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599B1 - 산초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초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599B1
KR102349599B1 KR1020190156802A KR20190156802A KR102349599B1 KR 102349599 B1 KR102349599 B1 KR 102349599B1 KR 1020190156802 A KR1020190156802 A KR 1020190156802A KR 20190156802 A KR20190156802 A KR 20190156802A KR 102349599 B1 KR102349599 B1 KR 102349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wangchil
sancho
oral hygien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7322A (ko
Inventor
강윤미
Original Assignee
강윤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윤미 filed Critical 강윤미
Priority to KR1020190156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599B1/ko
Publication of KR20210067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초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위생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강위생용 조성물은 치은염, 치주염, 잇몸시림, 치통, 치근염, 플라크, 치근막염, 구취, 및 충치 등 각종 치과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산초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Oral Hygiene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Dendropanaz morbifera}
본 발명은 산초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및 그 주변조직에 발생되는 중요한 질병은 충치 및 치주질환으로서 주요 발병원인은 프라그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프라그는 치아 및 잇몸 등의 표면에 형성된 연한 무정형의 침착물로서 그 주성분은 세균과 세균의 대사 산물이다. 주요 대사 산물로는 독소와 세균이 당류를 대사하여 생성되는 유기산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독소는 치아표면에 인접한 주위조직에 위해를 일으켜 치주질환을 일으키며 유기산은 치면을 탈회시켜 충치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충치 및 치주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프라그를 형성시키는 대표적인 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의 생육을 억제하고 살균하므로써 프라그의 형성을 방지하는 것이 요구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프라그의 주요 원인 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의 생육을 억제하고 살균하는 물질로서 페니실린, 에리스로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 스피라마이신과 같은 항생제는 생체내 실험이나 생체외 실험에서 효과적이나 내성균의 출현을 유발하는 등 부작용이 크고, 클로로헥시딘과 같은 항균제는 충치형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으나 구강내의 생태계 파괴, 치아착색 등과 같은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프라그를 직접적으로 분해하는 효소들도 사용되어 왔으나 저장중에 효소 활성이 저하하는 등의 안정성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에 들어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종의 식물로부터 추출한 물질을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특히, 충치 원인균 및 치주질환 원인균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카모밀레 (Chamomile), 몰약 (Myrrh), 라타니 (Rhatany), 세이지 (Sage), 에치네시아 (Echinacea) 등의 추출물 (S. de Rysky; Journal of Clinical Dentistry Vol.