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984B1 -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 및 이의 AS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 및 이의 AS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984B1
KR102649984B1 KR1020230089022A KR20230089022A KR102649984B1 KR 102649984 B1 KR102649984 B1 KR 102649984B1 KR 1020230089022 A KR1020230089022 A KR 1020230089022A KR 20230089022 A KR20230089022 A KR 20230089022A KR 102649984 B1 KR102649984 B1 KR 102649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oxygen generator
server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9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기도
Original Assignee
(주)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하 filed Critical (주)아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9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7Pressure swing ad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01B13/0229Purification or separation processes
    • C01B13/0248Physical processing only
    • C01B13/0259Physical processing only by adsorption on solids
    • C01B13/0262Physical processing only by adsorption on solids characterised by the adsorbent
    • C01B13/027Zeoli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6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adding oxyge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06Q30/015Providing customer assistance, e.g. assisting a customer within a business location or via helpdesk
    • G06Q30/016After-sa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07Controlling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09Controlling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using sensors or gas analys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소를 발생시켜 주변으로 공급하는 산소 발생기; 상기 산소 발생기에 설치되어 산소 발생 상태, 온도, 압력, 습도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되는 정보를 전송받아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산소 발생기에 대한 고장 상태를 판단하며, 고장 상태 진단시 AS 관리를 위한 알림을 발송하고 관리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산소 발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산소 발생기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상기 서버에 수집된 정보를 표시하며, 표시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산소 발생기의 제어와 AS를 신호를 근거리에서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스크린부; 및 상기 서버에 수집된 정보를 표시하며, 표시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산소 발생기의 제어와 AS를 위한 신호를 상기 스크린부보다 원거리에서 상기 서버에 전송하도록 인터넷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해 상기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산소 발생기의 고장 여부에 대한 알림을 전달받고, 설치된 AS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AS 신청을 접수하고 관리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 및 이의 AS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 및 이의 AS 관리 방법{OXYGEN GENERATOR WITH IoT FUNCTION AND MANAGEMENT METHOD THEROF}
본 발명은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 및 이의 AS(After Sales Service)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산소 발생기의 주변에 공급되는 산소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산소 발생기의 동작상태 및 산소발생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고, 산소 발생기와 먼 거리에서도 원격으로 모니터하고, 제어 및 AS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 및 이의 AS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소 발생기는 농도 높은 산소를 발생시키는 PSA(Pressure Swing Adsorption, 압력 변동 흡착) 방식이 있다.
상기 PSA형 방식은 흡착제를 이용한 산소발생 원리로, 공기중의 질소분자를 흡착제에 의해 흡수하여 산소의 농도를 높이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며, 현재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기술중의 하나이다.
상기 PSA형 방식은 물리적인 작용에 의해 고농도 산소 및 질소를 선택적으로 연속 분리하여 생산하는 방식으로, 화학적 반응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를 동력으로 순수 물리적 작용에 의해 고농도 산소를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흡착제(일반적으로 제올라이트(Zeolite)를 사용할 수 있다.)의 선택적 흡착력을 이용하여 공기 중의 산소와 질소를 분리하는 방식으로서 흡착탑(module)에 고압의 공기를 통과시키고 흡착, 균압, 탈착의 연속 동작을 통해 질소, 산소 가스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즉, 흡착제는 질소에 대한 흡착속도가 산소보다 빠른 특성을 가지고 있는 세라믹 재질로 공기를 에어 컴프레셔로 가입하여 흡착된 모듈을 통과시킬 때 흡착제는 질소를 선택적으로 흡착하고 산소는 배출하게 되므로 고농도의 산소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PSA형 방식의 경우, 공기의 산소농도는 높지만, 제올라이트 베드에 질소대신 습기가 다량 흡착하게 되어 수명이 단축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러한 산소 발생기의 경우 종래에는 산소 발생기를 실외에 두고, 배관을 통해 실내에 단순한 산소노즐을 설치하여 산소를 공급하고 있는 방식을 행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 실내로 산소 공급은 이루어지지만, 산소의 특성인 무색, 무취, 저유량에 의해 실제로 산소 공급이 되고 있는지 사용자가 확인할 방법이 명확하지 않다.
