)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4지지보와;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과 제3모서리기둥(106) 사이 일측에 설치되어 출입문을 지지해 주는 제1출입문지지기둥(116)과;
상기 제1출입문지지기둥(116)과 제3모서리기둥(106) 사이 일측에 설치되어 출입문을 지지해 주는 제2출입문지지기둥(118)과;
상기 제2지지보의 상면 중앙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4지지보의 상면 중앙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2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2돌출부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에 제1슬라이딩홈과 제1슬라이딩홈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제2슬라이딩홈을 구비하고 있는 제5지지보(120)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은 대기로부터 해충 또는 조류의 배설물 또는 오염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가정으로 깨끗한 물(또는 식수)을 공급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기 및 모터를 이용하지 않고 천장 일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 공기를 정화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정수장 내 물의 흐름에 따른 음압과 내부 공기 정화를 위한 공조기 가동시 발생하는 음압이 덮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정수장용 덮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b는 도 2a의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의 실물사진,
도 3 내지 도 4는 도 2a의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에서 천장 일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a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도 2a의 요부 확대 실물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의 실물사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도 2a의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에서 천장 일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a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2a의 요부 확대 실물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100)은,
제1모서리기둥(102)과;
상기 제1모서리기둥(10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2모서리기둥(104)과;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3모서리기둥(106)과;
상기 제3모서리기둥(10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4모서리기둥(108)과;
상기 제1모서리기둥(102)의 상단부 내면과 제2모서리기둥(104)의 상단부 내면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에 가이드홈(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1지지보(110)와;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3모서리기둥(106)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2지지보(도시는 생략함)와;
상기 제3모서리기둥(106)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4모서리기둥(108)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에 가이드홈(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3지지보(114)와;
상기 제4모서리기둥(108)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1모서리기둥(102)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4지지보(도시는 생략함)와;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과 제3모서리기둥(106) 사이 일측에 설치되어 출입문을 지지해 주는 제1출입문지지기둥(116)과;
상기 제1출입문지지기둥(116)과 제3모서리기둥(106) 사이 일측에 설치되어 출입문을 지지해 주는 제2출입문지지기둥(118)과;
상기 제2지지보의 상면 중앙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돌출부(도시는 생략함)와;
상기 제1돌출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4지지보의 상면 중앙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2돌출부(도시는 생략함)와;
상기 제1돌출부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2돌출부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에 제1슬라이딩홈(도시는 생략함)과 제1슬라이딩홈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제2슬라이딩홈(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5지지보(120)와;
상기 제1모서리기둥(102)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천장보(122)와;
상기 제1천장보(12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2모서리기둥(104)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천장보(124)와;
상기 제3모서리기둥(106)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3천장보(126)와;
상기 제3천장보(12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4모서리기둥(108)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4천장보(128)와;
상기 제1천장보(122)와 제2천장보(124) 사이에 위치되되, 제1지지보(110)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는 제5천장보(130)와;
상기 제3천장보(126)와 제4천장보(128) 사이에 위치되되, 제3지지보(114)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는 제6천장보(132)와;
상기 제5천장보(13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 공기를 환기해 주는 제1환기창(134)과;
상기 제1환기창(134)의 외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이 제1지지보(110)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1환기창(134)의 개폐를 도와 주는 제1개폐보조부(136)와;
상기 제1개폐보조부(13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1환기창(134)의 외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이 제5지지보(120)의 제1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1환기창(134)의 개폐를 도와 주는 제2개폐보조부(138)와;
상기 제6천장보(132)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 공기를 환기해 주는 제2환기창(140)과;
상기 제2환기창(140)의 외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이 제3지지보(114)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2환기창(140)의 개폐를 도와 주는 제3개폐보조부(142)와;
