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171B1 - 영구 거푸집용 측판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영구 거푸집용 측판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171B1
KR102352171B1 KR1020200185910A KR20200185910A KR102352171B1 KR 102352171 B1 KR102352171 B1 KR 102352171B1 KR 1020200185910 A KR1020200185910 A KR 1020200185910A KR 20200185910 A KR20200185910 A KR 20200185910A KR 102352171 B1 KR102352171 B1 KR 102352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forming
unit
roller
mand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한
장치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와이그린에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와이그린에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와이그린에쎄스
Priority to KR1020200185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08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16Unwinding or unco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51/00Measuring, gauging, indicating, counting, or mar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production or manipulation of material in accordance with subclasses B21B - B21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에 필요한 거푸집 역할을 하며 설치 후에는 거푸집을 영구적으로 제거하지 않는 영구 거푸집을 낮은 공간 점유를 가지면서 연속적이고 자동화된 라인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영구 푸집용 측판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코일을 로딩하는 코일 로딩용 트레이와, 코일을 맨드릴을 이용하여 푸는 언코일러와, 코일을 피딩하는 코일 피딩부와, 코일을 절단하는 코일 초기 절단부와, 코일을 다음 단계로 가이드하는 포밍 가이드부와, 코일을 복수의 포밍 섹션부를 거쳐 성형하는 포밍 성형부와, 펀치 구멍과 조인트 작업을 하는 펀칭부와, 표면을 엠보싱 처리하는 엠보싱부와, 코일 시트를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부 및 코일 시트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영구 거푸집의 측판을 성형하는 포밍 성형부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정도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축; 베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롤러축의 일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축지지부; 롤러축을 회전시키도록 제1축지지부의 측부에 구비된 구동모터; 롤러축의 타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베드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축지지부; 돌기성형용 롤러가 결합되며 롤러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결합부; 및 제2 축지지부와 롤러결합부 사이에서 롤러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간격유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영구 거푸집용 측판 성형장치{Forming Machine for Side Pannel of Permanent Mold}
본 발명은 영구 거푸집용 측판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타설에 필요한 거푸집 역할을 하며 설치 후에는 거푸집을 영구적으로 제거하지 않는 영구 거푸집을 낮은 공간 점유를 가지면서 연속적이고 자동화된 라인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영구 푸집용 측판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이란 철근콘크리트구조나 철골철근콘크리트 공사에 있어서, 유동성을 구비한 콘크리트를 소정의 형태와 치수로 양생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설치하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즉,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양생될때까지의 짧은 기간 동안만 필요하고,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에는 제거하는 가설재인 것이다. 그리고,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 작업은 전체 콘크리트 공사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에서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은 크면서도 가격은 저렴한 재료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형성함에 따라 거푸집의 자중이 상당할 뿐만 아니라, 무거운 재료를 높은 곳에서 조립하고 해체함에 따라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에는 여러 위험성이 수반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거푸집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 접하는 막음널과 이를 지지하는 버팀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띠장 및 거푸집이 뒤틀지지 않도록 연결하여 고정하는 긴결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거푸집의 막음널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는 합판이나 철판 등이 있는데, 최근에는 철판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철제 거푸집은 목재 거푸집에 비해 무겁기 때문에 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조립 및 해체를 하여야 하고, 초기 투자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통상의 거푸집은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제거해야 하는 가설재에 해당하여 해체 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공개특허 제10-1998-0028581호는,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길게 연장되는 내면의 일정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수개의 매립보강대들이 부착 고정되는 일측 성형강판과, 일측 성형강판과 맞대어질 수 있도록 동일한 폭고 길이로 연장되는 매면의 일정위치에 길이방향으로 수개의 매립보강대들이 부착되는 타측 성형강판으로 구성하여, 일측 성형강판과 타측 성형강판 상호간이 조립되는 내부에 타설되어 채워지는 콘크리트와 일체로서 기둥을 이루도록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식 기둥 거푸집'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일체식 거푸집은 성형강판의 내측에 매립보강대를 구성해야 함에 따라 공장제작이 어렵고, 횡보강을 위하여 성형강판의 외측에 별도의 부재를 덧대어 성형강판을 고정해야 함에 따라 성형강판 사이의 고정이 쉽지 않으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의 역할을 하며, 콘크리트 경화 후에는 콘크리트와 일체로 합성됨으로써 별도의 해체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콘크리트에 구속효과를 부여하여 기둥의 강도와 강성을 증가시키는 영구 거푸집이 개발된 바 있다.
