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067B1 - 음료 자판기 - Google Patents

음료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067B1
KR102349067B1 KR1020200053293A KR20200053293A KR102349067B1 KR 102349067 B1 KR102349067 B1 KR 102349067B1 KR 1020200053293 A KR1020200053293 A KR 1020200053293A KR 20200053293 A KR20200053293 A KR 20200053293A KR 102349067 B1 KR102349067 B1 KR 102349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floor
wall
path control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5077A (ko
Inventor
김태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랜즈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랜즈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랜즈커피
Priority to KR1020200053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067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1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cold condition, e.g. ice and ice crea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자판기가, 상부측을 통해 제빙유닛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을 제공받아 음료 컵에 소정 량의 얼음 조각을 제공하는 얼음 배출 제어 유닛을 포함하도록, 상기 얼음 배출 제어 유닛은, 상기 얼음 배출 제어 유닛의 하부측에 배출구를 적어도 일부분에 가지는 바닥; 상기 바닥의 둘레를 따라 상기 바닥으로부터 솟아올라 상기 바닥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개구부로 절개되는 상기 벽체;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얼음 경로 개폐기; 및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얼음 토출 개폐기를 포함하면서, 상기 제빙유닛 아래로부터 상기 음료 컵을 향해 비스듬하게 경사진다.

Description

음료 자판기{BEVERAGE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제빙기로부터 만들어지는 얼음 조각을 음료 담긴 컵에 공급받아 음료 주문 고객에게 차가운 음료를 제공하는 음료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 자판기는 판매원 없이도 음료 주문 고객에게 선택된 음료를 제공하고, 판매 시간과 설치 장소에 큰 제약을 받지 않고서 음료 주문 고객에게 신속하게 선택된 음료를 제공하므로, 접근성의 편리함과 사용성의 간편함으로 인해 공공 건물 또는 일반 건물의 휴게실에 설치되거나 위락시설 또는 근린생활시설에도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음료 자판기는 돈 투입구에 음료 주문 고객의 동전, 지폐 또는 카드의 투입시 또는 돈 투입구의 사용 없이도 음료 주문 고객의 모바일 결재 인식를 통해 음료 주문 고객에게 선택된 음료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선택된 음료는 음료 자판기에서 컵에 일정량 담겨져 음료 주문 고객의 선택된 온도 기호에 맞게 차갑게 또는 뜨겁게 또는 미지근하게 제공된다.
최근에, 상기 음료 자판기에서 차가운 음료의 제조하기 위해, 상기 음료 자판기는 제빙기를 구비하여 제빙기에서 얼음을 만들어 제빙기에 복수의 얼음 조각을 저장하고 제빙기의 일부 얼음 조각을 선택된 음료가 담겨진 컵에 토출하여 차가운 음료를 제조한다. 상기 제빙기는 복수의 얼음 조각을 일정한 모양으로 만들지 않으며 얼음 조각들을 서로 달라붙지 못하게 하는데 기술적 관심을 두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빙기가 음료 자판기에서 일정 시간에 따라 선택된 음료가 담겨진 컵에 얼음을 토출하는 때, 상기 제빙기는 선택된 음료가 담겨진 컵에 일정량의 얼음 조각을 제공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상기 제빙기는 일정 시간에 선택된 음료가 담겨진 컵에 얼음을 토출하는 동안 얼음 조각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얼음 조각의 토출량을 제한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상기 음료 자판기는 음료 주문 고객마다 선택된 음료가 담겨진 컵에 일정하지 않은 양의 얼음 조각을 제공하여 음료 주문 고객에서 음료 이용 경험을 불편하게 느끼게 하여 음료 주문 고객에게 자판기로부터 음료 구매를 꺼리게 한다.
한편, 상기 음료 자판기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2442호에도 종래기술로써 유사하게 개시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2442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료 주문 고객마다 선택된 음료가 담겨진 컵에 일정한 양의 얼음 조각을 제공하여 음료 주문 고객에게 음료 이용 경험을 양호하게 느끼게 하여 음료 주문 고객에게 자판기로부터 음료 구매를 선호하게 하는데 적합한 음료 자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자판기가, 상부측을 통해 제빙유닛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을 제공받아 음료 컵에 소정 량의 얼음 조각을 제공하는 얼음 배출 제어 유닛을 포함하도록, 상기 얼음 배출 제어 유닛은, 상기 얼음 배출 제어 유닛의 하부측에 배출구를 적어도 일부분에 가지는 바닥; 상기 바닥의 둘레를 따라 상기 바닥으로부터 솟아 올라 상기 바닥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개구부로 절개되는 벽체;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얼음 경로 개폐기; 및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얼음 토출 개폐기를 포함하면서, 상기 제빙유닛 아래로부터 상기 음료 컵을 향해 비스듬하게 경사지고,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와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빙유닛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얼음 조각을 제공받은 후,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시켜 상기 복수의 얼음 조각 중 일부에 해당하는 제1 얼음 조각 그룹을 상기 얼음 배출 제어 유닛 아래에 버리거나 상기 얼음 배출 제어 유닛의 내부에 적치(積峙)시키고,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를 폐쇄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시켜 상기 복수의 얼음 조각 중 나머지에 해당하는 제2 얼음 조각 그룹을 상기 음료 컵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바닥의 하부측을 향해 두 개의 가지(branch) 목형상으로 분기되는 얼음 경로 통제문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은,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 주변에서 상기 개별 가지 목형상을 수용하는 목 수용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에서 상기 두 개의 가지 목형상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받침대 그리고 개별 가지 목형상의 양측부에 위치되는 제2 및 제3 받침대; 상기 제1 받침대 상에 위치되는 얼음 경로통제 모터;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의 일 측부에서 상기 제2 및 제3 받침대 상에 위치되는 제1 힌지부; 및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의 타 측부에서 상기 제2 및 제3 받침대 상에 위치되는 제2 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는, 상기 제빙유닛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바닥의 상기 하부측에서 상기 바닥과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제2 힌지부에 대해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을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바닥의 하부측을 향해 두 개의 가지 목형상으로 분기되는 얼음 경로 통제문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은,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 주변에서 상기 개별 가지 목형상을 수용하는 목 수용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에서 상기 두 개의 가지 목형상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받침대 그리고 개별 가지 목형상의 양측부에 위치되는 제2 및 제3 받침대; 상기 제1 받침대 상에 위치되는 얼음 경로통제 모터;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의 일 측부에서 제2 및 제3 받침대 상에 위치되는 제1 힌지부;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의 타 측부에서 제2 및 제3 받침대 상에 위치되는 제2 힌지부; 및 상기 바닥의 상기 하부측에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의 양 단부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에 고정되는 회전 방지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는, 상기 제빙유닛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바닥을 관통하도록 상기 바닥과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제2 힌지부에 대해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을 회동시킬 수 있다.
