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909B1 - 스트레이너 장치 및 그의 세척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레이너 장치 및 그의 세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909B1
KR102347909B1 KR1020210007547A KR20210007547A KR102347909B1 KR 102347909 B1 KR102347909 B1 KR 102347909B1 KR 1020210007547 A KR1020210007547 A KR 1020210007547A KR 20210007547 A KR20210007547 A KR 20210007547A KR 102347909 B1 KR102347909 B1 KR 102347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trainers
washing
pipe
str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흥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흥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흥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흥기공
Priority to KR1020210007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3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스트레이너 장치 및 그의 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과 연결되고 양측으로 분기되는 공급배관, 상기 공급배관의 분기된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복수의 스트레이너 및 상기 복수의 스트레이너와 연결되고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여과된 유체를 상대 배관으로 전달하는 전달배관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스트레이너의 바디에 설치된 복수의 세척노즐을 이용해서 여과부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여과체에 누적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해서 제거하고, 스트레이너의 세척 작업으로 인한 설비의 가동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트레이너 장치 및 그의 세척방법{STRAINER AND CLEAN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트레이너 장치 및 그의 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 배관을 통해 급수되는 공급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트레이너 장치 및 그의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력 발전소는 석탄이나 석유에 의한 화력으로 증기를 발생시켜 증기 터빈을 돌려서 발전한다.
이러한 화력 발전소는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보일러로 공급수를 공급한다.
이와 같은 공급구 공급 과정에서 공급수 중에 스케일(scale) 또는 패킹(Packing) 파손물 등의 이물질이 혼입되는 경우, 이물질이 각각의 단위기기에 손상을 주며, 특히 급수펌프의 임펠러 또는 축을 파손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급수 펌프 전단에는 공급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트레이너가 설치된다.
스트레이너는 배관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마련된 금속망을 이용해서 배관을 통해 이동하는 유체에 포함된 모래, 녹, 금속 쓰레기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트레이너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스트레이너를 이용해서 공급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과정에서 스트레이너 내부에 이물질이 누적되면, 스트레이너를 통과하는 공급수의 압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한 압력손실 및 공급수의 흐름이 방해됨에 따라 설비 가동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스트레이너의 전단압력과 후단압력의 차이를 항상 검지하고, 일정치 이상의 차압으로 인해 경고신호(alarm)가 발생하면 스트레이너를 분해해서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스트레이너의 세척작업 시 작업자는 차압이 발생된 급수 펌프의 가동을 중단하고, 스트레이너 전, 후단에 설치된 한 쌍의 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스트레이너에 마련된 드레인밸브를 개방해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스트레이너 내부의 메시스크린에 부착된 이물질은 쉽게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는 스트레이너를 배관에서 분리한 후, 메시스크린을 손으로 빼내어 수세(水洗) 세척해서 다시 장착하여 재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스트레이너의 세척작업은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수행됨에 따라 작업성이 저하되고, 많은 시간적, 인적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스트레이너의 세척작업는 세척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주변 설비의 가동을 중지해야 함에 따라, 발전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자동 세척 기능을 적용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도 스트레이너의 세척작업으로 인한 효율 저하를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227026호(2013년 2월 7일 공고)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20-1993-0001512호(1993년 3월 30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20-00595820호(2020년 8월 11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관을 통해 이동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 장치 및 그의 세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체 설비를 지속적으로 가동한 상태에서 스트레이너의 세척이 가능한 스트레이너 장치 및 그의 세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이너 장치는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과 연결되고 양측으로 분기되는 공급배관, 상기 공급배관의 분기된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복수의 스트레이너 및 상기 복수의 스트레이너와 연결되고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여과된 유체를 상대 배관으로 전달하는 전달배관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스트레이너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해 여과된 유체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다른 스트레이너의 세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이너 장치의 세척방법은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과 상대 배관 사이에 복수의 스트레이너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스트레이너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해 유체를 여과해서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다른 스트레이너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이너 장치 및 그의 세척방법에 의하면, 스트레이너 내부의 여과체에 누적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레이너의 바디에 설치된 복수의 세척노즐을 이용해서 여과부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여과부에 누적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바디와 여과체에 각각 마련된 드레인관을 통해 분리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해서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에 연결된 공급배관을 양측으로 분기해서 복수의 스트레이너를 설치하고, 세척작업시 복수의 스트레이너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해 지속적으로 유체를 여과해서 공급하면서, 다른 스트레이너를 세척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레이너의 세척 작업을 위해 주변 설비의 구동을 중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세척 작업으로 인한 설비의 가동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이너 장치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스트레이너 장치의 측면도와 후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A' 선에 대한 단면도,
도 5은 도 1에 도시된 스트레이너 장치의 저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이너 장치 및 그의 세척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이너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스트레이너 장치의 측면도와 후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A' 선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트레이너 장치의 저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스트레이너 장치(10)를 기준으로 공급배관(20)의 공급구(21)가 형성된 방향을 '후방'이라 하고, 전달배관(40)의 전달구(41)가 형성된 방향을 '전방'이라 한다.
