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534B1 -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 - Google Patents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534B1
KR102342534B1 KR1020170028535A KR20170028535A KR102342534B1 KR 102342534 B1 KR102342534 B1 KR 102342534B1 KR 1020170028535 A KR1020170028535 A KR 1020170028535A KR 20170028535 A KR20170028535 A KR 20170028535A KR 102342534 B1 KR102342534 B1 KR 102342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conductor compression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1946A (ko
Inventor
채병하
강채홍
윤현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8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534B1/ko
Publication of KR20180101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0Contact cables, i.e. having conductors which may be brought into contact by distortion of the cable
    • H01B7/104Contact cables, i.e. having conductors which may be brought into contact by distortion of the cable responsiv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36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6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체 압착슬리브의 다듬질 공정에서 도체 압착 슬리브의 표면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Apparatus for trimming compressing sleeve}
본 발명은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은 전력 케이블 내부의 도체를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시스템로서, 상기 전력케이블의 말단을 서로 접속시키는 중간접속함(Joint box)이나, 또는 상기 전력케이블과 가공선을 접속시키는 종단접속함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서로 연결시키는 도체 압착슬리브가 중간접속함에 구비된다.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압착슬리브에 의해 압착하여 연결한 후, 압착슬리브의 표면을 일정 두께로 다듬질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케이블의 양쪽 도체에 압착슬리브를 끼우고, 육각 다이스로 압착하여 쐐기를 형성한 후, 원형다이스로 재압착을 수행한다. 이후 그라인더로 압착슬리브의 표면을 1차 다듬질을 실행하고, 다음으로 샌드페이퍼로 2차 다듬질을 실행하여 압착슬리브의 표면을 평활하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체 압착슬리브의 그라인더 다듬질 공정 및 샌드페이퍼 다듬질 공정은 대부분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작업에 의한 다듬질 공정이 이루어지는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압착슬리브의 표면 편차가 크게 나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압착슬리브의 표면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압착슬리브 상의 지권이 곤란하며, 압착슬리브의 표면 편차가 있는 상태에서 지권이 이루어지면 지권 후 공극이 발생하여 공극에서의 절연파괴로 접속함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체 압착슬리브의 다듬질 공정에서 도체 압착 슬리브의 표면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는, 서로 분리된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 각각의 도체가 도체 압착슬리브에 끼워져 서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외주면을 다듬질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외주면을 절삭하는 절삭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길이방향에 교차하여 배치되며, 상기 절삭부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일단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1 케이블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타단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2 케이블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지지부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는 가이드부;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는,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가 관통할 수 있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가 상기 중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중심축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표면을 절삭하는 절삭팁; 상기 디스크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디스크 기어; 상기 디스크 기어와 치합되는 모터 기어; 및 상기 모터 기어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가 위치할 수 있도록 만곡부가 형성된 소리굽쇠 형상의 지지 몸체부; 및 상기 디스크의 외측부에 접하도록 상기 지지 몸체부 상에 배치되는 복 수개의 지지 롤러;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외측면과 상기 롤러의 외측면은 서로 요철 형상으로 맞물릴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케이블이 위치하도록 U자 형상의 만곡부를 갖는 제1 고정 몸체부; 및 상기 제1 고정 몸체부에 위치한 상기 제1 케이블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고정 가압부;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케이블이 위치하도록 U자 형상의 만곡부를 갖는 제2 고정 몸체부; 및 상기 제2 고정 몸체부에 위치한 상기 제1 케이블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고정 가압부;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도록 세워져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한쌍의 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다듬질 공정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자의 수련도와 관계없이 도체 압착슬리브의 표면 편차가 최소화되며, 이에 따라 도체 압착슬리브의 지권 후 공극 발생이 감소하여 공극에 의한 접속함의 절연파괴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절연유 함침 케이블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절개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체 압착슬리브의 의해 한 쌍의 도체(11, 1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우측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좌측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절연유 함침 케이블은 수백m 내지는 수km 간격으로 중간접속함에 의해 접속이 이루어지며, 절연유 함침 케이블의 말단은 종단접속함에 의해 가공선과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먼저 절연유 함침 전력케이블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어서 접속함의 연결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케이블(50)은 도체(11), 내부반도전층(12), 절연층(14), 외부반도전층(16)을 포함하여, 도체(11)를 따라 케이블 길이 방향으로만 전력을 전송하고, 케이블 반경 방향으로는 전류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케이블 코어부(10)를 구비한다.