상기한 영구 거푸집은 조립 및 현장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거푸집 본체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측압에 의한 거푸집의 변형을 방지하고 내부의 기둥 철근의 고정이 매우 용이하며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일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둥 거푸집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콘크리트 경화 후 콘크리트와 일체로 합성되어 콘크리트 경화 후 거푸집을 제거하지 않고 외장재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폭 지지 채널을 통하여 추가 보강이 가능하여 중형 및 대형 기둥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다만, 전술한 영구 거푸집인 DH-빔을 자동 라인에서 최대 포밍 속도, 최대 유연성, 저전력 소비, 고생산성 및 낮은 점유 공간을 갖추면서 연속적이고 자동화 공정으로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1989호(김병화) 2004. 05. 21.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타설에 필요한 거푸집 역할을 하며 설치 후에는 거푸집을 영구적으로 제거하지 않는 영구 거푸집을 낮은 공간 점유를 가지면서 연속적이고 자동화된 라인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영구 거푸집용 측판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아연 강판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을 로딩하는 코일 로딩용 트레이와, 상기 코일 로딩용 트레이에 의해 이송된 코일을 맨드릴을 이용하여 푸는 언코일러와, 상기 언코일러에서 풀어진 코일을 피딩하는 코일 피딩부와, 상기 코일 피딩부의 후방 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코일 피딩부에서 공급되는 코일을 절단하는 코일 초기 절단부와, 상기 코일 초기 절단부에서 절단된 코일을 다음 단계로 가이드하는 포밍 가이드부와, 상기 포밍 가이드부에서 가이드된 코일을 복수의 포밍 섹션부를 거쳐 성형하는 포밍 성형부와, 상기 포밍 성형부에서 성형된 코일 시트의 양면에 펀치 구멍과 조인트 작업을 하는 펀칭부와, 상기 펀칭부에서 펀칭된 코일 시트의 표면을 엠보싱 처리하는 엠보싱부와, 상기 엠보싱부에서 엠보싱 처리된 코일 시트를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부 및 상기 절단부에서 절단된 코일 시트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영구 거푸집용 측판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밍 성형부는 거푸집의 측판을 포밍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일정 정도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축; 베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롤러축의 일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축지지부; 롤러축을 회전시키도록 제1축지지부의 측부에 구비된 구동모터; 롤러축의 타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베드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축지지부; 돌기성형용 롤러가 결합되며 롤러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결합부; 및 제2축지지부와 롤러결합부 사이에서 롤러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간격유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거푸집용 측판 성형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일 로딩용 트레이는, 지면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회전 롤러와, 상기 복수의 회전 롤러에 결합되는 한 쌍의 X-링크와, 상기 한 쌍의 X-링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바디와,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며 아연 강판 코일이 적재되는 V형 트레이 및 상기 베이스 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바디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코일러는, 이송된 코일의 중앙에 삽입되어 외주면에 상기 코일이 감기는 상기 맨드릴과, 상기 맨드릴의 내부에 설치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생성부와, 상기 코일의 상면에 상기 코일과 접촉하여, 상기 초음파 생성부에서 발생한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 수신부 및 상기 초음파 수신부에서 수신한 초음파를 분석하여 상기 코일의 결함여부를 판단하는 결함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코일러는, 상기 맨드릴의 상부에 형성되는 거치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수신부는, 상기 거치 프레임에 매달려 자중에 의해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코일러는, 상단이 상기 거치 프레임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결함 판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초음파 수신부의 