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86012A1 - 창호형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창호형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86012A1
WO2022086012A1 PCT/KR2021/013979 KR2021013979W WO2022086012A1 WO 2022086012 A1 WO2022086012 A1 WO 2022086012A1 KR 2021013979 W KR2021013979 W KR 2021013979W WO 2022086012 A1 WO2022086012 A1 WO 202208601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using
window
outdoor
moistur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397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태호
김종태
허관
오명석
명제민
김정환
손부연
김시홍
이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엑스하우시스
주식회사 힘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6116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56775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엑스하우시스, 주식회사 힘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CN202180058251.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6113795A/zh
Publication of WO202208601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8601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24F1/58Separate protective covers for outdoor units, e.g. solar guards, snow shields or camoufl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type ventil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ndow type ventilation system that can secure wind pressure resistance and watertight performance equivalent to that of a window for a ventilation device installed between a window and a wall.
  • a total heat exchanger is a device for ventilating indoor air by exchanging heat between indoor air and outdoor air.
  • the total heat exchanger passes through the wall to install a duct, and ventilates the indoor air by exchanging indoor and outdoor air through the installed duct.
  • the total heat exchanger may be simply installed inside a window to circulate only indoors or both indoor air and outdoor air.
  • An air circulator is a device that circulates enclosed air in the room to ventilate the room air.
  • a natural ventilation system is a device that ventilates using windows used for ventilation and lighting.
  • the natural ventilation system simply opens the windows to allow outdoor air to flow into the room while allowing polluted indoor ai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Such a natural ventilation device like an air circulator, is difficult to remove contaminants present in the indoor air, and there is no structure such as a filter to filter out contaminants contained in outdoor air, so there is a limitation in improving the quality of indoor air there is.
  • the conventional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window, that is, on the surface where the indoor and outdoor are in contact, there is a problem of exposur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 the ventilation device since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ventilation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secure wind pressure resistance and watertight performance equivalent to that of the window in contact with the ventilation devic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that can secure wind pressure resistance and watertight performance equivalent to windows and doors even when the ventilation device is installed between a window and a wall and is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capable of securing drainage performance to the outside of the ventilation device even when moisture such as rainwater flows into the ventilation device.
  •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body installed between a window and a wall, a housing coupled with the main body, through which outdoor air and indoor air are introduced, formed below the rear portion of the housing, and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 the outdoor air inlet is formed at the lower front of the housing and the in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and the outdoor air and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are heated.
  • the indoor exhaust port through which the exchanged air flows into the room, the outdoor exhaust port through which the air that has not flowed into the room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heat exchang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part of the housing, and is provided inside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It can be achieved by a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including a moisture permeation preventing member that allows moistur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side air supply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 Such a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both ends of which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one surface of which forms a flow path through which moisture flows, and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from one end of the housing to the other end.
  •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ng member may be formed with a first guide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ng member and guiding moisture to flow along the one surface.
  •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may be formed with a first flow path for allowing moisture flowing along one surface to flow toward the first guide part.
  • a bent portion formed by bending in one direction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and an air inlet cover provided in the outdoor air inlet may be inserted into the bent portion.
  • the air inlet cover is inserted and mounted in the bent portion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bent portion, and a second flow path may be formed between the air inlet cover and the bent portion.
  • a second guide portion is formed to guide moisture flowing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one surface to flow in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has a second direction.
  • An exhaust port may be formed so that the water flowing along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door exhaust port.
  • the moistur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outdoor exhaust port flows along one surface, and the moisture flowing along the one surface passes through the first flow path and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first guide part, and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 the moisture may b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and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along the second guide part, and the moistur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may pass through the outlet an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door exhaust port.
  • an outdoor rainwater film injection molding for preventing moisture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may be formed.
  • a plurality of rainwater barrier members are formed along the rim of the outdoor rainwater protection product, and the plurality of rainwater barrier members are formed in a downwardly inclined shape, and an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moves between each rainwater barrier member is provided.
  • the air passag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outdoor rainwater barrier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door exhaust port and act as an exhaust por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the air passag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outdoor rainwater barrier is communicated with the outdoor air supply port to communicate with the outdoor air. It may be provided to act as an inlet air inlet.
  • a partition member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inner surfaces of the rim of the outdoor rainwater curtain may be provided in the outdoor rainwater curtain injection product.
  • the partition member may include an upper partition membe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door rainwater curtain and inclined in one direction, and a lower partition member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ition memb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cover is mounted on the front part of the housing in which the indoor air inlet and the indoor exhaust are formed, and the housing cover and the through hole in which the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door air inlet, the indoor exhaust and the first detachable hole are formed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housing.
  • cover includes a front cover coupled to the housing cover and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cover, and a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cover is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front cover and the housing cover to prevent moisture from entering into the housing.
  •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is installed inside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even if moisture such as rainwater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the moisture introduced by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flows to the outside of the ventilation device. It can be easily discharged.
  •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ally prevent moisture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by the outdoor rainwater curtain injection.
  • the window type venti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wind pressure resistance and watertight performance equivalent to that of windows and doors even when the ventilation device is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by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cover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ntilation device.
  •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between a window and a wall.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indoor air contaminated with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shown in FIG. 1 is introduced and a state in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shown in FIG. 1 .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show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1 .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clination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ng member shown in FIG.
  • 5 to 7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moistur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 FIG. 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external rainwater barrier injection product shown in FIG.
  • FIG. 10 and 11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shown in FIG.
  •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represent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rawings are expected. Accordingly,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of the illustrated area, and includes, for example, a shape modification by manufacturing.
  •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installed between a window 10 and a wall W, the main body 110 and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20 through the housing 120 and the housing 120 through which the outdoor air and the contaminated indoor air are coupled and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20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122 formed in the housing 120 and a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for guiding the moistur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2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window 10 includes a window frame 12 and a window frame 14 that is moved left and right inside the window frame 12 .
  • the window type ventilation device 100 refers to a device for ventilating the polluted indoor air without opening the windows 1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door air is polluted.
  •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100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 the internal space of the window type ventilation device 100 forme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may be a kind of air conditioning space (or chamber) as a part in which indoor air and outdoor air are heat exchanged.
  • the first side may be one side facing the indoor side of the window type ventilation device 100
  • the second side may be a side facing the outdoor side of the window type ventilation device 100 as a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 the first surface of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100 may refer to a front portion facing the indoor side, and the second surface may refer to a rear portion facing the outdoor side.
  •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100 is installed between the window 10 and the wall (W) by the main body (110).
