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434B1 - 창호형 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자동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창호형 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자동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434B1
KR101818434B1 KR1020160051664A KR20160051664A KR101818434B1 KR 101818434 B1 KR101818434 B1 KR 101818434B1 KR 1020160051664 A KR1020160051664 A KR 1020160051664A KR 20160051664 A KR20160051664 A KR 20160051664A KR 101818434 B1 KR101818434 B1 KR 101818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indow
frame
window fra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2902A (ko
Inventor
박진철
정민희
양영권
강인성
신창섭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51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434B1/ko
Publication of KR20170122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1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by special construction of the fram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11/001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형 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자동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창호 유닛의 구동으로 창틀 프레임에 형성된 제1공기배출유로를 통해, 공기가 실내 측으로 배출됨으로써, 실내 환기 시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원활하게 유입되어 환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 유닛이 제1공기배출유로를 폐쇄하며, 실외와 실내를 차단한 경우, 필터링된 외부 공기 또는 내부 공기가 제2공기배출유로를 통해 실내 측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기상변화로 인한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실내 공기를 환기(정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공기의 실시간 대기질 정보에 기초하여, 창호 프레임 및 팬 유닛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실내환경 및 실외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창호 유닛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게 하고 자동으로 실내의 공기가 환기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창호형 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자동 환기 시스템{SYSTEM FOR AUTO VENTILATION USING VENTILATION DEVICE OF WINDOWS TYPE}
본 발명은 창호형 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자동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효율적인 실내 환기를 가능하게 하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 및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형 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자동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窓戶)는 건물 외벽의 개구부나 출입구 등에 설치된다. 건물(건축물)에서 창호는 실내와 실외를 서로 차단시키고, 외부 공기의 유입을 위한 유입통로가 된다. 통상적으로 건물의 실내 환기를 위해서는, 창호를 개방하여 실내와 실외를 서로 소통시켜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한편,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할 경우, 냉·난방 효율을 높여주기 위해 창호를 폐쇄하여,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일반적인 창호는 실내 환기 시 외부 공기가 실내로 원활하게 유입되지 않아 환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일반적인 창호는 실내 환기 시, 황사발생 등과 같은 기상변화로 인해 이물질(빗물, 미세 먼지 등)이 실내로 쉽게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아울러, 일반적인 창호는 사용자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기 때문에, 실외환경 및 실내환경의 변화에 각각 대응하여 창호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해당기술분야의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687호의 “시스템 창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환기 시 외부 공기가 실내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여 환기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외부의 기상변화로 인한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실내 공기를 환기(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실내환경 및 실외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창호 유닛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게 하고 자동으로 실내의 공기가 환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형 환기 장치는,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내측에 창문이 설치될 수 있는 틀을 형성시키고, 실내 또는 실외에 해당하는 외부의 공기가 수용될 수 있는 공기챔버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 챔버와 외부를 소통시키는 공기유입유로와, 상기 공기유입유로 및 공기 챔버를 순차로 경유한 공기를 실내 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제1공기배출유로를 구비하는 창틀 프레임; 및 상기 창틀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창문과, 상기 창문을 상기 창틀 프레임에 지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창틀 프레임에 대해 상대이동 되면서 상기 제1공기배출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창호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호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기 챔버 및 제1공기배출유로를 순차로 통과한 공기가 상기 실내 측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를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가이드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창틀 프레임은, 상기 창호 프레임이 상기 제1공기배출유로를 폐쇄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실내 측과 소통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유입유로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공기 챔버와 소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공기배출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창틀 프레임은, 상기 공기 챔버와 연통되고, 상기 공기유입유로를 형성시키는 