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172B1 -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 - Google Patents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8172B1 KR102558172B1 KR1020220188658A KR20220188658A KR102558172B1 KR 102558172 B1 KR102558172 B1 KR 102558172B1 KR 1020220188658 A KR1020220188658 A KR 1020220188658A KR 20220188658 A KR20220188658 A KR 20220188658A KR 102558172 B1 KR102558172 B1 KR 1025581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 plate
- protrusion
- support plate
- shock absorp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9 supple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33 w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2—Paving elements vertically interlock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은 상부에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며, 하부의 외곽에 형성되는 측벽의 내측으로 복수의 제1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상부판과, 상부에 상기 상부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고, 외곽을 따라 복수의 제1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체결돌기와 체결되는 받침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설치되어 천연잔디나 인조잔디를 지지하면서 배수를 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천연잔디 운동장은 쾌적하고 친근감이 있으며, 사용자의 부상의 위험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기상여건(우천)에 따라 사용이 제한되며, 매해 보식과 보파 관리가 필요하며, 농약으로 인한 수질오염의 우려가 있다. 또한, 지속적인 유지 관리비를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인조잔디가 널리 활용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인조잔디는 배수기능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지반침하 등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된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31529호(2014년 2월 14일 공고)는 배수블록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된 사각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인접한 두 측면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며, 인접한 배수블록과 연결시 대향되는 측면의 최외각에 형성된 돌기들의 하부면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상부면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며 인접한 배수블록의 몸체부에 형성된 최외각 돌기 하부로 삽입 체결될 수 있는 돌기 형상의 연결돌기 및 상기 받침부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인접 배수블록과 연결시 체결부위의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받침부와 상기 인접 배수블록의 저면을 밀착시킬 수 있는 방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배수블록의 상부에 인조잔디 등이 직접 시공되어 돌기가 마모되거나 손상되고, 배수블록 간의 연결부위가 외부 충격에 벌어지면서 유지 보수에 어려운 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부판과 받침판의 상하부 결합으로 상부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부판을 받침판에 체결하는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부판과 받침판 사이에 완충패드가 삽입되어 상부판에 가해지는 충격의 흡수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은 상부에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며, 하부의 외곽에 형성되는 측벽의 내측으로 복수의 제1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상부판과, 상부에 상기 상부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고, 외곽을 따라 복수의 제1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체결돌기와 체결되는 받침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판은 상기 측벽에 상기 제1 체결돌기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제1 체결돌기가 상기 제1 체결홈에 체결된 상태에서 이를 분리시키도록 가이드하는 제1 분리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은 'ㄱ'자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2 체결돌기와, 'ㄴ'자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2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돌기는 이웃하는 또 다른 상기 받침판의 상기 제2 체결홈과 상하부 결합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체결돌기는 단면이 '┌ ∩ ┐'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홈은 단면이 '山'와 같이 형성되어, 하부측으로 이웃하는 상기 받침판의 상기 제2 체결돌기가 삽입되되, 상기 제2 체결돌기의 절곡된 단부가 체결되어 노출되도록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홈에 수용되어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판과 받침판의 상하부 결합으로 상부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판을 받침판에 체결하는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판과 받침판 사이에 완충패드가 삽입되어 상부판에 가해지는 충격의 흡수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의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따른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 중 상부판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 중 상부판의 측벽의 기울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 중 받침판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 중 받침판의 제2 체결돌기 및 제2 체결홈의 체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 중 상부판의 제2 분리공을 통해 받침판의 제2 체결돌기를 분리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에 따른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에 완충패드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따른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 중 상부판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 중 상부판의 측벽의 기울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 중 받침판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 중 받침판의 제2 체결돌기 및 제2 체결홈의 체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 중 상부판의 제2 분리공을 통해 받침판의 제2 체결돌기를 분리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에 따른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에 완충패드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보호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의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따른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 중 상부판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 중 상부판의 측벽의 기울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 중 받침판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 중 받침판의 제2 체결돌기 및 제2 체결홈의 체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따른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 중 상부판의 제2 분리공을 통해 받침판의 제2 체결돌기를 분리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100)은 상부판(110) 및 받침판(120)을 포함한다.
