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048B1 -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048B1
KR102349048B1 KR1020200021172A KR20200021172A KR102349048B1 KR 102349048 B1 KR102349048 B1 KR 102349048B1 KR 1020200021172 A KR1020200021172 A KR 1020200021172A KR 20200021172 A KR20200021172 A KR 20200021172A KR 102349048 B1 KR102349048 B1 KR 102349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ar door
lock
fixedly installed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6240A (ko
Inventor
백종석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1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048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8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without 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ompleting locking or unlocking of doors
    • B66B13/20Lock mechanisms actuated mechanically by abutments or projections on the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카도어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어 동작하고, 상기 카도어의 잠금을 위한 후크를 포함하는 후크 모듈, 도어 구동장치에 고정 설치되어 동작하면서 상기 후크 모듈과 연동하고, 상기 후크와의 물리적 결합에 의해 상기 잠금을 제공하는 잠금 샤프트를 포함하는 후크 연동 모듈 및 승장도어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어 동작하고, 승강기의 정레벨 도달 시 상기 물리적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잠금의 해제를 제공하는 잠금해제 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SEPARATE ELEVATOR CAR DOOR LOCK}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러치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분리형 구조로 클러치의 조정위치에 상관없이 카도어 잠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장치에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카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카도어가 구비됨과 아울러, 건물의 각층 승강장의 승강구에는 상기 카도어와 연동하여 개폐되면서 탑승객을 해당 층에 승하차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강장 도어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카도어 및 승강도어는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경제성을 높이기 위하여 한 개의 동력을 매개로 일체로 동작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 장치에는 클러치 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임의의 층에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카도어와 승장도어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 중에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지정된 정지위치에서 벗어난 상태로 정지된 경우, 승강도어가 수동으로 개방되게 되면 승객이 승강로로 추락할 위험이 있으므로 승장도어에는 록킹장치가 필수적으로 부착되게 되며, 또한 엘리베이터 카의 탑승객이 임의로 카도어를 개방하여 탈출을 시도할 시에는 승강기와 벽 사이의 공간으로 추락할 위험성이 있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카도어 잠금장치가 구성된다.
여기에서, 종래의 카도어 잠금장치는 카도어에 설치된 클러치가 승장도어에 취부된 롤러를 잡고 일체로 개폐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면 및 승장장 바닥의 레벨이 기준치 이내에 있을 때만 클러치와 롤러가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방식 등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클러치와의 일체형 구조의 경우 클러치의 조정위치에 따라 잠금장치의 유격을 조정해야 하고, 파손시 같이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0880(2014.04.09)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클러치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분리형 구조로 클러치의 조정위치에 상관없이 카도어 잠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승강기의 카가 정레벨을 벗어난 경우 카도어의 임의 개방을 방지하여 승객의 추락을 예방할 수 있는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클러치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분리형 구조로 고장 및 파손 시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는 카도어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어 동작하고, 상기 카도어의 잠금을 위한 후크를 포함하는 후크 모듈, 도어 구동장치에 고정 설치되어 동작하면서 상기 후크 모듈과 연동하고, 상기 후크와의 물리적 결합에 의해 상기 잠금을 제공하는 잠금 샤프트를 포함하는 후크 연동 모듈 및 승장도어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어 동작하고, 승강기의 정레벨 도달 시 상기 물리적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잠금의 해제를 제공하는 잠금해제 캠을 포함한다.
