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909B1 - 적층 콘덴서 - Google Patents

적층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909B1
KR102348909B1 KR1020180106478A KR20180106478A KR102348909B1 KR 102348909 B1 KR102348909 B1 KR 102348909B1 KR 1020180106478 A KR1020180106478 A KR 1020180106478A KR 20180106478 A KR20180106478 A KR 20180106478A KR 102348909 B1 KR102348909 B1 KR 102348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apacitor
internal
multilayer capacito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8328A (ko
Inventor
타케루 요시다
히데키 카모
나오토 이마이주미
케이치 타키자와
타쿠야 이마에다
스호고 무로사와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8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01G4/012Form of non-self-support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02Mountings
    • H01G2/06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a printed-circuit support
    • H01G2/065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a printed-circuit support for surface mounting, e.g. chip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4Housing; 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01G4/2325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52Terminals the terminals being coated on the capacitiv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8Multiple capacitors, i.e. structural combinations of fixed capacitors
    • H01G4/385Single unit multiple capacitors, e.g. dual capacitor in one coi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15Non-print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 H05K3/3431Leadless components
    • H05K3/3442Leadless components having edge contacts, e.g. leadless chip capacitors, chip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Abstract

적층 콘덴서(1)는, 소체(2), 제1 외부 전극(3) 및 제2 외부 전극(4), 및 복수의 내부 전극을 구비하고, 복수의 내부 전극은, 제1 내부 전극(12), 제2 내부 전극(14), 및 복수의 제3 내부 전극(16)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3 내부 전극(16)의 각각은, 접속 도체(5)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1 내부 전극(12)과 제3 내부 전극(16)에 의해 제1 용량부(C1)가 구성되어 있고, 제2 내부 전극(14)과 제3 내부 전극(16)에 의해 제2 용량부(C2)가 구성되어 있고, 제1 용량부(C1)와 제2 용량부(C2)가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접속 도체(5)는, 4개의 측면 중, 실장면인 측면 이외의 3개의 측면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적층 콘덴서{MULTILAYER CAPACITOR}
본 발명은 적층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적층 콘덴서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7-135124호)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적층 콘덴서는 표면에 전극 패턴을 배설한 유전체층을 복수 적층하고, 내부에 복수의 병렬 접속된 콘덴서 성분이 구성된 적층형 세라믹 콘덴서이며, 세라믹 유전체층에 배설한 전극 패턴의 일부는 병렬 접속된 콘덴서 성분의 각각이 적어도 2개의 콘덴서 성분을 직렬 접속하여 구성되도록 복수로 분할되어 있다.
종래의 적층 콘덴서에서는 적어도 2개의 콘덴서 성분을 직렬로 접속함으로써, 내전압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적층 콘덴서에서는 병렬 접속된 콘덴서 성분 중 하나의 콘덴서 성분에 예를 들면 쇼트 등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라도, 다른 콘덴서 성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로 인해, 종래의 적층 콘덴서에는 콘덴서 성분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라도 정전 용량 및 내전압이 확보되기 때문에, 실장 후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해도, 그 문제를 검출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전압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는 적층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는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단면, 한 쌍의 단면을 연결하는 4개의 측면을 갖는 소체, 한 쌍의 단면측 각각에 배치된 제1 외부 전극 및 제2 외부 전극, 및 소체 내에 배치된 복수의 내부 전극을 구비하고, 복수의 내부 전극은 제1 외부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내부 전극, 제2 외부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내부 전극, 및 복수의 제3 내부 전극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3 내부 전극의 각각은 접속 도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제1 내부 전극과 제3 내부 전극에 의해 제1 용량부가 구성되어 있으며, 제2 내부 전극과 제3 내부 전극에 의해 제2 용량부가 구성되어 있으며, 제1 용량부와 제2 용량부가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접속 도체는 4개의 측면 중 실장면인 측면 이외의 3개의 측면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1 외부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내부 전극과 제3 내부 전극에 의해, 제1 용량부가 구성되어 있으며, 제2 외부 전극에 접속된 제2 내부 전극과 제3 내부 전극에 의해 제2 용량부가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3 내부 전극은 접속 도체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었다. 이것에 의해, 적층 콘덴서는 2개의 콘덴서 성분이 직렬로 접속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에서는 내전압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적층 콘덴서에서는 접속 도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3 내부 전극에 의해 제1 용량부 및 제2 용량부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1 용량부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정전 용량 및 저항값에 변화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적층 콘덴서에서는 실장후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해도 그 문제를 검출할 수 있다.
적층 콘덴서에서는, 접속 도체는 4개의 측면 중 실장면인 측면 이외의 3개의 측면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접속 도체는 실장면인 측면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적층 콘덴서를 실장할 때에 접속 도체가 회로 기판의 전극 등과 접촉하고, 제1 외부 전극 및/또는 제2 외부 전극과 접속 도체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1 용량부와 제2 용량부가 직렬로 접속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내부 전극, 제2 내부 전극 및 제3 내부 전극은 실장면에 대해 직교하는 동시에 한쌍의 단면의 대향 방향을 따라 연재하고 있으며, 접속 도체는 실장면과 대향하는 측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각 내부 전극을 실장면에 대해 직교하고 또한 한쌍의 단면의 대향 방향을 따라 연재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접속 도체를 실장면에 대향하는 측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1 외부 전극 및/또는 제2 외부 전극과 접속 도체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1 용량부와 제2 용량부가 직렬로 접속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외부 전극 및 제2 외부 전극의 각각은 수지 전극층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수지 전극층은 열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적층 콘덴서에서는 회로 기판 등에 적층 콘덴서를 실장할 때에, 땜납을 형성한 경우라도 땜납과의 접합 부분의 열 충격에 의한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전극층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적층 콘덴서에서는 적층 콘덴서를 회로 기판에 실장할 때에, 회로 기판 등으로부터 주어지는 스트레스(응력)를 수지 전극층에서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의 소체에 크랙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지 전극층은 실장면측의 두께에 비해 당해 실장면에 대향하는 측면측의 두께가 작아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실장면에 대향하는 측면측의 제1 외부 전극 및 제2 외부 전극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1 외부 전극 및 제2 외부 전극과 접속 도체 사이의 거리를 확보(거리를 길게)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1 외부 전극 및/또는 제2 외부 전극과 접속 도체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1 용량부와 제2 용량부가 직렬로 접속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지 전극층은 제1 외부 전극 및 제2 외부 전극의 각각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제1 외부 전극 및 제2 외부 전극에 있어서 열 충격에 대한 내구성 및 유연성이 필요한 개소에 수지 전극층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1 외부 전극 및 제2 외부 전극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증대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1 외부 전극 및/또는 제2 외부 전극과 접속 도체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1 용량부와 제2 용량부가 직렬로 접속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지 전극층은 실장면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수지 전극층은 제1 외부 전극 및 제2 외부 전극에 있어서, 땜납이 형성되는 개소 및 회로 기판에 설치되는 개소 등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이로 인해, 적층 콘덴서에서는 실장면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수지 전극층은 필요없다. 이 구성에서는, 제1 외부 전극 및/또는 제2 외부 전극과 접속 도체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1 용량부와 제2 용량부가 직렬로 접속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내전압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적층 콘덴서의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도 1에 도시하는 적층 콘덴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1에 도시하는 적층 콘덴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1에 도시하는 적층 콘덴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적층 콘덴서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적층 콘덴서를 구비하는 전자 부품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적층 콘덴서의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하는 적층 콘덴서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이다.
