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207B1 -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을 고함량으로 추출하기위한 방법 및 이로부터 추출된 고함량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을 고함량으로 추출하기위한 방법 및 이로부터 추출된 고함량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207B1
KR102349207B1 KR1020210153505A KR20210153505A KR102349207B1 KR 102349207 B1 KR102349207 B1 KR 102349207B1 KR 1020210153505 A KR1020210153505 A KR 1020210153505A KR 20210153505 A KR20210153505 A KR 20210153505A KR 102349207 B1 KR102349207 B1 KR 102349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extracting
mixture
active ingredient
her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석
Original Assignee
최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석 filed Critical 최용석
Priority to KR1020210153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01D11/0261Solvent extraction of solids comprising vibrating mechanisms, e.g. mechanical, acoustical
    • B01D11/0265Applying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01D11/0288Applications,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의 추출 수율이 개선된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S1) 초미립자 분쇄기로 저온에서 원료 허브를 분쇄하여 허브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허브 분말과 알코올류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제1 혼합물과 추출효소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S4) 상기 제2 혼합물로부터 초음파 추출(ultrasonic extraction) 방법으로 상기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이다.

Description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을 고함량으로 추출하기 위한 방법 및 이로부터 추출된 고함량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A method for extracting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raw material hub at a high content and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high content active ingredient extracted therefrom}
본 발명은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및 이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원료 허브로부터 유효성분을 고수율로 추출할 수 있는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및 이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인간은 오래 전부터 주변의 식물을 채취하여 식용이나 의약품으로 널리 사용하여 왔고, 그 중 약초, 향신료로 이용되는 식물을 허브라고 부르며 다양한 형태와 용도로 이용하고 있다.
허브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들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무기질(칼륨, 칼슘), 비타민 등과 특수 성분인 사포닌, 탄닌, 알카로이드, 정유, 배당체, 테르펜과 수지, 펙틴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허브는 천연 항산화제로서 폴리페놀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항산화 활성이 보고되고 있다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는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상록성 다년초이며 지중해 지역이 그 원산지로 라벤더와 함께 선호도가 좋은 허브로서, 식용은 물론 약용, 미용, 향료 및 관상용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로즈마리 추출물이 가지는 항산화성은 대부분 폴리페놀에서 비롯된다. 폴리페놀은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2차 대사산물의 하나로서, 식물이 광합성하는 과정 또는 초식동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폴리페놀은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수산기로 치환된 방향족환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활성 자유라디칼(reactive free radical)에 수소원자를 제공하여 안정한 비 라디칼(non-radical)을 만들어줌으로써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로즈마리의 추출조건에 영향을 주는 주요인자는 용매의 종류와 농도, 추출시간 및 추출온도이며, 이들은 추출 수율을 높이거나 경제성을 검토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최적화 조건을 확립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폴리페놀 함량의 추출 최적화 연구는 아직 미흡하였고, 로즈마리와 같은 원료 허브는 열에 의해 유효성분이 쉽게 파괴되어 로즈마리 내 유효성분의 추출 수율이 현저히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료 허브 내 유효성분의 추출 수율을 높일 수 있는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으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S1) 초미립자 분쇄기로 저온에서 원료 허브를 분쇄하여 허브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허브 분말과 알코올류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제1 혼합물과 추출효소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S4) 상기 제2 혼합물로부터 초음파 추출(ultrasonic extraction) 방법으로 상기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으로 추출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의 추출 수율을 현저히 높여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원료 허브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이 함유된 식용, 미용 및 의약용 등에 널리 적용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다음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S1) 초미립자 분쇄기로 저온에서 원료 허브를 분쇄하여 허브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허브 분말과 알코올류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제1 혼합물과 추출효소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S4) 상기 제2 혼합물로부터 초음파 추출(ultrasonic extraction) 방법으로 상기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은, 하기 S1 내지 S5 단계를 포함한다.
