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403B1 -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 - Google Patents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403B1
KR102349403B1 KR1020200165006A KR20200165006A KR102349403B1 KR 102349403 B1 KR102349403 B1 KR 102349403B1 KR 1020200165006 A KR1020200165006 A KR 1020200165006A KR 20200165006 A KR20200165006 A KR 20200165006A KR 102349403 B1 KR102349403 B1 KR 102349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ermeable
block body
cover
carbo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희
진경애
강명옥
Original Assignee
박명희
엘아이디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희, 엘아이디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명희
Priority to KR1020200165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형성되어 두개 이상의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하나 이상의 본체격벽 및 각 공간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배수홀을 포함하는 블록본체 및 상기 블록본체 상면에 결합되되,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된 투수부를 포함하는 블록커버를 포함하는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Gap Permeable Block using carbon material}
본 발명은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지면으로 빗물 침투를 유도하는 블록으로써, 탄소소재로 제작되어 강도가 높아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저류, 여과, 침투기능 및 지하수 수량 확보가 우수한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에 관한 것이다.
최근 불건전한 물순환 체계로 인해 땅속으로 스며드는 빗물이 감소하여 지하수가 고갈되고 하천이 건천화 되며, 도시개발로 인해 발생되는 도시홍수, 도심열섬, 수질오염 등 생태계 파괴에 대한 대안으로 정부는 물순환 체계 구축 및 종합대책 수립하였다.
2013년 환경부 발표한 "건강한 물순환 체계구축을 위한 저영향개발 기술요소 가이드라인"을 통해 자연 상태의 물순환 체계를 유지하고 빗물 저류, 침투, 증발기능을 유지하여 개발사업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력을 최소화하는 빗물관리 저영향개발(LID) 기법을 도입하였다.
최근 LID 기법의 확산으로 도시 빗물 처리문제와 지하수고갈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투수블록에 대한 수요가 점점 급증하고 있으며, 불투수블록을 투수블록으로 교체되어가는 과정 중에 있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투수블록은 크게 자체투수블록과 틈새투수블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자체투수블록은 미세공극으로 투수성능을 보유하는 블록으로써, 먼지 및 이물질 등으로 인해 6개월 이내 투수계수가 제로가 되고, 비점오염물질(먼지 및 이물질 등)로 인한 수질오염이 발생하며, 이러한 문제로 인해 연 2회 고압, 진공, 흡입청소가 필요하여 높은 유지관리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틈새투수블록은 블록의 돌기로 틈새 보유하는 줄눈확대방식과 모래 등의 보충재가 없이 블록과 블록사이의 결합만으로 시공하여 그 틈새로 투수성 확보하는 결합방식이 있다.
이러한 틈새투수블록은 틈새에 잡초가 자라거나 여성의 구두굽이 빠져 보행이 불편하고 블록끼리 부딪쳐 모서리 깨짐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분리형으로 형성된 틈새투수블록은 상판에 다공유입구가 있어 투수성을 근본적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상판이 분리되어 이물질 제거에 용이한 장점이 있었으나, PP소재로 제작되어 시공 후 6개월 후 상판을 분리하여 청소할 때 상판이 훼손되고 변색되는 현상으로 교체 시기가 짧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투수블록의 문제점이 개선된 투수블록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지면으로 빗물 침투를 유도하는 블록으로써, 탄소소재로 제작되어 강도가 높아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저류, 여과, 침투기능 및 지하수 수량 확보가 우수한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은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형성되어 두개 이상의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하나 이상의 본체격벽 및 각 공간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배수홀을 포함하는 블록본체 및 상기 블록본체 상면에 결합되되,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된 투수부를 포함하는 블록커버를 포함하는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은 내면 하단에서 상측으로 길이를 가지며, 내면을 따라 내측으로 일정 두께 돌출되게 형성되는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커버는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블록본체와 결합 시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거치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커버는 하면에 형성되어 강도를 높이는 커버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격벽 및 상기 커버격벽 중 하나 이상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교번하여 형성되는 볼록부와 오목부를 포함하는 비틀림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는 내면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커버는 하면에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록본체에 결합될 시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는 결합된 상기 블록커버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단 내면에 형성된 본체분리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커버는 상기 블록본체에서 분리가 용이하도록 끝단에 형성된 커버분리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커버는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된 단턱투수부를 포함하는 단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커버는 상면에 형성되어 디자인이 형성될 수 있는 디자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의 상기 블록본체는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형성되어 두개 이상의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하나 이상의 본체격벽; 각 공간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배수홀 및 상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배수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유입방지막을 포함하는 내부블록본체 및 상면이 개구되어 상기 내부블록본체가 내부에 삽입되고, 하면에 상기 배수홀과 대응되는 외부배수홀을 포함하는 외부블록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자인부는 상기 블록커버의 상면에 형성되고, 내부 하면에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을 포함하는 디자인판장착홈 및 상기 디자인판장착홈에 삽입되고,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고정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디자인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의 상기 디자인부는 디자인이 형성될 수 있는 디자인부재; 상기 블록커버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디자인부재에 일체되게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블록본체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는 결합볼트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볼트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은 지면으로 빗물 침투를 유도하는 블록으로써, 탄소소재로 제작되어 강도가 높아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저류, 여과, 침투기능 및 지하수 수량 확보가 우수할 수 있다.