상기 도체(11)는 전력을 전송하기 위해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며,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도전율이 우수하고 케이블 제조 및 사용에 적절한 강도와 유연성을 가진 소재,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체(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중심소선(11A)과 상기 원형 중심소선(11A)을 감싸도록 연선된 평각소선(11B)으로 이루어진 평각소선층(11C)을 구비하며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평각도체일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복수개의 원형소선을 연선하여 원형으로 압축한 원형 압축도체일 수 있다. 상기 평각도체는 원형 압축도체에 비하여 점적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케이블 외경을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도체(11)는 복수개의 소선이 연선되어 형성되므로 그 표면이 평활하지 않아 전계가 불균일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도체(11) 표면과 후술하는 절연층(14) 사이에 공극이 생기게 되면 절연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도체(11) 외부에는 내부반도전층(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반도전층(12)은 절연성 물질에 카본블랙, 카본 나노튜브, 카본나노플레이트, 그라파이트 등의 도전성 입자가 첨가되어 반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반도전층(12)은 상기 도체(11)와 후술하는 절연층(14) 사이에서 급격한 전계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절연성능을 안정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체면의 불균일한 전하분포를 억제함으로써 전계를 균일하게 하고, 도체(11)와 절연층(14)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코로나 방전, 절연파괴 등을 억제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절연층(14)은 상기 내부반도전층(12)의 바깥쪽에 구비되어 도체(11)를 따라 흐르는 전류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준다.
상기 절연층(14)은 절연유에 함침된 절연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절연층(14)은 상기 내부반도전층(12)을 둘러싸도록 절연지가 다층으로 권취되고, 상기 케이블 코어부가 형성된 후 절연유에 함침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연유가 절연지에 흡수되는바, 절연층(14)의 절연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절연유는 상기 절연지 내부의 공극 및 상기 절연지를 권취하여 형성된 층간의 틈에 충진되어 절연특성을 향상시키며, 케이블의 굽힘시 상기 절연지간의 마찰력을 저감시켜 케이블의 굴곡 특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절연유는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상기 도체(11)를 구성하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접촉하여 열에 의해 산화되지 않아야 하며, 상기 절연지를 용이하게 함침할 수 있도록 함침온도, 예를 들어 100℃에서는 충분히 낮은 점도를 가지며, 60℃에서의 동점도가 10~500 센티스토크(centistoke)인 중점도 절연유 또는 60℃에서의 동점도가 500 센티스토크 이상인 고점도의 절연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대적으로 점도가 낮은 저점도 절연유를 사용하는 경우, 절연지가 절연유에 함침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절연유의 유동에 의해 절연층에 공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급유설비 등을 사용하여 절연유를 가압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중점도 또는 고점도 절연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절연유의 유동이 적기 때문에 절연유를 가압하기 위한 급유설비가 필요없거나, 필요한 급유설비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케이블 연장길이를 길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유는 나프텐계 절연유, 폴리스틸렌계 절연유, 광유, 알킬 벤젠이나 폴리부텐계 합성유, 중질 알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절연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절연지는 크래프트 펄프(Kraft pulp)를 원료로 하여 펄프 중의 유기 전해질을 제거한 크래프트지(Kraft paper) 또는 플라스틱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크래프트지를 접착한 복합절연지일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그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되는 크래프트지 보다 큰 저항률을 가져 함침공정 또는 케이블 작동시 절연유의 유동에 따라 크래프트지에 기포가 생성되더라도 그 기포에 분담되는 전압을 완화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Polyethylen),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부틸렌(Polybutylen)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나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폴리프로필렌(Tetrafluoroethylene-Hexafluoropropylene) 공중합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hylen-tetrafluoroethylene) 공중합체 등의 불소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층(14)은 크래프트지만을 권취하고, 절연유에 함침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연유가 케이블 하중방향으로 절연유가 유동하여 공극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복합 절연지를 권취하고, 절연유에 함침시켜 상기 절연층(14)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는 절연유에 함침되지 않으며, 케이블 제조시의 함침 온도 또는 케이블 작동시의 작동 온도에 따라 열팽창을 하게 된다. 