상부판(110)은 사각형의 판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판(110)은 상부에 인조잔디, 천연잔디, 마사토 등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판(110)의 상부면은 평면 형태로 인조잔디, 천연잔디, 마사토 등을 평탄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부판(110)은 후술하는 받침판(120)과 상하부 결합을 통해 인조잔디나 천연잔디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판(110) 및 받침판(120)은 하나의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100)을 형성하며, 복수의 배수블록(100)을 서로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부판(110)의 상부에는 복수의 배수공(111)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배수공(111)은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부에 위치한 인조잔디, 천연잔디, 마사토 등에서 유출되는 물이 배수공(111)을 따라 하부의 받침판(120)으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배수공(111)이 형성되는 위치, 개수, 간격 등은 사용자의 설계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에 인조잔디, 천연잔디, 마사토 등을 지지하면서 그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하부로 빠르게 배수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판(110)의 하부 외곽에는 측벽(112)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부판(110)에는 4면으로 기 설정된 높이의 측벽(112)이 형성될 수 있다. 측벽(112)은 단면이 '∠' 형태와 같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이웃하는 상부판(110)의 측벽(112) 간에서는 서로 V자 형태로 경사진 이격공간(S)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이격각도는 15°이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물이 상부판(110)의 측벽(112)을 따라 흐르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부판(110)의 측벽(112)에는 내측으로 복수의 제1 체결돌기(113)가 형성된다. 제1 체결돌기(113)는 후술하는 받침판(120)의 제1 체결홈(122)과 결합하여 체결되도록 한다. 이 경우, 제1 체결돌기(113)는 상부판(110)의 측벽(112)의 각 면에 동일한 개수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부판(110)과 받침판(120)이 결합시 상부판(110)의 결합 위치를 특정하지 않고 4개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상부판(110)을 받침판(120)에 체결하는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판(110)의 측벽(112)에는 복수의 제1 분리공(1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분리공(114)은 측벽(112)에 제1 체결돌기(113)와 인접한 위치에 기 설정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리공(114)은 사각형의 형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분리공(114)은 제1 체결돌기(113)가 제1 체결홈(122)에 체결된 상태에서 이를 분리시키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제1 분리공(114)을 통해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공구를 삽입하여 제1 체결홈(122)을 내측으로 밀어내어 제1 체결돌기(113)와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으로 직접 제1 체결홈(122)을 밀어내어 상부판(110)을 받침판(12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받침판(120)은 사각형 형태의 판넬로 형성되어 상부판(110)과 상하부 결합을 한다. 받침판(120)은 지면에 위치하여 상부판(110)을 지지하고, 상부판(110)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기 설정된 유로를 통해 배수시키는 역할을 한다. 받침판(120)은 상부에 상부판(110)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121)가 형성된다. 지지돌기(121)는 상부판(110)이 외부 충격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 이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의 지지돌기(121)는 기 설정된 개수와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121)의 상부면에는 십자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지지돌기(121)가 상부판(110)의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또한, 받침판(120)은 외곽을 따라 복수의 제1 체결홈(122)이 형성되어 제1 체결돌기(113)와 체결된다. 예를 들어, 제1 체결홈(122)은 내부가 천공된 'ㅁ'자 형태로 형성되어 받침판(120)의 상부에 기립된다. 제1 체결홈(122)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살두께가 두꺼워지도록 '∠' 형태로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는 상부판(110)의 측벽(112)에 대응하도록 경사지면서 제1 체결돌기(113)가 제1 체결홈(122)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체결돌기(113)는 제1 체결홈(122)의 천공된 영역으로 결려지면서 체결된다. 이 경우, 제1 체결돌기(113)는 제1 체결홈(12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판(110)과 받침판(120)은 서로 체결된다. 제1 체결홈(122)을 제1 분리공(114)을 통해 외력을 가해 내측으로 밀면 제1 체결돌기(113)가 제1 체결홈(122)으로부터 이탈하여 분리된다.