하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다단으로 구성되는 다단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맨드릴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초음파 생성부는 상기 맨드릴의 일단에, 상기 초음파 수신부는 상기 맨드릴의 타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함 판단부는 상기 코일의 특정 부분에 결함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코일의 거치 시각과 상기 맨드릴의 회전속도에 기반하여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거푸집 중, 특정 거푸집 또는 특정 범위 시점에서 제조된 거푸집의 결함을 예측하고, 예측된 거푸집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영구 거푸집을 낮은 공간 점유를 가지면서 연속적이고 자동화된 라인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이성에 따른 이외에 효과들은 후술할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구 거푸집용 측판 성형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개략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구 거푸집의 측판 작업 공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코일 로딩용 트레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언코일러의 정면 개략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언코일러의 측면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구 거푸집용 측판 성형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연 강판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을 로딩하는 코일 로딩용 트레이(10)와, 코일 로딩용 트레이(10)에 의해 이송된 코일을 맨드릴을 이용하여 푸는 언코일러(20)와, 언코일러(20)에서 풀어진 코일을 피딩하는 코일 피딩부(30)와, 코일 피딩부(30)의 후방 라인에 마련되어 코일 피딩부(30)에서 공급되는 코일을 절단하는 코일 초기 절단부(40)와, 코일 초기 절단부(40)에서 절단된 코일을 다음 단계로 가이드하는 포밍 가이드부(50)와, 포밍 가이드부(50)에서 가이드된 코일을 복수의 포밍 섹션부를 거쳐 성형하는 포밍 성형부(60)와, 포밍 성형부(60)에서 성형된 코일 시트의 양면에 펀치 구멍과 조인트 작업을 하는 펀칭부(70)와, 펀칭부(70)에서 펀칭된 코일 시트의 표면을 엠보싱 처리하는 엠보싱부(80)와, 엠보싱부(80)에서 엠보싱 처리된 코일 시트를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부(90)와, 절단부(90)에서 절단된 코일 시트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100)를 포함한다.
코일 로딩용 트레이(10)는, 코일 예를 들어 아연 강판 코일의 장착을 쉽고 안전하게 위한 것으로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11)과,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회전 롤러(12)와, 복수의 회전 롤러(12)에 결합되는 한 쌍의 X-링크(13)와, 한 쌍의 X-링크(13)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바디(14)와, 베이스 바디(14)의 상부에 마련되며 아연 강판 코일이 적재되는 V형 트레이(15)와, 베이스 바디(14)와 연결되어 베이스 바디(14)를 이동시키는 구동부(16)를 포함한다.
코일 로딩용 트레이(10)의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11)은, 지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도3에 도시된 바와 한 쌍의 H-빔으로 마련될 수 있다.
코일 로딩용 트레이(10)의 복수의 회전 롤러(12)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11)의 내벽 즉 한 상의 가이드 프레임(11)이 서로 마주보는 영역의 가이드 프레임(11)의 플랜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회전 롤러(12)는 총 4개가 마련될 수 있고, 이 중 한 쌍의 롤러는 하나의 가이드 프레임(11)의 플랜지에 이동 가능하게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나머지 한 쌍의 롤러는 나머지 하나의 가이드 프레임(11)의 플랜지에 이동 가능하게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코일 로딩용 트레이(10)의 한 쌍의 X-링크(13)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가이드 프레임(11)에 근접되게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X-링크(13) 중 하나의 X-링크(13)는 하단부가 한 쌍의 롤러에 용접 또는 핀으로 결합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의 X-링크(13)는 하단부가 나머지 한 쌍의 롤러에 용접 또는 핀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X-링크(13)는 중앙부가 핀으로 연결되어 한 쌍의 승강 실린더(17)의 승강(상승 또는 하강) 시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승강 실린더(17)의 상승 시 한 쌍의 X-링크(13)는 펼쳐져 베이스 바디(14)와 V형 트레이(15)를 상승시킬 수 있고, 한 쌍의 승강 실린더(17)의 하강 시 한 쌍의 X-링크(13)는 접혀져 베이스 바디(14)와 V형 트레이(15)는 하강될 수 있다.