또한, 산소 발생기의 고장 또는 성능저하에 따른 산소 공급의 이상유무도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알기 어렵다는 점은 산소 발생기 시장확대를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종래의 산소 발생기를 사용할 경우 고가의 산소농도 측정기를 별도로 구매하거나, 유관 전문업체에 의뢰하여 산소농도 계측기를 통해서 실내 산소농도를 측정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유관 전문업체에 의뢰하는 것 자체도 쉽지 않고, 유관 전문업체를 찾는 것조차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산소 발생기의 동작상태 및 산소발생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며, 사용자가 산소 발생기와 먼 거리에서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 및 AS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000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82343호(2022.06.1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산소공급 시스템의 주변에 공급되는 산소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산소 발생기의 동작상태 및 산소발생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며, 산소 발생기와 먼 거리에서도 원격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는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산소 발생기의 유지 보수 및 고장 진단 관리를 개선할 수 있는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의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는, 산소를 발생시켜 주변으로 공급하는 산소 발생기; 상기 산소 발생기에 설치되어 산소 발생 상태, 온도, 압력, 습도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되는 정보를 전송받아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산소 발생기에 대한 고장 상태를 판단하며, 고장 상태 진단시 AS 관리를 위한 알림을 발송하고 관리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산소 발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산소 발생기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상기 서버에 수집된 정보를 표시하며, 표시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산소 발생기의 제어와 AS를 신호를 근거리에서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스크린부; 및 상기 서버에 수집된 정보를 표시하며, 표시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산소 발생기의 제어와 AS를 위한 신호를 상기 스크린부보다 원거리에서 상기 서버에 전송하도록 인터넷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해 상기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산소 발생기의 고장 여부에 대한 알림을 전달받고, 설치된 AS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AS 신청을 접수하고 관리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소 발생기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 제올라이트가 내장된 베드를 둘 이상 포함하여, 상기 압축된 공기로부터 질소를 흡착하여 공기 중의 산소 농도를 높이도록 설치되는 베드 모듈; 및 상기 베드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산소 농도가 높아진 공기를 배출하는 산소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드 모듈의 어느 하나의 베드를 교체하는 중에도, 나머지 베드들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산소를 배출할 수 있고, 상기 베드 모듈을 통과한 공기의 일부를 분기시켜, 상기 산소 배출부를 통과하기 전의 공기와 오리피스조인트를 이용하여 혼합시키는 분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산소의 유량 및 산소 공급시간을 측정하는 산소공급 유량 및 시간센서; 상기 공급되는 산소의 압력을 측정하는 산소압력센서; 상기 공급되는 산소의 순도를 측정하는 산소순도센서; 및 기 산소 발생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주변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서버에 신호를 전송하는 산소농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의 AS 관리 방법은, 산소 발생기에 대한 AS 서비스를 제공하는 AS 담당업체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나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웹페이지를 통해 AS 자격 등록을 진행하는 업체 등록 단계; 상기 산소 발생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산소 발생기를 서버에 등록하는 기기 등록 단계; 서버에서 상기 산소 발생기에 설치된 센서부를 통해 취득된 산소 발생 상태, 온도, 압력, 습도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단계; 서버에서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산소 발생기의 고장 상태를 판단하는 진단단계; 서버에서 상기 산소 발생기의 고장 상태 감지시, 등록된 상기 AS 담당업체 또는 사용자의 단말로 관리를 위한 알림을 발송하는 알림 발송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AS 담당업체를 선정하는 AS 신청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S 신청단계에서는, 상기 서버에 수집된 정보를 표시하며, 표시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산소 발생기의 제어와 AS를 신호를 근거리에서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스크린부를 이용하여 신청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림 발송단계에서는, 상기 AS 담당업체가 상기 알림을 수신하면, 고장 상태로 진단된 상기 산소 발생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단말로 자신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례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산소 발생기의 주변에 공급되는 산소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산소 발생기의 동작상태 및 산소발생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며, 산소 발생기와 먼 거리에서도 원격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에 의하면, 제올라이트가 내장된 베드에 투입되는 공기의 절대 수증기량을 낮추고, 분기관을 이용하여 상기 베드가 접촉하는 공기의 양을 줄임으로써, 베드 내부의 제올라이트가 습기와 접촉하는 양을 낮춰 산소 발생기의 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IoT 센서를 통해 산소 발생기의 다양한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수집함으로써, 고장을 예측하고 조기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예방 정비를 수행하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기반으로 고장 진단 및 AS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유지보수 작업을 효율적으로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고장 발생 시 즉각적인 알림을 받아 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IoT 기술을 활용하여 산소 발생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파악하고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AS 관리를 위한 알림을 발송하여 관리자가 필요한 조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고장 예측과 조기 대응을 통해 시스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산소 발생기의 정상 작동을 유지하고, 사용자의 안전과 환경 보호를 보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제어부를 통해 산소 발생기의 작동을 조정하고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운영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고, 산소 발생기의 성능을 최적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IoT 기능을 통해 산소 발생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 직접 가지 않아도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관리 작업의 편의성을 높이고, 작업자의 이동 및 시간을 절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적용한 산소 발생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인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의 일 실시례에 따른 베드 모듈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의 AS 관리 방법의 일 실시례에 따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적용한 산소 발생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의 일 실시례에 따른 베드 모듈 측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에 대한 일 실시 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산소 발생기(100), 센서부(200), 서버(300), 제어부(400), 스크린부(500), 단말부(600) 및 전원부(7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산소 발생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110)와; 상기 흡입된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120); 상기 압축된 공기를 통과시켜 공기 중의 질소를 흡착하는 베드 모듈(150) 및 질소가 흡착됨에 따라 산소 농도가 높아진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산소 배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산소 발생기(100)는 산소를 발생시켜 주변으로 공급하는 장치로, 산소를 생성하고 이를 주변으로 분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산소 발생기(100)는 센서부(200)와 서버(300)에 연결될 수 있다.