도 15A는 도 14에 도시하는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B는 도 14에 도시하는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C는 도 14에 도시하는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A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B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A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B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C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A는 제6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B는 제6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1)는 소체(2), 소체(2)의 외 표면에 배치된 제1 외부 전극(3), 제2 외부 전극(4) 및 접속 도체(5)를 구비하고 있다.
소체(2)는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직방체 형상에는 각부 및 능선부가 면이 깍여 있는 직방체의 형상, 및, 각부 및 능선부가 둥글게 되어 있는 직방체 형상이 포함된다. 소체(2)는 그 외표면으로서,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쌍의 단면(端面)(2a, 2b),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쌍의 주면(측면)(2c, 2d),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쌍의 측면(2e, 2f)을 가지고 있다. 한쌍의 주면(2c, 2d)이 대향하고 있는 대향 방향이 제1 방향(D1)이다. 한쌍의 단면(2a, 2b)이 대향하고 있는 대향 방향이 제2 방향(D2)이다. 한쌍의 측면(2e, 2f)이 대향하고 있는 대향 방향이 제3 방향(D3)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방향(D1)은 소체(2)의 높이 방향이다. 제2 방향(D2)은 소체(2)의 긴 방향이며, 제1 방향(D1)과 직교하고 있다. 제3 방향(D3)은 소체(2)의 폭 방향이며,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에 직교하고 있다.
한쌍의 단면(2a, 2b)은 한쌍의 주면(2c, 2d)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1 방향(D1)으로 연신되어 있다. 한쌍의 단면(2a, 2b)은 제3 방향(D3)(한쌍의 주면(2c, 2d)의 단변 방향)으로도 연신되어 있다. 한쌍의 측면(2e, 2f)은 한쌍의 주면(2c, 2d)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1 방향(D1)으로 연신되어 있다. 한쌍의 측면(2e, 2f)은 제2 방향(D2)(한쌍의 단면(2a, 2b)의 장변 방향)으로도 연신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면(2d)은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1)를 다른 전자 기기(예를 들면, 회로 기판, 또는, 전자 부품 등)에 실장할 때, 다른 전자 기기와 대향하는 실장면으로서 규정된다.
소체(2)는 한쌍의 측면(2e, 2f)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으로 복수의 유전체층(절연체층)(10)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소체(2)에서는, 복수의 유전체층(10)의 적층 방향(이하, 간단히「적층 방향」이라고 칭한다.)이 제3 방향(D3)과 일치한다. 각 유전체층(10)은, 예를 들면 유전체 재료(BaTiO3계, Ba(Ti, Zr)O3계, 또는 (Ba, Ca)TiO3계 등의 유전체 세라믹)를 함유하는 세라믹 그린 시트의 소결체로 구성된다. 실제 소체(2)에서는, 각 유전체층(10)은 각 유전체층(10) 사이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1)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체(2) 내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도체로서, 복수의 제1 내부 전극(12)과, 복수의 제1 더미 전극(13)과, 복수의 제2 내부 전극(14)과, 복수의 제2 더미 전극(15)과, 복수의 제3 내부 전극(16)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1 내부 전극(12)의 수(여기에서는 3개)는 복수의 제2 내부 전극(14)의 수와 동일하다.
복수의 제1 내부 전극(12), 복수의 제1 더미 전극(13), 복수의 제2 내부 전극(14), 복수의 제2 더미 전극(15) 및 복수의 제3 내부 전극(16)은, 적층형의 전기 소자의 내부 전극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Ni 또는 Cu 등)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제1 내부 전극(12), 복수의 제1 더미 전극(13), 복수의 제2 내부 전극(14), 복수의 제2 더미 전극(15) 및 복수의 제3 내부 전극(16)은, 상기 도전성 재료를 함유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된다.
제1 내부 전극(12), 제2 내부 전극(14) 및 제3 내부 전극(16)은, 소체(2)의 제3 방향(D3)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층)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내부 전극(12)과 제3 내부 전극(16)은 소체(2) 내에 있어서, 제3 방향(D3)으로 간격을 가지고 대향하도록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제2 내부 전극(14)과 제3 내부 전극(16)은 소체(2) 내에 있어서, 제3 방향(D3)으로 간격을 가지고 대향하도록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제1 내부 전극(12)과 제1 더미 전극(13)은 소체(2) 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층)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내부 전극(14)과 제2 더미 전극(15)은 소체(2) 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층)에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내부 전극(12)은 소체(2)의 제3 방향(D3)에 있어서, 다른쪽 측면(2f)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1 내부 전극(12)은 소체(2)의 제3 방향(D3)에서의 중앙 부분보다도, 다른쪽 측면(2f)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제1 내부 전극(12)은 제2 방향(D2)이 장변 방향인 동시에 제1 방향(D1)이 단변 방향인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1 내부 전극(12)은 소체(2)의 실장면인 주면(2d)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제1 내부 전극(12)의 긴 방향의 일단은 한쪽의 단면(2a)에 노출되어 있다. 제1 내부 전극(12)의 긴 방향의 타단은 다른쪽 단면(2b)보다도 한쪽 단면(2a)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다른쪽 단면(2b)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제1 내부 전극(12)은 다른쪽 단면(2b), 한쌍의 주면(2c, 2d) 및 한쌍의 측면(2e, 2f)에는 노출되어 있지 않다. 제1 내부 전극(12)은 한쪽 단면(2a)에 노출된 단부가 제1 외부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제1 더미 전극(13)은 제2 방향(D2)이 짧은 방향인 동시에 제1 방향(D1)이 긴 방향인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1 더미 전극(13)은 소체(2)의 실장면인 주면(2d)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제1 더미 전극(13)의 짧은 방향의 일단은 다른쪽 단면(2b)에 노출되어 있다. 