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634B1 - 철도 레일 자갈 다지기 - Google Patents

철도 레일 자갈 다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634B1
KR102350634B1 KR1020210078397A KR20210078397A KR102350634B1 KR 102350634 B1 KR102350634 B1 KR 102350634B1 KR 1020210078397 A KR1020210078397 A KR 1020210078397A KR 20210078397 A KR20210078397 A KR 20210078397A KR 102350634 B1 KR102350634 B1 KR 102350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vel
axle
rod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석
박병희
신사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서철도
(주)한국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서철도, (주)한국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서철도
Priority to KR1020210078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6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5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both rails and slee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7/00Placing, renewing, working, cleaning, or taking-up the ballast, with or without concurrent work on the track; Devices therefor; Packing sleepers
    • E01B27/02Placing the ballast; Making ballastway; Redistributing ballasting material; Machines or devices therefor; Levelling means
    • E01B27/023Spreading, levelling or redistributing ballast already plac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7/00Placing, renewing, working, cleaning, or taking-up the ballast, with or without concurrent work on the track; Devices therefor; Packing sleepers
    • E01B27/06Renewing or cleaning the ballast in situ, with or without concurrent work on the trac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3/00Devices for working the railway-superstructure
    • E01B2203/08Levelling ballast or ground bene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레일 자갈 다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 레일의 자갈을 균일하게 분산 유지시켜 다지기 위한 자갈 다지기로서, 기계적 제동과 함께 공압을 이용한 선택적 제동이 가능하여 고정안정성이 뛰어나 고진동에 의한 자갈 다지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차륜의 폭 가변이 용이하여 대형폭의 조선소나 항만 승하역 크레인용 자갈 다짐은 물론 일반 철도 레일 자갈 다짐을 병행할 수 있어 그 활용범위를 폭넓게 적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철도 레일 자갈 다지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도 레일 자갈 다지기{railway rail gravel}
본 발명은 철도 레일 자갈 다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 레일의 자갈을 균일하게 분산 유지시켜 다지기 위한 자갈 다지기로서, 기계적 제동과 함께 공압을 이용한 선택적 제동이 가능하여 고정안정성이 뛰어나 고진동에 의한 자갈 다지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차륜의 폭 가변이 용이하여 대형폭의 조선소나 항만 승하역 크레인용 자갈 다짐은 물론 일반 철도 레일 자갈 다짐을 병행할 수 있어 그 활용범위를 폭넓게 적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철도 레일 자갈 다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선로(레일)에는 자갈이 포설되는데, 이는 기차로부터 침목에 전달되는 높은 하중을 노반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기차가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자갈은 오래 사용할 경우, 자갈이 비산되거나 깨지면서 침목 하부에서 불균일하게 분산됨으로써 기차 운행시 소음진동을 증대시키고 레일의 침하 등으로 안전상 중대한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어 이에 대한 보수가 요구된다.
다시 말해, 철도의 침목 밑에 깔려 있는 자갈, 즉 밸러스트(ballast)가 기차나 전동차의 운행으로 인해 생기는 진동에 의해 밀려나거나 침강되면서 레일이 처지는 문제가 야기된다.
이때, 침목 밑에 자갈을 넣어서 레일을 복구하기 위하여 자갈에 진동을 주어서 자갈을 침목 밑으로 넣을 수 있도록 자갈 다지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자갈 다지기는 작업자가 직접 일일이 손으로 잡고 작업해야 했으므로 작업효율이 떨어지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하는 등 많은 단점이 있었다.
이에, 이를 자동화하여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차량에 탑재한 상태에서 자갈을 다지는 방식이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수출입품을 선박에 싣거나 내리는데 사용되는 골리앗 크레인 혹은 조선소에서 사용되는 대형 크레인 등이 움직이는 철로 상에서는 선로폭을 맞출 수 없기 때문에 타이템퍼링 작업이 어려워 여전히 사람이 일일이 작업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자갈 다지기는 자갈을 다지는 동안 자갈 다지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이 약하여 다지기 본체가 유동됨으로 인해 다짐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도 있었고, 안전사고의 위험도 높았다.