ⅠSupplement A. A22-24, 1988), 생귀나리아 (Sanguinaria) 추출물 (미국 특허 4,689,216 호), 감초 추출물을 배합한 것 또는 골취브, 측백염, 지유, 연근, 애엽 등의 생약 추출물을 배합한 것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5-120,509 호), 황백 등에서 추출하여 구강조성물에 적용한 베르베린 추출 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7-56,415 호), 세이지 (Sage) 및 미질향 (Rosemary) 등의 추출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8-134,013 호), 홉 (Hops) 추출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138,420 호), 포공영, 금은화, 황금, 치자, 백두옹, 갈근 추출물 (한국 등록특허공보 121,550 호), 금초, 마로니에 추출물 (한국 등록특허공보 138,248 호), 초두구, 맥문동, 형개, 목단피, 치자 추출물 (한국 등록특허공보 149,483 호), 족도리풀 추출물 (한국 특허 309,929 호)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식물들은 대부분 약재로만 사용되어 오던 것들이라 공급량이 한정되어 있고, 품질의 균일화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여러 성분을 정해진 배합비로 혼합하여 사용함에 따라 효능의 재현성 또는 안정성 측면에서 충분히 뒷받침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충치 원인균에 의하여 야기되는 치태형성, 염증, 출혈, 구취 등의 억제 및 제거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검토하던 중 향신료로서 널리 사용되는 산초의 추출물과 복통이나 관절통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황칠 추출물의 혼합액이 잇몸염증, 잇몸시림, 치통, 및 충치예방 등 각종 치과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적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산초나무의 열매인 산초를 세척하고 건조하는 제1-1 단계;
상기 1-1 단계의 산초 1 중량부를 물, C1-6 알코올, 또는 이들이 혼합된 용매 5 내지 20 중량부에 혼합하고 80 내지 100℃의 온도로 5분 내지 1시간 가열하는 제1-2단계;
상기 1-2단계의 추출액을 실온에서 30분 내지 2시간 방치하여 냉각하고 여과액을 수득하는 제1-3단계;
황칠나무 가지의 수피인 황칠을 세절하고 건조하는 제2-1단계;
상기 2-1단계의 황칠 1중량부를 물, C1-6 알코올, 또는 이들이 혼합된 용매 5 내지 20 중량부에 혼합하고 60 내지 70℃의 온도로 6시간 내지 24시간 가열하는 제2-2단계;
상기 2-2단계의 추출액을 실온에서 30분 내지 2시간 방치하여 냉각하고 여과액을 수득하는 제2-3단계; 및
상기 1-3 단계 및 상기 2-3 단계에서 수득한 산초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7:3 내지 9:1의 부피비로 혼합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산초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위생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산초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위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산초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위생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산초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위생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산초나무의 열매인 산초를 세척하고 건조하는 제1-1 단계(S11);
상기 1-1 단계의 산초 1 중량부를 물, C1-6 알코올, 또는 이들이 혼합된 용매 5 내지 20 중량부에 혼합하고 80 내지 100℃의 온도로 5분 내지 1시간 가열하는 제1-2단계(S12);
상기 1-2단계의 추출액을 실온에서 30분 내지 2시간 방치하여 냉각하고 여과액을 수득하는 제1-3단계(S13);
황칠나무 가지의 수피인 황칠을 세절하고 건조하는 제2-1단계(S21);
상기 2-1단계의 황칠 1중량부를 물, C1-6 알코올, 또는 이들이 혼합된 용매 5 내지 20 중량부에 혼합하고 60 내지 70℃의 온도로 6시간 내지 24시간 가열하는 제2-2단계(S22);
상기 2-2단계의 추출액을 실온에서 30분 내지 2시간 방치하여 냉각하고 여과액을 수득하는 제2-3단계(S23); 및
상기 1-3 단계 및 상기 2-3 단계에서 수득한 산초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7:3 내지 9:1의 부피비로 혼합하는 제3 단계(S30)를 포함한다.
1. 산초 추출물을 제공하는 제1단계
산초나무(Zanthoxylum schinifolium)는 운향과에 속하는 나무로서, 낙엽이 지는 관목으로서 높이는 3m 가량이다. 갈라진 가지에는 1쌍의 가시가 있으며, 잎은 5-9쌍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 깃꼴 겹잎으로 어긋나는데, 이때 각각의 작은잎은 달걀 모양이나 피침 모양이다. 암수딴그루로서, 수꽃과 암꽃 모두 취산꽃차례를 이루면서 가지 끝에 달린다. 각각의 꽃은 황록색으로 작으며, 5개씩의 꽃받침조각과 꽃잎을 가지고 있다. 열매는 삭과로 5mm 정도인데, 10월경에 붉게 익으면 벌어진다. 주로 산기슭의 양지에서 잘 자라며, 한반도 각지에 분포한다.
