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146B1 -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 - Google Patents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146B1
KR102198146B1 KR1020200097148A KR20200097148A KR102198146B1 KR 102198146 B1 KR102198146 B1 KR 102198146B1 KR 1020200097148 A KR1020200097148 A KR 1020200097148A KR 20200097148 A KR20200097148 A KR 20200097148A KR 102198146 B1 KR102198146 B1 KR 102198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ylinder
chassis
railroad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훈
Original Assignee
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훈 filed Critical 강훈
Priority to KR1020200097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16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placing rails; Moving rails placed on sleepers in the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7/00Placing, renewing, working, cleaning, or taking-up the ballast, with or without concurrent work on the track; Devices therefor; Packing sleepers
    • E01B27/12Packing sleepers, with or without concurrent work on the track; Compacting track-carrying ballast
    • E01B27/13Packing sleepers, with or without concurrent work on the track
    • E01B27/16Sleeper-tamping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2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lengths of assembled track, assembled switches, or assembled cros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5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both rails and slee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장비에 철도레일에서 차대에 구비된 레일착탈수단으로 차대의 하부에 위치한 양 레일에 결합하게 되면 주행레일바퀴와 레일이 서로 맞닿아 고정되고 난 다음에 차대의 양측에 설치된 승강수단을 상승하여 차대를 상승시킨 후 차대에 구비된 철도레일 궤도라인수정수단으로 양 레일의 위치를 신속정밀하게 조정하고, 차대에 설치된 진동다짐수단의 가압그립들을 철도침목에 주위 자갈들에 삽입하여 진동으로 철도침목 하부에 형성된 공간부들에 자갈들이 채워주는 철도의 궤도 수정과 자갈다짐을 하나의 장비로 실시하여 철도선형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한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장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Railway track maintenance equipment}
본 발명은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장비에 철도레일에서 차대에 구비된 레일착탈수단으로 차대의 하부에 위치한 양 레일에 결합하게 되면 주행레일바퀴와 레일이 서로 맞닿아 고정되고 난 다음에 차대의 양측에 설치된 승강수단을 상승하여 차대를 상승시킨 후 차대에 구비된 철도레일 궤도라인수정수단으로 양 레일의 위치를 신속정밀하게 조정하고, 차대에 설치된 진동다짐수단의 가압그립들을 철도침목에 주위 자갈들에 삽입하여 진동으로 철도침목 하부에 형성된 공간부들에 자갈들이 채워주는 철도의 궤도 수정과 자갈다짐을 하나의 장비로 실시하여 철도선형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한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장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을 달리게 하기 위해 설치되는 철도용 선로에는 노반과 철도침목 사이에 자갈로 된 도상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철도차량으로부터 철도침목에 전달되는 큰 중량의 하중을 노반에 고루분포시켜 철도차량의 하중을 분산, 완충시키는 작용을 하며 철도침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는 것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자갈로 이루어진 자갈 도상의 경우 오랜 사용에 의해 또는 외부의 작용에 의해 자갈이 비산되거나 깨지는 경우가 있어 이러한 현상은 소음진동이 증가하게 되고 철도선로의 침하 등으로 인해 안전상 중대한 문제를 일으키게 되므로 철도선로의 궤도를 수정할 필요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철도선로의 궤도를 보수하고 수정하기 위해서는 철도궤도와 함께 철도궤도를 고정설치하는 철도침목을 들어 올려 수정하고자하는 소정의 위치인 철도궤도를 도상에 깔려있는 자갈의 위에 철도침목을 놓은 후 철도침목을 지지하기 위하여 철도침목으로 밑으로 자갈을 넣어 자갈을 다져야만 한다.
이와 같이 철도선로의 노상에서의 철도레일을 들어 올리는 장치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320781호는 도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철도레일을 설치하기 위한 리프링유니트는 일정길이로 조립된 철도레일을 조립처에서 설치현장으로 운반하여 설치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리프팅 유니트를 상기 리프팅 유니트(100)는 프레임(110)의 저면에 레일(R)을 따라 구름작동되면서 엔진(102)에 의해 구동되는 바퀴(101)와 걸고리의 회전작동에 의해 조립된 철도레일의 레일을 본체(100)와 일체화되게 클램핑하는 클램프수단(A)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양측면에는 본체(100)를 승강작동시키도록 하는 승강수단(B)과, 좌.우 및 전.후로 이송시켜 그 설치위치를 조절토록 하는 좌.우 및 전.후조절수단(C)(D)을 갖추어 조립된 철도레일 설치하기 위한 리프팅 유니트로 구성된다.
이는 철도레일의 궤도를 수정하기 위해 철도레일을 들어 올려 원하는 위치에 철도레일을 내려 놓아 노상에 놓은 철도레일의 궤도를 수정할 수 있지만 철도레일을 수정할 수 있을 뿐이고 수정된 철도침목의 하부에 있는 자갈을 다지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 철도침목 하부의 자갈을 다지기 위해서는 별도의 자갈 다지는 장치로 자갈을 다져야하므로 경비와 시간이 많이 소용되는 문제이 있었다.