1.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S10) 단계: 허브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은, (S1) 초미립자 분쇄기로 저온에서 원료 허브를 분쇄하여 허브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원료 허브'는 채취한 허브 식물을 전처리한 후의 허브 식물로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채취한 허브 식물을 전처리하는 단계는 물로 채취한 허브 식물을 세척하는 단계 및 세척된 허브 식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된 허브 식물을 건조하는 방법으로 통상의 건조기를 이용하는 방법 또는 자연건조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채취한 허브 식물을 전처리함으로써, 채취한 허브 식물의 표면에 있는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미립자 분쇄기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와 연결된 분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액체 질소를 공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질소 봄베일 수 있다. 상기 분쇄부는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원료 허브가 분쇄되는 부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의 의미는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의미까지 모두 포괄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쇄부와 상기 공급부 사이에 튜브와 같은 특정 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를 통해 액체 질소를 공급하는 시간은 원료 허브의 무게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초미립자 분쇄기는 예를 들어, 질소 봄베가 분쇄부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액체질소형 초미립자 분쇄기일 수 있다. 질소 봄베가 분쇄부에 직접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분쇄부의 분위기를 극저온으로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에 의해 상기 원료 허브에 함유된 수분 및 유효성분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체 질소는 상기 분쇄부에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극저온 상태의 상기 액체 질소는 상기 분쇄부에 공급되어 원료 허브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원료 허브가 액체 질소에 의해 냉각됨에 따라 열에 의해 상기 원료 허브 내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손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체 질소는, 상기 원료 허브를 분쇄하기 전에 상기 분쇄부에 공급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쇄부의 분위기를 극저온 상태로 만들 수 있고 상기 원료 허브 내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손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S1) 단계는 예를 들어 -273 내지 -150℃에서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30 내지 -180℃에서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180℃에서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S1) 단계가 상기 수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원료 허브 내 유효성분 또는 수분이 손실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원료 허브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원료 허브를 액체 질소 공급이 없는 통상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허브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하지만 분쇄 과정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원료 허브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파괴되어 유효성분의 추출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액체 질소를 이용한 초미립자 분쇄 방법을 이용하여 원료 허브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파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료 허브의 유분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료 허브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원료 허브의 유분 함량이 10 중량% 이상일 경우,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의 추출 수율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S20) 단계: 허브 분말과 알코올류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은 (S2) 상기 허브 분말과 알코올류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허브 분말과 상기 알코올류 화합물의 중량비(허브 분말: 알코올류 화합물)는 1:4 내지 1:10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류 화합물은 허브 분말 및 후술할 추출효소와 혼합되는 용매로, 구체적으로 에탄올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에탄올 대신, 메탄올이나 물을 소량 첨가할 경우 원료 허브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추출 수율이 낮아질 수 있다.
(S30) 단계: 제1 혼합물의 pH를 조절하는 단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은, 상기 (S2) 단계 및 상기 (S3) 단계 사이에 상기 제1 혼합물의 pH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혼합물의 pH는 3.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일 수 있다. 상기 제1 혼합물의 pH가 상기 수치 범위를 벗어날 경우, pH에 민감한 추출효소에 영향을 미쳐 상기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의 추출 수율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제1 혼합물의 pH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예를 들어 시트르산(citric acid)과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dihydrogen phosphate)의 함량을 조절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S40) 단계: 제1 혼합물과 추출효소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원료 허브의 추출방법은, (S3) 상기 제1 혼합물과 추출효소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효소는, 펙티나아제(pecti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헤미셀룰라제(hemicellulas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추출효소의 함량은, 상기 제2 혼합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0.8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6 중량%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5 내지 0.4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추출효소의 함량이 상기 수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원료 허브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추출 수율이 낮아질 수 있다.
