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235B1 -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235B1
KR102220235B1 KR1020190021896A KR20190021896A KR102220235B1 KR 102220235 B1 KR102220235 B1 KR 102220235B1 KR 1020190021896 A KR1020190021896 A KR 1020190021896A KR 20190021896 A KR20190021896 A KR 20190021896A KR 102220235 B1 KR102220235 B1 KR 102220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pressure
information
public building
bldc motor
constan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8402A (ko
Inventor
남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테크
Publication of KR20190028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8Failure diagn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각층별 또는 각세대별로, 정풍량계와 댐퍼를 구비하여 주방 렌지후드 및 욕실 배기팬으로부터의 배기를 흡기하는 흡기덕트와 연통되어 공용건물 옥상으로 유도하는 입상덕트; 입상덕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입상덕트의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BLDC 모터를 포함하는 루프팬, 입상덕트의 상부 실내압과 실외압의 압력차이를 감지하는 차압센서, 루프팬의 구동정보를 감지하는 인코더, 차압에 따라 입상덕트 내의 압력을 설정압력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비례제어하여 루프팬을 구동하는 제어모듈, 및 차압정보와 구동정보를 외부통신망과 통신하여 전송하는 무선 IOT 통신모듈로 구성되는 환기장치; 지역별, 공용건물별, 각동별 또는 각 라인별로 고유식별번호를 부여하고, 무선 IOT 통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차압정보와 구동정보를 수신하여 환기장치의 정상작동 여부를 분석하여 이상발생시 고유식별번호에 해당하는 긴급 AS(After Service)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통합관리서버; 및 외부통신망을 통해 통합관리서버로부터 긴급 AS 요청정보를 수신하고, 미리 탑재된 원격관리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통합관리서버에 원격 접속하여 운용 및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격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UNITED REMOTE CONTROL SYSTEM FOR VENTILATION APPARATUS IN PUBLIC BUILDING}
본 발명은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용건물 환기장치를 지역별, 공용건물별 또는 세대별로 유지관리할 수 있고, 오류시 또는 비상시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하고, 현장에 접근하지 않고도 원격지에서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 공용건물의 기계식 환기시스템은, 렌지후드와 욕실의 흡기팬과 배기팬과 덕트를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음압에 의해 입상덕트로 유도한 후 옥상에 설치되어 있는 루프팬을 통해 강제로 배출한다.
한편, 대형 공용건물, 즉 고층 오피스텔 또는 고층 아파트에 설치된 환기 시스템은 그 규모에 비례하여 유지관리에 따른 인력과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관리자의 접근성이 낮은 옥상의 환기시스템의 오류 또는 이상 발생시이를 즉시 인지하기 어렵고, 인지 후에도 관리사무소에서 환기시스템의 유지관리업체로 연락하여 AS를 제공받아야 하므로 상당한 불편함이 따른다.
이에, 개별 공용건물별로가 아닌, 지역별로 공용건물의 환기시스템을 통합 관리하면서 유지보수를 신속하게 수행하도록 하고, IOT 기술을 적용하여 원격관리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75643호(2010.08.06)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역별, 공용건물별, 세대별 환기시스템을 통합 관리하면서 유지보수를 신속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동시에 IOT 기술을 적용하여 원격관리 및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언제 어디서나 능동적으로 원격제어를 통해 정풍량계 및 댐퍼, 루프팬의 BLDC 모터에 대해 운용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정풍량계, 댐퍼, BLDC 모터의 영상, 구동정보, 제어정보를 날짜 및 시간의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정풍량계, 댐퍼, BLDC 모터의 상태와 관련한 이력을 남겨 추후의 관리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는,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은, 각층별 또는 각세대별로, 정풍량계와 댐퍼를 구비하여 주방 렌지후드 및 욕실 배기팬으로부터의 배기를 흡기하는 흡기덕트와 연통되어 공용건물 옥상으로 유도하는 입상덕트; 입상덕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입상덕트의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BLDC 모터를 포함하는 루프팬, 입상덕트의 상부 실내압과 실외압의 압력차이를 감지하는 차압센서, 루프팬의 구동정보를 감지하는 인코더, 차압에 따라 입상덕트 내의 압력을 설정압력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비례제어하여 루프팬을 구동하는 제어모듈, 및 차압정보와 구동정보를 외부통신망과 통신하여 전송하는 무선 IOT 통신모듈로 구성되는 환기장치; 지역별, 공용건물별, 각동별 또는 각 라인별로 고유식별번호를 부여하고, 무선 IOT 통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차압정보와 구동정보를 수신하여 환기장치의 정상작동 여부를 분석하여 이상발생시 고유식별번호에 해당하는 긴급 AS(After Service)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통합관리서버; 및 외부통신망을 통해 통합관리서버로부터 긴급 AS 요청정보를 수신하고, 미리 탑재된 원격관리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통합관리서버에 원격 접속하여 운용 및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격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원격 단말기는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 또는 입주자 단말기 중의 적어도 하나이다.