즉, 기존에는 실린더를 이용하여 바닥면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고정되거나 혹은 다수의 아암을 링크시켜 실린더에 의해 힌지식으로 구동되면서 레일을 파지하도록 하는 복잡한 구조를 갖추고 있어 안정성과 효율성이 떨어지고, 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설비 설계 자체가 난해하여 유지보수도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198146호(2020.12.28.)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307561호(2005.11.04.) タイタンパ用ビ-タ- 중국특허공개공보 CN 109778610(2019.05.21.) Walking frame and method for railway maintenance machine and tamping machin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철도 레일의 자갈을 균일하게 분산 유지시켜 다지기 위한 자갈 다지기로서, 기계적 제동과 함께 공압을 이용한 선택적 제동이 가능하여 고정안정성이 뛰어나 고진동에 의한 자갈 다지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차륜의 폭 가변이 용이하여 대형폭의 조선소나 항만 승하역 크레인용 자갈 다짐은 물론 일반 철도 레일 자갈 다짐을 병행할 수 있어 그 활용범위를 폭넓게 적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철도 레일 자갈 다지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각형상의 틀체(100); 상기 틀체(100)의 전,후방측에 설치되고, 레일(R)을 따라 이동하는 차륜(110); 상기 차륜(110)을 연결하는 차축(130); 상기 틀체(100)에 고정되고, 상기 차축(130)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120); 상기 틀체(100)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유닛(12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40); 상기 틀체(100)의 바닥부에 차륜(110)의 주행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고정된 한 쌍의 고정판(200); 상기 고정판(200)과 상기 틀체(100)의 상단 사이에 수직하게 고정된 로드(RD); 상기 로드(RD)가 관통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로드(RD)를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실린더(CY); 상기 승강실린더(CY)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어 승강실린더(CY)와 함께 움직이는 동력발생기(300); 상기 승강실린더(CY)의 외주면 타측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단에는 레일(R)을 락킹 혹은 언락킹하는 파지기(500)가 설치된 탄력스프링(400); 상기 동력발생기(300)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러(140)의 제어하에 상기 승강실린더(CY) 및 작동실린더(320)로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통(310); 상기 작동실린더(320)에 연결된 다수의 아암에 의해 오무렸다 펼치면서 자갈을 다지는 다짐로드(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 자갈 다지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차축(130)은 제1차축(132)과 제2차축(134)으로 나뉘고, 제1차축(132)은 구동유닛(120)을 관통하게 배치되며, 구동유닛(120) 내부에서 회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차축(134)은 상기 제1차축(132) 내부로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차축(134)에는 다수의 가변고정구멍(136)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고정구멍(136)을 통해 고정볼트(138)가 고정되어 동력전달가능하면서 차축(130)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지기(500)는 틀체(100)의 바닥부에 고정된 파지가이드판(GP)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틀체(100)의 저면에서 연장된 브라켓(BR)에 힌지축(510)으로 서로 대칭되게 힌지 고정된 'ㄹ'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파지로드(520)가 서로 엇갈려 배치되고, 파지로드(520)의 상단인 서로 마주보는 면에 경사면(530)이 형성되며, 하단은 레일(R)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파지로드(520)의 힌지축(510) 상측의 수직한 부분끼리는 압축스프링(540)에 의해 서로 결속되며, 상기 경사면(530)에는 대응되는 형상의 간격벌림구(550)가 끼워지고, 상기 간격벌림구(550)의 상단은 작동로드(560)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로드(560)는 상기 파지가이드판(GP)을 관통한 후 탄력스프링(400)의 하단에 결속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 레일의 자갈을 균일하게 분산 유지시켜 다지기 위한 자갈 다지기로서, 기계적 제동과 함께 공압을 이용한 선택적 제동이 가능하여 고정안정성이 뛰어나 고진동에 의한 자갈 다지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차륜의 폭 가변이 용이하여 대형폭의 조선소나 항만 승하역 크레인용 자갈 다짐은 물론 일반 철도 레일 자갈 다짐을 병행할 수 있어 그 활용범위를 폭넓게 적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레일 자갈 다지기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레일 자갈 다지기의 예시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레일 자갈 다지기의 파지기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레일 자갈 다지기의 제동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 내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레일 자갈 다지기는 틀체(100)를 포함한다.