제1 더미 전극(13)의 짧은 방향의 타단은 한쪽 단면(2a)보다도 다른쪽 단면(2b)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쪽 단면(2a)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제1 내부 전극(12)과 제1 더미 전극(13)은 제2 방향(D2)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제1 더미 전극(13)은 다른쪽 단면(2b)에 노출된 단부가 제2 외부 전극(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내부 전극(14)은 소체(2)의 제3 방향(D3)에 있어서, 한쪽 측면(2e)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2 내부 전극(14)은 소체(2)의 제3 방향(D3)에서의 중앙 부분보다도, 한쪽 측면(2e)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제2 내부 전극(14)은 제2 방향(D2)이 장변 방향인 동시에 제1 방향(D1)이 단변 방향인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2 내부 전극(14)은 소체(2)의 실장면인 주면(2d)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제2 내부 전극(14)의 일단은 다른쪽 단면(2b)에 노출되어 있다. 제2 내부 전극(14)의 긴 방향의 타단은, 한쪽 단면(2a)보다도 다른쪽 단면(2b)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쪽 단면(2a)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제2 내부 전극(14)은 한쪽 단면(2a), 한쌍의 주면(2c, 2d) 및 한쌍의 측면(2e, 2f)에는 노출되어 있지 않다. 제2 내부 전극(14)은 다른쪽 단면(2b)에 노출된 단부가 제2 외부 전극(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제2 더미 전극(15)은 제2 방향(D2)이 짧은 방향인 동시에 제1 방향(D1)이 긴 방향인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2 더미 전극(15)은 소체(2)의 실장면인 주면(2D)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제2 더미 전극(15)의 짧은 방향의 일단은, 한쪽 단면(2a)에 노출되어 있다. 제2 더미 전극(15)의 짧은 방향의 타단은 다른쪽 단면(2b)보다도 한쪽 단면(2a)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다른쪽 단면(2b)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제2 내부 전극(14)과 제2 더미 전극(15)은 제2 방향(D2)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2 더미 전극(15)은 한쪽 단면(2a)에 노출된 단부가 제1 외부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제3 내부 전극(16)은 주전극부(16a)와 접속부(16b)를 포함하고 있다. 제3 내부 전극(16)은 소체(2)의 실장면인 주면(2d)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주전극부(16a)는 제3 방향(D3)에서 소체(2)의 일부(유전체층(10))를 개재하여, 제1 내부 전극(12) 또는 제2 내부 전극(14)과 대향하고 있다. 주전극부(16a)는 제2 방향(D2)이 장변 방향인 동시에 제1 방향(D1)이 단변 방향인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접속부(16b)는 주전극부(16a)의 일변(한쪽의 장변)으로부터 연신되고, 한쪽 주면(2c)에 노출되어 있다. 제3 내부 전극(16)은 한쪽 주면(2c)에 노출되고, 한쌍의 단면(2a, 2b), 다른쪽 주면(2d) 및 한쌍의 측면(2e, 2f)에는 노출되어 있지 않다. 주전극부(16a)와 접속부(16b)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외부 전극(3)은 한쪽 단면(2a)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외부 전극(3)은 단면(2a)에 배치되어 있는 전극 부분(3a)과 한쌍의 주면(2c, 2d)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는 전극 부분(3b, 3c)과, 한쌍의 측면(2e, 2f)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는 전극 부분(3d, 3e)을 가지고 있다. 전극 부분(3a)과 전극 부분(3b, 3c, 3d, 3e)은 소체(2)의 능선부에 있어서 접속되어 있으며,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외부 전극(3)은 한개의 단면(2a), 한쌍의 주면(2C, 2d) 및 한쌍의 측면(2e, 2f)의 오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극 부분(3a)은 제1 내부 전극(12)의 단면(2a)에 노출된 부분을 모두 피복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내부 전극(12)은 제1 외부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외부 전극(4)은 다른쪽 단면(2b)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외부 전극(4)은 단면(2b)에 배치되어 있는 전극 부분(4a)과, 한쌍의 주면(2c, 2d)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는 전극 부분(4b, 4c)과, 한쌍의 측면(2e, 2f)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는 전극 부분(4d, 4e)을 가지고 있다. 전극 부분(4a)과 전극 부분(4b, 4c, 4d, 4e)은 소체의 능선부에 있어서 접속되어 있으며,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외부 전극은 1개의 단면(2b), 한쌍의 주면(2c, 2d), 및 한쌍의 측면(2e, 2f)의 오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극 부분(4a)은 제2 내부 전극(14)의 단면(2b)에 노출된 부분을 모두 피복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제2 내부 전극(14)은 제2 외부 전극(4)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속 도체(5)는 한쪽 주면(2c)에 있어서, 제2 방향(D2)에서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도 5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속 도체(5)는 제3 내부 전극(16)의 접속부(16b)의 주면(2c)에 노출된 부분을 모두 피복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접속부(16b)는 접속 도체(5)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접속부(16b)는 주전극부(16a)와 접속 도체(5)를 접속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제3 내부 전극(16)은 접속 도체(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1)는 제1 용량부(C1)와 제2 용량부(C2)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용량부(C1)는 소체(2) 내에 있어서 제3 방향(D3)으로 간격을 가지고 대향하도록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제1 내부 전극(12)과 제3 내부 전극(1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용량부(C1)는 소체(2)의 제3 방향(D3)에서의 중앙 부분보다도, 다른쪽 측면(2f)측의 영역에 구성되어 있다. 제1 용량부(C1)는 제1 콘덴서 성분을 구성하고 있다.
제2 용량부(C2)는 소체(2) 내에 있어서 제3 방향(D3)으로 간격을 가지고 대향하도록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제2 내부 전극(14)과 제3 내부 전극(1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용량부(C2)는 소체(2)의 제3 방향(D3)에서의 중앙 부분보다도, 다른쪽 주면(2D)측의 영역에 구성되어 있다. 제2 용량부(C2)는 제2 콘덴서 성분을 구성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을 갖는 적층 콘덴서(1)에서는, 복수의 제1 용량부(C1)는 전기적으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복수의 제2 용량부(C2)는 전기적으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1)에서는, 제1 용량부(C1)와 제2 용량부(C2)는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용량부(C1)와 제2 용량부(C2)는 접속 도체(5)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제3 내부 전극(16)에 의해,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제1 용량부(C1) 및 제2 용량부(C2)의 수는, 도 2에 도시하는 제1 내부 전극(12), 제2 내부 전극(14) 및 제3 내부 전극(16)의 수와 반드시 일치하고 있지는 않다.