센서부(200)는 산소 발생기(100)에 설치되어 산소 발생 상태, 온도, 압력, 습도 등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센서부(200)에서 측정되어 수집되며, 수집된 정보는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서버(300)는 산소 발생기(100)의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중앙 시스템일 수 있다. 서버(300)는 센서부(2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산소 발생기(100)의 고장 상태를 판단하며, 고장 상태 진단시 AS 관리를 위한 알림을 발송하고 관리할 수 있다.
산소 발생기(100)는 또한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서버(30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기반으로 산소 발생기(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서버(300)와 통신하여 산소 발생기(100)의 동작 상태를 조정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산소 발생기(100)는 전원부(700)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할 수 있다. 전원부(700)는 제어부(400)를 통해 산소 발생기(1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산소 발생기(100)는 센서부(200)에서 측정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하고, 서버(300)는 이를 기반으로 산소 발생기(100)의 고장 상태를 판단하여 제어부(400)를 통해 산소 발생기(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전원부(700)는 산소 발생기(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소 발생기(100)는 하나의 함체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나, 공장이나 사무실 등에 설치되어 하나의 시스템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기준으로 전단 및 후단이라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산소 발생기(100)의 상기 흡입부(110)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별도의 흡입모터를 설치하여 효율적으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흡입부(110) 후단 또는 상기 흡입부(110) 내에는 별도의 정화필터(F)를 더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때,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정화필터는 인조 합성섬유로 만든 여과지 또는 종이 필터 또는 헤파필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정화필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흡입부(110) 또는 정화필터와 연결된 압축기(120)로 유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압축기(120)는 컴프레셔(Compressor)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120)는 유입되는 공기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축기(12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압축기(120)와 연결된 수분필터(130)를 더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수분필터(130)는 공기중의 수분을 제거하고, 약간의 미세먼지도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수분필터(130)는 수증기를 원심분리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증기를 포함하고 있는 공기가 상기 수분필터(130)를 거치면,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어 수분이 아래로 쌓이게 되고, 상기 수분필터(130)를 통과한 공기는 절대 수증기량이 줄어 들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수분필터(130)를 통과한 공기는 베드 모듈(150)에 유입되어 공기 중의 산소 농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베드 모듈(150)은 둘 이상의 베드(15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듈로서, 베드 모듈(150)에 대해서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상기 베드(151)는 제올라이트(153)가 충진된 장치로, 공기가 통과하면 공기 중의 질소가 제올라이트(153)에 흡착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산소 농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베드(151)에 습도가 높은 공기가 유입되면, 제올라이트(153)는 질소와 흡착하지 않고 수분과 흡착하게 되어 농도 높은 산소의 발생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베드 모듈(150)(베드(151))에 공급되는 공기의 습도를 낮추기 위해 수분필터(130)를 사용하였고, 더욱 효과적으로 습도를 낮추기 위하여 상기 베드 모듈(150)의 전단에 건조기(140)를 더 설치하여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상기 베드 모듈(150)을 통과한 공기는 베드 모듈(150)을 통과하기 전의 공기보다 산소 농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산소 배출부(160)를 통해 나가는 산소의 농도는 90%를 넘지만, 실제 사용하는 산소의 농도는 35%로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의료용과 달리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산소 발생기(G)에서 산소의 농도가 35%를 초과하면, 산소중독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하고, 화재 발생의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집중력 향상 및 피로회복과 같은 산소 공급 효과가 유효하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배출되는 공기 중의 산소의 농도를 32~35%로 설정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베드 모듈(150)의 부하를 낮추면서, 배출되는 산소의 농도를 맞추기 위해, 상기 수분필터(130)를 통과한 깨끗한 공기를 상기 베드 모듈(150)을 통과한 높은 산소농도를 갖는 공기와 혼합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수분필터(130)와 건조기(140) 사이에서 상기 산소 배출부(160)와 베드 모듈(150) 사이를 연결하는 분기관(170)을 더 설치하고, 이들을 연결할 때, 오리피스조인트(171)를 사용하여 공기 혼합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산소 발생기(100)에서 사용되는 상기 베드 모듈(15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베드 모듈(150)은 복수의 베드(151)를 포함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의 베드(151)를 교체하는 중에도, 나머지 베드들(151)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산소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드 모듈(150)은 3개의 베드들(151)을 포함하며, 이 3개의 베드(151) 중 2개의 베드들(151)을 상시적이고 연속적으로 이용하여 공기 내의 질소를 제거할 수 있다.
