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4163A - 창호형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창호형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4163A
KR20220054163A KR1020210061161A KR20210061161A KR20220054163A KR 20220054163 A KR20220054163 A KR 20220054163A KR 1020210061161 A KR1020210061161 A KR 1020210061161A KR 20210061161 A KR20210061161 A KR 20210061161A KR 20220054163 A KR20220054163 A KR 20220054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utdoor
window
moistur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6775B1 (ko
Inventor
이태호
김종태
허관
오명석
명제민
김정환
손부연
김시홍
이진석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주식회사 힘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주식회사 힘펠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PCT/KR2021/01397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86012A1/ko
Priority to CN202180058251.3A priority patent/CN116113795A/zh
Publication of KR20220054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24F1/58Separate protective covers for outdoor units, e.g. solar guards, snow shields or camoufl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2Weather protecting means, e.g. against wind, rain or sn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창호형 환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는, 하우징의 내부로 오염된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오염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는 열 교환되며 열 교환된 이후의 일부 공기는 실내로 유입되고 열 교환된 이후의 나머지 공기는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고, 하우징의 내부로 우수 등과 같은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투습방지 부재에 의해 유입된 수분이 환기장치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창호형 환기장치{WINDOW TYPE VENTIL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창호형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와 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환기장치를 창호와 동등한 내풍압성과 수밀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창호형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기의 환기는 건물 외부와 통하는 창호 또는 출입문을 개방하여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교환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산업화의 발달로 인하여 미세먼지, 차량의 배기가스 등으로 인한 대기 오염으로 인해 실외 공기의 질이 좋지 못하다.
이에, 최근에는 전열 교환기, 공기 순환기, 자연 환기장치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환기 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전열 교환기는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를 열 교환시켜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장치이다.
이때, 전열 교환기의 경우, 천정, 바닥, 벽 등에 시공한다. 이때, 전열 교환기는 벽을 통과하여 덕트(Duct)를 설치하고, 설치된 덕트를 통하여 실내, 실외의 공기를 교환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게 된다. 참고로, 전열 교환기는 창호 내부에 간이로 설치하여 실내에만 또는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를 모두 순환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덕트형 전열 교환기의 경우,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열 교환 시에 덕트의 내부에 먼지 및 오염 공기가 쌓이게 된다. 덕트에 쌓이는 먼지 및 오염 공기를 사용자가 임의로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기 순환기는 실내의 밀폐된 공기를 순환시켜서 실내 공기를 환기 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 순환기는 실내의 밀폐된 공기를 순환시켜서 재 사용하므로 이산화탄소,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 등의 실내 공기 내에 존재하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자연 환기장치는 환기 및 채광 용도로 사용되는 창호를 이용하여 환기시키는 장치이다.
자연 환기장치는 단순히 창호를 개방시켜서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면서 오염된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자연 환기장치는 공기 순환기와 마찬가지로 실내 공기 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의 제거가 어렵고, 실외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 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 등의 구조가 없기 때문에 실내 공기의 질을 높이는데 한계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필터나 환기장치를 창호에 장착하는 창호형 환기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창호형 환기장치는 창호 옆, 즉 실내와 실외가 접하는 면에 설치되므로, 외부환경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창호형 환기장치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환기장치는 환기장치와 접하는 창호와 동등한 성능의 내풍압성과 수밀성능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외부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창호와 동등한 성능의 내풍압성과 수밀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창호형 환기장치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015430호(공개일: 1999.03.05.)