상기 제3개폐보조부(14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2환기창(140)의 외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이 제5지지보(120)의 제2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2환기창(140)의 개폐를 도와 주는 제4개폐보조부(144)와;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과 제1출입문지지기둥(116) 사이에 설치되어 제2천장보(124)를 지지해 주는 제1수직부(146)와;
상기 제1출입문지지기둥(116)과 제1수직부(146) 사이 일측에 설치되어 정수장 내 물의 흐름에 따른 음압과 내부 공기 정화를 위한 공조기 가동시 발생하는 음압이 덮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제1음압조절창(148)과;
상기 제2출입문지지기둥(118)과 제3모서리기둥(106) 사이에 설치되어 제3천장보(126)를 지지해 주는 제2수직부(150)와;
상기 제1음압조절창(14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2출입문지지기둥(118)과 제2수직부(150) 사이 일측에 설치되어 정수장 내 물의 흐름에 따른 음압과 내부 공기 정화를 위한 공조기 가동시 발생하는 음압이 덮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제2음압조절창(152)과;
상기 제1출입문지지기둥(116)의 상단부 외면 일측과 제2출입문지지기둥(118)의 상단부 외면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되되, 내부에 슬라이딩홈을 구비하는 고정레일(154)과;
상기 고정레일(154)의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되되, 걸림공(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1슬라이딩부(156)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15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레일(154)의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되되, 걸림공(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2슬라이딩부(158)와;
상기 제1출입문지지기둥(116)의 내면과 제2출입문지지기둥(118)의 내면 사이에 끼움 설치되어 사용자의 출입을 도와 주되, 외면에 손잡이(도시는 생략함)를 구비하고 있는 출입문(160)과;
상기 손잡이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출입문(154) 상단부 외면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되되, 제1슬라이딩부(156)의 걸림공에 삽입되어 출입문(160)의 외부 이탈을 방지해 주는 제1이탈방지봉(162)과;
상기 제1이탈방지봉(16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출입문(154) 상단부 외면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되되, 제2슬라이딩부(158)의 걸림공에 삽입되어 출입문(160)의 외부 이탈을 방지해 주는 제2이탈방지봉(164)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100)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100)의 설치과정은 설치자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정수장의 일측에 제1모서리기둥(102)을 설치한 후, 상기 제1모서리기둥(10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정수장의 일측에 제2모서리기둥(104)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정수장의 일측에 제3모서리기둥(106)을 설치한 후, 제3모서리기둥(10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정수장의 일측에 제4모서리기둥(108)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모서리기둥(102)의 상단부 내면과 제2모서리기둥(104)의 상단부 내면에 가이드홈(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1지지보(110)을 설치한 후, 제2모서리기둥(104)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3모서리기둥(106)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제2지지보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3모서리기둥(106)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4모서리기둥(108)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가이드홈(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3지지보(114)를 설치한 후, 제4모서리기둥(108)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1모서리기둥(102)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제4지지보(도시는 생략함)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과 제3모서리기둥(106) 사이 일측에 출입문을 지지해 주는 제1출입문지지기둥(116)을 설치한 후, 제1출입문지지기둥(116)과 제3모서리기둥(106) 사이 일측에 출입문을 지지해 주는 제2출입문지지기둥(118)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보의 상면 중앙에 돌출되게 제1돌출부(도시는 생략함)를 설치한 후, 제1돌출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4지지보의 상면 중앙에 돌출되게 제2돌출부(도시는 생략함)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2돌출부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제1슬라이딩홈(도시는 생략함)과 제2슬라이딩홈(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5지지보(120)를 설치한 후, 제1모서리기둥(102)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경사지게 제1천장보(122)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천장보(12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2모서리기둥(104)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경사지게 제2천장보(124)를 설치한 후, 제3모서리기둥(106)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경사지게 제3천장보(126)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3천장보(12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4모서리기둥(108)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경사지게 제4천장보(128)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천장보(122)와 제2천장보(124) 사이에 제5천장보(130)를 위치시키되, 제5천장보(130)를 제1지지보(110)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3천장보(126)와 제4천장보(128) 사이에 제6천장보(132)를 ㅇ위치시키되, 제6천장보(132)를 제3지지보(114)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5천장보(13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내부 공기를 환기해 주는 제1환기창(134)을 설치한 후, 제1환기창(134)의 외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1개폐보조부(136)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개폐보조부(136)의 일단을 제1지지보(110)의 가이드홈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개폐보조부(13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1환기창(134)의 외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2개폐보조부(138)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2개폐보조부(138)의 일단을 제5지지보(120)의 제1슬라이딩홈에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제1개폐보조부(136) 및 제2개폐보조부(138)는 제1환기창(134)의 개폐를 도와 준다.
