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338B1 - 얼음저장고 - Google Patents

얼음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338B1
KR101906338B1 KR1020100094018A KR20100094018A KR101906338B1 KR 101906338 B1 KR101906338 B1 KR 101906338B1 KR 1020100094018 A KR1020100094018 A KR 1020100094018A KR 20100094018 A KR20100094018 A KR 20100094018A KR 101906338 B1 KR101906338 B1 KR 101906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in body
storage unit
auxiliary storage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2603A (ko
Inventor
신중배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4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338B1/ko
Publication of KR20120032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얼음이 저장되는 별도의 저장공간을 더 구비한 얼음저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저장고는 제빙기(IM)에서 만들어진 얼음(I)이 이송되어 저장되며 저장된 얼음(I)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 주저장부(200); 및 상기 주저장부(200)에 연결되며 상기 주저장부(200)에 저장된 얼음(I)이 이송되어 저장되고 저장된 얼음(I)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보조저장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주저장부 뿐만 아니라 보조저장부에도 저장할 수 있으며, 보조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녹지않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얼음을 항상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얼음저장고{ICE STORAGE}
본 발명은 얼음이 저장되는 별도의 저장공간을 더 구비한 얼음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얼음저장고는 예컨대, 얼음정수기 등에 구비된 제빙기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는 곳이다.
따라서, 얼음저장고에는 얼음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얼음저장고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얼음은 얼음저장고에 구비된 얼음이송부재에 의해서 얼음저장고의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종래, 이러한 얼음저장고에는 전술한 얼음저장고에 구비된 저장공간 이외에 얼음이 저장될 수 있는 별도의 저장공간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갑자기 많은 양의 얼음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얼음을 공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얼음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이 모두 사용된 후 제빙기에서 아직 얼음이 만들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얼음을 공급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얼음저장고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주저장부 뿐만 아니라 보조저장부에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보조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녹지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얼음을 항상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얼음저장고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는 주저장부 뿐만 아니라 주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이송되어 저장되는 보조저장부도 포함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얼음저장고는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이송되어 저장되며 저장된 얼음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 주저장부; 및 주저장부에 연결되며 주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이송되어 저장되고 저장된 얼음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보조저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저장부는 제빙기 아래에 위치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낙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저장부는 제빙기 아래에 위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얼음이 저장되는 주저장부본체; 및 주저장부본체에 저장된 얼음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주저장부본체에 구비되는 얼음토출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저장부는 얼음을 얼음토출부재 쪽으로 이송시키도록 주저장부본체에 구비되는 얼음이송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저장부는 얼음이송부재를 구동하도록 얼음이송부재에 연결된 구동모터;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저장부는 주저장부본체에 저장된 얼음의 만빙(滿氷) 여부를 감지하도록 주저장부본체에 구비되는 제1만빙센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저장부는 주저장부 아래에 위치되며 주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낙하되어 저장되도록 주저장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저장부는 주저장부에 포함되는 주저장부본체 아래에 위치되는 보조저장부본체; 주저장부본체와 보조저장부본체 사이에 구비되며 주저장부본체에 저장된 얼음이 보조저장부본체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부재; 및 보조저장부본체로 이송된 얼음이 저장되며 보조저장부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보관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저장부는 주저장부본체에 존재하는 차가운 공기가 보조저장부본체로 유동되도록 주저장부본체와 보조저장부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공기유동구멍;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저장부는 복수개의 공기유동구멍에 인접한 보조저장부본체에 구비되는 팬;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저장부는 보조저장부본체에 저장된 얼음의 만빙여부를 감지하도록 보조저장부본체에 구비되는 제2만빙센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주저장부 뿐만 아니라 보조저장부에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녹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얼음을 항상 공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3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얼음저장고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는 주저장부 뿐만 아니라 주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이송되어 저장되는 보조저장부도 포함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100)는 주저장부(200)와 보조저장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주저장부(200)는 제빙기(IM)에서 만들어진 얼음(I)이 이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주저장부(2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기(IM)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주저장부(200)는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빙기(IM)에서 만들어진 얼음(I)이 주저장부(200)로 낙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주저장부(200)는 저장된 얼음(I)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주저장부(200)는 주저장부본체(210)와, 얼음토출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저장부본체(2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기(IM)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빙기(IM)에서 만들어진 얼음(I)이 제빙기(IM)로부터 주저장부본체(210)에 낙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얼음토출부재(22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주저장부본체(2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얼음토출부재(220)에 의해서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예컨대, 