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473B1 -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 Google Patents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473B1
KR102215473B1 KR1020190022746A KR20190022746A KR102215473B1 KR 102215473 B1 KR102215473 B1 KR 102215473B1 KR 1020190022746 A KR1020190022746 A KR 1020190022746A KR 20190022746 A KR20190022746 A KR 20190022746A KR 102215473 B1 KR102215473 B1 KR 102215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wall
air supply
clean ai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4154A (ko
Inventor
이병노
이진휘
이혁
Original Assignee
이병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노 filed Critical 이병노
Priority to KR1020190022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47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4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7Remote control using telephone netw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6Oxyg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정공기 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외벽에 구비된 청정공기 공급수단이나 창문을 실내 공기질 측정센서에 의하여 자동, 수동, 원격으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공기질을 일정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역세형 필터로 반복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청정공기 공급시스템{CLEAN AI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실내 공기질 유지를 위한 청정공기 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정공기 공급수단과 다양한 센서로 구성된 제어수단으로 자동, 수동,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청정공기 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내 공기질 유지를 위한 요구는 과거에도 있어 왔으나, 최근들어 중국발 미세먼지 문제가 대두되면서, 이에 대한 대책으로 다양한 시도가 요구되고 있다.
미세먼지(Particle Mater, PM)는 입경에 따라 통상 10㎛ 이하인 PM10(미세먼지)과 2.5㎛ 이하인 PM2.5(초미세먼지)로 나뉘는데, 후자는 폐포 손상까지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는 미세먼지도 2015년부터 날씨처럼 예보 및 경보제도로 운영되고 있는데, 그 기준은 다음과 같다.
PM10의 경우, 0~30㎍/㎥(이하, 단위 동일)은 '좋음', 31~80은 '보통', 81~150은 '나쁨', 151 이상은 '매우나쁨', 평균농도가 150 이상으로 2시간 지속시 '주의보', 300 이상으로 2시간 지속시 '경보'로 발령된다.
PM2.5의 경우, 0~15는 '좋음', 16~50은 '보통', 51~100은 '나쁨', 101 이상은 '매우나쁨', 평균농도가 90 이상으로 2시간 지속시 '주의보', 180 이상으로 2시간 지속시 '경보'로 발령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540694호에서는 창호를 관통하고 내부에 필터 및 환기팬이 내장된 실내 공기질 제어를 위한 창호 일체형 환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베란다의 창호시스템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설정한 구동시간 동안 자동으로 환기를 시키는 장점이 있으나, 실내 공기질의 상태와 무관하게 동작되어 사용자가 일일이 구동시간을 설정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실내외 공기질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되어, 항상 실내 공기질을 일정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역세형 필터로 반복 사용할 수 있는 청정공기 공급시스템을 제공하고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청정공기 공급시스템은 실내외를 구분하는 외벽, 상기 외벽에 이어지는 측벽, 상기 외벽과 상기 측벽의 상하에 있는 천장과 바닥, 상기 측벽의 일측에 부착된 출입문을 포함하여 내부 공간을 갖는 건물에 구비된 공기 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벽을 관통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된 역세형 필터, 상기 케이스 내에 상기 역세형 필터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구비된 흡배기용 팬을 포함하는 청정공기 공급수단; 상기 측벽에 부착되어 상기 청정공기 공급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측벽과 상기 천장 중 한 곳 이상에 부착되어 상기 제어수단에 소정의 측정 데이터를 보내는 실내 공기질 측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세형 필터는 상기 흡배기용 팬이 배기로 동작될 때 공기흐름을 포커싱하거나 필터를 진동하기 위한 원형 다공판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원통형 케이스이고, 상기 흡배기용 팬은 상기 역세형 필터의 좌측에 구비된 제 1 팬과 상기 역세형 필터의 우측에 구비된 제 2 팬으로 나누어 구성되고, 상기 청정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원통형 케이스 내에 상기 역세형 필터의 좌측과 우측에 구비된 제 1, 2 미세먼지 센서와 제 1, 2 유량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벽은 하나 이상의 창문이 더 구비되고, 상기 청정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창문 중 하나를 관통하거나 상기 창문 주변의 외벽을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실내 공기질 측정센서는 산소센서와 이산화탄소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벽의 외측에는 습도센서가 부착되고, 상기 창문 중 하나는 상기 습도센서 및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동작하는 자동 환기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무선단말기로 원격제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창문은 2개 이상으로 구성된 슬라이딩 창호이고, 상기 자동 환기수단은 상기 창문 중 하나의 네개 모서리에 구비된 내외측 오목홈이 있는 위 좌측 풀리, 위 우측 풀리, 아래 좌측 풀리 및 아래 우측 풀리; 상기 슬라이딩 창호의 좌측 외벽 또는 좌측 프레임에 부착된 제 1 모터와 제 1 고정구; 상기 슬라이딩 창호의 우측 외벽 또는 우측 프레임에 부착된 제 2 모터와 제 2 고정구; 상기 슬라이딩 창호를 둘러싸는 외벽 또는 프레임에 부착된 열림 감지 센서와 닫힘 감지 센서; 상기 제 1 고정구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창호가 끼워진 바닥 레일을 따라 상기 아래 좌측 풀리, 상기 아래 우측 풀리, 상기 위 우측 풀리, 상기 위 좌측 풀리를 각각 상기 내외측 오목홈 중 하나를 지나며 상기 제 1 모터에 감기는 창문 열림용 와이어; 및 상기 제 2 고정구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창호가 끼워진 바닥 레일을 따라 상기 