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722B1 - 승강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강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722B1
KR102348722B1 KR1020210135118A KR20210135118A KR102348722B1 KR 102348722 B1 KR102348722 B1 KR 102348722B1 KR 1020210135118 A KR1020210135118 A KR 1020210135118A KR 20210135118 A KR20210135118 A KR 20210135118A KR 102348722 B1 KR102348722 B1 KR 102348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elevator
car
roll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길
Original Assignee
대진엘리베이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엘리베이터(주) filed Critical 대진엘리베이터(주)
Priority to KR1020210135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 B08B1/001
    • B08B1/008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의 유지보수를 보다 편리하면서도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구현한 승강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승강기의 운행관리를 총괄하는 제어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승강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Elevator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승강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기의 유지보수를 보다 편리하면서도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구현한 승강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 보수업체는 승강기시설안전관리법에 따라 인력규정 및 서비스 규정에 따라 유지보수를 시행하고 있으며, 최저가 입찰에 따른 폐해로 낮은 유지보수료와 높은 고장률로 고객 서비스 품질 측면에 여러 가지 개선할 점이 많다.
승강기 고장은 출입문 고장, 장치 고장 등 여러 원인이 있으나 약 50% 정도의 고장은 현장 출동 및 시스템 초기 화를 통하여 장애가 회복되어 수리가 완료되는 특징이 있다.
승강기 유지보수 계약에 따른 보수업체는 월 고장율, 월 비 운행 시간, 갇힘 시간 등을 관리하며 보수업무 지연에 따른 관리시간 초과 시 원칙적으로 배 상의무를 부담하기도 하며 제한된 인력으로 신고가 집중되는 경우 및야간/휴일 당직 근무시 신속한 출동 및 서비스가 제한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또한, 승강기 자체의 물리적인 수단으로서도 탑승자의 안전을 담보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9128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승강기의 유지보수를 보다 편리하면서도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구현한 승강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은, 승강기의 운행관리를 총괄하는 제어반;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은, 접근 인증을 수행하는 통신 서버, 및 상기 제어반에 저장되어 있는 고장 운행 이력을 전송받아 저장하며 상기 승강기의 고장 시 고장진단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기에 대한 고장진단을 수행하는 고장진단 서버로 이루어지는 원격관리센터 시스템; 및 상기 승강기의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서비스 요원이 소지하는 단말기로 승강기 관리용 앱을 탑재하며, 상기 서비스 요원의 상기 승강기의 고장 점검 시 상기 승강기 관리용 앱이 구동하여 상기 통신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어반 및 상기 원격관리센터 시스템에 인증 접속하여 직접 고장진단을 수행하거나 상기 제어반과 상기 원격관리센터 시스템을 매개하여 상기 원격관리센터 시스템에 의해 원격 승강기 고장진단이 수행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기는 탑승자가 탑승하기 위한 승강카; 상기 승강카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승강카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승강카 청소부; 로프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 장치 및 상기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풀리; 상기 승강카의 후면 및 측면을 포함한 총 3면에 위치하면서 상기 승강카의 감속 및 제동 작용을 수행하고, 자가 감시 장치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상기 승강카의 상면 및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승강카의 구동 공간을 스캔하는 상기 레이저 스캐너; 상기 승강카에 포함된 전자 장치들의 전류 연결 상태를 일정한 간격으로 확인하는 전류 검침 장치; 및 상기 승강카의 추락 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반은, 상기 풀리의 상기 속도 감지 장치, 상기 레이저 스캐너, 상기 브레이크의 상기 자가 감시 장치 및 상기 전류 검침 장치들의 작동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작동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및 통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카 청소부는, 상기 승강카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직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레일; 상기 제1 레일과 대향하면서 상기 승강카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직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레일;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의 상단에 해당하는 상기 승강카의 상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권취 롤러; 상기 권취 롤러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권취 롤러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권취 또는 권출되면서 상기 제1 레일과 대향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1 와이어; 상기 권취 롤러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권취 롤러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권취 또는 권출되면서 상기 제2 레일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1 와이어와 대향하며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2 와이어; 및 일측이 상기 제1 와이어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와이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함께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상기 승강카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되, 상기 제1 레일과 대향하는 일측 후단이 자력에 의해 상기 제1 레일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고, 상기 제2 레일과 대향하는 타측 후단이 자력에 의해 상기 제2 레일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청소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레일은, 상기 승강카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직선 방향으로 열을 지으며 서로 밀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레일 블록; 및 상기 레일 블록 마다 한 개씩 설치되어 상기 청소 유닛의 일측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청소 유닛의 일측을 자력을 이용하여 순서대로 체결하는 다수 개의 체결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청소 유닛은, 상기 제1 와이어에 의해 거치되며,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제1 체결 블록; 상기 제2 와이어에 의해 거치되며,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제2 체결 블록; 및 일측이 상기 제1 체결 블록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체결 블록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체결 블록과 상기 제2 체결 