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551B1 - 케이블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탈피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9551B1 KR102349551B1 KR1020200055144A KR20200055144A KR102349551B1 KR 102349551 B1 KR102349551 B1 KR 102349551B1 KR 1020200055144 A KR1020200055144 A KR 1020200055144A KR 20200055144 A KR20200055144 A KR 20200055144A KR 102349551 B1 KR102349551 B1 KR 1023495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cable
- blade
- stripping devic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51—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53—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H02G1/1256—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using wire or cable-clamp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4—Concentric cables
Landscapes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피대상 케이블 직경에 따라 케이블 장착구의 크기 변경이 용이하며, 케이블 탈피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 케이블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블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탈피대상 케이블 직경에 따라 케이블 장착구의 크기 변경이 용이하며, 케이블 탈피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 케이블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거리 전력망을 구성하는 전력케이블은 일정 거리 단위로 접속이 필요하다. 전력케이블 간의 접속은 중간접속함 또는 종단접속함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접속함에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의 단부를 다단 탈피하여 접속해야 한다.
전력케이블은 압출로 구성되며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XLPE 재질의 절연층과 절연층 내부와 외부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반도전층을 구비하며, 접속함 등에서 전계 집중을 완화하기 위한 구조물인 프리몰드 조인트 등에 층별로 노출되어 밀착되어 장착하기 위해서는 절연층을 중심으로 정교하게 층별 탈피가 요구된다.
이러한 다단 탈피를 위한 케이블 탈피장치는 다양한 직경의 케이블에 적용이 가능해야 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하여 수행되는 케이블 장착구의 크기를 조절하는 작업, 조절된 케이블 장착구에 케이블을 장착하는 작업 및 케이블을 탈피하는 작업의 작업성의 향상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탈피대상 케이블 직경에 따라 케이블 장착구의 크기 변경이 용이하며, 케이블 탈피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 케이블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탈피 대상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하여 2개의 원통형 지지롤러가 나란하게 장착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분리 또는 전개가 가능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이격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마주보게 장착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원통형 지지롤러와 동일한 방향으로 2개의 원통형 지지롤러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의 케이블 장착구에 장착된 상기 케이블의 절단면 최외부 층을 제거하여 절단면과 평행한 단차가 형성되도록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깎아 탈피하는 제1 블레이드 및 케이블의 최외부 층을 외주면 접선 방향으로 깎아 제거하는 제2 블레이드가 구비된 블레이드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의 케이블 장착구에 탈피 대상 케이블을 장착한 상태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회전시켜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며 장착된 케이블을 탈피하는 케이블 탈피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장착구에 장착되는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 프레임의 거리 및 각각의 프레임에 장착된 2개의 지지롤러의 간격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에 체결되는 바 형태의 프레임 체결부 및 상기 프레임 체결부 하단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1 블레이드와 교차하도록 구비된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유닛을 구성하는 상기 프레임 체결부,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유닛을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블레이드 장착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 장착유닛은 상기 블레이드 유닛을 구성하는 제1 블레이드와 제2 블레이드의 상기 케이블 장착구 내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블레이드 유닛을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장착유닛은 상기 블레이드 유닛의 프레임 체결부를 승강 및 고정 가능한 승강 고정부 및 상기 승강 고정부를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에서 회전시켜 고정 가능한 회전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케이블 탈피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은 상기 케이블 장착구에 장착된 케이블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핸들은 관절부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 장착구에 장착된 케이블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관통하여 연결 및 고정하는 복수 개의 연결바를 구비하여, 탈피대상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바 중 일부는 볼트 방식으로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고정되고, 나머지는 너트 형태의 체결부재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바 중 너트 형태의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연결바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케이블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체결부재로 체결되되, 상기 연결바가 회전시 연결바가 프레임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프레임의 장착구는 측면이 개방된 슬롯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에 의하면, 탈피대상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지지롤러의 간격 및 프레임의 이격거리를 간편하게 조정하여 케이블 장착구의 크기 변경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에 의하면, 탈피대상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롤러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길이를 늘려 케이블 장착구의 크기 조절 작업의 작업성은 향상시키고 작업 필요 숙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에 의하면, 케이블 탈피장치를 구성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이 전개되도록 하여 탈피 대상 케이블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블 탈피장치로 탈피된 전력케이블의 하나의 실시예의 다단 탈피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케이블 탈피장치로 탈피된 전력케이블을 중간접속하기 위한 중간접속함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의 전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의 블레이드 유닛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에 전력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을 탈피하기 위하여 전력케이블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케이블 탈피장치를 이용하여 전력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을 탈피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에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을 탈피하기 위하여 전력케이블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케이블 탈피장치를 이용하여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을 탈피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케이블 탈피장치로 탈피된 전력케이블을 중간접속하기 위한 중간접속함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의 전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의 블레이드 유닛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에 전력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을 탈피하기 위하여 전력케이블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케이블 탈피장치를 이용하여 전력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을 탈피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에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을 탈피하기 위하여 전력케이블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케이블 탈피장치를 이용하여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을 탈피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블 탈피장치로 탈피된 전력케이블의 하나의 실시예의 다단 탈피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케이블(100)은 도체(11), 내부반도전층(12), 케이블 절연층(14), 외부반도전층(16)을 포함하여, 도체(11)를 따라 케이블 길이 방향으로만 전력을 전송하고, 케이블 반경 방향으로는 전류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케이블 코어부(10)를 구비한다.