또한 탈부착식으로 형성되어 쌓인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므로 근본적으로 공금 막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 투수블록의 틈새로 인핸 보행 불편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의 (a) 및 (b)는 도 2의 블록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
도 4는 도 2의 블록본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5의 (a) 및 (b)는 도 2의 블록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의 블록본체와 블록커버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블록본체의 A-A'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6의 블록본체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6의 블록커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의 (a) 및 (b)는 도 2의 블록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블록본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의 (a) 및 (b)는 도 2의 블록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이하 '틈새투수블록'이라 함)은 탄소소재로 제작됨으로써, 변형과 파손이 적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유지관리비용이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친환경적인 탄소소재의 사용에 따라 탄소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틈새투수블록은 블록본체(1) 및 블록커버(2)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본체(1)는 블록커버(2)로부터 투수된 빗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가 빈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 또는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블록본체(1)는 본체격벽(10), 배수홀(11), 거치부(12), 결합홈(13), 본체분리홈(14) 및 이격돌기(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격벽(10)은 하나 이상이 블록본체(1) 내부에 형성되어 두개 이상의 공간부(S)를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체격벽(10)은 블록본체(1) 중심을 기준으로 4개가 방사형으로 블록본체(1) 내부 각 면 중심에 연결되게 배치되어 '+'자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간부(S)는 4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격벽(10)은 블록본체(1)의 강도를 높여 비틀림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비틀림방지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비틀림방지부(100)는 본체격벽(10)의 길이방향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교번하여 형성되는 블록부(101)와 오목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볼록부(101)와 오목부(102)는 버티는 강도가 높도록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비틀림방지부(100)를 통해 본체격벽(10)이 블록본체(1)를 내측에서 받쳐주는 힘이 강하여 외부의 힘에 의해 틈새투수블록이 비틀리는 것 등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배수홀(11)은 블록커버(2)를 통해 투수되어 공간부(S)로 유입되는 빗물이 지면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각 공간부(S)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수홀(11)은 중심측에서 모서리측으로 길이를 가지는 장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공간부(S)에서 하나가 아닌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거치부(12)는 블록본체(1)에 결합되는 블록커버(2)가 거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블록본체(1)의 내면 하단에서 상측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상단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블록커버(2)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거치부(12)는 블록본체(1)의 내면을 따라 내측으로 일정 두께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블록커버(2)의 거치돌기(21)가 상측에 거치될 수 있다.