본 발명의 목적은 환기장치가 창호와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창호와 동등한 성능의 내풍압성과 수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창호형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기장치의 내부에 우수 등과 같은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환기장치의 외부로의 배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창호형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창호와 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본체, 본체와 결합되고, 실외 공기 및 실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후면부 하측에 형성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실외측 급기구, 하우징의 전면부 하측에 형성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실내측 급기구, 하우징의 전면부 상측에 형성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 및 실내 공기가 열 교환된 이후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실내측 배기구, 하우징의 후면부 상측에 형성되며 열 교환된 이후에 실내로 유입되지 않은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실외측 배기구 및 하우징의 하측 내부에 마련되며, 실외측 급기구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투습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습방지 부재는, 그 양 단부가 하우징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그 일면은 수분이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고 하우징의 일 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투습방지 부재에는, 투습방지 부재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수분이 그 일면을 따라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투습방지 부재에는, 일면을 따라 흐른 수분이 제1 가이드부 쪽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한 제1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투습방지 부재의 타단부에는 일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가 마련되고, 절곡부에는 실외측 급기구에 마련되는 급기구 커버가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이때, 급기구 커버는 절곡부의 일면에 대해 소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절곡부에 삽입 장착되며, 급기구 커버와 절곡부 사이에는 제2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투습방지 부재의 타단부에는 그 일면을 따라 제1 방향으로 흐르는 수분이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제2 가이드부에는 제2 방향을 따라 흐른 수분이 실외측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외측 배기구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은 일면을 따라 흐르고, 일면을 따라 흐른 수분은 제1 유로를 통과하여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 방향으로 이동된 수분은 제2 유로를 통과하여 제2 가이드부를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방향으로 이동된 수분은 배출구를 통과하여 실외측 배기구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고 하우징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빗물막이 부재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빗물막이 부재는 하측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며, 각 빗물막이 부재 들의 사이는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 통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 통로는 실외측 배기구와 연통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로 작용하도록 마련되고,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의 하부에 형성된 공기 통로는 실외측 급기구와 연통되어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구로 작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에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의 테두리의 좌우 내측면을 연결하는 칸막이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칸막이 부재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의 내측면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 칸막이 부재 및 상부 칸막이 부재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부 칸막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내측 급기구 및 실내측 배기구가 형성된 하우징의 전면부에 장착되며 하우징의 전면부에 마련된 실내측 급기구, 실내측 배기구 및 제1 탈부착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커버 및 관통공을 덮도록 마련되며 하우징 커버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는 전면 커버를 포함하고, 전면 커버와 하우징 커버의 사이에는 하우징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투습방지 커버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호형 환기장치는 투습방지 부재가 창호형 환기장치의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창호형 환기장치의 내부로 우수 등과 같은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투습방지 부재에 의해 유입된 수분이 환기장치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형 환기장치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에 의해 창호형 환기장치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형 환기장치는 환기장치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투습방지 커버에 의해 환기장치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창호와 동등한 성능의 내풍압성과 수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가 창호와 벽체 사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창호형 환기장치로 오염된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와 창호형 환기장치를 통해 실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A-A를 기준으로 나타낸 창호형 환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투습방지 부재의 경사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은 도 3에 도시한 외부 빗물막이 사출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3에 도시한 창호형 환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100)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100)는 창호(10)와 벽체(W) 사이에 설치되는 본체(110), 본체(110)와 결합되고, 실외 공기 및 오염된 실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하우징(120) 및 하우징(120)의 내부에 마련되며 하우징(120)에 형성된 실외측 급기구(122)를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 하우징(12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투습방지 부재(129)를 포함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창호(10)는 창틀(12)과, 창틀(12)의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창짝(14)을 포함한다.
이때, 환기가 필요한 경우, 창짝(12)을 이동시켜서 창호(10)를 개방함으로써 오염된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100)는 실내 공기가 오염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창호(10)를 열지 않고도 오염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창호형 환기장치(100)는 대략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내부 공간은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가 열 교환되는 부분으로서 일종의 공조공간(또는 챔버)일 수 있다.
이때, 제1 면은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실내 쪽을 향하는 일면일 수 있고, 제2 면은 제1 면과 반대되는 일면으로써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실외 쪽을 향하는 일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제1 면은 실내 쪽을 향하는 전면부를 지칭하고, 제2 면은 실외 쪽을 향하는 후면부를 지칭할 수 있다.
한편, 창호형 환기장치(100)는 본체(110)에 의해 창호(10)와 벽체(W)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본체(110)는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몸체(body)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의 횡 방향 길이는 창호(10)와 동일한 횡 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10)의 횡 방향 길이가 창호(10)와 동일한 횡 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됨에 따라, 본체(110)는 물론이고 본체(110)를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100)가 창호(10)와의 틈이나 간격이 형성되지 않고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만약, 본체(110)의 횡 방향 길이가 창호(10)와 동일한 횡 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본체(110)와 창호(10) 사이에 틈이 발생되고, 발생된 틈을 통해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면, 창호형 환기장치(100)가 창호(10)와 동일한 내풍압성, 단열성 등을 가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창호형 환기장치(100)를 창호(10)와 벽체(W) 사이에 설치할 때,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창호형 환기장치(100)는 본체(110)를 통해 창호(10) 및 벽체(W)와 한꺼번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창호형 환기장치(100)를 창호(10)와 벽체(W) 사이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창호형 환기장치(100)를 장착하는 창호(10)와 벽체(W) 사이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하우징(120)은 본체(110)에 의해 창호(10)와 벽체(W) 사이에서 고정된다.
