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433B1 - 차일드 시트 - Google Patents

차일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433B1
KR102348433B1 KR1020200069229A KR20200069229A KR102348433B1 KR 102348433 B1 KR102348433 B1 KR 102348433B1 KR 1020200069229 A KR1020200069229 A KR 1020200069229A KR 20200069229 A KR20200069229 A KR 20200069229A KR 102348433 B1 KR102348433 B1 KR 102348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se
lock member
pedestal
chi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1394A (ko
Inventor
다츠야 오야마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41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69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2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to the child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42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 B60N2/284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having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 B60N2/287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the back-rest being inclin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1Upholstery, padded or cushioned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차일드 시트(10)는, 받침대(20)와, 기울기를 변화 가능하게 받침대(20)에 지지된 베이스(60)와, 회전 가능하고 또한 떼어냄 가능하게 베이스(60)에 지지된 좌석(4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차일드 시트{CHILD SEAT}
본 발명은, 차일드 시트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 등에 유유아(乳幼兒)를 태우는 경우에 이용되는 차일드 시트에 대해서, 여러 가지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JP2002-301964A에는, 차량용 시트에 부착되는 받침대와, 받침대 상에 지지되는 좌석을 갖는 차일드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차일드 시트에서는, 좌석이 받침대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좌석의 받침대에 대한 기울기를 변경할(즉 리클라이닝시킬) 수 있다. 또, 좌석이 받침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의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유유아를 좌석 상에 앉힐 뿐만 아니라, 상기 진행 방향의 후방을 향하도록 하여 유유아를 좌석 상에 앉힐 수도 있다.
이러한 차일드 시트에 대한 니즈의 하나로서, 좌석이 받침대로부터 떼어냄 가능한 것이 있다.
본건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좌석이 받침대에 대하여 리클라이닝 및 회전 가능한 동시에, 받침대로부터 떼어냄 가능한 차일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일드 시트는,
받침대와,
기울기를 변화 가능하게 상기 받침대에 지지된 베이스와,
회전 가능하고 또한 떼어냄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지지된 좌석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좌석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미리 정한 떼어냄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베이스로부터 떼어냄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떼어냄 위치 이외의 상대 회전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베이스로부터 떼어냄 불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좌석의 한쪽이, 상기 좌석의 상기 베이스에 대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 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 돌출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좌석의 다른쪽이, 상기 지름 방향의 타측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이탈 방지 플랜지부에, 상기 이탈 방지 돌출부의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을 따른 폭보다도,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긴 폭을 갖는 절결부(切欠部) 또는 결손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 플랜지부는,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둘레상(狀)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좌석의 한쪽이, 간섭 위치와 해방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를 갖고,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간섭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로크 부재와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좌석의 다른쪽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좌석의 상기 베이스로부터의 떼어냄이 규제되며,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해방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좌석의 상기 베이스로부터의 떼어냄이 허용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좌석의 한쪽이, 간섭 위치와 해방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를 갖고,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좌석의 다른쪽이, 상기 좌석을 상기 베이스로부터 떼어낼 때의 이동 방향으로의 투영에 있어서 상기 간섭 위치에 있는 상기 로크 부재와 겹치고 또한 상기 해방 위치에 있는 상기 로크 부재로부터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된 규제부를 가지며,
상기 규제부와 상기 간섭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로크 부재에 의해, 상기 좌석의 상기 베이스로부터의 떼어냄이 규제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좌석을 상기 베이스로부터 떼어내는 힘이 가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좌석으로부터 이격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독립하여 이동 가능한 제 1 로크 부재 및 제 2 로크 부재를 갖고,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좌석의 한쪽은, 독립하여 조작 가능한 제 1 조작 부재 및 제 2 조작 부재와, 상기 제 1 조작 부재와 상기 제 1 로크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조작 부재의 동작을 상기 제 1 로크 부재에 전달하는 제 1 조작 전달 수단과, 상기 제 2 조작 부재와 상기 제 2 로크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조작 부재의 동작을 상기 제 2 로크 부재에 전달하는 제 2 조작 전달 수단을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좌석은, 상기 베이스에 지지된 좌석 프레임과, 상기 좌석 프레임에 지지된 쿠션 부재와, 상기 좌석 프레임의 상기 쿠션 부재를 사이에 끼우고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상기 제 1 조작 부재 및 상기 제 2 조작 부재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좌석은, 시트부(座部), 등부(背部) 및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 1 측부 및 제 2 측부를 갖고 또한 상기 베이스에 지지된 좌석 프레임과, 상기 좌석 프레임의 제 1 측부에 설치된 상기 제 1 조작 부재와, 상기 좌석 프레임의 제 2 측부에 설치된 상기 제 2 조작 부재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좌석의 한쪽은, 조작됨으로써 비(非)조작 위치로부터 조작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의 비조작 위치로부터 상기 조작 위치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간섭 위치로부터 상기 해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 전달 수단을 갖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좌석을 상기 베이스로부터 떼어낼 때에 있어서의 상기 좌석과 상기 베이스의 상대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비조작 위치로부터 상기 조작 위치로 이동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일드 시트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상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에 대하여 기울기가 변화 가능하며, 회전 가능하고 또한 분리 가능한 좌석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좌석이 받침대에 대하여 리클라이닝 및 회전 가능한 동시에, 받침대로부터 떼어냄 가능한 차일드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일드 시트의 일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시트 본체의 리클라이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차일드 시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시트 본체의 회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차일드 시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좌석과, 받침대 및 베이스를 분리시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좌석이 떼어냄 위치에 있는 차일드 시트의 상면도이다.
도 6은 좌석의 저면(底面)의 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좌석의 저면의 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을 따른 차일드 시트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B-B선을 따른 차일드 시트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단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비조작 위치와 조작 위치의 사이에서의 조작 부재의 상태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조작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받침대와 받침대에 지지된 베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나타내는 받침대와 베이스의 걸어맞춤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베이스의 좌석 홀딩부 및 좌석의 이탈 방지 돌출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일드 시트(차일드 카시트)(10)의 일실시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차일드 시트(1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차일드 시트(10)는, 차일드 시트 본체(11)로서, 차량(예를 들면 자동차)의 좌석(1)에 부착되는 받침대(20)와, 받침대(20) 상에 설치되고, 받침대(20)에 대하여 기울기가 변화 가능하며, 회전 가능하고 또한 분리 가능한 좌석(40)을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는, 차일드 시트(10)는, 차일드 시트 본체(11)로서, 받침대(20)와, 받침대(20) 상에 지지된 베이스(60)와, 베이스(60)에 지지된 좌석(40)을 갖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0)는, 추가로, 받침대(20)의 등면(背面)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부착구(100)를 갖고 있다. 부착구(100)가 차량의 좌석(1)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고정구(예를 들면 ISOFIX 방식 대응의 래치)에 접속됨으로써, 차일드 시트(10)는, 차량의 좌석(1)에 고정된다. 또, 차일드 시트(10)는, 차일드 시트 본체(11)의 받침대(2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서포트 레그(110)를 갖고 있다. 서포트 레그(110)는, 차량의 좌석(1)을 지지하는 차량의 바닥면(3)까지 연장되어, 차일드 시트 본체(11)(받침대(20))의 전방 부분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게 된다.
받침대(20)는, 차량의 좌석(1)의 시트부(1a) 상에 재치(裁置)되게 되는 기부(基部)(21)와, 기부(21)로부터 기립하는 동시에, 차량의 좌석(1)의 등부(1b)에 대면하게 되는 기립부(22)를 갖고 있다.
도 2는, 차일드 시트(10)의 리클라이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60)는, 기울기를 변화 가능하게 받침대(20)에 지지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60)는,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펼쳐지는 연직면을 따른 방향(sd)을 따라, 받침대(2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40)은, 좌석 프레임(41)과, 좌석 프레임(41)에 지지된 쿠션 부재(42)를 포함한다. 좌석 프레임(41)은, 베이스(60) 상에 지지된 시트부(43a)와, 시트부(43a)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등부(43b)와, 좌석(40)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 1 측부(44a) 및 제 2 측부(44b)를 갖고 있다. 또, 좌석 프레임(41)에는, 사용자가 좌석(40)을 옮길 때에 파지(把持)하기 위한 파지부(45)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좌석 프레임(41)은, 쿠션 부재(42)를 사이에 끼우고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 1 파지부(45a) 및 제 2 파지부(45b)를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 1 파지부(45a) 및 제 2 파지부(45b)는, 각각, 제 1 측부(44a) 및 제 2 측부(44b)에 설치되어 있다.