또한, 거치부(12)는 공간확장홈(12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간확장홈(120)은 거치부(12)가 블록커버(2) 거치 기능은 그대로 수행하되, 공간부(S)의 부피를 보다 넓혀 수용될 수 있는 빗물의 양이 많아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거치부(12)의 높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내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간확장홈(120)은 공간부(S)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간확장홈(120)은 평단면이 사다리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결합홈(13)은 블록본체(1)와 블록커버(2)의 결합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블록본체(1) 내면 상측에 형성되어, 결합돌기(23)가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홈(13)은 블록본체(1) 내부 양측면에 형성되되, 전후방향으로 대칭되게 2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체분리홈(14)은 블록본체(1)에 결합된 블록커버(2)의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블록본체(1)의 상단 내면에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분리홈(14)은 상면과 내면이 개구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에 블록커버(2)가 결합될 시 본체분리홈(14)과 커버분리홈(24)이 만나도록 결합되면, 작업자는 작업도구를 본체분리홈(14)과 커버분리홈(24)에 끼워 힘을 가하는 것으로, 쉽게 블록커버(2)를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본체분리홈(14)은 블록본체(1)의 내부 양측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고, 커버분리홈(24)은 블록본체(1)의 일측 끝단에 하나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블록커버(2) 결합 시 작업자는 블록본체(1)의 본체분리홈(14)과 커버분리홈(24)을 맞추는데 신경쓰지 않고 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격돌기(15)는 블록본체(1) 각 면의 외면에 하나 이상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 시 틈새투수블록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이격돌기(15)는 외측면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고,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길이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블록본체(1)는 연결배수로(미도시) 및 연결배수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배수로와 연결배수홀은 블록본체(1) 외면 상측에 형성될 수 있는데, 하나의 공간부(S)에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블록본체(1)의 각 모서리를 기준으로 연결배수로와 연결배수홀이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블록본체(1)의 한 면에는 하나의 연결배수로와 연결배수홀이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틈새투수블록을 지면에 설치할 경우 인접하는 틈새투수블록간에 연결배수로와 연결배수홀이 연결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틈새투수블록의 연결배수로와 다른 하나의 틈새투수블록의 연결배수홀이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빗물이 유입이 많아 외부로 빗물이 넘치기 전에 다른 틈새투수블록으로 빗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어, 틈새투수블록에서 빗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다수의 틈새투수블록이 모두 동일하게 빗물이 유입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연결배수로와 연결배수홀을 통해 블록간을 연결시켜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블록커버(2)는 블록본체(1) 상면에 결합되어, 블록본체(1)의 상면 역할을 하며, 빗물이 블록본체(1)로 투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블록커버(2)는 블록본체(1)의 상면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블록커버(2)는 투수부(20), 거치돌기(21), 커버격벽(22), 결합돌기(23), 커버분리홈(24), 단턱부(25), 디자인부(26) 및 필터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투수부(20)는 빗물이 블록본체(1)로 투수되도록 하는 것으로, 다수의 투수홀(200)을 포함하며 블록커버(2)에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블록커버(2) 중심을 기준으로 각 모서리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투수홀(200)은 5mm이하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거치돌기(21)는 블록커버(2)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블록본체(1)와 결합 시 거치부(12)에 거치될 수 있다. 이때, 거치돌기(21)는 블록커버(2)가 블록본체(1) 상측에 거치되어 딱 맞아떨어질 수 있도록 거치부(12)가 블록본체(1) 상단과 이격된 일정간격만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거치돌기(21)는 블록커버(2)의 끝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결합돌기(23)가 형성될 공간을 비워두고 형성될 수 있다.
커버격벽(22)은 블록커버(2)의 강도가 향상되도록 하면에 형성될 수 있는데, 블록커버(2) 중심을 기준으로 4개가 방사형으로 거치돌기(21)에 연결되게 배치되어 '+'자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격벽(22)은 본체격벽(10)과 같이 보다 비틀림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비틀림방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비틀림방지부(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결합돌기(23)는 블록커버(2) 하면에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블록본체(1)에 블록커버(2)가 결합될 시 결합홈(13)에 결합되어 틈새투수블록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돌기(23)는 블록커버(2) 하면 양측에 형성되되, 전후방향으로 대칭되게 2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결합홈(13)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분리홈(24)은 블록본체(1)에서 블록커버(2)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블록커버(2)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분리홈(24)은 외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단턱부(25)는 틈새투수블록이 설치되어 외측에서 빗물이 흘러 들어올 시 이물질 등이 턱에 걸려 단턱부(25)에 형성되는 단턱투수부(250)를 막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물질 등이 같이 빗물과 유입되어 투수부(20)가 막히더라도 높이 차이에 의해 단턱부(25)의 단턱투수부(250)로는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여 틈새투수블록의 투수 기능이 아예 제로가 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단턱부(25)는 블록커버(2)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높낮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된 단턱투수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빗물 양이 많을 경우 투수부(20)와 같이 단턱투수부(250)로도 빗물이 투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높이 차이로 인하여 빗물 양이 적을 경우에는 투수부(20)로만 빗물의 투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블록본체(1)에 투수되는 빗물의 양이 천천히 늘어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지면으로 빗물이 