상기 구성을 갖는 적층 콘덴서(1)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랜드 전극(L1, L2)을 구비하는 회로 기판(100)에 실장된다. 구체적으로는, 적층 콘덴서(1)가 회로 기판(100)에 실장된 전자 부품 장치(110)는, 적층 콘덴서(1)와 회로 기판(100)을 구비하고 있다. 회로 기판(100)은 기판(ST)과 기판(ST)에 탑재된 랜드 전극(L1, L2)을 가지고 있다. 회로 기판(100)은 랜드 전극(L1, L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도시 생략), 전원, 및,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전자 부품 장치(110)에서는, 적층 콘덴서(1)의 소체(2)의 주면(2d)(실장면)을 하방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제1 외부 전극(3)의 전극 부분(3c)과 랜드 전극(L1)이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2 외부 전극(4)의 전극 부분(4c)과 랜드 전극(L2)이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 외부 전극(3)과 랜드 전극(L1)을 땜납(S1)에 의해 접합하고, 제2 외부 전극(4)과 랜드 전극(L2)을 땜납(S2)에 의해 접합한다. 이것에 의해, 전자 부품 장치에서는, 적층 콘덴서(1)의 제1 외부 전극(3)과 랜드 전극(L1)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제2 외부 전극(4)과 랜드 전극(L2)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자 부품 장치(110)에서는, 접속 도체(5)는 회로 기판(100)의 도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1)에서는, 제1 외부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내부 전극(12)과 제3 내부 전극(16)에 의해, 제1 용량부(C1)가 구성되어 있으며, 제2 외부 전극(4)에 접속된 제2 내부 전극(14)과 제3 내부 전극(16)에 의해 제2 용량부(C2)가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3 내부 전극(16)은 접속 도체(5)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적층 콘덴서(1)는 제1 용량부(C1) 및 제2 용량부(C2)(2개의 콘덴서 성분)가 직렬로 접속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1)에서는, 내전압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적층 콘덴서(1)에서는, 접속 도체(5)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3 내부 전극(16)에 의해 제1 용량부(C1) 및 제2 용량부(C2)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1 용량부(C1)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정전 용량 및 저항값에 변화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적층 콘덴서(1)에서는, 실장후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해도, 그 문제를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1)에서는, 제1 내부 전극(12), 제2 내부 전극(14) 및 제3 내부 전극(16)은 소체(2)의 주면(2d)에 대해 직교하는 동시에, 제2 방향(D2)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복수의 제3 내부 전극(16)의 접속부(16b)를 주면(2c)에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1)에서는, 접속 도체(5)를 소체(2)의 주면(2c)(실장면과 대향하는 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적층 콘덴서(1)를 실장할 때에, 접속 도체(5)가 회로 기판의 전극 등과 접촉하고, 제1 외부 전극(3) 및/또는 제2 외부 전극(4)과 접속 도체(5)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1)에서는, 제1 용량부(C1)와 제2 용량부(C2)가 직렬로 접속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1)에서는, 제1 내부 전극(12)은 소체(2) 내에 있어서 다른쪽 측면(2f)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내부 전극(14)은 소체(2) 내에 있어서 한쪽 측면(2e)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적층 콘덴서(1)에서는, 제1 용량부(C1)가 다른쪽 측면(2f)측의 영역에 구성되고, 제2 용량부(C2)가 한쪽 측면(2e)측의 영역에 구성된다. 이로 인해, 적층 콘덴서(1)에서는, 예를 들면, 소체(2)에 크랙이 발생하고, 한쪽 내부 전극에 파손이 발생하여 한쪽 용량부가 기능하지 않게 된 경우라도, 다른쪽 용량부를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층 콘덴서(1)에서는 소체(2)에 크랙이 발생한 경우라도 일부 용량부를 보호할 수 있다.
이상, 제1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해 왔는데, 제1 실시형태는 반드시 상기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체(2)의 제3 방향(D3)의 중앙부에 있어서, 제1 내부 전극(12)과 제2 내부 전극(14)이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일례로 설명한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내부 전극(12)과 제2 내부 전극(14) 사이에, 한쌍의 제3 내부 전극(16)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을 갖는 적층 콘덴서(1A)에서는, 제1 용량부(C1)와 제2 용량부(C2) 사이에 용량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용량부(C1)와 제2 용량부(C2)가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된 구성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3 내부 전극(16)은 제1 내부 전극(12)과 제2 내부 전극(14) 사이에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을 갖는 적층 콘덴서(1B)에서는, 예를 들면, 제1 용량부(C1)를 구성하는 제1 내부 전극(12)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라도, 그 파손이 제2 용량부(C2)를 구성하는 제2 내부 전극(14)으로 전송하는 것을 제3 내부 전극(16)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1)에서는 소체(2)에 크랙이 발생한 경우라도 일부 용량부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내부 전극(12)과 동일한 위치에 제1 더미 전극(13)이 배치되어 있으며, 제2 내부 전극(14)과 동일한 위치에 제2 더미 전극(15)이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일례로 설명한다. 그러나, 더미 전극은 제1 내부 전극(12) 및 제2 내부 전극(14)의 적어도 한쪽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0에 도시되는 적층 콘덴서(1C)와 같이, 제3 내부 전극(16)과 동일한 위치에 제3 더미 전극(17) 및 제4 더미 전극(18)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3 내부 전극(16)과 동일한 위치에, 제3 더미 전극(17) 및 제4 더미 전극(18)의 적어도 한쪽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1 내부 전극(12), 제2 내부 전극(14) 및 제3 내부 전극(16)과 동일한 위치에, 더미 전극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더미 전극은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1 내부 전극(12)이 측면(2f)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제2 내부 전극(14)이 측면(2e)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일례로 설명하였다. 즉, 제1 용량부(C1)가 측면(2f)측의 영역에 구성되며, 제2 용량부(C2)가 측면(2e)측의 영역에 구성되는 형태를 일례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복수의 제1 내부 전극(12)이 측면(2e)측의 영역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내부 전극(14)이 측면(2f)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2 실시형태]
계속해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1D)는 소체(2)와, 소체(2)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1 외부 전극(3), 제2 외부 전극(4) 및 접속 도체(5)를 구비하고 있다.
적층 콘덴서(1D)는 소체(2) 내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도체로서, 복수의 제1 내부 전극(12A)과, 복수의 제2 내부 전극(14A)과, 복수의 제3 내부 전극(16)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1 내부 전극(12A)의 수(여기서는 6개)는 복수의 제2 내부 전극(14A)의 수와 동일하다.
제1 내부 전극(12A) 및 제2 내부 전극(14A)은 소체(2)의 제3 방향(D3)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층)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내부 전극(12A) 및 제2 내부 전극(14A)과 제3 내부 전극(16)은 소체(2) 내에 있어서, 제1 방향(D1)으로 간격을 가지고 대향하도록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1 내부 전극(12A)은, 소체(2)의 제2 방향(D2)에 있어서, 한쪽 단면(2a)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1 내부 전극(12A)은 소체(2)의 제2 방향(D2)에서의 중앙 부분보다도, 한쪽 단면(2a)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내부 전극(12A)은 소체(2)의 실장면인 주면(2d)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내부 전극(12A)의 일단은 한쪽 단면(2a)에 노출되어 있다. 제1 내부 전극(12A)의 타단은 제2 내부 전극(14A)의 타단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간되어 있다. 제1 내부 전극(12A)은 다른쪽 단면(2b), 한쌍의 주면(2c, 2d) 및 한쌍의 측면(2e, 2f)에는 노출되어 있지 않다. 제1 내부 전극(12A)은 한쪽 단면(2a)에 노출된 단부가 제1 외부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제2 내부 전극(14A)은 소체(2)의 제2 방향(D2)에 있어서, 다른쪽 단면(2b)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2 내부 전극(14A)은 소체(2)의 제2 방향(D2)에서의 중앙 부분보다도, 다른쪽 단면(2b)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내부 전극(14A)은 소체(2)의 실장면인 주면(2d)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내부 전극(14A)은 제1 내부 전극(12A)과 동일한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동시에 동일한 치수를 가지고 있다.