좌석 프레임(41)은, 베이스(60)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60)가 받침대(2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그 기울기가 변화하면, 좌석 프레임(41)도 베이스(60)와 함께 받침대(20)에 대하여 이동하여, 그 받침대(20)에 대한 기울기가 변화한다. 이것에 의해, 좌석(40)을 리클라이닝시킬 수 있다.
도 3은, 좌석 프레임(41)의 회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 프레임(41)은, 베이스(60)에 대하여, 연직면을 따른 회전축선(Rx)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좌석(40)을 베이스(60)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유아를,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하여 차일드 시트(10)에 착석시킬 수 있다. 이하에 있어서, 도 3에 실선으로 나타내어진 좌석(40)의 상태를, 좌석(40)의 「앞을 향한 상태」라고도 부르며, 도 3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어진 좌석(40)의 상태를, 좌석(40)의 「뒤를 향한 상태」라고도 부른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10)의 좌석(40)에 대한 「상」, 「하」, 「전」 및 「후」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는 경우, 좌석(40)에 착석한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상」, 「하」, 「전」 및 「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 차일드 시트(10)의 받침대(20) 및 베이스(60)에 대한 「상」, 「하」, 「전」 및 「후」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는 경우, 차량의 통상의 주행을 기준으로 한 「상」, 「하」, 「전」 및 「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4는, 좌석(40)과, 받침대(20) 및 베이스(60)를 분리시킨 상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 프레임(41)은, 베이스(60) 및 받침대(20)에 대하여 떼어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좌석 프레임(41)은, 베이스(60) 및 받침대(20)에 대하여 도 5에 실선 및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떼어냄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베이스(60) 및 받침대(20)로부터 떼어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좌석(40)에 착석한 유유아를, 좌석(40)과 함께 베이스(60) 및 받침대(20) 상으로부터 이동시킬 수 있다. 좌석(40)은, 좌석(40)의 베이스(60)에 대한 회전축선(Rx)을 따른 방향으로, 떼어냄 가능하다.
이하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 본체(11)의 각 부분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좌석(4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석(40)은, 쿠션 부재(42)를 지지하는 좌석 프레임(41)을 갖는다. 좌석 프레임(41)은, 시트부(43a), 등부(43b) 및,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 1 측부(44a) 및 제 2 측부(44b)를 갖는다. 제 1 측부(44a) 및 제 2 측부(44b)는, 각각, 좌석(4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쿠션 부재(42)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한다. 제 1 측부(44a)에는 제 1 파지부(45a)가, 제 2 측부(44b)에는 제 2 파지부(45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은, 좌석(40)의 저면의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8 및 도 9는, 각각, 도 7의 A-A선 및 B-B선을 따른 좌석(40)의 단면(斷面)의 일부를, 베이스(60) 및 받침대(20)의 단면과 함께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 프레임(41)은, 시트부(43a)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회전축선(Rx)의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돌출된 접속 볼록부(46)를 갖고 있다. 좌석(40)이 베이스(60)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접속 볼록부(46)는, 베이스(60)의 대응하는 접속 오목부(81) 내에 수용된다. 도 6 및 도 7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접속 볼록부(46)는, 전체로서, 회전축선(Rx)을 중심선으로 하는 원통상을 이루고 있다.
좌석(40)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40)의 베이스(60)에 대한 회전축선(Rx)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 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 돌출부(47)를 갖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탈 방지 돌출부(47)는, 접속 볼록부(46)의 내주면(46s)으로부터, 회전축선(Rx)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탈 방지 돌출부(47)가 미리 정한 상기 떼어냄 위치 이외의 상대 회전 위치에 있어서 베이스(60)와 간섭함으로써, 상대 회전 위치에 있는 좌석(40)이 베이스(60)로부터 떨어지는(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탈 방지 돌출부(47)는, 상기 내주면(46s)의 후측 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후측 이탈 방지 돌출부(47r)와, 상기 내주면(46s)의 전측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전측 이탈 방지 돌출부(47f)를 갖는다. 4개의 이탈 방지 돌출부(47)는, 후술하는 베이스(60)의 후측 돌출부(66r) 및 전측 돌출부(66f)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상의 접속 볼록부(46)의 내측(시트부(43a)의 저면의 접속 볼록부(46)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는, 시트부(43a)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회전축선(Rx)의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돌출된 내측 볼록부(48)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볼록부(48)는, 전체로서, 회전축선(Rx)을 중심선으로 하는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볼록부(48)의 내부는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다. 내측 볼록부(48)의 둘레면에는, 후술하는 로크 부재(49)를 삽입 통과하는 삽통공(揷通孔)(48h)이 형성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볼록부(48) 내에는, 좌석(40)의 베이스(60)로부터의 떼어냄을 규제하는 로크 부재(49)가 수용되어 있다. 로크 부재(49)는, 그 일부가 내측 볼록부(48)로부터 돌출되는 간섭 위치와, 그 전체가 내측 볼록부(48) 내에 배치되는 해방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 간섭 위치에 있는 로크 부재(49)가 베이스(60)와 접촉(간섭)함으로써, 좌석(40)의 베이스(60)로부터의 떼어냄이 규제된다. 그 한편으로, 로크 부재(49)가 상기 해방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좌석(40)의 베이스(60)로부터의 떼어냄이 허용된다. 이것에 의해, 의도치 않게 좌석(40)이 베이스(6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필요한 경우에는 좌석(40)을 베이스(60)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로크 부재(49)는, 제 1 로크 부재(49a) 및 제 2 로크 부재(49b)를 갖는다. 제 1 로크 부재(49a) 및 제 2 로크 부재(49b)는, 좌석(4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선(Rx)의 타측 및 일측에 배치되어 있다. 각 로크 부재(49a, 49b)는, 도 10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간섭 위치와,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해방 위치의 사이를, 좌석(40)의 폭 방향으로, 독립하여 이동 가능하다. 제 1 로크 부재(49a)는, 간섭 위치로부터 폭 방향의 일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내측 볼록부(48) 내의 해방 위치로 이동한다. 또, 제 2 로크 부재(49b)는, 간섭 위치로부터 폭 방향의 타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내측 볼록부(48) 내의 해방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각 로크 부재(49a, 49b)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가세(付勢) 수단에 의해, 폭 방향에 있어서의 타측 및 일측으로 가세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로크 부재(49)를 이동시키는 힘이 가해져 있지 않은 경우, 각 로크 부재(49)는, 간섭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40)에는, 로크 부재(49)를 간섭 위치로부터 해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 부재(50) 및 조작 전달 수단(51)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50)는, 조작됨으로써 비조작 위치로부터 조작 위치로 이동한다. 조작 전달 수단(51)은, 조작 부재(50)의 비조작 위치로부터 조작 위치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로크 부재(49)를 간섭 위치로부터 해방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시된 예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로크 부재(49a)에 대응하여, 제 1 조작 부재(50a) 및 제 1 조작 전달 수단(51a)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 2 로크 부재(49b)에 대응하여, 제 2 조작 부재(50b) 및 제 2 조작 전달 수단(51b)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조작 부재(50a) 및 제 2 조작 부재(50b)는, 제 1 로크 부재(49a) 및 제 2 로크 부재(49b)를, 각각 독립하여 조작 가능하다. 제 1 조작 부재(50a) 및 제 2 조작 부재(50b)는, 좌석 프레임(41)에 지지된 쿠션 부재(42)를 사이에 끼우고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쿠션 부재(42)의 양측으로부터 좌석(40)을 안정적으로 홀딩하면서, 조작 부재(50a, 50b)를 조작할 수 있다. 즉, 조작 부재(50a, 50b)를 조작하면서, 좌석(40)을 베이스(60)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용이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 1 조작 부재(50a) 및 제 2 조작 부재(50b)는, 각각, 좌석(4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조작 부재(50a) 및 제 2 조작 부재(50b)는, 각각, 제 1 파지부(45a) 및 제 2 파지부(45b)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좌석(40)을 차량의 측방을 향하는 위치(차량의 출입구와 대면하는 위치)까지 회전시킨 상태에서, 차량의 출입구를 통하여 좌석(40)을 차량 내로부터 꺼내는 것이 용이하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좌석(4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좌석(4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보다도 작다. 이 때문에, 좌석(40)을 차량의 출입구와 대면하는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차량의 출입구가 좁아도, 좌석(40)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각 조작 부재(50a, 50b)는, 좌석(40)을 베이스(60)로부터 떼어낼 때에 있어서의 좌석(40)과 베이스(60)의 상대 이동 방향(즉 회전축선(Rx)을 따른 방향 또는 상하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비조작 위치로부터 조작 위치로 이동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조작 부재(50a) 및 제 2 조작 부재(50b)는, 좌석(4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선(50x)의 주위를 회전운동(回動)하는 레버이다. 조작 부재(50a, 50b)는, 그 후단부를 상방으로 끌어올림으로써, 비조작 위치로부터 조작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조작 부재(50)의 비조작 위치로부터 조작 위치로의 이동 방향이 상기 상대 이동 방향을 따르고 있음으로써, 조작 부재(50)의 조작과, 좌석(40)을 베이스(60)로부터 떼어놓는 동작(상기 상대 이동 방향을 따라 들어 올리는 동작)을, 일련의 동작으로서 행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좌석(40)의 베이스(60)로부터의 떼어냄 조작이, 단순해진다.