열가소성 수지가 열팽창을 하게 되면 이에 적층된 크래프트지에 면압을 가하게 되어 절연유의 이동 통로를 협소하게 하므로 중력에 따른 절연유 유동 또는 온도에 따른 절연유의 수축/팽창에 유동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복합 절연지는 크래프트지 보다 절연내력이 높아 케이블 외경을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전력 케이블을 통전시키는 경우,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는 도체에 열이 발생하며, 케이블 반경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온도가 점차 낮아지게 되어 상기 절연층(14)에서도 온도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도체 직상구간에 속하는 절연층, 즉 내부반도전층(12) 상에 형성되는 절연층의 절연유는 점도가 낮아지고 열팽창을 하여 바깥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케이블 온도 하강시에는 이동한 절연유의 점도가 높아지고 원래대로 되돌아가지 않게 되어 도체 직상 구간의 절연층 부분에 공극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차이에 따라 점차 전계가 역전되어 작용하는 전계가 점차 높아지는 금속시스 직하구간에 속하는 절연층, 즉 외부반도전층(16) 방향으로 형성되는 절연층에는 높은 전계가 작용하게 된다. 상기 도체 직상구간 및 금속시스 직하구간은 공극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케이블 내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고전계가 작용하는 영역으로 부분방전, 절연파괴 등의 기점이 되는 절연 취약부로 작용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절연층(14) 중 상기 절연 취약부를 포함하는 영역에는 절연지로 크래프트지만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절연층(14)을 상기 내부반도전층(12)에서 후술하는 외부반도전층(16) 방향으로 제1 절연층, 제2 절연층 및 제3 절연층으로 구분하여 제1 절연층 및/또는 제3 절연층에는 크래프트지만을 사용하며, 제2 절연층에는 상기 복합 절연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복합절연지가 권취된 제2 절연층과 크래프트지가 권취된 제1 절연층 및/또는 제3 절연층 간에 저항률 차이가 발생하며, 저항률이 낮은 크래프트지가 권취된 상기 절연층(14)의 제1 절연층 및/또는 제3 절연층은 저항률이 상대적으로 낮아 상기 절연 취약부에 분담되는 전계를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구체적으로, 저항률에 따라 전계가 분포되는 직류 케이블의 저항성 전계분포 특성상 저항률이 높은 복합 절연지가 권취된 상기 제2 절연층에 높은 전계가 작용하며, 상기 제1 절연층 및/또는 제3 절연층에 포함된 도체 직상구간 및/또는 금속시스 직하구간에 상대적으로 낮은 전계가 작용하므로 절연 취약부에 작용하는 전계가 완화되어 절연 성능을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14)은 제3 절연층을 제1 절연층 보다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14)의 외부에 후술하는 금속시스(22)를 형성하거나, 케이블 코어부가 내측부터 순차적으로 노출된 두 개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한 후 금속시스(22)을 복원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가해지는 열이 상기 절연층(14)의 제2 절연층에 인가되어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절연층보다 제2 절연층을 두껍게 형성하여 제2 절연층의 플라스틱 필름을 열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 절연층의 두께는 전력 케이블에 요구되는 임펄스 서지 전압 등을 고려하여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14)의 외부에는 외부반도전층(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반도전층(16)은 내부반도전층과 같이 절연성 물질에 도전성 입자, 예를 들면 카본블랙, 카본나뉴튜브, 카본나노플레이트, 그라파이트 등이 첨가되어 반도전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절연층(14)과 후술하는 금속시스(22) 사이의 불균일한 전하 분포를 억제하여 절연 성능을 안정화한다. 또한, 상기 외부반도전층(16)은 케이블에 있어서 절연층(14)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여 전계집중을 완화시켜 코로나 방전을 방지하며, 상기 절연층(14)을 물리적으로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반도전층(16)은 금속화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금속화지는 크래프트지에 알루미늄 박막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층(14)의 절연유 함침이 용이하도록 복수개의 천공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코어부(10)는 케이블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분 흡수부(21)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분 흡수부는 상기 도체(11)의 연선된 소선 사이 및/또는 상기 도체(11)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블에 침투한 수분을 흡수하는 속도가 빠르고, 흡수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이 우수한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SAP)를 포함하는 분말, 테이프, 코팅층 또는 필름 등의 형태로 구성되어 케이블 길이방향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수분 흡수부는 급격한 전계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코어부(10)의 외부에는 케이블 보호부(20)가 구비되며, 해저에 포설되는 전력케이블은 케이블 외장부(3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보호부 및 케이블 외장부는 케이블의 전력 전송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분침투, 기계적 외상, 부식 등의 다양한 환경요인으로부터 코어부를 보호한다.
상기 케이블 보호부(20)는 금속시스(22)와 고분자 시스(24)를 포함하여, 사고전류, 외력 내지 기타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한다.