또한, 무선 IOT 통신모듈은, 제어모듈로부터 정풍량계, 댐퍼, BLDC 모터, 차압센서의 구동상태, 및 정풍량계와 BLDC 모터의 구동속도정보를 수신하여,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 및 입주자 단말기로 직접 전송한다.
또한, 통합관리서버는, 차압센서에 의해 감지된 차압이 설정차압과 일정시간 이상 상이하고 루프팬이 정지상태이거나, 차압센서에 의해 감지된 차압이 설정차압과 일정시간 이상 유효범위 내에서 동일하고 루프팬이 구동상태이거나, 입상덕트 내측에 일정시간 이상 설정 상시음압이 유지되지 않으면,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 및 입주자 단말기로 긴급 AS 요청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통합관리서버는, 차압정보와 구동정보를 지역별, 공용건물별 및 각 동별로 분석하여 해당 긴급 AS 요청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통합관리서버는, 긴급 AS 요청정보에 해당하는 공용건물과 최 근접하는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 및 입주자 단말기로 긴급 AS 요청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통합관리서버,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 또는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로부터 무선 IOT 통신모듈로, 정풍량, 댐퍼 또는 BLDC모터의 제어정보를 전송하여 원격제어한다.
또한, 통합관리서버는, 정풍량계, 댐퍼, BLDC 모터, 차압센서의 구동상태, 및 정풍량계와 BLDC모터의 구동속도정보를 모니터링한다.
또한, 원격 단말기가 통합관리서버에 접속할 때, 네트워크망을 통해 통합관리서버에 접속시키는 관리처 서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 및 입주자 단말기는, 설정된 아이디와 비밀번호의 입력을 받아 통합관리서버에 원격 접속한다.
또한, 관리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원격접속신호 데이터를 분석하고, 원격 단말기가 정풍량계, 댐퍼, BLDC 모터, 차압센서에 접속 유지되는 것의 인허를 결정하는 원격보안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 또는 입주자 단말기는, 정풍량계, 댐퍼, BLDC 모터 및 차압센서의 영상들을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고, 원 클릭 입력을 받아 어느 하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 및 입주자 단말기는, 정풍량계, 댐퍼, BLDC 모터, 차압센서의 영상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해당 영상에 대한 원 클릭 입력을 받아, 정풍량계, 댐퍼, BLDC 모터, 차압센서의 구동상태 및 정풍량계와 BLDC 모터의 구동속도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 및 입주자 단말기는, 정풍량계, 댐퍼, BLDC 모터, 차압센서의 영상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해당 영상에 대한 더블 클릭 입력을 받아, 정풍량계, 댐퍼 또는 BLDC모터의 제어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 또는 입주자 단말기는, 정풍량계, 댐퍼, BLDC 모터 또는 차압센서의 영상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한 저장입력을 받아, 정풍량계, 댐퍼 또는 BLDC 모터의 영상, 구동정보, 제어정보를 날짜 및 시간의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용건물 환기장치를 지역별, 공용건물별, 세대별로 유지관리하고, 오류시 또는 비상시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하고, 현장에 접근하지 않고도 원격지에서 원격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유지관리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언제 어디서나 능동적으로 원격제어를 통해 정풍량계 및 댐퍼, 루프팬의 BLDC 모터에 대해 운용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풍량계, 댐퍼, BLDC 모터의 영상, 구동정보, 제어정보를 날짜 및 시간의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정풍량계, 댐퍼, BLDC 모터의 상태와 관련한 이력을 남겨 추후의 관리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을 구현한 예이다.