제1 힌지부 또는 제2 힌지부는, 상기 제2 및 제3 받침대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 힌지들; 및 상기 고정 힌지들 사이에 위치되는 회전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는, 양축 모터이며 개별 모터축에서 고정 힌지를 지나 상기 회전 힌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별 가지 목형상은, 상기 회전 힌지에 고정되어,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의 구동시, 상기 회전 힌지와 함께 회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자판기가, 상부측을 통해 제빙유닛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을 제공받아 음료 컵에 소정 량의 얼음 조각을 제공하는 얼음 배출 제어 유닛을 포함하도록,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은,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바닥; 및 상기 바닥의 둘레를 따라 상기 바닥으로부터 솟아 올라 상기 바닥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개구부로 절개되는 벽체; 상기 바닥 상에 위치되어 상기 벽체를 따라 형성되는 얼음 경로를 개폐하는 얼음 경로 개폐기; 및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얼음 토출 개폐기를 포함하면서, 상기 제빙유닛 아래로부터 상기 음료 컵을 향해 비스듬하게 경사지고,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의 개방 상태와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의 후방에 상기 제빙유닛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얼음 조각을 제공받은 후,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를 상기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제어시켜 상기 바닥 상에서 상기 복수의 얼음 조각을 나누어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의 전방에 제1 얼음 조각 그룹을 그리고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의 상기 후방에 제2 얼음 조각 그룹을 위치시키고,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를 상기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시켜 상기 제1 얼음 조각 그룹을 상기 음료 컵에 제공함과 함께, 상기 제2 얼음 조각 그룹을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의 상기 후방에 적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바닥 상에서 상기 벽체의 마주하는 양 측벽 사이에 위치되는 얼음 경로 통제문; 및 상기 벽체의 개별 측벽에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의 양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개별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이동 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가이더는, 상기 벽체와 상기 바닥에 대해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의 상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과 상기 개별 측벽 사이에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에 고정되어 상기 바닥의 개방 문을 지나는 레크 기어; 상기 바닥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레크 기어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레크 기어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바닥에 고정되는 위치 고정 레일; 상기 바닥의 상기 하부측에서 상기 레크 기어와 기어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바닥의 상기 하부측에서 상기 바닥에 고정되는 피니언 기어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크 기어는, 상기 피니언 기어 모터의 구동 동안, 상기 바닥의 상기 개방 문을 관통하면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을 상하 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의 상기 벽체에서 마주하는 양 측벽 사이에 위치되어 개별 측벽에 인접하는 얼음 경로 통제도구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경로 통제도구는, 상기 개별 측벽에 대해 회전하는 복수의 날개일 수 있다.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벽체 상에서 일측 및 타측 벽체에 고정되는 서포팅 힌지들; 상기 서포팅 힌지들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얼음 경로 통제도구에 고정되는 로테이션 힌지; 및 상기 서포팅 힌지들 중 하나를 지나 상기 로테이션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날개 회전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얼음 경로 통제도구는, 상기 날개 회전 모터가 구동되는 때, 상기 복수의 날개에서 개별 날개를 상기 바닥에 반복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는,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 상에서 마주하는 일측 및 타측 벽체에 각각 고정되는 제1 및 제2 가장자리 힌지; 상기 제1 및 제2 가장자리 힌지 사이에 위치되는 중앙 힌지; 상기 제1 및 제2 가장자리 힌지 중 하나를 지나 상기 중앙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회전 모터; 및 상기 중앙 힌지에 고정되어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가림문을 포함하고, 상기 가림문은, 상기 힌지 회전 모터가 구동되는 때, 상기 중앙 힌지와 함께 상기 벽체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가림문은, 상기 바닥과 상기 벽체가 사각 형상의 박스(box)를 이루는 때,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를 덮어 상기 개구부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도록,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역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벽체와 상기 바닥 사이의 영역을 개구시켜 상기 사각형에 모따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림문은, 상기 바닥과 상기 벽체가 사각 형상의 박스를 이루는 때,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를 덮어 상기 개구부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역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벽체와 상기 바닥 사이의 영역을 개구시켜 상기 사각형에 모따기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벽체의 마주하는 양 측벽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자판기는,