아래 우측 풀리, 상기 아래 좌측 풀리, 상기 위 좌측 풀리, 상기 위 우측 풀리를 각각 상기 내외측 오목홈 중 다른 하나를 지나며 상기 제 2 모터에 감기는 창문 닫힘용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창문은 프로젝트 창호가 포함되고, 상기 자동 환기수단은 상기 프로젝트 창호를 둘러싸는 외벽 또는 프레임에 부착된 지지대 고정편; 상기 지지대 고정편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모터 구동 피스톤 부재; 상기 모터 구동 피스톤 부재의 일단과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선단 고정편; 및 상기 선단 고정편이 부착된 유리 삽입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실내 공기질 측정센서의 센서값을 읽어 들이는 제1단계; 상기 산소센서의 센서값이 기준이하 이거나 상기 이산화탄소센서의 센서값이 기준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제 1 팬을 구동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엔 상기 제1단계를 계속 진행하는 제2단계; 상기 제 2 유량계의 수치가 기준이하 이거나 일정시간을 경과할 경우에는 상기 제 1 팬을 멈추고 상기 제 2 팬을 구동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엔 상기 제 1 팬을 계속 구동하는 제3단계; 상기 제 1 유량계의 수치가 기준이하가 아닐 경우에는 상기 제 2 팬의 구동을 중단하고, 상기 제 2 유량계의 수치가 기준이하 일 경우에는 상기 제 1 팬을 멈추고 상기 제 2 팬을 계속 구동하는 제4단계; 상기 제 2 팬의 구동을 중단한 이후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1단계로 돌아가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종료하는 제5단계를 진행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 이후 상기 제 1 미세먼지 센서의 센서값이 기준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2단계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엔 상기 제1단계를 계속 진행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 이후 상기 제 1 미세먼지 센서의 센서값이 상기 제 2 미세먼지 센서의 센서값보다 클 경우에 상기 제2단계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엔 상기 습도센서의 센서값이 기준이하 이면 상기 환기수단이 열림으로 동작하고, 상기 습도센서의 센서값이 기준을 초과하면 상기 제2단계로 돌아가고, 상기 환기수단이 열린 이후 상기 제 1 미세먼지 센서의 센서값이 상기 제 2 미세먼지 센서의 센서값보다 클 경우에 상기 환기수단이 닫힘으로 동작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엔 상기 환기수단이 열린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환기수단이 닫힘 이후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1단계로 돌아가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종료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청정공기 공급시스템은 실내외를 구분하는 외벽, 상기 외벽에 이어지는 측벽, 상기 외벽과 상기 측벽의 상하에 있는 천장과 바닥, 상기 측벽의 일측에 부착된 출입문을 포함하여 내부 공간을 갖는 건물에 구비된 공기 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벽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창문을 포함하는 청정공기 공급수단; 상기 측벽에 부착되어 상기 청정공기 공급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측벽과 상기 천장 중 한 곳 이상에 부착되어 상기 제어수단에 소정의 측정 데이터를 보내는 실내 공기질 측정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외벽의 외측에는 습도센서가 부착되고, 상기 창문 중 하나는 상기 습도센서 및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동작하는 자동 환기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청정공기 공급시스템은 실내외를 구분하는 외벽, 상기 외벽에 이어지는 측벽, 상기 외벽과 상기 측벽의 상하에 있는 천장과 바닥, 상기 측벽의 일측에 부착된 출입문을 포함하여 내부 공간을 갖는 건물에 구비된 공기 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벽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창문을 포함하는 청정공기 공급수단; 상기 측벽에 부착되어 상기 청정공기 공급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측벽과 상기 천장 중 한 곳 이상에 부착되어 상기 제어수단에 소정의 측정 데이터를 보내는 실내 공기질 측정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외벽의 외측에는 미세먼지 센서가 부착되고, 상기 창문 중 하나는 상기 미세먼지 센서 및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동작하는 자동 환기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벽의 외측에는 습도센서가 더 부착되고, 상기 자동 환기수단은 상기 미세먼지 센서, 상기 습도센서 및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내 공기질 측정센서는 산소센서와 상기 산소센서보다 낮은 곳에 부착된 이산화탄소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은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무선단말기로 원격제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창문은 2개 이상으로 구성된 슬라이딩 창호이고, 상기 자동 환기수단은 상기 창문 중 하나의 네개 모서리에 구비된 내외측 오목홈이 있는 위 좌측 풀리, 위 우측 풀리, 아래 좌측 풀리 및 아래 우측 풀리; 상기 슬라이딩 창호의 좌측 외벽 또는 좌측 프레임에 부착된 제 1 모터와 제 1 고정구; 상기 슬라이딩 창호의 우측 외벽 또는 우측 프레임에 부착된 제 2 모터와 제 2 고정구; 상기 슬라이딩 창호를 둘러싸는 외벽 또는 프레임에 부착된 열림 감지 센서와 닫힘 감지 센서; 상기 제 1 고정구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창호가 끼워진 바닥 레일을 따라 상기 아래 좌측 풀리, 상기 아래 우측 풀리, 상기 위 우측 풀리, 상기 위 좌측 풀리를 각각 상기 내외측 오목홈 중 하나를 지나며 상기 제 1 모터에 감기는 창문 열림용 와이어; 및 상기 제 2 고정구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창호가 끼워진 바닥 레일을 따라 상기 아래 우측 풀리, 상기 아래 좌측 풀리, 상기 위 좌측 풀리, 상기 위 우측 풀리를 각각 상기 내외측 오목홈 중 다른 하나를 지나며 상기 제 2 모터에 감기는 창문 닫힘용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창문은 프로젝트 창호가 포함되고, 상기 자동 환기수단은 상기 프로젝트 창호를 둘러싸는 외벽 또는 프레임에 부착된 지지대 고정편; 상기 지지대 고정편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모터 구동 피스톤 부재; 상기 모터 구동 피스톤 부재의 일단과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선단 고정편; 및 상기 선단 고정편이 부착된 유리 삽입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벽에 구비된 청정공기 공급수단이나 창문을 실내 공기질 측정센서에 의하여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공기질을 일정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역세형 필터로 반복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청정공기 