도 3은 도 2의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에 의한 유지관리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주자 단말기의 화면에 정풍량계, 댐퍼, BLDC 모터 및 차압센서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입주자 단말기의 화면에 정풍량계의 영상이 크게 디스플레이된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입주자 단말기의 화면에 정풍량계의 구동상태가 디스플레이된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입주자 단말기의 화면에 정풍량계의 제어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을 구현한 예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은, 공용건물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입상덕트(110)와, 입상덕트(110)를 통한 환기를 제어하는 환기장치(120)와,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환기장치(120)를 원격제어하는 통합관리서버(130)로 구성됨으로써, 환기장치(120)의 유지보수를 원격관리한다.
입상덕트(110)는 각 층별로 또는 각 세대별로 정풍량계 및 댐퍼(111)를 구비하여 주방 렌지후드(112) 및 욕실 배기팬(113)으로부터 생성되는 양압에 의한 배기를 흡기하는 흡기덕트(114)와 연통되어 입상덕트(110) 내측의 상시 음압에 의해 공용건물 옥상의 환기장치(120)로 유도한다.
환기장치(120)는 입상덕트(110) 상부에 형성되어 입상덕트(110)를 유동하는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BLDC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를 포함하는 루프팬(121), 입상덕트(110)의 상부 실내압과 실외압의 압력차이를 감지하는 차압센서(122), 루프팬(121)의 구동정보를 감지하는 인코더(123), 차압센서(122)에 의해 감지된 차압에 따라 입상덕트(110) 내의 압력을 설정압력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비례제어하여 루프팬(121)을 구동하는 제어모듈(124), 제어모듈(124)로부터 제공되는 차압정보와 구동정보를 외부통신망과 통신하여 전송하는 사물 인터넷 기술이 적용된 무선 IOT(Internet Of Things) 통신모듈(125), 및 입상덕트(110) 내의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감지센서(126)로 구성된다.
여기서, 차압센서(122)는 감지튜브를 구비하여 입상덕트(110) 내측의 실내압을 측정하고 옥상으로 노출된 입상덕트(110) 상단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대기압인 실외압을 측정하여 차압을 감지하여 차압정보를 제어모듈(124)로 전송한다.
또한, 설정압력은 공용건물의 층수, 세대수 또는 규모에 따라, 초기에 30mmAq 내지 100mmAq에서 세팅될 수 있다.
한편, 무선 IOT 통신모듈(125)은 통합관리서버((130)를 거치지 않고 제어모듈(124)로부터, 정풍량계 및 댐퍼(111)와 루프팬(121)의 BLDC 모터와 차압센서(122)의 구동상태, 및 정풍량계(111)와 루프팬(121)의 BLDC 모터의 구동속도정보를 수신하여,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원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 단말기는 유지보수 관리자단말기(140), 해당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150) 또는 이상발생관련 입주자 단말기(160)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PC, 스마트폰, 노트북, PDA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통합관리서버(130)는 공용건물별, 각 층별 또는 각 세대별로 고유식별번호를 부여하고, 무선 IOT 통신모듈(125)로부터 전송되는 차압정보와 구동정보를 수신하여 환기장치(120)의 정상작동여부를 분석하여 이상발생시 고유식별번호에 해당하는 긴급 AS(After Service)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외부통신망을 통해 유지보수 관리자단말기(140), 해당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150) 또는 이상발생관련 입주자 단말기(160)로 전송한다.