그리고, 상기 제6천장보(132)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내부 공기를 환기해 주는 제2환기창(140)을 설치한 후, 제2환기창(140)의 외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3개폐보조부(142)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3개폐보조부(142)의 일단을 제3지지보(114)의 가이드홈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제3개폐보조부(14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2환기창(140)의 외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4개폐보조부(144)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4개폐보조부(144)의 일단을 제5지지보(120)의 제2슬라이딩홈에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제3개폐보조부(142) 및 제4개폐보조부(144)는 제2환기창(140)의 개폐를 도와 준다.
그리고,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과 제1출입문지지기둥(116) 사이에 제1수직부(146)를 설치한다.
상기 제2출입문지지기둥(118)과 제3모서리기둥(106) 사이에 제2수직부(150)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1수직부(146)와 제2수직부(150)는 제2천장보(124)를 지지해 준다.
그리고, 상기 제1출입문지지기둥(116)과 제1수직부(146) 사이 일측에 제1음압조절창(148)을 설치한 후, 제2출입문지지기둥(118)과 제2수직부(150) 사이 일측에 제2음압조절창(152)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출입문지지기둥(116)의 상단부 외면 일측과 제2출입문지지기둥(118)의 상단부 외면 일측에 돌출되게 슬라이딩홈을 구비하는 고정레일(154)을 설치한 후, 고정레일(154)의 슬라이딩홈에 걸림공(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1슬라이딩부(156)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슬라이딩부(15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레일(154)의 슬라이딩홈에 걸림공(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2슬라이딩부(158)를 설치한다.
그리고, 출입문(160)을 위치시킨 후, 상기 출입문(16)의 외면에 손잡이(도시는 생략함)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출입문(154) 상단부 외면 일측에 돌출되게 제1이탈방지봉(162)를 설치한 후, 제1이탈방지봉(16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출입문(154) 상단부 외면 일측에 돌출되게 제2이탈방지봉(164)을 설치한다.
그리고, 아크릴판(또는 투명한 재질의 막) 그리고 불투명한 패널 등을 위치시킨 후, 상기 아크릴판 그리고 불투명한 패널을 모서리기둥과 모서리기둥 사이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아크릴판을 천장보와 천장보 사이에 설치한다.
또한, 상기 아크릴판을 제1환기창(134), 제2환기창(140) 및 출입문(160)에 설치한다.
그리고, 메쉬망(도시는 생략함)을 준비한 후, 상기 메쉬망을 제1음압조절창(148) 및 제2음압조절창(152)에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100)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손잡이와 제1이탈방지봉(162)과 제2이탈방지봉(164)을 구비하고 있는 출입문(160)을 제1출입문지지기둥(116)의 내면과 제2출입문지지기둥(118)의 내면 사이에 억지 끼움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정수장 내 물의 흐름에 따른 음압과 내부 공기 정화를 위한 공조기 가동시 발생하는 음압에 따라 덮개시스템(100)에 영향을 줄 수 있음으로, 메쉬망이 설치되어 있는 제1음압조절창(148) 및 제2음압조절창(152)을 연다.
그리고, 덮개시스템(100)의 천장에는 아크릴판이 설치되어 있는 제1환기창(134)과 제2환기창(140)이 회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바.
덮개시스템(100)의 내부 공기를 환기하고자 할 경우, 제1환기창(134) 또는 제2환기창(140)을 상측으로 밀어 올린다.