상기 후크 모듈은 상기 카도어의 일면과 직접 결합하는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1 베이스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결합하여 상기 카도어의 일면에 간접 결합하고 상기 제1 베이스와의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후크를 지지하는 제2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 모듈은 상기 후크의 일면 중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동작하는 접점 및 상기 후크의 일면 후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동작하고, 상기 후크에 직접 결합하는 롤러 샤프트와 상기 후크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롤러 샤프트와 결합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캠 연동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 연동 모듈은 상기 접점의 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잠금 샤프트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접점에 선택적으로 접촉 결합되는 스위치 및 도어 구동장치에 직접 결합 가능하도록 '
Figure 112020018342756-pat00001
' 형상의 물리적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와 상기 잠금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해제 캠은 상기 승장도어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 홈을 포함하는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의 일단에서 수직 단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에서 상하 양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잠금해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의 각 면은 직각으로 결합하고,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잠금해제 부재의 각 면은 동일 평면에 포함되며, 상기 잠금해제 부재의 양단은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해제 캠은 상기 승강기의 정레벨 도달 시 상기 잠금해제 부재가 상기 후크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는 접점과 캠 연동 롤러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승강기의 수직 이동에 따라 상기 캠 연동 롤러와 상기 잠금해제 부재 간의 물리적 연동의 결과로서 상기 잠금의 해제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는 승강기의 카가 정레벨을 벗어난 경우 카도어의 임의 개방을 방지하여 승객의 추락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는 클러치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분리형 구조로 고장 및 파손 시 쉽게 교체 가능하여 수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체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후크 모듈 및 후크 연동 모듈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잠금해제 캠의 물리적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일체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도어 잠금장치는 클러치와 일체형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클러치는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 각각 양측으로 개폐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카도어에 구비될 수 있고, 카도어 잠금장치는 클러치에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카도어 잠금장치는 클러치의 동작과 연동하여 카도어의 잠금과 해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클러치와 일체형 구조로 구현된 카도어 잠금장치는 클러치의 조정위치에 따라 잠금장치의 유격을 조정해야 하고, 파손 시 함께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클러치와 카도어 잠금장치가 독립적으로 구현된 분리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클러치와 분리되어 구현되는 카도어 잠금장치는 설치 및 조정의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구조의 경량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후크 모듈 및 후크 연동 모듈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잠금해제 캠의 물리적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조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는 카도어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후크(110)와 도어 구동장치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잠금 샤프트(220) 간의 물리적 결합에 의해 카도어의 잠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는 승장도어의 일면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잠금해제 캠(300)을 통해 후크(110)와 잠금 샤프트(220) 간의 물리적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카도어의 잠금 해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는 후크 모듈(100), 후크 연동 모듈(200) 및 잠금해제 캠(300)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후크 모듈(100)은 카도어의 일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고, 카도어의 잠금을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후크 모듈(100)은 기본적으로 카도어의 잠금을 위한 후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후크(110)는 카도어 잠금을 위한 물리적 결합에 직접 참여하는 구성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크 모듈(100)은 카도어의 일면과 직접 결합하는 제1 베이스(140) 및 제1 베이스(140)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결합하여 카도어의 일면에 간접 결합하고 제1 베이스(140)와의 사이의 공간에서 후크(110)를 지지하는 제2 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후크 모듈(100)은 판상 형태의 제1 베이스(140), 후크(110) 및 제2 베이스(150)가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후크(110)는 제1 및 제2 베이스들(140, 150) 사이에 결합되고 제1 및 제2 베이스들(140, 150)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축(1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제1 및 제2 베이스들(140, 150)은 각각이 카도어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결합 홈들은 카도어와의 결합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도어의 일면에 나사 결합하는 경우 결합 홈은 원형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결합 홈들 중 일부는 지지축과의 결합을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베이스들(140, 150)에 포함된 결합 홈의 개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서, 후크 모듈(100)은 지지축(160)의 외주면을 중심으로 후크(110)와 제1 및 제2 베이스들(140, 150) 사이에 각각 원형 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원형 링 부재는 후크(110)와 제1 및 제2 베이스들(140, 150)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후크(110)의 안정적인 동작 유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크(110)는 지지축(160)이 관통하는 장방형의 슬라이딩 홀(112)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후크(110)는 원형의 홀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장방형의 슬라이딩 홀(112)이 지지축(160)과 결합하여 지지력을 획득할 수 