그리고 '좌측', '우측',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상기한 전방과 후방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스트레이너 장치(10)가 화력 발전소에서 해수를 전기분해하여 각 장치로 공급하는 해수 전해설비에 적용된 배관 상에 설치되는 구성을 설명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발전소와 해수 전해설비뿐만 아니라, 선박과 같은 대형 운송수단이나 상수도 배관, 산업용 장비와 같이 다양한 형태 및 구성을 갖는 설비에 적용될 수 있으며, 물 등의 유체를 공급하는 배관에 스트레이너 장치를 설치해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이너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도면 미도시)과 연결되고 양측으로 분기되는 공급배관(20), 공급배관(20)의 분기된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복수의 스트레이너(30) 및 복수의 스트레이너(30)와 연결되고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여과된 유체를 상대 배관(도면 미도시)으로 전달하는 전달배관(40)을 포함한다.
공급배관(20)은 전방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대략 '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배관(20)의 하단부는 상기 배관과 연결 가능하도록,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공급배관(20)의 후단에는 상기 배관을 통해 이동하는 유체를 공급받는 공급구(21)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급배관(20)의 상단부는 양측으로 분기되고, 분기된 공급배관(20)의 양단에는 각각 제1 및 제2 스트레이너(30,30')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공급배관(20)의 양측에 각각 제1 및 제2 스트레이너(30,30')가 연결되는 구성을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은 공급배관(20)의 양측에 각각 하나 이상의 스트레이너(30)를 연결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스트레이너(30,30')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며, 다만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스트레이너(30,3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제1 스트레이너(30)의 구성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공급배관(20)의 분기된 양단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 스트레이너(30,30')로 유체를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개폐 동작하는 제1 및 제2 밸브(22,23)가 설치될 수 있다.
전달배관(40)은 상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대략 '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달배관(40)의 전단부에는 상기 상대 배관으로 여과된 세척수를 전달하는 전달구(41)가 형성될 수 있다.
전달배관(40)의 후단부는 양측으로 분기되고, 분기된 전달배관(40)의 양단부는 각각 아래에서 설명할 제1 및 제2 스트레이너(30,30')의 배출구(31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달배관(40)의 분기된 양단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 스트레이너(30,30')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유입시키거나 차단하도록 개폐 동작하는 제3 및 제4 밸브(42,43)가 설치될 수 있다.
그래서 스트레이너 장치(10)는 공급배관(20)의 공급구(21)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를 공급배관(20)의 분기된 양단을 통해 제1 및 제2 스트레이너(30,30')로 각각 공급한다.
제1 및 제2 스트레이너(30,30')는 각각 내부의 여과부(32)를 이용해서 세척수를 여과하고, 여과된 세척수는 다시 전달배관(40) 후단의 분기된 양단을 통해 전달배관(40)으로 전달된 후 전달구(41)를 통해 상대 배관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에 연결된 공급배관을 양측으로 분기해서 복수의 스트레이너를 설치하고, 평상시에는 복수의 스트레이너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이용해서 유체를 여과할 수 있다.