상기 도체(11)는 전력을 전송하기 위해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며,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도전율이 우수하고 케이블 제조 및 사용에 적절한 강도와 유연성을 가진 소재,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체(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소선이 각각 그룹화 연선되어 집합된 집합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집합도체는 1+6 구조의 집합도체를 구성하지만, 상기 도체로서 집합도체를 구성하는 방법은 4분할, 5분할 및 1+N 분할 등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체는 복수 개의 소선이 연선되어 형성되므로 그 표면이 평활하지 않아 전계가 불균일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도체(11) 표면과 후술하는 케이블 절연층(14) 사이에 공극이 생기게 되면 절연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도체(11) 외부에는 내부반도전층(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반도전층(12)은 절연성 물질에 카본블랙, 카본 나노튜브, 카본나노플레이트, 그라파이트 등의 도전성 입자가 첨가되어 반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반도전층(12)은 상기 도체(11)와 후술하는 케이블 절연층(14) 사이에서 급격한 전계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절연성능을 안정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체(11)면의 불균일한 전하분포를 억제함으로써 전계를 균일하게 하고, 도체(11)와 케이블 절연층(14)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코로나 방전, 절연파괴 등을 억제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케이블 절연층(14)은 상기 내부반도전층(12)의 바깥쪽에 구비되어 도체(11)를 따라 흐르는 전류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준다.
상기 절연층(14)은 파괴전압이 높고, 절연성능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야 하며, 유전손실이 적고 내열성 등의 열에 대한 저항 성능을 지닌 절연 조성물로 구성되며, 상기 절연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베이스 수지, 특히 가교 폴리에틸렌(Cross-Linked PolyEthyline(XLPE))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 조성물은 무기 나노 입자 또는 유기 극성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 내지 유기 극성물질은 상기 전력케이블이 통전시 상기 도체(11)로부터 상기 절연층(14)으로 주입되거나 상기 절연층(14)의 가교시 발생하는 부산물에 의해 형성된 공간전하(space charge)를 트랩핑(trapping)함으로써, 상기 공간전하에 의해 상기 도체근방의 전계강도가 상승되고 이로써 상기 절연층의 중첩 임펄스 파괴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절연 조성물은 상기 무기 나노 입자 이외에 가교제, 산화방지제, 스코치 억제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 절연 조성물의 가교 방식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화학 가교시 디큐밀퍼옥사이드 같은 유기과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절연층의 산화에 의한 열화를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예를 들어, 페놀계, 퀴논계, 아민계 등의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코치 억제제는 상기 절연 조성물의 가교시 가교 특성의 추가 확보와 장기압출에 따른 스코치(scorch)를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절연층(14)은 상기 절연 조성물을 압출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반도전층 및 후술하는 외부반도전층(16)과 함께 압출함으로써 상기 절연층과 상기 내부반도전층 내지 외부반도전층(16) 간의 계면에 공극이 발생하거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절연층(14)의 외부에는 외부반도전층(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반도전층(16)은 내부반도전층과 같이 절연성 물질에 도전성 입자, 예를 들면 카본블랙, 카본나뉴튜브, 카본나노플레이트, 그라파이트 등이 첨가되어 반도전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절연층(14)과 후술하는 금속시스(22) 사이의 불균일한 전하 분포를 억제하여 절연 성능을 안정화한다. 또한, 상기 외부반도전층(16)은 케이블에 있어서 케이블 절연층(14)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여 전계집중을 완화시켜 코로나 방전을 방지하며, 상기 케이블 절연층(14)을 물리적으로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코어부(10)의 외부에는 케이블 보호부(20)가 구비되며, 해저에 포설되는 전력케이블(100)은 케이블 외장부(3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보호부 및 케이블 외장부는 케이블의 전력 전송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분침투, 기계적 외상, 부식 등의 다양한 환경요인으로부터 코어부를 보호한다.