상기 금속시스(22)는 상기 코어부(10)를 둘러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력 케이블이 해저와 같은 환경에 포설되는 경우, 수분과 같은 이물질이 상기 케이블 코어부(10)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 코어부(10)를 실링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코어부(10) 외부에 용융된 금속을 압출하여 이음새가 없는 연속적인 외면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차수성능이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금속으로는 납(Lead) 또는 알루미늄을 사용하며, 해저에 포설되는 전력 케이블의 경우에는 해수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한 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계적 성질을 보완하기 위해 금속 원소를 첨가한 합금연(Lead alloy)을 사용하는 것이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시스(22)는 전력 케이블 단부에서의 접지되어 지락 또는 단락 등의 사고 발생시 사고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고, 전계가 케이블 외부로 방전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시스(22)는 케이블의 내식성, 차수성 등을 추가로 향상시키고 상기 고분자 시스(24)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에 부식 방지 컴파운드, 예를 들어, 블로운 아스팔트 등이 도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 시스(22)와 상기 케이블 코어부(10) 사이에는 동선직입 테이프 내지 수분 흡수층(21)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선직입 테이프는 동선(Copper wire)과 부직포 테이프 등으로 구성되어 외부반도전층(16)과 금속시스(22)간의 전기적 접촉을 원활히 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수분흡수층은 케이블에 침투한 수분을 흡수하는 속도가 빠르고, 흡수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이 우수한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SAP)를 포함하는 분말, 테이프, 코팅층 또는 필름 등의 형태로 구성되어 케이블 길이방향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동선직입 테이프와 수분 흡수층은 급격한 전계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반도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전 및 수분흡수 작용을 모두 할 수 있도록, 수분 흡수층에 동선을 포함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고분자 시스(24)는 상기 금속시스(22)의 외부에 형성되어 케이블의 내식성, 차수성 등을 향상시키고, 기계적 외상 및 열, 자외선 등의 기타 외부 환경 요인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시스(24)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해저에 포설되는 전력 케이블의 경우에는 차수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난연성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력 케이블(50)은 상기 고분자 시스의 내측 또는 외측에 아연도금 처리된 강철 케이프 등으로 구성되는 금속 보강층(26)을 구비하여, 상기 절연유의 팽창에 의해 상기 금속시스(22)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보강층(26)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는 반도전성 부직포 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져 전력 케이블에 가해지는 외력을 완충하는 베딩층(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으며, 폴리염화비닐 내지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구성되는 외부 시스(28)를 더 구비하여 전력 케이블의 내식성, 차수성 등을 더욱 향상시키고, 기계적 외상 및 열, 자외선 등의 기타 외부 환경 요인으로부터 케이블을 추가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해저에 포설되는 전력 케이블은 선박의 닻 등에 의해 외상을 입기 쉬우며, 해류나 파랑 등에 의한 굽힘력, 해저면과의 마찰력 등에 의해서도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를 막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 보호부의 외부에 케이블 외장부(3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외장부는 아머층(34) 및 써빙층(3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머층(34)은 강철, 아연도금강, 구리, 황동, 청동 등으로 이루어지고 단면 형태가 원형, 평각형 등인 와이어를 횡권하여 적어도 1층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 케이블의 기계적 특성과 성능을 강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아니라 외력으로부터 케이블을 추가적으로 보호한다.
폴리프로필렌 얀 등으로 구성되는 상기 써빙층(38)은 상기 아머층(34)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1층 이상으로 형성되어 케이블을 보호하며, 최외곽에 형성되는 써빙층(34)은 색상이 다른 2종 이상의 재료로 구성되어 해저에서 포설된 케이블의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절연층(14)은 파괴전압이 높고, 절연성능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야 하며, 유전손실이 적고 내열성 등의 열에 대한 저항 성능을 지닌 절연 조성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 조성물은 무기 나노 입자 또는 유기 극성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 내지 유기 극성물질은 상기 전력케이블이 통전시 상기 도체(11)로부터 상기 절연층(14)으로 주입되거나 상기 절연층(14)의 가교시 발생하는 부산물에 의해 형성된 공간전하(space charge)를 트랩핑(trapping)함으로써, 상기 공간전하에 의해 상기 도체근방의 전계강도가 상승되고 이로써 상기 절연층의 중첩 임펄스 파괴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절연 조성물은 상기 무기 나노 입자 이외에 가교제, 산화방지제, 스코치 억제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 절연 조성물의 가교 방식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화학 가교시 디큐밀퍼옥사이드 같은 유기과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절연층의 산화에 의한 열화를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예를 들어, 페놀계, 퀴논계, 아민계 등의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코치 억제제는 상기 절연 조성물의 가교시 가교 특성의 추가 확보와 장기압출에 따른 스코치(scorch)를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절연층(14)은 상기 절연 조성물을 압출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반도전층 및 후술하는 외부반도전층(16)과 함께 압출함으로써 상기 절연층과 상기 내부반도전층 내지 외부반도전층(16) 간의 계면에 공극이 발생하거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의해 한 쌍의 도체(11, 1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한 쌍의 도체(11, 11')가 도체 압착슬리브(100)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다듬질 공정 전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체 압착슬리브(100)를 압착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4는 도체 압착슬리브(100) 압착 후 도체 압착슬리브(100)에 대한 다듬질 공정이 진행된 후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한 쌍의 도체(11, 1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경우, 도 2에서와 같이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도체 수용부에 상기 한 쌍의 도체(11, 11')의 각 단부가 끼워지며,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외면이 압착 장치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한 쌍의 도체를 파지함으로써 접속 상태를 견고히 지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외면이 압착 장치에 의해 압착된 후에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외면을 고르게 다듬질하여 도 4에서와 같이 그 외면을 평평한 표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름산(102)과 상기 주름산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름골(101)을 면에 구비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름산(102)이 형성된 일부 영역이 압착 장치에 의하여 압착되어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내측으로 눌려지게 되어 돌출부(1021)를 형성함으로써 도출됨으로써 각 도체(11, 11')의 단부를 파지할 수 있다. 압착에 의해 불균일해진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외면(102')은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에 의해 평탄하게 다듬질되어 도체 압착슬리브(100) 외면의 전계집중 내지 코로나 방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주면이 평평한 도체 압착슬리브(100) 상에 지권을 함으로써 지권으로 형성된 절연층 내의 공극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공극에 의한 절연파괴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우측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좌측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며,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1000)는 서로 분리된 제1 케이블(50)과 제2 케이블(50') 각각의 도체(11, 11')가 도체 압착슬리브(100)에 끼워져 서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외주면을 다듬질하여 평평한 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1000)는 절삭부(1100), 지지부(1200), 제1 고정부(1300), 제2 고정부(1300'), 및 가이드부(1400)를 구비할 수 있다.