상기와 같이 제1환기창(134) 또는 제2환기창(140)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면,
즉, 상기 제1환기창(134)이 올라감에 따라 제1개폐보조부(136)는 제1지지보(110)의 가이드홈을 따라 상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제1환기창(134)을 지지하고, 제2개폐보조부(138)는 제5지지보(120)의 제1슬라이딩홈을 따라 상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제1환기창(134)을 지지한다.
상기 제2환기창(140)이 올라감에 따라 제3개폐보조부(142)는 제3지지보(114)의 가이드홈을 따라 상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제2환기창(140)을 지지하고, 제4개폐보조부(144)는 제5지지보(120)의 제2슬라이딩홈을 따라 상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제2환기창(140)을 지지한다.
그리고, 아크릴판이 설치된 출입문(160)을 열고자할 경우,
출입문(160)의 고정을 해제하고, 출입문(16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이탈방지봉(162)을 고정레일(154)에 끼워져 있는 제1슬라이딩부(156)의 걸림공에 끼움과 동시에 출입문(16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이탈방지봉(164)을 고정레일(154)에 끼워져 있는 제2슬라이딩부(158)의 걸림공에 끼운 후, 상기 출입문(160)을 앞으로 당긴다.
상기 출입문(160)을 앞으로 당기면, 제1이탈방지봉(162)은 제1슬라이딩부(156)의 걸림공을 타고, 제2이탈방지봉(164)은 제2슬라이딩부(158)의 걸림공을 타고 앞으로 전진한다. 이때, 출입문(160)이 앞으로 전진하고, 제1출입문지지기둥(116)과 제2출입문지지기둥(118) 사이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앞으로 전지되어 있는 출입문(160)을 일측 방향으로 민다.
상기 출입문(160)을 일측 방향으로 밀면, 고정레일(154)에 끼워져 있는 제1슬라이딩부(156)와 제2슬라이딩부(158)가 이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기로부터 해충 또는 조류의 배설물 또는 오염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여 가정으로 깨끗한 물(또는 식수)을 공급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 102 : 제1모서리기둥
104 : 제2모서리기둥 106 : 제3모서리기둥
108 : 제4모서리기둥 110 : 제1지지보
114 : 제3지지보 116 : 제1출입문지지기둥
118 : 제2출입문지지기둥 120 : 제5지지보
122 : 제1천장보 124 : 제2천장보
126 : 제3천장보 128 : 제4천장보
130 : 제5천장보 132 : 제6천장보
134 : 제1환기창 136 : 제1개폐보조부
138 : 제2개폐보조부 140 : 제2환기창
142 : 제3개폐보조부 144 : 제4개폐보조부
146 : 제1수직부 148 : 제1음압조절창
150 : 제2수직부 152 : 제2음압조절창
154 : 고정레일 156 : 제1슬라이딩부
158 : 제2슬라이딩부 160 : 출입문
162 : 제1이탈방지봉 164 : 제2이탈방지봉

Claims (4)

  1. 제1모서리기둥(102)과;
    상기 제1모서리기둥(10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2모서리기둥(104)과;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3모서리기둥(106)과;
    상기 제3모서리기둥(10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4모서리기둥(108)과;
    상기 제1모서리기둥(102)의 상단부 내면과 제2모서리기둥(104)의 상단부 내면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에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있는 제1지지보(110)와;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3모서리기둥(106)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2지지보와;
    상기 제3모서리기둥(106)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4모서리기둥(108)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에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있는 제3지지보(114)와;
    상기 제4모서리기둥(108)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1모서리기둥(102)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4지지보와;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과 제3모서리기둥(106) 사이 일측에 설치되어 출입문을 지지해 주는 제1출입문지지기둥(116)과;
    상기 제1출입문지지기둥(116)과 제3모서리기둥(106) 사이 일측에 설치되어 출입문을 지지해 주는 제2출입문지지기둥(118)과;
    상기 제2지지보의 상면 중앙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4지지보의 상면 중앙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2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2돌출부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에 제1슬라이딩홈과 제1슬라이딩홈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제2슬라이딩홈을 구비하고 있는 제5지지보(1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
  2. 제1모서리기둥(102)과;
    상기 제1모서리기둥(10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2모서리기둥(104)과;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3모서리기둥(106)과;
    상기 제3모서리기둥(10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4모서리기둥(108)과;
    상기 제1모서리기둥(102)의 상단부 내면과 제2모서리기둥(104)의 상단부 내면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에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있는 제1지지보(110)와;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3모서리기둥(106)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2지지보와;
    상기 제3모서리기둥(106)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4모서리기둥(108)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에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있는 제3지지보(114)와;