이러한, 하우징(120)의 내부는 중공으로 마련되어,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다양한 부품들이 배치된다.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열 교환소자(160), 급기팬(140), 배기팬(150) 및 필터부재(170)와 같은 부품들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20)은 전면부 또는 후면부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상술한 열 교환소자(160), 급기팬(140), 배기팬(150) 및 필터부재(170) 등을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우징(1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기구(122,128)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기구(124,126)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20)의 하부 일측(전면부의 하측)에는 배기팬(150)에 의해 오염된 실내 공기가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하나의 실내측 급기구(128)가 마련되고, 하우징(120)의 하부 타측(후면부의 하측)에는 급기팬(140)에 의해 실외 공기가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측 급기구(122)가 마련된다. 또한, 하우징(120)의 상부 일측(전면부의 상측)에는 열 교환소자(160)에 의해 열 교환된 이후의 깨끗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측 배기구(124)가 마련되고, 하우징(120)의 상부 타측(후면부의 상측)에는 열 교환된 이후에 실내로 유입되지 않은 공기 또는 열 교환된 이후의 오염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측 배기구(126)가 마련된다.
간단히 말해서, 실외측 급기구(122)는 실외 공기가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구'를 의미하고, 실내측 배기구(124)는 깨끗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급기구'를 의미하며, 실외측 배기구(126) 및 실내측 급기구(128)는 하우징(120)의 내부로 오염된 실내 공기가 유입되고 실외로 공기가 배출되는 '환기구'를 의미할 수 있다.
참고로,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구성 및 설치되는 환경 등에 따라 실내측 급기구(128), 실내측 배기구(124), 실외측 급기구(122) 및 실외측 배기구(126)의 구성 및 역할이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급기팬(140)은 외부 공기를 하우징(120)의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장치이고, 배기팬(150)은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 및 오염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한편, 실외측 배기구(126)에는 배기구 커버(도면부호 미표시)가 실외측 배기구(126)의 둘레를 따라 장착된다.
실외측 배기구(126)에는 실외측 배기구(126)를 통해 하우징(120)에서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공기 제어 댐퍼(125)가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공기 제어 댐퍼(125)는 모터(motor)등과 같은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실외측 배기구(126)의 개방 면적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외측 급기구(122)에는 급기구 커버(122a)가 실외측 급기구(122)의 둘레를 따라 장착된다.
실외측 급기구(122)에는 실외측 급기구(122)를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제2 공기 제어 댐퍼(123)가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실외측 배기구(126) 및 실외측 급기구(122)에 각각 마련되는 제1, 제2 공기 제어 댐퍼(123,125)는 동일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열 교환소자(160)가 마련된다.
열 교환소자(160)는 급기팬(140)에 의해 실외측 급기구(122)를 통과하여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와 배기팬(150)에 의해 실내측 급기구(128)를 통과하여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오염된 실내 공기를 열 교환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때, 열 교환소자(160)는 실외 공기와 오염된 실내 공기가 교차되는 유로 상에 마련되어, 실외 공기와 오염된 실내 공기를 열 교환시킨다.
열 교환소자(160)에 의해 열 교환된 이후의 공기는 급기팬(140)에 의해 하우징(120)의 실내측 배기구(124)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반대로, 열 교환소자(160)에 의해 열 교환된 이후의 나머지 공기는 배기팬(150)에 의해 하우징(120)의 실외측 배기구(126)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100)는 하우징 커버(121) 및 전면 커버(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21)는 실내측 급기구(128) 및 실내측 배기구(124)가 형성된 하우징(120)의 전면부에 결합된다.