제 1 조작 전달 수단(51a)은, 제 1 조작 부재(50a)와 제 1 로크 부재(49a)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 1 조작 부재(50a)의 동작을 제 1 로크 부재(49a)에 전달한다. 또, 제 2 조작 전달 수단(51b)은, 제 2 조작 부재(50b)와 제 2 로크 부재(49b)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 2 조작 부재(50b)의 동작을 제 2 로크 부재(49b)에 전달한다. 제 1 조작 전달 수단(51a) 및 제 2 조작 전달 수단(51b)은, 선재(線材)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조작 전달 수단(51)은, 좌석(40)의 시트부(43a) 내를 대략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각 조작 전달 수단(51)은, 좌석(40)의 제 1 측부(44a) 및 제 2 측부(44b) 내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도 7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조작 전달 수단(51a)의 한쪽의 단부(51ap)는, 제 1 조작 부재(50a)의 후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조작 전달 수단(51a)의 다른쪽의 단부(51aq)는, 제 1 로크 부재(49a)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 7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조작 전달 수단(51b)의 한쪽의 단부(51bp)는, 제 2 조작 부재(50b)의 후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조작 전달 수단(51b)의 다른쪽의 단부(51bq)는, 제 2 로크 부재(49b)에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로크 부재(49), 조작 부재(50) 및 조작 전달 수단(51)에 있어서는, 제 1 조작 부재(50a) 및 제 2 조작 부재(50b)를 조작하여 비조작 위치로부터 조작 위치로 이동시키면, 대응하는 조작 전달 수단(51)의 한쪽의 단부(51ap, 51bp)가 상방으로 끌어 올려져, 다른쪽의 단부(51aq, 51bq)가, 각각 폭 방향의 일측 및 타측으로 당겨진다. 이것에 의해, 로크 부재(49a, 49b)가, 각각 좌석(40)의 폭 방향의 일측 및 타측으로 이동하여, 내측 볼록부(48) 내의 비간섭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서로로부터 독립하여 조작되는 2조(組)의 로크 부재(49a, 49b) 및 조작 부재(50a, 50b)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의도치 않게 좌석(40)이 베이스(6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 1 조작 부재(50a) 및 제 2 조작 부재(50b)의 양쪽을 동시에 조작한 경우에만, 로크 부재(49a, 49b)의 양쪽이 비간섭 위치로 이동하여, 좌석(40)의 베이스(60)로부터의 떼어냄이 허용되기 때문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상의 접속 볼록부(46)의 내측에는, 회전 규제 볼록부(55)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규제 볼록부(55)는, 그 일부가 시트부(43a)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 위치와, 그 전체가 시트부(43a) 내에 수용된 수용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회전 규제 볼록부(55)는, 좌석(40)에 설치된 회전 규제 볼록부 조작 수단(56)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돌출 위치로부터 수용 위치로 이동한다. 돌출 위치에 있는 회전 규제 볼록부(55)가 후술하는 베이스(60)의 회전 규제 오목부(89)에 수용됨으로써, 좌석(40)의 베이스(60)에 대한 회전운동이 규제된다. 또한, 회전 규제 볼록부(55)는, 도시하지 않은 가세 수단에 의해 돌출 위치로 가세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 규제 볼록부 조작 수단(56)이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경우, 회전 규제 볼록부(55)는 돌출 위치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0 및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베이스(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받침대(20)에 지지된 베이스(6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베이스(60)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14는, 받침대(20)에 지지된 베이스(60)의 후술하는 레그부(62a) 및 걸어맞춤부(7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서는, 도시의 명확화를 위해, 베이스(60)의 한 쌍의 레그부(62a, 62b) 중의 한쪽(62b)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 도 15는, 도 8에 나타내는 차일드 시트(10)의 C-C선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베이스(60)의 후술하는 좌석 홀딩부(85)와 좌석(40)의 이탈 방지 돌출부(47)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60)는, 베이스 본체(61)와, 베이스 본체(61)와 함께 받침대(20)의 기부(21)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커버 부재(80)와, 커버 부재(80) 상에 배치되어 좌석(40)을 홀딩하는 좌석 홀딩부(85)를 갖는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본체(61)는, 베이스(6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된 한 쌍의 레그부(62a, 62b)와, 한 쌍의 레그부(62a, 62b)를 받침대(20)의 기부(21)에 걸어맞춤시키는 걸어맞춤부(70)와, 걸어맞춤부(70)를 조작하는 조작부(75)를 갖는다.
한 쌍의 레그부(62a, 62b)는, 커버 부재(80)의 하방에 배치되어 받침대(20)의 기부(21)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레그부 슬라이딩 접촉부(65)와, 레그부 슬라이딩 접촉부(65)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레그부 돌출부(66)를 갖는다. 레그부 돌출부(66)는, 각 레그부 슬라이딩 접촉부(65)의 후반부로부터 돌출되는 후측 돌출부(66r)와, 전반부로부터 돌출되는 전측 돌출부(66f)를 포함한다. 한 쌍의 레그부(62a, 62b)는, 베이스(6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선(Rx)의 양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4개의 레그부 돌출부(66)는, 회전축선(Rx)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 원 상에 배치된다.
각 레그부 돌출부(66r, 66f)는, 그 상단부로부터 회전축선(Rx)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연출부(延出部)(67r, 67f)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후측 돌출부(66r)는, 그 상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후방 연출부(67r)를 갖는다. 또, 전측 돌출부(66f)는, 그 상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전방 연출부(67f)를 갖는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연출부(67r) 및 전방 연출부(67f)와 레그부 슬라이딩 접촉부(65)의 상면의 사이에 좌석(40)의 이탈 방지 돌출부(47)가 배치됨으로써, 좌석(40)이 베이스(60)에 강고하게 홀딩된다.
한 쌍의 레그부(62a, 62b)는, 접속부(7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접속부(73)는, 레그부 슬라이딩 접촉부(65)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를 접속하는 주(主)접속부(73a)와, 레그부 슬라이딩 접촉부(65)의 전단부를 접속하는 전단부 접속축(73b)을 갖는다. 또, 한 쌍의 레그부(62a, 62b)는, 그 후단부에 있어서, 한 쌍의 레그부(62a, 62b)와 받침대(20)를 접속하는 후단부 접속축(73c)을 홀딩하고 있다.
도 14에 잘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70)는, 베이스(6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받침대(20)의 기부(21)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축(71)과, 걸어맞춤축(71)을 지지하는 지지부(72)를 갖는다.