공기 유입 프레임을 구비하며,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유로로 유입되도록 상기 공기 유입 프레임의 외측에 복수의 슬릿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틀 프레임은, 상기 공기유입유로 측으로 외부 공기를 강제 유입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공기유입유로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팬 유닛; 상기 팬 유닛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 유닛; 및 상기 열교환 유닛을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 프레임은, 상기 창호 유닛이 건물의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킬 경우, 상기 슬릿을 차단시키는 차폐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창호형 환기 장치를 이용한 창호 자동 환기 시스템은 창호형 환기 장치; 상기 실내와 실외 중 어느 하나의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창호 프레임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공기의 실시간 대기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창호 프레임에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인가함은 물론, 외부 공기를 실내 측으로 유입시켜 줄 수 있도록 팬 유닛을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인가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형 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자동 환기 시스템은, 창호 유닛의 구동으로 창틀 프레임에 형성된 제1공기배출유로를 통해, 공기가 실내 측으로 배출됨으로써, 실내 환기 시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원활하게 유입되어 환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 유닛이 제1공기배출유로를 폐쇄되도록 하여, 실외와 실내가 차단된 경우, 필터링된 외부 공기 또는 내부 공기가 제2공기배출유로를 통해 실내 측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기상변화로 인한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실내 공기를 환기(정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공기의 실시간 대기질 정보에 기초하여, 창호 프레임 및 팬 유닛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실내환경 및 실외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창호 유닛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게 하고 자동으로 실내의 공기가 환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자동 환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건물의 실내측에서 도시한 배면도.
도 2는 도 1에서 Ⅱ의 우측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된 수평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우측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자동 환기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자동 환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건물의 실내측에서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Ⅱ의 우측 단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된 수평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우측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창호형 환기 장치는 창틀 프레임(100) 및 창호 유닛(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아울러, 창틀 프레임(100)의 수평 프레임(100a)에 마련되는 공기 유입 프레임(10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창틀 프레임(100)은, 건물의 외벽에 형성된 개구에 설치되며, 상기 창호 유닛(2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창틀 프레임(100)은 수평 프레임(100a) 및 수직 프레임(100b)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창틀 프레임(100)은 외부의 공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고, 수용된 상기 외부의 공기가 이동되될 수 있도록 공기챔버(100c)를 구비한다.
상기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에는, 창호 유닛(200)이 배치된다. 이 창호 유닛(200)은 창문(200a) 및 창호 프레임(20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창호 프레임(200b)는 상기 창문(200a)이 창틀 플레임(100)의 내측에 마련되도록, 상기 창문(200a)을 지지시켜 준다. 상기 창호 프레임(200)은 상기 창틀 프레임(100)에 대해 상대이동 되면서 상기 제1공기배출유로(101a)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상기 창틀 프레임(100)은, 상기 공기 챔버(100c)와 외부를 소통시키는 공기유입유로를 구비한다. 또한, 그 창틀 프레임(100)은,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유로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 유입 프레임(102)과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입유로와 상기 공기 유입 프레임(102)의 내부는 서로 연통된다.
상기 창틀 프레임(100)은, 상기 공기유입유로 및 공기 챔버(100c)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공기를 실내 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제1공기배출유로(101a)를 구비한다. 따라서, 외부 공기는 상기 공기 유입 프레임(102)을 통해 상기 공기유입유로 측으로 유입되고, 상기 공기 챔버(100c)를 경유해 제1공기배출유로로(101a)를 통해 실내 측으로 배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창틀 프레임(100)은 내부에 공기의 이동 및 수용을 위한 공기 챔버(100c)를 구비한다. 상기 창틀 프레임(100)의 공기 챔버(100c)는 수평 프레임(100a) 및 수직 프레임(100b)에 구비되어, 공기가 그 창틀 프레임(100)의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기 챔버(100c)는 공기 유입 프레임(102)의 내부와 연결된다. 상기 공기 챔버(100c) 및 공기 유입 프레임(102)의 내부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공기유입유로가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창틀 프레임(100)의 수평 프레임(100a)은 제1공기배출유로(101a) 및 제2공기배출유로(101b)를 구비한다. 제1공기배출유로(101a)는 공기 챔버(100c)를 경유한 공기가 실내 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제1공기배출유로(101a)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가이드리브(G)에 의해 실내 측으로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리브(G)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내 측을 향해 연장형성된다. 상기 창호 유닛(200)이 개방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창틀 프레임(100)을 통과해 실내로 유입될 때, 상기 제1공기배출유로(101a)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가이드리브(G)를 따라 실내 측으로 배출됨으로써, 베르누이 원리에 의해 상기 외부 공기가 보다 효과적으로 실내로 유입된다. 이로 인해, 효율적인 실내 환기가 가능하다.