블록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시에 상기 승강카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카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용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체결 블록은, 상기 청소용 롤러의 일측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레일과 대향하는 후단이 개방 형성되는 블록 케이스; 상기 제1 레일에 안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 케이스의 후단 개구부를 통해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무한궤도 바퀴; 상기 무한궤도 바퀴의 내향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무한궤도 바퀴를 지지하는 바퀴 지지 롤러; 및 상기 다수 개의 체결 마그넷들 간의 이격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무한궤도 바퀴의 외향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다수 개의 체결 마그넷에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다수 개의 체결 마그넷과의 부착면이 상기 다수 개의 체결 마그넷과 반대 극성의 자력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부착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청소용 롤러는,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카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는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승강카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롤러형 파우치; 상기 롤러형 파우치의 내측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롤러형 파우치가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도록 상기 롤러형 파우치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롤러형 파우치로부터 공기를 배출시켜 주는 공기 공급 배관; 상기 롤러형 파우치 주변의 공기를 상기 롤러형 파우치의 내측 공간으로 빨아들일 수 있도록 상기 롤러형 파우치의 내측 공간으로부터 상기 롤러형 파우치의 외측으로 연통 형성되는 다수 개의 관통홀; 및 상기 롤러형 파우치의 내측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롤러형 파우치 주변의 공기를 빨아들일 수 있도록 상기 롤러형 파우치의 내측 공간을 빨아 들이는 공기 흡입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승강기 전반의 유지 보수 지원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시스템과, 이러한 시스템이 최적화되어 적용되고 물리적 구성 자체로서도 탑승객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도록 하는 승강기를 제공하여 승강기 운행의 효율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승강카 청소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제1 체결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청소용 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10)은, 제어반(100)을 포함한다.
제어반(100)은, 승강기(400)의 운행관리를 총괄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반(100)은, 승강기(400)의 풀리(420), 브레이크(430), 레이저 스캐너(440), 전류 검침 장치(450)를 통해 들어온 고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반(100)은, 통신기능이포함된전자장치일수있다. 예를들면,전자장치는스마트폰 (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 (e-book reader), 데스크톱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 (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 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 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카(smart car) 또는 스마트 와치(smart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 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 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 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 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 (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에 따른 전자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일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유저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다른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통신인터페이스는 유,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직렬통신 등을 통하여 소정 거리 이내의 다른 전자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와 다양한 개체들(entities) 간의 유,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전자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개체 들과 통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는 표준 통신 기술 및/또는 프로토콜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network)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정보를 송, 수신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가 될 수도 있음을 통신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20)은, 제어반(100), 원격관리센터 시스템(200) 및 휴대용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반(100)은,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원격관리센터 시스템(200)은, 각종 서버에 대한 접근 인증을 수행하는 통신 서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제어반(100)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고장 운행 이력을 휴대용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며 승강기(400)의 고장 시 휴대용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고장진단 요청신호에 따라 승강기(400)에 대한 고장진단을 수행하는 고장진단 서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휴대용 단말기(300)는, 승강기(400)의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서비스 요원이 소지하는 단말기로 승강기(400) 관리용 앱을 탑재하며, 서비스 요원의 승강기(400)의 고장 점검 시 승강기(400) 관리용 앱이 구동하여 통신서버를 통하여 제어반(100) 및 원격관리센터 시스템(200)에 인증 접속하여 직접 고장진단을 수행하거나 제어반(100)과 원격관리센터 시스템(200)을 매개하여 원격관리센터 시스템(200)에 의해 원격 승강기(400) 고장진단이 수행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300)는, 제어반(100)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고장 운행 이력을 다운로드 받아 고장진단이 서비스요원의 신호입력에 의해 휴대용 단말 자체 수행되게 하거나, 다운로드 받은 각종 고장·운행 이력을 원격관리센터 시스템(200)으로 전송하고 승강기 관리용 앱의 고장진단 메뉴가 선택되면 해당 신호를 원격관리센터 시스템(200)으로 전송하여 고장진단 서버에 의한 자동 원격 고장진단이 이루어지게 하며 고장진단 서버로부터 그 진단 결과를 반환받아 서비스 요원에 의한 고장수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20)은, 승강기 전반의 유지 보수 지원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시스템과, 이러한 시스템이 최적화되어 적용되고 물리적 구성 자체로서도 탑승객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도록 하는 승강기를 제공하여 승강기 운행의 효율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승강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승강기(400)는, 승강카(410), 풀리(420), 브레이크(430), 레이저 스캐너(440), 전류 검침 장치(450), 완충기(460) 및 승강카 청소부(500)를 포함한다.