한편, 유체를 여과하는 과정에서 각 스트레이너(30,30')의 전단압력과 후단압력의 차압을 검사한 결과, 여과부(32)에 이물질이 누적됨에 따라 상기 차압이 미리 설정된 설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각 스트레이너(30,30')의 세척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본 발명은 스트레이너(30)의 세척작업시, 공급배관(20)과 전달배관(40)에 마련된 제1 내지 제4 밸브(22, 23, 42, 43)를 선택적으로 개폐해서 복수의 스트레이너(30,3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스트레이너를 통해 지속적으로 유체를 여과해서 공급하면서, 다른 스트레이너를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트레이너의 세척 작업을 위해 주변 설비의 구동을 중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세척 작업으로 인한 설비의 가동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제1 스트레이너(3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스트레이너(3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311)와 배출되는 배출구(312)가 형성되는 바디(31), 바디(31)의 내부에 설치되고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32) 및 여과부(32)에 세척수를 분사해서 세척하는 세척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311)는 공급배관(20)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부분으로, 바디(31)의 좌측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312)는 여과부(32)에서 여과된 유체를 전달배관(40)으로 배출하는 부분으로, 바디(31)의 일측, 예컨대 후측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바디(31)의 하단에는 세척 작업시 바디(31)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드레인관(313)이 마련되고, 제1 드레인관(313)에는 유체를 배출 또는 중지하도록 개폐 동작하는 제5 밸브(314)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바디(31)의 상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에는 바디(31) 내부에 유체가 만충된 경우, 바디(31)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벤트관이 연결되고, 상기 벤트관에는 유체를 배출 또는 중지하도록 개폐 동작하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여과부(32)는 상면이 개구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여과체(321) 및 여과체(321)에 설치되고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메시 스크린(3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과체(321)는 개구된 상면을 통해 유입된 유체를 메시 스크린(322)을 통과시켜 여과해서 외부로 배출하고, 메시 스크린(322)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여과체(321)의 측면에는 여과된 유체를 여과체(321) 외부로 배출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과체(321) 내부의 공간 상면은 바디(31)의 유입구(311)를 통해 수평 방향을 따라 바디(31)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바디(31)의 내부 공간 하부에 배치된 여과체(31)를 향해 하방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입구(311) 측 상방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323)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323)의 가장자리에는 유체가 바디(31)와 여과체(32) 사이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과체(32)의 하면에는 세척 작업시 메시 스크린(322)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포함하는 세척수를 바디(31) 외부로 배출하는 제2 드레인관(324)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드레인관(324)은 일단이 여과체(321)의 하단에 연통되어 연결되고, 바디(31)의 하단을 관통해서 바디(31)의 외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드레인관(324)에는 이물질이 포함된 세척수를 배출 또는 차단하도록 개폐 동작하는 제6 밸브(325)가 설치될 수 있다.
그래서 제2 드레인관(324)은 제1 스트레이너(30)의 세척 작업시 제6 밸브(325)가 개방 동작한 상태에서, 여과부(32)로부터 분리된 이물질과 세척수를 제1 스트레이너(3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세척부(33)는 바디(31)에 설치되고 여과부(32)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척노즐(331)과 각 세척노즐(332)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관(332)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노즐(331)은 바디(31)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각 세척노즐(331)은 바디(31)에 서로 다른 높이 및 각도로 복수의 열과 행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각 세척노즐(331)은 바디(31)에 서로 다른 높이 및 각도로 불규칙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각 세척노즐(331)은 바디(31)에 서로 다른 높이에 각각 복수 개가 서로 다른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세척노즐(331)은 바디(31)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 3개의 가상원 높이에 대응되도록 설치되고, 각 가상원에는 복수 개, 즉 2개 이상의 세척노즐(331)이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척수 공급관(332)의 전단부는 3개의 가상원에 대응되도록 3개로 분기되고, 분기된 각 분기관은 바디(31)를 통해 각 세척노즐(331)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각 분기관에는 세척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개폐 동작하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31)의 외면에는 세척수 공급관(332)의 각 분기관을 통해 공급된 세척수를 상기한 각 가상원을 따라 설치된 각 세척노즐(311)로 전달하는 3개의 전달유로(3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바디에 서로 다른 높이 및 각도로 설치된 복수의 세척노즐을 설치하고, 여과부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해서 여과부의 여과체 및 메시 스크린에 누적된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높이 및 각도로 세척노즐을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더욱 확실하게 여과부를 세척할 수 있고,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며, 세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이너 장치의 세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스트레이너(30')를 이용해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제1 스트레이너(30)를 세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은 제1 스트레이너(30)를 이용해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고, 제2 스트레이너(30')를 세척할 수도 있다.