제2 내부 전극(14A)의 일단은 타단의 단면(2b)에 노출되어 있다. 제2 내부 전극(14A)의 타단은 제1 내부 전극(12A)의 타단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간되어 있다. 제2 내부 전극(14A)은 한쪽 단면(2a), 한쌍의 주면(2c, 2d) 및, 한쌍의 측면(2e, 2f)에는 노출되어 있지 않다. 제2 내부 전극(14A)은 다른쪽 단면(2b)에 노출된 단부가 제2 외부 전극(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제3 내부 전극(16)은 주전극부(16a)와 접속부(16b)를 포함하고 있다. 주전극부(16a)는 제3 방향(D3)에서 소체(2)의 일부(유전체층(10))를 개재하여, 제1 내부 전극(12A) 및 제2 내부 전극(14A)과 대향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1D)는 제1 용량부(C11)와 제2 용량부(C22)를 구비한다. 제1 용량부(C11)는 소체(2) 내에 있어서 제3 방향(D3)으로 간격을 가지고 대향하도록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제1 내부 전극(12A)과 제3 내부 전극(1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용량부(C11)는 소체(2)의 제2 방향(D2)에서의 중앙 부분보다도, 한쪽 단면(2a)측의 영역에 구성되어 있다. 제1 용량부(C11)는 제1 콘덴서 성분을 구성하고 있다.
제2 용량부(C22)는 소체(2) 내에 있어서 제3 방향(D3)으로 간격을 가지고 대향하도록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제2 내부 전극(14A)과 제3 내부 전극(1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용량부(C22)는 소체(2)의 제2 방향(D2)에서의 중앙 부분보다도, 다른쪽 단면(2b)측의 영역에 구성되어 있다. 제2 용량부(C22)는 제2 콘덴서 성분을 구성하고 있다.
적층 콘덴서(1D)에서는 복수의 제1 용량부(C11)는 전기적으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복수의 제2 용량부(C22)는 전기적으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1D)에서는, 제1 용량부(C11)와 제2 용량부(C22)는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용량부(C11)와 제2 용량부(C22)는 접속 도체(5)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제3 내부 전극(16)에 의해,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제1 용량부(C11) 및 제2 용량부(C22)의 수는, 도 11에 도시하는 제1 내부 전극(12A), 제2 내부 전극(14A) 및 제3 내부 전극(16)의 수와 반드시 일치하고 있지는 않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1D)에서는, 제1 외부 전극(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내부 전극(12A)과 제3 내부 전극(16)에 의해, 제1 용량부(C11)가 구성되어 있으며, 제2 외부 전극(4)에 접속된 제2 내부 전극(14A)과 제3 내부 전극(16)에 의해 제2 용량부(C22)가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3 내부 전극(16)은 접속 도체(5)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적층 콘덴서(1D)는 2개의 콘덴서 성분이 직렬로 접속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1D)에서는 내전압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적층 콘덴서(1D)에서는 접속 도체(5)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3 내부 전극(16)에 의해 제1 용량부(C11) 및 제2 용량부(C22)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1 용량부(C11)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정전 용량 및 저항값에 변화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적층 콘덴서(1D)에서는 실장후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해도 그 문제를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1D)에서는, 제1 내부 전극(12A)은 소체(2) 내에 있어서 한쪽 단면(2a)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내부 전극(14A)은 소체(2) 내에 있어서 다른쪽 단면(2b)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적층 콘덴서(1D)에서는 제1 용량부(C11)가 한쪽 단면(2a)측의 영역에 구성되고, 제2 용량부(C22)가 다른쪽 단면(2b)측의 영역에 구성된다. 이로 인해, 적층 콘덴서(1D)에서는, 예를 들면, 소체(2)에 크랙이 발생하여, 한쪽 내부 전극이 파손된 경우라도, 다른쪽 내부 전극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1D)에서는 소체(2)에 크랙이 발생한 경우라도 일부의 용량부를 보호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계속해서, 제3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1E)는 소체(2)와, 소체(2)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1 외부 전극(3A), 제2 외부 전극(4A) 및 접속 도체(5)를 구비하고 있다.
적층 콘덴서(1E)는 도 15A, 도 15B 또는 도 15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체(2) 내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도체로서, 복수의 제1 내부 전극(12B)과, 복수의 제2 내부 전극(14B)과, 복수의 제3 내부 전극(16)을 구비하고 있다.