승강카(410)는, 탑승자가 탑승하도록 한다.
승강카 청소부(500)는, 승강카(410)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승강카(41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풀리(420)는, 로프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 제어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브레이크(430)는, 승강카(410)의 후면 및 측면을 포함한 총 3면에 위치하면서 승강카(410)의 감속 및 제동 작용을 수행하고, 자가 감시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레이저 스캐너(440)는, 승강카(410)의 상면 및 하면에 부착되어 승강카(410)의 구동 공간을 스캔한다.
전류 검침 장치(450)는, 승강카(410)에 포함된 전자 장치들의 전류 연결 상태를 일정한 간격으로 확인한다.
완충기(460)는, 승강카(410)의 추락 시 충격을 완충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반(100)은, 풀리(420)의 속도 감지 장치, 레이저 스캐너(440), 브레이크(430)의 자가 감시 장치 및 전류 검침 장치(450)들의 작동 결과를 획득하고, 작동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및 통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승강카 청소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승강카 청소부(500)는, 제1 레일(510), 제2 레일(520), 권취 롤러(530), 제2 와이어(550) 및 청소 유닛(560)을 포함한다.
제1 레일(510)은, 청소 유닛(560)의 일측이 안착되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승강카(410)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직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레일(520)은, 청소 유닛(560)의 타측이 안착되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제1 레일(510)과 대향하면서 승강카(410)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직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권취 롤러(530)는, 제1 레일(510)과 제2 레일(520)의 상단에 해당하는 승강카(410)의 상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케이스(531)에 설치되어, 제1 와이어(540) 및 제2 와이어(550)를 동시에 권취 또는 권출시켜 준다.
제1 와이어(540)는, 권취 롤러(530)의 일측과 상기 청소 유닛(560)의 일측 사이에 설치되며, 권취 롤러(53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권취 또는 권출되면서 제1 레일(510)과 대향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청소 유닛(560)의 일측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준다.
제2 와이어(550)는, 권취 롤러(530)의 타측과 상기 청소 유닛(560)의 타측 사이에 설치되며, 권취 롤러(53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권취 또는 권출되면서 제2 레일(520)과 대향하면서 제1 와이어(540)와 대향하며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청소 유닛(560)의 타측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준다.
청소 유닛(560)은, 일측이 제1 와이어(540)에 설치되고 타측이 제2 와이어(550)에 설치되어 제1 와이어(540)와 제2 와이어(550)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함께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승강카(41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되, 제1 레일(510)과 대향하는 일측 후단이 자력에 의해 제1 레일(510)에 밀착된 상태로 제1 레일(510)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고, 제2 레일(520)과 대향하는 타측 후단이 자력에 의해 제2 레일(520)에 밀착된 상태로 제2 레일(520)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한다.
일 실시예에서, 청소 유닛(560)은, 제1 체결 블록(561), 제2 체결 블록(562) 및 청소용 롤러(5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 블록(561)은, 제1 와이어(540)에 의해 거치되며, 제1 레일(510)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며, 제1 체결 블록(561)의 일측이 연결 설치된다.
제2 체결 블록(562)은, 제2 와이어(550)에 의해 거치되며, 제2 레일(520)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며, 제1 체결 블록(561)의 타측이 연결 설치된다.
청소용 롤러(563)은, 일측이 제1 체결 블록(561)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이 제2 체결 블록(562)에 연결 설치되며, 제1 체결 블록(561)과 제2 체결 블록(562)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시에 승강카(41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여 승강카(41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승강카 청소부(500)는, 일정한 주기 또는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승강카(400)의 내측 벽면을 청소해 줌으로써 승강카(400)가 항상 청결하고 최상의 위생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제1 체결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체결 블록(561)은, 블록 케이스(5611), 무한궤도 바퀴(5612), 바퀴 지지 롤러(5613) 및 다수 개의 부착 마그넷(561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체결 블록(562)은, 후술하는 제1 체결 블록(561)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체결 블록(561)의 블록 케이스(5611), 무한궤도 바퀴(5612), 바퀴 지지 롤러(5613) 및 다수 개의 부착 마그넷(5614)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블록 케이스(5611)는, 청소용 롤러(563)의 일측이 연결 설치되며, 제1 레일(510)과 대향하는 후단이 개방 형성되며, 내측에 무한궤도 바퀴(5612), 바퀴 지지 롤러(5613) 및 다수 개의 부착 마그넷(5614)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무한궤도 바퀴(5612)는, 제1 레일(510)에 안착되어 회전하면서 제1 레일(5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블록 케이스(5611)의 후단 개구부를 통해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바퀴 지지 롤러(5613)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며, 외향면을 따라 부착 마그넷(5614)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바퀴 지지 롤러(5613)는, 무한궤도 바퀴(5612)의 내향면을 따라 설치되어 무한궤도 바퀴(5612)를 지지한다.