또한, 통합관리서버(130)는, 정풍량계 및 댐퍼(111)와 BLDC 모터와 차압센서의 구동상태, 및 정풍량계와 BLDC 모터의 구동속도정보를 모니터링하여 관련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합관리서버(130)는 차압센서(122)에 의해 감지된 차압이 설정차압과 일정시간 이상 상이하고 루프팬(121)이 정지상태이거나, 차압센서(122)에 의해 감지된 차압이 설정차압과 일정시간 이상 유효범위 내에서 동일하고 루프팬(121)이 구동상태이거나, 입상덕트(110) 내측에 일정시간 이상 설정 상시 음압이 유지되지 않거나, 소음감지센서(126)에 의해 일정시간 이상 기준소음 이상의 소음이 감지되면, 오류 또는 이상 발생으로 판단하여,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140), 해당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150) 또는 이상발생관련 입주자단말기(160)로 긴급 AS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고유식별번호에 해당하는 공용건물별, 각 층별 또는 각 세대별로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통합관리서버(130)는 차압정보와 구동정보를 지역별, 공용건물별, 및 각 세대별로 분석하여 해당 긴급 AS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긴급 AS 요청정보에 해당하는 공용건물과 최 근접하는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140), 해당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150) 또는 이상발생관련 입주자 단말기(160)로 긴급 AS 요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합관리서버(130)는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140) 또는 관리사무소 서버(150)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무선 IOT 통신모듈(125)로, 정풍량계 및 댐퍼(111) 또는 루프팬(121)의 BLDC 모터의 제어정보를 전송하여 비상시 원격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통합관리서버(130)는 긴급 AS 요청정보에 상응하는 정풍량계 및 댐퍼(111) 또는 루프팬(121)의 BLDC 모터의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현장에서의 AS(After Service) 없이도, 원격지에서 유지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입상덕트(110) 실내측후드의 필터망(171)에 인접하여 먼지농도를 감지하는 먼지농도 감지센서(172)를 더 포함하고, 먼지농도 감지센서(172)에 의해 일정시간 이상 설정농도 이상의 먼지농도가 감지되면 제어모듈(124)은 무선 IOT 통신모듈(125)을 통해서 통합관리서버(130)로 필터망(171)의 교체요청정보를 전송하도록 하여, 필터망(171)의 유지보수를 쉽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140), 해당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150), 이상발생관련 입주자 단말기(160)는 외부통신망을 통해 통합관리서버(130)로부터 긴급 AS 요청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140), 해당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150), 이상발생관련 입주자 단말기(160)는 미리 탑재된 원격관리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구동시켜 통합관리서버(130)에 원격 접속하여 운용 및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능동적으로 정풍량계 및 댐퍼(111), 루프팬(121)의 BLDC 모터에 대해 운용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또한,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140),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150) 및 입주자 단말기(160)는, 설정된 아이디(ID)와 비밀번호(password)의 입력을 받아 통합관리서버(130)에 원격 접속한다. 입주자가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140),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150) 또는 입주자 단말기(160)를 통해 통합관리서버(130)에 원격 접속하기 위해서는 설정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알고 있어야 한다. 통합관리서버(130)에 설정된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가 제대로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설정된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가 틀렸으니 설정된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다. 설정된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가 설정 횟수만큼 틀린 경우에는 통합관리서버(130)에서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140),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150) 및 입주자 단말기(160)의 원격 접속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설정 횟수는 예를 들어 5회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140),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150) 및 입주자 단말기(160)의 원격 접속이 차단된 후, 통합관리서버(130)에 차단을 해제하면 다시 원격접속을 시도하여 접속할 수 있다.