공급시스템의 전체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청정공기 공급수단(100)의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청정공기 공급수단(10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 또는 도 3의 역세형 필터(130)에 배기시 공기흐름을 포커싱하거나 필터를 진동하기 위한 원형 다공판(132)이 더 구비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자동 환기수단이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의 구조 및 동작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일측 창문(410)을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될 프로젝트 창호(430)가 있는 창문의 모습이고, 도 8은 상기 프로젝트 창호(430)에 자동 환기수단이 구비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1의 제어수단(200)의 제어 예를 보인 프로그램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청정공기 공급시스템은, 도 1과 같이, 실내외(1, 2)를 구분하는 외벽(10), 상기 외벽에 이어지는 측벽(20), 상기 외벽과 상기 측벽의 상하에 있는 천장(30)과 바닥(40), 상기 측벽의 일측에 부착된 출입문(22)을 포함하여 내부 공간(2)을 갖는 건물에 구비된 공기 공급시스템으로, 상기 외벽(10)을 관통한 청정공기 공급수단(100); 상기 측벽(20)에 부착되어 상기 청정공기 공급수단(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00); 및 상기 측벽(20)과 상기 천장(30) 중 한 곳 이상에 부착되어 상기 제어수단(200)에 소정의 측정 데이터를 보내는 실내 공기질 측정센서(310, 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청정공기 공급수단(100)은 사각통 등 다각형 케이스나 타원형 케이스 형태로 상기 외벽(10)에 관통하여 구비될 수도 있으나, 도 1 및 도 2와 같이, 원통형 케이스(101) 형태로 관통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원통형 케이스 내에 구비된 역세형 필터(130)와 상기 원통형 케이스 내에 상기 역세형 필터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구비된 흡배기용 팬(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배기용 팬(120)은,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팬으로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회전방향을 바꾸어, 흡기용 및 배기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고,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역세형 필터(130)의 좌측에 구비된 제 1 팬(121)과 우측에 구비된 제 2 팬(122)으로 나누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제 1 팬(121)은 실외측(1)에서 실내측(2)을 향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실내로 실외 공기를 집어넣는 흡기팬으로 도시되고, 제 2 팬(122)은 실내측(2)에서 실외측(1)을 향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실외로 실내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팬으로 도시되었으나, 각각 반대로 회전하며 반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역세형 필터(130)는 상기 흡배기용 팬(120)이 배기로 동작될 때 탈진 가능하게 구비된 필터로 반복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외측(1)으로부터 프리필터(Pre Filter), 집진필터, 탈취필터로 분리형 또는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리필터는 공기중의 부유물 등 후술하는 미세먼지 이상의 크기를 가진 큰 입자(분진)를 걸러내는 것이고, 집진필터는 미세먼지 필터로, 10㎛ 이하인 PM10(미세먼지) 및/또는 2.5㎛ 이하인 PM2.5(초미세먼지)를 걸러내는 것이며, 탈취필터는 각종 오염 물질로부터 나오는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통상과 같이, 오염원의 50% 내외를 걸러내는 프리필터, 80% 내외를 걸러내는 중간필터, 0.3㎛ 크기의 미세먼지를 95% 이상 제거하는 헤파필터(HEPA Filt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통상의 역세형 필터는 분진 등 오염물질을 부착면의 반대방향에서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분리하는 방식이므로, 이를 위해서는 압축공기의 공급수단을 별도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역세형 필터(130)의 일측 또는 내측에는, 도 2 또는 도 3과 같이, 배기시 공기흐름을 포커싱하거나 필터를 진동시킬 수 있는 진동수단(132)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흐름 포커싱 내지 필터 진동수단(132)의 일 실시예로, 도 4와 같이, 원통형 케이스(101)의 내측과 역세형 필터(130)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원형 다공판일 수 있다.
상기 원형 다공판(132)은, 도 4(a)와 같이, 복수개의 흡기용 관통공(132a), 상기 각 흡기용 관통공(132a)의 내부에 소정의 지지팔(132b)로 고정된 배기용 노즐(132c), 상기 배기용 노즐(132c)의 후방에서 흡기시(점선) 접혔다가 배기시(실선) 흡기용 관통공(132a)을 커버하도록 펼쳐지게 구비된 우산형 격막(132e, 132f)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흡기용 관통공(132a)은, 도 4(b)와 같이, 나선형(132d)으로 배치함이, 상기 흡배기용 팬(120)이 배기로 동작될 때, 원형 다공판(132)이 별도의 동력 없이도 원통형 케이스(101)의 내측과 역세형 필터(130)의 일측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이 원활하게 되도록, 도 4(a)와 같이, 역세형 필터(130)와 원형 다공판(132) 사이에는 베어링 역할을 하는 링 부재(133)가 더 삽입되고, 원형 다공판(132)과 흡배기용 팬(120) 또는 제 2 팬(122) 사이에는 정지 턱(13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배기용 노즐(132c) 전방에는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된 배출구(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원형 다공판(132)의 회전시 역세형 필터(130)를 강약으로 눌러 진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흐름 포커싱 내지 필터 진동수단(132)은 도 4에서 예시된 구조이외에 필터들 사이 예를 들어, 프리필터와 집진필터 사이에 전기로 구동되는 진동판(미도시)을 구비하여 흡배기용 팬(120)이 배기로 동작되거나 제 2 팬(122)이 동작될 때 상기 진동판이 함께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청정공기 공급수단(10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기 원통형 케이스(101) 내에 상기 역세형 필터(130)의 좌측과 우측에 구비된 제 1, 2 미세먼지 센서(111, 114)와 제 1, 2 유량계(112, 1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미세먼지 센서(111)는 실외측(1)의 미세먼지 농도를, 상기 제 2 미세먼지 센서(114)는 실내측(2)의 미세먼지 농도를 각각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사이에는 역세형 필터(130)가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2 미세먼지 