코일 로딩용 트레이(10)의 베이스 바디(14)는, 한 쌍의 X-링크(13)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X-링크(13)의 펼침이나 접힘 시 승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4)는 한 쌍의 X-링크(13)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핀이나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코일 로딩용 트레이(10)의 V형 트레이(15)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4)의 상면부에 결합되며 상면부가 V자 형상을 가져 적재되는 코일의 떨어짐이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V형 트레이(15)는 베이스 바디(14)의 상면부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코일 로딩용 트레이(10)의 구동부(16)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4)에 연결되어 베이스 바디(14)를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구동부(16)는 베이스 바디(14)를 이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한다.
코일 로딩용 트레이(10)의 승강 실린더(17)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는 한 쌍의 롤러를 연결하는 축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베이스 바디(14)에 결합되어 베이스 바디(14)를 승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 실린더(17)는 유압으로 구동될 수 있다.
언코일러(20)는, 코일 로딩용 트레이(10)에 의해 이송된 코일을 맨드릴을 이용하여 풀어 다음 단계인 코일 피딩부(3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언코일러(20)에는 속도 센서가 마련되어 포밍 성형부(60)의 속도와 일치하도록 해서 자동으로 연속 작업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포밍 성형부(60)는, 거푸집의 측판을 포밍하는 것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일정 정도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축과, 베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롤러축의 일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축지지부와, 롤러축을 회전시키도록 제1축지지부의 측부에 구비된 구동모터와, 롤러축의 타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베드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축지지부와, 돌기성형용 롤러가 결합되며 롤러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결합부와, 제2축지지부와 롤러결합부 사이에서 롤러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간격유지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거푸집의 측판을 포밍하는 구성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03069(이하 '선행기술 1'이라고 함)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도2에 도시된 A 섹션 포밍에서는 1산과 2산의 포밍 작업이 이루어지고, B 섹션에서는 3산과 4산의 포밍 작업이 이루어지고, C 섹션에서는 5산의 포밍 작업이 이루어지며, D 섹션에서는 양 날개의 포밍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E, F 섹션에서는 스페셜 타입의 포밍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1산 내지 5산은 전술한 선행기술 1에 개시된 지지돌기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볼 수 있고, 양 날개는 제1 결합돌기 및 제2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각 섹션의 롤러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 및 세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산 작업만 할때는 2산 롤러가 이동해서 비켜 있게 되고, B 섹션은 통과만 하고 D 섹션에서 날개 포밍을 할 수 있다. 3산 작업 시에는 A 섹션에서 1산 포밍을 하고, B 섹션에서는 3산 롤러를 통과하며, 이때 4산 롤러는 이동해 비켜 있게 되고, D 섹션에서 날개 포밍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언코일러(2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실시예에 의한 언코일러(20)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코일러(20)는 맨드릴(210), 초음파 생성부(220), 초음파 수신부(230) 및 결함 판단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맨드릴(210) 자체는 코일(1)의 중앙에 삽입되어, 외주면에 코일(1)이 감기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맨드릴(210)은 회전하여 외주면에 권취된 코일(1)이 풀리게되며, 상술했던 코일 피딩부(30)로 풀린 코일(1)이 이동된다.
초음파 생성부(220)는 맨드릴(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초음파를 발진시킨다. 초음파 생성부(220)는 맨드릴(210) 내부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에 설치되되, 맨드릴(210)과는 달리 회전하지 않는다.
초음파 수신부(230)는 코일(1)의 상면에 코일(1)과 접촉하도록 위치하여, 초음파 생성부(220)에서 발생한 초음파를 수신한다.
결함 판단부는, 초음파 수신부(230)에서 수신한 초음파를 분석하여 코일의 결함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본 발명은 초음파를 분석하기 위해, 코일이 결함이 없는 상태, 즉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초음파 파형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저장된 초음파 파형 정보는 맨드릴(210)이 회전하는 도중에 결함이 없는 코일이 풀리는 상태에서 측정된 파형정보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연속 거푸집 시스템의 구동중이라는 외부 환경적인 요인을 고려하여 정상적인 코일의 초음파 파형 정보와 작업 중인 코일의 초음파 파형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저장된 정상 상태의 초음파 파형 정보는, 권취된 코일이 모두 풀릴 때 까지의 초음파 파형일 수 있다.