지지부(72)는, 한 쌍의 레그부(62a, 62b)의 사이에 있어서, 주접속부(73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72)는, 베이스(6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선(72x)의 주위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72)는, 회전축선(72x)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단부(72m)와, 회전축선(72x)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단부(72n)를 갖는다. 지지부(72)의 상단부(72m)에는, 조작부(75)가 접속되어 있다. 또, 지지부(72)의 후단부(72n)에는, 삽통공(72h)이 설치되어 있다. 삽통공(72h)에는, 걸어맞춤축(71)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조작부(75)를 조작하여 지지부(72)의 상단부(72m)를 전방으로 당김으로써, 지지부(72)가 회전축선(72x)의 주위를 회전운동하여, 지지부(72)의 후단부(72n)가 걸어맞춤축(71)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지지부(72)는, 도시하지 않은 가세 수단에 의해 가세되어 있으며, 조작부(75)의 조작을 멈추면, 후단부(72n)가 걸어맞춤축(71)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걸어맞춤축(71)은, 베이스(6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후술하는 돌조부(突條部)(31a, 31b)와 걸어맞춤한다. 구체적으로는, 돌조부(31a, 31b)의 홈(32)에 수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축(71)은, 지지부(72)의 회전운동에 수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걸어맞춤축(71)은,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돌조부(31a, 31b)의 홈(32)으로부터 빠져 나온다. 이것에 의해, 걸어맞춤축(71)과 돌조부(31a, 31b)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걸어맞춤축(71)의 양단부는, 각 레그부 슬라이딩 접촉부(65)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설치된 걸어맞춤축 수용공(收容穴)(65h)에 수용되어 있다. 걸어맞춤축 수용공(65h)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걸어맞춤축(71)의 레그부(62a, 62b)에 대한 상하 방향의 이동이 허용된다. 그 한편으로, 걸어맞춤축(71)이 걸어맞춤축 수용공(65h)에 수용되어 있음으로써, 걸어맞춤축(71)의 레그부(62a, 62b)에 대한 전후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걸어맞춤축(71)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 레그부(62a, 62b)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조작부(75)는, 손잡이부(76)와, 손잡이부(76)와 지지부(72)를 접속하는 접속 수단(77)을 포함한다. 손잡이부(76)를 전방으로 당김으로써, 지지부(72)의 상단부(72m)가 전방으로 당겨져, 지지부(72)가 회전축선(72x)의 주위를 회전운동한다. 그리고, 지지부(72)의 후단부(72n)가 걸어맞춤축(71)과 함께 상승한다. 또, 손잡이부(76)를 더욱 전방으로 당김으로써, 지지부(72)와 함께, 걸어맞춤축(71) 및 한 쌍의 레그부(62a, 62b)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80)는, 좌석(40)의 접속 볼록부(46)를 수용하는 접속 오목부(81)를 갖는다. 접속 오목부(81)의 저면에는, 레그부(62a, 62b)의 후측 돌출부(66r) 및 전측 돌출부(66f)가 관통하는 돌출부 관통공(82)이 설치되어 있다. 후측 돌출부(66r) 및 전측 돌출부(66f)가 돌출부 관통공(82)에 통과됨으로써, 커버 부재(80)는 한 쌍의 레그부(62a, 62b)에 고정된다. 접속 오목부(81)의 전방에는, 조작부(75)의 손잡이부(76)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손잡이부용 관통공(83)이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 홀딩부(85)는, 커버 부재(80)의 돌출부 관통공(82)을 통과하여 커버 부재(80)의 저면의 상방으로 돌출된 후측 돌출부(66r) 및 전측 돌출부(66f)를 덮는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 홀딩부(85)의 중앙에는, 중앙 개구(86)가 설치되어 있다. 도 1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중앙 개구(86)는, 좌석(40)의 베이스(60)에 대한 회전축선(Rx)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10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중앙 개구(86)에는 좌석(40)의 내측 볼록부(48)가 수용된다. 그리고, 좌석(40)의 로크 부재(49)가 간섭 위치(도 10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있는 경우, 로크 부재(49)가 좌석 홀딩부(85)에 하방으로부터 접촉(간섭)하여, 좌석(40)의 베이스(60)로부터의 떼어냄이 규제된다. 한편, 로크 부재(49)가 해방 위치(도 10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있는 경우, 로크 부재(49)와 좌석 홀딩부(85)는 접촉(간섭)하지 않아, 좌석(40)의 베이스(60)로부터의 떼어냄이 허용된다. 즉, 좌석 홀딩부(85) 중, 중앙 개구(86)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상기 로크 부재(49)와의 접촉(간섭)에 의해 좌석(40)이 베이스(60)로부터 떼어내지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87)를 이루고 있다. 규제부(87)는, 좌석 홀딩부(85)가, 좌석(40)을 베이스(60)로부터 떼어낼 때의 이동 방향으로의 투영에 있어서 상기 간섭 위치에 있는 로크 부재(49)와 겹치고, 또한, 상기 해방 위치에 있는 로크 부재(49)로부터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규제부(87)와 상기 간섭 위치에 위치하는 로크 부재(49)의 간섭에 의해, 좌석(40)의 베이스(60)로부터의 떼어냄이 규제된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좌석(40)을 베이스(60)로부터 떼어내는 힘이 가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로크 부재(49)는, 규제부(87)로부터 이격하고 있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좌석(40)은, 로크 부재(49)와 좌석 홀딩부(85)의 접촉에 의해 베이스(60)에 홀딩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것은, 좌석(40)은, 그 이탈 방지 돌출부(47)와 상술한 연출부(67r, 67f)의 접촉, 또는, 이탈 방지 돌출부(47)와 후술하는 이탈 방지 플랜지부(88)의 접촉에 의해서도 홀딩되기 때문이다. 좌석(40)이 로크 부재(49)를 이용하여 베이스(60)에 홀딩되지 않는 경우, 로크 부재(49) 및 로크 부재(49)에 관련된 부재 및 기구로서 강도가 낮은 것을 채용할 수 있어, 이들 부재 및 기구의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한다.
도 8, 도 12, 도 13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 홀딩부(85)는, 또한, 회전축선(Rx)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 플랜지부(88)를 갖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탈 방지 플랜지부(88)는, 한 쌍의 레그부(62a, 62b)의 돌출부(66r, 66f)의 상면을 덮고 있다. 이탈 방지 돌출부(47)와 이탈 방지 플랜지부(88)를 간섭시킴으로써, 좌석(40)이 베이스(6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 방지 플랜지부(88)는, 회전축선(Rx)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rd)을 따라 둘레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좌석(40)의 베이스(60)에 대한 회전을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2, 도 13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탈 방지 플랜지부(88)에는, 절결부(88c)가 설치되어 있다. 도 15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절결부(88c)의 회전축선(Rx)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rd)을 따른 폭은, 좌석(40)의 이탈 방지 돌출부(47)의 상기 둘레 방향(rd)을 따른 폭보다도 길다. 이것에 의해, 좌석(40)을 베이스(60)로부터 떼어낼 때의 이동 방향으로의 투영에 있어서 좌석(40)의 이탈 방지 돌출부(47)와 절결부(88c)가 겹치는 위치(도 15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좌석(40)을 베이스(60)에 대하여 회전시키면, 이탈 방지 돌출부(47)와 이탈 방지 플랜지부(88)가 간섭하는 일 없이, 좌석(40)을 베이스(60)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탈 방지 플랜지부(88)는, 중앙 개구(86)의 후방에 설치된 후측 이탈 방지 플랜지부(88r), 및, 중앙 개구(86)의 전방에 설치된 전측 이탈 방지 플랜지부(88f)를 갖는다. 또, 절결부(88c)는, 상기 둘레 방향(rd)에 있어서의 후측 이탈 방지 플랜지부(88r)의 양단부와 전측 이탈 방지 플랜지부(88f)의 양단부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좌석(40)을 도 5에 실선 또는 파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베이스(60)에 대하여 회전시키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40)의 이탈 방지 돌출부(47)가 절결부(88c)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이탈 방지 플랜지부(88)에는, 절결부(88b) 대신 결손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즉, 이탈 방지 플랜지부(88)의 전측 이탈 방지 플랜지부(88f)를 포함하는 부분과 후측 이탈 방지 플랜지부(88r)를 포함하는 부분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도 된다. 이탈 방지 플랜지부(88)가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좌석(40)을 베이스(60)로부터 떼어낼 때의 이동 방향으로의 투영에 있어서 결손부와 좌석(40)의 이탈 방지 돌출부(47)가 겹치는 위치까지 좌석(40)을 베이스(60)에 대하여 회전시키면, 좌석(40)을 베이스(60)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좌석 홀딩부(85)의 상면에는, 좌석(40)의 회전 규제 볼록부(55)를 수용하는 회전 규제 오목부(89)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규제 오목부(89)에 회전 규제 볼록부(55)가 수용됨으로써, 좌석(40)의 베이스(60)에 대한 회전이 규제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좌석 홀딩부(85)는, 중앙 개구(86)의 전방에 형성된 전측 회전 규제 오목부(89f), 후방에 형성된 후측 회전 규제 오목부(89r), 및 베이스(60)의 폭 방향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2개의 측방 회전 규제 오목부(89a, 89b)를 갖는다.