센서(111, 114) 사이에는,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역세형 필터(130)와 흡배기용 팬(120)이 있거나,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제 1 팬(121), 역세형 필터(130) 및 제 2 팬(122)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2 미세먼지 센서(111, 114)는 PM2.5(초미세먼지)의 농도도 측정할 수 있는 것이고, 측정된 수치는 소정의 배선을 통해 제어수단(200)에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유량계(112)는 원통형 케이스(101) 내의 실외측(1) 공기흐름량을, 상기 제 2 유량계(113)는 실내측(2)의 공기흐름량을 각각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사이에는 역세형 필터(130)가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2 유량계(112, 113) 사이에는,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역세형 필터(130)와 흡배기용 팬(120)이 있거나,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제 1 팬(121), 역세형 필터(130) 및 제 2 팬(122)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2 유량계(112, 113)는 공기흐름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고, 측정된 수치는 소정의 배선을 통해 제어수단(200)에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벽(10)은, 도 1과 같이, 하나 이상의 창문(410, 42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청정공기 공급수단(100)은 상기 창문 중 하나를 관통하거나(미도시) 상기 창문 주변의 외벽(10)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청정공기 공급수단(100)이 창문 중 하나를 관통하여 체결될 경우에는, 원통형 케이스(101)가 바로 창문의 관통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창문 주변의 외벽(10)을 관통하여 삽입될 경우에는 외벽 관통용 외측 케이스(102)가 원통형 케이스(101)를 감싸며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내 공기질 측정센서는, 도 1과 같이, 산소센서(310)와 이산화탄소센서(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산소센서(310)는 실내(2)의 산소 농도를, 이산화탄소센서(320)는 실내(2)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각각 측정하는 것으로, 각 측정된 수치는 소정의 배선을 통해 제어수단(200)에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산소(O2)의 분자량은 32로 공기의 평균 분자량 28.8보다 크고, 이산화탄소(CO2)의 분자량 44보다 작으므로, 산소센서(310)의 부착높이(h1)는 이산화탄소센서(320)의 높이(h2)보다 높게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산화탄소센서(320)는 제어수단(200)의 양측 상, 하 측면(20)과 천장(30)에 복수개 구비되어 평균값으로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1과 같이, 상기 외벽(10)의 외측(1)에는 습도센서(330)가 부착되고, 상기 창문 중 하나는 상기 습도센서(330) 및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동작하는 자동 환기수단(500)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200)은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무선단말기(210)로 원격제어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습도센서(330)로 비가 오는지 여부 등의 날씨를 고려하여 자동 환기수단(500)으로 창문을 개방하여 환기를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200)은 스마트폰(210) 등으로 원격제어 가능하게 되어,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실내 환기를 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상기 자동 환기수단(500)은 창문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두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의 실시예는 상기 창문이 2개 이상의 슬라이딩 창호(410, 420)로 구성된 경우를 보여준다. 이때, 상기 자동 환기수단(500)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창문 중 하나(410)의 네개 모서리에 구비된 내외측 오목홈(501, 502)이 있는 위 좌측 풀리(511), 위 우측 풀리(512), 아래 좌측 풀리(514) 및 아래 우측 풀리(513); 상기 슬라이딩 창호(410, 420)의 좌측 외벽(10) 또는 좌측 프레임(401)에 부착된 제 1 모터(520)와 제 1 고정구(521); 상기 슬라이딩 창호(410, 420)의 우측 외벽(10) 또는 우측 프레임(401)에 부착된 제 2 모터(530)와 제 2 고정구(531); 상기 슬라이딩 창호(410, 420)를 둘러싸는 외벽(10) 또는 프레임(401)에 부착된 열림 감지 센서(541)와 닫힘 감지 센서(542); 상기 제 1 고정구(521)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창호(410, 420)가 끼워진 바닥 레일을 따라 상기 아래 좌측 풀리(514), 상기 아래 우측 풀리(513), 상기 위 우측 풀리(512), 상기 위 좌측 풀리(511)를 각각 상기 내외측 오목홈(501, 502) 중 하나(도 6에선 501)를 지나며 상기 제 1 모터(520)에 감기는 창문 열림용 와이어(551); 및 상기 제 2 고정구(531)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창호(410, 420)가 끼워진 바닥 레일을 따라 상기 아래 우측 풀리(513), 상기 아래 좌측 풀리(514), 상기 위 좌측 풀리(511), 상기 위 우측 풀리(512)를 각각 상기 내외측 오목홈(501, 502) 중 다른 하나(도 6에선 502)를 지나며 상기 제 2 모터(530)에 감기는 창문 닫힘용 와이어(5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402와 403은 프레임(401)의 바닥 레일 위에서 구르는 롤러부재이고, 414는 손잡이 및 잠금수단, 413과 415는 레일 또는 프레임 삽입용 돌출부, 503과 504는 각각 풀리 장착용 장볼트와 너트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1과 같은 기존의 슬라이딩 창호(410, 420)에 대해서도, 창문 중 하나(410)의 네개 모서리에 풀리(511, 512, 513, 514)를 장착하고, 슬라이딩 창호(410, 420)의 외벽(10) 또는 레임(401)에 부착된 제 1 모터(520)와 제 1 고정구(521), 제 2 모터(530)와 제 2 고정구(531), 열림 감지 센서(541)와 닫힘 감지 센서(542)를 구비하고, 창문 열림용 와이어(551)와 창문 닫힘용 와이어(552)를 연결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도 상기 자동 환기수단(500)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도 5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 환기수단의 동작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환기수단의 열림조건에 있다고 판단되면, 제 1 모터(520)를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하여 창문 열림용 와이어(551)를 감게 되면 아래 우측 풀리(513)와 위 우측 풀리(512)로 힘이 가해져, 도 5의 점선 방향으로 우측 창문(410)이 좌측으로 슬라이딩하며 열리게 되는데, 이는 열림 감지 센서(541)에서 제어 신호가 들어올 때까지 계속된다.