    상기 제4모서리기둥(108)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1모서리기둥(102)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4지지보와;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과 제3모서리기둥(106) 사이 일측에 설치되어 출입문을 지지해 주는 제1출입문지지기둥(116)과;
    상기 제1출입문지지기둥(116)과 제3모서리기둥(106) 사이 일측에 설치되어 출입문을 지지해 주는 제2출입문지지기둥(118)과;
    상기 제2지지보의 상면 중앙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4지지보의 상면 중앙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2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2돌출부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에 제1슬라이딩홈과 제1슬라이딩홈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제2슬라이딩홈을 구비하고 있는 제5지지보(120)와;
    상기 제1모서리기둥(102)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천장보(122)와;
    상기 제1천장보(12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2모서리기둥(104)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천장보(124)와;
    상기 제3모서리기둥(106)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3천장보(126)와;
    상기 제3천장보(12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4모서리기둥(108)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4천장보(128)와;
    상기 제1천장보(122)와 제2천장보(124) 사이에 위치되되, 제1지지보(110)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는 제5천장보(130)와;
    상기 제3천장보(126)와 제4천장보(128) 사이에 위치되되, 제3지지보(114)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는 제6천장보(13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
  3. 제1모서리기둥(102)과;
    상기 제1모서리기둥(10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2모서리기둥(104)과;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3모서리기둥(106)과;
    상기 제3모서리기둥(10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4모서리기둥(108)과;
    상기 제1모서리기둥(102)의 상단부 내면과 제2모서리기둥(104)의 상단부 내면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에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있는 제1지지보(110)와;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3모서리기둥(106)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2지지보와;
    상기 제3모서리기둥(106)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4모서리기둥(108)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에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있는 제3지지보(114)와;
    상기 제4모서리기둥(108)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1모서리기둥(102)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4지지보와;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과 제3모서리기둥(106) 사이 일측에 설치되어 출입문을 지지해 주는 제1출입문지지기둥(116)과;
    상기 제1출입문지지기둥(116)과 제3모서리기둥(106) 사이 일측에 설치되어 출입문을 지지해 주는 제2출입문지지기둥(118)과;
    상기 제2지지보의 상면 중앙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4지지보의 상면 중앙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2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2돌출부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에 제1슬라이딩홈과 제1슬라이딩홈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제2슬라이딩홈을 구비하고 있는 제5지지보(120)와;
    상기 제1모서리기둥(102)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천장보(122)와;
    상기 제1천장보(12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2모서리기둥(104)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천장보(124)와;
    상기 제3모서리기둥(106)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3천장보(126)와;
    상기 제3천장보(12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4모서리기둥(108)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4천장보(128)와;
    상기 제1천장보(122)와 제2천장보(124) 사이에 위치되되, 제1지지보(110)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는 제5천장보(130)와;
    상기 제3천장보(126)와 제4천장보(128) 사이에 위치되되, 제3지지보(114)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는 제6천장보(132)와;
    상기 제5천장보(13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 공기를 환기해 주는 제1환기창(134)과;
    상기 제1환기창(134)의 외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이 제1지지보(110)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1환기창(134)의 개폐를 도와 주는 제1개폐보조부(136)와;