절삭부(1100)는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외주면을 절삭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 압착슬리브(100)는 압착 전 주름산(102)을 가지고 있으며, 압착 후에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산(102')의 일부가 도체 압착슬리브(100) 상에 남게 된다. 절삭부(1100)는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외주면을 회전하면서 주름산(102')을 절삭할 수 있다.
절삭부(1100)는 일 예로서 디스크(1110), 절삭팁(1120), 디스크 기어(1130), 모터(1140), 및 모터 기어(115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1110)는 도체 압착슬리브(100)가 관통할 수 있는 중공(1111)을 가지며, 도체 압착슬리브(100)가 중공(1111)을 관통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디스크(1110)는 원형 형상으로 그 중심부에는 중공(1111)을 가질 수 있다. 디스크(1110)는 2분할 또는 3분할 등 다수개의 절편으로 분해될 수 있다. 이들 절편을 결합하여 원형의 디스크(1110)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중심에는 중공(11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체 압착슬리브(100)에 의해 연결된 제1 케이블(50)과 제2 케이블(50')을 제1 고정부(1300)와 제2 고정부(1300')에 거치한 후 분해된 디스크(1110)를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외주부를 둘러싸도록 다시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형으로 결합되는 디스크(1110)에 의해 형성된 중공(1111)으로 도체 압착슬리브(100)가 관통될 수 있다.
디스크(1110)는 지지부(1200)의 롤러(1221, 1222, 1223, 12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절삭팁(1120)은 중공(1111)에 의해 형성되는 디스크(1110)의 내측면으로부터 디스크(1110)의 중심축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스크(1110)가 지지부(120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절삭팁(1120)은 그 일단이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외측면에 접할 수 있도록 그 위치가 가변된다. 즉 디스크(1110)의 중심축을 보다 가깝게 이동시키거나 디스크(1110)의 중심축으로부터 보다 멀리 떨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으며, 중공(1111)을 관통하는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외측면에 절삭팁(1120)의 일단이 접할 수 있다.
절삭팁(1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1110)에 결합되는바 디스크(1110)가 회전함에 따라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외측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으며,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주름산(102')을 절삭할 수 있다.
디스크 기어(1130)는 디스크(1110)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크 기어(1130)의 중심축과 디스크(1110)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디스크 기어(1130)는 디스크(1110)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크 기어(1130)는 그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디스크 기어(1130)의 중공과 디스크(1110)의 중공(1111)은 그 회전축이 일치하도록 디스크 기어(1130)가 디스크(1110)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체 압착슬리브(100)는 디스크(1110)의 중공(1111)과 디스크 기어(1130)의 중공을 관통할 수 있다.
디스크 기어(1130)는 외측면에 기어가 형성되어 모터(1140)와 연결된 모터 기어(1150)와 치합될 수 있다. 모터(1140)의 회전력에 의해 모터 기어(1150)가 회전하고 모터 기어(1150)에 치합된 디스크 기어(1130)가 회전할 수 있다. 디스크 기어(1130)와 회전축을 공유하며 결합된 디스크(1110)는 디스크 기어(1130)의 회전에 의해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외주부를 회전할 수 있다.
지지부(1200)는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길이방향에 교차하여 배치되며, 절삭부(1100)가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즉 디스크(1110)는 도체 압착슬리브(100)가 관통되도록 배치되는바, 지지부(1200)는 디스크(1110)가 도체 압착슬리브(100)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디스크(1110)의 일측면과 평행을 이룰 수 있다.