하우징 커버(121)에는 하우징(120)의 전면부에 마련된 실내측 급기구(128) 및 실내측 배기구(124) 및 제1 탈부착공(124a)과 연통되는 관통공(12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탈부착공(124a)은 하우징(120)으로 실외 공기 및 오염된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실외 공기 및 오염된 실내 공기가 열 교환되도록 하는 열 교환소자(160), 급기팬(140) 및 배기팬(150) 등과 같은 부품이 하우징(120)에 탈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때, 열 교환소자(160)는 하우징(120)의 제1 탈부착공(124a) 및 하우징 커버(121)의 관통공(121a)을 통과하여 하우징(120)에 장착되거나 하우징(120)으로부터 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하우징 커버(121)에 형성된 관통공(121a)의 면적은 하우징(120)에 형성된 제1 탈부착공(124a)의 면적보다 큰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하우징 커버(121)의 관통공(121a)을 통해 오염된 실내 공기가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실내측 급기구(128) 및 열 교환소자(160)에 의해 열 교환된 깨끗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실내측 배기구(124)는 물론이고 제1 탈부착공(124a)과 연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전면 커버(112)는 하우징 커버(121)의 관통공(121a)을 덮도록 마련되되 하우징(120)의 전면부에 장착된 하우징 커버(121)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 커버(121)와 전면 커버(112) 사이의 간격을 통해서는 오염된 실내 공기가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열 교환된 이후의 깨끗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게 된다.
다시 말해서, 하우징 커버(121)와 전면 커버(112) 사이의 측면 간격을 통해서는 오염된 실내 공기가 실내측 급기구(128)를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반대로, 하우징 커버(121)와 전면 커버(112) 사이의 상부 간격을 통해서는 실내측 급기구(128)를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오염된 실내 공기와 실외측 급기구(122)를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가 열 교환소자(160)에 의해 열 교환된 이후의 깨끗한 공기가 실내측 배기구(124)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게 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면 커버(112)는 하우징(120)의 일면, 즉 하우징 커버(121)의 일면과 자석(magnetic)을 이용하여 탈부착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20) 및 하우징 커버(121)에 대한 전면 커버(112)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전면 커버(112)와 하우징 커버(121)의 사이에는 투습방지 커버(112a)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투습방지 커버(112a)는 전면 커버(112)와 하우징 커버(121)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투습방지 커버(112a)는 하우징 커버(121)와 전면 커버(112)의 사이의 측면 간격을 통해서 오염된 실내 공기가 실내측 급기구(128)를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면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투습방지 커버(112a)는 프레임(frame)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하우징(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재(17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필터부재(170)는 열 교환소자(160)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며, 급기팬(140)에 의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가 열 교환소자(160)로 유입되기 전에 실외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필터부재(17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재(170)는 프리필터, 탈취필터, 헤파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터부재(170)는 하우징(120)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필터부재(170)는 하우징(120)의 제1 탈부착공(124a) 및 하우징 커버(121)의 관통공(121a)을 통과하여 하우징(120)에 장착되거나 하우징(120)으로부터 탈거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필터부재(170)의 하측에는 센서 커버(172)가 마련될 수 있다.
센서 커버(172)는 필터 부재(170) 및 전원 커넥터(미도시)를 보호해주는 커버를 의미한다.
한편, 하우징(120)에는 소자용 필터(162)가 마련될 수 있다.
소자용 필터(162)는 열 교환소자(160)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소자용 필터(162)는 열 교환소자(160)의 전면부에 위치된다.
소자용 필터(162)는 실내측 급기구(128)를 통해 하우징(120)으로 유입되는 오염된 실내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부분이다. 이를 위해, 소자용 필터(162)의 일 부분은 메쉬(mesh)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20)의 측면부에는 제2 탈부착공(도면부호 미표기)가 형성되고, 제2 탈부착공은 측면 커버(127)에 의해 덮히게 된다.
제2 탈부착공은 하우징(120)의 전면부를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장착되는 열 교환소자(160), 필터부재(170), 소자용 필터(162)를 제외하고, 급기팬(140), 배기팬(150) 등의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부분이다.
제2 탈부착공을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에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부품이 장착되고 나면 측면 커버(127)를 이용하여 하우징(120)의 제2 탈부착공을 막아주게 된다.