상기 외부반도전층(16) 외측에 구비될 수 있는 수분 흡수부(21)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분 흡수부는 상기 도체(11)의 연선된 소선 사이 및/또는 상기 도체(11)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블에 침투한 수분을 흡수하는 속도가 빠르고, 흡수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이 우수한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SAP)를 포함하는 분말, 테이프, 코팅층 또는 필름 등의 형태로 구성되어 케이블 길이방향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수분 흡수부는 급격한 전계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보호부(20)는 수분 흡수부(21) 외측에 금속시스(22)와 고분자 시스(24)를 포함하여, 사고전류, 외력 내지 기타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한다.
상기 금속시스(22)는 상기 코어부(10)를 둘러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력케이블(100)이 해저와 같은 환경에 포설되는 경우, 수분과 같은 이물질이 상기 케이블 코어부(10)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 코어부(10)를 실링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코어부(10) 외부에 용융된 금속을 압출하여 이음새가 없는 연속적인 외면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차수성능이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금속으로는 납(Lead) 또는 알루미늄을 사용하며, 해저에 포설되는 전력케이블(100)의 경우에는 해수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한 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계적 성질을 보완하기 위해 금속 원소를 첨가한 합금 연(Lead alloy)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시스(22)는 전력케이블(100) 단부에서의 접지되어 지락 또는 단락 등의 사고 발생시 사고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고, 전계가 케이블 외부로 방전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시스(22)는 케이블의 내식성, 차수성 등을 추가로 향상시키고 상기 고분자 시스(24)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에 부식 방지 컴파운드, 예를 들어, 블로운 아스팔트 등이 도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 시스(22)와 상기 케이블 코어부(10) 사이에는 동선직입 테이프 내지 수분 흡수층(21)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선직입 테이프는 동선(Copper wire)과 부직포 테이프 등으로 구성되어 외부반도전층(16)과 금속시스(22)간의 전기적 접촉을 원활히 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수분흡수층(21)은 케이블에 침투한 수분을 흡수하는 속도가 빠르고, 흡수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이 우수한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SAP)를 포함하는 분말, 테이프, 코팅층 또는 필름 등의 형태로 구성되어 케이블 길이방향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동선직입 테이프와 수분 흡수층(21)은 급격한 전계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반도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전 및 수분흡수 작용을 모두 할 수 있도록, 수분 흡수층에 동선을 포함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고분자 시스(24)는 상기 금속시스(22)의 외부에 형성되어 케이블의 내식성, 차수성 등을 향상시키고, 기계적 외상 및 열, 자외선 등의 기타 외부 환경 요인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시스(24)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해저에 포설되는 전력케이블(100)의 경우에는 차수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난연성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력케이블(100)은 상기 고분자 시스(24)의 외측에 아연도금 처리된 강철 테이프 등으로 구성되는 금속강대층(26)을 구비하여, 상기 절연유의 팽창에 의해 상기 금속시스(22)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강대층(26)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는 반도전성 부직포 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져 전력케이블(100)에 가해지는 외력을 완충하는 베딩층(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으며, 폴리염화비닐 내지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구성되는 외부 시스(28)를 더 구비하여 전력케이블(100)의 내식성, 차수성 등을 더욱 향상시키고, 기계적 외상 및 열, 자외선 등의 기타 외부 환경 요인으로부터 케이블을 추가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해저에 포설되는 해저용 전력케이블은 선박의 닻 등에 의해 외상을 입기 쉬우며, 해류나 파랑 등에 의한 굽힘력, 해저면과의 마찰력 등에 의해서도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를 막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 보호부의 외부에 케이블 외장부(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력케이블은 일정 길이 단위로 제조되어 보빈 등에 권취되어 포설 현장에 제공되어 중간접속함을 통해 중간접속이 수행되거나, 종단접속함을 통해 종단접속이 수행되어 전력망을 구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케이블 탈피장치로 탈피된 전력케이블을 중간접속하기 위한 중간접속함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중간접속함으로 접속되는 도 1에 도시된 전력케이블은 절연층이 가교 폴리에틸렌(Cross-Linked PolyEthyline(XLPE))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중간접속함은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를 