우선, 건조기(14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베드 모듈(150)에 유입되기 위하여 상기 베드 모듈(150)의 일측에는 공급관(155)이 위치하고, 상기 베드 모듈(150)의 타측에는 베드 모듈(150)을 관통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관(156)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3개의 베드들(151)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공급관(155)과 3개의 베드들(151)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157)이 더 설치되고, 이 연결관(157)은 상기 3개의 베드들(151)과 배출관(156)을 연결하도록 상기 베드들(151)의 일측 및 타측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공급관(155)은 사각형의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내측에 공기가 이동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급관의 하단은 밀폐된 형상이고, 4면 중 서로 마주보는 어느 두 면에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연결관들(157)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공급관(155)과 3개의 베드들(151)을 연결하는 연결관(157)을 기준으로 각각의 구조 및 동작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관(157)은 삼각형을 이루는 삼각프레임(1571)과, 상기 삼각프레임(1571)의 각 모서리로부터 절곡 형성된 다리관들(1573)을 포함하고, 이 다리관들(1573)이 각각 3개의 베드들(151)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리관(1573)과 베드(151)는 1대1 매칭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베드(151)는 상기 다리관(157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베드(151)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하나씩 교체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베드 모듈(1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올라이트 등의 흡착제를 사용하는 PSA(Pressure Swing Absorption)방식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상기 베드 모듈(150)은 상기한 PSA 방식 이외에도, 기체의 물질에 대한 극성의 차이와 기체분자 크기의 상이성을 이용하여 기체를 분리하는 기체분리막 방식과, 다수의 적층된 평막 사이로 공기를 통과시켜 산소를 부화시키는 평막 방식,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압력차를 만들고 흡착제에 의하여 산소 부화 공기를 만드는 방식인 VSA(Vacuum Swing Adsorption)방식, 및 RVSA(Rapid Vacuum Swing Adsorption)방식 등과 같이 공지된 다양한 산소분리방법 중 어느 한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200)는, 산소 발생기(100)에 설치되어 산소의 정보를 측정하며 측정된 산소의 정보를 서버(300)에 전송하는 구성으로, 산소공급 유량 및 시간센서(210), 산소압력센서(220), 산소순도센서(230), 온도센서(240) 및 산소농도센서(2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산소공급 유량 및 시간센서(210)는, 산소 발생기(100)에 설치되어 주변에 공급되는 산소의 유량 및 산소 공급시간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산소공급 유량 및 시간센서(210)는 상기 산소 배출부(160)와 연결되어 상기 산소 배출부(160)를 통해 주변으로 공급되는 산소의 유량 및 산소 공급시간을 측정하여 서버(300)에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로, 본 발명이 적용된 산소 발생기를 통해 주변으로 산소가 어느 정도의 양이 공급되고, 얼마나 오랫동안 작동되었는지 확인 가능하다.
또, 상기 산소압력센서(220)는, 상기 산소 배출부(160)로부터 주변으로 공급되는 산소의 압력을 측정하여 서버(300)에 전송하는 센서로, 주변의 산소 농도에 따라 주변으로 공급되는 산소의 압력을 조절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산소 배출부(16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산소순도센서(230)는, 주변으로 공급되는 산소의 순도를 측정하여 서버(300)에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로, 산소의 순도가 기설정된 적정범위 내로 공급될 경우 별 다른 알람이 울리지 않으나, 만약 산소의 순도가 기설정된 범위 이하일 경우 이를 서버(300)에서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크린부(500) 또는 단말(600)을 통해 알리게 된다.
또, 상기 온도센서(240)는, 산소 발생기(100)의 온도를 측정하여 서버(300)에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로, 산소 발생기(100)가 지속적으로 구동됨에 따라 온도가 변하는 것을 감지한다.
이 때, 지속적인 구동에 의해 산소 발생기(100)가 설정된 온도를 초과할 경우 산소 발생기(100)가 무리하게 구동되는 것이라고 판단하여 온도센서(240)는 서버(300)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서버(300)는 제어부(400)를 통해 후술할 전원부(700)를 이용하여 산소 발생기(100)의 작동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산소농도센서(250)는, 주변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서버(300)에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로, 본 발명이 작동되지 않을 때에도 주변의 산소 농도를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된 산소 발생기(100)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산소농도센서(250)가 주변의 산소 부족을 감지할 경우 서버(300)에 신호를 보내고, 서버(300)는 제어부(400)에 신호를 보내어 제어부(400)를 통해 전원부(700)를 작동시켜 산소 발생기(100)를 구동시키게 된다.
또, 상기 서버(300)는, 공기압력센서(140)와 센서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산소의 정보를 전송받아 수집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서버(300)는 도시 생략한 공기압력센서와 센서부(200)를 통해 측정되는 정보를 전송받아 제어부(400), 스크린부(500) 및 단말(600)에 신호를 보내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산소 발생기의 구성이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서버(300)로부터 신호를 받아 공급되는 산소가 기설정된 기준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산소 발생기(100)를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도시 생략한 공기압력센서를 통해 압축기의 현재 압축공기에 대한 압력 정보를 서버(300)에 전송하고, 서버(300)에서 압축공기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기준치보다 높다고 판단할 경우 제어부(400)에 신호를 보낸다.
제어부(400)는 이러한 신호를 전달받아 도시 생략한 공기 배출밸브를 작동시켜 압축기의 압축공기 압력을 낮추게 된다.