한편, 투습방지 부재(129)는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 하우징(120)의 내부에 고여있거나 머무르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투습방지 부재(129)는 판(plate)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의 형태로 마련된 투습방지 부재(129)는 하우징(120)의 내부 하측에 마련되되, 그 양 단부가 하우징(120)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투습방지 부재(129)는 그 일면이 수분이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고, 하우징(120)의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투습방지 부재(129)의 경사도는 대략적으로 0.9 도 내지 1.0 도 이내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투습방지 부재(129)의 0.9 도 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빗물이 유입되었을 때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외부로 빗물이 배출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투습방지 부재(129)에는 제1 가이드부(129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29a)는 투습방지 부재(129)의 일면을 따라 흐르는 수분을 가이드하기 위한 부분이다.
참고로,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은 빗물, 눈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 가이드부(129a)는 투습방지 부재(129)의 일면을 따라 흐르는 수분을 제1 방향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여, 하우징(120)의 하측에 위치된 창호형 환기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전기/전자 부품들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이때, 제1 방향은 하우징(120)의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하향 경사진 방향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제1 방향은 투습방지 부재(129)의 낮은 경사도를 가지는 일면에서 높은 경사도를 가지는 일면으로의 방향을 의미한다.
제1 가이드부(129a)는 투습방지 부재(129)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부(129a)의 돌출 높이는 창호형 환기장치(100)가 설치되는 외부 환경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투습방지 부재(129)에는 제1 유로(d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d1)는 투습방지 부재(129)의 경사진 일면을 따라 흐르는 수분의 유로로서 사용된다.
이때, 제1 유로(d1)는 제1 가이드부(129a)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유로(d1)는 투습방지 부재(129)에 장착되는 방충필터(180)와 투습방지 부재(129)의 측단부와의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유로(d1)는 투습방지 부재(129)의 경사진 일면을 따라 흐른 수분이 제1 가이드부(129a) 쪽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투습방지 부재(129)의 경사진 일면을 따라 흐르는 수분은 제1 유로(d1)를 통과하여 제1 가이드부(129a) 쪽으로 흐르게 된다.
참고로, 방충필터(180)는 내부에 메쉬(mesh) 형태를 포함하여, 외부에서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모기, 날벌레 등과 같은 해충을 걸러주기 위한 부재이다.
또한, 투습방지 부재(129)에는 절곡부(129b)가 마련될 수 있다.
절곡부(129b)는 투습방지 부재(129)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일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절곡부(129b)에는 실외측 급기구(122)에 장착되는 급기구 커버(122a)가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절곡부(129b)에는 급기구 커버(122a)가 절곡부(129b)의 일면에 대해 소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곡부(129b)와 절곡부(129b)에 삽입된 급기구 커버(122a) 사이에 형성된 간격은 제1 가이드부(129a)를 따라 흐른 수분이 흐르는 제2 유로(d2)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투습방지 부재(129)의 타단부에는 제2 가이드부(129c)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29c)는 투습방지 부재(129)의 타단부, 즉 낮은 경사도를 가지는 일면에 비하여 높은 경사도를 가지는 일면에 형성되어 투습방지 부재(129)의 일면을 따라 제1 방향으로 흐르는 수분이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제2 방향은 상술한 제1 방향과 직교 또는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제2 가이드부(129c)는 투습방지 부재(129)의 일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가이드부(129c)는 투습방지 부재(129)의 측단부를 가로지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부(129c)의 돌출 높이는 상술한 제1 가이드부(129a)의 돌출 높이보다는 큰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부(129c)의 돌출 높이는 창호형 환기장치(100)가 설치되는 외부 환경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가이드부(129c)에는 배출구(d3)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d3)는 제2 유로(d2)를 통과하여 제2 가이드부(129c)를 따라 흐르는 수분이 실외측 배기구(126)를 통해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출구(d3)는 제2 가이드부(129c)의 대략적으로 중앙부에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배출구(d3)의 직경은 제2 가이드부(129c)를 따라 흐른 수분이 빠져나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 하우징(12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실외측 배기구(126)를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은 투습방지 부재(129)의 경사진 일면을 따라 흐르게 된다. 투습방지 부재(129)의 경사진 일면을 따라 흐른 수분은 제1 유로(d1)를 통과하여 제1 가이드부(129a)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 가이드부(129a)를 따라 이동된 수분은 제2 유로(d2)를 통과하여 제2 가이드부(129c) 쪽으로 흐르게 된다. 제2 가이드부(129c) 쪽으로 흐른 수분은 제2 가이드부(129c)를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방향으로 이동된 수분은 배출구(d3)를 통과하여 실외측 배기구(126)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방충필터(180)가 투습방지 부재(129)의 일면에 결합될 때, 방충필터(180)는 투습방지 부재(129)의 경사진 일면을 따라 흐르는 수분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방충필터(180)가 투습방지 부재(129)에 결합되는 경우, 실외측 급기구(122)를 통해 유입된 미세먼지, 모기, 날벌레 등과 같은 해충이 투습방지 부재(129)의 경사진 일면을 따라 흐르는 수분과 함께 실외측 급기구(122)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하우징(120)으로 유입된 수분과 함께 투습방지 부재(129)의 일면을 따라 흘러서 실외측 급기구(1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투습방지 부재(129)의 일면은 물론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미세먼지, 모기, 날벌레 등과 같은 해충이 거의 남아있지 않게 되어 미세먼지, 모기, 날벌레 등에 의한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우징(120)에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은 하우징(120)의 내부로 물이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은 실외측 배기구(126) 및 실외측 급기구(122)를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은 하우징(120)의 후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20)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과 하우징(120)의 후면 사이의 간격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에는 복수 개의 빗물막이 부재(132)가 형성된다.