제빙유닛 아래에 위치되어 제빙유닛에 대해 비스듬하게 경사지는 얼음 배출 제어유닛을 구비하고 얼음 배출 제어유닛에 얼음 토출 개폐기와 얼음 경로 개폐기를 순차적으로 배치시켜서,
제빙유닛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을 받는 동안 얼음 토출 개폐기에 일부 얼음 조각을 적치(積峙)시키면서 얼음 경로 개폐기를 통해 얼음 배출 제어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머지 얼음 조각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므로,
음료 주문 고객마다 선택된 음료가 담겨진 컵에 일정한 양의 얼음 조각을 제공하여 음료 주문 고객에게 음료 이용 경험을 양호하게 느끼게 하여 음료 주문 고객에게 자판기로부터 음료 구매를 선호하게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자판기에서 제빙유닛과 얼음 배출 제어유닛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얼음 배출 제어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에서 얼음 경로 개폐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얼음 배출 제어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에서 얼음 경로 개폐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얼음 배출 제어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에서 얼음 경로 개폐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얼음 배출 제어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에서 얼음 경로 개폐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2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에서 얼음 토출 개폐기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음료 자판기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자판기에서 제빙유닛과 얼음 배출 제어유닛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얼음 배출 제어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에서 얼음 경로 개폐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료 자판기(도 1 또는 도 11의 260)는, 서로에 대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선택 음료 반출부(도 11의 10)와 선택 음료 추출부(도 11의 210)와 종류별 음료 선택부(도 11의 250)를 포함하면서, 선택 음료 추출부(210)에 제빙유닛(도 1 또는 도 11의 30)과 얼음 배출 제어유닛(도 1 또는 도 2 또는 도 11의 130)과 음료 배출유닛(도 11의 200)을 포함한다.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빙유닛(30)은, 선택 음료 추출부(210)에서 복수의 얼음 조각(도 1의 284)을 만든다.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은, 상부측을 통해 제빙유닛(30)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284)을 제공받아 음료 컵(도 11의 270)에 소정 량의 얼음 조각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은, 도 2 및 도 3에서, 얼음 배출 제어 유닛(130)의 하부측에 배출구(42)를 적어도 일부분에 가지는 바닥(44); 바닥(44)의 둘레를 따라 바닥(44)으로부터 솟아 올라 바닥(44)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개구부로 절개되는 벽체(41); 바닥(44)의 배출구(42)를 개폐하는 얼음 경로 개폐기(100); 및 벽체(41)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얼음 토출 개폐기(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은, 도 1, 및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유닛(30) 아래로부터 음료 컵(270)을 향해 비스듬하게 경사지고, 얼음 경로 개폐기(100)와 얼음 토출 개폐기(120)의 폐쇄 상태에서 제빙유닛(30)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284)을 제공받은 후, 얼음 경로 개폐기(100)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시켜 복수의 얼음 조각(284) 중 일부에 해당하는 제1 얼음 조각 그룹(도 13의 286)을 얼음 배출 제어 유닛(130) 아래에 버린다.
상기 제1 얼음 조각 그룹(286)은 음료 자판기(260)의 내부에서 순환 싸이클(도면에 미도시)을 통해 재사용된다. 또한,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은,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토출 개폐기(120)를 폐쇄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시켜 복수의 얼음 조각(284) 중 나머지에 해당하는 제2 얼음 조각 그룹(도 13의 288)을 음료 컵(270)에 제공한다.
상기 음료 배출유닛(200)은 복수의 음료를 구비하여 음료 주문 고객의 선택된 음료를 컵(270)과 함께 선택 음료 반출부(10)에 노출시킨다. 즉, 상기 음료 배출유닛(200)은, 선택 음료 추출부(210)에서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으로부터 선택 음료 반출부(10)의 음료 컵(270)을 향해 제2 얼음 조각 그룹(288)의 배출 전(前) 또는 후(後)에 선택 음료를 배출시킨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경로 통제문(64)과 제1 내지 제3 받침대(73, 76, 79)와 얼음 경로통제 모터(94)와 제1 및 제2 힌지부(96, 98)를 포함한다.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6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에서 바닥(44)의 배출구(42)에 위치되어 바닥(44)의 배출구(42)로부터 바닥(44)의 하부측을 향해 두 개의 가지(branch) 목형상(62)으로 분기된다.
상기 바닥(4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44)의 배출구(42) 주변에서 개별 가지 목형상(62)을 수용하는 목 수용홈(43)을 갖는다. 상기 제1 받침대(7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경로 통제문(64)에서 두 개의 가지 목형상(62)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제2 및 제3 받침대(76, 7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가지 목형상(62)의 양측부에 위치된다.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94)는, 제1 받침대(73) 상에 위치된다. 상기 제1 힌지부(96)는, 얼음 경로통제 모터(94)의 일 측부에서 제2 및 제3 받침대(76, 79) 상에 위치된다. 상기 제2 힌지부(98)는, 얼음 경로통제 모터(94)의 타 측부에서 제2 및 제3 받침대(76, 79) 상에 위치된다.