있고, 슬라이딩 홀(112)을 따라 소정 구간 내에서 왕복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크 모듈(100)은 후크(110)의 일면 중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동작하는 접점(120) 및 후크(110)의 일면 후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동작하고, 후크(110)에 직접 결합하는 롤러 샤프트(131)와 후크(110)에서 이격된 상태로 롤러 샤프트(131)와 결합하는 롤러(132)를 포함하는 캠 연동 롤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접점(120)은 잠금장치의 동작을 위한 구성으로서 후크 연동 모듈(200)의 스위치(210)와 접점 결합하여 잠금 기능을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즉, 잠금 상태에서 접점(120)과 스위치(210) 간의 물리적 결합이 이루어지고, 잠금 해제 상태에서 접점(120)과 스위치(210) 간의 물리적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캠 연동 롤러(130)는 잠금해제 캠(300)과의 연동을 통해 카도어 잠금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캠 연동 롤러(130)는 후크(110)의 일면, 즉 접점(120)과 동일한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접점(120)이 중단부에 설치되는 반면, 캠 연동 롤러(130)는 후단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후단부는 잠금 홈(111)이 형성되는 전단부의 반대편에 해당할 수 있다. 롤러 샤프트(131)는 원통형 부재로서 후크(110)에 직접 결합할 수 있고, 롤러(132)는 롤러 샤프트(131)의 외주면을 둘러싼 형태로 후크(110)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캠 연동 롤러(130)는 잠금해제 캠(300)과의 연동에 의해 잠금 해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잠금해제 캠(300)은 접점(120)과 캠 연동 롤러(130)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후크 연동 모듈(200)은 도어 구동장치에 고정 설치될 수 있고, 후크 모듈(100)과의 연동에 의해 카도어의 잠금을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후크 연동 모듈(200)은 기본적으로 카도어의 잠금을 위한 잠금 샤프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잠금 샤프트(220)는 카도어 잠금을 위한 물리적 결합에 직접 참여하는 구성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크 연동 모듈(200)은 접점(120)의 위치에 대응되어 잠금 샤프트(220)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접점(120)에 선택적으로 접촉 결합되는 스위치(210) 및 도어 구동장치에 직접 결합 가능하도록 '
Figure 112020018342756-pat00002
' 형상의 물리적 구조로 형성되고, 스위치(210)와 잠금 샤프트(220)를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위치(210)는 후크 연동 모듈(20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회전 운동하는 후크(110)의 일면에 설치된 접점(120)과 접점 결합할 수 있다. 잠금 샤프트(220)는 스위치(210)의 하단에 설치될 수 있고, 스위치(210)의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후크(110)와 물리적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잠금 샤프트(2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크(110)의 일단에 형성된 잠금 홈(11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230)는 스위치(210)와 잠금 샤프트(220)를 지지하는 부재에 해당할 수 있고, 도어 구동장치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베이스 부재(230)는 도어 구동장치에 직접 결합 가능하도록 '
Figure 112020018342756-pat00003
' 형상의 물리적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후크 모듈(100)의 결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부재(230)의 가로와 세로 방향의 길이, 스위치(210)와 잠금 샤프트(220)의 위치 등은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잠금해제 캠(300)은 승장도어의 일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고, 카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잠금해제 캠(300)은 승강기의 정레벨 도달 시 후크(110)와 잠금 샤프트(220) 간의 물리적 결합을 직접 해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후크 모듈(100)과 후크 연동 모듈(200)의 위치에 대응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잠금해제 캠(300)은 승장도어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 홈을 포함하는 고정 부재(310)와, 고정 부재(310)의 일단에서 수직 단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 부재(320)와, 지지 부재(320)의 일단에서 상하 양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잠금해제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 5를 참조하면, 고정 부재(310)와 지지 부재(320)의 각 면은 직각으로 결합하고, 지지 부재(320)와 잠금해제 부재(330)의 각 면은 동일 평면에 포함되며, 잠금해제 부재(330)의 양단은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잠금해제 부재(330)의 양단의 절곡 방향은 잠금해제 캠(3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지지 부재(320)와 잠금해제 부재(330) 간의 결합 지점이나,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잠금해제 캠(300)의 설치 위치와 캠 연동 롤러(130)의 위치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잠금해제 캠(300)은 승강기의 정레벨 도달 시 잠금해제 부재(330)가 후크(110)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는 접점(120)과 캠 연동 롤러(1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승강기의 수직 이동에 따라 캠 연동 롤러(130)와 잠금해제 부재(330) 간의 물리적 연동의 결과로서 카도어 잠금의 해제를 제공할 수 있다. 후크 모듈(100)과 후크 연동 모듈(200)은 각각 카도어와 도어 구동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와 연동하는 잠금해제 캠(300)은 승장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 카도어 잠금장치가 클러치와 분리되어 구현됨에 따라 카도어 잠금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할 수 있고, 잠금해제 캠(300)이 해당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는 카도어 클러치와 별도의 분리구조로 구현될 수 있어 설치 및 조정이 편할 수 있다. 즉, 카도어 잠금장치는 모듈형으로 구현된 후크 모듈(100)과 후크 연동 모듈(200)의 물리적 결합에 의해 카도어의 잠금을 제공하고 잠금해제 캠과의 물리적 연동을 통해 카도어의 잠금 해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 카도어가 닫히는 경우 후크 모듈(100)의 후크(110)와 후크 연동 모듈(200)의 잠금 샤프트(220)가 서로 결합하여 카도어의 잠금을 제공할 수 있다. 후크(110)와 잠금 샤프트(220) 간의 물리적 결합에 따라 후크 모듈(100)의 접점(120)과 후크 연동 모듈(200)의 스위치(210)는 접점 결합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가 이동하여 지정된 정레벨에 도달한 경우 승장도어에 설치된 잠금해제 캠(300)이 후크(110)와 잠금 샤프트(220) 간의 물리적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후크 모듈(100)의 캠 연동 롤러(130)가 잠금해제 캠(300)과 물리적 연동하여 후크(110)의 회전에 의한 잠금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엘리베이터 카가 정레벨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잠금해제 캠(300)과 캠 연동 롤러(130) 간의 물리적 연동이 불가능한 결과 카도어의 잠금은 해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승강기 내부에서 카도어를 강제적으로 오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후크 모듈
110: 후크 111: 잠금 홈
112: 슬라이딩 홀