상기 틀체(100)는 다수의 사각프레임들이 용접 또는 공지의 방식으로 상호 고정되어 사각틀 형태를 갖도록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틀체(100)의 전,후방측에는 차륜(110)이 설치된다.
특히, 차륜(110)은 구동유닛(120)에 의해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구성유닛(120)은 박스 형상으로서 내부에 구동모터를 비롯한 기어들이 내장된다.
아울러, 상기 차륜(110)에는 차축(130)이 연결되는데, 차축(130)은 제1차축(132)과 제2차축(134)으로 나뉘고, 제1차축(132)은 구동유닛(120)을 관통하게 배치되며, 구동유닛(120) 내부에서 회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차축(134)은 상기 제1차축(132) 보다 작은 반경을 갖고 상기 제1차축(132) 내부로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제1,2차축(132,134)은 모두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제2차축(134)에는 다수의 가변고정구멍(136)이 형성되고, 이를 고정볼트(138)로 고정하여 2개의 차축이 일체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차륜(130)간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차륜(130)은 떼고 붙일 수 있게 구성되며, 구동유닛(120)도 제1차축(132)과 함께 움직인 후 틀체(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차륜(130)간 이격거리 조절은 고정볼트(138)를 풀고 제2차축(134)을 제1차축(132)으로부터 빼내거나 밀어 넣음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틀체(100)의 일측방에는 컨트롤러(140)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유닛(12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러(140)는 유선은 물론 무선에 의한 통신 제어방식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틀체(100)의 바닥부에는 차륜(110)의 주행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둔 한 쌍의 고정판(200)이 설치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200)과 상기 틀체(100)의 상단 사이에는 로드(RD)가 수직하게 고정된다.
즉, 로드(RD)의 상단은 틀체(100)의 상단에 고정되고, 로드(RD)의 하단은 고정판(200) 상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로드(RD)가 관통되는 형태로 승강실린더(CY)가 설치된다. 이 경우, 로드(RD)를 설치하기 전에 승강실린더(CY)를 먼저 조립하게 되며 승강실린더(CY) 내부에는 피스톤(PT)이 구비되는데 피스톤(PT)은 로드(RD) 상에 일체로 고정된다.
때문에, 공압 혹은 유압이 공급되었을 때 실린더로드가 출몰하는 구조의 일반적인 실린더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로드(RD)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승강실린더(CY)가 승하강되면서 움직이고 로드(RD)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이점은 통상적인 구조와 정반대로서 본 발명의 특징중 하나이다.