감싸는 조인트 슬리브(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슬리브(400)는 한 쌍의 전력케이블(100A, 100B)과 전술한 도체 접속구조를 감싸는 상온에서 수축가능한 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리몰드 조인트(pre-molded joint)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슬리브(400)는 상기 도체 접속구조 외측에 장착되어, 슬리브 부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압전극(430)과 한 쌍의 상기 전력케이블의 외부 반도전층에 접촉되는 한 쌍의 차폐전극(440) 그리고 상기 고압전극(430),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및 상기 차폐전극(440)을 감싸는 슬리브 절연층(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슬리브를 구성하는 상기 고압전극(430) 및 차폐전극(440)은 그 사이에서 전계가 국부적으로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퍼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전극(430)은 반도전 물질로 이루어지고 슬리브 부재(200)를 매개로 전력케이블의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차폐전극(440)도 마찬가지로 반도전 물질로 이루어지며 전력케이블의 외부 반도전층(16a, 16b)과 연결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전력케이블 중간접속함 내부에서 전계분포는 상기 고압전극(430)과 상기 차폐전극(440) 사이를 따라 분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전극(430),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14a, 14b) 및 상기 차폐전극(440)을 감싸는 슬리브 절연층(430)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절연층(14a, 14b)과 접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중간접속함(600)은 상기 조인트슬리브(400)를 감싸는 소위 '코핀박스(coffin box)' 또는 '금속 케이싱(metal casing)'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하우징(200)과 상기 조인트슬리브(400) 사이의 공간에는 방수재(미도시) 등이 충진되어 중간접속함을 완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간접속함(600) 내부에서 접속되는 전력케이블은 조인트 슬리브(4000)의 고압전극에는 슬리브 부재(200)의 외주면과 절연체의 외주면이 밀착되어야 하고, 차폐전극에는 외부 반도전층이 균일하게 밀착되어야 하므로, 중간접속을 위해서 전력케이블은 정교하게 미리 결정된 영역이 순차적으로 다단 탈피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절연체 및 반도전층은 내부 빈공간이 발생되도록 압출되어 구성되므로, 커터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수작업 만으로 탈피가 쉽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작업자의 통제 하에 전력케이블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탈피할 수 있는 케이블 탈피장치를 제안한다.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700)의 전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700)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700)의 블레이드 유닛(720)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700)는 탈피 대상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하여 2개의 원통형 지지롤러(705)가 나란하게 장착되는 제1 프레임(710a); 상기 제1 프레임(710a)으로부터 분리 또는 전개가 가능하며, 상기 제1 프레임(710a)과 이격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710a)에 마주보게 장착되고, 상기 제1 프레임(710a)의 원통형 지지롤러(705)와 동일한 방향으로 2개의 원통형 지지롤러(703)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프레임(710b); 상기 제1 프레임(710a) 또는 상기 제2 프레임(710b)에 장착되어, 상기 제1 프레임(710a)과 상기 제2 프레임(710b) 사이의 케이블 장착구(S)에 장착된 상기 케이블의 절단면 최외부 층을 제거하여 절단면과 평행한 단차가 형성되도록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깎아 탈피하는 제1 블레이드(723) 및 케이블의 최외부 층을 외주면 접선 방향으로 깎아 제거하는 제2 블레이드(725)가 구비된 블레이드 유닛(720);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710a)과 상기 제2 프레임(710b) 사이의 케이블 장착구(S)에 탈피 대상 케이블을 장착한 상태로 상기 제1 프레임(710a)과 상기 제2 프레임(710b)을 회전시켜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며 장착된 케이블을 탈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700)는 전력케이블 등의 중간접속 또는 종단접속을 위하여 중간접속함 또는 종단접속함의 슬리브부재에 달피된 도체를 삽입 및 압착 등의 방법으로 접속하여 도체접속부를 구성한 후 도체접속부, 절연체 및 외부반도전층을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리몰드 조인트 방식의 조인트 슬리브로 감싼 후 하우징 등을 장착하여 접속함을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대상 케이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 탈피가 수행되어야 하며, 접속함 내부에서 프리몰드 조인트로 감싸지는 영역은 특정 영역에 전계가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탈피 작업의 정밀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전력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 및 절연층의 탈피작업은 정밀한 수작업으로 수행되되, 작업자의 숙련도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70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700)는 탈피 대상 케이블을 장착할 수 있는 케이블 장착구(S)를 형성하는 제1 프레임(710a)과 