상기 제1 힌지부(96) 또는 제2 힌지부(98)는, 제2 및 제3 받침대(76, 79)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 힌지(84)들, 및 고정 힌지(84)들 사이에 위치되는 회전 힌지(88)를 포함한다.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94)는, 양축 모터이며 개별 모터축(92)에서 고정 힌지(84)를 지나 회전 힌지(88)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개별 가지 목형상(62)은, 회전 힌지(88)에 고정되어, 얼음 경로통제 모터(94)의 구동시, 회전 힌지(88)와 함께 도 2 또는 도 12와 같이 회동(R1)된다. 따라서,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94)는, 제빙유닛(30)을 기준으로 볼 때, 바닥(44)의 하부측에서 바닥(44)과 제1 힌지부(96)와 제2 힌지부(98)에 대해 얼음 경로 통제문(64)을 회동(R1)시킨다.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94)는,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에 제빙유닛(30)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284)을 공급받는 때, 바닥(44)에 대해 얼음 경로 통제문(64)의 바닥 하부측을 향한 기립 운동을 제어하여 얼음 토출 개폐기(120)에 적치되는 제1 얼음 조각 그룹(286)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64)의 바닥 하부측으로부터 기립 운동은 바닥(44)을 통해 얼음 조각(288)을 쉽게 배출시키므로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얼음 조각(284)의 이동을 방해한다. 한편,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120)는, 제1 및 제2 가장자리 힌지(111), 중앙 힌지(112), 힌지 회전 모터(113)와 가림문(116)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가장자리 힌지(111)는, 벽체(41)의 개구부(51) 상에서 마주하는 일측 및 타측 벽체(41)에 각각 고정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가장자리 힌지(11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72)를 통해 일측 및 타측 벽체(41)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중앙 힌지(112)는, 제1 및 제2 가장자리 힌지(111)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힌지 회전 모터(113)는, 제1 및 제2 가장자리 힌지(111) 중 하나를 지나 중앙 힌지(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림문(116)은, 중앙 힌지(112)에 고정되어 벽체(41)의 개구부(55)를 덮는다. 상기 가림문(116)은, 힌지 회전 모터(113)가 구동되는 때, 중앙 힌지(112)와 함께 벽체(41)에 대해 회전(R2)한다.
상기 가림문(116)은, 바닥(44)과 벽체(41)가 사각 형상의 박스(box)를 이루는 때, 벽체(41)의 개구부(51)를 덮어 개구부(55)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림문(116)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문(124 또는 128)으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림문(124)은 벽체(41)와 바닥(44) 사이의 영역을 개구시켜 사각형에 모따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가림문(128)은, 역 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림문(124 또는 128)은, 바닥(44)과 벽체(41)가 사각 형상의 박스를 이루는 때, 벽체(41)의 개구부(55)를 덮어 개구부(55)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역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벽체(41)와 바닥(44) 사이의 영역을 개구시켜 사각형에 모따기 형상을 가지면서, 벽체(41)의 마주하는 양 측벽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얼음 배출 제어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에서 얼음 경로 개폐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5)은, 도 2 및 도 3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과 유사한 구조를 갖지만,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5)의 얼음 경로 개폐기(105)는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의 얼음 경로 개폐기(100)와 다른 구조를 갖는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105)는, 얼음 경로 통제문(68), 제1 내지 제3 받침대(73, 76, 79), 얼음 경로통제 모터(94), 제1 및 제2 힌지부(96, 98)와 회전 방지편(99)을 포함한다.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68)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배출 제어유닛(135)에서 바닥(46)의 배출구(42)에 위치되어 바닥(46)의 배출구(42)로부터 바닥(46)의 하부측을 향해 두 개의 가지 목형상(66)으로 분기된다. 상기 바닥(46)은, 바닥(46)의 배출구(42) 주변에서 개별 가지 목형상(66)을 수용하는 목 수용홀(45)을 갖는다.
상기 제1 받침대(73)는, 얼음 경로 통제문(68)에서 두 개의 가지 목형상(66)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제2 및 제3 받침대(76, 79)는, 개별 가지 목형상(66)의 양측부에 위치된다.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94)는, 제1 받침대(73) 상에 위치된다. 상기 제1 힌지부(96)는, 얼음 경로통제 모터(94)의 일 측부에서 제2 및 제3 받침대(76, 79) 상에 위치된다.
상기 제2 힌지부(98)는, 얼음 경로통제 모터(94)의 타 측부에서 제2 및 제3 받침대(76, 79) 상에 위치된다. 상기 회전 방지편(99)은, 바닥(46)의 하부측에서 얼음 경로 통제문(68)의 양 단부 아래에 위치되어 바닥(46)에 고정된다.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94)는, 제빙유닛(30)을 기준으로 볼 때, 바닥(46)을 관통하도록 바닥(46)과 제1 힌지부(96)와 제2 힌지부(98)에 대해 얼음 경로 통제문(68)을 회동(R3)시킨다.
따라서,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94)는, 얼음 배출 제어유닛(135)에 제빙유닛(도 1의 30)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도 1의 284)을 공급받는 때, 바닥(46)에 대해 얼음 경로 통제문(68)의 바닥 상부측을 향한 기립 운동을 제어하여 얼음 토출 개폐기(120)에 적치되는 제2 얼음 조각 그룹(도 13의 288)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68)의 바닥 상부측을 향한 기립 운동은 바닥(46) 상에 얼음 조각(284)을 쉽게 적치시키므로 얼음 배출 제어유닛(13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얼음 조각(284)의 이동을 방해한다. 이를 통해,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5)은, 얼음 배출 제어유닛(135)의 바닥(46)의 상부측에서 얼음 배출 제어유닛(135)의 내부에, 예를 들면, 얼음 경로 통제문(68) 주변에 제1 얼음 조각 그룹(도면에 미도시)을 적치시킨다.