관리처 서버(180)는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140),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150) 및 입주자 단말기(160)가 통합관리서버(130)에 접속할 때 네트워크망을 통해 통합관리서버(130)에 접속시킨다.
여기서, 네트워크망이라 함은 인터넷(internet)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 또는 이들의 결합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망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종래의 인터넷이나 이동 통신망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예를 들어,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은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과 같은 종래의 다양한 네트워크 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음을 유의해야 한다.
원격보안장치(190)는 관리처 서버(180)로부터 수신하는 원격접속신호 데이터를 분석하고,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140),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150) 및 입주자 단말기(160)가 정풍량계 및 댐퍼(111), BLDC 모터(도시되지 않음), 차압센서(122)에 접속 유지되는 것의 인허를 결정한다. 즉, 원격보안장치(190)는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140),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150) 및 입주자 단말기(160)가 원격관리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네트워크망을 통해 통합관리서버(130)에 접속을 시도할 경우 접속 목적에 따라 랜(LAN) 접속을 통해 통합관리서버(130)에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140),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150) 또는 입주자 단말기(160)는, 정풍량계 및 댐퍼(111), BLDC 모터 및 차압센서(122)의 영상들을 통합관리서버(13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고, 원 클릭 입력을 받아 어느 하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140),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150) 및 입주자 단말기(160)는, 정풍량계 및 댐퍼(111), BLDC 모터, 차압센서(122)의 영상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해당 영상에 대한 원 클릭 입력을 받아, 정풍량계 및 댐퍼(111), BLDC 모터, 차압센서(122)의 구동상태 및 정풍량계와 BLDC 모터의 구동속도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140),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150) 및 입주자 단말기(160)는, 정풍량계 및 댐퍼(111), BLDC 모터, 차압센서(122)의 영상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해당 영상에 대한 더블 클릭 입력을 받아, 정풍량계 및 댐퍼(111) 또는 BLDC 모터의 제어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140),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150) 또는 입주자 단말기(160)는, 정풍량계 및 댐퍼(111), BLDC 모터 또는 차압센서(122)의 영상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한 저장입력을 받아, 정풍량계 및 댐퍼(111) 또는 BLDC 모터의 영상, 구동정보, 제어정보를 날짜 및 시간의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풍량계 및 댐퍼(111) 또는 BLDC 모터의 영상, 구동정보, 제어정보를 날짜 및 시간의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정풍량계 및 댐퍼(111)와 BLDC 모터의 상태와 관련한 이력을 남겨 추후의 관리에 참고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에 의한 유지관리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에 의한 유지관리과정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통합관리서버(130)는 공용건물별, 각 층별 또는 각 세대별로 고유식별번호를 부여하고, 환기장치(120)의 무선 IOT 통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차압정보와 구동정보를 수신하여 환기장치(120)의 정상작동여부를 분석하고(S110), 이상발생시 긴급AS 요청정보를 생성하여(S120), 외부통신망을 통해 해당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140), 해당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150) 또는 이상발생관련 입주자 단말기(160)로 전송한다(S130).
한편, 무선 IOT 통신모듈은, 통합관리서버((130)를 거치지 않고 제어모듈로부터, 정풍량계 및 댐퍼(111)와 루프팬의 BLDC 모터와 차압센서의 구동상태, 및 정풍량계와 루프팬의 BLDC 모터의 구동속도정보를 수신하여,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140), 해당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150) 또는 이상발생관련 입주자단말기(160)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S135).
여기서, 통합관리서버(130)는 차압정보와 구동정보를 지역별, 공용건물별, 및 각 세대별로 분석하여 해당 긴급 AS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긴급 AS 요청정보에 해당하는 공용건물과 최 근접하는 유지보수 관리자단말기(140), 해당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150) 또는 이상발생관련 입주자 단말기(160)로 긴급 AS 요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합관리서버(130)는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140) 또는 관리사무소 서버(150)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무선 IOT 통신모듈(125)로, 정풍량계 및 댐퍼(111) 또는 루프팬(121)의 BLDC 모터의 제어정보를 전송하여 비상시 원격제어할 수도 있다(S140).