제2 프레임(710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710a)은 탈피 대상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하여 2개의 원통형 지지롤러(705)가 나란하게 장착될 수 있고, 제2 프레임(710b)은 상기 제1 프레임(710a)으로부터 분리 또는 전개가 가능하고, 상기 제1 프레임(710a)과 이격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710a)에 마주보게 장착되고, 상기 제1 프레임(710a)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 프레임(710a)의 원통형 지지롤러와 동일한 방향으로 2개의 원통형 지지롤러(703)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프레임(710a)과 제2 프레임(710b)에 장착된 4개의 지지롤러(705, 703)는 케이블 장착구(S)에 장착되는 탈피대상 케이블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장착구(S)에 장착된 케이블의 직경의 크기가 변화되면, 상기 제1 프레임(710a)과 제2 프레임(710b)의 이격 거리를 변경함과 동시에 각각의 프레임에 구비된 지지롤러(705, 703)의 간격을 조절하여, 케이블 장착구(S)에 장착된 탈피 대상 케이블의 직경이 변경되어도 탈피 대상 케이블의 외주면을 등각도 간격으로 4지점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레임에 지지롤러의 회전축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도면부호 미도시)가 체결되는 체결구(712)는 장공 형태로 구성되어 지지롤러의 간격을 조절하여 재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제1 프레임에서 2개의 지지롤러는 각각 2개의 고정부재를 풀어 장공 형태의 체결구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지지롤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700)는 상기 제1 프레임(710a) 또는 상기 제2 프레임(710b)에 장착되어, 상기 제1 프레임(710a)과 상기 제2 프레임(710b) 사이의 케이블 장착구(S)에 장착된 상기 케이블의 단차가 형성된 단차부의 단차면을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깎아 제거하는 제1 블레이드(723) 및 케이블의 외주면을 접선방향으로 깎아 제거하는 제2 블레이드(725)가 구비된 블레이드 유닛(72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 유닛(720)은 단차를 형성하도록 단차면을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깎는 제1 블레이드(723)와 케이블의 특정층의 외주면을 접선 방향으로 깎아 제거하는 제2 블레이드(725)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블레이드(723)는 전력케이블 등에서 절연층과 같이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진 층을 제거하기 위하여 단차면을 형성하며 회전하여 층을 제거하고, 제2 블레이드(725)는 전력케이블 등에서 외부반도전층과 같이 상대적으로 두께가 작은 층을 제거하기 위하여 해당 층을 접선 방향으로 껍질을 벗기듯 층을 제거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레이드 유닛(720)은 상기 블레이드 유닛(720)은 상기 제1 프레임(710a) 또는 제2 프레임(710b)에 체결되는 바 형태의 프레임 체결부(721) 및 상기 프레임 체결부(721) 하단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블레이드(723) 및 상기 제1 블레이드(723)와 교차하도록 구비된 제2 블레이드(7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블레이드(725)는 상기 제1 블레이드(723)와 교차되도록 구비되는 예로서 상기 제2 블레이드(725)는 상기 제1 블레이드(723)와 90도 각도를 형성하며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유닛(720)을 구성하는 상기 프레임 체결부(721), 상기 제1 블레이드(723) 및 상기 제2 블레이드(725)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 블레이드(725)는 상기 제1 블레이드(723)에서 절곡되어 상기 케이블 장착구(S)에 장착된 전력케이블의 외주면의 접선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블레이드(725)는 접선 방향 탈피에 용이하도록 상방향으로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유닛(7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태의 프레임 체결부(721)의 하부 측면의 두께를 측면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블레이드 가공을 통해 제1 블레이드(723)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블레이드(725)는 상기 제1 블레이드(723)에서 90도로 교차되어 연장된 부분의 측면을 블레이드 가공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유닛(720)을 상기 제1 프레임(710a) 또는 상기 제2 프레임(710b)에 장착하기 위한 블레이드 장착유닛(730)을 더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 장착유닛(730)은 상기 블레이드 유닛(720)을 구성하는 제1 블레이드(723)와 제2 블레이드(725)의 상기 케이블 장착구(S) 내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블레이드 유닛(720)을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장착유닛(730)은 제1 프레임(710a) 또는 제2 프레임(710b)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제1 프레임(710a)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블레이드 장착유닛(730)은 상기 블레이드 유닛(720)을 구성하는 제1 블레이드(723)와 제2 블레이드(725)의 상기 케이블 장착구(S) 내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블레이드 유닛(72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유닛(720)을 구성하는 제1 블레이드(723)와 제2 블레이드(725)의 상기 케이블 장착구(S) 내의 위치는 제1 프레임(710a) 또는 제2 프레임(710b)에 대한 프레임 체결부(721)의 체결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700)는 상기 블레이드 장착유닛(730)은 상기 블레이드 유닛(720)의 프레임 체결부(721)를 승강시켜 고정 가능한 승강 고정부(731) 및 상기 승강 