    상기 제1개폐보조부(13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1환기창(134)의 외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이 제5지지보(120)의 제1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1환기창(134)의 개폐를 도와 주는 제2개폐보조부(138)와;
    상기 제6천장보(132)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 공기를 환기해 주는 제2환기창(140)과;
    상기 제2환기창(140)의 외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이 제3지지보(114)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2환기창(140)의 개폐를 도와 주는 제3개폐보조부(142)와;
    상기 제3개폐보조부(14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2환기창(140)의 외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이 제5지지보(120)의 제2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2환기창(140)의 개폐를 도와 주는 제4개폐보조부(14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
  4. 제1모서리기둥(102)과;
    상기 제1모서리기둥(10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2모서리기둥(104)과;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3모서리기둥(106)과;
    상기 제3모서리기둥(10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4모서리기둥(108)과;
    상기 제1모서리기둥(102)의 상단부 내면과 제2모서리기둥(104)의 상단부 내면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에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있는 제1지지보(110)와;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3모서리기둥(106)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2지지보와;
    상기 제3모서리기둥(106)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4모서리기둥(108)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에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있는 제3지지보(114)와;
    상기 제4모서리기둥(108)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1모서리기둥(102)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4지지보와;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과 제3모서리기둥(106) 사이 일측에 설치되어 출입문을 지지해 주는 제1출입문지지기둥(116)과;
    상기 제1출입문지지기둥(116)과 제3모서리기둥(106) 사이 일측에 설치되어 출입문을 지지해 주는 제2출입문지지기둥(118)과;
    상기 제2지지보의 상면 중앙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4지지보의 상면 중앙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2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의 상단부 내면 일측과 제2돌출부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에 제1슬라이딩홈과 제1슬라이딩홈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내부 일측에 제2슬라이딩홈을 구비하고 있는 제5지지보(120)와;
    상기 제1모서리기둥(102)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천장보(122)와;
    상기 제1천장보(12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2모서리기둥(104)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천장보(124)와;
    상기 제3모서리기둥(106)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3천장보(126)와;
    상기 제3천장보(12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4모서리기둥(108)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4천장보(128)와;
    상기 제1천장보(122)와 제2천장보(124) 사이에 위치되되, 제1지지보(110)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는 제5천장보(130)와;
    상기 제3천장보(126)와 제4천장보(128) 사이에 위치되되, 제3지지보(114)의 상단 일측과 제5지지보(120)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는 제6천장보(132)와;
    상기 제5천장보(13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 공기를 환기해 주는 제1환기창(134)과;
    상기 제1환기창(134)의 외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이 제1지지보(110)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1환기창(134)의 개폐를 도와 주는 제1개폐보조부(136)와;
    상기 제1개폐보조부(13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1환기창(134)의 외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이 제5지지보(120)의 제1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1환기창(134)의 개폐를 도와 주는 제2개폐보조부(138)와;
    상기 제6천장보(132)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 공기를 환기해 주는 제2환기창(140)과;
    상기 제2환기창(140)의 외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이 제3지지보(114)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2환기창(140)의 개폐를 도와 주는 제3개폐보조부(142)와;
    상기 제3개폐보조부(14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2환기창(140)의 외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이 제5지지보(120)의 제2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2환기창(140)의 개폐를 도와 주는 제4개폐보조부(144)와;
    상기 제2모서리기둥(104)과 제1출입문지지기둥(116) 사이에 설치되어 제2천장보(124)를 지지해 주는 제1수직부(146)와;