또한, 철도선로 도상의 자갈을 다지는 장치는 대한민국실용신안 제0467640호에 개시된 도 1c에 보인바와 같이, 휘발유를 사용하는 엔진과, 엔진의 하부에 엔진의 축과 편심 축을 기어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 있는 다수개의 회전체와, 엔진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진동을 일으키는 편심 축을 포함한 기어상자와, 기어 상자의 한 면에 고정되어 기어 상자에서 발생한 진동을 자갈에 전달하기 위한 긴 판형상의 진동판과, 기어 상자의 다른 양쪽 면에 고정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상자와 손잡이 사이에 원통형의 파이프와, 파이프 내부에 삽입되는 봉 형태의 축, 판의 중심에 축을 고정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고 바깥면에 반 원형의 홈이 가공되어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력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 오링 고정용 다수개의 원형판, 파이프와 축에 설치된 다수개의 원형판 사이에 삽입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력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 다수개의 오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진동 흡수장치를 설치구성되는 철도용 엔진으로 구성된 템핑유니트가 있었다.
이는 철도작업시 전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발전기가 필요 없어서 발전기를 옮기기 위한 인력과 발전기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와 철도의 특성상 비가 오거나 눈이 내릴 때에 긴급한 작업이 발생한 경우에도 신속히 대처하여 작업할 수 있으며 감전의 위험이 없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템핑유니트로는 철도침목의 주위에 있는 자갈을 다지는 것은 유용하였지만 철도레일을 상부로 들어 올릴수가 없어 침하된 선로의 보수와 철도궤도가 변경되어 궤도의 위치가 달라진 철도 궤도를 수정하거나 보수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철도레일에서 차대에 구비된 제1,2레일착탈수단으로 차대의 하부에 위치한 양 레일에 결합하게 되면 주행레일바퀴와 레일이 서로 맞닿아 고정되고 난 다음에 차대의 양측에 제1,2승강수단 및 보조승강수단을 상승하여 차대를 상승시킨후 차대에 구비된 철도레일 궤도라인수정수단으로 철도궤도가 침하된 것 만큼 철도궤도를 들어 양 레일의 위치를 신속정밀하게 조정하고, 차대에 설치된 수평프레임부에 복수개로 설치된 제1,2진동다짐수단의 가압그립들을 철도침목주위 자갈들에 삽입하여 진동하여 철도침목 아래의 형성된 공간부들에 자갈들이 채위지도록하여 철도침목 하부에 형성된 공간부들로 인해 철도침목이 침하되어 레일이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보수하여 철도차량의 주행사고를 예방하여 철도차량의 안전운행을 도모하도록 한 새로운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장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유압파워유닛(11)와, 제어부(12)와, 유압오일탱크(13)와, 드라이버부(14)를 구비한 차대(10)와;
상기 차대(10)의 양측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레일(a)의 상부면에서 안착되어 상기 드라이버부(14)와 연계되어 주행되는 주행레일바퀴(20)와;
상기 차대(10)의 중앙양측에 실린더(s)에 의해 승강되게 설치된 제1,2승강수단(30a,30b)과;
상기 제1,2승강수단(30a,30b)의 외측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제1,2승강수단(30a,30b)과 함께 작동되는 보조승강수단(40)과;
상기 차대(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대(10)에 설치된 실린더(s)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차대(10)의 하부에 위치한 일측의 상기 레일(a) 홈부(a1) 상부면에 착탈되는 제1레일착탈수단(50a)과;
상기 차대(10)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대(10)에 설치된 실린더(s)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차대(10)의 하부에 위치한 타측의 상기 상기 레일(a) 홈부(a1) 상부면에 착탈되는 제2레일착탈수단(50b)과;
상기 제1레일착탈수단(50a)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실린더(s)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레일(a)의 궤도 라인을 수정하는 철도레일 궤도라인수정수단(60)과;
상기 차대(10)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프레임부(10a)과, 상기 전방프레임부(10a)에 설치된 실린더(s)에 의해 상기 전방프레임부(10a)에 설치되어 승강되게 복수개로 설치되고, 철도침목(b)의 주위에 설치된 자갈(c)들을 다져 철도침목(b)의 주변공간부(d)에 자갈(c)을 채우도록 구비된 제1,2진동다짐수단(70a,70b)으로 구성되는
상기 공지된 기술의 유압파워유닛(11), 제어부(12), 유압오일탱크(13), 드라이버부(14), 차대(10), 주행레일바퀴(20), 제1, 2승강수단(30a, 30b), 보조승강수단(40), 레일(a), 제1레일착탈수단(50a), 제2레일착탈수단(50b), 철도레일 궤도라인수정수단(60), 전방프레임부(10a), 제1, 2진동다짐수단(70a, 70b)로 형성된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장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에 있어서,
제1,2승강수단(30a,30b)은 상기 차대(10)의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실린더(s)와, 상기 실린더(s)의 하부에 설치된 로드(r)와, 상기 로드(r)의 하부에 설치된 받침판(3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장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
제1승강수단(30a)의 상기 실린더(s)와 상기 제2승강수단(30b)의 상기 실린더(s)를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연결프레임(10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장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 .