(S50) 단계: 제2 혼합물로부터 초음파 추출방법으로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은, (S4) 상기 제2 혼합물로부터 초음파 추출(ultrasonic extraction) 방법으로 상기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S4) 단계는, 상기 제2 혼합물에, 20 내지 40℃에서, 90 내지 130분 동안, 400 내지 600W 및 20 내지 30kHz의 초음파를 조사하는 단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20분 동안 400 내지 600W 및 20 내지 30kHz의 초음파를 조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추출시간이 상기 수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원료 허브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추출 수율이 낮아질 수 있다.
2.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으로 추출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정제수와 첨가제를 용도에 따라 적절히 혼합하여 식용 조성물, 미용 조성물 및 의약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예를 들어, 식용, 미용 및 의약 분야 각각에 통상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화합물 중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다음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제조예: 원료 허브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참조예에 따라 원료 허브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였다.
<실시예 1>
(a) 단계: 허브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질소봄베가 분쇄부에 연결된 초미립자 분쇄기(장비명: ㈜ 덕산의 액화질소투입형 초미립자 분쇄기)를 이용하여 유분의 함량이 10 중량%인 원료 허브(경기도 포천시 광릉생명과학연구소에서 재배된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를 -200℃에서 냉각하였다. 상기 냉각된 상기 원료 허브를 초미립자 분쇄 방법으로 분쇄하여 평균입도가 50μm 크기인 허브 분말(5g)을 제조하였다.
(b) 단계: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허브 분말(5g)을 에탄올(50mL)에 첨가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c)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의 pH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의 pH를 조절하기 위해 시트르산(0.2M)과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2.8M)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혼합물의 pH를 4.0으로 조절하였다.
(d) 단계: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pH가 조절된 상기 제1 혼합물과 펙티나아제(activity: 30,000 U/g, XI'AN Rongsheng Biotechnology CO.,LTD)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펙티나아제의 함량은 상기 제2 혼합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4 중량%이다.
(e) 단계: 초음파 추출 단계
초음파 프로브(Model UIP1000hd, Germany)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혼합물에 40℃에서 120분 동안 500W 및 25kHz의 초음파를 조사하여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을 최종적으로 추출하였다.
<실시예 2-1 내지 2-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되, 상기 제1 혼합물의 pH를 실시예 2-1의 경우 3.0, 실시예 2-2의 경우 3.5, 실시예 2-3의 경우 4.5, 실시예 2-4의 경우 5.0으로 각각 조절하였다.
<실시예 3-1 내지 3-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되, 상기 (e) 단계의 120분 대신, 실시예 3-1의 경우 90분, 실시예 3-2의 경우 110분, 실시예 3-3의 경우 130분 동안 각각의 제2 혼합물에 500W 및 25kHz의 초음파를 조사하였다.
<실시예 4-1 내지 4-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되, 상기 펙티나아제의 함량 0.4 중량% 대신, 실시예 4-1의 경우 0.2 중량%, 실시예 4-2의 경우 0.6 중량%, 실시예 4-3의 경우 0.8 중량%로 조절하였다.
<비교예 1>
실시에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되, 상기 초미립자 분쇄 방법 대신, 상온에서 통상의 분쇄기(HANIL Food Mixer, Hanil, Gangneung, Korea)을 이용하여 원료 허브를 분쇄하였다. 상기 통상의 분쇄기의 내부에 액체질소가 공급되지 않는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되, 상기 (b)단계의 에탄올 대신, 동일한 함량의 물(50mL)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되, 상기 (b)단계의 에탄올 대신, 물, 에탄올 및 메탄올이 1:1:1의 부피비로 혼합된 동일한 함량의 혼합물(50mL)을 사용하였다.
<참조예>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되, 실시예 1에 따른 상기 원료 허브 대신, 유분의 함량이 5 중량%인, 원료 허브를 사용하였다.