이에, 통합관리서버(130)는 긴급 AS 요청정보에 상응하는 정풍량계 및 댐퍼(111) 또는 루프팬의 BLDC 모터의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현장에서의 AS 없이도 원격지에서 유지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S110 내지 S140과는 별도로, 원격 단말기인 유지보수 관리자단말기(140), 해당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150) 또는 이상발생관련 입주자 단말기(160)는 미리 탑재된 원격관리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통합관리서버에 원격 접속하여 운용 및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에 의해 공용건물 환기장치를 지역별, 공용건물별 또는 세대별로 유지관리하며, 오류시 또는 비상시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하고, 현장에 접근하지 않고도 원격지에서 원격제어하도록 하여 유지관리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주자 단말기의 화면에 정풍량계, 댐퍼, BLDC 모터 및 차압센서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입주자 단말기의 화면에 정풍량계의 영상이 크게 디스플레이된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입주자 단말기의 화면에 정풍량계의 구동상태가 디스플레이된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입주자 단말기의 화면에 정풍량계의 제어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서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입주자 단말기(160)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보이고 있다.
도 4에서는 위에서 아래로 차례로 정풍량계의 영상(1), 댐퍼의 영상(2), BLDC 모터의 영상(3) 및 차압센서의 영상(4)이 디스플레이된 것을 일 예로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입주자가 정풍량계의 영상(1)을 원 클릭 입력하면 도 5에서와 같이 입주자 단말기(160)에는 정풍량계의 영상(1)만이 크게 단독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서 입주자가 정풍량계의 영상(1)에 대해 원 클릭 입력하면 도 6에서와 같이 입주자 단말기(160)에는 정풍량계의 구동상태와 구동속도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2019년 2월21일 오후 12시10분 현재 정풍량계의 구동상태는 양호하고 정풍량계의 구동속도는 1800rpm임을 알 수 있다.
도 5에서 입주자가 정풍량계의 영상(1)에 대해 더블 클릭 입력하면 도 7에서와 같이 입주자 단말기(160)에는 정풍량계의 제어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2019년 2월21일 오후 12시10분 현재 정풍량계는 200CMH*?*에서 제어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정풍량계의 영상 2 : 댐퍼의 영상
3. : BLDC 모터의 영상 4 : 차압센서의 영상
110 : 입상덕트 111 : 정풍량계 및 댐퍼
112 : 렌지후드 113 : 배기팬
114 : 흡기덕트 120 : 환기장치
121 : 루프팬 122 : 차압센서
123 : 인코더 124 : 제어모듈
125 : 통신모듈 126 : 소음감지센서
130 : 통합관리서버 140 : 관리자단말기
150 : 관리사무소 서버 160 : 입주자단말기
171 : 필터망 172 : 먼지농도 감지센서
180 : 관리처 서버 190 : 원격보안장치

Claims (15)

  1. 각층별 또는 각세대별로, 정풍량계와 댐퍼를 구비하여 주방 렌지후드 및 욕실 배기팬으로부터의 배기를 흡기하는 흡기덕트와 연통되어 공용건물 옥상으로 유도하는 입상덕트;
    상기 입상덕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입상덕트의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BLDC 모터를 포함하는 루프팬, 상기 입상덕트의 상부 실내압과 실외압의 압력차이를 감지하는 차압센서, 상기 루프팬의 구동정보를 감지하는 인코더, 차압에 따라 상기 입상덕트 내의 압력을 설정압력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비례제어하여 상기 루프팬을 구동하는 제어모듈, 및 차압정보와 상기 구동정보를 외부통신망과 통신하여 전송하는 무선 IOT 통신모듈로 구성되는 환기장치;
    지역별, 공용건물별, 각동별 또는 각 라인별로 고유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무선 IOT 통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차압정보와 상기 구동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환기장치의 정상작동 여부를 분석하여 이상발생시 상기 고유식별번호에 해당하는 긴급 AS(After Service)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통합관리서버; 및
    외부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긴급 AS 요청정보를 수신하고, 미리 탑재된 원격관리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상기 통합관리서버에 원격 접속하여 운용 및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격 단말기;