또, 상기 산소공급 유량 및 시간센서(210), 산소압력센서(220), 산소순도센서(230) 및 산소농도센서(250)를 통해 상기 산소 배출부(160)가 현재 주변으로 공급하고 있는 산소의 유량, 공급시간, 압력 및 순도 정보를 서버(300)에 전송하고, 서버(300)에서 산소가 기설정된 기준범위 내에서 공급되는지 판단한 후 산소 기준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될 경우 제어부(400)에 신호를 보낸다.
이후, 상기 제어부(400)는 서버(300)의 신호를 전달받아 산소 배출부(160) 및 전원부(700)를 제어하여 산소가 일정하게 주변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이 이외에도 제어부(400)는 스크린부(500) 및 단말(600)로 신호를 보내어 각 구성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스크린부(500) 및 단말(600)이 제어부(400)에 신호를 보내어 제어부(4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부(50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으로, 서버(300)에 수집된 산소의 정보를 표시하며, 표시된 정보를 기반으로 산소 발생기(100)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근거리에서 서버(300)에 전송하도록 산소 발생기(100)의 일측에 설치된다.
즉, 스크린부(500)에는 주변으로 공급되는 산소의 유량, 공급시간, 압력 및 순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숫자 또는 표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주변으로 산소가 제대로 공급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 상기 스크린부(500)는 산소 발생기(100)의 하우징(110) 상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스크린부(500)를 통해 제어부(400)에 신호를 보내어 전원부(700)를 임의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600)은 상기 스크린부(500)와 마찬가지로 서버(300)에 수집된 산소의 정보를 표시하며, 표시된 정보를 기반으로 산소 발생기(100)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서버(300)에 보낸다.
이 때, 상기 단말(600)은 산소 발생기(100)와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도 산소 발생기(100)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산소 발생기(100)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스크린부(500)보다 원거리에서 서버(300)에 전송하도록 인터넷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해 서버(300)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600)을 통해 사용자가 산소 발생기의 주변이 아닌 원거리에서도 산소 발생기(100)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결과를 통해 서버(300)에 신호를 보내어 제어부(400)를 통해 산소 발생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600)은 모바일 또는 태블릿PC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상기 전원부(700)는, 산소농도센서(250)를 통해 서버(300)에 전송된 주변 산소 농도가 제어부(400)에 전송되고, 제어부(400)를 통해 산소 발생기(100)의 전원을 작동시키는 구성이다.
즉, 산소농도센서(250)를 통해 주변 공기의 산소 농도가 낮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전원부(700)를 통해 산소 발생기(100)를 켜게 된다.
이와 반대로 주변 공기의 산소 농도가 충분하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온도센서(240)를 통해 측정하는 산소 발생기(100)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은 경우를 감지하여 산소 발생기(100)가 꺼지도록 전원부(700)가 작동될 수도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산소 발생기는 주변으로 산소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지 사용자가 확인하기 어려웠으며, 산소 발생기의 고장 또는 성능저하게 따른 산소 공급의 이상유무도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알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경우 산소 발생기(100)의 동작상태 및 산소발생 상태를 스크린부(500) 및 단말(600)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며, 사용자가 산소 발생기(100)와 먼 거리에서도 단말(600)를 통해 원격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인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의 AS 관리 방법의 일 실시례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의 AS 관리 방법(이하 'AS 관리 방법'이라 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부와 도면번호를 함께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AS 관리 방법은 전술한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의 AS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업체 등록 단계(S10), 기기 등록 단계(S20), 정보 수집 단계(S30), 진단 단계(S40), 알림 발송단계(S50) 및 AS 신청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업체 등록 단계(S10)에서는 AS 서비스를 제공하는 AS 담당업체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나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웹페이지를 통해 AS 자격 등록을 진행하는 단계이다.
AS 서비스를 제공하는 AS 담당업체는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를 통해 AS 자격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AS 담당업체는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기입하고 필요한 인증 또는 신원 확인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AS 자격 등록을 위한 요구사항 및 절차는 AS 담당업체의 정책에 따라 다를 수 있다.
AS 담당업체는 다양한 형태의 기업 또는 개인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AS(After Sales)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업체나 제품 제조사 자체에서 AS를 담당하는 부서가 AS 담당업체가 될 수 있다.
AS 담당업체는 산소 발생기(100)와 관련된 AS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의 AS 요청 및 문의를 처리하고 제품의 정비, 수리, 유지보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산소 발생기(100)의 성능 모니터링, 고장 진단, 예방 정비 등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림을 전송하여 AS 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
AS 담당업체는 산소 발생기 제조사와 협력 관계를 맺을 수도 있으며, 제조사가 직접 AS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독립적인 AS 서비스 업체가 존재하여 산소 발생기 제조사나 다른 기업과 계약을 체결하여 AS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AS 담당업체는 산소 발생기 제조사, AS 전문 업체, 유지보수 업체 등 다양한 형태의 기업이 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상황과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AS 담당업체의 등록 절차를 완료한 후, AS 담당업체는 산소 발생기(100)의 A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AS 담당업체는 AS 관리를 위해 서버(300)와의 연결을 설정하고, AS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전달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AS 담당업체는 이후 AS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기능과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기기 등록 단계(S2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산소 발생기(100)를 서버(300)에 등록하는 단계이다.