천천히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단턱부(25)는 블록커버(2)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즉 투수부(20)와 투수부(2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디자인부(26)는 블록커버(2) 상면에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원하는 디자인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지역마크, 회사마크, 단체마크 등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디자인부(26)는 탈부착식으로 형성되어, 필요 시에 디자인부(26)만을 별도로 생산하여 부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필터부(미도시)는 블록커버(2)의 하측에 설치되어 투수홀(200)로부터 유입된 이물질 등이 걸러 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배수홀(11)의 막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부는 카본필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필터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여재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의 블록본체와 블록커버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블록본체의 A-A'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블록본체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6의 블록커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의 블록본체(1)는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블록본체(1a) 및 외부블록본체(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자인부(26)는 디자인판장착홈(260) 및 디자인판(26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블록본체(1a), 외부블록본체(1b), 디자인판장착홈(260) 및 디자인판(261)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틈새투수블록은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틈새투수블록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블록본체(1a), 외부블록본체(1b), 디자인판장착홈(260) 및 디자인판(261)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블록본체(1)는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설치 후 내부 이물질을 제거할 시 내부블록본체(1a)를 별도로 분리시키는 것으로 내부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블록본체(1)는 내부블록본체(1a) 및 외부블록본체(1b)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블록본체(1a)는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체격벽(10), 배수홀(11), 거치부(12), 결합홈(13), 본체분리홈(14) 및 유입방지막(16)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격벽(10), 배수홀(11), 거치부(12), 결합홈(13), 본체분리홈(14)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유입방지막(16)은 내부블록본체(1a) 하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수홀(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빗물과 같이 유입되는 이물질 등이 배수홀(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외부배수홀(17)과 배수홀(1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블록본체(1b)는 면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육면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내부블록본체(1a)가 삽입될 수 있으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외부블록본체(1b) 내면은 내부블록본체(1a) 외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블록본체(1b)는 이격돌기(15) 및 외부배수홀(17)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격돌기(15)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외부배수홀(17)은 외부블록본체(1b) 하면에 배수홀(11)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투수된 빗물이 지면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자인부(26)는 블록 설치 시 형성되는 디자인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디자인판장착홈(260) 및 디자인판(261)을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판장착홈(260)은 블록커버(2)의 상면에 형성되고, 내부 하면에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판(261)은 디자인이 형성될 수 있으며,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디자인판(261)을 디자인판장착홈(260)에 삽입시킨 후 회전시켜 디자인의 방향을 정하고, 고정부재를 고정홀과 고정홈에 삽입시켜 디자인판(261)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의 블록본체(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합홈(13) 대신 볼트결합홈(18)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블록커버(2)는 결합돌기(23)를 포함하지 않으며, 디자인부(26)는 디자인부재(262), 관통홀(263) 및 결합볼트(26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볼트결합홈(18), 디자인부재(262), 관통홀(263) 및 결합볼트(264)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틈새투수블록은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틈새투수블록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볼트결합홈(18), 디자인부재(262), 관통홀(263) 및 결합볼트(264)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볼트결합홈(18)은 상면이 개구되도록 블록본체(1)의 중심측에 형성되어 결합볼트(264)가 결합될 수 있는데, 블록본체(1)의 본체격벽(10) 중심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디자인부(26)는 디자인부재(262), 관통홀(263) 및 결합볼트(26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부재(262)는 블록커버(2)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면에 디자인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되는 결합볼트(264)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디자인부재(262)는 회전에 의한 결합볼트(264)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파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263)은 블록커버(2)의 중심측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결합볼트(264)가 삽입되어 관통할 수 있다.
결합볼트(264)는 디자인부재(262)가 블록커버(2)에 위치되도록 하며 블록본체(1)와 블록커버(2)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디자인부재(262)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결합볼트(264)는 디자인부재(262)와 일체되게 형성되거나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볼트(264)는 관통홀(263)을 관통하여 블록본체(1)의 볼트결합홈(18)과 결합되는 것으로, 블록본체(1)와 블록커버(2)의 결합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은 지면으로 빗물 침투를 유도하는 블록으로써, 탄소소재로 제작되어 강도가 높아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저류, 여과, 침투기능 및 지하수 수량 확보가 우수할 수 있다.