고정부(731)를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에서 회전시켜 고정 가능한 회전 고정부(7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고정부(731)는 블레이드 유닛(720)의 프레임 체결부(721)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도록 하여 상기 블레이드 유닛(720)을 구성하는 제1 블레이드(723)와 제2 블레이드(725)의 상기 케이블 장착구(S) 내에서의 높이 등을 조절하여 탈피 대상 케이블의 탈피되는 층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 블레이드(723)와 제2 블레이드(725)의 위치를 조절 및 고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고정부(733)는 예를 들면, 제1 블레이드(723)의 방향 등을 미세하게 조절하여 한 번에 탈피 가능한 층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블레이드가 통과하며 한 번에 탈피 가능한 층의 두께와 케이블 탈피장치(700)를 회전시키는 힘 또는 토크가 비례하게 되므로, 탈피되는 층의 재질 등을 고려하여 상기 회전 고정부(733)에 의하여 블레이드의 탈피 각도를 조절한 후 조절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블레이드(725) 역시 방향에 따라 제2 블레이드(725)가 통과하며 한 번에 탈피되는 층의 버(burr)의 폭을 결정할 수 있고, 제2 블레이드(725)가 통과하며 한번에 탈피되는 층의 버의 폭은 탈피되는 층의 재질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고정부는 플레임 체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2개(731a, 731b)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그 개수는 증감 가능하고, 복수 개의 승강 고정부(731)는 상호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승강 고정부(731)는 상기 회전 고정부(733)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 고정부(733)의 조절레버를 풀어 조절레버(733l)에 연결된 조절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 고정부(733)를 회전시켜 블레이드의 방향을 설정한 후 조절레버를 잠궈 블레이드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프레임(710a) 또는 상기 제2 프레임(710b)에 케이블 탈피장치(7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7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740)은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탈피장치(700)의 케이블 장착구(S)에 탈피 대상 케이블을 장착한 상태에서 케이블 탈피장치(70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740)은 상기 케이블 장착구(S)에 장착된 케이블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 프레임(710a) 또는 상기 제2 프레임(710b)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장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핸들(740)은 관절부(741)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 장착구(S)에 장착된 케이블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케이블 탈피장치(700)의 회전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700)는 탈피대상 케이블의 직경에 대응하여 각각의 프레임에 구비된 지지롤러(705, 703)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케이블 탈피장치(700)를 구성하는 제1 프레임(710a)과 제2 프레임(710b)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프레임(710a)과 상기 제2 프레임(710b)을 관통하여 연결 및 고정하는 복수 개의 연결바(750, 760)를 구비하여, 탈피대상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710a)과 상기 제2 프레임(710b)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바 중 일부(750)는 볼트 방식으로 양 프레임을 관통하여 반대편 프레임에 고정되고, 나머지(760)는 너트 형태의 체결부재(770)로 고정되며, 볼트 방식으로 고정되는 연결바(750)는 프레임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체결부재(770)로 고정되는 연결바(760)의 개수가 더 많이 구비되어 케이블 장착구(S)에 장착된 케이블을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조이기 위한 목적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700)에 전력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을 탈피하기 위하여 전력케이블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케이블 탈피장치(700)를 이용하여 전력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16)을 탈피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중간접속 또는 종단접속을 위한 접속함 내부에서,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도체는 슬리브 부재로 접속되고,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각각의 절연층과 외부반도전층은 프리몰드 조인트 형태의 조인트 슬리브로 접속되므로, 접속되는 한 쌍의 전력 케이블은 다단 탈피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반도전층은 절연층 외측을 감싸며 전계 집중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다. 따라서, 외부반도전층과 같이 얇은 층을 탈피하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 유닛(720)을 구성하는 제2 블레이드(725)를 이용하여 탈피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탈피장치(700)를 회전시키는 경우 블레이드 유닛(720)을 구성하는 제2 블레이드(725)의 위치가 전력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은 제거하되 절연층은 손상되지 않는 위치가 되도록 상기 블레이드 유닛(720)의 케이블 장착구(S) 내의 위치를 상기 블레이드 장착유닛(730)을 구성하는 승강 고정부(731)를 이용하여 조절한다.