기기 등록 단계(S20)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산소 발생기(100)의 정보를 서버(300)에 등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를 통해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산소 발생기(100)의 일련번호, 모델 정보, 구매 일자 등을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산소 발생기(100)의 고유 식별자로 활용될 수 있다.
기기 등록 단계(S20)에서는 산소 발생기(100)와 서버(300) 사이의 연결이 설정될 수 있다. 등록된 산소 발생기(100)는 서버(300)와 통신하여 산소 발생 상태, 온도, 압력, 습도 등의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산소 발생기(100)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정보 수집단계(S30)는 서버(300)에서 산소 발생기(100)에 설치된 센서부(200)를 통해 취득된 산소 발생 상태, 온도, 압력, 습도 등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정보 수집단계(S30)에서는 산소 발생기(100)에 설치된 센서부(200)에서 측정된 다양한 정보가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200)는 산소 발생 상태, 온도, 압력, 습도 등을 감지하고 해당 정보를 수집하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부(200)는 산소 발생기(100)의 상태와 환경을 모니터링하며,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측정하여 서버(300)에 보고할 수 있다.
서버(300)는 정보 수집단계(S3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산소 발생기(100)의 동작 상태, 성능, 고장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서버(300)는 이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소 발생기(100)의 고장 상태를 판단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30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성 방식은 구체적인 시스템 요구사항이나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서버(300)는 물리적인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센터 또는 서버 룸에 위치한 물리적인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서버는 주로 대규모 데이터 처리나 높은 성능이 필요한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가상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가상 서버는 물리적인 서버에서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여 여러 개의 가상 환경을 구축하는 방식이다. 가상 서버는 자원 공유와 유연한 확장성을 제공하며, 하나의 물리적인 서버에서 여러 개의 가상 서버를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해 리소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as a Service, IaaS), 플랫폼(Platform as a Service, PaaS), 소프트웨어(Software as a Service, SaaS)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면 유연한 확장성과 운영 효율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분산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분산 서버는 여러 대의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작업을 분산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는 고가용성과 확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 서버, 웹 서버, 네트워크 장비 등의 다양한 구성 요소와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성은 시스템 요구사항, 사용자의 목적, 예산 등을 고려하여 설계되며, 확장성, 보안성, 성능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진단단계(S40)는 서버(300)에서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산소 발생기(100)의 고장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서버(300)에서 고장 상태를 진단하고, 해당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진단단계(S40)에서는 서버(300)가 수집한 산소 발생기(100)의 정보를 분석하여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수집된 정보에는 산소 발생 상태, 온도, 압력, 습도 등의 센서부(200)에서 측정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서버(300)는 수집된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산소 발생기(10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임계치나 패턴을 기준으로 하여 이상 징후나 동작 오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소 발생기(100)의 산소 발생 상태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거나 센서에서 이상한 값을 감지한 경우, 서버(300)는 이를 고장 징후로 판단할 수 있다.
고장 상태가 감지되면, 서버(300)는 AS 관리를 위한 알림을 발송할 수 있다. 이 알림은 AS 담당업체나 사용자의 단말(6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고장 진단 결과와 필요한 조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알림을 통해 AS 담당업체나 사용자는 빠르게 고장 상태를 알 수 있으며,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진단단계(S40)를 통해 예방 정비, 조기 대응, 원격 모니터링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산소 발생기의 성능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알림 발송단계(S50)는 서버(300)가 고장 진단 결과에 따라 등록된 AS 담당업체 또는 사용자의 단말(600)로 관리를 위한 알림을 발송하는 단계이다.
AS 관리를 위한 알림은 고장 진단 결과를 AS 담당업체나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지 메커니즘일 수 있다. 이 알림은 진단단계(S40)에서 산소 발생기(100)의 고장 상태가 감지될 경우 자동적으로 발송될 수 있다.
알림은 AS 담당업체나 사용자의 단말(6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메일, 푸시 알림, SMS 등의 방식을 통해 알림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알림에는 고장 진단 결과와 필요한 조치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AS 담당업체나 사용자는 산소 발생기(100)의 고장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AS 관리를 위한 알림을 통해 산소 발생기(100)의 고장 상태를 빠르게 인지하여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잠재적인 문제를 조기에 해결하고 비상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알림을 통해 AS 담당업체나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산소 발생기(1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는 원격에서 시스템 상태를 파악하고 필요한 관리를 수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AS 관리를 위한 알림은 AS 담당업체가 사용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고장 상태를 즉시 알고, AS 신청 등의 절차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알림 발송단계(S50)에서 AS 담당업체가 알림을 수신하면, 고장 상태로 진단된 산소 발생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단말로 자신의 정보를 다음과 같이 전달할 수 있다.