  • the main body 110 may refer to the body of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100 .
  • the lateral length of the main body 110 may be provided to have the same lateral length as the windows and doors (10).
  •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100 including the main body 110 as well as the main body 110 is It is possible to combine without forming a gap or a gap with the window (10).
  • the lateral length of the main body 110 is not formed to have the same lateral length as the windows and doors 10,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windows and doors 10, and the outside through the generated gap Air may enter the room.
  •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100 does not have the same wind pressure resistance and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as the windows and doors 10 .
  •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100 does not have the same wind pressure resistance and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as the windows and doors 10 .
  •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100 when installing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100 between the window 10 and the wall (W),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orkability of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100 is lowered.
  •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100 may be fixed to the window 10 and the wall W at once through the main body 110 ,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method of fixing the window type ventilation device 100 between the window 10 and the wall W depends on the environment between the window 10 and the wall W where the window type ventilation device 100 is mounted. may vary.
  • the housing 120 of the window type ventilation device 100 is fixed between the window 10 and the wall W by the main body 110 .
  •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20 is provided in a hollow, and various parts for driving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100 are disposed.
  • Components such as a heat exchange element 160 , an air supply fan 140 , an exhaust fan 150 , and a filter member 170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20 .
  • the housing 120 is provided in an open form at the front or rear side, so that the above-described heat exchange element 160 , the air supply fan 140 , the exhaust fan 150 , the filter member 170 , and the like are installed in the housing 120 . It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of
  • the housing 12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r more supply ports 122 and 128 and at least one or more exhaust ports 124 and 126 .
  • one indoor air inlet 128 through which indoor air polluted by the exhaust fan 150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20 is provided on one lower side (lower side of the front part) of the housing 120
  • At least one outdoor air supply port 122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20 by the air supply fan 140 is provided on the other lower side (lower side of the rear part) of the housing 120 .
  • At least one indoor exhaust port 124 through which clean air after heat exchange by the heat exchange element 160 flows into the room is provided on one upper side (upper side of the front part) of the housing 120, and the housing ( At least one outdoor exhaust port 126 through which air that has not flowed into the room after heat exchange or contaminated air after heat exchan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provided on the other upper side (upper side of the rear part) of 120 .
  • the outdoor air inlet 122 refers to an 'outside port' through which outdoor air flows into the housing 120
  • the indoor exhaust port 124 refers to an 'air inlet' through which clean air flows into the room.
  • the outdoor exhaust port 126 and the indoor air supply port 128 may refer to 'ventilating ports' through which indoor air pollut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20 is introduced an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 the configuration of the indoor air supply port 128, the indoor exhaust port 124, the outdoor air supply port 122, and the outdoor side exhaust port 126 may vary.
  • the supply fan 140 is a device for sucking outside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20 , and the exhaust fan 150 discharges the outdoor air and contaminated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20 to the outside. device to make it happen.
  • an exhaust cover (not shown) is mounted on the outdoor exhaust port 126 along the periphery of the outdoor exhaust port 126 .
  • a first air control damper 125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housing 120 to the outdoors through the outdoor exhaust port 126 may be provided in the outdoor exhaust port 126 .
  • the first air control damper 125 may be driven by a driving device (not shown) such as a motor to control the open area of the outdoor exhaust port 126 .
  • the outdoor air supply port 122 is equipped with an air supply port cover 122a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door air supply port 122 .
  • a second air control damper 123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20 through the outdoor air supply port 122 may be provided in the outdoor air supply port 122 .
  • first and second air control dampers 123 and 125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outdoor exhaust port 126 and the outdoor air supply port 122 may be provided in the same shape,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 the heat exchange element 16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20 .
  • the heat exchange element 160 passes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122 by the air supply fan 140 and flows into the housing 120 through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inlet 128 by the exhaust fan 150 . It is a device for heat exchanging the polluted indoor air that has passed through and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20 .
  • the heat exchange element 160 is provided on a flow path in which the outdoor air and the contaminated indoor air intersect to exchange heat between the outdoor air and the contaminated indoor air.
  • the air after heat exchange by the heat exchange element 160 is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indoor exhaust port 124 of the housing 120 by the air supply fan 140 . Conversely, the remaining air after heat exchange by the heat exchange element 16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door exhaust port 126 of the housing 120 by the exhaust fan 150 .
  •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100 may include a housing cover 121 and a front cover 112 .
  • the housing cover 121 is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housing 120 in which the indoor air inlet 128 and the indoor exhaust 124 are formed.
  • the housing cover 121 has an indoor air supply port 128 and an indoor exhaust port 124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housing 120 and a through hole 121a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ttaching and detaching hole 124a is formed.
  • the first detachable hole 124a is a heat exchange element 160 that allows outdoor air and contaminated indoor air to flow into the housing 120, and heat exchange between the introduced outdoor air and contaminated indoor air, and a supply fan. It is a part for allowing parts such as 140 and the exhaust fan 150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using 120 .
  • the heat exchange element 160 passes through the first detachable hole 124a of the housing 120 and the through hole 121a of the housing cover 121 to be mounted on or detached from the housing 120 . can be provided.
  • the area of the through hole 121a formed in the housing cover 121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detachable hole 124a formed in the housing 120 . Because the indoor air contamina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1a of the housing cover 121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20, clean air is heat exchanged by the indoor air supply port 128 and the heat exchange element 160. This is because the indoor exhaust port 124 through which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must be communicated with the first detachable and detachable hole 124a as well.
  • the front cover 112 is provided to cover the through hole 121a of the housing cover 121 and is coupled to the housing cover 121 mounted on the front part of the housing 120 in a spaced apart stat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
  • contaminated in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20 or clean air after heat exchange is introduced into the room.
  • the contaminated in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20 through the indoor air supply port 128 through the side gap between the housing cover 121 and the front cover 112 .
  • the contaminated in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20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128 and the outdoor air inlet 122 .
  • clean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indoor exhaust port 124 .
  • the front cover 112 is provid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housing 120 , that is, one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121 and a magnet. Accordingly,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front cover 112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20 and the housing cover 121 is facilitated.
  • a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cover 112a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front cover 112 and the housing cover 121.
  •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cover 112a is to prevent moisture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120 through a gap formed between the front cover 112 and the housing cover 121 .
  • the indoor air contaminated through the lateral gap between the housing cover 121 and the front cover 112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20 through the indoor air supply port 128. It is possible to form an airtight structure to prevent moisture from entering while making it possible.