상기 창틀 프레임(100)은, 상기 창호 프레임(200b)이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제1공기배출유로(101a)를 폐쇄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공기 챔버(100c)를 경유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2공기배출유로(101b)를 포함한다. 상기 제2공기배출유로(101b)는 제1공기배출유로(101a)가 폐쇄된 경우에도 상기 실내 측과 소통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유입유로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공기 챔버(100c)와 소통 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창틀 프레임(100)에 제1공기배출유로(101a)가 구비되어 실내 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창호 유닛(200)이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실내 측으로 유입될 때,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상기 외부의 공기를 실내 측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또한, 상기 창틀 프레임(100)에 제2공기배출유로(101b)가 구비되어, 상기 제1공기배출유로(101a)가 폐쇄된 경우에도 실내 측으로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상기 창호 유닛(200)을 개방시키지 않더라도 실내 환기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도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창틀 프레임(100)은 상기 공기 챔버(100c)와 연통되고, 상기 공기유입유로를 형성시키는 공기 유입 프레임(102)을 구비한다. 상기 공기 유입 프레임(102)은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유로로 유입되도록 상기 공기 유입 프레임(102)의 외측에 복수의 슬릿(102d)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 프레임(102)은, 상기 창호 유닛(200)이 건물의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켜 상기 제1공기배출유로(101a)를 폐쇄시킨 경우, 상기 슬릿(102d)을 차단시키는 차폐 유닛(600)을 포함한다. 상기 슬릿(102d)은 실내 측과 실외 측에 형성된다. 상기 차폐 유닛(600)은 상기 슬릿(102d)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폐 유닛(600)은 실외 측의 슬릿(102d)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공기 유입 프레임(102)은 내부에 팬 유닛(102a), 열교환 유닛(102b) 및 필터 유닛(102c)을 수용한다. 상기 팬 유닛(102a)은 공기유입유로 측으로 외부 공기를 강제 유입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공기유입유로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열교환 유닛(102b)은 상기 팬 유닛(102a)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고,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필터 유닛(102c)에 의해 필터링되어, 상기 공기 챔버(100c)로 이동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기 창틀 프레임(100)의 공기 챔버(100c)와 서로 연결되는 공기 유입 프레임(102)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 챔버(100c)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 외부의 공기는 공기 유입 프레임(102)의 내부에 수용된 팬 유닛(102a)에 의해 상기 슬릿(102d)을 통해 유입된다. 상기 팬 유닛(102d)에 의해 상기 공기는 열교환 유닛(102b)을 거쳐 상기 필터 유닛(102c)을 통과한다.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공기 중 이물질이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공기유입유로 및 공기 챔버(100c)를 순차적으로 경유하게 된다. 이후, 상기 공기는 제1공기배출유로(101a) 및 제2공기배출유로(101b)를 통해 실내 측으로 배출된다.
만약, 상기 창호 유닛(200)이 구동되어, 상기 제1공기배출유로(101a)를 폐쇄시킨경우, 공기는 상기 제2공기배출유로(101b)에서만 배출된다. 따라서, 황사 발생 등의 기후 변화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실내의 공기보다 오염도가 높을 경우,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직접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오염도가 높은 외부의 상기 공기는 열교환 유닛(102b) 및 필터 유닛(102c)에 의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필터링된 후, 실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실내 공기의 온도변화를 최소화하며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킴으로써, 실내 환경을 유지 및 조성시킬 수 있다.