    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단말기는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 또는 입주자 단말기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무선 IOT 통신모듈은,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상기 정풍량계, 상기 댐퍼, 상기 BLDC 모터, 상기 차압센서의 구동상태, 및 상기 정풍량계와 상기 BLDC 모터의 구동속도정보를 수신하여,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 상기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 및 상기 입주자 단말기로 직접 전송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차압센서에 의해 감지된 차압이 설정차압과 일정시간 이상 상이하고 상기 루프팬이 정지상태이거나, 상기 차압센서에 의해 감지된 차압이 설정차압과 일정시간 이상 유효범위 내에서 동일하고 상기 루프팬이 구동상태이거나, 상기 입상덕트 내측에 일정시간 이상 설정 상시음압이 유지되지 않으면, 상기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 상기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 및 상기 입주자 단말기로 상기 긴급 AS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차압정보와 상기 구동정보를 지역별, 공용건물별 및 각 동별로 분석하여 해당 긴급 AS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긴급 AS 요청정보에 해당하는 공용건물과 최 근접하는 상기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입주자 단말기로 상기 긴급 AS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 상기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 또는 상기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IOT 통신모듈로, 상기 정풍량계 및 상기 댐퍼 또는 상기 BLDC모터의 제어정보를 전송하여 원격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정풍량계, 상기 댐퍼, 상기 BLDC 모터, 상기 차압센서의 구동상태, 및 상기 정풍량계와 상기 BLDC모터의 구동속도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기가 상기 통합관리서버에 접속할 때, 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통합관리서버에 접속시키는 관리처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 상기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 및 상기 입주자 단말기는, 설정된 아이디와 비밀번호의 입력을 받아 상기 통합관리서버에 원격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원격접속신호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원격 단말기가 상기 정풍량계, 상기 댐퍼, 상기 BLDC 모터, 상기 차압센서에 접속 유지되는 것의 인허를 결정하는 원격보안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 상기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 또는 상기 입주자 단말기는, 상기 정풍량계, 상기 댐퍼, 상기 BLDC 모터 및 상기 차압센서의 영상들을 상기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고, 원 클릭 입력을 받아 어느 하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 상기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 및 상기 입주자 단말기는, 상기 정풍량계, 상기 댐퍼, 상기 BLDC 모터, 상기 차압센서의 영상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해당 영상에 대한 원 클릭 입력을 받아, 상기 정풍량계, 상기 댐퍼, 상기 BLDC 모터, 상기 차압센서의 구동상태 및 상기 정풍량계와 상기 BLDC 모터의 구동속도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 상기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 및 상기 입주자 단말기는, 상기 정풍량계, 상기 댐퍼, 상기 BLDC 모터, 상기 차압센서의 영상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해당 영상에 대한 더블 클릭 입력을 받아, 상기 정풍량계, 상기 댐퍼 또는 상기 BLDC모터의 제어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 관리자 단말기, 상기 공용건물의 관리사무소 서버 또는 상기 입주자 단말기는, 상기 정풍량계, 상기 댐퍼, 상기 BLDC 모터 또는 상기 차압센서의 영상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한 저장입력을 받아, 상기 정풍량계 및 댐퍼 또는 상기 BLDC 모터의 영상, 구동정보, 제어정보를 날짜 및 시간의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
KR1020190021896A 2018-12-31 2019-02-25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 KR102220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73682 2018-12-31
KR1020180173682 2018-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402A KR20190028402A (ko) 2019-03-18
KR102220235B1 true KR102220235B1 (ko) 2021-02-26

Family

ID=65948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896A KR102220235B1 (ko) 2018-12-31 2019-02-25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2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458B1 (ko) * 2019-06-10 2019-11-21 주식회사 멜템 공용 배기 시스템의 무선 IoT 원격 관리 시스템
KR102333933B1 (ko) * 2020-03-09 2021-12-06 주식회사 알텍이시스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2113860B1 (ko) * 2020-04-02 2020-06-02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용 구내통신망 중계 시스템