  •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cover 112a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ram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At least one filter member 17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housing 120 .
  • the filter member 170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heat exchange element 160 , and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20 by the air supply fan 140 is transferred to the heat exchange element. This is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before being introduced into the 160 .
  • the filter member 17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 the filter member 170 may include a pre-filter, a deodorizing filter, a HEPA filter, and the lik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filter member 170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housing 120 .
  • the filter member 170 passes through the first attachment/detachment hole 124a of the housing 120 and the through hole 121a of the housing cover 121 to be mounted on the housing 120 or detached from the housing 120 .
  • a sensor cover 172 may be provided under the filter member 170 .
  • the sensor cover 172 means a cover that protects the filter member 170 and the power connector (not shown).
  • a filter 162 for a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120 .
  • the element filter 162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heat exchange element 160 . In other words, the element filter 162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heat exchange element 160 .
  • the element filter 162 is a part for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polluted indoor air flowing into the housing 120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128 .
  • a portion of the filter 162 for the device may be formed of a mesh (mesh).
  • a second detachable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side portion of the housing 120 , and the second detachable hole is covered by the side cover 127 .
  • the second detachable hole is provided through the front part of the housing 120, except for the heat exchange element 160, the filter member 170, and the element filter 162 that are mount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20, the air supply fan 140. , a part for mounting parts for driving the window type ventilation device 100 such as the exhaust fan 150 .
  • the second detachable hole of the housing 120 is blocked by using the side cover 127. .
  •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is a member that allows the moistur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2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stagnating or staying inside the housing 120 .
  •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 is provid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housing 120 , and both ends thereof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
  • one surface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may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moisture flows, and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housing 120 to the other end.
  • the inclination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may be formed in a range of approximately 0.9 degrees to 1.0 degree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a first guide part 129a may be formed on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ng member 129 .
  • the first guide part 129a is a part for guiding moisture flowing along one surface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
  • the moisture flowing into the housing 120 may include rainwater, snow, and the like.
  • the first guide part 129a guides the moisture flowing along one surface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to flow in the first direction, and drives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100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120 . It blocks moisture from entering into various electrical/electronic parts for
  • the first direction means a downwardly inclined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housing 120 to the other end.
  • the first direction refers to a direction from one surface having a low inclination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to one surface having a high inclination.
  • the first guide part 129a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one surface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
  •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first guide part 129a may vary depending on the external environment in which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100 is installed.
  • a first flow path d1 may be formed in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
  • the first flow path d1 is used as a flow path for moisture flow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
  • the first flow path d1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guide part 129a.
  • the first flow path d1 may mean a gap between the insect-proof filter 180 mounted on the moisture-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and the side end of the moisture-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
  • the first flow path d1 is for allowing the moisture flow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to flow toward the first guide part 129a.
  • the moisture flow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passes through the first flow path d1 and flows toward the first guide part 129a.
  • the insect repellent filter 180 includes a mesh shape therein, and is a member for filtering pests such as mosquitoes and flying insect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20 from the outside.
  •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may be provided with a bent portion (129b).
  • the bent portion 129b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and is bent in one direction.
  • the air inlet cover 122a mounted on the outdoor air inlet 122 may be inserted into the bent portion 129b.
  • the bent portion 129b may be inserted and mounted in a state in which the air inlet cover 122a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bent portion 129b. Accordingly, the gap formed between the bent portion 129b and the air inlet cover 122a inserted into the bent portion 129b may be used as the second flow path d2 through which the moisture flowing along the first guide portion 129a flows. there is.
  • a second guide portion 129c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
  • the second guide portion 129c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that is, one surface having a higher inclination compared to one surface having a low inclination, and the moisture flowing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one surface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It is a part which guides so that it flows in the 2nd direction orthogonal to this 1st direction.
  • the second direction mean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r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 the second guide part 129c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
  • the second guide part 129c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side end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
  •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second guide part 129c may be greater than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above-described first guide part 129a. As described above,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second guide part 129c may vary depending on the external environment in which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100 is installed.
  • An outlet d3 may be formed in the second guide part 129c.
  • the discharge port d3 is a part for allowing moisture flowing along the second guide part 129c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d2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indow type ventilation device 100 through the outdoor exhaust port 126. .
  • the discharge port d3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guide part 129c,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diameter of the outlet d3 may be provided to a size sufficient to allow moisture flowing along the second guide portion 129c to escape.
  • the moisture flow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passes through the first flow path d1 and moves along the first guide part 129a in the first direction, and moves along the first guide part 129a.
  • the collected moisture passes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d2 and flows toward the second guide part 129c.
  • the moisture flowing toward the second guide part 129c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along the second guide part 129c, and the moisture moving in the second direction passes through the outlet d3 and the outdoor exhaust port 126. will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insect-proof filter 180 when the insect-proof filter 180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oisture-permeable prevention member 129 , the insect-proof filter 180 is on the movement path of moisture flow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moisture-permeable prevention member 129 . will be placed in
  • the moistur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20 flows along one surface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door air supply port 122, one surface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as well as the housing ( There are almost no pests such as fine dust, mosquitoes, and flying insects left inside the 120),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100 caused by fine dust, mosquitoes, and flying insects in advance.
  • the housing 12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with an outdoor rainwater barrier injection molding 130 .
  • the outdoor rainwater protection product 130 is a part for preventing water or moisture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120 .
  • the outdoor rainwater shielding product 130 prevents moisture from flowing into the housing 120 through the outdoor exhaust port 126 and the outdoor air supply port 122 .
  • the outdoor rainwater barrier injection molding 130 is provid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2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outdoor rainwater film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injection product 13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20 .
  • a plurality of rainwater protection members 132 are formed in the outdoor rainwater protection product 130 .
  • a plurality of rainwater protection members 132 may be provided along the rim of the outdoor rainwater protection product 130 .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rainwater blocking members 132 are formed in a downwardly inclined shape.
  • between the plurality of rainwater blocking members 132 may be provided as air passages 136 and 138 through which air is moved.
  • the first air passage 138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door rainwater barrier injection product 130 communicates with the outdoor exhaust port 126 and may be provided to act as an exhaust port through which air inside the housing 120 is discharged.
  • the second air passage 136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outdoor rainwater barrier injection product 130 communicates with the outdoor air supply port 122 and may be provided to act as an air supply port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20 . there is.
  • the plurality of rainwater blocking members 132 may have a curvature ⁇ of a predetermined size.