한편,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68), 얼음 경로통제 모터(94), 제1 힌지부(96)와 제2 힌지부(98)의 결합 관계는, 도 2 및 도 3에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64), 얼음 경로통제 모터(94), 제1 힌지부(96)와 제2 힌지부(98)의 결합 관계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120)는, 도 2 내지 도 3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5)은, 도 2 및 도 3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를 대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얼음 배출 제어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에서 얼음 경로 개폐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60)은, 도 2 및 도 3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과 유사한 구조를 갖지만,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과 부분적으로 다른 구조를 갖는다.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빙유닛(도 1의 30)은, 선택 음료 추출부(도 11의 210)에서 복수의 얼음 조각(도 1의 284)을 만든다.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은, 상부측을 통해 제빙유닛(30)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284)을 제공받아 음료 컵(도 11의 270)에 소정 량의 얼음 조각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60)은, 도 6 및 도 7에서, 얼음 배출 제어유닛(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바닥(48); 및 바닥(48)의 둘레를 따라 바닥(48)으로부터 솟아 올라 바닥(48)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개구부로 절개되는 벽체(41); 바닥(48) 상에 위치되어 벽체(48)를 따라 형성되는 얼음 경로를 개폐하는 얼음 경로 개폐기(150); 및 벽체(41)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얼음 토출 개폐기(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60)은, 제빙유닛(30) 아래로부터 음료 컵(270)을 향해 비스듬하게 경사지고, 얼음 경로 개폐기(150)의 개방 상태와 얼음 토출 개폐기(120)의 폐쇄 상태에서 얼음 경로 개폐기(150)의 후방에 제빙유닛(30)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284)을 제공받은 후, 얼음 경로 개폐기(150)를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제어시켜 바닥(48) 상에서 복수의 얼음 조각(284)을 나누어 얼음 경로 개폐기(150)의 전방에 제1 얼음 조각 그룹을 그리고 얼음 경로 개폐기(150)의 후방에 제2 얼음 조각 그룹을 위치시킨다.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150)의 후방은, 제빙유닛(30)의 얼음 낙하 궤적과 얼음 배출 제어유닛(160)의 바닥(48)의 교차점 주변 또는 교차영역 주변을 지칭한다. 또한,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60)은, 얼음 토출 개폐기(120)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시켜 제1 얼음 조각 그룹을 음료 컵(270)에 제공함과 함께, 제2 얼음 조각 그룹을 얼음 경로 개폐기(150)의 후방에 적치시킨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150)는, 바닥(48) 상에서 벽체(41)의 마주하는 양 측벽 사이에 위치되는 얼음 경로 통제문(147)과, 벽체(41)의 개별 측벽에서 얼음 경로 통제문(147)의 양 측부에 위치되어 개별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이동 가이더(14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가이더(149)는, 벽체(41)와 바닥(48)에 대해 얼음 경로 통제문(147)의 상하 운동(M)을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150)는, 레크 기어(141)와 위치 고정 레일(142)과 피니언 기어(143)와 피니언 기어 모터(145)를 더 포함한다. 우선적으로, 상기 레크 기어(14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경로 통제문(147)과 개별 측벽 사이에서 얼음 경로 통제문(147)에 고정되어 바닥(48)의 개방 문(47)을 지난다.
상기 위치 고정 레일(142)은, 바닥(48)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레크 기어(141)의 홈(G)에 삽입되어 레크 기어(141)의 상하 이동(M)을 가이드하며, 바닥(48)에 고정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143)는, 바닥(48)의 하부측에서 레크 기어(141)와 기어 치합한다. 상기 피니언 기어 모터(145)는, 피니언 기어(143)에 회전(R4) 가능하게 결합하면서 바닥(48)의 하부측에서 바닥(48)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레크 기어(141)는, 피니언 기어 모터(145)의 구동 동안, 바닥(48)의 개방 문(47)을 관통하면서 얼음 경로 통제문(147)을 상하 운동(M)시킨다. 상기 피니언 기어 모터(145)는, 얼음 배출 제어유닛(160)에 제빙유닛(30)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도 1의 248)을 공급받는 때, 얼음 경로 통제문(147)의 상하 운동(M)을 제어하여 바닥(48) 상에서 복수의 얼음 조각(248)을 제1 및 제2 얼음 조각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120)는, 도 2 내지 도 3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60)은, 도 2 및 도 3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을 대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얼음 배출 제어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에서 얼음 경로 개폐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90)은, 도 6 및 도 7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160)과 유사한 구조를 갖지만,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90)의 얼음 경로 개폐기(180)는 얼음 배출 제어유닛(160)의 얼음 경로 개폐기(150)와 다른 구조를 갖는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180)는, 얼음 배출 제어유닛(190)의 벽체(41)에서 마주하는 양 측벽 사이에 위치되어 개별 측벽에 인접하는 얼음 경로 통제도구(17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도구(176)는, 개별 측벽에 대해 회전하는 복수의 날개이다. 또한,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180)는, 서포팅 힌지(172)들과 로테이션 힌지(174)와 날개 회전 모터(17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포팅 힌지(172)들은, 벽체(41) 상에서 도 12의 받침대(72)와 유사한 받침대(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일측 및 타측 벽체(41)에 고정된다. 상기 로테이션 힌지(174)는, 서포팅 힌지(172)들 사이에 위치되어 얼음 경로 통제도구(176)에 고정된다.