부착 마그넷(5614)은, 다수 개의 체결 마그넷(512)들 간의 이격 간격에 대응하여 무한궤도 바퀴(5612)의 외향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며, 다수 개의 체결 마그넷(512)에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체결 마그넷(512)과의 부착면이 다수 개의 체결 마그넷(512)과 반대 극성의 자력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레일(510)은, 다수 개의 레일 블록(511) 및 다수 개의 체결 마그넷(512)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 블록(511)은, 승강카(410)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직선 방향으로 열을 지으며 서로 밀착되어 설치된다.
체결 마그넷(512)은, 다수 개의 레일 블록(511) 마다 한 개씩 설치되어 청소 유닛(560)의 일측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청소 유닛(560)의 일측을 자력을 이용하여 순서대로 체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체결 블록(561)은, 청소용 롤러(563)이 승강차(400)의 벽면으로부터 멀어지지 아니하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회전하여 원활한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도 4의 청소용 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청소용 롤러(563)는, 롤러형 파우치(5631), 공기 공급 배관(5632), 다수 개의 관통홀(5633), 및 공기 흡입 배관(5634)을 포함한다.
롤러형 파우치(5631)는,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승강카(41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는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승강카(41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공기 공급 배관(5632)은, 롤러형 파우치(5631)의 내측을 따라 설치되어 롤러형 파우치(5631)가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도록 롤러형 파우치(5631)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롤러형 파우치(5631)로부터 공기를 배출시켜 준다.
즉, 공기 공급 배관(5632)은, 롤러형 파우치(5631)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승강카(410)의 내측면과의 밀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관통홀(5633)은, 롤러형 파우치(5631) 주변의 공기를 롤러형 파우치(5631)의 내측 공간으로 빨아들일 수 있도록 롤러형 파우치(5631)의 내측 공간으로부터 롤러형 파우치(5631)의 외측으로 연통 형성된다.
공기 흡입 배관(5634)은, 롤러형 파우치(5631)의 내측을 따라 설치되어 관통홀(5633)을 통해 롤러형 파우치(5631) 주변의 공기를 빨아들일 수 있도록 롤러형 파우치(5631)의 내측 공간을 빨아 들인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승강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100: 제어반
200: 시스템
300: 휴대용 단말기
400: 승강기

Claims (3)

  1. 승강기의 운행관리를 총괄하는 제어반;
    접근 인증을 수행하는 통신 서버, 및 상기 제어반에 저장되어 있는 고장 운행 이력을 전송받아 저장하며 상기 승강기의 고장 시 고장진단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기에 대한 고장진단을 수행하는 고장진단 서버로 이루어지는 원격관리센터 시스템; 및
    상기 승강기의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서비스 요원이 소지하는 단말기로 승강기 관리용 앱을 탑재하며, 상기 서비스 요원의 상기 승강기의 고장 점검 시 상기 승강기 관리용 앱이 구동하여 상기 통신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어반 및 상기 원격관리센터 시스템에 인증 접속하여 직접 고장진단을 수행하거나 상기 제어반과 상기 원격관리센터 시스템을 매개하여 상기 원격관리센터 시스템에 의해 원격 승강기 고장진단이 수행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기는
    탑승자가 탑승하기 위한 승강카;
    상기 승강카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승강카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승강카 청소부;
    로프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 장치 및 상기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풀리;
    상기 승강카의 후면 및 측면을 포함한 총 3면에 위치하면서 상기 승강카의 감속 및 제동 작용을 수행하고, 자가 감시 장치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상기 승강카의 상면 및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승강카의 구동 공간을 스캔하는 레이저 스캐너;
    상기 승강카에 포함된 전자 장치들의 전류 연결 상태를 일정한 간격으로 확인하는 전류 검침 장치; 및
    상기 승강카의 추락 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반은,
    상기 풀리의 상기 속도 감지 장치, 상기 레이저 스캐너, 상기 브레이크의 상기 자가 감시 장치 및 상기 전류 검침 장치들의 작동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작동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및 통신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승강카 청소부는,
    상기 승강카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직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레일;
    상기 제1 레일과 대향하면서 상기 승강카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직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레일;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의 상단에 해당하는 상기 승강카의 상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권취 롤러;
    상기 권취 롤러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권취 롤러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권취 또는 권출되면서 상기 제1 레일과 대향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1 와이어;
    상기 권취 롤러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권취 롤러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권취 또는 권출되면서 상기 제2 레일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1 와이어와 대향하며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2 와이어; 및
    일측이 상기 제1 와이어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와이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함께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상기 승강카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되, 상기 제1 레일과 대향하는 일측 후단이 자력에 의해 상기 제1 레일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고, 상기 제2 레일과 대향하는 타측 후단이 자력에 의해 상기 제2 레일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청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레일은,