반대로,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환기수단의 닫힘조건에 있다고 판단되면, 제 2 모터(530)를 시계 방향으로 구동하여 창문 닫힘용 와이어(552)를 감게 되면 아래 좌측 풀리(514)와 위 좌측 풀리(511)로 힘이 가해져, 도 5의 일점쇄선 방향으로 우측 창문(410)이 우측으로 슬라이딩하며 닫히게 되는데, 이는 닫힘 감지 센서(542)에서 제어 신호가 들어올 때까지 계속된다.
상기 제 2 모터(530)에는 제 1 모터(520)에 구동신호(전원)가 들어오기 전까지 역회전을 방지하는 수단을 별도 더 구비함으로써, 우측 창문(410)이 닫길 때, 자동으로 잠길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자동 환기수단(500)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창문이, 도 7과 같이, 프로젝트 창호(430)가 포함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도 8과 같이, 상기 자동 환기수단(500)은 상기 프로젝트 창호(430)를 둘러싸는 외벽(10) 또는 프레임(401, 431a)에 부착된 지지대 고정편(610); 상기 지지대 고정편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모터 구동 피스톤 부재(620); 상기 모터 구동 피스톤 부재의 일단과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선단 고정편(630); 및 상기 선단 고정편이 부착된 유리 삽입틀(431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 고정편(610)은 프로젝트 창호(430)를 둘러싸는 외각 프레임(401)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과 같이, 외각 프레임(401)에 삽입된 프로젝트 창호(430)의 프레임이 상측의 힌지부재(433)로 고정틀(431a)과 유리 삽입틀(431b)로 나뉘어 구성될 경우, 상기 지지대 고정편(610)은 고정틀(431a)에 부착되어 소정의 지지대(622)를 통해 상기 모터 구동 피스톤 부재(62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 구동 피스톤 부재(620)는 선단 고정편(630)과 함께 후단 실린더에 모터(624)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도 8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 환기수단의 동작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환기수단의 열림조건에 있다고 판단되면, 모터(624)를 일 방향으로 구동하여 모터 구동 피스톤 부재(620)를 전진시켜, 유리 삽입틀(431b)을 힌지부재(433)로 고정틀(431a)에서 밀어 회전시킴으로써, 프로젝트 창호(430)를 개방한다.
반대로,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환기수단의 닫힘조건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모터(624)를 반대 방향으로 구동하여 모터 구동 피스톤 부재(620)를 후진시켜, 유리 삽입틀(431b)을 힌지부재(433)로 고정틀(431a)과 만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프로젝트 창호(430)를 닫게 된다.
상기 제어수단(200)은 실내(2)의 일 측벽(20)에 부착되어 상기 청정공기 공급수단(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특정 프로그램이 사전에 입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며, 상기 제어수단(200)에 내장되는 동작 프로그램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도 9와 같이, 제어수단(200)에 전원이 들어와 동작을 시작하게 되면, 상기 실내 공기질 측정센서(310, 320)의 센서값을 읽어 들인다(제1단계; S100).
상기 산소센서(310)의 센서값이 기준이하 이거나 상기 이산화탄소센서(320)의 센서값이 기준 이상일 경우에는 흡기팬인 제 1 팬(121)을 구동하고(S300), 그렇지 않을 경우엔 상기 제1단계를 계속 진행한다(제2단계; S210, S220).
여기서, 상기 산소센서(310)의 센서값 기준은 실내 대기 평균 산소농도인 20.9%일 수 있고, 상기 이산화탄소센서(320)의 센서값 기준은 700ppm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 유량계(113)의 수치가 기준이하 이거나 일정시간을 경과할 경우에는 흡기팬인 제 1 팬(121)을 멈추고 배기팬인 제 2 팬(122)을 구동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엔 상기 제 1 팬(121)을 계속 구동한다(제3단계; S410, S420, S500).
이와 같이 제 2 유량계(113)를 통해 흡기시 역세형 필터(130)의 막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역세형 필터(130)가 막혔을 경우 또는 일정시간 마다 제 2 팬(122)을 구동하여 분진 등을 털어내어, 역세형 필터(130)를 재사용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유량계(112)의 수치가 기준이하가 아닐 경우에는 배기팬인 제 2 팬(122)의 구동을 중단하고(S700), 상기 제 1 유량계(112)의 수치가 기준이하 일 경우에는 흡기팬인 제 1 팬(121)을 멈추고 배기팬인 제 2 팬(122)을 계속 구동한다(제4단계; S600, S700).
위에서 제 1 유량계(112) 및 제 2 유량계(113)의 수치가 기준이하인지 여부는 각각 역세형 필터(130)의 건너편에 있는 제 2 유량계(113) 및 제 1 유량계(112)의 수치보다 일정 범위(예컨대, 건너편 유량계 수치의 30%) 이하인지 여부로 판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팬(122)의 구동을 중단한 이후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1단계(S100)로 돌아가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종료한다(제5단계; S800).
다른 실시예로, 도 10과 같이, 상기 제1단계(S100) 이후 실외측 미세먼지 센서인 제 1 미세먼지 센서(111)의 센서값이 기준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1)를 더 거쳐서 기준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2단계(S210, S220)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엔 상기 제1단계(S100)를 계속 진행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미세먼지 센서(111)의 센서값 기준은, 일 예로 2015년에 설정된 기준으로, PM10의 경우 80㎍/㎥, PM2.5의 경우 50㎍/㎥일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실외의 미세먼지가 나쁨으로 될 때, 상기 제2단계(S210, S220)를 진행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1과 같이, 상기 제1단계(S100) 이후 상기 제 1 미세먼지 센서(111)의 센서값이 상기 제 2 미세먼지 센서(114)의 센서값보다 클 경우, 즉 미세먼지 농도가 실외가 실내보다 클 경우에 상기 제2단계(S210, S220)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엔 상기 습도센서(330)의 센서값이 기준이하 이면 상기 환기수단이 열림으로 동작하고(S130), 상기 습도센서(330)의 센서값이 기준을 초과하면 상기 제2단계(S210, S220)로 돌아간다(S120).