실내 환기를 위해 외부의 공기가, 제1공기배출유로(101a) 및 제2공기배출유로(101b) 중 어느 하나의 공기배출유로를 통해 실내로 유입될 때, 상기 차폐부재(600)은 실외 측의 상기 슬릿(102d)을 개방시킨다.
한편, 실외의 공기를 유입시키지 않고, 실내의 공기만을 환기시키기 위해서는, 실외 측의 차폐부재(600)가 실외 측의 상기 슬릿(102d)을 폐쇄시키고, 실내 측의 차폐부재(600)가 실내 측의 슬릿(102d)을 개방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따라서, 실내 공기(실내 환경)가 쾌적할 경우,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600)는, 상기 공기 유입 프레임(102)의 실외 측을 향하는 슬릿(102d)에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유입 프레임(102)에서 실내 측을 향하는 슬릿(102d)은 개방된 상태로 실내와 소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창호 유닛(200) 및 차폐부재(600)는 구동부(400)로부터 동력을 인가받아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00)는 리니어 기어, 유압장치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400), 팬 유닛(102a) 및 열교환 유닛(102b)은 외부의 전원을 전달받아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호형 환기 장치를 이용한 창호 자동 환기 시스템은, 앞서 상세히 설명한 창호형 환기 장치를 포함하며, 센서(300) 및 제어장치(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300)는 실내와 실외 중 어느 하나의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 장치(500)는 상기 센서(300)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창호 프레임(200b)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본 발명은 공기의 오염도 뿐만, 비 또는 바람 등과 같은 외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어 장치(500)는, 상기 센서(300)에 의해 감지된 공기의 실시간 대기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창호 프레임(200b)에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인가함은 물론, 외부 공기를 실내 측으로 유입시켜 줄 수 있도록 팬 유닛(102a)을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인가시킨다.
일예로, 상기 제어장치(500)는 상기 센서(300)의 감지 신호를 통해 외부의 공기 오염도가 실내의 공기 오염도보다 높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구동부(400)에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상기 제어 신호를 인가받은 상기 구동부(400)는 창호 프레임(200b)을 구동시켜, 실내와 실외가 서로 차단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장치(500)는, 구동부(400)가 차폐부재(600)를 구동시켜 상기 공기 유입 프레임(102)의 외측에 형성된 슬릿(102d)을 폐쇄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팬 유닛(102a) 및 열교환 유닛(102b)이 구동되도록 하여, 내부의 공기가 정화되도록 한다. 또한, 정화된 상기 공기는 상기 제2공기배출유로(101b)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가 오염된 상태에서도 실내의 공기를 정화(환기)할 수 있는 장점을 도출시킨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500)는 상기 센서(30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실내의 공기보다 실외의 공기가 쾌적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창호 프레임(200b)을 구동시키도록 구동부(400)에 제어신호를 인가시킨다.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구동부(400)는 상기 창호 프레임(200b)이 구동되도록 하여 실내와 실외가 서로 소통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장치(500)는 상기 팬 유닛(102a)이 구동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시키고, 상기 팬 유닛(102a)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공기배출유로(101a) 및 제2공기배출유로(101b)를 통해 실내 측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창호 프레임(200b)의 구동으로 실내와 실외가 서로 소통될 때, 상기 창틀 프레임(100)을 통과해 실내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는, 상기 제1공기배출유로(101a)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실내 측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실내 환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0: 창틀 프레임 200: 창호 유닛
300: 센서 400: 구동부
500: 제어장치 600: 차폐부재

Claims (8)

  1.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내측에 창문이 설치될 수 있는 틀을 형성시키고, 실내 또는 실외에 해당하는 외부의 공기가 수용될 수 있는 공기챔버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 챔버와 외부를 소통시키는 공기유입유로와, 상기 공기유입유로 및 공기 챔버를 순차로 경유한 공기를 실내 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제1공기배출유로를 구비하는 창틀 프레임; 및
    상기 창틀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창문과, 상기 창문을 상기 창틀 프레임에 지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창틀 프레임에 대해 상대이동 되면서 상기 제1공기배출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창호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호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창호형 환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챔버 및 제1공기배출유로를 순차로 통과한 공기가 상기 실내 측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를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가이드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형 환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프레임은,
    상기 창호 프레임이 상기 제1공기배출유로를 폐쇄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실내 측과 소통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유입유로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공기 챔버와 소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공기배출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형 환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프레임은,
    상기 공기 챔버와 연통되고, 상기 공기유입유로를 형성시키는 공기 유입 프레임을 구비하며,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유로로 유입되도록 상기 공기 유입 프레임의 외측에 복수의 슬릿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형 환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프레임은,
    상기 공기유입유로 측으로 외부 공기를 강제 유입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공기유입유로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팬 유닛;
    상기 팬 유닛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 유닛; 및
    상기 열교환 유닛을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형 환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 프레임은,
    상기 창호 유닛이 건물의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킬 경우, 상기 슬릿을 차단시키는 차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형 환기 장치.