보조승강수단(40)은 상기 제1,2승강수단(30a,30b)의 상기 실린더(s)에 구비된 로드(r)의 하부에 설치된 받침판(31)의 외측에 하부가 힌지(h)로 연결된 승강바(41)와, 상기 승강바(41)의 상부가 삽입되어 입출되도록 입출공(42a)을 갖는 입출안내관(42)과, 상기 입출안내관(42)의 외측면은 상기 실린더(s)에 설치된 연결부(32)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장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
제1레일착탈수단(50a)은 상기 차대(10)의 일측에 설치된 일측지지대(51a)와, 상기 일측지지대(51a)에 실린더(s)의 상부가 힌지(h)로 연결설치되고, 상기 실린더(s)에 설치된 로드(r)의 하부에 설치된 제1결착구(52a)와, 상기 제1결착구(52a)는 상기 차대(10)의 하부의 일측에 위치한 상기 레일(a)의 홈부(a1) 내부상부면에서 결합 및 이탈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2레일착탈수단(50b)은 상기 차대(10)의 타측에 설치된 타측지지대(51b)와, 상기 타측지지대(51b)에 실린더(s)의 상부가 힌지(h)로 연결설치되고, 상기 실린더(s)에 설치된 로드(r)의 하부에 설치된 제2결착구(52b)와, 상기 제2결착구(52b)는 상기 차대(10)의 하부의 타측에 위치한 상기 레일(a)의 홈부(a1) 내부상부면에서 결합 및 이탈되게 구성되며;
상기 제1결착구(52a)의 상부에 힌지(h)로 하부가 연결된 연결바(53)와, 상기 연결바(53)의 상부에 힌지(h)로 일측이 연결된 구동횡바(55)와 상기 구동횡바(55)의 하부는 상기 제2결착구(52b)에 힌지(h)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장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
철도레일 궤도라인수정수단(60)은 상기 제1,2승강수단(30a,30b)으로 서로 연결하는 수평연결프레임(10b)의 타측에 힌지(h)로 고정설치된 실린더(s)와 상기 실린더(s)에 구비된 로드(r)가 상기 차대(10)의 일측에 설치된 레일컨트롤부(61)에 힌지(h)로 연결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장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
차대(10)의 전방에 설치된 상기 전방프레임부(10a)는 승강프레임(10a-1)에 복수개로 형성된 승강공(i)에 수직승강바(10a-2)의 상부가 각각 결합되고, 하부프레임(10a-4)에 복수개로 설치된 결합공(i1)에 각각 상기 수직승강바(10a-2)의 하부가 삽입결합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0a-4)과, 상기 하부프레임(10a-4)의 하부에 더 설치된 고정프레임(10a-3)과, 상기 차대(10)에 순차적으로 하부가 수직으로 관통삽입 기립 설치된 실린더(s)와, 상기 실린더(s)에 구비된 로드(r)는 상기 승강프레임(10a-1)의 하부중앙과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0a-3)의 전방 양측에 복수개의 제1,2진동다짐수단(70a,70b)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장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
제1,2진동다짐수단(70a,70b)은 타이템퍼(t)로 구성되고 타이템퍼(t)는 본체(t1)의 하부양측에 각각의 상부가 힌지(h)로 관통연결된 가압그립(t2)과, 상기 본체(t1)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가압그립(t2)의 상부에 설치된 실린더(s)와, 상기 실린더(s)에 구비된 로드(r)는 상기 본체(t1)의 중부일측에 힌지(h)로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본체(t1)의 타측에 설치된 상기 가압그립(t2)의 상부에 설치된 실린더(s)와, 상기 실린더(s)에 구비된 상기 로드(r)는 상기 본체(t1)의 중부타측에 힌지(h)로 설치되어 구비된 가압그립부(t3)와;
양 상기 가압그립부(t3)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t1)의 하부중앙에 설치된 진동부(t4)와, 상기 본체(t1)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t5)와, 상기 모터(t5)는 상기 가압그립부(t3) 및 상기 진동부(t4)를 정 및 역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철도레일에서 차대에 구비된 제1,2레일착탈수단으로 차대의 하부에 위치한 양 레일에 결합하게 되면 주행레일바퀴와 레일이 서로 맞닿아 고정되고 난 다음에 차대의 양측에 제1,2승강수단 및 보조승강수단을 상승하여 차대를 상승시킨 후 차대에 구비된 철도레일 궤도라인수정수단으로 양 레일의 위치를 신속정밀하게 조정하고, 차대에 설치된 수평프레임부에 복수개로 설치된 제1,2진동다짐수단의 가압그립들을 철도침목 아래에 자갈들이 삽입되게 진동하여 철도침목 하부 및 주위에 형성된 공간부들에 자갈들이 채위지고 다져지도록하여 철도침목 하부 및 주위에 형성된 공간부들로 인해 철도침목이 침하되어 레일이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철도차량의 주행사고를 예방하여 철도차량의 안전운행을 도모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a 내지 도1c는 종래기술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승강수단, 보조승강수단, 제1,2레일착탈수단, 철도레일 궤도라인수정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진동다짐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진동다짐수단으로 철도침목의 자갈을 진동다짐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않되고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승강수단, 보조승강수단, 제1,2레일착탈수단, 철도레일 궤도라인수정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진동다짐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진동다짐수단으로 철도침목의 자갈을 진동다짐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철도레일상에서 승강되고 진동자갈다짐수단과 철도레일 궤도라인수정수단을 구비한 철도레일주행장치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레일상에서 승강되고 진동자갈다짐수단과 철도레일 퀘도라인 수정수단을 구비한 철도레일주행장치는 차대(10)와, 주행레일바퀴(20)와, 제1,2진동수단(30a,30b)와, 보조승강수단(40)과, 제1,2레일착탈수단(50a,50b)와, 철도레일 궤도라인수정수단(60)과, 제1,2진동다짐수단(70a,70b)로 구성된다.