도 15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제1 내부 전극(12B)은 주전극부(12Ba)와 접속부(12Bb)를 포함하고 있다. 주전극부(12Ba)는 제2 방향(D2)이 장변 방향인 동시에 제1 방향(D1)이 단변 방향인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접속부(12Bb)는 주전극부(12Ba)의 일변(한쪽 장변)으로부터 연신되고, 다른쪽 주면(2d)에 노출되어 있다. 접속부(12Bb)는 주전극부(12Ba)에 있어서 한쪽 단면(2a)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내부 전극(12B)은 다른쪽 주면(2d)에 노출되고, 한쌍의 단면(2a, 2b), 한쪽 주면(2c), 및, 한쌍의 측면(2e, 2f)에는 노출되어 있지 않다. 주전극부(12Ba)와 접속부(12Bb)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내부 전극(12B)은 다른쪽 주면(2d)에 노출된 접속부(12Bb)가 제1 외부 전극(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제2 내부 전극(14B)는, 주전극부(14Ba)와, 접속부(14Bb)를 포함하고 있다. 주전극부(14Ba)는 제2 방향(D2)이 장변 방향인 동시에 제1 방향(D1)이 단변 방향인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접속부(14Bb)는 주전극부(14Ba)의 일변(한쪽의 장변)으로부터 연신되고, 다른쪽 주면(2d)에 노출되어 있다. 접속부(14Bb)는 주전극부(14Ba)에 있어서 다른쪽 단면(2b)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내부 전극(14B)은 다른쪽 주면(2d)에 노출되고, 한쌍의 단면(2a, 2b), 한쪽 주면(2c) 및 한쌍의 측면(2e, 2f)에는 노출되어 있지 않다. 주전극부(14Ba)와 접속부(14Bb)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내부 전극(14B)은 다른쪽 주면(2d)에 노출된 접속부(14Bb)가 제2 외부 전극(4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5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제3 내부 전극(16)은 주전극부(16a)와 접속부(16b)를 포함하고 있다. 주전극부(16a)는 제3 방향(D3)에서 소체(2)의 일부(유전체층(10))를 개재하여, 제1 내부 전극(12B) 및 제2 내부 전극(14B)과 대향하고 있다.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외부 전극(3A)은 다른쪽 주면(2d)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외부 전극(3A)은 한쪽 단면(2a)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외부 전극(3A)은 소체(2)의 제2 방향(D2)에서의 중앙 부분보다도, 한쪽 단면(2a)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외부 전극(3A)은 한쪽 측면(2e)으로부터 다른쪽 측면(2f)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5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외부 전극(3A)은 제1 내부 전극(12B)의 주면(2d)에 노출된 부분을 모두 피복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내부 전극(12B)은 제1 외부 전극(3A)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외부 전극(4A)은 다른쪽 주면(2d)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외부 전극(4A)은 다른쪽 단면(2b)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외부 전극(4A)은, 소체(2)의 제2 방향(D2)에서의 중앙 부분보다도, 다른쪽 단면(2b)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외부 전극(4A)은 한쪽 측면(2e)으로부터 다른쪽 측면(2f)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외부 전극(4A)은 제2 내부 전극(14B)의 주면(2d)에 노출된 부분을 모두 피복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제2 내부 전극(14B)은 제2 외부 전극(4A)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속 도체(5)는 한쪽 주면(2c)에 있어서, 제2 방향(D2)에서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도 15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속 도체(5)는 제3 내부 전극(16)의 접속부(16b)의 주면(2c)에 노출된 부분을 모두 피복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접속부(16b)는 접속 도체(5)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접속부(16b)는 주전극부(16a)와 접속 도체(5)를 접속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제3 내부 전극(16)은 접속 도체(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1E)는 제1 실시형태의 적층 콘덴서(1)와 같이, 제1 용량부(C1)와 제2 용량부(C2)를 구비한다(도 6 참조). 적층 콘덴서(1E)에서는, 복수의 제1 용량부(C1)는 전기적으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복수의 제2 용량부(C2)는 전기적으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1E)에서는, 제1 용량부(C1)와 제2 용량부(C2)는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용량부(C1)와 제2 용량부(C2)는 접속 도체(5)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제3 내부 전극(16)에 의해,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1E)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1)와 같이, 내전압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문제를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1E)에서는, 제1 외부 전극(3A) 및 제2 외부 전극(4A)은 실장면인 소체(2)의 주면(2d)에 배치되어 있으며, 접속 도체(5)는 주면(2d)에 대향하는 주면(2c)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적층 콘덴서(1E)를 실장할 때에, 접속 도체(5)가 회로 기판의 전극 등과 접촉하여, 제1 외부 전극(3A) 및/또는 제2 외부 전극(4A)과 접속 도체(5)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1E)에서는, 제1 용량부(C1)와 제2 용량부(C2)가 직렬로 접속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계속해서, 제4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1F)는, 소체(2)와, 소체(2)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1 외부 전극(3A), 제2 외부 전극(4A) 및 접속 도체(5)를 구비하고 있다.
적층 콘덴서(1F)는 소체(2) 내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도체로서, 복수의 제1 내부 전극(12C), 복수의 제2 내부 전극(14C), 및 복수의 제3 내부 전극(16)을 구비하고 있다.
도 16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내부 전극(12C)은 소체(2)의 제2 방향(D2)에 있어서, 한쪽 단면(2a)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1 내부 전극(12C)은, 소체(2)의 제2 방향(D2)에서의 중앙 부분보다도, 한쪽 단면(2a)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내부 전극(12C)은 주전극부(12Ca)와 접속부(12Cb)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내부 전극(12C)은 소체(2)의 실장면인 주면(2d)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주전극부(12Ca)는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접속부(12Cb)는 주전극부(12Ca)의 한 변(한쪽의 장변)으로부터 연신되어, 다른쪽 주면(2d)에 노출되어 있다. 접속부(12Cb)는 주전극부(12Ca)에 있어서 한쪽 단면(2a)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내부 전극(12C)은 다른쪽 주면(2d)에 노출되고, 한쌍의 단면(2a, 2b), 한쪽 주면(2c) 및 한쌍의 측면(2e, 2f)에는 노출되어 있지 않다. 주전극부(12Ca)와 접속부(12Cb)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내부 전극(12C)은 다른쪽 주면(2d)에 노출된 접속부(12Cb)가 제1 외부 전극(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제2 내부 전극(14C)은 소체(2)의 제2 방향(D2)에 있어서, 다른쪽 단면(2b)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2 내부 전극(14C)은 소체(2)의 제2 방향(D2)에서의 중앙 부분보다도, 다른쪽 단면(2b)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내부 전극(14C)은 제1 내부 전극(12C)과 동일한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동시에 동일한 치수를 가지고 있다.
각 제2 내부 전극(14C)은 주전극부(14c)와 접속부(14Cb)를 포함하고 있다. 제2 내부 전극(14C)은 소체(2)의 실장면인 주면(2d)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주전극부(14Ca)는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접속부(14Cb)는 주전극부(14Ca)의 한 변(한쪽의 장변)으로부터 연신되고 다른쪽 주면(2d)에 노출되어 있다. 접속부(14Cb)는 주전극부(14Ca)에 있어서 다른쪽 단면(2b)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내부 전극(14C)은 다른쪽 주면(2d)에 노출되고 한쌍의 단면(2a, 2b), 한쪽 주면(2c), 및 한쌍의 측면(2e, 2f)에는 노출되어 있지 않다. 주전극부(14Ca)와 접속부(14Cb)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내부 전극(14C)은 다른쪽 주면(2d)에 노출된 접속부(14Cb)가 제2 외부 전극(4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1F)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1D)와 같이, 제1 용량부(C11)와 제2 용량부(C22)를 구비한다. 적층 콘덴서(1F)에서는 복수의 제1 용량부(C11)는 전기적으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복수의 제2 용량부(C22)는 전기적으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1F)에서는, 제1 용량부(C11)와 제2 용량부(C22)는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용량부(C11)와 제2 용량부(C22)는 접속 도체(5)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제3 내부 전극(16)에 의해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1F)에서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1D)와 같이, 내전압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적층 콘덴서(1F)에서는 제1 외부 전극(3A) 및 제2 외부 전극(4A)은 실장면인 소체(2)의 주면(2d)에 배치되어 있으며, 접속 도체(5)는 주면(2d)에 대향하는 주면(2c)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적층 콘덴서(1F)를 실장할 때에, 접속 도체(5)가 회로 기판의 전극 등과 접촉하여, 제1 외부 전극(3A) 및/또는 제2 외부 전극(4A)과 접속 도체(5)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1F)에서는 제1 용량부(C11)와 제2 용량부(C22)가 직렬로 접속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계속해서, 제5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7A, 도 17B 및 도 17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5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1G)는 소체(2)와, 소체(2)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1 외부 전극(3B), 제2 외부 전극(4B) 및 접속 도체(5)를 구비하고 있다.