전측 회전 규제 오목부(89f) 및 후측 회전 규제 오목부(89r)는, 다음과 같은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즉, 전측 회전 규제 오목부(89f)는, 좌석(40)의 회전 규제 볼록부(55)가 전측 회전 규제 오목부(89f)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 좌석(40)이 앞을 향한 상태에 있고, 좌석(40)을 베이스(60)로부터 떼어낼 때의 이동 방향으로의 투영에 있어서 좌석(40)의 이탈 방지 돌출부(47)가 레그부(62a, 62b)의 후측 돌출부(66r) 및 전측 돌출부(66f)와 겹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 후측 회전 규제 오목부(89r)는, 좌석(40)의 회전 규제 볼록부(55)가 후측 회전 규제 오목부(89r)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 좌석(40)이 뒤를 향한 상태에 있고, 좌석(40)을 베이스(60)로부터 떼어낼 때의 이동 방향으로의 투영에 있어서 좌석(40)의 이탈 방지 돌출부(47)가 레그부(62a, 62b)의 후측 돌출부(66r) 및 전측 돌출부(66f)와 겹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좌석(40)의 회전 규제 볼록부(55)가 전측 회전 규제 오목부(89f) 또는 후측 회전 규제 오목부(89r)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 좌석(40)은, 그 이탈 방지 돌출부(47)가 레그부(62a, 62b)의 후측 돌출부(66r) 및 전측 돌출부(66f)에 하방으로부터 접촉(간섭)함으로써, 레그부(62a, 62b)에(따라서 베이스(60)에) 강고하게 홀딩된다.
또, 측방 회전 규제 오목부(89a, 89b)는, 다음과 같은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즉, 측방 회전 규제 오목부(89a, 89b)는, 좌석(40)의 회전 규제 볼록부(55)가 측방 회전 규제 오목부(89a, 89b)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 좌석(40)이 베이스(60)의 폭 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한 상태로 좌석(40)이 떼어냄 위치에 있고(도 5 참조), 좌석(40)을 베이스(60)로부터 떼어낼 때의 이동 방향으로의 투영에 있어서 좌석(40)의 이탈 방지 돌출부(47)가 레그부(62a, 62b)의 후측 돌출부(66r) 및 전측 돌출부(66f)와 겹치지 않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좌석(40)의 회전 규제 볼록부(55)가 측방 회전 규제 오목부(89a, 89b)의 어느 쪽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 좌석(40)의 이탈 방지 돌출부(47)와 레그부(62a, 62b)의 후측 돌출부(66r) 및 전측 돌출부(66f)가 접촉(간섭)하는 일 없이, 좌석(40)을 베이스(60)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받침대(20)의 기부(21)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한다. 기부(21)는, 기부 본체(23a)와, 기부 본체(23a)를 덮는 커버 부재(23b)를 갖는다. 기부 본체(23a)는, 받침대(20)에 대한 베이스(60)의 슬라이딩을 규제하는 규제부(30)를 갖는다. 규제부(30)는, 기부 본체(23a)의 폭 방향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규제부(3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서로로부터 이격한 한 쌍의 돌조부(31a, 31b)를 포함한다. 각 돌조부(31a, 31b)에는, 받침대(2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축(71)을 상방으로부터 수용 가능한 홈(32)이 설치되어 있다. 홈(32)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받침대(20)에 대한 베이스(60)의 기울기를, 복수 단계에서 조절할 수 있다.
커버 부재(23b)의 폭 방향 중앙에는, 규제부(30)를 노출시키는 개구(24)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규제부(30)의 돌조부(31a, 31b)는, 베이스(60)의 걸어맞춤축(71)과 걸어맞춤할 수 있다.
기부 본체(23a)의 상면은, 규제부(30)의 폭 방향의 양측에, 좌석(40)의 레그부 슬라이딩 접촉부(65)를 지지하는 지지면(23as)을 포함한다. 도 8에 잘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지지면(23as)은, 만곡부 및 경사부를 포함하고, 베이스(60)에 대하여 좌석(40)이 전방으로 이동할수록 좌석(40)이 베이스(60)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도(傾倒)하게 되어 있다.
또한, 기부 본체(23a)의 상면에는, 규제부(30)의 후방에 있어서, 베이스(60)의 후단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홀딩하는 후방 홀딩부(25)가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방 홀딩부(25)에는, 베이스(60)의 레그부(62a, 62b)의 후단부 접속축(73c)을 삽입 통과하는 관통공(25h)이 설치되어 있다. 후단부 접속축(73c)이 관통공(25h)에 삽입 통과되어 있음으로써, 베이스(60)가 받침대(20)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관통공(25h)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관통공(25h)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베이스(60)는 받침대(2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베이스(60)가 전방으로 이동할수록, 베이스(60)의 후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한다(도 2 참조). 이러한 베이스(60)의 동작을 저해하지 않도록, 관통공(25h)은, 전방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규제부(30)의 전방이 되는 위치에 있어서, 커버 부재(23b)와 기부 본체(23a)의 사이에는, 베이스(60)의 전단부를 안내하는 전방 안내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버 부재(23b)의 개구(24)를 획성(劃成)하는 개구 둘레면(24s)에는, 규제부(30)의 전방이 되는 위치에 있어서 절결(27)이 설치되어 있다. 절결(27)에는, 베이스(60)의 전단부 접속축(73b)이 삽입 통과된다. 여기에서, 도시된 예에서는, 베이스(60)가 전방으로 이동할수록, 베이스(60)의 전단부는 상방으로 이동한다(도 2 참조). 이와 같은 베이스(60)의 동작을 저해하지 않도록, 절결(27)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전방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받침대(20)에 대하여 베이스(60)가 전방으로 이동할수록, 베이스(60)의 후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또한, 베이스(60)의 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한다(도 2 참조). 따라서, 베이스(60)를 받침대(2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베이스(60)의 받침대(20)에 대한 기울기가 변화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14를 참조하여,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차일드 시트(10)의 리클라이닝 조작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좌석(40)을, 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리클라이닝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60)의 걸어맞춤축(71)은, 받침대(20)의 기부(21)에 설치된 돌조부(31a, 31b)의 가장 후방에 위치하는 홈(32)에 수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60)는, 도 2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서, 받침대(20)에 대한 전후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부(75)의 손잡이부(76)를 전방으로 당기면, 지지부(72)가 회전운동하여 걸어맞춤축(71)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홈(32) 내로부터 빠져 나온다. 그리고, 손잡이부(76)를 더욱 전방으로 당기면, 지지부(72)와 함께, 걸어맞춤축(71) 및 한 쌍의 레그부(62a, 62b)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60)와 함께, 베이스(60)에 지지된 좌석(40)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받침대(20)의 후방 홀딩부(25) 및 전방 안내부(26)에 의해 베이스(60)의 레그부(62a, 62b)가 안내됨으로써, 베이스(60)가 좌석(40)과 함께 받침대(20)에 대하여 경도한다. 좌석(40)의 받침대(20)에 대한 기울기가 원하는 기울기가 되면, 조작부(75)의 조작을 종료한다. 이것에 의해, 지지부(72)가 회전운동하여 걸어맞춤축(71)이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걸어맞춤축(71)은, 돌조부(31a, 31b)의 홈(32) 내에 수용된다. 이 결과, 베이스(60) 및 좌석(40)이 받침대(20)에 대하여 경도한 채로, 받침대(20)에 대한 베이스(60) 및 좌석(40)의 전후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한편, 받침대(20)에 대하여 경도한 좌석(40)을 기립시키려면, 이하의 조작을 행하면 된다. 즉, 조작부(75)의 손잡이부(76)를 전방으로 당겨, 지지부(72)를 회전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걸어맞춤축(71)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홈(32) 내로부터 빠져 나온다. 이 상태에서, 베이스(60)를 후방으로 밀어 좌석(40)과 함께 이동시킨다. 이때, 받침대(20)의 후방 홀딩부(25) 및 전방 안내부(26)에 의해 베이스(60)의 레그부(62a, 62b)가 안내됨으로써, 베이스(60)가 좌석(40)과 함께 받침대(20)에 대하여 기립한다. 좌석(40)의 받침대(20)에 대한 기울기가 원하는 기울기가 되면, 조작부(75)의 조작을 종료한다. 이것에 의해, 지지부(72)가 회전운동하여 걸어맞춤축(71)이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걸어맞춤축(71)은, 돌조부(31a, 31b)의 홈(32) 내에 수용된다. 이 결과, 베이스(60) 및 좌석(40)이 받침대(20)에 대하여 기립한 채로, 받침대(20)에 대한 베이스(60) 및 좌석(40)의 전후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15를 참조하여, 받침대(20)에 대한 좌석(40)의 회전 조작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좌석(40)을 앞을 향한 상태로부터 뒤를 향한 상태로 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좌석(40)의 회전 규제 볼록부(55)는, 베이스(60)의 전측 회전 규제 오목부(89f)에 수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좌석(40)의 베이스(60) 및 받침대(20)에 대한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로크 부재(49)는, 베이스(60)의 규제부(87)와 간섭하는 간섭 위치에 있다.