상기 날개 회전 모터(178)는, 서포팅 힌지(172)들 중 하나를 지나 로테이션 힌지(174)에 회전(R5)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도구(176)는, 날개 회전 모터(178)가 구동되는 때, 복수의 날개의 궤적(T)을 그리면서 복수의 날개에서 개별 날개를 바닥(49)에 반복적으로 접촉시킨다.
따라서, 상기 날개 회전 모터(178)는, 얼음 배출 제어유닛(190)에 제빙유닛(30)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도 1의 248)을 공급받는 때, 얼음 경로 통제도구(176)로부터 복수의 날개 사이에 위치되는 개별 영역(A 또는 B 또는 C)의 회전 반복 횟수 또는 복수의 날개에서 개별 날개의 회전 반복 횟수를 내부 센서(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모니터하면서 얼음 경로 통제도구(176)의 회전을 제어하여 바닥(49) 상에서 복수의 얼음 조각(248)을 제1 및 제2 얼음 조각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120)는, 도 2 내지 도 3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90)은, 도 2 및 도 3의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을 대체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음료 자판기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이 경우에,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료 자판기(260)는, 서로에 대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선택 음료 반출부(10)와 선택 음료 추출부(210)와 종류별 음료 선택부(25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종류별 음료 선택부(250)에서 돈 투입구(240)에 음료 주문 고객의 동전이 투입되고, 음료 디스플레이 창(220)에 대한 음료 주문 고객의 주시 동안 선택 버튼(230)에 음료 주문 고객의 누름 외력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돈 투입구(240)는 플라스틱 카드 또는 핸드폰 카드를 결재하는 카드 리더기로 대체되거나, 핸드폰 QR 코드를 인식하는 QR 코드 리더기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카드 리더기와 QR 코드 리더기 중 적어도 하나는, 돈 투입구(240)와 함께, 종류별 음료 선택부(250)에 설치되거나, 종류별 음료 선택부(250) 이외의 음료자판기(260)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음료 자판기(260)가 돈 투입구(240)에 동전 투입과 선택 버튼(230)에 누름 외력을 확인한 후, 상기 선택 음료 추출부(210)에서 선택 버튼(230)에 해당되는 음료와 함께 주문 요구 온도를 맞추도록, 상기 선택 음료 추출부(210)의 제빙유닛(30)의 사용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선택 음료 추출부(210)에서 제빙유닛(30)의 사용을 결정한 후, 상기 제빙유닛(30)으로부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에 복수의 얼음 조각(도 12의 284)이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은 선택 음료 추출부(210)에서 제빙유닛(30)에 대해 도 12와 같이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얼음 조각(284)은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에서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의 경사진 형상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제빙유닛(30)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경로 개폐기(100)와 얼음 토출 개폐기(120)의 폐쇄 상태에서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에 복수의 얼음 조각(284)의 공급을 완료하는 때, 상기 복수의 얼음 조각(284)은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에서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의 경사진 형상을 따라 얼음 토출 개폐기(120)의 가림문(116)으로부터 시작하여 바닥(44)을 지나 얼음 경로 개폐기(100)의 얼음 경로 통제문(64) 상에 걸쳐 적치된다.
계속해서,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은, 얼음 경로 개폐기(100)의 얼음 경로 통제문(64)의 회동(R1)을 통해, 얼음 경로 개폐기(100)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시켜 복수의 얼음 조각(284) 중 일부에 해당하는 제1 얼음 조각 그룹(도 13의 286)을 얼음 배출 제어 유닛(130) 아래에 버린다. 상기 제1 얼음 조각 그룹(286)은 음료 자판기(260)의 내부에서 순환 싸이클(도면에 미도시)을 통해 재사용된다.
또한,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경로 개폐기(100)의 얼음 경로 통제문(64)의 회동(R1)을 통해, 도 13과 같이, 얼음 토출 개폐기(120)의 가림문(116)의 회동(R2)을 통해, 얼음 토출 개폐기(120)를 폐쇄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시켜 복수의 얼음 조각(284) 중 나머지에 해당하는 제2 얼음 조각 그룹(288)을 음료 컵(270)에 제공한다.
즉, 상기 제2 얼음 조각 그룹(288)은, 가림문(116)을 통해 음료 자판기(260)의 선택 음료 반출부(10)에 위치하는 컵(270)에 일 방향(F)으로 도 11 및 도 13과 같이 토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료 배출유닛(200)은, 선택 음료 추출부(210)에서 얼음 배출 제어유닛(130)으로부터 선택 음료 반출부(10)의 음료 컵(270)을 향해 제2 얼음 조각 그룹(288)의 배출 전(前) 또는 후(後)에 선택 음료를 배출시킬 수 있다.