상기 차대(10)는 그 양측에는 복수개의 후술되는 주행레일바퀴(20)가 설치되어 철도도상에 설치된 레일(a)의 상부면에서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대(10)에는 유압파워유닛(11)와, 제어부(12)와, 유압오일탱크(13)와, 드라이버부(1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차대(10)는 자주식으로도 이동 가능하고, 차대의 타측에는 철도차량(미도시)에 의해 견인될 수 있는 견인부(15)가 설치되어 견인차에 의하여 이동할수도 있다.
상기 주행레일바퀴(20)는 상기 차대(10)의 양측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레일(a)의 상부면에서 안착되어 상기 드라이버부(14)와 연계되어 주행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주행레일바퀴(20)는 상기 차대(10)의 일측에 2개 그 타측에 2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갯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1승강수단(30a)은 상기 차대(10)의 중앙일측에 실린더(s)에 의해 승강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승강수단(30a)은 상기 차대(10)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실린더(s)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실린더(s)의 하부에 설치된 로드(r)로 구성된다.
이 상기 로드(r)의 하부에 설치된 받침판(31)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실린더(s)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는 상기 로드(r)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받침판(31)은 철도도상의 지면에 결?되었다, 이탈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제1승강수단(30a)은 후술되는 상기 제2승강수단(30a)으로 작업자가 탑승한 상기 차대(10)를 양 상기 레일(a)상에서 안정적으로 상승 및 하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승강수단(30b)은 상기 차대(10)의 중앙타측에 실린더(s)에 의해 승강되게 설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승강수단(30b)은 상기 차대(10)의 타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실린더(s)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실린더(s)의 하부에 설치된 로드(r)로 구성된다.
이 상기 로드(r)의 하부에 설치된 받침판(31)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실린더(s)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는 상기 로드(r)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받침판(31)은 철도2상의 지면에 결합되었다, 이탈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제1승강수단(30b)은 상기 제2승강수단(30a)과 더불어 작업자가 탑승한 상기 차대(10)를 양 상기 레일(a)상에서 안정적으로 상승 및 하강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승강수단(30a)의 상기 실린더(s)와 상기 제2승강수단(30b)의 상기 실린더(s)를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연결프레임(10b)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기 제1승강수단(30a)의 상기 실린더(s)와 상기 제2승강수단(30b)의 상기 실린더(s)를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연결프레임(10b)으로 구성되는 것은 상기 제1,2승강수단(30a,30b)의 양 상기 실린더(s)의 작동을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작동하여 양 상기 실린더(s)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로드(r)에 구비된 상기 받침판(31)의 승강작용을 앉정적으로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보조승강수단(40)은 상기 제1,2승강수단(30a,30b)의 외측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제1,2승강수단(30a,30b)과 함께 작동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제1,2승강수단(30a,30b)이 상승 및 하강되는 승강작용시 상기 제1,2승강수단(30a,30b)과 함께 상기 보조승강수단(40)도 또한 동시 상승 및 하강되는 승강작용을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승강수단(40)은 상기 제1,2승강수단(30a,30b)의 승강작용시 상기 차대(10)을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승강되는 것을 도외주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보조승강수단(40)은 상기 제1,2승강수단(30a,30b)의 상기 실린더(s)에 구비된 로드(r)의 하부에 설치된 받침판(31)의 외측에 하부가 힌지(h)로 연결된 승강바(41)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승강수단(40)의 상부는 상기 제1,2승강수단(30a.30b)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고정부(43)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바(41)의 상부가 삽입되어 입출되도록 입출공(42a)을 갖는 입출안내관(42)으로 구성된다.
상기 입출안내관(42)의 외측면은 상기 실린더(s)에 설치된 연결부(32)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즉, 양 상기 입출안내관(43) 및 상기 승강바(21)의 서로 긴밀하게 승강작용으로 상기 제1,2승강수단(30a.30b)의 승강작용을 도와서 상기 제1,2승강수단(30a.30b)에 의해 승강되는 상기 차대(10)의 승강작용을 원할하고 안정적으로 정밀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레일착탈수단(50a)은 상기 차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레일착탈수단(50a)은 상기 차대(10)에 설치된 실린더(s)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차대(10)의 하부에 위치한 일측의 상기 레일(a) 홈부(a1) 상부면에 착탈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레일착탈수단(50a)은 상기 차대(10)의 일측에 설치된 일측지지대(51a)로 구성된다.