또한, 상기 승강실린더(CY)의 외주면 일측에는 동력발생기(300)가 설치되어 승강실린더(CY)와 함께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승강실린더(CY)의 외주면 타측에는 탄력스프링(400)의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탄력스프링(400)의 하단에는 파지기(500)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동력발생기(300)의 하측에는 유압통(3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컨트롤러(140)의 제어하에 상기 승강실린더(CY) 및 후술되는 작동실린더(320)로 유압을 제공하여 이들이 동작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실린더(320)는 제1,2,3,4,5아암(AM1,AM2,AM3,AM4,AM5)을 움직여서 제2,4아암(AM2,AM4)에 고정되어 있는 다짐로드(330)를 오므렸다 폈다를 반복함으로써 비산되어 있던 자갈을 모으면서 다지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승강실린더(CY)가 하강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만약 승강실린더(CY)가 하강했는데 틀체(100)가 고정되어 있지 않다면 동작시 진동에 의해 심하게 흔들리기 때문에 안전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승강실린더(CY)가 하강하게 되면 탄력스프링(400)도 하강하면서 파지기(500)를 동작시켜 파지기(500)가 레일(R, 도 3 참고)을 꽉 물어 고정하는 락킹 동작이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반대로, 작업을 마치고 이동하기 위해서는 다짐로드(330)를 들어 올려야 하므로 승강실린더(CY)를 상승시키게 되는데, 그러면 탄력스프링(400)도 상승하면서 탄력적으로 잡아 당기게 되고, 잡아 당기게 되면 자동적으로 파지기(500)가 언락킹되면서 틀체(100)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파지기(500)는 도 3의 예시와 같이, 틀체(100)의 바닥부에 고정된 파지가이드판(GP)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레일(R)을 무는 방식으로 락킹 혹은 언락킹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파지기(500)는 틀체(100)의 저면에서 연장된 브라켓(BR)에 힌지축(510)으로 서로 대칭되게 힌지 고정된 대략 'ㄹ'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파지로드(520)가 서로 엇갈려 배치된다.
이때, 상기 파지로드(520)의 상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경사면(530)이 형성되고, 하단은 레일(R)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파지로드(520)의 힌지축(510) 상측의 수직한 부분끼리는 압축스프링(540)에 의해 서로 결속된다.
또한, 상기 경사면(530)에는 대응되는 형상의 간격벌림구(550)가 끼워지고, 상기 간격벌림구(550)의 상단은 작동로드(560)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로드(560)는 상기 파지가이드판(GP)을 관통한 후 탄력스프링(400)의 하단에 결속된다.
이에 따라, 탄력스프링(400)이 상부로 당겨지면 작동로드(560)가 상승하면서 간격벌림구(550)도 함께 상승하기 때문에 그와 테이퍼결합되어 있던 경사면(530)을 타고 이동하면서 두 개의 파지로드(520) 사이를 벌리게 된다.
그러면,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파지로드(520)가 회전하면서 상단부는 벌어지고 하단부도 벌어지게 되므로 레일(R)의 파지가 해제되면서 언락킹된다.
이후, 반대로 간격벌림구(550)가 하강하게 되면 압축스프링(540)의 압축력에 의해 파지로드(520)가 오무려들면서 레일(R)을 파지하는 락킹동작이 이루어진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동력을 더욱 강화시켜 보다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진동에 의한 틀체 유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도 4 내지 도 6의 예시와 같은 제동유닛(6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따르면, 상기 제동유닛(600)은 틀체(100)의 저면에 설치되는 공압탱크(61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차륜(110)중 어느 일측, 바람직하게는 구동유닛(120)이 설치된 쪽 차륜에는 브레이크패드(620)가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패드(620)는 유동로드(MOD)의 일단에 고정되며, 상기 유동로드(MOD)의 타단은 브레이크실린더(630)에 조립되어 브레이크실린더(630)의 동작에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실린더(630)는 도 5의 예시와 같이, 내부에 락킹스프링(640)이 내장되고, 상기 락킹스프링(640)의 전단에는 원판 형태의 밀폐판(650)이 배치되며, 상기 밀폐판(650)의 원중심에는 유동로드(MOD)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유동로드(MOD)의 타단은 상기 브레이크실린더(630)의 선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노출된 유동로드(MOD)의 타단에는 브레이크패드(620)가 고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유동로드(MOD)의 타단이 브레이크실린더(630)의 선단을 관통할 때 선단면에는 플랜지부(FL)가 길게 형성되어 있어 내부에서 메카니컬씰링 구조를 가짐으로써 후술되는 공압 공급시 공압이 유동로드(MOD)을 타고 외부로 누기되지 않도록 씰링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밀폐판(650)의 동작 원활성을 확보하고, 공압의 공급과 씰링 및 작용에 따른 완충력을 확보하면서 균일한 제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밀폐판(650)의 전단에는 밀폐판(650)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ㅏ' 형상의 버팀판(660)이 구비된다.