여기서, 상기 습도센서(330)의 센서값 기준은 상대습도로 여름일 경우 60~100%, 겨울일 경우 10~50%의 각 범위에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기수단은 상술한 자동 환기수단(500)을 구비한 창문이다.
상기 환기수단이 열린 이후 상기 제 1 미세먼지 센서(111)의 센서값이 상기 제 2 미세먼지 센서(114)의 센서값보다 클 경우, 즉 미세먼지 농도가 실외가 실내보다 클 경우에 상기 환기수단이 닫힘으로 동작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엔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실외와 같아질 때까지 상기 환기수단이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S140, S150).
상기 환기수단이 닫힘 이후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1단계(S100)로 돌아가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종료한다(S800).
이상 설명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다양하게 응용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제 1 응용예에 의한 청정공기 공급시스템은, 도 1 등을 참조하면, 실내외(1, 2)를 구분하는 외벽(10), 상기 외벽에 이어지는 측벽(20), 상기 외벽과 상기 측벽의 상하에 있는 천장(30)과 바닥(40), 상기 측벽의 일측에 부착된 출입문(22)을 포함하여 내부 공간(2)을 갖는 건물에 구비된 공기 공급시스템으로, 상기 외벽(1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창문(410, 420, 430)을 포함하는 청정공기 공급수단; 상기 측벽(20)에 부착되어 상기 청정공기 공급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00); 및 상기 측벽(20)과 상기 천장(30) 중 한 곳 이상에 부착되어 상기 제어수단(200)에 소정의 측정 데이터를 보내는 실내 공기질 측정센서(310, 320)를 포함하되, 상기 외벽(10)의 외측(1)에는 습도센서(330)가 부착되고, 상기 창문 중 하나(410)는 상기 습도센서(330) 및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동작하는 자동 환기수단(5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응용예에서 청정공기 공급수단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외벽(10)을 관통한 원통형 케이스로 구성되는 것과 달리, 외벽(1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창문(410, 420, 430)을 포함하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제 2 응용예에 의한 청정공기 공급시스템은, 도 1 등을 참조하면, 실내외(1, 2)를 구분하는 외벽(10), 상기 외벽에 이어지는 측벽(20), 상기 외벽과 상기 측벽의 상하에 있는 천장(30)과 바닥(40), 상기 측벽의 일측에 부착된 출입문(22)을 포함하여 내부 공간(2)을 갖는 건물에 구비된 공기 공급시스템으로, 상기 외벽(1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창문(410, 420, 430)을 포함하는 청정공기 공급수단; 상기 측벽(20)에 부착되어 상기 청정공기 공급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00); 및 상기 측벽(20)과 상기 천장(30) 중 한 곳 이상에 부착되어 상기 제어수단(200)에 소정의 측정 데이터를 보내는 실내 공기질 측정센서(310, 320)를 포함하되, 상기 외벽(10)의 외측(1)에는 미세먼지 센서(미도시)가 부착되고, 상기 창문 중 하나(410)는 상기 미세먼지 센서 및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동작하는 자동 환기수단(5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 응용예에서, 외벽(10)의 외측(1)에는 습도센서(330) 대신 미세먼지 센서를 부착하여, 자동 환기수단(500)은 미세먼지 센서와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제 2 응용예에서, 외벽(10)의 외측(1)에는 습도센서(330)가 더 부착되고, 상기 자동 환기수단(500)은 미세먼지 센서, 습도센서(330) 및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동작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창문은, 도 5와 같이, 2개 이상으로 구성된 슬라이딩 창호(410, 420) 또는 도 7과 같이, 프로젝트 창호(430)가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창호(410, 420)의 자동 환기수단과 상기 프로젝트 창호(430)의 자동 환기수단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자동 환기수단(500)은 상술한 예에 한하지 않고, 슬라이딩 창호(410, 420)일 경우 프레임 상단에 구비되어 이동하고자 하는 창호(410)의 상단에만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프로젝트 창호(430)는 프레임에 내장된 모터에 체인으로, 상, 하, 좌, 우 중 일측으로 틸트(tilt)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기타, 공지된 다양한 자동 환기수단들도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10: 외벽 20: 측벽
30: 천장 40: 바닥
100: 청정공기 공급수단 200: 제어수단
310: 산소센서 320: 이산화탄소센서
330: 습도센서 410, 420: 슬라이딩 창호
430: 프로젝트 창호 500: 자동 환기수단

Claims (17)

  1. 실내외를 구분하는 외벽, 상기 외벽에 이어지는 측벽, 상기 외벽과 상기 측벽의 상하에 있는 천장과 바닥, 상기 측벽의 일측에 부착된 출입문을 포함하여 내부 공간을 갖는 건물에 구비된 공기 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벽을 관통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된 역세형 필터, 상기 케이스 내에 상기 역세형 필터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구비된 흡배기용 팬을 포함하는 청정공기 공급수단;
    상기 측벽에 부착되어 상기 청정공기 공급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측벽과 상기 천장 중 한 곳 이상에 부착되어 상기 제어수단에 소정의 측정 데이터를 보내는 실내 공기질 측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역세형 필터는 상기 흡배기용 팬이 배기로 동작될 때 공기흐름을 포커싱하거나 필터를 진동하기 위한 원형 다공판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원통형 케이스이고,
    상기 흡배기용 팬은 상기 역세형 필터의 좌측에 구비된 제 1 팬과 상기 역세형 필터의 우측에 구비된 제 2 팬으로 나누어 구성되고,
    상기 청정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원통형 케이스 내에 상기 역세형 필터의 좌측과 우측에 구비된 제 1, 2 미세먼지 센서와 제 1, 2 유량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은 하나 이상의 창문이 더 구비되고,
    상기 청정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창문 중 하나를 관통하거나 상기 창문 주변의 외벽을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실내 공기질 측정센서는 산소센서와 이산화탄소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의 외측에는 습도센서가 부착되고,