먼저, 작업자는 제1 스트레이너(30)의 전후단에 각각 연결된 공급배관(20)의 제1 밸브(22)와 전달배관(40)의 제3 밸브(42)를 각각 회전 조작해서 폐쇄 동작시킨다.
이때, 제2 스트레이너(30')의 전후단에 각각 설치된 제2 밸브(23)와 제4 밸브(43)는 각각 개방 동작 상태이다. 그래서, 제2 스트레이너(30')는 배관을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이물질을 여과하고, 여과된 유체를 지속적으로 상대 배관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제1 스트레이너의 세척 작업을 위해, 바디(31)의 제1 드레인관(313)에 설치된 제5 밸브(314)를 회전 조작해서 개방 동작시킨다. 그러면, 제1 드레인관(313)은 바디(31) 내부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어서, 제1 스트레이너(30)의 세척부(33)에 마련된 세척수 공급관(332)은 바디에 마련된 복수의 전달유로(333)에 각각 세척수를 공급하고, 각 전달유로(333)로 공급된 세척수는 바디(30)에 설치된 복수의 세척노즐(331)로 공급된다.
이때, 각 세척노즐(331)은 바디(311)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3개의 가상원을 따라 복수 개로 설치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각 세척노즐(331)은 여과부(32)를 향해 서로 다른 높이 및 각도에서 세척수를 분사하고, 이로 인해 여과체(321)와 메시 스크린(322)에 누적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그래서 작업자는 여과부(32)의 제2 드레인관(324)에 설치된 제6 밸브(325)를 회전 조작해서 개방 동작시킨다.
그러면, 제2 드레인관(324)은 여과체(32) 내부의 이물질이 포함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해서 제거한다.
이와 같은 세척 작업 과정에서, 제1 드레인관(313)은 바디(31) 내부의 세척수를 지속적으로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스트레이너 내부의 여과체에 누적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스트레이너의 바디에 서로 다른 높인 및 각도로 설치된 복수의 세척노즐을 이용해서 여과체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해서 여과체에 누적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와 여과체에 각각 마련된 드레인관을 통해 분리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해서 제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스트레이너의 바디에 서로 다른 높인 및 각도로 설치된 복수의 세척노즐을 이용해서 여과부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해서 여과부에 누적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해서 제거하고, 스트레이너의 세척 작업으로 인한 설비의 가동 효율 저하를 방지하는 스트레이너 장치 및 그의 세척방법 기술에 적용된다.
10: 스트레이너 장치
20: 공급배관
21: 공급구 22,23: 제1, 제2 밸브
30, 30': 제1, 제2 스트레이너
31: 바디
311: 유입구 312: 배출구
313: 제1 드레인관 314: 제5 밸브
32: 여과부
321: 여과체 322: 메시 스크린
323: 경사면 324: 제2 드레인관
325: 제6 밸브
33: 세척부
331: 세척노줄 332: 세척수 공급관
333: 전달유로
40: 전달배관
41: 전달구 42,43: 제3, 제4 밸브

Claims (5)

  1. 상단부는 양측으로 분기되고, 하단부는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며, 후단에는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과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받는 공급구가 형성되어 단면이 T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급배관,
    상기 공급배관의 분기된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복수의 스트레이너 및
    상기 복수의 스트레이너와 연결되고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여과된 유체를 상대 배관으로 전달하는 전달배관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스트레이너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해 여과된 유체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다른 스트레이너의 세척이 가능하며,
    분기된 상기 공급배관의 양단에는 각각 제1 및 제2 스트레이너가 연결되고,
    상기 공급배관의 분기된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스트레이너로 유체를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개폐 동작하는 제1 및 제2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전달배관의 분기된 양단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스트레이너의 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전달배관의 분기된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스트레이너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유입시키거나 차단하도록 개폐 동작하는 제3 및 제4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스트레이너는 각각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유체의 유입구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고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에 세척수를 분사해서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는 상기 바디에 서로 다른 높이 및 각도로 설치되고, 상기 여과부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척노즐과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관 및
    상기 바디의 외면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세척수를 각 세척노즐로 공급하는 전달유로를 포함하여 상기 여과부에 세척수를 분사해서 상기 여과부에 누적된 이물질을 상기 여과부에서 분리하여 세척하며, 세척수와 분리된 이물질을 상기 바디와 여과부에 각각 마련된 드레인관을 통해 배출해서 제거하고,
    상기 여과부는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여과체 및
    상기 여과체에 설치되고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메시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체는 개구된 상면을 통해 유입된 유체를 상기 메시 스크린을 통과시켜 여과해서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메시 스크린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여과체의 상면은 상기 바디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상기 여과체를 향해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유입구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기재된 스트레이너 장치의 세척방법에 있어서,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과 상대 배관 사이에 복수의 스트레이너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스트레이너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해 유체를 여과해서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다른 스트레이너 내부에 마련된 세척부를 이용해서 해당 스트레이너의 여과부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장치의 세척방법.