EP3985312A1 (en) 2020-10-14 2022-04-20 Silverline Endüstri ve Ticaret A.S. An air balancing and aeration system comprising a diffuser
KR102649984B1 (ko) * 2023-02-07 2024-03-21 (주)아하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 및 이의 AS 관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9386A1 (ja) 2016-04-15 2017-10-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機器管理システム
KR101934946B1 (ko) * 2018-06-15 2019-01-04 주식회사 랩죤 IoT 융합 공기정화장치 유지보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9034A (ko) * 2004-11-26 200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KR20070115451A (ko) * 2006-06-02 2007-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관리 시스템
KR20080060766A (ko) * 2006-12-27 2008-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딩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44168Y1 (ko) * 2007-07-26 2009-04-17 김송이 공동주택의 세대환기풍량제어설비
KR100987971B1 (ko) * 2008-06-20 2010-10-18 서울과학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복층건물의 국소 배기 입상덕트에 적용되는 배기 효율최적화 제어장치
KR100975643B1 (ko) 2008-07-23 2010-08-17 세원시스템벤트 주식회사 개량된 복층건물의 국소 배기 입상덕트에 적용되는배기효율 최적화 제어시스템
KR101576670B1 (ko) * 2012-11-12 2015-12-14 주식회사 경동원 스마트 폰 앱을 이용한 난방시스템의 원격 제어 및 관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의 원격 제어 및 관리방법
KR20150131602A (ko) * 2014-05-15 2015-11-25 김형진 수중펌프 제어시스템
KR101927223B1 (ko) * 2016-03-25 2018-12-10 심창섭 세대별 환기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9386A1 (ja) 2016-04-15 2017-10-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機器管理システム
KR101934946B1 (ko) * 2018-06-15 2019-01-04 주식회사 랩죤 IoT 융합 공기정화장치 유지보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402A (ko) 201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0235B1 (ko)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
US10951507B1 (en) Network device management technology
US10070035B2 (en) Monitoring system configuration technology
KR101876610B1 (ko) 빌딩 네트워크를 위한 상조적 인터페이스 시스템
US20180061158A1 (en) Trusted user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for home automation systems
US9584773B2 (en) Safety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proactively detecting locations of terminal devices
US10325484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ation of false alarm
EP2128834A1 (en) Inexpensive mass market alarm system with alarm monitoring and reporting
EP3503059B1 (en) Integrated voice over ip communication in fire systems
US20160054017A1 (en) Air conditioning management devic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program
JP4887670B2 (ja) 通信システム
US20220338013A1 (en) Unauthorized communication detection method, unauthorized communication detection device, and recording medium
US20170082997A1 (en) Fast replacement z-wave device in home automation
CN103973472A (zh) 用于确定建筑物中的人员的存在情况的方法和装置
US20160267780A1 (en) Mobile user interface for security panel
KR101743833B1 (ko) 네트워크 원격 관리 장치
US20190221096A1 (en) Security system with occupancy determination based on hvac applications
US94958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ake-over protection for a security system
JP4958432B2 (ja) 監視システム
JP3738682B2 (ja) 機器異常検出システム
JP2003018667A (ja) ネットワーク分散型ビル設備監視制御システム
KR101070492B1 (ko) 공조 통합 제어 시스템의 통신 포트 가변설정 방법 및 그 장치
JP2009284250A (ja) 宅内監視制御システム、宅内監視制御方法、および監視制御装置
WO2022239159A1 (ja) 空調機、セキュリティ攻撃対処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692557A (zh) 使用视频分析的建筑物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