    상기 창문 중 하나는 상기 습도센서 및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동작하는 자동 환기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무선단말기로 원격제어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은 2개 이상으로 구성된 슬라이딩 창호이고,
    상기 자동 환기수단은 상기 창문 중 하나의 네개 모서리에 구비된 내외측 오목홈이 있는 위 좌측 풀리, 위 우측 풀리, 아래 좌측 풀리 및 아래 우측 풀리;
    상기 슬라이딩 창호의 좌측 외벽 또는 좌측 프레임에 부착된 제 1 모터와 제 1 고정구;
    상기 슬라이딩 창호의 우측 외벽 또는 우측 프레임에 부착된 제 2 모터와 제 2 고정구;
    상기 슬라이딩 창호를 둘러싸는 외벽 또는 프레임에 부착된 열림 감지 센서와 닫힘 감지 센서;
    상기 제 1 고정구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창호가 끼워진 바닥 레일을 따라 상기 아래 좌측 풀리, 상기 아래 우측 풀리, 상기 위 우측 풀리, 상기 위 좌측 풀리를 각각 상기 내외측 오목홈 중 하나를 지나며 상기 제 1 모터에 감기는 창문 열림용 와이어; 및
    상기 제 2 고정구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창호가 끼워진 바닥 레일을 따라 상기 아래 우측 풀리, 상기 아래 좌측 풀리, 상기 위 좌측 풀리, 상기 위 우측 풀리를 각각 상기 내외측 오목홈 중 다른 하나를 지나며 상기 제 2 모터에 감기는 창문 닫힘용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은 프로젝트 창호가 포함되고,
    상기 자동 환기수단은 상기 프로젝트 창호를 둘러싸는 외벽 또는 프레임에 부착된 지지대 고정편;
    상기 지지대 고정편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모터 구동 피스톤 부재;
    상기 모터 구동 피스톤 부재의 일단과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선단 고정편; 및
    상기 선단 고정편이 부착된 유리 삽입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실내 공기질 측정센서의 센서값을 읽어 들이는 제1단계;
    상기 산소센서의 센서값이 기준이하 이거나 상기 이산화탄소센서의 센서값이 기준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제 1 팬을 구동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엔 상기 제1단계를 계속 진행하는 제2단계;
    상기 제 2 유량계의 수치가 기준이하 이거나 일정시간을 경과할 경우에는 상기 제 1 팬을 멈추고 상기 제 2 팬을 구동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엔 상기 제 1 팬을 계속 구동하는 제3단계;
    상기 제 1 유량계의 수치가 기준이하가 아닐 경우에는 상기 제 2 팬의 구동을 중단하고, 상기 제 2 유량계의 수치가 기준이하 일 경우에는 상기 제 1 팬을 멈추고 상기 제 2 팬을 계속 구동하는 제4단계;
    상기 제 2 팬의 구동을 중단한 이후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1단계로 돌아가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종료하는 제5단계를 진행하도록 프로그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이후 상기 제 1 미세먼지 센서의 센서값이 기준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2단계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엔 상기 제1단계를 계속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이후 상기 제 1 미세먼지 센서의 센서값이 상기 제 2 미세먼지 센서의 센서값보다 클 경우에 상기 제2단계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엔 상기 습도센서의 센서값이 기준이하 이면 상기 환기수단이 열림으로 동작하고, 상기 습도센서의 센서값이 기준을 초과하면 상기 제2단계로 돌아가고,
    상기 환기수단이 열린 이후 상기 제 1 미세먼지 센서의 센서값이 상기 제 2 미세먼지 센서의 센서값보다 클 경우에 상기 환기수단이 닫힘으로 동작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엔 상기 환기수단이 열린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환기수단이 닫힘 이후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1단계로 돌아가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종료하도록 프로그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11. 실내외를 구분하는 외벽, 상기 외벽에 이어지는 측벽, 상기 외벽과 상기 측벽의 상하에 있는 천장과 바닥, 상기 측벽의 일측에 부착된 출입문을 포함하여 내부 공간을 갖는 건물에 구비된 공기 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벽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창문을 포함하는 청정공기 공급수단;
    상기 측벽에 부착되어 상기 청정공기 공급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측벽과 상기 천장 중 한 곳 이상에 부착되어 상기 제어수단에 소정의 측정 데이터를 보내는 실내 공기질 측정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외벽의 외측에는 습도센서가 부착되고,
    상기 창문 중 하나는 상기 습도센서 및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동작하는 자동 환기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청정공기 공급수단은 원통형 케이스를 통해 상기 창문 중 하나를 관통하거나 상기 창문 중 하나의 주변 외벽을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내에는 적어도 역세형 필터와 흡배기용 팬이 구비되고,
    상기 역세형 필터는 상기 흡배기용 팬이 배기로 동작될 때 공기흐름을 포커싱하거나 필터를 진동하기 위한 원형 다공판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12. 실내외를 구분하는 외벽, 상기 외벽에 이어지는 측벽, 상기 외벽과 상기 측벽의 상하에 있는 천장과 바닥, 상기 측벽의 일측에 부착된 출입문을 포함하여 내부 공간을 갖는 건물에 구비된 공기 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벽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창문을 포함하는 청정공기 공급수단;
    상기 측벽에 부착되어 상기 청정공기 공급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측벽과 상기 천장 중 한 곳 이상에 부착되어 상기 제어수단에 소정의 측정 데이터를 보내는 실내 공기질 측정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외벽의 외측에는 미세먼지 센서가 부착되고,
    상기 창문 중 하나는 상기 미세먼지 센서 및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동작하는 자동 환기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청정공기 공급수단은 원통형 케이스를 통해 상기 창문 중 하나를 관통하거나 상기 창문 중 하나의 주변 외벽을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내에는 적어도 역세형 필터와 흡배기용 팬이 구비되고,