  • the moisture introduced into the outdoor rainwater protection product 130 through the outdoor air supply port 122 and the outdoor side exhaust port 126 is reduced to the rainwater protection member ( 132) of the curvature ( ⁇ ).
  • partition members 133 and 134 may be provided in the outdoor rainwater curtain injection product 130 .
  • the partition members 133 and 134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door rainwater shielding product 130 to divide the exhaust port area and the air inlet area.
  • the partition members 133 and 134 may connect the left and right inner surfaces of the rim of the outdoor rainwater protection product 130 .
  • the partition members 133 and 134 may extend perpendicularly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door rainwater irrigation product 130 in the inner direction to be formed in the form of a partition wall.
  • the partition members 133 and 134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straight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artition members 133 and 134 may include an upper partition member 134 and a lower partition member 133 .
  • the upper partition member 134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door rainwater barrier injection molding 130 .
  • the upper partition member 134 may be inclined downward in one direction, particularly toward the outdoor air supply port 122 .
  •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upper partition member 134 may be formed in a range of approximately 0.9 degrees to 1.0 degree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lower partition member 133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ition member 13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lower partition member 133 is not shown to be inclined unlike the upper partition member 134 , but it may be formed to have an inclined structure like the upper partition member 134 if necessary.
  •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partition member 133 and the upper partition member 13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formed as necessary.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may be
  • the upper partition member 134 and the lower partition member 133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door rainwater shielding product 130 or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20, the inside of the housing 120, such as rainwater, etc. Even if moisture is introduced, the moisture introduced by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member 129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0 .
  •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100 can maximally prevent moisture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120 by the outdoor rainwater barrier injection molding 130 . Moreover, even when the window-type ventilation device 100 is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by the moisture-permeable cover 112a installed on the front part of the housing 120, wind pressure resistance and watertight performance equivalent to the windows and doors 10 can be secured. there is.
  • the window type ventilation devic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wind pressure resistance and watertight performance equivalent to the ventilation device installed between the window and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창호형 환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는, 하우징의 내부로 오염된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오염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는 열 교환되며 열 교환된 이후의 일부 공기는 실내로 유입되고 열 교환된 이후의 나머지 공기는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고, 하우징의 내부로 우수 등과 같은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투습방지 부재에 의해 유입된 수분이 환기장치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창호형 환기장치
본 발명은 창호형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와 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환기장치를 창호와 동등한 내풍압성과 수밀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창호형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기의 환기는 건물 외부와 통하는 창호 또는 출입문을 개방하여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교환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산업화의 발달로 인하여 미세먼지, 차량의 배기가스 등으로 인한 대기 오염으로 인해 실외 공기의 질이 좋지 못하다.
이에, 최근에는 전열 교환기, 공기 순환기, 자연 환기장치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환기 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전열 교환기는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를 열 교환시켜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장치이다.
이때, 전열 교환기의 경우, 천정, 바닥, 벽 등에 시공한다. 이때, 전열 교환기는 벽을 통과하여 덕트(Duct)를 설치하고, 설치된 덕트를 통하여 실내, 실외의 공기를 교환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게 된다. 참고로, 전열 교환기는 창호 내부에 간이로 설치하여 실내에만 또는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를 모두 순환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덕트형 전열 교환기의 경우,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열 교환 시에 덕트의 내부에 먼지 및 오염 공기가 쌓이게 된다. 덕트에 쌓이는 먼지 및 오염 공기를 사용자가 임의로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기 순환기는 실내의 밀폐된 공기를 순환시켜서 실내 공기를 환기 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 순환기는 실내의 밀폐된 공기를 순환시켜서 재 사용하므로 이산화탄소,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 등의 실내 공기 내에 존재하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자연 환기장치는 환기 및 채광 용도로 사용되는 창호를 이용하여 환기시키는 장치이다.
자연 환기장치는 단순히 창호를 개방시켜서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면서 오염된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자연 환기장치는 공기 순환기와 마찬가지로 실내 공기 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의 제거가 어렵고, 실외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 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 등의 구조가 없기 때문에 실내 공기의 질을 높이는데 한계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필터나 환기장치를 창호에 장착하는 창호형 환기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창호형 환기장치는 창호 옆, 즉 실내와 실외가 접하는 면에 설치되므로, 외부환경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창호형 환기장치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환기장치는 환기장치와 접하는 창호와 동등한 성능의 내풍압성과 수밀성능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외부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창호와 동등한 성능의 내풍압성과 수밀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창호형 환기장치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기장치가 창호와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창호와 동등한 성능의 내풍압성과 수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창호형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기장치의 내부에 우수 등과 같은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환기장치의 외부로의 배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창호형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창호와 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본체, 본체와 결합되고, 실외 공기 및 실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후면부 하측에 형성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실외측 급기구, 하우징의 전면부 하측에 형성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실내측 급기구, 하우징의 전면부 상측에 형성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 및 실내 공기가 열 교환된 이후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실내측 배기구, 하우징의 후면부 상측에 형성되며 열 교환된 이후에 실내로 유입되지 않은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실외측 배기구 및 하우징의 하측 내부에 마련되며, 실외측 급기구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투습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습방지 부재는, 그 양 단부가 하우징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그 일면은 수분이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고 하우징의 일 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투습방지 부재에는, 투습방지 부재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수분이 그 일면을 따라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투습방지 부재에는, 일면을 따라 흐른 수분이 제1 가이드부 쪽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한 제1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투습방지 부재의 타단부에는 일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가 마련되고, 절곡부에는 실외측 급기구에 마련되는 급기구 커버가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이때, 급기구 커버는 절곡부의 일면에 대해 소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절곡부에 삽입 장착되며, 급기구 커버와 절곡부 사이에는 제2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투습방지 부재의 타단부에는 그 일면을 따라 제1 방향으로 흐르는 수분이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제2 가이드부에는 제2 방향을 따라 흐른 수분이 실외측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외측 배기구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은 일면을 따라 흐르고, 일면을 따라 흐른 수분은 제1 유로를 통과하여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 방향으로 이동된 수분은 제2 유로를 통과하여 제2 가이드부를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방향으로 이동된 수분은 배출구를 통과하여 실외측 배기구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고 하우징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빗물막이 부재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빗물막이 부재는 하측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며, 각 빗물막이 부재 들의 사이는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 통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 통로는 실외측 배기구와 연통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로 작용하도록 마련되고,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의 하부에 형성된 공기 통로는 실외측 급기구와 연통되어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구로 작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에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의 테두리의 좌우 내측면을 연결하는 칸막이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칸막이 부재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의 내측면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 칸막이 부재 및 상부 칸막이 부재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부 칸막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내측 급기구 및 실내측 배기구가 형성된 하우징의 전면부에 장착되며 하우징의 전면부에 마련된 실내측 급기구, 실내측 배기구 및 제1 탈부착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커버 및 관통공을 덮도록 마련되며 하우징 커버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는 전면 커버를 포함하고, 전면 커버와 하우징 커버의 사이에는 하우징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투습방지 커버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호형 환기장치는 투습방지 부재가 창호형 환기장치의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창호형 환기장치의 내부로 우수 등과 같은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투습방지 부재에 의해 유입된 수분이 환기장치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형 환기장치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에 의해 창호형 환기장치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형 환기장치는 환기장치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투습방지 커버에 의해 환기장치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창호와 동등한 성능의 내풍압성과 수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가 창호와 벽체 사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창호형 환기장치로 오염된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와 창호형 환기장치를 통해 실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A-A를 기준으로 나타낸 창호형 환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투습방지 부재의 경사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은 도 3에 도시한 외부 빗물막이 사출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3에 도시한 창호형 환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100)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100)는 창호(10)와 벽체(W) 사이에 설치되는 본체(110), 본체(110)와 결합되고, 실외 공기 및 오염된 실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하우징(120) 및 하우징(120)의 내부에 마련되며 하우징(120)에 형성된 실외측 급기구(122)를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 하우징(12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투습방지 부재(129)를 포함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창호(10)는 창틀(12)과, 창틀(12)의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창짝(14)을 포함한다.