  7. 제1항의 창호형 환기 장치;
    상기 실내와 실외 중 어느 하나의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창호 프레임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자동 환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공기의 실시간 대기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창호 프레임에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인가함은 물론, 외부 공기를 실내 측으로 유입시켜 줄 수 있도록 팬 유닛을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인가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자동 환기 시스템.
KR1020160051664A 2016-04-27 2016-04-27 창호형 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자동 환기 시스템 KR101818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664A KR101818434B1 (ko) 2016-04-27 2016-04-27 창호형 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자동 환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664A KR101818434B1 (ko) 2016-04-27 2016-04-27 창호형 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자동 환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902A KR20170122902A (ko) 2017-11-07
KR101818434B1 true KR101818434B1 (ko) 2018-01-16

Family

ID=60384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664A KR101818434B1 (ko) 2016-04-27 2016-04-27 창호형 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자동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4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617A (ko) 2019-05-31 2020-12-09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환기 효율이 향상된 시스템 방범 창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473B1 (ko) * 2019-02-26 2021-02-10 이병노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CN109917760B (zh) * 2019-03-08 2019-12-06 湖南灵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互联大数据处理系统及方法
IT202100000203A1 (it) * 2021-01-07 2022-07-07 Prototypo S R L Telaio per porte o finestre e relativo infisso
CN114353245A (zh) * 2021-12-13 2022-04-15 上海芙雅国际贸易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物的芳香净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617A (ko) 2019-05-31 2020-12-09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환기 효율이 향상된 시스템 방범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902A (ko) 201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8434B1 (ko) 창호형 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자동 환기 시스템
KR100988263B1 (ko) 열교환 및 습도조절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
KR101611603B1 (ko) 창문형 환기 및 공기정화장치
CN104818936A (zh) 密封装置
JP4594817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窓部換気構造
KR20190025270A (ko) 창문형 환기 필터장치
CN202581655U (zh) 有源窗式通风器以及适于安装该通风器的窗副框
KR20170139388A (ko) 환기장치
KR20220054163A (ko) 창호형 환기장치
KR101242103B1 (ko) 자연환기장치가 구비된 창호
KR100980199B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장착연결구조
KR101211154B1 (ko) 환풍기능을 구비한 창호
KR20180001693U (ko) 이동식 환풍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45836B1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운영방법
KR102202404B1 (ko) 환기장치
KR101877723B1 (ko) 공기정화순환 기능을 갖는 금속창호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순환 방법
KR20200089399A (ko) 미세먼지 유입 방지를 위한 창호형 공기청정시스템
KR20160014296A (ko) 열교환 환기장치
KR100670668B1 (ko) 공기 공급장치
KR20050055316A (ko) 창문형 공조장치
KR102279750B1 (ko) 실내 공기 정화 장치
KR102540630B1 (ko) 건물 실내 온도 및 공기질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22771Y1 (ko) 무동력 댐퍼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KR102306783B1 (ko)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스마트 환기장치
KR102235582B1 (ko)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