빗물막이 부재(132)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빗물막이 부재(132)는 하측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복수 개의 빗물막이 부재(132)들의 사이는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 통로(136,138)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의 상부에 형성된 제1 공기 통로(138)는 실외측 배기구(126)와 연통되며, 하우징(120)의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로 작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의 하부에 형성된 제2 공기 통로(136)는 실외측 급기구(122)와 연통되며, 하우징(120)의 내부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구로 작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9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빗물막이 부재(132)는 소정 크기의 곡률(θ)을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빗물막이 부재(132)가 곡률(θ)을 가짐에 따라, 실외측 급기구(122) 및 실외측 배기구(126)를 통해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로 유입된 수분은 빗물막이 부재(132)의 곡률(θ)을 타고 흐르게 된다.
이로 인하여, 실외측 급기구(122) 및 실외측 배기구(126)를 통해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에 의해 하우징(120)의 내부로는 거의 유입되지 않고 빗물막이 부재(132)를 타고 흘러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에는 칸막이 부재(133,134)가 마련될 수 있다.
칸막이 부재(133,134)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배기구 영역 및 급기구 영역을 구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칸막이 부재(133,134)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의 테두리의 좌우 내측면을 연결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칸막이 부재(133,134)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의 내측 방향으로 내면과 수직으로 연장되어 격벽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칸막이 부재(133,134)는 직선 형태를 가지는 판(plate)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칸막이 부재(133,134)는 상부 칸막이 부재(134) 및 하부 칸막이 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칸막이 부재(134)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의 내측면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칸막이 부재(134)는 일 방향으로, 특히 실외측 급기구(122) 쪽을 향하도록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 칸막이 부재(134)의 경사 각도는 대략적으로 0.9 도 내지 1.0 도 이내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상부 칸막이 부재(134)의 0.9 도 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빗물이 유입되었을 때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로 유입된 빗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하부 칸막이 부재(133)는 상부 칸막이 부재(134)와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는 하부 칸막이 부재(133)가 상부 칸막이 부재(134)와 달리 경사지게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부 칸막이 부재(134)와 같이 경사진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하부 칸막이 부재(133)와 상부 칸막이 부재(134)의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칸막이 부재(134) 및 하부 칸막이 부재(133)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에 한 개씩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한 개 이상, 즉 복수 개로 배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부 칸막이 부재(134) 및 하부 칸막이 부재(133)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100)는 투습방지 부재(129)이 하우징(120)의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하우징(120)의 내부로 우수 등과 같은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투습방지 부재(129)에 의해 유입된 수분이 하우징(12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100)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에 의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하우징(12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투습방지 커버(112a)에 의해 창호형 환기장치(100)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창호(10)와 동등한 성능의 내풍압성과 수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창짝 100: 창호형 환기장치
110: 본체 112: 전면 커버
112a: 투습방지 커버 120: 하우징
121: 하우징 커버 121a: 관통공
122: 실외측 급기구 123: 제2 공기 제어 댐퍼
124: 실내측 배기구 124a: 제1 탈부착공
125: 제1 공기 제어 댐퍼 126: 실외측 배기구
127: 측면 커버 128: 실내측 급기구
129: 투습방지 부재 129a: 제1 가이드부
129b: 절곡부 129c: 제2 가이드부
130: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 132: 빗물막이 부재
133: 하부 칸막이 부재 134: 상부 칸막이 부재
140: 급기팬 150: 배기팬