KR1020210007547A 2021-01-19 2021-01-19 스트레이너 장치 및 그의 세척방법 KR102347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547A KR102347909B1 (ko) 2021-01-19 2021-01-19 스트레이너 장치 및 그의 세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547A KR102347909B1 (ko) 2021-01-19 2021-01-19 스트레이너 장치 및 그의 세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909B1 true KR102347909B1 (ko) 2022-01-07

Family

ID=79355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547A KR102347909B1 (ko) 2021-01-19 2021-01-19 스트레이너 장치 및 그의 세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90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512Y1 (ko) 1991-05-23 1993-03-30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스트레이너(strainer) 자동세척장치
JP2003080193A (ja) * 2001-09-12 2003-03-18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配管洗浄用ストレーナおよびその清掃方法
KR100971867B1 (ko) * 2010-02-10 2010-07-22 황창성 유체 여과장치
KR101227026B1 (ko) 2012-06-13 2013-02-07 선보공업주식회사 해수용 스트레이너
KR101589040B1 (ko) * 2015-06-25 2016-01-27 최병화 스트레이너 청소가 용이한 병렬식 펌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102002171B1 (ko) * 2019-01-07 2019-10-21 신우중공업주식회사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스트레이너 및 이를 적용한 펌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512Y1 (ko) 1991-05-23 1993-03-30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스트레이너(strainer) 자동세척장치
JP2003080193A (ja) * 2001-09-12 2003-03-18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配管洗浄用ストレーナおよびその清掃方法
KR100971867B1 (ko) * 2010-02-10 2010-07-22 황창성 유체 여과장치
KR101227026B1 (ko) 2012-06-13 2013-02-07 선보공업주식회사 해수용 스트레이너
KR101589040B1 (ko) * 2015-06-25 2016-01-27 최병화 스트레이너 청소가 용이한 병렬식 펌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102002171B1 (ko) * 2019-01-07 2019-10-21 신우중공업주식회사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스트레이너 및 이를 적용한 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005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ботки сверхчистой воды по принципу обратного осмоса
KR101054236B1 (ko) 자동 세척되는 필터 시스템
CN204411880U (zh) 一种用于农业灌溉系统的过滤装置
KR102288474B1 (ko)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JP2020114577A (ja) 水処理装置
KR102401453B1 (ko) 세척효율성을 강화한 필터 세척장치
KR101210969B1 (ko) 펌프 흡입용 t자형 스트레이너
KR102347909B1 (ko) 스트레이너 장치 및 그의 세척방법
JP2008012603A (ja) クーラント浄化装置
CN201959648U (zh) 一种立式硅藻土过滤装置
KR100895524B1 (ko) 농업용 청정수 공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농업용 청정수로의 전환방법
CN202909528U (zh) 一种排泥过滤器
KR20140038652A (ko) 유체 이송배관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반자동 필터 시스템
CN208927720U (zh) 自动反冲洗篮式过滤器
RU2754318C1 (ru) Фильтр грубой очистки оросительной воды
CN203803189U (zh) 具有管道污水清洗的过滤器
CN202237515U (zh) 补水型反向过滤装置
KR20120005812A (ko) 자동 세척되는 필터 시스템
CN215691958U (zh) 自洁过滤器
JP6459608B2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KR101479451B1 (ko) 배관 세척 장치
CN218280772U (zh) 一种免拆洗篮式过滤器及系统
KR102625168B1 (ko) 원뿔대 형태의 여과망 탑재로 압력손실 없이 필터 세척과 유량조절이 가능한 밀폐형 여과 볼밸브
CN208244259U (zh) 一种集成式水处理系统
CN217746533U (zh) 一种陶瓷膜cip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