이때, 환기가 필요한 경우, 창짝(12)을 이동시켜서 창호(10)를 개방함으로써 오염된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100)는 실내 공기가 오염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창호(10)를 열지 않고도 오염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창호형 환기장치(100)는 대략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내부 공간은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가 열 교환되는 부분으로서 일종의 공조공간(또는 챔버)일 수 있다.
이때, 제1 면은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실내 쪽을 향하는 일면일 수 있고, 제2 면은 제1 면과 반대되는 일면으로써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실외 쪽을 향하는 일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제1 면은 실내 쪽을 향하는 전면부를 지칭하고, 제2 면은 실외 쪽을 향하는 후면부를 지칭할 수 있다.
한편, 창호형 환기장치(100)는 본체(110)에 의해 창호(10)와 벽체(W)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본체(110)는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몸체(body)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의 횡 방향 길이는 창호(10)와 동일한 횡 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10)의 횡 방향 길이가 창호(10)와 동일한 횡 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됨에 따라, 본체(110)는 물론이고 본체(110)를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100)가 창호(10)와의 틈이나 간격이 형성되지 않고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만약, 본체(110)의 횡 방향 길이가 창호(10)와 동일한 횡 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본체(110)와 창호(10) 사이에 틈이 발생되고, 발생된 틈을 통해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면, 창호형 환기장치(100)가 창호(10)와 동일한 내풍압성, 단열성 등을 가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창호형 환기장치(100)를 창호(10)와 벽체(W) 사이에 설치할 때,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창호형 환기장치(100)는 본체(110)를 통해 창호(10) 및 벽체(W)와 한꺼번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창호형 환기장치(100)를 창호(10)와 벽체(W) 사이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창호형 환기장치(100)를 장착하는 창호(10)와 벽체(W) 사이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하우징(120)은 본체(110)에 의해 창호(10)와 벽체(W) 사이에서 고정된다.
이러한, 하우징(120)의 내부는 중공으로 마련되어,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다양한 부품들이 배치된다.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열 교환소자(160), 급기팬(140), 배기팬(150) 및 필터부재(170)와 같은 부품들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20)은 전면부 또는 후면부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상술한 열 교환소자(160), 급기팬(140), 배기팬(150) 및 필터부재(170) 등을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우징(1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기구(122,128)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기구(124,126)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20)의 하부 일측(전면부의 하측)에는 배기팬(150)에 의해 오염된 실내 공기가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하나의 실내측 급기구(128)가 마련되고, 하우징(120)의 하부 타측(후면부의 하측)에는 급기팬(140)에 의해 실외 공기가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측 급기구(122)가 마련된다. 또한, 하우징(120)의 상부 일측(전면부의 상측)에는 열 교환소자(160)에 의해 열 교환된 이후의 깨끗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측 배기구(124)가 마련되고, 하우징(120)의 상부 타측(후면부의 상측)에는 열 교환된 이후에 실내로 유입되지 않은 공기 또는 열 교환된 이후의 오염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측 배기구(126)가 마련된다.
간단히 말해서, 실외측 급기구(122)는 실외 공기가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구'를 의미하고, 실내측 배기구(124)는 깨끗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급기구'를 의미하며, 실외측 배기구(126) 및 실내측 급기구(128)는 하우징(120)의 내부로 오염된 실내 공기가 유입되고 실외로 공기가 배출되는 '환기구'를 의미할 수 있다.
참고로,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구성 및 설치되는 환경 등에 따라 실내측 급기구(128), 실내측 배기구(124), 실외측 급기구(122) 및 실외측 배기구(126)의 구성 및 역할이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급기팬(140)은 외부 공기를 하우징(120)의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장치이고, 배기팬(150)은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 및 오염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한편, 실외측 배기구(126)에는 배기구 커버(도면부호 미표시)가 실외측 배기구(126)의 둘레를 따라 장착된다.
실외측 배기구(126)에는 실외측 배기구(126)를 통해 하우징(120)에서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공기 제어 댐퍼(125)가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공기 제어 댐퍼(125)는 모터(motor)등과 같은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실외측 배기구(126)의 개방 면적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외측 급기구(122)에는 급기구 커버(122a)가 실외측 급기구(122)의 둘레를 따라 장착된다.
실외측 급기구(122)에는 실외측 급기구(122)를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제2 공기 제어 댐퍼(123)가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실외측 배기구(126) 및 실외측 급기구(122)에 각각 마련되는 제1, 제2 공기 제어 댐퍼(123,125)는 동일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열 교환소자(160)가 마련된다.
열 교환소자(160)는 급기팬(140)에 의해 실외측 급기구(122)를 통과하여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와 배기팬(150)에 의해 실내측 급기구(128)를 통과하여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오염된 실내 공기를 열 교환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때, 열 교환소자(160)는 실외 공기와 오염된 실내 공기가 교차되는 유로 상에 마련되어, 실외 공기와 오염된 실내 공기를 열 교환시킨다.