좌석(40)을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 규제 볼록부 조작 수단(56)을 조작하여, 회전 규제 볼록부(55)를 상방으로 끌어올린다. 이것에 의해, 회전 규제 볼록부(55)는, 전측 회전 규제 오목부(89f)로부터 빠져 나온다. 그리고, 좌석(40)을 베이스(60)에 대하여 회전축선(Rx)의 주위로 회전시킨다. 좌석(40)을 앞을 향한 상태로부터 뒤를 향한 상태로 회전시키는 사이, 좌석(40)은, 그 이탈 방지 돌출부(47)가 좌석(40)을 베이스(60)로부터 떼어낼 때의 이동 방향으로의 투영에 있어서 좌석 홀딩부(85)의 절결부(88c)와 겹치는 위치를 통과한다(도 15 참조). 즉, 좌석(40)은, 상술한 떼어냄 위치를 통과한다. 그러나, 간섭 위치에 있는 로크 부재(49)와 규제부(87)의 간섭에 의해, 좌석(40)이 베이스(60)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좌석(40)이 뒤를 향한 상태가 되면, 회전 규제 볼록부 조작 수단(56)의 조작을 종료한다. 이것에 의해, 회전 규제 볼록부(55)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후측 회전 규제 오목부(89r)에 수용된다. 이 결과, 좌석(40)의 베이스(60) 및 받침대(20)에 대한 회전운동이 규제된다.
또한, 좌석(40)을 뒤를 향한 상태로부터 앞을 향한 상태로 하려면, 상술한 회전 조작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면 된다.
다음으로, 도 5, 도 10, 도 11 및 도 15를 참조하여, 좌석(40)의 받침대(20)에 대한 떼어냄 조작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상술한 회전 조작과 마찬가지의 조작에 의해, 좌석(40)을 회전시켜, 좌석(40)을 도 5에 나타내는 떼어냄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40)의 이탈 방지 돌출부(47)가, 좌석(40)을 베이스(60)로부터 떼어낼 때의 이동 방향으로의 투영에 있어서 좌석 홀딩부(85)의 절결부(88c)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조작 부재(50)를 도 11에 나타내는 비조작 위치로부터 조작 위치로 이동시켜, 로크 부재(49)를 도 10에 나타내는 간섭 위치로부터 해방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좌석(40)을 베이스(60) 및 받침대(20)로부터 떼어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좌석(40)을 회전축선(Rx)의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베이스(60)로부터 당겨 뺀다.
또한, 좌석(40)을 베이스(60)에 부착하려면, 상술한 떼어냄 조작과 반대의 조작을 행하면 된다.
이상, 상술한 예에서는, 이탈 방지 돌출부(47)가 좌석(40)에 설치되고, 이탈 방지 플랜지부(88)가 베이스(60)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해 왔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탈 방지 돌출부(47)가 베이스(60)에 설치되고, 이탈 방지 플랜지부(88)가 좌석(40)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 이탈 방지 돌출부(47)는, 회전축선(Rx)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좌석(40)이 로크 부재(49)를 갖고, 베이스(60)가 규제부(87)를 갖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해 왔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베이스(60)가 로크 부재(49)를 갖고, 좌석(40)이 규제부(87)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 로크 부재(49)와 좌석(40)의 접촉(간섭)에 의해, 좌석(40)의 베이스(60)로부터의 떼어냄이 규제된다. 또한, 베이스(60)가 로크 부재(49)를 갖고, 좌석(40)이 규제부(87)를 갖는 경우, 조작 부재(50)는, 베이스(60)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제 1 조작 부재(50a) 및 제 2 조작 부재(50b)가, 좌석(40)의 폭 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해 왔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조작 부재(50a) 및 제 2 조작 부재(50b)는, 예를 들면, 좌석(40)의 전후 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차일드 시트(10)는, 받침대(20)와, 기울기를 변화 가능하게 받침대(20)에 지지된 베이스(60)와, 회전 가능하고 또한 떼어냄 가능하게 베이스(60)에 지지된 좌석(40)을 구비한다. 이러한 차일드 시트(10)에 의하면, 좌석(40)을 받침대(20)에 대하여 리클라이닝 및 회전시킬 수 있고, 또, 베이스(60) 및 받침대(20)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좌석(40)은, 베이스(60)에 대하여 미리 정한 떼어냄 위치에 있는 경우에 베이스(60)로부터 떼어냄 가능하며, 베이스(60)에 대하여 상기 떼어냄 위치 이외의 상대 회전 위치에 있는 경우에 베이스(60)로부터 떼어냄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좌석(40)을 떼어냄 위치에 배치하지 않는 한, 좌석(40)은 베이스(60)로부터 떨어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의도치 않게 좌석(40)이 베이스(6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필요한 경우에는 좌석(40)을 베이스(60)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베이스(60) 및 좌석(40)의 한쪽이, 좌석(40)의 베이스(60)에 대한 회전축선(Rx)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 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 돌출부(47)를 갖고, 베이스(60) 및 좌석(40)의 다른쪽이, 상기 지름 방향의 타측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 플랜지부(88)를 갖는다. 그리고, 이탈 방지 플랜지부(88)에, 이탈 방지 돌출부(47)의 상기 회전축선(Rx)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rd)을 따른 폭보다도, 상기 둘레 방향(rd)을 따라 긴 폭을 갖는 절결부(88c) 또는 결손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좌석(40)이 상기 상대 회전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이탈 방지 돌출부(47)와 이탈 방지 플랜지부(88)의 간섭에 의해 좌석(40)이 베이스(6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좌석(40)이 떼어냄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절결부(88c) 또는 결손부를 이용해 이탈 방지 돌출부(47)와 이탈 방지 플랜지부(88)와의 간섭을 회피하여 좌석(40)을 베이스(60)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이탈 방지 플랜지부(88)는, 상기 둘레 방향(rd)을 따라 둘레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좌석(40)의 베이스(60)에 대한 회전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베이스(60) 및 좌석(40)의 한쪽이, 간섭 위치와 해방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49)를 갖고 있다. 그리고, 로크 부재(49)가 상기 간섭 위치에 위치할 때에, 로크 부재(49)와 베이스(60) 및 좌석(40)의 다른쪽과의 접촉에 의해, 좌석(40)의 베이스(60)로부터의 떼어냄이 규제되고, 로크 부재(49)가 상기 해방 위치에 위치할 때에, 좌석(40)의 베이스(60)로부터의 떼어냄이 허용된다. 이것에 의해, 로크 부재(49)를 상기 해방 위치에 배치하지 않는 한, 좌석(40)은 베이스(60)로부터 떨어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의도치 않게 좌석(40)이 베이스(6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필요한 경우에는 좌석(40)을 베이스(60)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60) 및 좌석(40)의 한쪽이, 상기 홀딩 위치와 상기 해방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49)를 갖고 있다. 또, 베이스(60) 및 좌석(40)의 다른쪽이, 좌석(40)을 베이스(60)로부터 떼어낼 때의 이동 방향으로의 투영에 있어서 상기 간섭 위치에 있는 로크 부재(49)와 겹치고 또한 상기 해방 위치에 있는 로크 부재(49)로부터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된 규제부(87)를 갖고 있다. 그리고, 규제부(87)와 상기 간섭 위치에 위치하는 로크 부재(49)의 간섭에 의해, 좌석(40)의 베이스(60)로부터의 떼어냄이 규제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좌석(40)을 베이스(60)로부터 떼어내는 힘이 가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로크 부재(49)는, 베이스(60) 및 좌석(40)으로부터 이격하고 있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좌석(40)은, 로크 부재(49)와 베이스(60) 및 좌석(40)과의 접촉에 의해 베이스(60)에 홀딩되어 있지 않아도 되며, 다른 부재에 의해 홀딩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로크 부재(49) 및 로크 부재(49)에 관련된 부재 및 기구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로크 부재(49)는, 독립하여 이동 가능한 제 1 로크 부재(49a) 및 제 2 로크 부재(49b)를 갖는다. 그리고, 베이스(60) 및 좌석(40)의 한쪽은, 독립하여 조작 가능한 제 1 조작 부재(50a) 및 제 2 조작 부재(50b)와, 제 1 조작 부재(50a)와 제 1 로크 부재(49a)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 1 조작 부재(50a)의 동작을 제 1 로크 부재(49a)에 전달하는 제 1 조작 전달 수단(51a)과, 제 2 조작 부재(50b)와 제 2 로크 부재(49b)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 2 조작 부재(50b)의 동작을 제 2 로크 부재(49b)에 전달하는 제 2 조작 전달 수단(51b)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제 1 조작 부재(50a) 및 제 2 조작 부재(50b)의 양쪽을 조작한 경우에만, 좌석(40)의 베이스(60)로부터의 떼어냄이 허용된다. 