또한, 받침판(120)은 제2 체결돌기(123)와 제2 체결홈(124)을 포함한다. 제2 체결돌기(123)와 제2 체결홈(124)은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받침판(120)을 서로 체결하여 연장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체결돌기(123)는 받침판(120)의 일측에 'ㄱ'자 형태로 배열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2 체결돌기(123)가 'ㄱ'자 형태로 배열된다고 기술하고 있으나, 받침판(120)의 회전에 따라 그 배열의 위치가 '┌'자, '┘'자, '└'자 형태로 변형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여기서, 제2 체결돌기(123)는 단면이 '┌ ┐'자 형태로 서로 대향하여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후술하는 제2 체결홈(124)과 이중의 체결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서로 다른 받침판(120)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연결부위가 벌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이중의 제2 체결돌기(123)로 체결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 체결돌기(123)는 단면이 '┌ ∩ ┐'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제2 체결홈(124)의 내측에 삽입되어 외부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2 체결홈(124)은 받침판(120)의 상부 외곽에 'ㄴ'자 형태로 배열된다. 이 경우, 하나의 받침판(120)에는 제2 체결돌기(123)와 제2 체결홈(124)이 서로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배열된다. 이 경우, 제2 체결홈(124)의 상부는 지지돌기(121)와 같은 높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 체결홈(124)의 단면이 '山'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홈(124)의 내측은 비어 있어 이웃하는 받침판(120)의 제2 체결돌기(123)가 삽입된다. 이 경우, 제2 체결홈(124)에는 제2 체결돌기(123)의 절곡된 단부가 노출되도록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통공(12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공(124-1)은 '┌ ┐'자 형태의 제2 체결부의 절곡된 단부가 노출되어 걸려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이중의 결합으로 그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판(110)에는 제2 분리공(1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분리공(115)은 상부판(110)의 외곽부에 복수로 형성된다. 제2 분리공(115)은 하부에 받침판(120)에 형성된 제2 체결돌기(123)와 대향하여 형성된다. 이는 상부판(110)을 받침판(120)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2 분리공(115)을 통해 제2 체결돌기(123)를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서로 연결된 받침판(120)을 분리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2 분리공(115)을 통해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손쉽게 받침판(120)들을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분리공(115)은 배수공(111)과 같이 물이 빠지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제2 체결돌기(123)를 가압하여 제2 체결홈(124)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받침판(120)은 바닥면에 지지돌기(121)와 제2 체결돌기(123) 사이에 차단벽(125)이 형성된다. 차단벽(125)은 상부판(110)을 통해 배수된 물이 받침판(120)이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차단벽(125)은 복수의 받침판(120)이 서로 연결된 경우 받침판(120)의 이음새로 물이 스며들어 지면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차단벽(125)은 고무 또는 탄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8 및 도 9는 도 1에 따른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에 완충패드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100)은 완충패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패드(130)는 상부판(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홈(116)에 수용되어 충격을 완충한다. 이 경우, 수용홈(116)은 상부판(110)의 하부에 완충패드(13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패드(130)는 발포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패드(130)는 상부판(110)과 받침판(120) 사이에 위치하여 상부판(1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완충패드(130)의 받침판(120)의 지지돌기(121)가 상부판(110)과의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완충패드(130)가 상부판(110)에 삽입시 상부판(110)과 받침판(120)의 결합 높이는 제1 체결홈(122)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체결홈(122)의 높이는 상부판(110)이 최대 상승할 수 있는 높이로 제한된다. 따라서, 완충패드(130)가 상부판(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판(110)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부판(110)이 하부로 하강하나, 압력이 해제되면 완충패드(130)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판(110)이 위로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체결홈(122)은 상부판(110)의 상승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
110 : 상부판
111 : 배수공
112 : 측벽
113 : 제1 체결돌기
114 : 제1 분리공
115 : 제2 분리공
116 : 수용홈
120 : 받침판
121 : 지지돌기
122 : 제1 체결홈
123 : 제2 체결돌기
124 : 제2 체결홈
124-1 : 통공
125 : 차단벽
130 : 완충패드
110 : 상부판
111 : 배수공
112 : 측벽
113 : 제1 체결돌기
114 : 제1 분리공
115 : 제2 분리공
116 : 수용홈
120 : 받침판
121 : 지지돌기
122 : 제1 체결홈
123 : 제2 체결돌기
124 : 제2 체결홈
124-1 : 통공
125 : 차단벽
130 : 완충패드
Claims (5)
- 상부에 복수의 배수공(111)이 형성되며, 하부의 외곽에 형성되는 측벽(112)의 내측으로 복수의 제1 체결돌기(113)가 형성되는 상부판(110);