도5 초음파 수신부(230)가 거치된 상태의 언코일러(200)의 측면 단면도이다.
초음파 수신부(230)는 코일(1)이 풀려, 권취된 코일의 반경이 감소하더라도 초음파 생성부(220)에서 발생하는 초음파를 수신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코일(1)과 접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초음파 수신부(230)에 코일(1)측으로 지속적으로 힘이 가해져야 하는데, 과도한 힘이 가해질 경우 코일(1)이 손상되거나, 코일(1)의 회전속도가 감소하는 등의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초음파 수신부(230)가 자중에 의해 코일(1)의 외주면과 접촉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언코일러(20)는 거치 프레임(240) 및 다단 거치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 프레임(240)은 맨드릴(210)의 상부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거치 프레임(240)은 기역자 형태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바(bar)가 맨드릴(210)의 수직한 상측에 위치한 형태이다. 거치 프레임(240)의 수평 바(241)에는 다단 거치대(250)가 하측으로 연장되며, 다단 거치대(250)의 하단에는 초음파 수신부(230)가 결합된다. 다단 거치대(250) 자체는 파이프가 다단으로 결합된 형태며, 각각의 파이프는 일정 정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다단 거치대(250)는 하단에 결합된 초음파 수신부(230)의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다단 거치대(250)의 구성을 통해 초음파 수신부(230)는 코일(1)이 풀림으로써 코일(1)의 반경이 감소하더라도 코일(1)의 외주면에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초음파 생성부(220)를 통해 발생하는 초음파를 수신해, 코일(1)의 결함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과 같은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다단 거치대(250)를 사용하는 이유는, 맨드릴(210)에 의해 코일(1)이 일측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코일(1)의 회전에 따른 코일(1)의 외주면과 초음파 수신부(230) 사이에서 작용하는 마찰력 때문에, 초음파 수신부(230)가 지속적으로 코일(1)의 외주면에 접촉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에서 다단 거치대(250)는 초음파 수신부(23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가이드역할을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초음파 수신부(230)는 일종의 판 형상의 부재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코일(1)과 초음파 수신부(230) 사이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초음파 수신부(230)가 코일(1)의 회전에 영향을 덜 가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맨드릴(210)이 연장된 방향(회전축의 방향)을 기준으로, 초음파 생성부(220)는 맨드릴(210)의 일단에, 초음파 수신부(230)는 맨드릴(220)의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초음파 생성부(220)에서 발생한 초음파가 코일(1)의 폭 방향을 통과해 초음파 수신부(230)에 도달해야만, 코일(1)의 결함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함 판단부는 초음파 수신부(230)를 통해 수신한 초음파의 파형을 분석하여, 코일(1)의 특정 부분에 결함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코일(1)이 맨드릴(210)에 거치된 시각과, 맨드릴(210)의 회전속도에 기반하여, 결함이 있는 코일(1)의 특정 부분이 재료로 제작되는 거푸집이 어떠한 거푸집인지 특정하거나, 특정 범위 시점에서 제조된 거푸집 중 결함이 발생했다고 예측하고, 예측된 정보를 사용자 또는 본 발명에 의한 영구 거푸집의 제조시스템의 제어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코일
10 : 코일 로딩용 트레이 11 : 가이드 프레임
12 : 회전 롤러 13 : X-링크
14 : 베이스 바디 15 : V형 트레이
16 : 구동부 17 : 승강 실린더
20 : 언코일러 30 : 코일 피딩부
40 : 코일 초기 절단기 50 : 포밍 가이드 장치
60 : 포밍 성형부 70 : 펀칭부
80 : 엠보싱부 90 : 절단부
100 : 컨베이어
210 : 맨드릴 220 : 초음파 생성부
230 : 초음파 수신부 240 : 거치 프레임
241 : 수평 바 250 : 다단 거치대

Claims (7)