열 교환소자(160)에 의해 열 교환된 이후의 공기는 급기팬(140)에 의해 하우징(120)의 실내측 배기구(124)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반대로, 열 교환소자(160)에 의해 열 교환된 이후의 나머지 공기는 배기팬(150)에 의해 하우징(120)의 실외측 배기구(126)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100)는 하우징 커버(121) 및 전면 커버(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21)는 실내측 급기구(128) 및 실내측 배기구(124)가 형성된 하우징(120)의 전면부에 결합된다.
하우징 커버(121)에는 하우징(120)의 전면부에 마련된 실내측 급기구(128) 및 실내측 배기구(124) 및 제1 탈부착공(124a)과 연통되는 관통공(12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탈부착공(124a)은 하우징(120)으로 실외 공기 및 오염된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실외 공기 및 오염된 실내 공기가 열 교환되도록 하는 열 교환소자(160), 급기팬(140) 및 배기팬(150) 등과 같은 부품이 하우징(120)에 탈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때, 열 교환소자(160)는 하우징(120)의 제1 탈부착공(124a) 및 하우징 커버(121)의 관통공(121a)을 통과하여 하우징(120)에 장착되거나 하우징(120)으로부터 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하우징 커버(121)에 형성된 관통공(121a)의 면적은 하우징(120)에 형성된 제1 탈부착공(124a)의 면적보다 큰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하우징 커버(121)의 관통공(121a)을 통해 오염된 실내 공기가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실내측 급기구(128) 및 열 교환소자(160)에 의해 열 교환된 깨끗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실내측 배기구(124)는 물론이고 제1 탈부착공(124a)과 연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전면 커버(112)는 하우징 커버(121)의 관통공(121a)을 덮도록 마련되되 하우징(120)의 전면부에 장착된 하우징 커버(121)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 커버(121)와 전면 커버(112) 사이의 간격을 통해서는 오염된 실내 공기가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열 교환된 이후의 깨끗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게 된다.
다시 말해서, 하우징 커버(121)와 전면 커버(112) 사이의 측면 간격을 통해서는 오염된 실내 공기가 실내측 급기구(128)를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반대로, 하우징 커버(121)와 전면 커버(112) 사이의 상부 간격을 통해서는 실내측 급기구(128)를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오염된 실내 공기와 실외측 급기구(122)를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가 열 교환소자(160)에 의해 열 교환된 이후의 깨끗한 공기가 실내측 배기구(124)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게 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면 커버(112)는 하우징(120)의 일면, 즉 하우징 커버(121)의 일면과 자석(magnetic)을 이용하여 탈부착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20) 및 하우징 커버(121)에 대한 전면 커버(112)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전면 커버(112)와 하우징 커버(121)의 사이에는 투습방지 커버(112a)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투습방지 커버(112a)는 전면 커버(112)와 하우징 커버(121)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투습방지 커버(112a)는 하우징 커버(121)와 전면 커버(112)의 사이의 측면 간격을 통해서 오염된 실내 공기가 실내측 급기구(128)를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면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투습방지 커버(112a)는 프레임(frame)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하우징(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재(17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필터부재(170)는 열 교환소자(160)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며, 급기팬(140)에 의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가 열 교환소자(160)로 유입되기 전에 실외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필터부재(17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재(170)는 프리필터, 탈취필터, 헤파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터부재(170)는 하우징(120)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필터부재(170)는 하우징(120)의 제1 탈부착공(124a) 및 하우징 커버(121)의 관통공(121a)을 통과하여 하우징(120)에 장착되거나 하우징(120)으로부터 탈거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필터부재(170)의 하측에는 센서 커버(172)가 마련될 수 있다.
센서 커버(172)는 필터 부재(170) 및 전원 커넥터(미도시)를 보호해주는 커버를 의미한다.
한편, 하우징(120)에는 소자용 필터(162)가 마련될 수 있다.
소자용 필터(162)는 열 교환소자(160)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소자용 필터(162)는 열 교환소자(160)의 전면부에 위치된다.
소자용 필터(162)는 실내측 급기구(128)를 통해 하우징(120)으로 유입되는 오염된 실내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부분이다. 이를 위해, 소자용 필터(162)의 일 부분은 메쉬(mesh)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20)의 측면부에는 제2 탈부착공(도면부호 미표기)가 형성되고, 제2 탈부착공은 측면 커버(127)에 의해 덮히게 된다.
제2 탈부착공은 하우징(120)의 전면부를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장착되는 열 교환소자(160), 필터부재(170), 소자용 필터(162)를 제외하고, 급기팬(140), 배기팬(150) 등의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부분이다.
제2 탈부착공을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에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부품이 장착되고 나면 측면 커버(127)를 이용하여 하우징(120)의 제2 탈부착공을 막아주게 된다.
한편, 투습방지 부재(129)는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 하우징(120)의 내부에 고여있거나 머무르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투습방지 부재(129)는 판(plate)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의 형태로 마련된 투습방지 부재(129)는 하우징(120)의 내부 하측에 마련되되, 그 양 단부가 하우징(120)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투습방지 부재(129)는 그 일면이 수분이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고, 하우징(120)의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투습방지 부재(129)의 경사도는 대략적으로 0.9 도 내지 1.0 도 이내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투습방지 부재(129)의 0.9 도 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빗물이 유입되었을 때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외부로 빗물이 배출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투습방지 부재(129)에는 제1 가이드부(129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29a)는 투습방지 부재(129)의 일면을 따라 흐르는 수분을 가이드하기 위한 부분이다.
참고로,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은 빗물, 눈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 가이드부(129a)는 투습방지 부재(129)의 일면을 따라 흐르는 수분을 제1 방향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여, 하우징(120)의 하측에 위치된 창호형 환기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전기/전자 부품들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이때, 제1 방향은 하우징(120)의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하향 경사진 방향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제1 방향은 투습방지 부재(129)의 낮은 경사도를 가지는 일면에서 높은 경사도를 가지는 일면으로의 방향을 의미한다.
제1 가이드부(129a)는 투습방지 부재(129)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부(129a)의 돌출 높이는 창호형 환기장치(100)가 설치되는 외부 환경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투습방지 부재(129)에는 제1 유로(d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d1)는 투습방지 부재(129)의 경사진 일면을 따라 흐르는 수분의 유로로서 사용된다.