    상기 역세형 필터는 상기 흡배기용 팬이 배기로 동작될 때 공기흐름을 포커싱하거나 필터를 진동하기 위한 원형 다공판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의 외측에는 습도센서가 더 부착되고,
    상기 자동 환기수단은 상기 미세먼지 센서, 상기 습도센서 및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기질 측정센서는 산소센서와 이산화탄소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무선단말기로 원격제어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은 2개 이상으로 구성된 슬라이딩 창호이고,
    상기 자동 환기수단은 상기 창문 중 하나의 네개 모서리에 구비된 내외측 오목홈이 있는 위 좌측 풀리, 위 우측 풀리, 아래 좌측 풀리 및 아래 우측 풀리;
    상기 슬라이딩 창호의 좌측 외벽 또는 좌측 프레임에 부착된 제 1 모터와 제 1 고정구;
    상기 슬라이딩 창호의 우측 외벽 또는 우측 프레임에 부착된 제 2 모터와 제 2 고정구;
    상기 슬라이딩 창호를 둘러싸는 외벽 또는 프레임에 부착된 열림 감지 센서와 닫힘 감지 센서;
    상기 제 1 고정구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창호가 끼워진 바닥 레일을 따라 상기 아래 좌측 풀리, 상기 아래 우측 풀리, 상기 위 우측 풀리, 상기 위 좌측 풀리를 각각 상기 내외측 오목홈 중 하나를 지나며 상기 제 1 모터에 감기는 창문 열림용 와이어; 및
    상기 제 2 고정구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창호가 끼워진 바닥 레일을 따라 상기 아래 우측 풀리, 상기 아래 좌측 풀리, 상기 위 좌측 풀리, 상기 위 우측 풀리를 각각 상기 내외측 오목홈 중 다른 하나를 지나며 상기 제 2 모터에 감기는 창문 닫힘용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은 프로젝트 창호가 포함되고,
    상기 자동 환기수단은 상기 프로젝트 창호를 둘러싸는 외벽 또는 프레임에 부착된 지지대 고정편;
    상기 지지대 고정편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모터 구동 피스톤 부재;
    상기 모터 구동 피스톤 부재의 일단과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선단 고정편; 및
    상기 선단 고정편이 부착된 유리 삽입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KR1020190022746A 2019-02-26 2019-02-26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KR102215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746A KR102215473B1 (ko) 2019-02-26 2019-02-26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746A KR102215473B1 (ko) 2019-02-26 2019-02-26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154A KR20200104154A (ko) 2020-09-03
KR102215473B1 true KR102215473B1 (ko) 2021-02-10

Family

ID=7246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746A KR102215473B1 (ko) 2019-02-26 2019-02-26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4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364B1 (ko) 2007-06-13 2009-09-03 김세희 창호 일체형 공기청정 시스템
KR101122252B1 (ko) 2010-09-14 2012-03-20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창문형 환기장치를 이용한 환기방법
KR101521875B1 (ko) 2014-11-28 2015-05-20 오충록 실내외 공기를 혼합하여 열교환 환기하는 열교환 환기장치
KR101828587B1 (ko) 2017-06-26 2018-02-13 (주)센도리 먼지제거기능을 구비한 공조장치
KR101946255B1 (ko) 2018-01-11 2019-02-11 (주)센도리 먼지 제거가 가능한 필터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684A (ko) * 2004-10-20 2005-09-23 강남필터 주식회사 고 여과효율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내기 및 외기도입식공기청정환기시스템
KR101724263B1 (ko) * 2014-12-17 2017-04-07 김창영 자동 환기시스템
KR101818434B1 (ko) * 2016-04-27 2018-01-1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창호형 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자동 환기 시스템
KR101946149B1 (ko) * 2017-05-01 2019-02-0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창문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364B1 (ko) 2007-06-13 2009-09-03 김세희 창호 일체형 공기청정 시스템
KR101122252B1 (ko) 2010-09-14 2012-03-20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창문형 환기장치를 이용한 환기방법
KR101521875B1 (ko) 2014-11-28 2015-05-20 오충록 실내외 공기를 혼합하여 열교환 환기하는 열교환 환기장치
KR101828587B1 (ko) 2017-06-26 2018-02-13 (주)센도리 먼지제거기능을 구비한 공조장치
KR101946255B1 (ko) 2018-01-11 2019-02-11 (주)센도리 먼지 제거가 가능한 필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154A (ko)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801B1 (ko) 창문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KR102466768B1 (ko) 환기 청정기
US73318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mpling and controlling ventilation airflow into a structure
CN101861498A (zh) 具有节能功能的智能换气控制系统
CN108758236A (zh) 一种智能家居安防用方便调节的监控装置
KR20180089240A (ko) 창문 부착형 환기 장치
KR102215473B1 (ko) 청정공기 공급시스템
CN206973815U (zh) 一种新风系统
CN109686218B (zh) 一种自动清洁的城市规划布局展示装置
CN109611998B (zh) 一种建筑用自洁式通风器及其工作方法
KR200385554Y1 (ko) 통풍장치
CN108302646A (zh) 一种空气净化器
CN211372951U (zh) 一种雨伞快干装置
CN109838868A (zh) 一种分体式新风机装置
JP2003314875A (ja) 塵埃侵入防止装置及びシートシャッター
CN209430019U (zh) 带有通风系统的窗框
JP3990923B2 (ja) ダブルスキンカーテンウォール
KR20210018163A (ko) 공기 순환 시스템, 자동 도어 시스템 및 기타 보조 장치를 구비한 미래 창호 시스템
KR20180001693U (ko) 이동식 환풍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58820B1 (ko) 미세먼지 측정장치
CN209430032U (zh) 箱式综合系统窗框
KR20050111145A (ko) 환기용 창틀
KR200384769Y1 (ko) 통풍장치
JPH112445A (ja) 室内空気の換気システム
KR102334867B1 (ko) 미세먼지 센서 연동 자동개폐 창문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