상기 버팀판(660)은 상기 유동로드(MOD)가 관통되게 배치되며, 버팀판(660)과 밀폐판(650) 사이에는 텐션스프링(670)이 개재되어 양판 사이의 텐션을 유지하면서 탄성완충시킨다. 특히, 버팀판(660)이 움직이지 않고 한 곳에 고정되어 있도록 탄성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팀판(660)과 밀폐판(65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공기주입구(680)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주입구(680)는 공압조절기(700)와 공급호스(HS)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공압조절기(700)는 공압탱크(610)와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공압탱크(610)는 주기적으로 공기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공압조절기(700)는 컨트롤러(14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도록 구성되며, 컨트롤러(140)의 구동은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틀체(100)의 구동, 정지, 제동을 정확하게 하고, 파지로드(500)와 함께 고정 혹은 제동 기능을 이중화시킴으로써 더욱 더 안정적인 다지기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공압조절기(700)는 독특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공압탱크(61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브레이크실린더(630)로 공급하는 것은 단순 밸브 조작에 의해 가능하지만, 공급된 공기를 빼냄과 동시에 공압탱크(610)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는 차단해야 하기 때문에 공압조절기(700)는 단순한 일반적인 밸브타입의 단순한 솔레노이드 구로는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압조절기(700)는 도 6의 예시와 같이, 사각박스 형상의 조절기하우징(710)과, 상기 조절기하우징(710)의 상하길이 절반 이상의 높이에 배관된 공급호스(HS)와, 상기 공급호스(HS)와 대향된 위치의 조절기하우징(710) 상에 배관되고 공압탱크(610)와 연결된 탱크토출관(TS)과, 상기 조절기하우징(710)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이등분하는 크기를 갖는 사각블럭형 마그넷(720)과, 상기 조절기하우징(710)의 상단부 외주면에 감기고 컨트롤러(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도록 구성된 솔레노이드코일(730)과, 상기 솔레노이드코일(730)을 보호하도록 커버링하는 코일커버(7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각블럭형 마그넷(720)에는 일측면과 하단면이 서로 연통되는 'ㄱ' 형상의 벤트홀(722)이 형성된다.
때문에, 컨트롤러(140)의 전류 인가방향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코일(730)에 형성되는 자극이 바뀌게 된다. 예컨대, 정방향으로 전류를 흘리면 도시와 같이 솔레노이드코일(730)의 상부측이 N극이 형성되고 하부측에 S극이 형성된다고 하고 사각블럭형 마그넷(720)의 상단이 N극이고 하단이 S극이 되게 배치했다면 사각블럭형 마그넷(720)은 흡인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면서 공급호스(HS)와 벤트홀(722)을 연통시켜 벤트하게 된다.
즉, 브레이크실린더(630)에 채워져 있던 공압을 가하던 공기가 자연스럽게 배출되면서 공압을 해소하게 된다.
그러면, 락킹스프링(640)은 급속히 팽창하여 밀폐판(650)을 전진시키고, 이와 일체로 고정된 유동로드(MOD)이 전진하여 브레이크패드(620)가 차륜(110)에 밀착되면서 틀체(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제동하게 된다.
그러다가 제동력을 해제하고 싶을 때는 컨트롤러(140)를 통해 상기 공압조절기(700)의 구동을 조절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반대로 전류가 인가되면서 솔레노이드코일(730)에 형성되는 자극이 바뀌게 된다. 예컨대, 솔레노이드코일(730)의 상부측이 S극이 되고, 하부측은 N극이 되게 된다.
그러면, 척력이 작용하여 사각블럭형 마그넷(720)은 하강하면서 공급호스(HS)와 탱크토출관(TS)이 서로 통할 수 있는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 상태가 되면, 공압탱크(610)로부터 공급된 고압의 공기는 브레이크실린더(630)로 공급되어 락킹스프링(640)을 압축시킴으로써 브레이크패드(620)를 차륜(110)으로부터 떼어내어 제동력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각블럭형 마그넷(720)의 원활한 동작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조절기하우징(710)의 내벽면에는 마찰저감제가 도포된다.