상기 일측지지대(51a)에 실린더(s)의 상부가 힌지(h)로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s)에 설치된 로드(r)의 하부에 설치된 제1결착구(52a)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결착구(52a)는 상기 차대(10)의 하부의 일측에 위치한 상기 레일(a)의 홈부(a1) 내부상부면에서 결합 및 이탈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실린더(s)의 상기 로드(r)에 설치된 상기 제1결착구(52a)는 상기 실린더(s)의 안정적이고 정밀한 구동으로 상기 레일(a)의 상기 홈부(a1) 상부내측면에 정밀하게 안정적으로 결합 및 이탈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레일착탈수단(50)의 상기 제1결착구(52a)가 상기 레일(a)의 상기 홈부(a1) 상부내측면에 정밀하게 안정적으로 결합하게 되면, 상기 제1,2승강수단(30a,30b)으로 상기 차대(10)를 철도도상에서 상승시 상기 레일(a)을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제1레일착탈수단(50a)의 상기 제1결착구(52a)가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레일착탈수단(50b)은 상기 차대(10)의 타측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레일착탈수단(50b)은 상기 차대(10)에 설치된 실린더(s)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차대(10)의 하부에 위치한 타측의 상기 레일(a) 홈부(a1) 상부면에 착탈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레일착탈수단(50b)은 상기 차대(10)의 타측에 설치된 타측지지대(51b)로 구성된다.
상기 타측지지대(51b)에 실린더(s)의 상부가 힌지(h)로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s)에 설치된 로드(r)의 하부에 설치된 제2결착구(52b)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결착구(52b)는 상기 차대(10)의 하부의 타측에 위치한 상기 레일(a)의 홈부(a1) 내부상부면에서 결합 및 이탈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실린더(s)의 상기 로드(r)에 설치된 상기 제2결착구(52b)는 상기 실린더(s)의 안정적이고 정밀한 구동으로 상기 레일(a)의 상기 홈부(a1) 상부내측면에 정밀하게 안정적으로 결합 및 이탈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레일착탈수단(50)의 상기 제2결착구(52b)가 상기 레일(a)의 상기 홈부(a1) 상부내측면에 정밀하게 안정적으로 결합하게 되면, 상기 제1,2승강수단(30a,30b)으로 상기 차대(10)를 철도도상에서 상승시 상기 레일(a)을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제2레일착탈수단(50b)의 상기 제2결착구(52b)가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결착구(52a)의 상부에 힌지(h)로 하부가 연결된 연결바(53)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바(53)의 상부에 힌지(h)로 일측이 연결된 구동횡바(5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횡바(55)의 하부는 상기 제2결착구(52b)에 힌지(h)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결착구(52a)의 상부에 힌지(h)로 하부가 연결된 연결바(53)와, 상기 연결바(53)의 상부에 힌지(h)로 일측이 연결된 구동횡바(55)와 상기 구동횡바(55)의 하부는 상기 제2결착구(52b)에 힌지(h)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은, 상기 제1,2레일착탈수단(20a,20b)의 상기 제1.2결착구(52a,52b)가 양 상기 레일(a)에 각각 결합될시, 상기 제1결착구(52a)와 연결된 상기 연결바(53)와 상기 제2결착구(52b)를 상기 구동횡바(55)로 서로 연결하여 상기 제1,2결착구(52a,52b)의 구동을 정밀하게 하고, 상기 제1,2결착구(52a,52b)가 상기 구동휭바(55)에 의해 양 상기 레일(a)에 안정적으로 결합 및 이탈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철도레일 궤도라인수정수단(60)은 상기 제1레일착탈수단(50a)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실린더(s)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레일(a)의 궤도 라인을 수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철도레일 궤도라인수정수단(60)은 상기 제1,2승강수단(30a,30b)으로 서로 연결하는 수평연결프레임(10b)의 타측에 힌지(h)로 고정설치된 실린더(s)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실린더(s)에 구비된 로드(r)가 상기 차대(10)의 일측에 설치된 레일컨트롤부(61)에 힌지(h)로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2진동다짐수단(70a,70b)은 상기 차대(10)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프레임부(10a)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차대(10)의 전방에 설치된 상기 전방프레임부(10a)는 승강프레임(10a-1)에 복수개로 형성된 승강공(i)에 수직승강바(10a-2)의 상부가 각각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10a-4)에 복수개로 설치된 결합공(i1)에 각각 상기 수직승강바(10a-2)의 하부가 삽입결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10a-4)과, 상기 하부프레임(10a-4)의 하부에 더 설치된 고정프레임(10a-3)과, 상기 차대(10)에 순차적으로 하부가 수직으로 관통삽입 기립 설치된 실린더(s)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실린더(s)의 상부는 상기 고정프레임(10a-3)의 중앙에 설치된 삽입결합공(i2)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s)에 구비된 로드(r)는 상기 승강프레임(10a-1)의 하부중앙과 연결되어 설치되어 구성도니다.