산초나무의 열매는 산초 또는 분디라고 불리며, 이의 추출물이 본 발명의 구강 위생용 조성물의 일 성분으로 포함된다. 산초는, 곤충 및 기생충의 살충작용, 항균작용이 강하고, 보온작용과 진통작용이 있어, 신경통, 통풍, 류머티즘 등에 좋으며, 급만성 위염, 위궤양, 위산과다, 복부냉증, 구토, 설사, 위하수, 위확장증, 건위, 식체, 소화불량 등의 소화기 질환에 효과가 뛰어나다. 기타, 염증, 야뇨증, 국소흥분, 치질, 기침, 초조, 불면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원의 산초 추출물을 제공하는 제1단계는, 산초나무의 열매인 산초를 세척하고 건조하는 제1-1 단계; 상기 1-1 단계의 산초 1 중량부를 용매와 함께 가열하여 추출하는 제1-2단계; 상기 1-2단계의 추출액을 냉각하고 여과액을 수득하는 제1-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단계와 관련하여, 채집한 산초를 물로 세척하여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 때 세척방식은 살수식, 침지교반식 등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물과의 접촉시간은 최소한 단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물과의 접촉시간이 불필요하게 길어져 산초가 다량의 물을 흡수한 경우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의 양이 증가하고, 물과의 접촉 도중에 산초의 유효성분이 빠져나갈 확률이 증가하며, 흡수된 물의 무게 때문에 단위량의 용매에 첨가할 산초의 양을 확정하기가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상기 세척한 산초는 건조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는 자연건조, 냉풍건조, 또는 열풍건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연건조일 수 있다.
제1-2단계에서는, 상기 1-1단계에 따라 세척 및 건조된 산초는 용매에 혼합되어 가열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C1-6 알코올, 또는 이들이 혼합된 용매일 수 있다. 상기 C1-6 알코올에는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과 물의 혼합비율은 3:7 내지 7:3일 수 있다.
상기 제1-2단계에서 추출온도는 80 내지 100℃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보다 높은 온도의 경우 산초 내 유효성분이 과도하게 변성될 수 있으며, 이보다 낮은 온도의 경우 조성물내 원하는 유효성분이 함유되도록 반응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거나, 추출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는 구체적으로, 85 내지 95℃일 수 있으며, 본원에서 제한되지 않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90℃일 수 있다.
상기 1-2단계에서 추출시간은 5분 내지 1시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산초 추출물은 가열된 용매하에서 단기간에 추출되는 성분들이 높은 함유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보다 오랜 시간 추출하는 경우 불필요하거나 쓴 맛을 나타내도록 하는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어,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1-3단계에서는 상기 1-2단계에 따라 가열 추출된 추출액을 냉각한 후 여과액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1-2단계에 따른 추출이 끝나면 산초의 고형성분과 추출물이 함유된 용매의 액체성분이 공존하는데 그대로 5 내지 20℃에서 30분 내지 2시간 방치하여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냉각을 통해 추가적으로 추출이 일어나며 동시에 일부 성분들이 응고될 수 있다. 이 경우 10℃분 이상으로 급속 냉각을 통해 산패를 일으킬 수 있는 성분들을 결정화시킬 수 있다.
최종 냉각된 물질에 여과막을 이용한 여과, 필요시 감압여과를 통해 여과액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수득한 물질은 추가적으로 감압증발 및/또는 동결건조를 통해 산초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2. 황칠 추출물을 제공하는 제2단계
황칠나무(Dendropanaz morbifera)는 최대 높이 15m에 달하는 두릅나무과 나무로, 병통치 나무라는 뜻의 학명 덴드로 파낙스(Dendro-panax)를 가지고 있을 정도로 약리적 효능이 매우 뛰어난 약용식물이다. 황칠나무는 한국에서만 서식하며, 한국에서도 난대림이 펼쳐진 제주도를 비롯한 남해 도서지역과 해안지역에 자생하는 약용식물이다.