160: 열 교환소자 162: 소자용 필터
170: 필터부재
d1: 제1 유로 d2: 제2 유로
d3: 배출구 W: 벽체

Claims (14)

  1. 창호와 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본체;
    본체와 결합되고, 실외 공기 및 실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후면부 하측에 형성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실외측 급기구;
    하우징의 전면부 하측에 형성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실내측 급기구;
    하우징의 전면부 상측에 형성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 및 실내 공기가 열 교환된 이후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실내측 배기구;
    하우징의 후면부 상측에 형성되며 열 교환된 이후에 실내로 유입되지 않은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실외측 배기구; 및
    하우징의 하측 내부에 마련되며, 실외측 급기구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투습방지 부재;
    을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투습방지 부재는,
    그 양 단부가 하우징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그 일면은 수분이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고 하우징의 일 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마련된, 창호형 환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투습방지 부재에는,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일면을 따라 흐른 수분이 제1 방향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창호형 환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투습방지 부재에는,
    수분이 그 일면을 따라 제1 가이드부 쪽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한 제1 유로가 형성되는, 창호형 환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투습방지 부재의 타단부에는 일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가 마련되고,
    절곡부에는 실외측 급기구에 마련되는 급기구 커버가 삽입 장착되는, 창호형 환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급기구 커버는 절곡부의 일면에 대해 소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절곡부에 삽입 장착되며,
    급기구 커버와 절곡부 사이에는 제2 유로가 형성되는, 창호형 환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투습방지 부재의 타단부에는 그 일면을 따라 제1 방향으로 흐르는 수분이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제2 가이드부에는 제2 방향을 따라 흐른 수분이 실외측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창호형 환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실외측 배기구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은 투습방지 부재의 일면을 따라 흐르고,
    일면을 따라 흐른 수분은 제1 유로를 통과하여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된 수분은 제2 유로를 통과하여 제2 가이드부를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방향으로 이동된 수분은 배출구를 통과하여 실외측 배기구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 창호형 환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고 하우징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이 형성되는, 창호형 환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빗물막이 부재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빗물막이 부재는 하측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며,
    각 빗물막이 부재 들의 사이는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 통로로 마련된, 창호형 환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 통로는 실외측 배기구와 연통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로 작용하도록 마련되고,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의 하부에 형성된 공기 통로는 실외측 급기구와 연통되어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구로 작용하도록 마련된, 창호형 환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에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의 테두리의 좌우 내측면을 연결하는 칸막이 부재가 마련되는, 창호형 환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칸막이 부재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의 내측면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 칸막이 부재; 및
    상부 칸막이 부재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부 칸막이 부재를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실내측 급기구 및 실내측 배기구가 형성된 하우징의 전면부에 장착되며 하우징의 전면부에 마련된 실내측 급기구, 실내측 배기구 및 제1 탈부착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커버; 및
    관통공을 덮도록 마련되며 하우징 커버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는 전면 커버를 포함하고,
    전면 커버와 하우징 커버의 사이에는 하우징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투습방지 커버가 추가로 마련되는, 창호형 환기장치.