상기 고정프레임(10a-3)의 전방 양측에 복수개의 제1,2진동다짐수단(70a,70b)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전방프레임부(10a)에 설치된 실린더(s)에 의해 상기 전방프레임부(10a)에 설치되어 승강되게 복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제1,2진동다짐수단(70a,70b)은 철도침목(b)의 주위에 설치된 자갈(c)들을 다져 철도침목(b)의 주변공간부(d)에 자갈(c)을 채우도록 구비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2진동다짐수단(70a,70b)은 철도침목(b)의 주위에 설치된 자갈(c)들을 다져 철도침목(b)의 주변공간부(d)에 자갈(c)을 채워서, 철도침목(b)의 외측둘레 및 그 하부에 형성된 주변공간부(d)들로 인해 철도침목(b)이 철도도상의 지면하부로 함몰되어 상기 철도침목(b)상에 설치된 상기 레일(a) 휘어지거나 변형되어서 이러한 현상이 발생된 상기 레일상에서 운행하는 철도차량의 철도이탈 및 철도차량 전복과 같은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2진동다짐수단(70a,70b)은 타이템퍼(t)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상기 타이템퍼(t)는 상기 타이템퍼(t)는 본체(t1)의 하부양측에 각각의 상부가 힌지(h)로 관통연결된 가압그립(t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t1)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가압그립(t2)의 상부에 설치된 실린더(s)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실린더(s)에 구비된 상기 로드(r)는 상기 본체(t1)의 중부일측에 힌지(h)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t1)의 타측에 설치된 상기 가압그립(t2)의 상부에 설치된 실린더(s)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실린더(s)에 구비된 상기 로드(r)는 상기 본체(t1)의 중부타측에 힌지(h)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양 상기 가압그립부(t3)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t1)의 하부중앙에 설치된 진동부(t4)로 구성도니다.
또한, 상기 본체(t1)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t5)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모터(t5)는 상기 가압그립부(t3) 및 상기 진동부(t4)를 정 및 역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ㅏ.
상기와 같은 양 상기 가압그립부(t3)의 복수개의 상기 가압그립(t2)들로 상기 철도침목(b)의 외측둘레에 설치된 상기 자갈(c)들에 반복적으로 삽입진동시켜서, 상기 철도침목(b)의 하부와 그 외측에 형성된 상기 주변공간부(d)들에 다시 상기 자갈(c)들을 채워서, 이 철도침목(b)의 외측둘레 및 그 하부에 형성된 주변공간부(d)들로 인해 철도침목(b)이 철도도상의 지면하부로 함몰되어 상기 철도침목(b)상에 설치된 상기 레일(a) 휘어지거나 변형되어서 이러한 현상이 발생된 상기 레일상에서 운행하는 철도차량의 철도이탈 및 철도차량 전복과 같은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여 철도안전운행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상술하는 본 발명은 철도레일에서 상기 차대(10)에 구비된 상기 주행레일바퀴(20)들로 상기 레일(a)상에 주행을 정지하여 상기 차대(10)에 구비된 상기 제1,2레일착탈수단(50a,50b)으로 상기 차대(10)의 하부에 위치한 양 상기 레일(a_에 결합하게 되면 상기 주행레일바퀴(20)와 상기 레일(a)이 서로 맞닿아 고정되고 난 다음에 상기 차대(10)의 양측에 상기 제1,2승강수단(30a,30b) 및 상기 보조승강수단(40)을 상승하여 상기 차대(10)를 상승시킨후 상기 차대(10)에 구비된 상기 철도레일 궤도라인수정수단(60)으로 양 상기 레일(a)의 위치를 신속정밀하게 조정하고, 상기 차대(10)의 전방에 설치된 상기 수평프레임부(10a)에 복수개로 설치된 상기 제1,2진동다짐수단(60a,60n)의 상기 가압그립(t2)들을 상기 철도침목(b)주위 상기 자갈(b)들에 삽입하여 진동하여 상기 철도침목(b)주위에 형성된 상기 주변공간부(d)들에 상기 자갈(c)들이 채위지도록하여 상기 철도침목(b)주위에 형성된 상기 주변공간부(d)들로 인해 상기 철도침목(b)이 침하되어 상기 레일(a)이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철도차량의 주행사고를 예방하여 철도차량의 안전운행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차대 10a : 전방프레임부
10a-1 : 승강프레임 10a-2: 수직승강바
10a-3 : 고정프레임 10a-4: 하부프레임
10b : 수평연결프레임 11 : 유압파워유닛
12 : 제어부 13 : 유압오일탱크
14 : 드라이버부 20 : 주행레일바퀴
30a : 제1승강수단 30b : 제2승강수단
31 : 받침판 32 : 연결부
30b : 제2승강수단 40 : 보조승강수단
41 : 승강바 42 : 입출안내관
42a : 입출공 50a : 제1레일착탈수단
50b : 제2레일착탈수단 51a : 일측지지대
51b : 타측지지대 52a : 제1결착구
52b : 제2결착구 53 : 연결바
55 : 구동횡바 60 : 철도레일 궤도라인 수정수단
61 : 레일컨트롤부 70a: 제1진동다짐수단
70b : 제2진동다짐수단 a: 레일

Claims (8)

  1. 유압파워유닛(11)와, 제어부(12)와, 유압오일탱크(13)와, 드라이버부(14)를 구비한 차대(10)와;
    상기 차대(10)의 양측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레일(a)의 상부면에서 안착되어 상기 드라이버부(14)와 연계되어 주행되는 주행레일바퀴(20)와;
    상기 차대(10)의 중앙양측에 실린더(s)에 의해 승강되게 설치된 제1,2승강수단(30a,30b)과;
    상기 제1,2승강수단(30a,30b)의 외측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제1,2승강수단(30a,30b)과 함께 작동되는 보조승강수단(40)과;
    상기 차대(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대(10)에 설치된 실린더(s)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차대(10)의 하부에 위치한 일측의 상기 레일(a) 홈부(a1) 상부면에 착탈되는 제1레일착탈수단(50a)과;