즉, 상기 승강 고정부(731)의 잠금장치를 풀어 블레이드 유닛(720)의 프레임 고정부를 승강시켜 프레임 고정부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며 블레이드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2 블레이드(725)의 위치의 조절이 완료된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탈피장치(700)의 프레임에 구비된 핸들(740)을 돌려 케이블 탈피장치(700)를 회전시키면 제2 블레이드(725)는 전력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만 탈피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 장착유닛(730)은 각각의 블레이드의 방향이 미세하게 변경되도록 블레이드 유닛(720)을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으므로, 탈피로 발생되는 버(16')의 폭을 조절함과 동시에 탈피 방향을 원주 방향에서 미세하게 나선형으로 변경 가능하고, 그로 인해 케이블 탈피장치(700)의 회전만으로도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탈피층이 연속적으로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핸들(740)을 회전시켜 케이블 탈피장치(70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일정한 추진력으로 케이블 내측방향으로 케이블 탈피장치(700)를 추진하는 경우,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탈피 대상층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블레이드(725)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반도전층 외에도 절연층을 제1 블레이드(723)를 제거한 후 내부반도전층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700)에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을 탈피하기 위하여 전력케이블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케이블 탈피장치(700)를 이용하여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을 탈피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은 외부반도전층 내측에 구비된 층으고 두께가 외부반도전층보다 훨씬 두꺼워 케이블의 최외부 층을 외주면 접선 방향으로 깎아 제거하는 제2 블레이드(725)로 탈피할 수 없고, 상기 케이블의 절단면의 최외부층을 제거하여 절단면과 평행한 단차가 형성되도록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깎아 탈피하는 제1 블레이드(723)를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절연층을 탈피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의 절단면의 최외부층으로서의 절연층과 절연층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반도전층이 제거되도록 상기 제1 블레이드(723)의 위치를 설정한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탈피장치(700)의 핸들(740)을 회전시키면 절연층과 외부반도전층이 제거되며 전력케이블의 단부가 단차가 형성되며 탈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장착유닛(730)은 각각의 제1 블레이드(723)의 방향이 미세하게 변경되도록 블레이드 유닛(720)을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으므로, 탈피로 발생되는 버(14')의 두께를 조절함과 동시에 탈피 방향을 원주 방향에서 미세하게 나선형으로 변경가능하고, 그로 인해 케이블 탈피장치(700)의 회전만으로도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탈피층이 연속적으로 제거되도록 할 수 있음은 제2 블레이드(725)와 마찬가지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바(750, 760) 중 너트 형태의 체결부재(770)로 고정되는 연결바(760)의 일단은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케이블 장착구(S)에 장착된 탈피 대상 케이블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체결부재(770)로 체결되되, 상기 연결바(760)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 연결바가 프레임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프레임의 장착구(714)는 측면이 개방된 슬롯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탈피 대상 케이블을 장착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방식으로 프레임을 연결 및 고정하는 연결바는 반대편 프레임에서 분리하고, 체결부재(770)로 고정되는 프레임의 장착구(714)가 슬롯이 형성된 경우 연결바가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부재를 풀어 연결바(760)가 슬롯 형태의 장착구(714)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제1 프레임(710a)과 제2 프레임(710b) 사이의 케이블 장착구(S)가 개방되도록 하여 케이블 장착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만일, 양 프레임을 완전히 분리하거나 분리가 불가능하여 케이블을 장착구에 맞춰 삽입해야 하는 경우, 작업자 1인의 단독 작업이 어려워 작업성이 나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양 프레임을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케이블 장착구(S)를 기준으로 한 쪽만 개방 및 전개되도록 하여 케이블 장착구(S)에 케이블을 장착하고 다시 연결바를 장착 및 체결하여 케이블 장착하도록 하여 케이블 장착 작업의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케이블
600 : 중간접속함
700 : 케이블 탈피장치
710 : 프레임
720 : 블레이드 유닛
703, 705 : 지지롤러
600 : 중간접속함
700 : 케이블 탈피장치
710 : 프레임
720 : 블레이드 유닛
703, 705 : 지지롤러
Claims (12)
- 탈피 대상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하여 2개의 원통형 지지롤러가 나란하게 장착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분리 또는 전개가 가능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이격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마주보게 장착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원통형 지지롤러와 동일한 방향으로 2개의 원통형 지지롤러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의 케이블 장착구에 장착된 상기 케이블의 절단면 최외부 층을 제거하여 절단면과 평행한 단차가 형성되도록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깎아 탈피하는 제1 블레이드 및 케이블의 최외부 층을 외주면 접선 방향으로 깎아 제거하는 제2 블레이드가 구비된 블레이드 유닛; 및,
상기 케이블 장착구에 장착된 케이블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의 폭방향 단부에 장착되는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의 케이블 장착구에 탈피 대상 케이블을 장착한 상태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회전시켜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며 장착된 케이블을 탈피하며,