    상기 제1출입문지지기둥(116)과 제1수직부(146) 사이 일측에 설치되어 정수장 내 물의 흐름에 따른 음압과 내부 공기 정화를 위한 공조기 가동시 발생하는 음압이 덮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제1음압조절창(148)과;
    상기 제2출입문지지기둥(118)과 제3모서리기둥(106) 사이에 설치되어 제3천장보(126)를 지지해 주는 제2수직부(150)와;
    상기 제1음압조절창(14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2출입문지지기둥(118)과 제2수직부(150) 사이 일측에 설치되어 정수장 내 물의 흐름에 따른 음압과 내부 공기 정화를 위한 공조기 가동시 발생하는 음압이 덮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제2음압조절창(152)과;
    상기 제1출입문지지기둥(116)의 상단부 외면 일측과 제2출입문지지기둥(118)의 상단부 외면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되되, 내부에 슬라이딩홈을 구비하는 고정레일(154)과;
    상기 고정레일(154)의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되되, 걸림공을 구비하고 있는 제1슬라이딩부(156)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15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레일(154)의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되되, 걸림공을 구비하고 있는 제2슬라이딩부(158)와;
    상기 제1출입문지지기둥(116)의 내면과 제2출입문지지기둥(118)의 내면 사이에 끼움 설치되어 사용자의 출입을 도와 주되, 외면에 손잡이를 구비하고 있는 출입문(160)과;
    상기 손잡이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출입문(154) 상단부 외면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되되, 제1슬라이딩부(156)의 걸림공에 삽입되어 출입문(160)의 외부 이탈을 방지해 주는 제1이탈방지봉(162)과;
    상기 제1이탈방지봉(16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출입문(154) 상단부 외면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되되, 제2슬라이딩부(158)의 걸림공에 삽입되어 출입문(160)의 외부 이탈을 방지해 주는 제2이탈방지봉(164)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





KR1020210012919A 2021-01-29 2021-01-29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 KR102352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919A KR102352263B1 (ko) 2021-01-29 2021-01-29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919A KR102352263B1 (ko) 2021-01-29 2021-01-29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263B1 true KR102352263B1 (ko) 2022-01-17

Family

ID=8005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919A KR102352263B1 (ko) 2021-01-29 2021-01-29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2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224Y1 (ko) * 2006-09-07 2006-11-30 이광연 정수장용 덮개장치
KR20140143039A (ko) * 2013-06-05 2014-12-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홀인원 가변형 구조물
JP2018007628A (ja) * 2016-07-14 2018-01-18 東都興業株式会社 温室におけるドア装置
KR102164526B1 (ko) * 2020-07-03 2020-10-12 이종성 양압 교실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224Y1 (ko) * 2006-09-07 2006-11-30 이광연 정수장용 덮개장치
KR20140143039A (ko) * 2013-06-05 2014-12-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홀인원 가변형 구조물
JP2018007628A (ja) * 2016-07-14 2018-01-18 東都興業株式会社 温室におけるドア装置
KR102164526B1 (ko) * 2020-07-03 2020-10-12 이종성 양압 교실 컨테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205B1 (ko) 개폐 가능한 방진망이 구비된 방충망 장치
US5906083A (en) Modular louver system
US10576418B2 (en) Module of ventilation and biological purific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air to an environment, and relevant method
US20030050006A1 (en) Security air vent
KR101818434B1 (ko) 창호형 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자동 환기 시스템
JP6501961B1 (ja) 耐洪水塀を備えた耐水害建物およびリノベーション工法
KR102352263B1 (ko) 해충 유입 방지용 정수장 덮개시스템
KR20080007089A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DE102012001568A1 (de) Lichtschacht zur Belichtung von Untergeschossen mit oben liegender Fensterabdeckung
CN215260299U (zh) 一种全地下隐藏式通风风亭装置
CN211873296U (zh) 一种下水道用防臭防虫装置
JP2010236823A (ja) 換気フード
CN209924118U (zh) 适用于悬挑阳台的节点构造
KR102089623B1 (ko) 창문형 빗물 차단부재
KR20120131919A (ko) 침수 방지용 구조물
US2023015725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ets
KR20110004320A (ko) 복합기능 방충창
KR20200138093A (ko) 버스 쉘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설치방법
JP3614536B2 (ja) 放射線管理区域内設置ハウス
KR200418516Y1 (ko) 건축물용 환기장치
CN212927159U (zh) 适用于集装箱房的防雨水倒灌装置
KR101556690B1 (ko) 친환경 악취 저감 가림막장치
CN212720124U (zh) 一种用于建筑设计的室内通风装置
CN112568005A (zh) 一种高层建筑外墙攀援植物绿化系统及其控制方法
KR20090035160A (ko) 창문틀의 상단프레임겸용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