  1. 아연 강판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을 로딩하는 코일 로딩용 트레이와, 상기 코일 로딩용 트레이에 의해 이송된 코일을 맨드릴을 이용하여 푸는 언코일러와, 상기 언코일러에서 풀어진 코일을 피딩하는 코일 피딩부와, 상기 코일 피딩부의 후방 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코일 피딩부에서 공급되는 코일을 절단하는 코일 초기 절단부와, 상기 코일 초기 절단부에서 절단된 코일을 다음 단계로 가이드하는 포밍 가이드부와, 상기 포밍 가이드부에서 가이드된 코일을 복수의 포밍 섹션부를 거쳐 성형하는 포밍 성형부와, 상기 포밍 성형부에서 성형된 코일 시트의 양면에 펀치 구멍과 조인트 작업을 하는 펀칭부와, 상기 펀칭부에서 펀칭된 코일 시트의 표면을 엠보싱 처리하는 엠보싱부와, 상기 엠보싱부에서 엠보싱 처리된 코일 시트를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부 및 상기 절단부에서 절단된 코일 시트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영구 거푸집용 측판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밍 성형부는 거푸집의 측판을 포밍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일정 정도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축과, 베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롤러축의 일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축지지부와, 롤러축을 회전시키도록 제1축지지부의 측부에 구비된 구동모터와, 롤러축의 타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베드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축지지부와, 돌기성형용 롤러가 결합되며 롤러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결합부 및 제2축지지부와 롤러결합부 사이에서 롤러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간격유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언코일러는, 이송된 코일의 중앙에 삽입되어 외주면에 상기 코일이 감기는 상기 맨드릴과, 상기 맨드릴의 내부에 설치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생성부와, 상기 코일의 상면에 상기 코일과 접촉하여, 상기 초음파 생성부에서 발생한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 수신부 및 상기 초음파 수신부에서 수신한 초음파를 분석하여 상기 코일의 결함여부를 판단하는 결함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거푸집용 측판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로딩용 트레이는,
    지면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회전 롤러와,
    상기 복수의 회전 롤러에 결합되는 한 쌍의 X-링크와,
    상기 한 쌍의 X-링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바디와,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며 아연 강판 코일이 적재되는 V형 트레이 및
    상기 베이스 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바디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거푸집용 측판 성형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코일러는,
    상기 맨드릴의 상부에 형성되는 거치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수신부는, 상기 거치 프레임에 매달려 자중에 의해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거푸집용 측판 성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언코일러는,
    상단이 상기 거치 프레임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결함 판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초음파 수신부의 하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다단으로 구성되는 다단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거푸집용 측판 성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초음파 생성부는 상기 맨드릴의 일단에, 상기 초음파 수신부는 상기 맨드릴의 타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거푸집용 측판 성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판단부는 상기 코일의 특정 부분에 결함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코일의 거치 시각과 상기 맨드릴의 회전속도에 기반하여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거푸집 중, 특정 거푸집 또는 특정 범위 시점에서 제조된 거푸집의 결함을 예측하고, 예측된 거푸집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거푸집용 측판 성형장치.