이때, 제1 유로(d1)는 제1 가이드부(129a)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유로(d1)는 투습방지 부재(129)에 장착되는 방충필터(180)와 투습방지 부재(129)의 측단부와의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유로(d1)는 투습방지 부재(129)의 경사진 일면을 따라 흐른 수분이 제1 가이드부(129a) 쪽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투습방지 부재(129)의 경사진 일면을 따라 흐르는 수분은 제1 유로(d1)를 통과하여 제1 가이드부(129a) 쪽으로 흐르게 된다.
참고로, 방충필터(180)는 내부에 메쉬(mesh) 형태를 포함하여, 외부에서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모기, 날벌레 등과 같은 해충을 걸러주기 위한 부재이다.
또한, 투습방지 부재(129)에는 절곡부(129b)가 마련될 수 있다.
절곡부(129b)는 투습방지 부재(129)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일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절곡부(129b)에는 실외측 급기구(122)에 장착되는 급기구 커버(122a)가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절곡부(129b)에는 급기구 커버(122a)가 절곡부(129b)의 일면에 대해 소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곡부(129b)와 절곡부(129b)에 삽입된 급기구 커버(122a) 사이에 형성된 간격은 제1 가이드부(129a)를 따라 흐른 수분이 흐르는 제2 유로(d2)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투습방지 부재(129)의 타단부에는 제2 가이드부(129c)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29c)는 투습방지 부재(129)의 타단부, 즉 낮은 경사도를 가지는 일면에 비하여 높은 경사도를 가지는 일면에 형성되어 투습방지 부재(129)의 일면을 따라 제1 방향으로 흐르는 수분이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제2 방향은 상술한 제1 방향과 직교 또는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제2 가이드부(129c)는 투습방지 부재(129)의 일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가이드부(129c)는 투습방지 부재(129)의 측단부를 가로지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부(129c)의 돌출 높이는 상술한 제1 가이드부(129a)의 돌출 높이보다는 큰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부(129c)의 돌출 높이는 창호형 환기장치(100)가 설치되는 외부 환경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가이드부(129c)에는 배출구(d3)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d3)는 제2 유로(d2)를 통과하여 제2 가이드부(129c)를 따라 흐르는 수분이 실외측 배기구(126)를 통해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출구(d3)는 제2 가이드부(129c)의 대략적으로 중앙부에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배출구(d3)의 직경은 제2 가이드부(129c)를 따라 흐른 수분이 빠져나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 하우징(12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실외측 배기구(126)를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은 투습방지 부재(129)의 경사진 일면을 따라 흐르게 된다. 투습방지 부재(129)의 경사진 일면을 따라 흐른 수분은 제1 유로(d1)를 통과하여 제1 가이드부(129a)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 가이드부(129a)를 따라 이동된 수분은 제2 유로(d2)를 통과하여 제2 가이드부(129c) 쪽으로 흐르게 된다. 제2 가이드부(129c) 쪽으로 흐른 수분은 제2 가이드부(129c)를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방향으로 이동된 수분은 배출구(d3)를 통과하여 실외측 배기구(126)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방충필터(180)가 투습방지 부재(129)의 일면에 결합될 때, 방충필터(180)는 투습방지 부재(129)의 경사진 일면을 따라 흐르는 수분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방충필터(180)가 투습방지 부재(129)에 결합되는 경우, 실외측 급기구(122)를 통해 유입된 미세먼지, 모기, 날벌레 등과 같은 해충이 투습방지 부재(129)의 경사진 일면을 따라 흐르는 수분과 함께 실외측 급기구(122)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하우징(120)으로 유입된 수분과 함께 투습방지 부재(129)의 일면을 따라 흘러서 실외측 급기구(1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투습방지 부재(129)의 일면은 물론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미세먼지, 모기, 날벌레 등과 같은 해충이 거의 남아있지 않게 되어 미세먼지, 모기, 날벌레 등에 의한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우징(120)에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은 하우징(120)의 내부로 물이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은 실외측 배기구(126) 및 실외측 급기구(122)를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은 하우징(120)의 후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20)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과 하우징(120)의 후면 사이의 간격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에는 복수 개의 빗물막이 부재(132)가 형성된다.
빗물막이 부재(132)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빗물막이 부재(132)는 하측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복수 개의 빗물막이 부재(132)들의 사이는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 통로(136,138)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의 상부에 형성된 제1 공기 통로(138)는 실외측 배기구(126)와 연통되며, 하우징(120)의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로 작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의 하부에 형성된 제2 공기 통로(136)는 실외측 급기구(122)와 연통되며, 하우징(120)의 내부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구로 작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9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빗물막이 부재(132)는 소정 크기의 곡률(θ)을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빗물막이 부재(132)가 곡률(θ)을 가짐에 따라, 실외측 급기구(122) 및 실외측 배기구(126)를 통해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로 유입된 수분은 빗물막이 부재(132)의 곡률(θ)을 타고 흐르게 된다.
이로 인하여, 실외측 급기구(122) 및 실외측 배기구(126)를 통해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에 의해 하우징(120)의 내부로는 거의 유입되지 않고 빗물막이 부재(132)를 타고 흘러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에는 칸막이 부재(133,134)가 마련될 수 있다.