상기 마찰저감제는 폴리카보네이트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보로수소화나트륨(Sodium borohydride)과 지방산아미드(Fatty amide)를 8:2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30중량부; 탈크 15중량부; 부틸히드록시 아니졸(Butyl hydroxy anisole) 5중량부; 비닐트리에톡시실란(VTEOS) 5중량부; 및 트리페닐포스핀 5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보로수소화나트륨과 지방산아미드를 8:2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은 마찰유동시 열에 의한 기포생성을 차단하고, 슬립성을 증대시켜 마찰음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비율로 혼합했을 때 마찰에 의한 열 발생시 기포생성 억제력이 급격히 증가하고, 마찰 파열음 발생을 차단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탈크는 규산염광물로서 슬립성(윤활성), 내구성, 표면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부틸히드록시 아니졸은 내열성을 강화시켜 치수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비닐트리에톡시실란(VTEOS)은 실록산 결합을 유도함으로써 인장강도와 파단신율 및 인열강도를 확보하여 내구성, 내마모성 특성을 증대시키며, 특히 윤활성 증대에 따른 슬립성을 높여 마찰력을 저감하는 특성이 있다. 아울러, 트리페닐포스핀은 경화성을 높이고, 내후성을 증대시켜 표면 균질화로 부착력을 증대시킨다.
이러한 마찰저감제를 도포한 후 박리력(g/25mm)을 테스트한 결과, 박리력은 91(스펙 50)로 확인되었으며, 밀착성은 극상으로 평가되었고;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엇다.
한편, 상기 사각블럭형 마그넷(720)은 도시와 같이, 상하 높이 절반 위치에 내부로 요입된 유도홈(724)이 형성되고, 이 유도홈(724)의 일부에 벤트홀(722)이 형성되며, 벤트홀(722)은 사각블럭형 마그넷(720)의 하단면 중심을 관통하여 연통되게 구성된다.
때문에, 사각블럭형 마그넷(720)이 상승했을 때 공급호스(HS)와의 연결성이 매우 좋으며, 공압이 걸려 있는 공기를 벤트시키는데 매우 유효하다.
100: 틀체
200: 고정판
300: 동력발생기
400: 탄력스프링
500: 파지기

Claims (2)

  1. 삭제
  2. 사각형상의 틀체(100); 상기 틀체(100)의 전,후방측에 설치되고, 레일(R)을 따라 이동하는 차륜(110); 상기 차륜(110)을 연결하는 차축(130); 상기 틀체(100)에 고정되고, 상기 차축(130)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120); 상기 틀체(100)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유닛(12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40); 상기 틀체(100)의 바닥부에 차륜(110)의 주행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고정된 한 쌍의 고정판(200); 상기 고정판(200)과 상기 틀체(100)의 상단 사이에 수직하게 고정된 로드(RD); 상기 로드(RD)가 관통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로드(RD)를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실린더(CY); 상기 승강실린더(CY)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어 승강실린더(CY)와 함께 움직이는 동력발생기(300); 상기 승강실린더(CY)의 외주면 타측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단에는 레일(R)을 락킹 혹은 언락킹하는 파지기(500)가 설치된 탄력스프링(400); 상기 동력발생기(300)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러(140)의 제어하에 상기 승강실린더(CY) 및 작동실린더(320)로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통(310); 상기 작동실린더(320)에 연결된 다수의 아암에 의해 오무렸다 펼치면서 자갈을 다지는 다짐로드(330);를 포함하는 철도 레일 자갈 다지기에 있어서,
    상기 차축(130)은 제1차축(132)과 제2차축(134)으로 나뉘고, 제1차축(132)은 구동유닛(120)을 관통하게 배치되며, 구동유닛(120) 내부에서 회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차축(134)은 상기 제1차축(132) 내부로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차축(134)에는 다수의 가변고정구멍(136)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고정구멍(136)을 통해 고정볼트(138)가 고정되어 동력전달가능하면서 차축(130)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지기(500)는 틀체(100)의 바닥부에 고정된 파지가이드판(GP)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틀체(100)의 저면에서 연장된 브라켓(BR)에 힌지축(510)으로 서로 대칭되게 힌지 고정된 'ㄹ'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파지로드(520)가 서로 엇갈려 배치되고, 파지로드(520)의 상단인 서로 마주보는 면에 경사면(530)이 형성되며, 하단은 레일(R)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파지로드(520)의 힌지축(510) 상측의 수직한 부분끼리는 압축스프링(540)에 의해 서로 결속되며, 상기 경사면(530)에는 대응되는 형상의 간격벌림구(550)가 끼워지고, 상기 간격벌림구(550)의 상단은 작동로드(560)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로드(560)는 상기 파지가이드판(GP)을 관통한 후 탄력스프링(400)의 하단에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 자갈 다지기.