    상기 차대(10)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대(10)에 설치된 실린더(s)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차대(10)의 하부에 위치한 타측의 상기 상기 레일(a) 홈부(a1) 상부면에 착탈되는 제2레일착탈수단(50b)과;
    상기 제1레일착탈수단(50a)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실린더(s)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레일(a)의 궤도 라인을 수정하는 철도레일 궤도라인수정수단(60)과;
    상기 차대(10)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프레임부(10a)과, 상기 전방프레임부(10a)에 설치된 실린더(s)에 의해 상기 전방프레임부(10a)에 설치되어 승강되게 복수개로 설치되고, 철도침목(b)의 주위에 설치된 자갈(c)들을 다져 철도침목(b)의 주변공간부(d)에 자갈(c)을 채우도록 구비된 제1,2진동다짐수단(70a,70b)으로 구성되는
    상기 공지된 기술의 유압파워유닛(11), 제어부(12), 유압오일탱크(13), 드라이버부(14), 차대(10), 주행레일바퀴(20), 제1, 2승강수단(30a, 30b), 보조승강수단(40), 레일(a), 제1레일착탈수단(50a), 제2레일착탈수단(50b), 철도레일 궤도라인수정수단(60), 전방프레임부(10a), 제1, 2진동다짐수단(70a, 70b)로 형성된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장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에 있어서,
    제1,2승강수단(30a,30b)은 상기 차대(10)의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실린더(s)와, 상기 실린더(s)의 하부에 설치된 로드(r)와, 상기 로드(r)의 하부에 설치된 받침판(3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장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제1승강수단(30a)의 상기 실린더(s)와 상기 제2승강수단(30b)의 상기 실린더(s)를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연결프레임(10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장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 .
  4. 제 1항에 있어서,
    보조승강수단(40)은 상기 제1,2승강수단(30a,30b)의 상기 실린더(s)에 구비된 로드(r)의 하부에 설치된 받침판(31)의 외측에 하부가 힌지(h)로 연결된 승강바(41)와, 상기 승강바(41)의 상부가 삽입되어 입출되도록 입출공(42a)을 갖는 입출안내관(42)과, 상기 입출안내관(42)의 외측면은 상기 실린더(s)에 설치된 연결부(32)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장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제1레일착탈수단(50a)은 상기 차대(10)의 일측에 설치된 일측지지대(51a)와, 상기 일측지지대(51a)에 실린더(s)의 상부가 힌지(h)로 연결설치되고, 상기 실린더(s)에 설치된 로드(r)의 하부에 설치된 제1결착구(52a)와, 상기 제1결착구(52a)는 상기 차대(10)의 하부의 일측에 위치한 상기 레일(a)의 홈부(a1) 내부상부면에서 결합 및 이탈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2레일착탈수단(50b)은 상기 차대(10)의 타측에 설치된 타측지지대(51b)와, 상기 타측지지대(51b)에 실린더(s)의 상부가 힌지(h)로 연결설치되고, 상기 실린더(s)에 설치된 로드(r)의 하부에 설치된 제2결착구(52b)와, 상기 제2결착구(52b)는 상기 차대(10)의 하부의 타측에 위치한 상기 레일(a)의 홈부(a1) 내부상부면에서 결합 및 이탈되게 구성되며;
    상기 제1결착구(52a)의 상부에 힌지(h)로 하부가 연결된 연결바(53)와, 상기 연결바(53)의 상부에 힌지(h)로 일측이 연결된 구동횡바(55)와 상기 구동횡바(55)의 하부는 상기 제2결착구(52b)에 힌지(h)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장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철도레일 궤도라인수정수단(60)은 상기 제1,2승강수단(30a,30b)으로 서로 연결하는 수평연결프레임(10b)의 타측에 힌지(h)로 고정설치된 실린더(s)와 상기 실린더(s)에 구비된 로드(r)가 상기 차대(10)의 일측에 설치된 레일컨트롤부(61)에 힌지(h)로 연결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장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차대(10)의 전방에 설치된 상기 전방프레임부(10a)는 승강프레임(10a-1)에 복수개로 형성된 승강공(i)에 수직승강바(10a-2)의 상부가 각각 결합되고, 하부프레임(10a-4)에 복수개로 설치된 결합공(i1)에 각각 상기 수직승강바(10a-2)의 하부가 삽입결합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0a-4)과, 상기 하부프레임(10a-4)의 하부에 더 설치된 고정프레임(10a-3)과, 상기 차대(10)에 순차적으로 하부가 수직으로 관통삽입 기립 설치된 실린더(s)와, 상기 실린더(s)에 구비된 로드(r)는 상기 승강프레임(10a-1)의 하부중앙과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0a-3)의 전방 양측에 복수개의 제1,2진동다짐수단(70a,70b)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장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
  8. 제 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제1,2진동다짐수단(70a,70b)은 타이템퍼(t)로 구성되고 타이템퍼(t)는 본체(t1)의 하부양측에 각각의 상부가 힌지(h)로 관통연결된 가압그립(t2)과, 상기 본체(t1)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가압그립(t2)의 상부에 설치된 실린더(s)와, 상기 실린더(s)에 구비된 로드(r)는 상기 본체(t1)의 중부일측에 힌지(h)로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본체(t1)의 타측에 설치된 상기 가압그립(t2)의 상부에 설치된 실린더(s)와, 상기 실린더(s)에 구비된 상기 로드(r)는 상기 본체(t1)의 중부타측에 힌지(h)로 설치되어 구비된 가압그립부(t3)와;