41; 벽체, 42; 배출구
44; 바닥, 55; 개구부
64; 얼음 경로 통제문, 100; 얼음 경로 개폐기
111; 가장자리 힌지, 112; 중앙 힌지
113; 힌지 회전 모터, 116; 가림문
120; 얼음 토출 개폐기, 130; 얼음 배출 제어유닛
R1; 회동

Claims (15)

  1. 상부측을 통해 제빙유닛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을 제공받아 음료 컵에 소정 량의 얼음 조각을 제공하는 얼음 배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음료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얼음 배출 제어 유닛은,
    상기 얼음 배출 제어 유닛의 하부측에 배출구를 적어도 일부분에 가지는 바닥;
    상기 바닥의 둘레를 따라 상기 바닥으로부터 솟아올라 상기 바닥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개구부로 절개되는 벽체;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얼음 경로 개폐기; 및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얼음 토출 개폐기를 포함하면서,
    상기 제빙유닛 아래로부터 상기 음료 컵을 향해 비스듬하게 경사지고,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와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빙유닛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얼음 조각을 제공받은 후,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시켜 상기 복수의 얼음 조각 중 일부에 해당하는 제1 얼음 조각 그룹을 상기 얼음 배출 제어 유닛 아래에 버리거나 상기 얼음 배출 제어 유닛의 내부에 적치(積峙)시키고,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를 폐쇄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시켜 상기 복수의 얼음 조각 중 나머지에 해당하는 제2 얼음 조각 그룹을 상기 음료 컵에 제공하는, 음료 자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바닥의 하부측을 향해 두 개의 가지(branch) 목형상으로 분기되는 얼음 경로 통제문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은,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 주변에서 상기 개별 가지 목형상을 수용하는 목 수용홈을 가지는, 음료 자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에서 상기 두 개의 가지 목형상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받침대 그리고 개별 가지 목형상의 양측부에 위치되는 제2 및 제3 받침대;
    상기 제1 받침대 상에 위치되는 얼음 경로통제 모터;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의 일 측부에서 상기 제2 및 제3 받침대 상에 위치되는 제1 힌지부; 및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의 타 측부에서 상기 제2 및 제3 받침대 상에 위치되는 제2 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는,
    상기 제빙유닛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바닥의 상기 하부측에서 상기 바닥과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제2 힌지부에 대해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을 회동시키는, 음료 자판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바닥의 하부측을 향해 두 개의 가지 목형상으로 분기되는 얼음 경로 통제문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은,
    상기 바닥의 상기 배출구 주변에서 상기 개별 가지 목형상을 수용하는 목 수용홀을 가지는, 음료 자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에서 상기 두 개의 가지 목형상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받침대 그리고 개별 가지 목형상의 양측부에 위치되는 제2 및 제3 받침대;
    상기 제1 받침대 상에 위치되는 얼음 경로통제 모터;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의 일 측부에서 제2 및 제3 받침대 상에 위치되는 제1 힌지부;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의 타 측부에서 제2 및 제3 받침대 상에 위치되는 제2 힌지부; 및
    상기 바닥의 상기 하부측에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의 양 단부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에 고정되는 회전 방지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는,
    상기 제빙유닛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바닥을 관통하도록 상기 바닥과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제2 힌지부에 대해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을 회동시키는, 음료 자판기.
  6. 제3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제1 힌지부 또는 제2 힌지부는,
    상기 제2 및 제3 받침대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 힌지들; 및
    상기 고정 힌지들 사이에 위치되는 회전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는,
    양축 모터이며 개별 모터축에서 고정 힌지를 지나 상기 회전 힌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음료 자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가지 목형상은,
    상기 회전 힌지에 고정되어, 상기 얼음 경로통제 모터의 구동시, 상기 회전 힌지와 함께 회동되는, 음료 자판기.
  8. 상부측을 통해 제빙유닛으로부터 복수의 얼음 조각을 제공받아 음료 컵에 소정 량의 얼음 조각을 제공하는 얼음 배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음료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은,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바닥; 및
    상기 바닥의 둘레를 따라 상기 바닥으로부터 솟아올라 상기 바닥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개구부로 절개되는 벽체;
    상기 바닥 상에 위치되어 상기 벽체를 따라 형성되는 얼음 경로를 개폐하는 얼음 경로 개폐기; 및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얼음 토출 개폐기를 포함하면서,
    상기 제빙유닛 아래로부터 상기 음료 컵을 향해 비스듬하게 경사지고,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의 개방 상태와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의 후방에 상기 제빙유닛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얼음 조각을 제공받은 후,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를 상기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제어시켜 상기 바닥 상에서 상기 복수의 얼음 조각을 나누어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의 전방에 제1 얼음 조각 그룹을 그리고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의 상기 후방에 제2 얼음 조각 그룹을 위치시키고,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를 상기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시켜 상기 제1 얼음 조각 그룹을 상기 음료 컵에 제공함과 함께, 상기 제2 얼음 조각 그룹을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의 상기 후방에 적치시키는, 음료 자판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바닥 상에서 상기 벽체의 마주하는 양 측벽 사이에 위치되는 얼음 경로 통제문; 및
    상기 벽체의 개별 측벽에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의 양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개별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이동 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가이더는,
    상기 벽체와 상기 바닥에 대해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의 상하 운동을 가이드하는, 음료 자판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과 상기 개별 측벽 사이에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에 고정되어 상기 바닥의 개방 문을 지나는 레크 기어;
    상기 바닥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레크 기어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레크 기어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바닥에 고정되는 위치 고정 레일;
    상기 바닥의 상기 하부측에서 상기 레크 기어와 기어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바닥의 상기 하부측에서 상기 바닥에 고정되는 피니언 기어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크 기어는,
    상기 피니언 기어 모터의 구동 동안, 상기 바닥의 상기 개방 문을 관통하면서 상기 얼음 경로 통제문을 상하 운동시키는, 음료 자판기.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얼음 배출 제어유닛의 상기 벽체에서 마주하는 양 측벽 사이에 위치되어 개별 측벽에 인접하는 얼음 경로 통제도구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경로 통제도구는,
    상기 개별 측벽에 대해 회전하는 복수의 날개인, 음료 자판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경로 개폐기는,
    상기 벽체 상에서 일측 및 타측 벽체에 고정되는 서포팅 힌지들;
    상기 서포팅 힌지들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얼음 경로 통제도구에 고정되는 로테이션 힌지; 및
    상기 서포팅 힌지들 중 하나를 지나 상기 로테이션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날개 회전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얼음 경로 통제도구는,
    상기 날개 회전 모터가 구동되는 때, 상기 복수의 날개에서 개별 날개를 상기 바닥에 반복적으로 접촉시키는, 음료 자판기.