따라서, 의도치 않게 좌석(40)이 베이스(60)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좌석(40)은, 베이스(60)에 지지된 좌석 프레임(41)과, 좌석 프레임(41)에 지지된 쿠션 부재(42)와, 좌석 프레임(41)의 쿠션 부재(42)를 사이에 끼우고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 1 조작 부재(50a) 및 제 2 조작 부재(50b)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좌석(40)을 쿠션 부재(42)의 양측으로부터 홀딩하면서, 조작 부재(50a, 50b)를 조작할 수 있다. 즉, 조작 부재(50a, 50b)를 조작하면서, 좌석(40)을 베이스(60)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석(40)은, 시트부(43a), 등부(43b) 및 서로에게 대향하여 설치된 제 1 측부(44a) 및 제 2 측부(44b)를 갖고 또한 베이스(60)에 지지된 좌석 프레임(41)과, 좌석 프레임(41)의 제 1 측부(44a)에 설치된 제 1 조작 부재(50a)와, 좌석 프레임(41)의 제 2 측부(44b)에 설치된 제 2 조작 부재(50b)를 갖는다. 이 경우, 좌석(40)을 차량의 출입구와 대면하는 위치까지 회전시킨 상태로, 차량의 밖에서 상기 출입구를 통하여 좌석(40)을 꺼내는 것이 용이하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좌석(4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좌석(4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보다도 작다. 이 때문에, 좌석(40)을 차량의 출입구와 대면하는 위치까지 회전시킨 상태로 하면, 차량의 출입구가 좁아도, 좌석(40)을 차 내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베이스(60) 및 좌석(40)의 한쪽은, 조작됨으로써 비조작 위치로부터 조작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 부재(50)와, 조작 부재(50)의 상기 비조작 위치로부터 상기 조작 위치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로크 부재(49)를 상기 간섭 위치로부터 상기 해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 전달 수단(51)을 갖는다. 조작 부재(50)는, 좌석(40)을 베이스(60)로부터 떼어낼 때의 좌석(40)과 베이스(60)의 상대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비조작 위치로부터 상기 조작 위치로 이동한다. 이 경우, 조작 부재(50)의 조작과, 좌석(40)을 베이스(60)로부터 떼어놓는 동작(상기 상대 이동 방향을 따라 들어 올리는 동작)을, 일련의 동작으로서 행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좌석(40)의 베이스(60)로부터의 떼어냄 조작이, 단순해진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차일드 시트(10)는, 받침대(20)와, 받침대(20) 상에 설치되고, 받침대(20)에 대하여 기울기가 변화 가능하며, 회전 가능하고 또한 분리 가능한 좌석(40)을 갖는다. 이와 같은 차일드 시트(10)에 의하면, 좌석(40)을 받침대(20)에 대하여 리클라이닝 및 회전시킬 수 있고, 또, 받침대(20)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 대한 몇 가지의 변형예를 설명해 왔지만, 당연히, 복수의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2)

  1. 받침대와,
    기울기를 변화 가능하게 상기 받침대에 지지된 베이스와,
    회전 가능하고 또한 떼어냄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지지된 좌석을 구비하고,
    상기 좌석은, 상기 베이스에 지지된 좌석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좌석 프레임은, 시트부 및 상기 시트부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볼록부를 갖고,
    상기 좌석은, 간섭 위치와 해방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를 가지되, 상기 볼록부에 상기 로크 부재가 수용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로크 부재는, 그 일부가 상기 볼록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간섭 위치와, 그 전체가 상기 볼록부 내에 배치되는 상기 해방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고,
    상기 로크 부재는, 독립하여 이동 가능한 제 1 로크 부재 및 제 2 로크 부재를 가지며,
    상기 좌석은, 독립하여 조작 가능한 제 1 조작 부재 및 제 2 조작 부재와, 상기 제 1 조작 부재와 상기 제 1 로크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조작 부재의 동작을 상기 제 1 로크 부재에 전달하는 제 1 조작 전달 수단과, 상기 제 2 조작 부재와 상기 제 2 로크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조작 부재의 동작을 상기 제 2 로크 부재에 전달하는 제 2 조작 전달 수단을 갖는, 차일드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미리 정한 떼어냄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베이스로부터 떼어냄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떼어냄 위치 이외의 상대 회전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베이스로부터 떼어냄 불가능하게 되어 있는, 차일드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좌석의 한쪽이, 상기 좌석의 상기 베이스에 대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 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 돌출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좌석의 다른쪽이, 상기 지름 방향의 타측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이탈 방지 플랜지부에, 상기 이탈 방지 돌출부의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을 따른 폭보다도,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긴 폭을 갖는 절결부(切欠部) 또는 결손부가, 설치되어 있는, 차일드 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 플랜지부는,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둘레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차일드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간섭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로크 부재와 상기 베이스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좌석의 상기 베이스로부터의 떼어냄이 규제되며,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해방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좌석의 상기 베이스로부터의 떼어냄이 허용되는, 차일드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가, 상기 좌석을 상기 베이스로부터 떼어낼 때의 이동 방향으로의 투영에 있어서 상기 간섭 위치에 있는 상기 로크 부재와 겹치고 또한 상기 해방 위치에 있는 상기 로크 부재로부터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된 규제부를 가지며,
    상기 규제부와 상기 간섭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로크 부재에 의해, 상기 좌석의 상기 베이스로부터의 떼어냄이 규제되는, 차일드 시트.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을 상기 베이스로부터 떼어내는 힘이 가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좌석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는, 차일드 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은, 상기 좌석 프레임과, 상기 좌석 프레임에 지지된 쿠션 부재와, 상기 좌석 프레임의 상기 쿠션 부재를 사이에 끼우고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상기 제 1 조작 부재 및 상기 제 2 조작 부재를 갖는, 차일드 시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은, 상기 시트부, 등부 및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 1 측부 및 제 2 측부를 갖는 상기 좌석 프레임과, 상기 좌석 프레임의 제 1 측부에 설치된 상기 제 1 조작 부재와, 상기 좌석 프레임의 제 2 측부에 설치된 상기 제 2 조작 부재를 갖는, 차일드 시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작 부재 및 상기 제 2 조작 부재는, 조작됨으로써 비조작 위치로부터 조작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 1 조작 전달 수단 및 상기 제 2 조작 전달 수단은, 각각, 상기 제 1 조작 부재 및 상기 제 2 조작 부재의 비조작 위치로부터 상기 조작 위치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제 1 로크 부재 및 상기 제 2 로크 부재를 상기 간섭 위치로부터 상기 해방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 1 조작 부재 및 상기 제 2 조작 부재는, 상기 좌석을 상기 베이스로부터 떼어낼 때에 있어서의 상기 좌석과 상기 베이스의 상대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비조작 위치로부터 상기 조작 위치로 이동하는, 차일드 시트.