지지부(1200)는 일 예로서 지지 몸체부(1210)와 롤러(1221, 1222, 1223, 122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몸체부(1210)는 U자형의 만곡부(1210a)를 가질 수 있다. 지지부(1200)의 중공을 관통하는 도체 압착슬리브(100)는 만곡부(1210a)에 위치할 수 있다. 도체 압착슬리브(100)는 디스크(1110)를 관통하며, 디스크(1110)는 지지부(1200)에 의해 지지되는바, 디스크(1110)의 중공을 관통하는 도체 압착슬리브(100)가 지지부(1200)의 만곡부(1210a)에 위치함으로써 도체 압착슬리브(100)는 일직선이 유지될 수 있다.
롤러(1221, 1222, 1223, 1224)는 디스크(1110)의 외측부에 접하도록 지지 몸체부(1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롤러(1221, 1222, 1223, 1224)가 원형인 디스크(1110)의 외측면에 외접하도록 지지 몸체부(1210)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롤러(1221, 1222, 1223, 1224)는 디스크(1110)의 원 중심으로부터 디스크(1110)의 반지름만큼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지지 몸체부(1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에서는 롤러(1221, 1222, 1223, 1224) 네 개가 지지 몸체부(1210)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크(1110)의 외측부에 접하면서 디스크(1110)를 지지부(1200) 상에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롤러가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200)의 롤러(1221, 1222, 1223, 1224)에 의해 지지되면서 디스크(1110)는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둘레를 회전할 수 있다. 즉 디스크(1110)는 도 5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측면이 쐐기 형상의 볼록부(1110a)를 가지며, 지지부(1200)의 롤러(1221, 1222, 1223, 1224)들은 디스크(1110)의 상기 볼록부(1110a)에 맞물릴 수 있도록 그 외측면에 쐐기 형상의 오목부(1221a, 1222a, 1223a, 1224a)를 가질 수 있으며, 디스크(1110)의 볼록부(1110a)가 롤러(1221, 1222, 1223, 1224)들의 오목부(1221a, 1222a, 1223a, 1224a)에 맞물게 되어 디스크(1110)가 도체 압착슬리브(100)에 접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 디스크의 외측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롤러의 외측면에는 디스크의 오목부에 대응하도록 볼록부가 형성되어 디스크가 롤러들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300)는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일단에서 제1 케이블(50)을 향하여 이격되어 배치되면서 제1 케이블(50)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부(1300')는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타단에서 제2 케이블(50')을 향하여 이격되어 제2 케이블(50')을 고정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300)와 제2 고정부(1300')는 도체 압착슬리브(10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1 케이블(50)과 제2 케이블(50')를 고정함으로써 제1 케이블(50), 제2 케이블(50'), 및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직진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케이블(50)과 제2 케이블(50')은 대형 릴에 감긴 상태로 포설 장소로 이동되며, 포설 장소에서 릴에서 권출되어 도체 압착슬리브(100)를 포함한 접속함에 의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제1 케이블(50)과 제2 케이블(50')은 원통형의 대형 릴에 감겨 있다가 권출되는데, 장시간 릴에 감겨 있는바 권출된 후에도 소정의 곡률을 갖게 된다. 도체 압착슬리브(100)로 제1 케이블(50)과 제2 케이블(50') 각각의 도체(11, 11')를 연결한 후에도 제1 케이블(50)과 제2 케이블(50')의 곡률로 인하여 상기 도체(11, 11')의 직진성을 유지하기 곤란하다. 케이블 자체의 강성으로 인하여 케이블의 곡률은 도체 압착슬리브(100)에 도체(11, 11')가 연결된 후에도 계속되며, 이로 인하여 도체 압착슬리브(100)가 직진성을 잃고 다소간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곡률이 있는 도체 압착슬리브(100)를 절삭하는 경우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표면이 고르게 절삭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지권시에 공극이 발생하여 절연 파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고정부(1300)와 제2 고정부(1300') 각각은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양단에서 이격되어 제1 케이블(50)과 제2 케이블(50')직전성을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300)와 제2 고정부(1300')에 의해 고정된 도체 압착슬리브(100)에서 직진성이 계속해서 유지되고, 직진성이 유지된 상태의 도체 압착슬리브(100)를 절삭부(1100)가 회전하면서 절삭되므로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표면을 보다 고르게 절삭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300)는 일 예로서 제1 케이블(50)이 위치하도록 U자 형상의 만곡부를 갖는 제1 고정 몸체부(1310)와, 제1 고정 몸체부(1310)에 위치한 제1 케이블(5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고정 가압부(13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부(1300')는 제2 케이블(50')이 위치하도록 U자 형상의 만곡부를 갖는 제2 고정 몸체부(1310')와, 제2 고정 몸체부(1310')에 위치한 제2 케이블(5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고정 가압부(13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고정 가압부(1320)는 제1 케이블(50)의 외주면을 받치는 제1 가압 절편(1321)과, 제1 고정 몸체부(1310)과 나사산으로 치합되고 그 일단이 제1 가압 절편(1321) 상에 위치하는 제1 가압 볼트(13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가압 절편(1321)은 제1 케이블(5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제1 케이블(50)의 표면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가압 절편(1321)이 제1 케이블(50)의 표면을 둘러쌀 수 있다.