또한 탈부착식으로 형성되어 쌓인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므로 근본적으로 공금 막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 투수블록의 틈새로 인핸 보행 불편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을 제1 내지 제3 실시예로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성 및 이해가 쉽도록 하기 위해 실시예를 나눠 설명한 것으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구성은 설계 변경하여 서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블록본체
1a: 내부블록본체
1b: 외부블록본체
10: 본체격벽
100: 비틀림방지부
101: 볼록부
102: 오목부
11: 배수홀
12: 거치부
120: 공간확장홈
13: 결합홈
14: 본체분리홈
15: 이격돌기
16: 유입방지막
17: 외부배수홀
18: 볼트결합홈
2: 블록커버
20: 투수부
200: 투수홀
21: 거치돌기
22: 커버격벽
220: 비틀림방지부
23: 결합돌기
24: 커버분리홈
25: 단턱부
250: 단턱투수부
26: 디자인부
260: 디자인판장착홈
261: 디자인판
262: 디자인부재
263: 관통홀
264: 결합볼트
S: 공간부

Claims (11)

  1.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형성되어 두개 이상의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하나 이상의 본체격벽 및 각 공간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배수홀을 포함하는 블록본체 및
    상기 블록본체 상면에 결합되되,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된 투수부를 포함하는 블록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격벽은,
    상기 블록본체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상기 블록본체 내부 각 면 중심에 연결되게 배치되어 '+'자 형태를 이루고,
    상기 블록본체는
    내면 하단에서 상측으로 길이를 가지며, 내면을 따라 내측으로 일정 두께 돌출되게 형성되는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커버는,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블록본체와 결합 시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거치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블록커버는,
    하면에 형성되어 강도를 높이는 커버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격벽은,
    상기 블록커버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상기 거치돌기에 연결되게 배치되어 '+'자 형태를 이루고,
    상기 본체격벽 및 상기 커버격벽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교번하여 형성되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볼록부와 오목부를 포함하는 비틀림방지부가 형성되고,
    탄소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는,
    내면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커버는,
    하면에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록본체에 결합될 시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는,
    결합된 상기 블록커버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단 내면에 형성된 본체분리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커버는,
    상기 블록본체에서 분리가 용이하도록 끝단에 형성된 커버분리홈을 더 포함하는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커버는,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된 단턱투수부를 포함하는 단턱부를 더 포함하는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커버는,
    상면에 형성되어 디자인이 형성될 수 있는 디자인부를 더 포함하는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
  9.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형성되어 두개 이상의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하나 이상의 본체격벽 및 각 공간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배수홀을 포함하는 블록본체 및
    상기 블록본체 상면에 결합되되,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된 투수부를 포함하는 블록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본체는,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형성되어 두개 이상의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하나 이상의 본체격벽; 각 공간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배수홀 및 상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배수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유입방지막을 포함하는 내부블록본체 및
    상면이 개구되어 상기 내부블록본체가 내부에 삽입되고, 하면에 상기 배수홀과 대응되는 외부배수홀을 포함하는 외부블록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본체는,
    외면 상측에 형성되되, 각 모서리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각 공간부에 하나씩 형성되는 연결배수로 및 연결배수홀을 더 포함하고,
    탄소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부는,
    상기 블록커버의 상면에 형성되고, 내부 하면에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을 포함하는 디자인판장착홈 및
    상기 디자인판장착홈에 삽입되고,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고정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디자인판을 포함하는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부는,