KR1020210078397A 2021-06-17 2021-06-17 철도 레일 자갈 다지기 KR102350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397A KR102350634B1 (ko) 2021-06-17 2021-06-17 철도 레일 자갈 다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397A KR102350634B1 (ko) 2021-06-17 2021-06-17 철도 레일 자갈 다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634B1 true KR102350634B1 (ko) 2022-01-12

Family

ID=79339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397A KR102350634B1 (ko) 2021-06-17 2021-06-17 철도 레일 자갈 다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6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7561A (ja) 2004-04-21 2005-11-04 Koshin Kensetsu Kk タイタンパ用ビーター
WO2019096537A1 (de) * 2017-11-15 2019-05-23 Robel Bahnbaumaschinen Gmbh Schienenzange
KR102198146B1 (ko) 2020-08-04 2021-01-04 강훈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7561A (ja) 2004-04-21 2005-11-04 Koshin Kensetsu Kk タイタンパ用ビーター
WO2019096537A1 (de) * 2017-11-15 2019-05-23 Robel Bahnbaumaschinen Gmbh Schienenzange
KR102198146B1 (ko) 2020-08-04 2021-01-04 강훈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중국특허공개공보 CN 109778610(2019.05.21.) Walking frame and method for railway maintenance machine and tamp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08788B (zh) 一种低地板轨道车辆转向架
CN107130479B (zh) 小型自动液压铁道线路夯实车
CN103863349B (zh) 一种用于100%低地板车辆的动力转向架
JPS6357268B2 (ko)
CN107202700A (zh) 一种列车构架疲劳试验台
KR102350634B1 (ko) 철도 레일 자갈 다지기
JP5660840B2 (ja) 索条牽引車両の制動試験装置
CN115127940A (zh) 一种轨道交通电磁式落轴试验台与试验方法
CN107724371A (zh) 一种坡面土体压实系统
AU2011353619B2 (en) Vertical force stabilizer
CN110344320A (zh) 一种磁流变弹性体桥梁支座
CN103644084B (zh) 一种分阶段举升方法
SK278035B6 (en) Continuous traveller machine for tamping, leveling and straightening of track
JP4739262B2 (ja) 道床締め固め用作業車及び道床締め固め工法
CN106498946A (zh) 一种低空间落锤式自动液压打桩机
CN211078068U (zh) 一种具有紧急制动机构的电梯轿厢
CN216043591U (zh) 一种钻杆提升机用自锁装置
CN105035100A (zh) 液力传动起重轨道车
CN101665208A (zh) 一种无机房电梯对重驱动曳引装置
CN107098265A (zh) 一种用于无轨门式起重机的行走装置
CN206955385U (zh) 一种实现曳引钢丝绳耦合振动的电梯试验台
CN102398823B (zh) 自行式电梯及其使用的行走台车
CN206544869U (zh) 一种自动上下升降的运输用行车
KR102510276B1 (ko) 저상트로리
CN105756061A (zh) 一种建筑用新型重力式打桩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