  11. 받침대와,
    기울기를 변화 가능하게 상기 받침대에 지지된 베이스와,
    회전 가능하고 또한 떼어냄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지지된 좌석을 구비하고,
    상기 좌석은, 상기 베이스에 지지된 좌석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좌석 프레임은, 시트부 및 상기 시트부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볼록부를 갖고,
    상기 좌석은, 간섭 위치와 해방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를 가지되, 상기 볼록부에 상기 로크 부재가 수용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로크 부재는, 그 일부가 상기 볼록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간섭 위치와, 그 전체가 상기 볼록부 내에 배치되는 상기 해방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고,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간섭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로크 부재와 상기 베이스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좌석의 상기 베이스로부터의 떼어냄이 규제되며,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해방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좌석의 상기 베이스로부터의 떼어냄이 허용되고,
    상기 좌석은, 조작됨으로써 비조작 위치로부터 조작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의 비조작 위치로부터 상기 조작 위치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간섭 위치로부터 상기 해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 전달 수단을 가지며,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좌석을 상기 베이스로부터 떼어낼 때에 있어서의 상기 좌석과 상기 베이스의 상대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비조작 위치로부터 상기 조작 위치로 이동하는, 차일드 시트.
  12. 받침대와,
    기울기를 변화 가능하게 상기 받침대에 지지된 베이스와,
    회전 가능하고 또한 떼어냄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지지된 좌석을 구비하고,
    상기 좌석은, 상기 베이스에 지지된 좌석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좌석 프레임은, 시트부 및 상기 시트부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볼록부를 갖고,
    상기 좌석은, 간섭 위치와 해방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를 가지되, 상기 볼록부에 상기 로크 부재가 수용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로크 부재는, 그 일부가 상기 볼록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간섭 위치와, 그 전체가 상기 볼록부 내에 배치되는 상기 해방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가, 상기 좌석을 상기 베이스로부터 떼어낼 때의 이동 방향으로의 투영에 있어서 상기 간섭 위치에 있는 상기 로크 부재와 겹치고 또한 상기 해방 위치에 있는 상기 로크 부재로부터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된 규제부를 가지며,
    상기 규제부와 상기 간섭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로크 부재에 의해, 상기 좌석의 상기 베이스로부터의 떼어냄이 규제되고,
    상기 좌석은, 조작됨으로써 비조작 위치로부터 조작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의 비조작 위치로부터 상기 조작 위치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간섭 위치로부터 상기 해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 전달 수단을 가지며,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좌석을 상기 베이스로부터 떼어낼 때에 있어서의 상기 좌석과 상기 베이스의 상대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비조작 위치로부터 상기 조작 위치로 이동하는, 차일드 시트.
KR1020200069229A 2019-06-10 2020-06-08 차일드 시트 KR1023484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07831A JP6930751B2 (ja) 2019-06-10 2019-06-10 チャイルドシート
JPJP-P-2019-107831 2019-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394A KR20200141394A (ko) 2020-12-18
KR102348433B1 true KR102348433B1 (ko) 2022-01-07

Family

ID=71894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229A KR102348433B1 (ko) 2019-06-10 2020-06-08 차일드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750743A1 (ko)
JP (2) JP6930751B2 (ko)
KR (1) KR102348433B1 (ko)
TW (1) TWI7672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82712A (zh) * 2021-09-10 2023-03-14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旋转侧向定位机构及儿童载具
KR200497819Y1 (ko) * 2022-05-12 2024-03-08 이지영 시트 회전 제어가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24516A1 (en) 2007-03-15 2008-09-18 Vegt Herman Van Der Device for Mounting a Child Seat in a Car and a Child Seat
US20120267925A1 (en) 2004-05-17 2012-10-25 Orbit Baby, Inc. Modular child restraint system
WO2019053102A1 (de) 2017-09-14 2019-03-21 Cybex Gmbh Kindersitzsystem, umfassend ein sitzelement sowie eine auf einem kraftfahrzeugsitz anbringbare basi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8241B2 (ja) 2001-04-05 2010-11-24 コンビ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US8419129B2 (en) * 2008-07-02 2013-04-16 Combi Corporation Child car seat
JP5436804B2 (ja) 2008-07-02 2014-03-05 コンビ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およびサポートレッグ
JP6510750B2 (ja) * 2013-10-08 2019-05-08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車両座席用チャイルドシート
US10322651B2 (en) * 2016-06-14 2019-06-18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safety seat
TWM535661U (zh) * 2016-10-14 2017-01-21 Li-Zhen Chen 兒童安全座椅
DE102018010420B3 (de) * 2017-03-17 2022-11-03 Wonderland Switzerland Ag Kindersicherheitssitz
CN107187344B (zh) * 2017-07-14 2023-05-30 浙江迈嘉婴童用品有限公司 角度调节结构及儿童安全座椅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67925A1 (en) 2004-05-17 2012-10-25 Orbit Baby, Inc. Modular child restraint system
US20080224516A1 (en) 2007-03-15 2008-09-18 Vegt Herman Van Der Device for Mounting a Child Seat in a Car and a Child Seat
WO2019053102A1 (de) 2017-09-14 2019-03-21 Cybex Gmbh Kindersitzsystem, umfassend ein sitzelement sowie eine auf einem kraftfahrzeugsitz anbringbare ba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00382A (zh) 2021-01-01
JP2020199861A (ja) 2020-12-17
EP3750743A1 (en) 2020-12-16
TWI767239B (zh) 2022-06-11
KR20200141394A (ko) 2020-12-18
JP6930751B2 (ja) 2021-09-01
JP7016561B2 (ja) 2022-02-07
JP2021138372A (ja)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433B1 (ko) 차일드 시트
JP7083506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US8419129B2 (en) Child car seat
EP2308716A1 (en) Child seat
US10272801B2 (en) Seat for vehicle
US5052750A (en) Tiltable auxiliary chair having locking means and pivotal seat belt engagement plate for forward and rearward facing
KR101204559B1 (ko) 시트 및 시트 제어 방법
US8336942B2 (en) Structure for storing seat for automobile
JP5306727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US7270361B2 (en) Vehicle seat
JP7031883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6174315B2 (ja) 車両座席用チャイルドシート
JP5933024B2 (ja) スライドレール機構及び車両用シート
GB2427130A (en) Vehicle seat with detachable child seat
JP5629110B2 (ja) 座席付手押し車
JP2020189585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5067325A (ja) ダイブダウンシート
JP2021054359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3201636U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5159219B2 (ja) 車両用格納シート
JP4260570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11850976B2 (en) Seat adjustment structure and child safety seat
CN114795701B (zh) 轮椅
CN114795700B (zh) 轮椅
US20210094447A1 (en) Child safety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