황칠나무의 가지의 수피를 약용으로 사용하며, 이의 추출물이 본 발명의 구강 위생용 조성물의 일 성분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구강위생용 조성물에는 황칠 추출물이 포함됨에 따라 염증 완화 및 충치 예방에 보다 극대화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황칠나무 가지의 수피인 황칠을 세절하고 건조하는 제2-1단계; 상기 2-1단계의 황칠 1중량부를 물, C1-6 알코올, 또는 이들이 혼합된 용매 5 내지 20 중량부에 혼합하고 60 내지 70℃의 온도로 6시간 내지 24시간 가열하는 제2-2단계; 상기 2-2단계의 추출액을 5 내지 20℃에서 30분 내지 2시간 방치하여 냉각하고 여과액을 수득하는 제2-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단계와 관련하여, 황칠나무의 가지의 수피인 황칠을 세절하고 세척한다. 이 때 세절하는 크기는 길이를 기준으로 2 내지 5cm 정도가 바람직할 수 있다. 세절되는 길이가 5cm를 초과하는 경우 최종 황칠 추출물에서 유효성분들을 효율적으로 추출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세절되는 길이가 2cm 미만인 경우 그보다 긴 것과 비교하여 품질의 차이가 없어 비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세척한 황칠은 건조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는 자연건조, 냉풍건조, 또는 열풍건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연건조일 수 있다. 상기 세절된 황칠의 수분함량을 30 내지 50%일 수 있다. 상기 황칠나무의 수분함량이 30% 미만이면 가열 추출단계에서 그 이상의 수분함량을 포함하는 황칠나무에 비하여 향이 변질될 수 있으며 및 관능성의 향상이 미미하여 비경제적이고, 상기 수분함량이 50%를 초과하면 이후 가열 추출단계에서 추출이 비효율적으로 될 수 있다.
제2-2단계에서는, 상기 2-1단계에 따라 세절, 세척 및 건조된 황칠은 용매에 혼합되어 가열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C1-6 알코올, 또는 이들이 혼합된 용매일 수 있다. 상기 C1-6 알코올에는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과 물의 혼합비율은 3:7 내지 7:3일 수 있다.
상기 제2-2단계에서 추출온도는 50 내지 70℃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보다 높은 온도의 경우 황칠 내 유효성분이 과도하게 변성될 수 있으며, 이보다 낮은 온도의 경우 조성물내 원하는 유효성분이 함유되도록 반응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거나, 추출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는 구체적으로, 63 내지 67℃일 수 있으며, 본원에서 제한되지 않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65℃일 수 있다.
상기 2-2단계에서 추출시간은 6 내지 24시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황칠 추출물은 가열된 용매하에서 단기간에 추출되는 성분들이 높은 함유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보다 오랜 시간 추출하는 경우 불필요하거나 쓴 맛을 나타내도록 하는 다량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어,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2-3단계에서는 상기 2-2단계에 따라 가열 추출된 추출액을 냉각한 후 여과액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2-2단계에 따른 추출이 끝나면 황칠의 고형성분과 추출물이 함유된 용매의 액체성분이 공존하는데 그대로 5 내지 20℃에서 30분 내지 2시간 방치하여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냉각을 통해 추가적으로 추출이 일어나며 동시에 일부 성분들이 응고될 수 있다. 이 경우 10℃분 이상으로 급속 냉각을 통해 산패를 일으킬 수 있는 성분들을 결정화시킬 수 있다.
최종 냉각된 물질에 여과막을 이용한 여과, 필요시 감압여과를 통해 여과액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수득한 물질은 추가적으로 감압증발 및/또는 동결건조를 통해 황칠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3. 산초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혼합하는 제3단계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방법으로 제조된 산초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은 7:3 내지 9:1의 비율로 혼합되어 구강위생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비율 범위에서 최적의 잇몸염증 완화 효과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내며, 이보다 황칠 추출물의 비율이 높을 경우 항염 효과가 우수해도 항균효과가 떨어지며 쓴맛이 강할 수 있으며, 산초 추출물의 비율이 높을 경우 항균효과가 우수해도 항염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4. 구강위생용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에서는 제3단계에 따라 혼합된 혼합액을 포함하는 구강위생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강 위생용 조성물은 상기 제3단계에 따라 혼합된 혼합액 원액 자체가 구강관리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종래에 이용되는 구강관리제의 형태로 적절히 첨가되어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구강관리제”는 구강에 적용되어 잇몸, 입안, 및 치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태를 개선하거나 이들의 악화를 예방할 수 있는 모든 제제를 통칭한다. 상기 구강관리제에는 구강 청정제(mouth rinse 가글), 페이스트형 치약, 치아 겔, 치아 분말, 비마모성 겔, 마우스 스프레이, 마우스 폼, 츄잉 검, 로렌지, 브레스 민트(breath mint), 음료수 첨가제, 치아용 용액, 의치 세정 용액, 치실, 테이프, 스트립, 필름, 및 중합체 섬유를 포함하는 모든 제제일 수 있다.