제1 가압 볼트(1322)는 그 일단이 제1 가압 절편(1321)의 상부면에 접하게 되며, 제1 고정 몸체부(1310)와 치합되는바, 제1 가압 볼트(1322)를 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가압 절편(1321)으로 하여금 제1 케이블(50)을 가압할 수 있다.
제1 고정 가압부(1320)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제1 가압 볼트를 구비하여 제1 케이블(50)을 가압하므로 제1 케이블(50)의 센터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가압 볼트가 도 5에서와 같이 네 개로 이루어진 경우, 각각의 제1 가압 볼트는 90도 간격으로 제1 케이블(50)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각각의 제1 가압 볼트(1322)를 회전하여 각각의 제1 가압 절편(1321)을 가압함으로써 용이하게 제1 케이블(50)의 중심축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 가압부는 제1 가압 절편(1321)으로 하여금 제1 케이블(50)을 가압할 수 있게 하므로, 절연지를 감아서 형성하거나 가교폴리에틸렌 등의 고분자 수지를 압출하여 형성되는 상기 케이블의 절연층(14) 내지 납 내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금속시스 등 경도가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부분에 상기 제1 가압 볼트(1322)의 단부가 직접 맞닿아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고정 가압부(1320')는 제2 케이블(50')의 외주면을 받치는 제2 가압 절편(1321')과, 제2 고정 몸체부(1310')과 나사산으로 치합되고 그 일단이 제2 가압 절편(1321') 상에 위치하는 제2 가압 볼트(13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가압 절편(1321')은 제2 케이블(5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제2 케이블(50')의 표면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가압 절편(1321')이 제2 케이블(50')의 표면을 둘러쌀 수 있다.
제2 가압 볼트(1322')는 그 일단이 제2 가압 절편(1321')의 상부면에 접하게 되며, 제2 고정 몸체부(1310')와 치합되는바, 제2 가압 볼트(1322')를 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가압 절편(1321')으로 하여금 제2 케이블(50')을 가압할 수 있다.
제2 고정 가압부(1320')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제2 가압 볼트를 구비하여 제2 케이블(50')을 가압하므로 제2 케이블(50')의 센터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 가압 볼트가 도 5에서와 같이 네 개로 이루어진 경우, 각각의 제2 가압 볼트는 90도 간격으로 제2 케이블(50')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각각의 제2 가압 볼트(1322')를 회전하여 각각의 제2 가압 절편(1321')을 가압함으로써 용이하게 제2 케이블(50')의 중심축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 가압부는 제2 가압 절편(1321)으로 하여금 제2 케이블(50)을 가압할 수 있게 하므로, 절연지를 감아서 형성하거나 가교폴리에틸렌 등의 고분자 수지를 압출하여 형성되는 상기 케이블의 절연층(14) 내지 납 내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금속시스 등 경도가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부분에 상기 제2 가압 볼트(1322')의 단부가 직접 맞닿아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고정부(1300) 내지 상기 제2 고정부(1300')는 각각 상기 제1 케이블(50)과 제2 케이블(50')의 절연층(14) 내지 금속시스(2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고정 가압부(1320)와 제2 고정 가압부(1320')가 각각 상기 제1 케이블(50)과 제2 케이블(50')의 절연층(14) 내지 금속시스(2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절연층(14) 내지 금속시스(22)를 가압하여 케이블을 파지함으로써 압착슬리브에 의해 연결되는 부분을 일직선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의 도체를 파지하는 경우 대비, 상기 케이블의 절연층 또는 금속시스를 파지하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전시 고전압이 인가되는 도체에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가압부(1320, 1321')는 각각 가압 절편(1321, 1321')을 구비하므로 절연층 내지 금속시스를 손상시키지 않고도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1400)는 지지부(1200)가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400)는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바, 가이드부(1400) 상에 배치되는 지지부(1200)는 가이드부(1400)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1200)에 의해 지지되는 절삭부(1100)는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길이에 따라 이동하면서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표면을 절삭할 수 있다.