    양 상기 가압그립부(t3)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t1)의 하부중앙에 설치된 진동부(t4)와, 상기 본체(t1)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t5)와, 상기 모터(t5)는 상기 가압그립부(t3) 및 상기 진동부(t4)를 정 및 역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장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
KR1020200097148A 2020-08-04 2020-08-04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 KR102198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148A KR102198146B1 (ko) 2020-08-04 2020-08-04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148A KR102198146B1 (ko) 2020-08-04 2020-08-04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146B1 true KR102198146B1 (ko) 2021-01-04

Family

ID=74127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148A KR102198146B1 (ko) 2020-08-04 2020-08-04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1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388B1 (ko) * 2021-03-15 2021-06-03 주식회사 한국이앤텍 타이템퍼 시스템
CN113403886A (zh) * 2021-06-09 2021-09-17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差异沉降无砟轨道修复的抬升装置及施工方法
KR102350634B1 (ko) 2021-06-17 2022-01-12 주식회사 한서철도 철도 레일 자갈 다지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8501A (ja) * 1982-09-09 1984-03-19 フランツ・プラツセル・バ−ンバウマシ−ネン−インズストリ−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走行可能な軌道整正機械
JPH10291779A (ja) * 1997-04-18 1998-11-04 Kensetsusho Kanto Chiho Kensetsu Kyokucho クレーンの転倒防止装置および方法
KR20000042638A (ko) * 1998-12-26 2000-07-15 임양규 조립된 철도레일을 설치하기 위한 리프팅 유니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8501A (ja) * 1982-09-09 1984-03-19 フランツ・プラツセル・バ−ンバウマシ−ネン−インズストリ−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走行可能な軌道整正機械
JPH10291779A (ja) * 1997-04-18 1998-11-04 Kensetsusho Kanto Chiho Kensetsu Kyokucho クレーンの転倒防止装置および方法
KR20000042638A (ko) * 1998-12-26 2000-07-15 임양규 조립된 철도레일을 설치하기 위한 리프팅 유니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388B1 (ko) * 2021-03-15 2021-06-03 주식회사 한국이앤텍 타이템퍼 시스템
CN113403886A (zh) * 2021-06-09 2021-09-17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差异沉降无砟轨道修复的抬升装置及施工方法
KR102350634B1 (ko) 2021-06-17 2022-01-12 주식회사 한서철도 철도 레일 자갈 다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146B1 (ko)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
CN1050872C (zh) 更新或铺设轨道用的机械
US10696113B2 (en) Railcar-mover vehicle
JPH07145603A (ja) 枕木間隙のコンクリート注入装置
CN105603838B (zh) 一种用轨道板抬升小车抬升铁路轨道板的方法
AU712887B2 (en) A track maintenance machine for excavating ballast bed material
CN107604775B (zh) 地铁铺轨车的轮胎走行装置及无轨调节方法、地铁铺轨车
CN103806402B (zh) 一种铁路道床作业装置用双向牵引小车
SK278035B6 (en) Continuous traveller machine for tamping, leveling and straightening of track
JP5406586B2 (ja) 軌道用タンピング装置
KR101458452B1 (ko)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
RU2411137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на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м ходу
RU2626425C1 (ru) Способ замены колесных пар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 (варианты)
CN108239896A (zh) 既有铁路基底病害整治线路架空施工结构及施工方法
CN111254762A (zh) 一种用于预拼装道岔滑移的四轮小平板车及施工方法
CN210061630U (zh) 一种隧道混凝土衬砌修补的切割台车装置
CN210529388U (zh) 公铁两用铣磨车体
US2991725A (en) Railway tie spacer
CN203716103U (zh) 一种铁路道床作业装置用双向牵引小车
JP4601483B2 (ja) 軌道作業用車両および脱線復旧方法
US3503339A (en) Convertible rail-highway head block assembly
JP2814432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設置方法及び、その設置装置
CN205998940U (zh) 一种地沟总成举升机
US4384530A (en) On-track, off-track track maintenance machine
RU2808047C1 (ru) Путеукладчик тракторны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