KR1020200185910A 2020-12-29 2020-12-29 영구 거푸집용 측판 성형장치 KR102352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910A KR102352171B1 (ko) 2020-12-29 2020-12-29 영구 거푸집용 측판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910A KR102352171B1 (ko) 2020-12-29 2020-12-29 영구 거푸집용 측판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171B1 true KR102352171B1 (ko) 2022-01-19

Family

ID=80052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910A KR102352171B1 (ko) 2020-12-29 2020-12-29 영구 거푸집용 측판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17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867Y1 (ko) * 2003-10-02 2004-01-28 김상석 거푸집용 앵글
KR200346994Y1 (ko) * 2003-12-31 2004-04-06 이치훈 갱폼 리브철판 성형용 롤포밍기
KR200351989Y1 (ko) 2004-02-19 2004-06-10 김병화 피씨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KR100848476B1 (ko) * 2008-01-28 2008-07-28 아인텍(주) 케이블 트레이의 제작장치 및 방법
KR100868220B1 (ko) * 2007-07-06 2008-1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롤 포밍 장치
KR20080101535A (ko) * 2007-05-18 2008-1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롤 포밍 장치 및 그 방법
KR101246716B1 (ko) * 2012-08-31 2013-03-25 주식회사 한독하이테크 롤 포밍장치 및 그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36291B1 (ko) * 2013-07-18 2013-12-05 이성구 맞댐 리벳조인트용 고강성 경량 빔과 그 성형장치 및 제조방법
KR101958978B1 (ko) * 2017-12-18 2019-03-15 주식회사포스코 권취용 슬리브 장착시스템
KR20190103070A (ko) * 2019-06-28 2019-09-04 주식회사 남산유니텍 영구거푸집용 하판의 돌기 포밍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867Y1 (ko) * 2003-10-02 2004-01-28 김상석 거푸집용 앵글
KR200346994Y1 (ko) * 2003-12-31 2004-04-06 이치훈 갱폼 리브철판 성형용 롤포밍기
KR200351989Y1 (ko) 2004-02-19 2004-06-10 김병화 피씨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KR20080101535A (ko) * 2007-05-18 2008-1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롤 포밍 장치 및 그 방법
KR100868220B1 (ko) * 2007-07-06 2008-1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롤 포밍 장치
KR100848476B1 (ko) * 2008-01-28 2008-07-28 아인텍(주) 케이블 트레이의 제작장치 및 방법
KR101246716B1 (ko) * 2012-08-31 2013-03-25 주식회사 한독하이테크 롤 포밍장치 및 그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36291B1 (ko) * 2013-07-18 2013-12-05 이성구 맞댐 리벳조인트용 고강성 경량 빔과 그 성형장치 및 제조방법
KR101958978B1 (ko) * 2017-12-18 2019-03-15 주식회사포스코 권취용 슬리브 장착시스템
KR20190103070A (ko) * 2019-06-28 2019-09-04 주식회사 남산유니텍 영구거푸집용 하판의 돌기 포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174B1 (ko) 원주형 철근케이지 제작장치 및 그 제작방법
KR101188067B1 (ko) 철근케이지의 제조 장치
KR102141802B1 (ko) 집적화 철근케이지 성형 로봇
JP2012036667A (ja) 鉄筋籠組立装置及び組立方法
KR101681544B1 (ko) 콘크리트 구조물 건축 자동화 장치
CN101789570B (zh) 施工现场电缆盘放缆工具的制作方法和使用方法
KR100761088B1 (ko) 이중파형강관 제조장치
CN204311741U (zh) 一种移动式轨顶风道后浇支架模板系统
CN113275720A (zh) 一种公路工程滚焊机制作钢筋笼工法
CN110039213B (zh) 一种钢筋笼生产方法
CN107838341B (zh) 组合式多功能钢筋笼制作模架及制作方法
KR102352171B1 (ko) 영구 거푸집용 측판 성형장치
KR102352178B1 (ko) 영구 거푸집용 하판 성형장치
KR101946976B1 (ko) 이중복합 용접철근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의 시공방법
KR101021462B1 (ko) 곡면이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용 철근 절곡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CN111156029A (zh) 一种隧道二次衬砌拱顶浇筑施工装置及施工方法
CN113231580B (zh) 一种超大直径环形钢筋网片部品成型工艺
CN204524120U (zh) 大直径桩基钢筋笼立式全环向定位胎架装置
CN207668871U (zh) 钢板横剪生产线
KR20200089772A (ko) 건축용 알루미늄 패널 재생용 가공 장치
CN210684710U (zh) 一种管井内下放混凝土井管的装置
KR101287933B1 (ko) 자립형으로 세워지는 구조물에 사용되는 지주 제조장치
CN209502845U (zh) 一种滚笼机
KR101390995B1 (ko) 용접 결합을 만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561553B2 (en) Transportable horizontal bandsaw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