상기 핸들은 관절부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 장착구에 장착된 케이블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탈피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장착구에 장착되는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 프레임의 거리 및 각각의 프레임에 장착된 2개의 지지롤러의 간격을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탈피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에 체결되는 바 형태의 프레임 체결부 및 상기 프레임 체결부 하단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1 블레이드와 교차하도록 구비된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탈피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유닛을 구성하는 상기 프레임 체결부,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탈피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유닛을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블레이드 장착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 장착유닛은 상기 블레이드 유닛을 구성하는 제1 블레이드와 제2 블레이드의 상기 케이블 장착구 내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블레이드 유닛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탈피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장착유닛은 상기 블레이드 유닛의 프레임 체결부를 승강 및 고정 가능한 승강 고정부 및 상기 승강 고정부를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에서 회전시켜 고정 가능한 회전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탈피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관통하여 연결 및 고정하는 복수 개의 연결바를 구비하여, 탈피대상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탈피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 중 일부는 볼트 방식으로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고정되고, 나머지는 너트 형태의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탈피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 중 너트 형태의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연결바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케이블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체결부재로 체결되되, 상기 연결바가 회전시 연결바가 프레임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프레임의 장착구는 측면이 개방된 슬롯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탈피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5144A KR102349551B1 (ko) | 2020-05-08 | 2020-05-08 | 케이블 탈피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5144A KR102349551B1 (ko) | 2020-05-08 | 2020-05-08 | 케이블 탈피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7324A KR20210137324A (ko) | 2021-11-17 |
KR102349551B1 true KR102349551B1 (ko) | 2022-01-11 |
Family
ID=78703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5144A KR102349551B1 (ko) | 2020-05-08 | 2020-05-08 | 케이블 탈피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955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642539B (zh) * | 2022-12-26 | 2023-03-10 | 河南勇威特种设备有限公司 | 一种防线芯切伤的电池线剥离装置 |
CN116435910B (zh) * | 2023-03-31 | 2023-09-29 |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大兴安岭供电公司 | 一种电缆检修施工安全管理装置及方法 |
CN116386941B (zh) * | 2023-04-18 | 2023-12-15 | 江苏凯达电缆有限公司 | 一种低压柔性电缆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60548B2 (ja) * | 1997-04-11 | 2001-04-25 | 進太郎 ▲つし▼馬 | 魚 道 |
JP3160548U (ja) * | 2010-03-10 | 2010-07-01 | 株式会社古川電機製作所 | ケーブルの絶縁体剥ぎ取り装置 |
KR101436026B1 (ko) * | 2014-04-25 | 2014-09-01 | 대원전기 주식회사 | 지중케이블용 초정밀 피박기 및 그 피박기를 이용한 지중케이블 피박 공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9020A (ja) * | 1995-06-29 | 1997-01-17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ケーブル導体むき出し装置 |
KR101379028B1 (ko) * | 2012-05-09 | 2014-03-2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
-
2020
- 2020-05-08 KR KR1020200055144A patent/KR10234955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60548B2 (ja) * | 1997-04-11 | 2001-04-25 | 進太郎 ▲つし▼馬 | 魚 道 |
JP3160548U (ja) * | 2010-03-10 | 2010-07-01 | 株式会社古川電機製作所 | ケーブルの絶縁体剥ぎ取り装置 |
KR101436026B1 (ko) * | 2014-04-25 | 2014-09-01 | 대원전기 주식회사 | 지중케이블용 초정밀 피박기 및 그 피박기를 이용한 지중케이블 피박 공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7324A (ko) | 2021-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49551B1 (ko) | 케이블 탈피장치 | |
US6455769B1 (en) | Electrical cable having a semiconductive water-blocking expanded layer | |
KR20060056953A (ko) | 전기 케이블의 연속적인 제조방법 | |
WO2017043780A1 (ko) | 필러 및 이를 구비한 다심 케이블 | |
EP3387655B1 (en) | Fire resistant electric cable | |
US20180190409A1 (en) | Electric Power Cable An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e Power Cable | |
KR102386729B1 (ko) |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상기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 | |
US9966674B2 (en) | Termination kit for DC cable | |
KR20210081956A (ko) | 해저 케이블 | |
US10957469B2 (en) | High voltage three-phase cable | |
KR20210120368A (ko) |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중간접속함 | |
KR102386728B1 (ko) |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용 중간접속함 및 이를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접속시스템 | |
RU2700506C1 (ru) | Токопровод | |
CN208157098U (zh) | 一种防雷直埋电缆 | |
EP3973556B1 (en) | Hvdc power cable with water-blocking capability | |
KR20190110301A (ko) | 케이블용 개재 및 이를 구비한 해저 케이블 | |
KR101594996B1 (ko) | 특고압용 절연 3심 케이블 | |
CN112017819A (zh) | 一种电气接触性阻水型高压电力电缆 | |
WO2003046592A1 (en) | Method for testing an electrical cable, modified electrical cable and process for producing it | |
KR20230105846A (ko) | 케이블 탈피장치 | |
KR102342534B1 (ko) |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 | |
EP3611737B1 (en) | Joint box for ultra-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and ultra-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comprising same | |
KR20200122500A (ko) | 전력케이블 중간접속부의 몰딩 시스템 | |
JP2004119090A (ja) | 防水形ケーブル | |
CN213844842U (zh) | 一种阻水电缆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