본원의 구강위생용 조성물은 치은염, 치주염, 잇몸시림, 치통, 치근염, 플라크, 치근막염, 구취, 및 충치 등 각종 치과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도를 갖는다. 상기 치과 질환은 구강 세균의 증식에 의해 염증이 발생하거나 기능이 저해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강위생용 조성물은 구강 세균의 사멸에 효과적이다. 상기 구강 세균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위생용 조성물은 염증의 완화를 촉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산초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위생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강위생용 조성물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산초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위생용 조성물은, 치은염, 치주염, 잇몸시림, 치통, 치근염, 플라크, 치근막염, 구취, 및 충치 등 각종 치과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원의 구강위생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모식도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산초와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위생용 조성물의 제조
물로 세척하고 건조한 산초 열매를 용기에 넣고, 상기 열매 중량의 10배 분량의 에탄올 및 증류수가 혼합된 용매(50:50의 부피비)를 첨가한 다음, 90℃의 온도로 10분간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이를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하여 냉각한 후 여과하여 산초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황칠나무 가지의 수피를 세절하고 건조한 후 용기에 넣고, 상기 중량의 10배 분량의 에탄올 및 증류수가 혼합된 용매(50:50의 부피비)를 첨가한 다음, 65℃의 온도로 12시간 가열하였다. 이를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하여 냉각한 후 여과하여 황칠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산초 추출물 80ml 및 황칠 추출물 20mL를 혼합하여 실시예 1의 구강위생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의 구강위생용 조성물의 성능 평가
잇몸염증, 잇몸시림, 또는 치통이 있는 성인 21명에게 상기 실시예 1의 구강위생용 조성물의 원액을 이용하여 1주간 1일 3회 구강을 세척하게 하여, 본 발명의 구강위생용 조성물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2일 내에 전원이 잇몸염증, 잇몸시림, 또는 치통의 증상이 완화되거나 사라짐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성인 21명의 증상과 개선 여부는 다음과 같다:
1) 여, 47세 : 잇몸부어서 음식을 씹을수 없었음 / 2일째 증상 개선
2) 남, 51세 : 잇몸 부어서 음식을 씹을 수 없었음 / 2일째 증상 개선
3) 여,71세 : 치통 / 2일째 증상 개선
4)여, 43세 : 잇몸 염증 / 1일째 증상 개선
5)여, 44세 : 치통 / 2일째 증상 개선
6)남, 59세 : 인플란트 한 후 염증으로 치통 / 2일째 증상 개선
7) 여, 42세 : 치통 / 2일째 증상 개선
8) 여, 54살 : 치통 / 2일째 증상 개선
9)남, 나이 미상 : 백혈병 수술이후 입안이 헐어서 음식을 먹을 수 없었음 / 3일째 증상 개선
10) 여, 45살 : 치통 / 2일째 증상 개선
11) 여, 48살 : 잇몸시림 / 3일째 증상 개선
12) 여, 25살 : 잇몸 시림 / 1일째 증상 개선
13) 남, 47살 : 치통 / 2일째 증상 개선
14) 여, 59살 : 잇몸 염증 / 1일째 증상 개선
15) 여, 49살 : 치통 / 2일째 증상 개선
16) 남, 70세 : 치통 / 2일째 증상 개선
17) 여, 61살 : 잇몸 염증 / 1일째 증상 개선
18) 여, 55살 : 잇몸 염증 / 1일째 증상 개선
19) 여, 60살 : 치통 / 2일째 증상 개선
20) 여, 23살 : 치통 / 2일째 증상 개선
21) 여,49살 : 잇몸 염증 / 1일째 증상 개선
제제예 1. 본 발명의 구강위생용 조성물의 구강관리제
상기 구강위생용 조성물을 다음의 조성으로 구강 청정제를 제제화하였다.