얼음토출부재(220)가 주저장부본체(210)에 힌지연결되고, 얼음토출부재(220)가 수동 또는 얼음토출부재(220)에 연결된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면,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주저장부(200)는 얼음이송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얼음이송부재(230)도 주저장부본체(21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얼음이송부재(230)에 의해서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이 얼음토출부재(220) 쪽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얼음이송부재(230)는 스크류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주저장부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얼음이송부재(230)의 회전에 의해서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이 얼음토출부재(220) 쪽으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얼음토출부재(220)는 주저장부본체(210)에 탄성적으로 힌지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얼음(I)이 얼음이송부재(230)에 의해서 얼음토출부재(220)쪽으로 이송되고 이러한 얼음(I)의 이송에 의해서 얼음토출부재(220)가 열리면,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주저장부(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구동모터(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24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얼음이송부재(2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동모터(240)에 의해서 얼음이송부재(230)가 구동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얼음이송부재(230)가 회전될 수 있다. 구동모터(24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100)가 구비될 수 있는 얼음정수기 등에 구비된 제어부에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주저장부(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만빙센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만빙센서(250)에 의해서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의 만빙(滿氷)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만빙센서(250)는 광센서일 수 있다. 그러나, 제1만빙센서(250)는 광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의 만빙(滿氷)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1만빙센서(25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얼음정수기(도시되지 않음) 등에 구비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만빙센서(250)에서 주저장부본체(210)의 얼음(I)의 만빙을 감지하면, 제빙기(IM)에서의 얼음(I)의 제조가 중지될 수 있다.
보조저장부(300)는 주저장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주저장부(200)에 저장된 얼음(I)이 이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된 얼음(I)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저방부(200) 뿐만 아니라 보조저방부(300)에도 얼음(I)이 저장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얼음(I)을 항상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저장부(3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주저장부(200)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주저장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저장부(200)에 저장된 얼음(I)이 낙하되어 보조저장부(3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보조저장부(300)는 보조저장부본체(310)와, 이송부재(320) 및, 보조보관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저장부본체(31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주저장부본체(210)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송부재(320)는 주정부본체(210)와 보조저장부본체(3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부재(320)에 의해서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이 보조저장부본체(310)로 이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이송부재(32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주저장부본체(210)와 보조저장부본체(310) 사이에 힌지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부재(320)가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회전되면,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은 보조저장부본체(310)로 이송되지 못하고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다. 그리고, 이송부재(320)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회전되면,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은 보조저장부본체(310)로 낙하되어 이송된다. 이러한 이송부재(320)의 회전을 위해서 이송부재(320)는 회전구동모터(32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회전구동모터(3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얼음정수기(도시되지 않음) 등에 구비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보조보관부재(3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저장부본체(310)로 이송된 얼음(I)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보조보관부재(330)는 보조저장부본체(31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조보관부재(330)는 서랍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저장부본체(210)로부터 낙하되어 보조저장부본체(310)로 이송된 얼음(I)이 보조보관부재(33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보관부재(330)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시키면, 사용자가 보조보관부재(330)에 저장된 얼음(I)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조저장부(300)는 주저장부본체(210)와 보조저장부본체(310) 사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공기유동구멍(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공기유동구멍(340)에 의해서 주저장부본체(210)에 존재하는 차가운 공기가 보조저장부본체(310)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저장부본체(310)에 저장된 얼음(I)이 녹지 않고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보조저장부(3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조저장부본체(310)에 구비되는 팬(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팬(350)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공기유동구멍(340)에 인접한 보조저장부본체(3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공기유동구멍(340)을 통한 주저장부본체(210)에 존재하는 차가운 공기의 보조저장부본체(310)로의 유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팬(3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얼음정수기(도시되지 않음) 등에 구비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조저장부(300)는 제2만빙센서(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만빙센서(360)에 의해서 보조저장부본체(310)에 저장된 얼음(I)의 만빙(滿氷)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2만빙센서(360)도 제1만빙센서(250)와 같이 광센서일 수 있다. 그러나, 제1만빙센서(250)는 광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보조저장부본체(310)에 저장된 얼음(I)의 만빙(滿氷)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2만빙센서(36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얼음정수기(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만빙센서(360)에서 보조저장부본체(310)의 얼음(I)의 만빙을 감지하면, 이송부재(320)가 닫혀서 주저장부본체(210)로부터 보조저장부본체(310)로의 얼음(I)의 이송이 중지될 수 있다.