먼저, AS 담당업체는 고장 상태로 진단된 산소 발생기(10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정보에는 산소 발생기(100)의 고장 유형, 위치,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AS 담당업체는 이 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단말(600)로 자신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산소 발생기(100)의 고장 상태를 알리고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600)에서 AS 담당업체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확인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는 산소 발생기(100)의 고장 상태에 대한 인지와 관련된 안내 및 사용자의 AS 요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AS 담당업체는 고장 상태로 진단된 산소 발생기(10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사용자의 단말(600)로 이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산소 발생기(100)의 상태를 알 수 있으며,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빠른 대응과 AS 요청을 할 수 있어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해진다.
AS 신청단계(S60) 사용자가 AS 서비스를 신청하고 관리하기 위한 단계이다.
AS 신청단계(S60)에서는 사용자가 단말(6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AS 담당업체를 선정하고 AS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서버(300)에 수집된 정보를 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산소 발생기(100)의 제어와 AS를 신호를 근거리에서 서버(300)에 전송하는 스크린부(500)를 이용하여 AS 신청을 진행할 수 있다.
AS 신청단계(S60)는 사용자가 AS 서비스를 받기 위한 과정으로, 사용자는 산소 발생기(100)의 고장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고 AS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신청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신속하게 AS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시스템의 안정성과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S 신청단계(S60)는 AS 담당업체와 사용자 간의 소통과 협력을 원활하게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600)을 통해 AS 신청을 접수하고, AS 담당업체는 해당 신청을 확인하고 적절한 AS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AS 서비스의 효율성과 품질을 제고할 수 있다.
AS 신청단계(S60)에서 사용자는 AS(애프터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단말(6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AS 신청이 가능하다.
또한, 서버(300)는 산소 발생기(100)에서 수집한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단말(600)로 산소 발생기(100)의 고장 상태에 대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실시간으로 산소 발생기(100)의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해주고, 필요한 AS 조치를 요청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단말(6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산소 발생기(1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고장 상태를 감지하면 관련 알림을 단말(600)을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한 AS 조치도 단말(600)을 통해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단말(600) 또는 산소 공급기(100) 위치에 따라 AS 담당업체를 선정할 수 있다. AS 담당업체는 사용자 단말(600) 또는 산소 공급기(100)가 위치한 지역별 또는 거리별로 선정될 수 있다. 이는 지역 또는 거리에 따라 AS 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현장에서의 빠른 대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AS 비용 및 처리 우수성에 따른 우선적 알림을 받을 수 있다. 즉, AS 담당업체는 AS 비용과 처리 우수성에 따라 우선적으로 알림을 받을 수 있다. 이는 비용 절감과 효율적인 AS 서비스를 위해 우수한 성과를 보여준 업체에게 우선적인 알림을 전달함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자에서도 이와 같은 AS 담당업체로부터 정보를 받아 효율적이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을 통해 산소 발생기의 안전성, 신뢰성,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유지보수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비용과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산소 발생기
110 : 흡입부 120 : 압축기
130 : 수분필터 140 : 건조기
150 : 베드 모듈 151 : 베드
153 : 제올라이트 155 : 공급관
156 : 배출관 157 : 연결관
160 : 산소 배출부
170 : 분기관 171 : 오리피스조인트
F : 정화필터
200 : 센서부
210 :산소공급 유량 및 시간센서
220 : 산소압력센서 230 : 산소순도센서
240 : 온도센서 240 : 산소농도센서
300 : 서버
400 : 제어부
500 : 스크린부
600 : 단말
700 : 전원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산소를 발생시켜 주변으로 공급하는 산소 발생기;
    상기 산소 발생기에 설치되어 산소 발생 상태, 온도, 압력, 습도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되는 정보를 전송받아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산소 발생기에 대한 고장 상태를 판단하며, 고장 상태 진단시 AS 관리를 위한 알림을 발송하고 관리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산소 발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산소 발생기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상기 서버에 수집된 정보를 표시하며, 표시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산소 발생기의 제어와 AS를 신호를 근거리에서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스크린부; 및
    상기 서버에 수집된 정보를 표시하며, 표시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산소 발생기의 제어와 AS를 위한 신호를 상기 스크린부보다 원거리에서 상기 서버에 전송하도록 인터넷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해 상기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산소 발생기의 고장 여부에 대한 알림을 전달받고, 설치된 AS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AS 신청을 접수하고 관리하는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산소 발생기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
    제올라이트가 내장된 베드를 둘 이상 포함하여, 상기 압축된 공기로부터 질소를 흡착하여 공기 중의 산소 농도를 높이도록 설치되는 베드 모듈; 및