적층 콘덴서(1G)는 소체(2) 내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도체로서, 복수의 제1 내부 전극(12), 복수의 제2 내부 전극(14), 및 복수의 제3 내부 전극(16)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외부 전극(3B)은 수지 전극층(20)을 가지고 있다. 수지 전극층(20)은 도전성을 갖는 수지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된다. 수지 전극층(20)은, 제1 외부 전극(3B)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전극층(20)은 실장면인 소체(2)의 주면(2d)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전극층(20)은 소체(2)의 제1 방향(D1)에서의 중앙 부분보다도 주면(2d)측에 배치되어 있다. 수지 전극층(20)은 예를 들면, 제1 외부 전극(3B)의 전극 부분(3Ba)의 주면(2d)측의 일부 및 전극 부분(3Bc)에 배치되어 있다. 수지 전극층(20)은 제1 외부 전극(3B)의 전극 부분(3Bb)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즉, 수지 전극층(20)은 실장면인 주면(2d)과 대향하는 소체(2)의 주면(2c)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수지 전극층(20) 위에는 도금층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외부 전극(4B)은 수지 전극층(22)을 가지고 있다. 수지 전극층(22)은 도전성을 갖는 수지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된다. 수지 전극층(22)은 제2 외부 전극(4B)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전극층(22)은 실장면인 소체(2)의 주면(2d)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전극층(22)은 소체(2)의 제1 방향(D1)에서의 중앙 부분보다도 주면(2d)측에 배치되어 있다. 수지 전극층(22)은 제2 외부 전극(4B)의 전극 부분(4Ba)의 주면(2d)측의 일부 및 전극 부분(4Bc)에 배치되어 있다. 수지 전극층(22)은 제2 외부 전극(4B)의 전극 부분(4Bb)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즉, 수지 전극층(22)은 실장면인 주면(2d)과 대향하는 소체(2)의 주면(2c)에 배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수지 전극층(22) 위에는 도금층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적층 콘덴서(1G)는 제1 실시형태의 적층 콘덴서(1)와 같이, 제1 용량부(C1)와 제2 용량부(C2)를 구비한다(도 6 참조). 적층 콘덴서(1G)에서는 복수의 제1 용량부(C1)는 전기적으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복수의 제2 용량부(C2)는 전기적으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1G)는 제1 용량부(C1)와 제2 용량부(C2)는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용량부(C1)와 제2 용량부(C2)는 접속 도체(5)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제3 내부 전극(16)에 의해,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1G)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1)와 같이, 내전압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1G)에서는, 제1 외부 전극(3B) 및 제2 외부 전극(4B)의 각각은 수지 전극층(20, 22)을 가지고 있다. 수지 전극층(20, 22)은 열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100)에 적층 콘덴서(1G)를 실장할 때에 땜납(S1, S2)을 형성한 경우라도, 땜납(S1, S2)과의 접합 부분의 열 충격에 의한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전극층(20, 22)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적층 콘덴서(1G)를 회로 기판(100)에 실장할 때에, 회로 기판(100) 등으로부터 주어지는 스트레스(응력)를 수지 전극층(20)에서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1G)의 소체(2)에 크랙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1G)에서는 제1 외부 전극(3B) 및 제2 외부 전극(4B) 각각의 수지 전극층(20, 22)은, 소체(2)의 주면(2c)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 주면(2c)에 있어서의 제1 외부 전극(3B) 및 제2 외부 전극(4B)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외부 전극(3B) 및 제2 외부 전극(4B)과 접속 도체(5) 사이의 거리를 확보(거리를 길게)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적층 콘덴서(1G)를 실장할 때에 접속 도체(5)가 회로 기판의 전극 등과 접촉하여, 제1 외부 전극(3B) 및/또는 제2 외부 전극(4B)과 접속 도체(5)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용량부(C1)와 제2 용량부(C2)가 직렬로 접속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1G)에서는, 접속 도체(5)에는 수지 전극층을 설치되어 있지 않다. 접속 도체(5)는 회로 기판에 접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내열성 및 유연성을 가질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접속 도체(5)의 두께가 증대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제1 외부 전극(3B) 및 제2 외부 전극(4B)과 접속 도체(5) 사이의 거리를 확보(거리를 길게)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적층 콘덴서(1G)를 실장할 때에, 접속 도체(5)가 회로 기판의 전극 등과 접촉하여, 제1 외부 전극(3B) 및/또는 제2 외부 전극(4B)과 접속 도체(5)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외부 전극(3B) 및 제2 외부 전극(4B)에 있어서, 수지 전극층(20, 22)이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일례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수지 전극층은 제1 외부 전극(3B) 및 제2 외부 전극(4B) 전체에 걸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수지 전극층은 실장면인 소체(2)의 주면(2d)측의 두께(폭)에 비해 주면(2d)에 대향하는 주면(2c)측의 두께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주면(2c)에 있어서의 제1 외부 전극(3B) 및 제2 외부 전극(4B)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외부 전극(3B) 및 제2 외부 전극(4B)과 접속 도체(5) 사이의 거리를 확보(거리를 길게)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외부 전극(3B) 및/또는 제2 외부 전극(4B)과 접속 도체(5)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용량부(C1)와 제2 용량부(C2)가 직렬로 접속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계속해서, 제6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6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1H)는 소체(2)와, 소체(2)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1 외부 전극(3B), 제2 외부 전극(4B) 및 접속 도체(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외부 전극(3B)은 수지 전극층(20)을 가지고 있다. 제2 외부 전극(4B)은 수지 전극층(22)을 가지고 있다.
적층 콘덴서(1H)는, 소체(2) 내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도체로서, 복수의 제1 내부 전극(12A)과, 복수의 제2 내부 전극(14A)과, 복수의 제3 내부 전극(16)을 구비하고 있다.