    상기 승강카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직선 방향으로 열을 지으며 서로 밀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레일 블록; 및
    상기 레일 블록 마다 한 개씩 설치되어 상기 청소 유닛의 일측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청소 유닛의 일측을 자력을 이용하여 순서대로 체결하는 다수 개의 체결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청소 유닛은,
    상기 제1 와이어에 의해 거치되며,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제1 체결 블록;
    상기 제2 와이어에 의해 거치되며,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제2 체결 블록; 및
    일측이 상기 제1 체결 블록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체결 블록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체결 블록과 상기 제2 체결 블록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시에 상기 승강카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카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용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 블록은,
    상기 청소용 롤러의 일측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레일과 대향하는 후단이 개방 형성되는 블록 케이스;
    상기 제1 레일에 안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 케이스의 후단 개구부를 통해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무한궤도 바퀴;
    상기 무한궤도 바퀴의 내향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무한궤도 바퀴를 지지하는 바퀴 지지 롤러; 및
    상기 다수 개의 체결 마그넷들 간의 이격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무한궤도 바퀴의 외향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다수 개의 체결 마그넷에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다수 개의 체결 마그넷과의 부착면이 상기 다수 개의 체결 마그넷과 반대 극성의 자력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부착 마그넷;을 포함하는, 승강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10135118A 2021-10-12 2021-10-12 승강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KR102348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118A KR102348722B1 (ko) 2021-10-12 2021-10-12 승강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118A KR102348722B1 (ko) 2021-10-12 2021-10-12 승강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722B1 true KR102348722B1 (ko) 2022-01-07

Family

ID=7935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118A KR102348722B1 (ko) 2021-10-12 2021-10-12 승강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7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498B1 (ko) * 2022-08-19 2023-06-13 신경은 유행 패션 예측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929B1 (ko) * 2013-06-14 2013-12-0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모바일 앱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고장 처리 원격보수 시스템
KR101991282B1 (ko) 2018-10-25 2019-06-20 이동민 승강기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 및 유지보수용 승강기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929B1 (ko) * 2013-06-14 2013-12-0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모바일 앱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고장 처리 원격보수 시스템
KR101991282B1 (ko) 2018-10-25 2019-06-20 이동민 승강기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 및 유지보수용 승강기의 제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498B1 (ko) * 2022-08-19 2023-06-13 신경은 유행 패션 예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7099B2 (en) Detecting presence using a presence sensor network
US11198591B2 (en) Real-time rope/cable/belt sway monitoring system for elevator application
CN107651516B (zh) 基于三轴气压霍尔的电梯楼层检测装置及检测系统及方法
US10544007B2 (en) Risk-aware management of elevator operations
CN108694224B (zh) 用于建筑物社区发帖的系统
CN105893454B (zh) 用于选择性地向虚拟周界内的用户提供内容的方法和系统
US9584773B2 (en) Safety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proactively detecting locations of terminal devices
KR102348722B1 (ko) 승강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CN107852566A (zh) 基于背景的手势识别和控制
US201500677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evice management application
CN108975112A (zh) 用于电梯维护的图像分析
CN106778117A (zh) 权限开启方法、装置及系统
US20180061214A1 (en) Limiting Service Availability When Sensor Device is Non-Operational Due to Noise Floor Change
KR102220235B1 (ko)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
US10140847B2 (en) Alarm initiation when sensor is intentionally jammed
JP6787222B2 (ja) 情報処理装置
EP4348429A1 (en) Detecting datacenter mass outage with near real-time/offline data using ml models
CN109302675A (zh) 维修工具接近性检测
CN110099431A (zh) 维修工具无线访问管理
AU2019245451A1 (en)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unattended services
JP2023024827A (ja) エレベーター
US10902359B2 (en) Management of multi-site dashboards
JP2019101709A (ja)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及び、車両制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9479244B1 (en) Radio frequency repeater system for signal transmission through radio frequency shielding material in connected home applications
JP2012001302A (ja) 乗りかご内の画面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