중량비
실시예 1의 구강위생용 조성물 90 ~ 99 중량%
천연 보존제 1 ~10 중량%
총 중량 100 중량%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산초나무의 열매인 산초를 세척하고 건조하는 제1-1 단계;
    상기 1-1 단계의 산초 1 중량부를 물, C1-6 알코올, 또는 이들이 혼합된 용매 5 내지 20 중량부에 혼합하고 90℃의 온도로 10분 가열하는 제1-2단계;
    상기 1-2단계의 추출액을 5 내지 20℃에서 30분 내지 2시간 방치하여 냉각하고 여과액을 수득하는 제1-3단계;
    황칠나무 가지의 수피인 황칠을 세절하고 건조하는 제2-1단계;
    상기 2-1단계의 황칠 1중량부를 물, C1-6 알코올, 또는 이들이 혼합된 용매 5 내지 20 중량부에 혼합하고 65℃의 온도로 12시간 가열하는 제2-2단계;
    상기 2-2단계의 추출액을 5 내지 20℃에서 30분 내지 2시간 방치하여 냉각하고 여과액을 수득하는 제2-3단계; 및
    상기 1-3 단계 및 상기 2-3 단계에서 수득한 산초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8:2의 부피비로 혼합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산초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위생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산초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위생용 조성물.
KR1020190156802A 2019-11-29 2019-11-29 산초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KR102349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802A KR102349599B1 (ko) 2019-11-29 2019-11-29 산초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802A KR102349599B1 (ko) 2019-11-29 2019-11-29 산초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322A KR20210067322A (ko) 2021-06-08
KR102349599B1 true KR102349599B1 (ko) 2022-01-11

Family

ID=76399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802A KR102349599B1 (ko) 2019-11-29 2019-11-29 산초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5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7565A1 (ko) 2022-03-04 2023-09-07 주식회사 뉴트라코어 치주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970B1 (ko) * 2002-03-22 2004-11-18 주식회사 디피바이오텍 경조직 재생 및 증식 효과를 가지는 황칠 추출물, 황칠분획물 및 이를 함유한 약학 조성물
KR20060083915A (ko) * 2005-01-17 2006-07-21 성유경 산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322A (ko)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meeruddy et al. A review of the traditional and modern uses of Salvadora persica L.(Miswak): Toothbrush tree of Prophet Muhammad
Kukreja et al. Herbal mouthwashes-A gift of nature
RU2324472C2 (ru)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ы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на основе morinda citrifolia
JP4246736B2 (ja) 薬草の口腔歯科治療用の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CN105770191B (zh) 具有降低牙周致病菌活性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058464B1 (ko)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KR101210896B1 (ko) 매실을 함유하는 구강구취용 치약 조성물
KR102349599B1 (ko) 산초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KR102090119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20060083915A (ko) 산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6767560B2 (en) Fabrication method of oral care composition
KR101082208B1 (ko) 치약조성물
KR101216427B1 (ko) 카렌듈라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16377B1 (ko) 치아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127061A (ko) 천연식물 성분과 미네랄 염이 함유된 구강청결 기능성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373373B1 (ko)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KR102594674B1 (ko) 생약 복합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Raj et al. Herbal mouthwash.
KR101180267B1 (ko) 캐모마일을 함유하는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KR102127337B1 (ko) 천연 식물추출물 및 구운소금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632004A (zh) 一种消炎抗菌止血型牙膏
RU2500384C1 (ru) Композиция ополаскивателя для полости рта
CN110652465A (zh) 一种植物多肽护理组合物
KR102630716B1 (ko) 항균활성을 갖는 구강위생용 조성물
KR20030093891A (ko) 프로폴리스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