가이드부(1400)는, 지지부(1200)가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도록 세워져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적어도 한 쌍의 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내지 8에는 레일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1200)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일은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레일 상에 지지부(1200)가 배치되며 레일을 따라 지지부(1200)가 도체 압착슬리브(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부(1200)는 리니어 모터에 의해 레일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 지지부(1200)는 회전 조절 레버에 의해 레일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도체
12..내부반도전층
14..절연층
16..외부반도전층
50..케이블
100..도체 압착슬리브
1000..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
1100..절삭부
1200..지지부
1300..고정부
1400..가이드부

Claims (7)

  1. 서로 분리된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 각각의 도체가 도체 압착슬리브에 끼워져 서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외주면을 다듬질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외주면을 절삭하는 절삭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길이방향에 교차하여 배치되며, 상기 절삭부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일단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1 케이블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타단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2 케이블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지지부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는 가이드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제1 고정 몸체부, 상기 제1 케이블의 외주면을 받치는 제1 가압 절편, 및 상기 제1 고정 몸체부와 나사산으로 치합되고 그 일단이 상기 제1 가압 절편 상에 위치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가압 절편으로 하여금 상기 제1 케이블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가압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제2 고정 몸체부, 상기 제2 케이블의 외주면을 받치는 제2 가압 절편, 및 상기 제2 고정 몸체부와 나사산으로 치합되고 그 일단이 상기 제2 가압 절편 상에 위치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 가압 절편으로 하여금 상기 제2 케이블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가압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는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가 관통할 수 있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가 상기 중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중심축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표면을 절삭하는 절삭팁;
    상기 디스크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디스크 기어;
    상기 디스크 기어와 치합되는 모터 기어; 및
    상기 모터 기어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가 위치할 수 있도록 U자 형상의 만곡부가 형성된 지지 몸체부; 및
    상기 디스크의 외측부에 접하도록 상기 지지 몸체부 상에 배치되는 복 수개의 지지 롤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외측면과 상기 롤러의 외측면은 서로 요철 형상으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몸체부는 상기 제1 케이블이 위치하도록 U자 형상의 만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몸체부는 상기 제2 케이블이 위치하도록 U자 형상의 만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도록 세워져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한쌍의 레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
KR1020170028535A 2017-03-06 2017-03-06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 KR102342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535A KR102342534B1 (ko) 2017-03-06 2017-03-06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535A KR102342534B1 (ko) 2017-03-06 2017-03-06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946A KR20180101946A (ko) 2018-09-14
KR102342534B1 true KR102342534B1 (ko) 2021-12-22

Family

ID=63599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535A KR102342534B1 (ko) 2017-03-06 2017-03-06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5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3176B (zh) * 2019-11-14 2021-01-05 安徽尚纬电缆有限公司 一种岸电供电用卷筒电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6902A (ja) * 1998-10-23 2000-05-09 Mitsubishi Cable Ind Ltd ケーブル切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575A (ja) * 1990-04-20 1992-01-09 Hitachi Cable Ltd ケーブル導体接続スリーブの仕上げ方法
JPH0521124A (ja) * 1991-07-09 1993-01-29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撚線導体の接続法
JPH0727773Y2 (ja) * 1992-02-10 1995-06-21 三英電業株式会社 電力ケーブルの外部導電層切削刃及び切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6902A (ja) * 1998-10-23 2000-05-09 Mitsubishi Cable Ind Ltd ケーブル切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946A (ko) 2018-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1132B1 (en) Water blocking electrical cable
KR101603879B1 (ko) 전송 시스템용 혼합 고체 절연 재료
KR101830030B1 (ko) 직류 전력케이블 중간접속 시스템 및 직류 전력케이블용 중간접속함
US4256921A (en) Moisture resistant cable
WO2017043780A1 (ko) 필러 및 이를 구비한 다심 케이블
US11594349B2 (en) Power cable joint system
EP3879652A1 (en) Power cable joint system
KR20120057823A (ko) 라미네이팅 동판 시스를 갖는 전력케이블
KR102342534B1 (ko) 도체 압착슬리브 다듬질 장치
US20200051713A1 (en) Power cable
KR102386728B1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용 중간접속함 및 이를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접속시스템
KR102638868B1 (ko) 중간접속함 압력 보상 장치, 이를 이용한 중간접속함 압력 보상 시스템, 및 중간접속함 압력 보상 방법
US11476595B2 (en) Power cable intermediate connection structure
KR102216120B1 (ko) 직류 전력케이블 중간접속 시스템
KR20180111459A (ko) 전력 케이블용 중간접속함을 이용한 직류 전력케이블 중간접속 시스템 및 직류 전력케이블 접속 방법
KR102594700B1 (ko) 도체 압착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초고압 직류 전력 케이블 시스템
US20240047956A1 (en) Jointing system of power cable
EP3930129A1 (en) Intermediate connection structure of power cable
US11881692B2 (en) Intermediate connection structure of power cable
EP3879653A1 (en) Joint system of power cable
KR101830032B1 (ko) 직류 전력케이블 중간접속 시스템 및 직류 전력케이블용 중간접속함
KR20180121644A (ko) 전력 송신 케이블 및 그 케이블을 제조하는 프로세스
KR101830033B1 (ko) 직류 전력케이블 중간접속 시스템
WO2017052119A1 (ko) 도체 압착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초고압 직류 전력 케이블 시스템
JP2022534190A (ja) 遮水機能を有するhvdc電力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