제조예 1 제1 혼합물의 pH 초음파 추출시간(min) 펙티나아제의 함량(중량%) 추출용매 유분의 함량(중량%) 극저온 초미립자 분쇄 방법 사용
실시예 1 4.0 120 0.4 에탄올 10 O
실시예 2-1 3.0 120 0.4 에탄올 10 O
실시예 2-2 3.5 120 0.4 에탄올 10 O
실시예 2-3 4.5 120 0.4 에탄올 10 O
실시예 2-4 5.0 120 0.4 에탄올 10 O
실시예 3-1 4.0 90 0.4 에탄올 10 O
실시예 3-2 4.0 110 0.4 에탄올 10 O
실시예 3-3 4.0 130 0.4 에탄올 10 O
실시예 4-1 4.0 120 0.2 에탄올 10 O
실시예 4-2 4.0 120 0.6 에탄올 10 O
실시예 4-3 4.0 120 0.8 에탄올 10 O
비교예 1 4.0 120 0.4 에탄올 10 X(상온)
비교예 2 4.0 120 0.4 10 O
비교예 3 4.0 120 0.4 물, 에탄올및 메탄올의 혼합물(1:1:1) 10 O
참조예 4.0 120 0.4 에탄올 5 O
[실험예: 원료 허브의 총 폴리페놀에 대한 추출 수율 측정]
상기 제조예에 따른 원료 허브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의 추출 수율을 Folin Denis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후, 그 결과값을 표 2와 같이 측정하였다. 추출한 로즈마리 샘플시료 0.1 mL를 취하여 2 N Folin-Ciocalteu's reagent 0.2 mL와 증류수 2 mL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3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20% Na2CO3 2 mL를 첨가하고 이 혼합액을 교반한 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발색시킨 후 UV spectrophotometer (UV-1700)를 사용하여 7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후,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추출 수율(%)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1]
추출 수율(%)= W1/W0 X 100
(단, 상기 수학식 1에서 W0은 초기 로즈마리 샘플의 무게, W1은 추출된 총 폴리페놀의 무게이다.)
제조예 1 추출 수율(%)
실시예 1 38
실시예 2-1 28
실시예 2-2 35
실시예 2-3 34
실시예 2-4 29
실시예 3-1 30
실시예 3-2 35
실시예 3-3 31
실시예 4-1 30
실시예 4-2 36
실시예 4-3 31
비교예 1 14
비교예 2 18
비교예 3 19
참조예 26
상기 표 2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참고하면 극저온 초미립자 분쇄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폴리페놀의 추출 수율이 2배 이상 높아졌음을 유추할 수 있고, 실시예 1, 비교예 2 및 3을 참고하면, 추출용매로 순수한 에탄올을 사용하였을 때 폴리페놀의 추출 수율이 현저히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2, 실시예 3-2 및 실시예 4-2 각각을 다른 실시예와 대비하면, 제1 혼합물의 pH가 4.0, 초음파 추출시간이 120분에 근사하고, 펙티나아제의 함량이 0.4 중량%에 근사하였을 때, 폴리페놀의 추출 수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참조예를 비교하면 유분의 함량이 10 중량% 이상일 때, 폴리페놀의 추출 수율이 더욱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S10: 허브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S20: 허브 분말과 알코올류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S30: 제1 혼합물의 pH를 조절하는 단계
S40: 제1 혼합물과 추출효소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S50: 제2 혼합물로부터 초음파 추출방법으로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Claims (10)

  1. (S1) 초미립자 분쇄기로 저온에서 원료 허브를 분쇄하여 허브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허브 분말과 알코올류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제1 혼합물과 추출효소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S4) 상기 제2 혼합물로부터 초음파 추출(ultrasonic extraction) 방법으로 상기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미립자 분쇄기는,
    액체 질소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원료 허브가 분쇄되는 분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질소는 상기 분쇄부에 공급되는,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질소는,
    상기 원료 허브를 분쇄하기 전에 상기 분쇄부에 공급되는 것인,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는,
    -273℃ 내지 -150℃에서 수행되는 단계인,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허브의 유분 함량은,
    상기 원료 허브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인,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류 화합물은,
    에탄올인,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 및 상기 (S3) 단계 사이에,
    상기 제1 혼합물의 pH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혼합물의 pH는 3.5 내지 4.5인,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효소는,
    펙티나아제(pecti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헤미셀룰라제(hemicellulas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추출효소의 함량은,
    상기 제2 혼합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3 내지 0.6 중량%인,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는,