    디자인이 형성될 수 있는 디자인부재;
    상기 블록커버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디자인부재에 일체되게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블록본체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볼트를 포함하는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
KR1020200165006A 2020-11-30 2020-11-30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 KR102349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006A KR102349403B1 (ko) 2020-11-30 2020-11-30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006A KR102349403B1 (ko) 2020-11-30 2020-11-30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403B1 true KR102349403B1 (ko) 2022-01-11

Family

ID=79355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006A KR102349403B1 (ko) 2020-11-30 2020-11-30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4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172B1 (ko) * 2022-12-29 2023-07-20 김종철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
KR102595287B1 (ko) * 2022-09-19 2023-10-30 박명희 폐자원을 활용한 융복합소재 및 이로부터 제조된 틈새 투수블록과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535B1 (ko) * 2003-09-24 2004-06-10 주식회사 군도건설 담수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KR200358588Y1 (ko) * 2004-05-18 2004-08-09 주식회사 토성 담수형 보도블록
KR200439459Y1 (ko) * 2006-10-17 2008-04-11 황홍택 방위 표시형 점자 블록
KR20100086862A (ko) * 2009-01-23 2010-08-02 김대용 바닥용 디자인 블럭
KR101835283B1 (ko) * 2017-09-06 2018-04-19 한상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투수블록
KR101913602B1 (ko) * 2017-08-02 2018-10-31 주식회사 이코블록 투수블록
KR101988245B1 (ko) * 2018-11-26 2019-06-12 신도산업 주식회사 우수 침투 저류 바스켓 및 그 설치방법
KR102053044B1 (ko) * 2017-05-11 2019-12-06 이환규 보도블록 경사면과 저류 침투형 탄소 복합 소재 투수 보도 블록 조립체를 연계한 우수 유출 저감형 투수성 보도블록 포장 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535B1 (ko) * 2003-09-24 2004-06-10 주식회사 군도건설 담수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KR200358588Y1 (ko) * 2004-05-18 2004-08-09 주식회사 토성 담수형 보도블록
KR200439459Y1 (ko) * 2006-10-17 2008-04-11 황홍택 방위 표시형 점자 블록
KR20100086862A (ko) * 2009-01-23 2010-08-02 김대용 바닥용 디자인 블럭
KR102053044B1 (ko) * 2017-05-11 2019-12-06 이환규 보도블록 경사면과 저류 침투형 탄소 복합 소재 투수 보도 블록 조립체를 연계한 우수 유출 저감형 투수성 보도블록 포장 시공 시스템
KR101913602B1 (ko) * 2017-08-02 2018-10-31 주식회사 이코블록 투수블록
KR101835283B1 (ko) * 2017-09-06 2018-04-19 한상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투수블록
KR101988245B1 (ko) * 2018-11-26 2019-06-12 신도산업 주식회사 우수 침투 저류 바스켓 및 그 설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287B1 (ko) * 2022-09-19 2023-10-30 박명희 폐자원을 활용한 융복합소재 및 이로부터 제조된 틈새 투수블록과 이의 제조 방법
KR102558172B1 (ko) * 2022-12-29 2023-07-20 김종철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9403B1 (ko)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
KR20180071063A (ko) 집수식 투수블록
US11980835B2 (en) Double-filter basket for stormwater retention system drain
JP4936955B2 (ja) 雨水一時貯留槽
JP4997009B2 (ja) 雨水浸透ます
KR20190052221A (ko) 투수 블록
JP6106136B2 (ja) 浸透システム
KR20160087099A (ko) 마제형 아치 형상을 갖는 교량용 배수장치
KR101013733B1 (ko) 개선된 보강구조를 갖는 저수조
JP5202210B2 (ja) 地下貯水槽
CN109322226A (zh) 可更换过滤装置的海绵城市透水步道
KR20190053752A (ko) 조립식 지표수 침투집수정
EP3520885A1 (en) Flat-plate filter for water treatment and flat-plate filter module comprising same
JP3388245B1 (ja) グレーチング、そのグレーチングを備える排水構造および側溝ブロック
KR102595221B1 (ko) 건습식 복합형 조립식 콘크리트 맨홀 구조체
CN219671582U (zh) 一种地下室排水结构
JP3036758U (ja) 脱水篭用水切り袋
KR102447756B1 (ko) 유공블럭의 안정된 수밀구조와 균일한 분산구조를 갖는 딤플형 하부집수장치
KR101857595B1 (ko)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 및 이의 연결구조
JP2014240593A (ja) 雨水貯留施設
CN211817676U (zh) 一种拼接式透水地坪
CN212478038U (zh) 一种排水缓冲池防护结构
CN214246006U (zh) 一种防堵型的市政排水管道
KR102023957B1 (ko) 하수구 내부 오염을 막아주는 하수구 뚜껑
CN218989774U (zh) 一种透水混凝土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