칸막이 부재(133,134)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배기구 영역 및 급기구 영역을 구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칸막이 부재(133,134)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의 테두리의 좌우 내측면을 연결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칸막이 부재(133,134)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의 내측 방향으로 내면과 수직으로 연장되어 격벽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칸막이 부재(133,134)는 직선 형태를 가지는 판(plate)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칸막이 부재(133,134)는 상부 칸막이 부재(134) 및 하부 칸막이 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칸막이 부재(134)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의 내측면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칸막이 부재(134)는 일 방향으로, 특히 실외측 급기구(122) 쪽을 향하도록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 칸막이 부재(134)의 경사 각도는 대략적으로 0.9 도 내지 1.0 도 이내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상부 칸막이 부재(134)의 0.9 도 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빗물이 유입되었을 때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로 유입된 빗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하부 칸막이 부재(133)는 상부 칸막이 부재(134)와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는 하부 칸막이 부재(133)가 상부 칸막이 부재(134)와 달리 경사지게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부 칸막이 부재(134)와 같이 경사진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하부 칸막이 부재(133)와 상부 칸막이 부재(134)의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칸막이 부재(134) 및 하부 칸막이 부재(133)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에 한 개씩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한 개 이상, 즉 복수 개로 배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부 칸막이 부재(134) 및 하부 칸막이 부재(133)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100)는 투습방지 부재(129)이 하우징(120)의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하우징(120)의 내부로 우수 등과 같은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투습방지 부재(129)에 의해 유입된 수분이 하우징(12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100)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130)에 의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하우징(12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투습방지 커버(112a)에 의해 창호형 환기장치(100)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창호(10)와 동등한 성능의 내풍압성과 수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창호형 환기장치에 따르면, 창호와 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환기장치를 창화화 동등한 내풍압성과 수밀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4)

  1. 창호와 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본체;
    본체와 결합되고, 실외 공기 및 실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후면부 하측에 형성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실외측 급기구;
    하우징의 전면부 하측에 형성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실내측 급기구;
    하우징의 전면부 상측에 형성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 및 실내 공기가 열 교환된 이후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실내측 배기구;
    하우징의 후면부 상측에 형성되며 열 교환된 이후에 실내로 유입되지 않은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실외측 배기구; 및
    하우징의 하측 내부에 마련되며, 실외측 급기구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투습방지 부재;
    을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투습방지 부재는,
    그 양 단부가 하우징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그 일면은 수분이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고 하우징의 일 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마련된, 창호형 환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투습방지 부재에는,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일면을 따라 흐른 수분이 제1 방향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창호형 환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투습방지 부재에는,
    수분이 그 일면을 따라 제1 가이드부 쪽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한 제1 유로가 형성되는, 창호형 환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투습방지 부재의 타단부에는 일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가 마련되고,
    절곡부에는 실외측 급기구에 마련되는 급기구 커버가 삽입 장착되는, 창호형 환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급기구 커버는 절곡부의 일면에 대해 소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절곡부에 삽입 장착되며,
    급기구 커버와 절곡부 사이에는 제2 유로가 형성되는, 창호형 환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투습방지 부재의 타단부에는 그 일면을 따라 제1 방향으로 흐르는 수분이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제2 가이드부에는 제2 방향을 따라 흐른 수분이 실외측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창호형 환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실외측 배기구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은 투습방지 부재의 일면을 따라 흐르고,
    일면을 따라 흐른 수분은 제1 유로를 통과하여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된 수분은 제2 유로를 통과하여 제2 가이드부를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방향으로 이동된 수분은 배출구를 통과하여 실외측 배기구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 창호형 환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고 하우징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이 형성되는, 창호형 환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빗물막이 부재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빗물막이 부재는 하측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며,
    각 빗물막이 부재 들의 사이는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 통로로 마련된, 창호형 환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 통로는 실외측 배기구와 연통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로 작용하도록 마련되고,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의 하부에 형성된 공기 통로는 실외측 급기구와 연통되어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구로 작용하도록 마련된, 창호형 환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에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의 테두리의 좌우 내측면을 연결하는 칸막이 부재가 마련되는, 창호형 환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칸막이 부재는,
    실외 빗물막이 사출물의 내측면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 칸막이 부재; 및
    상부 칸막이 부재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부 칸막이 부재를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실내측 급기구 및 실내측 배기구가 형성된 하우징의 전면부에 장착되며 하우징의 전면부에 마련된 실내측 급기구, 실내측 배기구 및 제1 탈부착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커버; 및
    관통공을 덮도록 마련되며 하우징 커버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는 전면 커버를 포함하고,
    전면 커버와 하우징 커버의 사이에는 하우징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투습방지 커버가 추가로 마련되는, 창호형 환기장치.
PCT/KR2021/013979 2020-10-23 2021-10-12 창호형 환기장치 WO2022086012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80058251.3A CN116113795A (zh) 2020-10-23 2021-10-12 窗式通风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38257 2020-10-23
KR10-2020-0138257 2020-10-23
KR10-2021-0061161 2021-05-12
KR1020210061161A KR102656775B1 (ko) 2020-10-23 2021-05-12 창호형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6012A1 true WO2022086012A1 (ko) 2022-04-28

Family

ID=81290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3979 WO2022086012A1 (ko) 2020-10-23 2021-10-12 창호형 환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CN (1) CN116113795A (ko)
WO (1) WO202208601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1727A (ja) * 1996-11-07 1998-05-29 Aisin Seiki Co Ltd 気調換気扇
KR100734362B1 (ko) * 2005-12-12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KR100912453B1 (ko) * 2007-11-30 2009-08-17 주식회사 케이엔월덱스 창호 부착형 자동 자연환기 및 열교환 겸용 환기 시스템
KR101586310B1 (ko) * 2014-07-10 2016-01-20 (주)아이테크 창호용 자연 환기 장치
KR102039071B1 (ko) * 2019-03-26 2019-11-01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설치 및 탈결합이 용이한 창틀거치형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1727A (ja) * 1996-11-07 1998-05-29 Aisin Seiki Co Ltd 気調換気扇
KR100734362B1 (ko) * 2005-12-12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KR100912453B1 (ko) * 2007-11-30 2009-08-17 주식회사 케이엔월덱스 창호 부착형 자동 자연환기 및 열교환 겸용 환기 시스템
KR101586310B1 (ko) * 2014-07-10 2016-01-20 (주)아이테크 창호용 자연 환기 장치
KR102039071B1 (ko) * 2019-03-26 2019-11-01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설치 및 탈결합이 용이한 창틀거치형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113795A (zh) 202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11845A1 (ko) 창호용 조립식 환기 장치
WO2020060322A1 (en) Air conditioner
WO2021261937A1 (ko) 창문형 이중환기 공기 청정기
WO2021040262A1 (ko) 판형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개량형 공기청정 병행 환기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WO2021040322A1 (ko) 천장형 공기조화장치
WO2021015519A1 (ko)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WO2021187821A1 (ko)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
WO2014119839A1 (ko) 순환구조 공기조화장치
WO2014007535A1 (ko) 스왈러를 구비한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WO2022154340A1 (ko) 공기조화기
WO2019050353A1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WO2021107597A1 (en) Air conditioner and pipe installation apparatus therefor
WO2022086012A1 (ko) 창호형 환기장치
KR102656779B1 (ko) 창호형 환기장치
WO2022086011A1 (ko) 창호형 환기장치
WO2016129880A1 (en) Air conditioner
WO2020138813A1 (ko) 유로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WO2022086013A1 (ko) 창호형 환기장치
WO2022234875A1 (ko) 자외선램프 및 이산화규소 항균 코팅이 적용된 차량용 송풍장치
WO2023068539A1 (ko) 주택 구조물 부설 설치형 에어 샤워장치
WO2022158721A1 (ko) 공기조화기
WO2020231102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21125713A1 (ko)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저감형 스마트 공조장치
WO2018004178A1 (ko) 환풍기
WO2020080723A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830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830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