    상기 베드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산소 농도가 높아진 공기를 배출하는 산소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드 모듈의 어느 하나의 베드를 교체하는 중에도, 나머지 베드들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산소를 배출할 수 있고, 상기 베드 모듈을 통과한 공기의 일부를 분기시켜, 상기 산소 배출부를 통과하기 전의 공기와 오리피스조인트를 이용하여 혼합시키는 분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산소의 유량 및 산소 공급시간을 측정하는 산소공급 유량 및 시간센서;
    상기 공급되는 산소의 압력을 측정하는 산소압력센서;
    상기 공급되는 산소의 순도를 측정하는 산소순도센서;
    상기 산소 발생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주변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서버에 신호를 전송하는 산소농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의 AS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산소 발생기에 대한 AS 서비스를 제공하는 AS 담당업체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나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웹페이지를 통해 AS 자격 등록을 진행하는 업체 등록 단계;
    상기 산소 발생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산소 발생기를 서버에 등록하는 기기 등록 단계;
    서버에서 상기 산소 발생기에 설치된 센서부를 통해 취득된 산소 발생 상태, 온도, 압력, 습도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단계;
    서버에서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산소 발생기의 고장 상태를 판단하는 진단단계;
    서버에서 상기 산소 발생기의 고장 상태 감지시, 등록된 상기 AS 담당업체 및 사용자의 단말로 관리를 위한 알림을 발송하는 알림 발송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AS 담당업체를 선정하는 AS 신청단계를 포함하며,
    AS 담당업체는 산소 공급기가 위치한 지역별 또는 거리별로 선정됨과 동시에 AS 비용 및 처리 우수성에 따라 우선적으로 알림을 받으며,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가이드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제공된 가이드정보를 이용하여 AS 담당업체를 선정하는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의 AS 관리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AS 신청단계에서는,
    상기 서버에 수집된 정보를 표시하며, 표시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산소 발생기의 제어와 AS를 신호를 근거리에서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스크린부를 이용하여 신청 가능한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의 AS 관리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발송단계에서는,
    상기 AS 담당업체가 상기 알림을 수신하면, 고장 상태로 진단된 상기 산소 발생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단말로 자신의 정보를 전달하는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의 AS 관리 방법.
KR1020230089022A 2023-02-07 2023-07-10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 및 이의 AS 관리 방법 KR1026499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364 2023-02-07
KR20230016364 2023-0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984B1 true KR102649984B1 (ko) 2024-03-21

Family

ID=90472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9022A KR102649984B1 (ko) 2023-02-07 2023-07-10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 및 이의 AS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9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534B1 (ko) * 2002-10-11 2006-06-22 도우넷테크 주식회사 산소발생기용 통합형 베드 시스템
KR20190028402A (ko) * 2018-12-31 2019-03-18 주식회사 제일테크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
KR102389449B1 (ko) * 2021-07-23 2022-04-21 천상일 IoT 기술을 사용한 위치 기반의 냉장/냉동 설비 수리 매칭 시스템
KR20220082343A (ko) 2020-12-10 2022-06-1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IoT 기반의 양식장용 산소공급시스템
KR20220087963A (ko) * 2020-12-18 2022-06-2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IoT 기반의 산소공급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534B1 (ko) * 2002-10-11 2006-06-22 도우넷테크 주식회사 산소발생기용 통합형 베드 시스템
KR20190028402A (ko) * 2018-12-31 2019-03-18 주식회사 제일테크 공용건물 환기장치 통합 원격제어시스템
KR20220082343A (ko) 2020-12-10 2022-06-1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IoT 기반의 양식장용 산소공급시스템
KR20220087963A (ko) * 2020-12-18 2022-06-2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IoT 기반의 산소공급시스템
KR102389449B1 (ko) * 2021-07-23 2022-04-21 천상일 IoT 기술을 사용한 위치 기반의 냉장/냉동 설비 수리 매칭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183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ilding fire detection
CN106656664A (zh) 智慧城市用电安全监控管理系统
KR102290850B1 (ko) 다중 센서 데이터 수집 전파 장치 및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CN102859562B (zh) 改进的空气取样系统
CN104566838A (zh) 空调器的故障检测方法和装置
KR102649984B1 (ko) IoT 기능을 갖는 산소 발생기 및 이의 AS 관리 방법
CN106524357A (zh) 一种中央空调智能控制系统
EP3988788A2 (en) Fluid resistant display apparatus
KR101023800B1 (ko)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
JP2002032880A (ja) 設備機器の遠隔保守システム
CN107026759A (zh) 一种基于bmc的远程管理bbu模块的固件及其开发方法
CN206893184U (zh) 一种电气火灾与可燃气体报警控制器教学实验平台
CN206338892U (zh) 一种中央空调智能控制系统
KR20220082344A (ko) IoT 기반의 실내용 산소공급시스템
CN106371391A (zh) 一种scada系统与安防系统集成的控制系统
CN207907933U (zh) 一种服务器机房监控装置
KR101806362B1 (ko) 재난재해 제어 기능을 갖는 고효율 지열원 히트펌프 시스템
CN109167330A (zh) 一种智能型电气安全监控终端
CN102819253B (zh) 基于3g网络的牙科气路远程诊断监控系统
CN213122634U (zh) 一种智能楼控综合实验装置
CN212963998U (zh) 消防喷淋头检测装置
CN115331410A (zh) 用于自测试警报系统的电源排布结构
JP5853325B2 (ja) プラント監視制御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KR20040087995A (ko) 네트워크 fire 방재감시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CN208921182U (zh) 一种室内环境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