120: 접점 130: 캠 연동 롤러
131: 롤러 샤프트 132: 롤러
140: 제1 베이스 150: 제2 베이스
160: 지지축
200: 후크 연동 모듈
210: 스위치 220: 잠금 샤프트
230: 베이스 부재
300: 잠금해제 캠
310: 고정 부재 320: 지지 부재
330: 잠금해제 부재

Claims (6)

  1. 카도어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어 동작하고, 상기 카도어의 잠금을 위한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카도어의 일면과 직접 결합하는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1 베이스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결합하여 상기 카도어의 일면에 간접 결합하고 상기 제1 베이스와의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후크를 지지하는 제2 베이스를 포함하는 후크 모듈;
    도어 구동장치에 고정 설치되어 동작하면서 상기 후크 모듈과 연동하고, 상기 후크와의 물리적 결합에 의해 상기 잠금을 제공하는 잠금 샤프트를 포함하는 후크 연동 모듈; 및
    승장도어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어 동작하고, 승강기의 정레벨 도달 시 상기 물리적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잠금의 해제를 제공하는 잠금해제 캠을 포함하는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모듈은
    상기 후크의 일면 중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동작하는 접점; 및
    상기 후크의 일면 후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동작하고, 상기 후크에 직접 결합하는 롤러 샤프트와 상기 후크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롤러 샤프트와 결합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캠 연동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연동 모듈은
    상기 접점의 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잠금 샤프트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접점에 선택적으로 접촉 결합되는 스위치; 및
    도어 구동장치에 직접 결합 가능하도록 '
    Figure 112020018342756-pat00004
    ' 형상의 물리적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와 상기 잠금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 캠은
    상기 승장도어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 홈을 포함하는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의 일단에서 수직 단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에서 상하 양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잠금해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의 각 면은 직각으로 결합하고,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잠금해제 부재의 각 면은 동일 평면에 포함되며,
    상기 잠금해제 부재의 양단은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 캠은
    상기 승강기의 정레벨 도달 시 상기 잠금해제 부재가 상기 후크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는 접점과 캠 연동 롤러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승강기의 수직 이동에 따라 상기 캠 연동 롤러와 상기 잠금해제 부재 간의 물리적 연동의 결과로서 상기 잠금의 해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
KR1020200021172A 2020-02-20 2020-02-20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 KR102349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172A KR102349048B1 (ko) 2020-02-20 2020-02-20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172A KR102349048B1 (ko) 2020-02-20 2020-02-20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240A KR20210106240A (ko) 2021-08-30
KR102349048B1 true KR102349048B1 (ko) 2022-01-11

Family

ID=77502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172A KR102349048B1 (ko) 2020-02-20 2020-02-20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0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308Y1 (ko) 2002-11-21 2003-02-07 지상열 엘리베이터 인터록 스위치
JP2007076781A (ja) 2005-09-13 2007-03-29 Nippon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ドアのインターロック解除機構
JP2008528399A (ja) 2005-01-28 2008-07-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の戸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880Y1 (ko) 2012-09-25 2014-01-1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KR20150041522A (ko) * 2013-10-08 2015-04-16 박희석 승강기용 카도어 강제 열림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308Y1 (ko) 2002-11-21 2003-02-07 지상열 엘리베이터 인터록 스위치
JP2008528399A (ja) 2005-01-28 2008-07-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の戸ロック装置
JP2007076781A (ja) 2005-09-13 2007-03-29 Nippon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ドアのインターロック解除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240A (ko)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6759B1 (en) Door coupler and latch system for elevator car and landing doors
US11124389B2 (en) Elevator car door interlock
US10710843B2 (en) Car door interlock with sill lock
CN106414295B (zh) 设置有安全设施布置的电梯,和安全设施
US20130048433A1 (en) Elevator door coupler assembly
KR101153123B1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로크장치
EP3187452A1 (en) Elevator door coupler assembly
KR102270800B1 (ko) 엘리베이터용 처짐 방지시스템
JP670406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7206087B2 (ja) 機械式昇降路アクセス制御装置
KR102349048B1 (ko) 분리형 엘리베이터 카도어 잠금장치
EP3450379A1 (en) Mechanical hoistway access control device
JP2007326684A (ja) エレベータ装置
US9150386B2 (en) Wind energy installation working gantry and wind energy installation
JP5580807B2 (ja) 昇降機の乗場ドア解錠装置、及び解錠キー
KR200481777Y1 (ko)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 무빙잠금장치
KR100414298B1 (ko)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록킹장치
CN214456073U (zh) 电梯层门结构与电梯
KR102566204B1 (ko) 엘리베이터 카의 정위치 고정 시스템
JP482644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239038B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764740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문 조립체의 상부 이탈방지구조
JP6026624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026625B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240046342A (ko)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추락 및 처짐방지용 유압식 제동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