이하, 도3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100)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T)에 담긴 물(W)에 냉동시스템(도시되지 않음)에 포함되는 증발기(E)에 연결된 복수개의 침지부재(S)가 잠기도록 한다. 그리고, 냉동시스템을 작동시켜 증발기(E)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되도록 하면, 침지부재(S)에도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S)에 얼음(I)이 생성된다.
침지부재(S)에 생성된 얼음(I)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가 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T)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증발기(E)에 뜨거운 냉매가 유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침지부재(S)에 생성된 얼음(I)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S)로부터 분리되고 자중에 의해서 주저장부본체(210)에 낙하되어 저장된다.
또한, 이송부재(320)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도록 하면, 즉 열리도록 하면,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이 이송부재(320)를 통해 보조저장부본체(310)로 이송, 즉 낙하되어 보조보관부재(330)에 저장된다.
이후,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만빙센서(360)에 의해서 보조저장부본체(310)에 저장된 얼음(I)의 만빙이 감지되면, 이송부재(320)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즉 닫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주저장부본체(210)로부터 보조저장부본체(310)로의 얼음(I)의 이송이 중단된다. 또한, 제1만빙센서(250)에 의해서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의 만빙이 감지되면, 제빙기(IM)에서의 얼음(I)의 제조가 중단된다.
한편,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350)이 구동되도록 하면, 주저장부본체(210)에 존재하는 차가운 공기가 공기유동구멍(340)을 통해 보조저장부본체(310)로 유동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저장부본체(310)로 이송되어 보조보관부재(330)에 저장된 얼음(I)이 녹지 않을 수 있다.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240)가 구동되도록 하여 얼음이송부재(230)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이 얼음토출부재(220) 쪽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이러한 얼음(I)의 이송에 의해서 얼음토출부재(220)가 열리게 된다. 이에 따라,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이 얼음토출부재(22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한편,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을 모두 사용하고 아직 제빙기(IM)에서 얼음(I)이 만들어지지 않은 때나,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보다 많은 얼음(I)이 필요한 때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보관부재(330)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조보관부재(330)에 저장된 얼음(I)을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100)를 사용하면,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주저장부 뿐만 아니라 보조저장부에도 저장할 수 있으며, 보조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녹지않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얼음을 항상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얼음저장고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얼음저장고 200 : 주저장부
210 : 주저장부본체 220 : 얼음토출부재
230 : 얼음이송부재 240 : 구동모터
250 : 제1만빙센서 300 : 보조저장부
310 : 보조저장부본체 320 : 이송부재
321 : 회전구동모터 330 : 보조보관부재
340 : 공기유동구멍 350 : 팬
360 : 제2만빙센서 IM : 제빙기
E : 증발기 S : 침지부재
T : 트레이부재 I : 얼음
W : 물

Claims (11)

  1. 제빙기(IM)에서 만들어진 얼음(I)이 이송되어 저장되며 저장된 얼음(I)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 주저장부(200); 및
    상기 주저장부(200)에 연결되며 상기 주저장부(200)에 저장된 얼음(I)이 이송되어 저장되고 저장된 얼음(I)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보조저장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저장부(300)는 상기 주저장부(200) 아래에 위치되며 상기 주저장부(200)에 저장된 얼음(I)이 낙하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주저장부(200)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저장부(300)는 상기 주저장부(200)에 포함되는 주저장부본체(210) 아래에 위치되는 보조저장부본체(310), 상기 주저장부본체(210)와 보조저장부본체(31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이 상기 보조저장부본체(310)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부재(320) 및, 상기 보조저장부본체(310)로 이송된 얼음(I)이 저장되며 상기 보조저장부본체(31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보관부재(330)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재(320)는 상기 주저장부본체(210)와 보조저장부본체(310) 사이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주저장부본체(210)와 보조저장부본체(310) 사이에 형성된 개방부를 개폐하고,