  13. 제1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토출 개폐기는,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 상에서 마주하는 일측 및 타측 벽체에 각각 고정되는 제1 및 제2 가장자리 힌지;
    상기 제1 및 제2 가장자리 힌지 사이에 위치되는 중앙 힌지;
    상기 제1 및 제2 가장자리 힌지 중 하나를 지나 상기 중앙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회전 모터; 및
    상기 중앙 힌지에 고정되어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가림문을 포함하고,
    상기 가림문은,
    상기 힌지 회전 모터가 구동되는 때, 상기 중앙 힌지와 함께 상기 벽체에 대해 회전하는, 음료 자판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과 상기 벽체가 사각 형상의 박스(box)를 이루는 때,
    상기 가림문은,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를 덮어 상기 개구부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도록,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역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벽체와 상기 바닥 사이의 영역을 개구시켜 상기 사각형에 모따기 형상을 가지는, 음료 자판기.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문은,
    상기 바닥과 상기 벽체가 사각 형상의 박스를 이루는 때,
    상기 벽체의 상기 개구부를 덮어 상기 개구부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역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벽체와 상기 바닥 사이의 영역을 개구시켜 상기 사각형에 모따기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벽체의 마주하는 양 측벽 사이에 위치되는, 음료 자판기.

KR1020200053293A 2020-05-04 2020-05-04 음료 자판기 KR102349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293A KR102349067B1 (ko) 2020-05-04 2020-05-04 음료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293A KR102349067B1 (ko) 2020-05-04 2020-05-04 음료 자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077A KR20210135077A (ko) 2021-11-12
KR102349067B1 true KR102349067B1 (ko) 2022-01-10

Family

ID=78497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293A KR102349067B1 (ko) 2020-05-04 2020-05-04 음료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0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867B1 (ko) 2022-12-09 2023-04-25 주식회사 릴리즈테크 얼음 토출 기능을 갖는 커피 자동판매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5370A (ja) 2003-01-10 2004-09-24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JP2012059096A (ja) 2010-09-10 2012-03-22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カップ式自動販売機
KR101229152B1 (ko) 2011-05-24 2013-02-01 황석환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KR101906338B1 (ko) 2010-09-29 2018-10-11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저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442Y1 (ko) 2002-03-28 2002-07-19 김명섭 냉음료 자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5370A (ja) 2003-01-10 2004-09-24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JP2012059096A (ja) 2010-09-10 2012-03-22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カップ式自動販売機
KR101906338B1 (ko) 2010-09-29 2018-10-11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저장고
KR101229152B1 (ko) 2011-05-24 2013-02-01 황석환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867B1 (ko) 2022-12-09 2023-04-25 주식회사 릴리즈테크 얼음 토출 기능을 갖는 커피 자동판매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077A (ko) 2021-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88142B1 (en) Container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and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refrigerated, unrefrigerated and/or heated foods
US7802700B2 (en) Product discharge and delivery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JP2024050623A (ja) 無駄のない自動販売機
US3482509A (en) Sandwich cooking and dispensing machine
EP2548182B1 (en) Vendor
KR102349067B1 (ko) 음료 자판기
KR100274437B1 (ko) 자동판매기 구동방법
GB1566162A (en) Article dispensing apparatus
US5429362A (en) Medal dispenser for slot machine
US6055839A (en) Pressing of coins, tokens, and like items
KR200489693Y1 (ko) 스틱커피 및 컵 자판기
CN105913560A (zh) 一种自动贩卖机
JPH05120530A (ja) 自動販売機
KR200173870Y1 (ko) 과일 자동 판매기
JPH071181Y2 (ja) 遊技機の玉送り出し装置
WO2017221853A1 (ja) 商品自動搬出機
KR100292340B1 (ko) 자동판매기
KR100274438B1 (ko) 복합자동판매기
KR200294636Y1 (ko) 복합자동판매기
KR19980034414A (ko)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구 개폐장치
KR100333914B1 (ko) 자동판매기의 가변형 컵디스펜서
KR0177593B1 (ko) 빠찡꼬용 구슬상자 및 빠찡꼬 구슬의 카운트장치
KR19980075858A (ko) 자동판매기용 스틱투출장치
US2523677A (en) Coin-controlled bottle dispensing machine
KR19990023327U (ko) 자동판매기용 동전투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