KR1020210061161A 2020-10-23 2021-05-12 창호형 환기장치 KR102656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3979 WO2022086012A1 (ko) 2020-10-23 2021-10-12 창호형 환기장치
CN202180058251.3A CN116113795A (zh) 2020-10-23 2021-10-12 窗式通风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257 2020-10-23
KR20200138257 2020-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163A true KR20220054163A (ko) 2022-05-02
KR102656775B1 KR102656775B1 (ko) 2024-04-15

Family

ID=8159323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161A KR102656775B1 (ko) 2020-10-23 2021-05-12 창호형 환기장치
KR1020210061160A KR20220054162A (ko) 2020-10-23 2021-05-12 창호형 환기장치
KR1020210061159A KR102656773B1 (ko) 2020-10-23 2021-05-12 창호형 환기장치의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
KR1020210061162A KR102656779B1 (ko) 2020-10-23 2021-05-12 창호형 환기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160A KR20220054162A (ko) 2020-10-23 2021-05-12 창호형 환기장치
KR1020210061159A KR102656773B1 (ko) 2020-10-23 2021-05-12 창호형 환기장치의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
KR1020210061162A KR102656779B1 (ko) 2020-10-23 2021-05-12 창호형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6567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5275A (ko) 2022-07-04 2024-01-12 주식회사 힘펠 전열교환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KR20240005274A (ko) 2022-07-04 2024-01-12 주식회사 힘펠 전열교환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430A (ko) 1997-08-06 1999-03-05 윤종용 통신장비의 빗물 유입 방지용 통풍장치
KR20010025916A (ko) * 1999-09-01 2001-04-06 손재익 환기장치
KR100638094B1 (ko) * 2005-06-20 2006-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
KR100734362B1 (ko) * 2005-12-12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JP2009084962A (ja) * 2007-10-03 2009-04-23 Robinhood:Kk 防水及び防雪型換気ルーバ
KR100912453B1 (ko) * 2007-11-30 2009-08-17 주식회사 케이엔월덱스 창호 부착형 자동 자연환기 및 열교환 겸용 환기 시스템
KR101586310B1 (ko) * 2014-07-10 2016-01-20 (주)아이테크 창호용 자연 환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940Y1 (ko) * 2001-01-02 2001-06-15 서광옥 에어필터를 가진 선박용 통풍창
KR100547690B1 (ko) * 2003-11-20 2006-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622111B1 (ko) * 2004-11-10 2006-09-19 주식회사 경남알미늄 열교환 기능을 갖는 창틀형 환기 장치
JP2015031418A (ja) 2013-07-31 2015-02-16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装置
KR101434191B1 (ko) 2013-10-08 2014-08-27 (주)센도리 공기순환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430A (ko) 1997-08-06 1999-03-05 윤종용 통신장비의 빗물 유입 방지용 통풍장치
KR20010025916A (ko) * 1999-09-01 2001-04-06 손재익 환기장치
KR100638094B1 (ko) * 2005-06-20 2006-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
KR100734362B1 (ko) * 2005-12-12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JP2009084962A (ja) * 2007-10-03 2009-04-23 Robinhood:Kk 防水及び防雪型換気ルーバ
KR100912453B1 (ko) * 2007-11-30 2009-08-17 주식회사 케이엔월덱스 창호 부착형 자동 자연환기 및 열교환 겸용 환기 시스템
KR101586310B1 (ko) * 2014-07-10 2016-01-20 (주)아이테크 창호용 자연 환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6773B1 (ko) 2024-04-16
KR20220054162A (ko) 2022-05-02
KR20220054161A (ko) 2022-05-02
KR20220054164A (ko) 2022-05-02
KR102656775B1 (ko) 2024-04-15
KR102656779B1 (ko) 202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54163A (ko) 창호형 환기장치
KR20050023790A (ko) 룸 에어컨의 공기 배출 구조
KR20050122522A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시스템
KR100852765B1 (ko) 환기 캡 및 이를 적용한 환기장치
KR100980199B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장착연결구조
KR101211154B1 (ko) 환풍기능을 구비한 창호
CN116113795A (zh) 窗式通风装置
CN116097042A (zh) 窗式通风装置
JP4486727B2 (ja) 循環型クリーンルーム
CN212002862U (zh) 用于推拉窗的窗式新风机
KR102654976B1 (ko) 창호용 환기 장치
CN116057320A (zh) 窗式通风装置
KR100321113B1 (ko) 공기청정기
KR101886409B1 (ko) 먼지 차단기능이 있는 외기취입장치
KR102541476B1 (ko) 전열교환기
KR102541475B1 (ko) 전열교환기
KR102485951B1 (ko) 창호용 환기 시스템
KR102631967B1 (ko)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에너지절감형 스탠드 공기순환기
KR102379009B1 (ko) 벽 매립형 환기장치
KR200422771Y1 (ko) 무동력 댐퍼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KR101127006B1 (ko) 스탠드형 전열교환 환기장치
KR102280520B1 (ko) 유리창 대체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CN217882379U (zh) 窗体组件、柜门及柜体
KR102611533B1 (ko) 환기형 공기청정기
KR20190052485A (ko) 공기청정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