적층 콘덴서(1H)는 제2 실시형태의 적층 콘덴서(1D)와 같이, 제1 용량부(C11)와 제2 용량부(C22)를 구비한다(도 13 참조). 적층 콘덴서(1H)에서는, 복수의 제1 용량부(C11)는 전기적으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복수의 제2 용량부(C22)는 전기적으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1H)에서는, 제1 용량부(C11)와 제2 용량부(C22)는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용량부(C11)와 제2 용량부(C22)는 접속 도체(5)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제3 내부 전극(16)에 의해,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1H)에서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콘덴서(1D)와 같이 내전압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접속 도체(5)가 소체(2)의 주면(2c)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일례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접속 도체는 실장면인 소체(2)의 주면(2d) 이외의 면(주면(2c), 측면(2e, 2f))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내부 전극(12)(12A, 12B, 12C), 제2 내부 전극(14)(14A, 14B, 14C)) 및 제3 내부 전극(16)이, 실장면인 소체(2)의 주면(2d)에 대해 직교하는 동시에 한쌍의 단면(2a, 2b)의 대향 방향을 따라 연신되고 있는 형태를 일례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1 내부 전극, 제2 내부 전극 및 제3 내부 전극은, 소체(2)의 측면(2e, 2f)에 직교하는 동시에 한쌍의 단면(2a, 2b)의 대향 방향을 따라 연신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외부 전극(3)(3A, 3B)이, 전극 부분(3a 내지 3e)을 갖는 형태를 일례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1 외부 전극(3)(3A, 3B)은, 적어도, 전극 부분(3a, 3c)을 가지고 있으면 좋다. 마찬가지로, 제2 외부 전극(4)(4A, 4B)은 적어도 전극 부분(4a, 4c)을 가지고 있으면 좋다.

Claims (6)

  1.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쌍의 단면과, 한쌍의 상기 단면을 연결하는 4개의 측면을 갖는 소체와,
    한쌍의 상기 단면측 각각에 배치된 제1 외부 전극 및 제2 외부 전극과,
    상기 소체 내에 배치된 복수의 내부 전극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내부 전극은 상기 제1 외부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내부 전극, 상기 제2 외부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내부 전극, 및 복수의 제3 내부 전극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제3 내부 전극의 각각은 접속 도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내부 전극과 상기 제3 내부 전극에 의해 제1 용량부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내부 전극과 상기 제3 내부 전극에 의해 제2 용량부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용량부와 상기 제2 용량부가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내부 전극, 상기 제2 내부 전극 및 상기 제3 내부 전극은 4개의 상기 측면 중의 실장면에 대해 직교하는 동시에 한쌍의 상기 단면의 대향 방향을 따라 연신되어 있고,
    상기 접속 도체는 상기 실장면과 대향하는 측면에만 배치되고, 상기 실장면과 대향하는 측면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단면의 상기 대향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3 내부 전극은, 상기 실장면과 대향하는 측면에만 노출되어 있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접속 도체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적층 콘덴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전극 및 상기 제2 외부 전극의 각각은 수지 전극층을 가지고 있는, 적층 콘덴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전극층은 상기 실장면측의 두께에 비해 당해 실장면에 대향하는 상기 측면측의 두께가 작은, 적층 콘덴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전극층은 상기 제1 외부 전극 및 상기 제2 외부 전극의 각각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적층 콘덴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전극층은 상기 실장면에 대향하는 상기 측면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적층 콘덴서.
KR1020180106478A 2017-09-08 2018-09-06 적층 콘덴서 KR102348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73411 2017-09-08
JP2017173411A JP2019050279A (ja) 2017-09-08 2017-09-08 積層コンデン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328A KR20190028328A (ko) 2019-03-18
KR102348909B1 true KR102348909B1 (ko) 2022-01-11

Family

ID=64017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478A KR102348909B1 (ko) 2017-09-08 2018-09-06 적층 콘덴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46694B2 (ko)
EP (1) EP3454352B1 (ko)
JP (1) JP2019050279A (ko)
KR (1) KR102348909B1 (ko)
CN (1) CN109473280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64256A1 (en) * 2014-06-16 2015-12-1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nductive resin paste and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755U (en) * 1977-06-15 1979-01-16 Murata Manufacturing Co The multilayer capacitor for high voltage
JP2792012B2 (ja) * 1990-03-07 1998-08-27 マルコン電子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44130U (ko) * 1990-08-13 1992-04-15
JPH07135124A (ja) 1993-11-09 1995-05-23 Kyocera Corp 積層型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WO1998041999A1 (fr) * 1997-03-17 1998-09-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posant electronique
JP4947076B2 (ja) * 2009-03-25 2012-06-06 Tdk株式会社 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5851901B2 (ja) * 2012-03-21 2016-02-03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KR102061504B1 (ko) * 2013-04-22 2020-02-17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1630037B1 (ko) * 2014-05-08 2016-06-13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어레이형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그 제조 방법 및 그 실장 기판
JP6115516B2 (ja) * 2014-05-09 2017-04-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圧平滑化回路、電圧変換回路及び積層コンデンサに印加される電圧制御方法
KR102016485B1 (ko) * 2014-07-28 2019-09-02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1701022B1 (ko) * 2015-01-20 2017-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그 제조방법 및 전자부품이 실장된 회로기판
WO2016208633A1 (ja) * 2015-06-26 2016-12-29 京セラ株式会社 積層型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実装構造体
JP6933453B2 (ja) * 2016-08-22 2021-09-08 Koa株式会社 チップ部品、チップ部品の実装構造、チップ抵抗器の製造方法
JP2018088451A (ja) * 2016-11-28 2018-06-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64256A1 (en) * 2014-06-16 2015-12-1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nductive resin paste and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46694B2 (en) 2020-01-28
KR20190028328A (ko) 2019-03-18
EP3454352A1 (en) 2019-03-13
US20190080846A1 (en) 2019-03-14
CN109473280A (zh) 2019-03-15
EP3454352B1 (en) 2024-04-24
CN109473280B (zh) 2021-07-27
JP2019050279A (ja)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2146B2 (en) Multilayer capacitor and electronic component device
JP6107080B2 (ja) 積層コンデンサ
KR101020528B1 (ko) 적층 콘덴서
JP2014036214A (ja) 積層コンデンサ
JP6867745B2 (ja) 積層コンデンサ及び積層コンデンサの実装構造
KR102348909B1 (ko) 적층 콘덴서
JP5861531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2021129007A (ja) 電子部品
JP7003495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7359019B2 (ja) 電子部品
JP2019047092A (ja) 電子部品
JP7003496B2 (ja) 電子部品装置
US11373807B2 (en) Electronic component device
JP6930114B2 (ja) 電子部品装置
JP6958168B2 (ja)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装置
JP4412386B2 (ja)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JP6958429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6919455B2 (ja) 電子部品装置
JP4487613B2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7000938B2 (ja) 積層コンデンサ、電子部品装置及び積層コンデンサの実装方法
KR102551218B1 (ko)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JP5071327B2 (ja) 貫通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KR20230093579A (ko) 세라믹 커패시터 및 이의 제조방법
CN117809980A (zh) 电子部件
JP5857871B2 (ja) 積層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01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812

Effective date: 20210329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