    상기 보조저장부(300)는 상기 주저장부본체(210)에 존재하는 차가운 공기가 상기 보조저장부본체(310)로 유동되도록 상기 주저장부본체(210)와 보조저장부본체(310)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공기유동구멍(340)과, 상기 복수개의 공기유동구멍(340)에 인접한 상기 보조저장부본체(310)에 구비되는 팬(3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저장부(200)는 제빙기(IM) 아래에 위치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제빙기(IM)에서 만들어진 얼음(I)이 낙하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저장부(200)는
    제빙기(IM) 아래에 위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얼음(I)이 저장되는 주저장부본체(210); 및
    상기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상기 주저장부본체(210)에 구비되는 얼음토출부재(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저장부(200)는
    얼음(I)을 상기 얼음토출부재(220) 쪽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주저장부본체(210)에 구비되는 얼음이송부재(2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저장부(200)는 상기 얼음이송부재(230)를 구동하도록 상기 얼음이송부재(230)에 연결된 구동모터(2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저장부(200)는
    상기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의 만빙(滿氷)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주저장부본체(210)에 구비되는 제1만빙센서(2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장부(300)는
    상기 보조저장부본체(310)에 저장된 얼음(I)의 만빙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보조저장부본체(310)에 구비되는 제2만빙센서(3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KR1020100094018A 2010-09-29 2010-09-29 얼음저장고 KR101906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018A KR101906338B1 (ko) 2010-09-29 2010-09-29 얼음저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018A KR101906338B1 (ko) 2010-09-29 2010-09-29 얼음저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603A KR20120032603A (ko) 2012-04-06
KR101906338B1 true KR101906338B1 (ko) 2018-10-11

Family

ID=46135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018A KR101906338B1 (ko) 2010-09-29 2010-09-29 얼음저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3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077A (ko) * 2020-05-04 2021-11-12 주식회사 플랜즈커피 음료 자판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0162A (ja) 2004-06-24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KR100774003B1 (ko) * 2007-02-12 2007-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0162A (ja) 2004-06-24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KR100774003B1 (ko) * 2007-02-12 2007-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077A (ko) * 2020-05-04 2021-11-12 주식회사 플랜즈커피 음료 자판기
KR102349067B1 (ko) 2020-05-04 2022-01-10 주식회사 플랜즈커피 음료 자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603A (ko) 201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0176A1 (en) Refrigerator
US7076967B2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AU2013206714B2 (en) Refrigerator
EP3372924B1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CN101529173B (zh) 具有制冰机的冰箱
US10976091B2 (en) Refrigerator
US20080216505A1 (en) Refrigerator
US8534089B2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JP2013061146A (ja) 冷蔵庫
JP2010096410A (ja) 冷蔵庫
CN103438652B (zh) 冰箱
KR101906338B1 (ko) 얼음저장고
EP2496899B1 (en) Refrigerator and water tank for refrigerator
JP5290706B2 (ja) 冷蔵庫
EP3908793B1 (en)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an ice making assembly
JP2005291682A (ja) 冷凍冷蔵庫及び冷凍室扉及び自動製氷機
KR102278204B1 (ko) 냉장고
KR20110101750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 냉장고의 얼음 공급 방법
KR200347071Y1 (ko) 냉장고의 얼음배출 구조
KR20080090100A (ko) 냉장고의 도어 장착 제빙기
KR930003100Y1 (ko) 냉장고용 자동제빙기의 정량급수장치
KR200471371Y1 (ko) 신속 출빙이 가능한 제빙기의 저빙고
JP2007327683A (ja)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JP2008032368A (ja) 冷蔵庫
KR100535262B1 (ko) 대용량 냉온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