상부에 상기 상부판(110)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121)가 형성되고, 외곽을 따라 복수의 제1 체결홈(122)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체결돌기(113)와 체결되며, 'ㄱ'자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2 체결돌기(123)와, 'ㄴ'자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2 체결홈(124)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돌기(123)는 이웃하는 또 다른 받침판(120)의 상기 제2 체결홈(124)과 상하부 결합을 하는 받침판(120); 및
상기 상부판(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홈(116)에 수용되어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패드(13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판(110)은,
상기 측벽(112)에 상기 제1 체결돌기(113)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제1 체결돌기(113)가 상기 제1 체결홈(122)에 체결된 상태에서 이를 분리시키도록 가이드하는 제1 분리공(114)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제2 체결돌기(123)와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체결돌기(123)를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가이드하는 제2 분리공(115)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홈(122)은,
내부가 천공된 'ㅁ'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판(120)의 상부에 기립되어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살두께가 두꺼워지도록 '∠' 형태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체결돌기(113)가 걸려지면서 상기 상부판(110)이 상하로 이동하게 하는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112)은,
단면이 '∠' 형태와 같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상기 측벽(112) 간에서는 서로 ‘V’자 형태로 경사진 이격공간(S)이 형성되는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20)은,
바닥면에 상기 지지돌기(121)와 상기 제2 체결돌기(123) 사이에 차단벽(125)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110)을 통해 배수된 물이 상기 받침판(120)의 외부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100).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돌기(123)는,
단면이 '┌ ∩ ┐'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홈(124)은,
단면이 '山'와 같이 형성되어, 하부측으로 이웃하는 상기 받침판(120)의 상기 제2 체결돌기(123)가 삽입되되, 상기 제2 체결돌기(123)의 절곡된 단부가 체결되어 노출되도록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통공(124-1)이 형성되는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100).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8658A KR102558172B1 (ko) | 2022-12-29 | 2022-12-29 |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8658A KR102558172B1 (ko) | 2022-12-29 | 2022-12-29 |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58172B1 true KR102558172B1 (ko) | 2023-07-20 |
Family
ID=87426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88658A KR102558172B1 (ko) | 2022-12-29 | 2022-12-29 |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5817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0447B1 (ko) * | 2012-09-03 | 2012-12-11 | 주식회사 미강그린 |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용 배수판 |
KR101733114B1 (ko) * | 2016-07-22 | 2017-05-08 | 주식회사 스포테크 | 인조잔디 구조체 |
KR102190616B1 (ko) * | 2019-09-19 | 2020-12-21 | 지앤지텍(주) | 인조잔디용 배수판 |
KR102349403B1 (ko) * | 2020-11-30 | 2022-01-11 | 박명희 |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 |
-
2022
- 2022-12-29 KR KR1020220188658A patent/KR1025581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0447B1 (ko) * | 2012-09-03 | 2012-12-11 | 주식회사 미강그린 |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용 배수판 |
KR101733114B1 (ko) * | 2016-07-22 | 2017-05-08 | 주식회사 스포테크 | 인조잔디 구조체 |
KR102190616B1 (ko) * | 2019-09-19 | 2020-12-21 | 지앤지텍(주) | 인조잔디용 배수판 |
KR102349403B1 (ko) * | 2020-11-30 | 2022-01-11 | 박명희 | 탄소소재를 활용한 틈새투수블록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14922B2 (en) | Multi-stage shock absorbing modular floor tile apparatus | |
KR101733114B1 (ko) | 인조잔디 구조체 | |
US20180142464A1 (en) | Anchor device | |
US20040226085A1 (en) | Sink stopper | |
DE60011972D1 (de) | Schulterriemenkissen | |
KR102558172B1 (ko) | 충격흡수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수블록 | |
US10501946B2 (en) | Profiled element for terraces and balconies | |
KR102121907B1 (ko) |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데크 플레이트 체결 장치 및 그것이 적용된 데크 | |
CN106703304B (zh) | 具有固定结构的排水口滤罩 | |
EP1970481B1 (en) | Overflow detection apparatus | |
KR100996943B1 (ko) | 통풍 구조를 갖는 신발 | |
KR101813502B1 (ko) | 물빠짐 방지 배수판 겸용 패드 | |
KR101733359B1 (ko) | 토사유실 방지용 산책로 | |
CN211621088U (zh) | 一种防水土流失的园林步道 | |
KR102347751B1 (ko) | 방수형 드레인 홀 플러그 | |
KR101022495B1 (ko) | 사면용 시공석 조립체 | |
CN219773222U (zh) | 一种基于疏水板应用的防水结构 | |
WO2014017711A1 (ko) | 오물유입방지 및 역류방지용 일체형 맨홀 커버 | |
KR200283188Y1 (ko) | 미끄럼방지용 신발 | |
CN220423270U (zh) | 一种防水eva鞋底 | |
KR850001670A (ko) | 골프용 신발 | |
KR200241208Y1 (ko) | 우산통 | |
JP2986869B2 (ja) | 水中ポンプ | |
KR102433387B1 (ko) | 위생 양치컵 | |
KR102628507B1 (ko) | 배수관 연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