    상기 제2 혼합물에, 20 내지 40℃에서, 100 내지 120분 동안, 400 내지 600W 및 20 내지 30kHz의 초음파를 조사하는 단계인,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으로 추출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0210153505A 2021-11-10 2021-11-10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을 고함량으로 추출하기위한 방법 및 이로부터 추출된 고함량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349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505A KR102349207B1 (ko) 2021-11-10 2021-11-10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을 고함량으로 추출하기위한 방법 및 이로부터 추출된 고함량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505A KR102349207B1 (ko) 2021-11-10 2021-11-10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을 고함량으로 추출하기위한 방법 및 이로부터 추출된 고함량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207B1 true KR102349207B1 (ko) 2022-01-10

Family

ID=79347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505A KR102349207B1 (ko) 2021-11-10 2021-11-10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을 고함량으로 추출하기위한 방법 및 이로부터 추출된 고함량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2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45240A (zh) * 2022-09-27 2022-12-09 浙江桦树林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桦树茸超氧化物歧化酶超声波萃取装置及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519B1 (ko) * 2010-12-21 2011-07-22 한국인삼열매공사 주식회사 인삼 열매 추출물 제조 방법
KR20120009554A (ko) * 2010-07-19 2012-02-0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허브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9554A (ko) * 2010-07-19 2012-02-0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허브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51519B1 (ko) * 2010-12-21 2011-07-22 한국인삼열매공사 주식회사 인삼 열매 추출물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45240A (zh) * 2022-09-27 2022-12-09 浙江桦树林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桦树茸超氧化物歧化酶超声波萃取装置及其方法
CN115445240B (zh) * 2022-09-27 2023-10-13 浙江桦树林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桦树茸超氧化物歧化酶超声波萃取装置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9757B1 (en) A method for preparing bioactive botanical compositions and the compositions made from said method u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of greater than 3 ghz
KR101315265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CN107438427B (zh) 一种洗发香波
Fathi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Satureja hortensis L. essential oil and its application in safflower oil
KR102349207B1 (ko) 원료 허브의 유효성분을 고함량으로 추출하기위한 방법 및 이로부터 추출된 고함량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50046526A (ko) 스팀과 압축공기에 의해서 추출되는 편백추출물과 상기 편백추출물이 첨가되어 제조되는 가공제품
CN115006314A (zh) 一种卡瓦胡椒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00065911A (ko) 한방 발효 염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09298723A (ja) Iv型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101894370B1 (ko) 쌀가루의 제조방법
KR101397160B1 (ko)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Hussain et al. Identificati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ruit peels as a potential source of nutraceuticals
KR20110068949A (ko) 매실나무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
CN112089666A (zh) 一种抗氧化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796395B1 (ko) 화장품 원료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23359B1 (ko) 햄프추출원료가 포함된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74268B1 (ko) 동결건조한 한방 분말을 함유하는 미용팩용 화장품 조성물
JP2007302620A (ja) 皮膚収斂剤
KR102322687B1 (ko) 부아메라열매오일과 클로브꽃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Gao et al. Differential metabolome landscape of Kadsura coccinea fruit tissues and potential valorization of the peel and seed tissues
KR102512244B1 (ko)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이용한 세탁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12785B1 (ko) 친환경 메카노케미컬 방식을 활용한 허브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KR102483697B1 (ko) 생물막 생성의 저해, 여드름의 완화 및 항염 성분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603744B1 (ko) 유자 추출물 및 아로마 복합 하이드로졸을 포함하는 아로마테라피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8586B1 (ko) 새싹인삼과 차풀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